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어린이집의 부모교육에 관한 취업모의 인식과 요구 조사 =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demand of working mothers about parent's education in child care cen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2861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아 교육에서 빼놓을 수 없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가 가정에서의 부모를 통한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유아 교육은 초 · 중등 교육과는 달리 가정과의 긴밀한 연계성과 교사와 부모의 일관성 있는 교육이 없이는 그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더욱이 현대 사회의 변화로 여성의 사회 참여가 점점 증가됨으로써 맞벌이 가정이 확대되어 자녀들을 12시간 이상 어린이집에 보육 시키고 있는 취업모에게 있어서 교육기관과의 긴밀한 연계성은 영유아의 성장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취업모는 부모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해 어린이집에서 실시하는 부모교육에 참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부모교육과 관련되어 이루어져 왔던 연구들은 유치원부모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들이라 유치원 보다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취업모를 위한 부모교육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취업모가 주로 이용하는 어린이집에서의 효과적인 부모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부모교육 필요성에 대한 취업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어린이집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취업모의 인식과 요구는 어떠한가?
      셋째, 어린이집 부모교육 방법에 대한 취업모의 인식과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자녀를 취원 시키고 있는 취업모 700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자가 직접 어린이집을 방문하여 원장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구한 뒤 담임교사를 통해 질문지를 배포 하고 회수 하였다. 회수율은 63%이며, 회수된 질문지는 441부였다. 연구 방법은 질문지 조사법으로 질문지는 유지민(1999)의 연구, 최혜진(2003)의 연구, 김홍렬(2004)의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 도구들을 참조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유아교육 전문가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증 받은 뒤 최종적으로 질문지를 작성 하였다.
      질문지의 내용은 취업모의 인구학적 배경에 관한 문항이 6개, 어린이집 부모교육 필요성에 관한 문항이 3개, 어린이집 부모교육 현황에 대한 문항이 14 개, 어린이집 부모교육내용에 관한 문항이 17개, 어린이집 부모교육 방법에 대한 인식과 요구문항이 10개로 총 50문항으로 구성 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전산화 된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11.0을 사용하여 빈도수 및 백분율로 산출 하였으며 취업모의 배경 변인에 따라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χ2 검증(Chi-square)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부모교육필요성에 대한 취업모의 인식에 있어서 대다수의 취업모는 자녀교육에 있어서 부모의 역할이 소중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취업모를 위한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크게 인식하고 있다.
      둘째, 어린이집의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어린이집에서 실시한 한정된 주제에 대해서는 인식하고 있지만 세세한 주제에 관해서는 잘 알지 못하고 있다. 자녀와의 바람직한 관계를 위한 기술과 정보, 그리고 유아발달의 특성에 관한 내용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였다.
      셋째, 어린이집 부모교육 방법에 대한 취업모의 인식에 있어서는 어린이집에서 실시하고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부모교육에 참석함으로써 어느 정도 방법에 대한 인식은 하고 있었다. 부모교육 형태에 따라 희망하는 횟수는 취업모의 배경 변인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어린이집에서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는 가정통신문 형식은 가장 원하지 않는 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린이집에서 자녀교육 및 양육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부모참여 형태와 강연회, 개별 면담, 부모역할 훈련 프로그램 등과 같은 방법을 희망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번역하기

      유아 교육에서 빼놓을 수 없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가 가정에서의 부모를 통한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유아 교육은 초 · 중등 교육과는 달리 가정과의 긴밀한 연계성과 교...

