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혁주의 기독교교육 관점에서의 인성교육 = Character Education in a View of Reformed Christian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94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about a study on character education in a view of reformed Christian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grounded upon statistics related with character education, to propose the elements and effects of character education. This paper discusses the concepts of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in order to delineate the concepts of Christian character and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In this article, the restoration of the image of God is discussed and proposed as the aim of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in terms of reformed theology. "Making perfect" and "having people to live spiritual and godly life" are discussed as the contents of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And the objectives for the character education of the reformed Christian are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theological terminology for the "image of God".
      For the practical ways of the objectives two things are proved, that is, firstly, the practice of the nine fruits of the Holy Spirit, another thing is the restoration of the image of God which is discussed in three aspects, i. e. the intellectual, the emotional, and the behavioral aspect. In this paper, four things are suggested as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in future. Virtues of Christian character are developed in order to restore image of God. Programs of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are developed in the scopes of the intellect, emotion and will as well as is designed to apply to the real lives. Programs of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are connected with family, church, and Christian schools. Finally, core virtues which are developed by Ministry of Education are illuminated and expanded on the ground of restoring God's image as the aim of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about a study on character education in a view of reformed Christian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grounded upon statistics related with character education, to propose the elem...

      This article is about a study on character education in a view of reformed Christian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grounded upon statistics related with character education, to propose the elements and effects of character education. This paper discusses the concepts of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in order to delineate the concepts of Christian character and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In this article, the restoration of the image of God is discussed and proposed as the aim of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in terms of reformed theology. "Making perfect" and "having people to live spiritual and godly life" are discussed as the contents of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And the objectives for the character education of the reformed Christian are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theological terminology for the "image of God".
      For the practical ways of the objectives two things are proved, that is, firstly, the practice of the nine fruits of the Holy Spirit, another thing is the restoration of the image of God which is discussed in three aspects, i. e. the intellectual, the emotional, and the behavioral aspect. In this paper, four things are suggested as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in future. Virtues of Christian character are developed in order to restore image of God. Programs of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are developed in the scopes of the intellect, emotion and will as well as is designed to apply to the real lives. Programs of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are connected with family, church, and Christian schools. Finally, core virtues which are developed by Ministry of Education are illuminated and expanded on the ground of restoring God's image as the aim of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개혁주의 기독교교육의 관점에서 인성교육을 탐구하기 위해 일반교육에서 인성교육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기독교적 인성교육을 논하였다. 기독교적 인성교육의 내용으로는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게 하는 ‘온전케 하는 것’과 ‘영적이며 경건한 생활을 하게 하는 것’임을 논의하였으며 개혁주의 기독교인성교육의 목표는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었다는 것에 기초하여 ‘하나님의 형상’에 관한 기독교교육적인 의미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목표는 성령의 아홉 가지 열매에 대하여 지식으로 알고 깨닫고 삶에서 실천을 논의하였고 하나님의 형상이 지적인 면, 정서적인 면, 행동적인 면에서 회복됨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혁주의 기독교교육 관점에서 인성교육의 방향은 첫째, 기독교적 인성교육은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덕목을 추출하고 덕목에 따른 인성교육의 내용이고 전인적 발달을 위한 교육이어야 한다. 둘째, 기독교적 인성교육을 위해 지‧정‧의를 포함한 신앙교육과 하나님의 모든 백성 곧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기독교적인 가치관을 가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실제 삶과의 관련 속에서 느끼고 갈등하는 구체적 경험을 통해 인성의 핵심 역량을 함양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가정‧교회‧기독교학교가 함께 연계된 인성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교육부에서 제시하는 인성교육의 핵심덕목들을 개혁주의 기독교교육의 관점에서 조명하고 기독교적 인성교육의 목표로서의 하나님의 형상회복을 위한 실천 방안을 모색함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개혁주의 기독교교육의 관점에서 인성교육을 탐구하기 위해 일반교육에서 인성교육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기독교적 인성교육을 논하였다. 기독교적 인성교육의 내용으로는 하나...

