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당뇨병 및 공복혈당장애 예측을 위한 당화혈색소 값 = The Cutoff Value of HbA1c in Predicting Diabetes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305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증가하고 있는 당뇨병을 예방하기 위한 연구와 함께 당뇨병의 진단 및 예측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당화혈색소는 여러 선행 연구에...

      증가하고 있는 당뇨병을 예방하기 위한 연구와 함께 당뇨병의 진단 및 예측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당화혈색소는 여러 선행 연구에서 그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당뇨군 및 공복혈당 장애군에 대한 당화혈색소 분별점을 살펴보고, 당뇨군 및 공복혈당장애군 분별을 위한 적절한 임상 적용 기준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 여부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2015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 중 측정치 누락자를 제외한 20세 이상 대상자 5,161명(남성 2,281명, 여성 2,880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대상자 전체의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의 상관계수는 0.79로 나타나 강한 상관성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비당뇨군에서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의 상관계수는 0.27, 공복혈당장애군에서는 0.39, 당뇨군에서는 0.66으로 나타나 당뇨군에서는 상관성이 높은 반면, 비당뇨군과 공복혈당장애군에서 상관계수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ROC curve를 이용하여 당뇨병을 예측하기 위한 당화혈색소 cutoff값은 남녀 모두 6.05%(sensitivity 84.6%, specificity 92.0%)로 나타났으며, AUC는 0.941 (남성의 경우 0.937, 여성의 경우 0.946)이었다. 반면에 공복혈당장애를 예측하기 위한 당화혈색소 cutoff값은 5.55%(sensitivity 64.5%, specificity 70.0%), AUC는 0.733 (남성의 경우 0.708, 여성의 경우 0.764)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민감도와 특이도 모두 70% 이하로 낮게 나온 공복혈당장애의 경우 진단 기준으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추후 공복혈당장애 예측을 위한 분별점의 연구에서는 공복혈당범위를 세분화하여 적용하면 좀 더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분별점을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o develop methods for predicting diabetes and to prevent diabetes. The validity of glycated hemoglobin (HbA1c), one of the commonly known tools in predicting diabetes, has been verified by many previous studies. In this 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o develop methods for predicting diabetes and to prevent diabetes. The validity of glycated hemoglobin (HbA1c), one of the commonly known tools in predicting diabetes, has been verified by many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utoff value of HbA1c for diabetes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IFG). Based on this study, we proposed a proper clinical guideline and evaluated the validation of the guideline. Excluding those without blood glucose and HbA1c data, we used the data of 5,161 subjects (2,281 men and 2,880 women) over the age of 20 years from the 201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correlation efficient of fasting plasma glucose (FPG) and HbA1c was 0.79, indicating a strong relationship. Howeve, the correlation efficient of FPG and HbA1c was low, showing 0.27 in non-diabetes, 0.39 in IFG, and 0.66 in diabetes, showing a strong relationship. The cutoff value of HbA1c for predicting diabetes using ROC curve was 6.05% (sensitivity 84.6%, and specificity 92.0%), and AUC was 0.941 (0.937 in men, and 0.946 in women). The cutoff value of HbA1c for predicting IFG using ROC curve was 5.55% (sensitivity 64.5%, and specificity 70.0%), and AUC was 0.733 (0.708 in men, and 0.764 in women). Therefore, it may not be appropriate to apply the guidelines for diagnosing IFG sinc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below 70%. For future studies retarding the cutoff value of HbA1c in predicting IFG,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are expected if we segment the reference range of IF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실, "한국인 당뇨병의 진단을 위한 당화혈색소 측정의 유용성" 대한내과학회 80 (80): 291-297, 2011

      2 배지철,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당뇨병을 예측하는 당화혈색소 값의 분석" 대한당뇨병학회 33 (33): 503-510, 2009

      3 권필승, "금식 여부에 따른 혈당치 분포와 당뇨병 선별을 위한 혈당조절지표의 평가" 대한임상검사과학회 48 (48): 312-320, 2016

      4 Buell C, "Utility of A1C for diabetes screening in the 1999-2004 NHANES population" 30 (30): 2233-2235, 2007

      5 류아정, "The Usefulness of the Glycosylated Hemoglobin Level for the Diagnosis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in the Korean Population" 대한당뇨병학회 39 (39): 507-511, 2015

      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Ⅵ-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7 김대중, "The Epidemiology of Diabetes in Korea" 대한당뇨병학회 35 (35): 303-308, 2011

      8 김재현, "Role of HbA1c in the Screening of Diabetes Mellitus in a Korean Rural Community" 대한당뇨병학회 36 (36): 37-42, 2012

      9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Report of the expert committee on the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20 (20): 1183-1197, 1997

      10 Cowie CC, "Prevalence of diabetes and high risk for diabetes using A1C criteria in the U.S. population in 1988-2006" 33 (33): 562-568, 2010

      1 이영실, "한국인 당뇨병의 진단을 위한 당화혈색소 측정의 유용성" 대한내과학회 80 (80): 291-297, 2011

      2 배지철,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당뇨병을 예측하는 당화혈색소 값의 분석" 대한당뇨병학회 33 (33): 503-510, 2009

      3 권필승, "금식 여부에 따른 혈당치 분포와 당뇨병 선별을 위한 혈당조절지표의 평가" 대한임상검사과학회 48 (48): 312-320, 2016

      4 Buell C, "Utility of A1C for diabetes screening in the 1999-2004 NHANES population" 30 (30): 2233-2235, 2007

      5 류아정, "The Usefulness of the Glycosylated Hemoglobin Level for the Diagnosis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in the Korean Population" 대한당뇨병학회 39 (39): 507-511, 2015

      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Ⅵ-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7 김대중, "The Epidemiology of Diabetes in Korea" 대한당뇨병학회 35 (35): 303-308, 2011

      8 김재현, "Role of HbA1c in the Screening of Diabetes Mellitus in a Korean Rural Community" 대한당뇨병학회 36 (36): 37-42, 2012

      9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Report of the expert committee on the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20 (20): 1183-1197, 1997

      10 Cowie CC, "Prevalence of diabetes and high risk for diabetes using A1C criteria in the U.S. population in 1988-2006" 33 (33): 562-568, 2010

      11 전자영, "Prevalence of Diabetes and Prediabetes according to Fasting Plasma Glucose and HbA1c" 대한당뇨병학회 37 (37): 349-357, 2013

      12 Lee H, "Optimal hemoglobin A1C cutoff value for diagnosing type 2 diabetes mellitus in Korean adults" 99 (99): 231-236, 2013

      13 Cho NH, "Optimal HbA1c cutoff for detecting diabetic retinopathy" 50 (50): 837-842, 2013

      14 International Expert Committee, "International expert committee report on the role of the A1c assay in the diagnosis of diabetes" 32 (32): 1327-1334, 2009

      15 김홍규, "Impact of HbA1c Criterion on the Detection of Subjects with Increased Risk for Diabetes among Health Check-Up Recipients in Korea" 대한당뇨병학회 36 (36): 151-156, 2012

      16 Choi SH, "Hemoglobin A1c as a diagnostic tool for diabetes screening and new-onset diabetes prediction: a 6-year community-based prospective study" 34 (34): 944-949, 2011

      17 홍상모, "Glycosylated Hemoglobin Threshold for Predicting Diabetes and Prediabetes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대한당뇨병학회 40 (40): 167-170, 2016

      18 Ziemer DC, "Glucose-independent, black-white differences in hemoglobin A1c levels: a cross-sectional analysis of 2 studies" 152 (152): 770-777, 2010

      19 Herman WH, "Differences in A1C by race and ethnicity among patients with impaired glucose tolerance in the Diabetes Prevention Program" 30 (30): 2453-2457, 2007

      20 Kim KS, "Diagnostic value of glycated hemoglobin (HbA1c) for the early detection of diabetes in high risk subjects" 25 (25): 997-1000, 2008

      21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33 (33): 62-69, 2010

      22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27 (27): 5-10, 2004

      23 Herman WH, "Diabetes Prevention Program Research Group. Differences in A1C by race and ethnicity among patients with impaired glucose tolerance in the Diabetes Prevention Program" 30 (30): 2453-2457, 2007

      24 Lim NK, "A risk score for predicting the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in a middle-aged Korean cohort: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76 (76): 1904-1910, 2012

      25 고승현, "2011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ype 2 Diabetes in Korea" 대한당뇨병학회 35 (35): 431-436,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임상검사학회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KCI등재후보
      2014-06-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임상검사학회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orean Society f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4-12-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 The Korean Society f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28 0.34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