      본 연구는 개혁주의 기독교교육의 관점에서 인성교육을 탐구하기 위해 일반교육에서 인성교육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기독교적 인성교육을 논하였다. 기독교적 인성교육의 내용으로는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게 하는 ‘온전케 하는 것’과 ‘영적이며 경건한 생활을 하게 하는 것’임을 논의하였으며 개혁주의 기독교인성교육의 목표는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었다는 것에 기초하여 ‘하나님의 형상’에 관한 기독교교육적인 의미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목표는 성령의 아홉 가지 열매에 대하여 지식으로 알고 깨닫고 삶에서 실천을 논의하였고 하나님의 형상이 지적인 면, 정서적인 면, 행동적인 면에서 회복됨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혁주의 기독교교육 관점에서 인성교육의 방향은 첫째, 기독교적 인성교육은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덕목을 추출하고 덕목에 따른 인성교육의 내용이고 전인적 발달을 위한 교육이어야 한다. 둘째, 기독교적 인성교육을 위해 지‧정‧의를 포함한 신앙교육과 하나님의 모든 백성 곧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기독교적인 가치관을 가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실제 삶과의 관련 속에서 느끼고 갈등하는 구체적 경험을 통해 인성의 핵심 역량을 함양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가정‧교회‧기독교학교가 함께 연계된 인성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교육부에서 제시하는 인성교육의 핵심덕목들을 개혁주의 기독교교육의 관점에서 조명하고 기독교적 인성교육의 목표로서의 하나님의 형상회복을 위한 실천 방안을 모색함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선영, "회복을 위한교육" 그리심 2012

      2 서덕희, "학교현장 안정화를 위한 인성교육 방안" 2012

      3 현주, "학교 인성교육실태분석 연구" 2009

      4 현주, "초·중등 학생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1)" 한국교육개발원 2013

      5 임정하, "창의 인성 역량 강화를 위한 교직과목 개발과 효과" 79-96, 2013

      6 Carr, D., "인성교육론" 교육과학사 1991

      7 남궁달화, "인성교육론" 도서출판 문음사 1999

      8 천세영, "인성교육 비전 수림 및 실천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2

      9 차성현, "인성교육 개념의 재구조화" 3-24, 2012

      10 이금만, "인격 재형성을 위한 신학교육의 방향"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7) : 125-154, 2011

      1 이선영, "회복을 위한교육" 그리심 2012

      2 서덕희, "학교현장 안정화를 위한 인성교육 방안" 2012

      3 현주, "학교 인성교육실태분석 연구" 2009

      4 현주, "초·중등 학생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1)" 한국교육개발원 2013

      5 임정하, "창의 인성 역량 강화를 위한 교직과목 개발과 효과" 79-96, 2013

      6 Carr, D., "인성교육론" 교육과학사 1991

      7 남궁달화, "인성교육론" 도서출판 문음사 1999

      8 천세영, "인성교육 비전 수림 및 실천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2

      9 차성현, "인성교육 개념의 재구조화" 3-24, 2012

      10 이금만, "인격 재형성을 위한 신학교육의 방향"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7) : 125-154, 2011

      11 김재춘, "실천적 인성교육이 반영된 교육과정 개발 방향 연구" 2012

      12 이택휘, "도덕교육론" 양서원 2000

      13 한춘기, "기독교교육신학 I" 도서출판 기독한교 2005

      14 임창호, "기독교교육 목적의 하나로서 그리스도인의 인간성 문제 고찰"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6 (26): 213-236, 2011

      15 김은수, "개혁주의 신앙의 기초(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 해설)I. II. III" SFC 2010

      16 Kim, Kwang-Min, "The status of teachers in the subject eduction : Implication for the character education" 13 (13): 1-226, 2001

      17 De Jong, N., "Teaching for a change : a transformational approach to education." P & R. Publication 2001

      18 Whitlock, L. G. Jr., "Spiritual direction in the reformed tradition" 30 : 4-, 2002

      19 LIckona, T., "Smart &good high schools : Integrating excellence and ethics for success in school, work, and beyond" Character Education Partnership 2005

      20 Purpel, D. E., "Reflections on the moral & spiritual crisis in education" Pete Lang 2004

      21 Polyani, V., "Personal Knowledge. Towards a post-critical philosoph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8

      22 Harper. N. E., "Making Disciples" Christian Studies Center 1980

      23 Nucci, L.,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A guidebook for future educators" McGraw-Hill 24-47, 2008

      24 Schwartz, M. J.,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a guidebook for future educators" McGraw-Hill 2008

      25 Harmin’ M., "Clarifying values through subject matter : application for the classroom" Winston Press, Inc 197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
      2014-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6-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6-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87 1.101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