      유아 교육에서 빼놓을 수 없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가 가정에서의 부모를 통한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유아 교육은 초 · 중등 교육과는 달리 가정과의 긴밀한 연계성과 교사와 부모의 일관성 있는 교육이 없이는 그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더욱이 현대 사회의 변화로 여성의 사회 참여가 점점 증가됨으로써 맞벌이 가정이 확대되어 자녀들을 12시간 이상 어린이집에 보육 시키고 있는 취업모에게 있어서 교육기관과의 긴밀한 연계성은 영유아의 성장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취업모는 부모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해 어린이집에서 실시하는 부모교육에 참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부모교육과 관련되어 이루어져 왔던 연구들은 유치원부모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들이라 유치원 보다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취업모를 위한 부모교육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취업모가 주로 이용하는 어린이집에서의 효과적인 부모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부모교육 필요성에 대한 취업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어린이집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취업모의 인식과 요구는 어떠한가?
      셋째, 어린이집 부모교육 방법에 대한 취업모의 인식과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자녀를 취원 시키고 있는 취업모 700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자가 직접 어린이집을 방문하여 원장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구한 뒤 담임교사를 통해 질문지를 배포 하고 회수 하였다. 회수율은 63%이며, 회수된 질문지는 441부였다. 연구 방법은 질문지 조사법으로 질문지는 유지민(1999)의 연구, 최혜진(2003)의 연구, 김홍렬(2004)의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 도구들을 참조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유아교육 전문가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증 받은 뒤 최종적으로 질문지를 작성 하였다.
      질문지의 내용은 취업모의 인구학적 배경에 관한 문항이 6개, 어린이집 부모교육 필요성에 관한 문항이 3개, 어린이집 부모교육 현황에 대한 문항이 14 개, 어린이집 부모교육내용에 관한 문항이 17개, 어린이집 부모교육 방법에 대한 인식과 요구문항이 10개로 총 50문항으로 구성 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전산화 된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11.0을 사용하여 빈도수 및 백분율로 산출 하였으며 취업모의 배경 변인에 따라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χ2 검증(Chi-square)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부모교육필요성에 대한 취업모의 인식에 있어서 대다수의 취업모는 자녀교육에 있어서 부모의 역할이 소중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취업모를 위한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크게 인식하고 있다.
      둘째, 어린이집의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어린이집에서 실시한 한정된 주제에 대해서는 인식하고 있지만 세세한 주제에 관해서는 잘 알지 못하고 있다. 자녀와의 바람직한 관계를 위한 기술과 정보, 그리고 유아발달의 특성에 관한 내용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였다.
      셋째, 어린이집 부모교육 방법에 대한 취업모의 인식에 있어서는 어린이집에서 실시하고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부모교육에 참석함으로써 어느 정도 방법에 대한 인식은 하고 있었다. 부모교육 형태에 따라 희망하는 횟수는 취업모의 배경 변인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어린이집에서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는 가정통신문 형식은 가장 원하지 않는 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린이집에서 자녀교육 및 양육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부모참여 형태와 강연회, 개별 면담, 부모역할 훈련 프로그램 등과 같은 방법을 희망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said that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 in Childhood Education is Parents' Education. If Childhood Education doesn't go side by side with training at home, we can't expect good result. Furthermore, the more increasing the number of working mothers, the more increasing the number of children cared in Child Care Center for more than 12 hours a day is increasing, too. That's why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Center and working mothers has an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Nevertheless working mothers can't participate in the Parents' Education in Child Care Center even though they have a good understanding about it. In addition, many of studies of Parents' Education are based on the Parents' Education in Kindergarten. It isn't helpful for the Parents' whose children go to Child Care Centers. With this study we can expect more desirable Parents' Education in Child Care Center that working mothers primarily choose.
      To achieve this purpose, three research questions are investigated;
      1.The perception of working mothers on the need of Parents' Education in Child Care Center.
      2.The perception and demand of working mothers on the contents of Parents' Education in Child Care Center.
      3.The perception and demand of working mothers on the methods of Parents' Education in Child Care Center.
      The subjects for this study are 700 working mothers whose children go to Child Care Centers in Daejeon.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in this investigation.
      Thes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Chi-Square(x2) and Paired Sample Test.
      The results acquired from above study are as follows:
      1.Most working mothers have a good understanding on the need of Parents' Education because they know how much important the Parentship is in their Children Education.
      2.Most working mothers recognize the limited subjects on Parents' Education, but they dont' know well all the details. They need more information for the desirabl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3.Many working mothers participate in various Parents' Education. It was appeared that the desirable times of education following the types of Parents' Education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background of working mothers. They want some programs like seminars, interviews, and Parentship training programs.
      번역하기

      It is said that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 in Childhood Education is Parents' Education. If Childhood Education doesn't go side by side with training at home, we can't expect good result. Furthermore, the more increasing the number of working moth...

      It is said that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 in Childhood Education is Parents' Education. If Childhood Education doesn't go side by side with training at home, we can't expect good result. Furthermore, the more increasing the number of working mothers, the more increasing the number of children cared in Child Care Center for more than 12 hours a day is increasing, too. That's why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Center and working mothers has an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Nevertheless working mothers can't participate in the Parents' Education in Child Care Center even though they have a good understanding about it. In addition, many of studies of Parents' Education are based on the Parents' Education in Kindergarten. It isn't helpful for the Parents' whose children go to Child Care Centers. With this study we can expect more desirable Parents' Education in Child Care Center that working mothers primarily choose.
      To achieve this purpose, three research questions are investigated;
      1.The perception of working mothers on the need of Parents' Education in Child Care Center.
      2.The perception and demand of working mothers on the contents of Parents' Education in Child Care Center.
      3.The perception and demand of working mothers on the methods of Parents' Education in Child Care Center.
      The subjects for this study are 700 working mothers whose children go to Child Care Centers in Daejeon.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in this investigation.
      Thes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Chi-Square(x2) and Paired Sample Test.
      The results acquired from above study are as follows:
      1.Most working mothers have a good understanding on the need of Parents' Education because they know how much important the Parentship is in their Children Education.
      2.Most working mothers recognize the limited subjects on Parents' Education, but they dont' know well all the details. They need more information for the desirabl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3.Many working mothers participate in various Parents' Education. It was appeared that the desirable times of education following the types of Parents' Education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background of working mothers. They want some programs like seminars, interviews, and Parentship training progra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ⅳ
      • 표목차 = ⅵ
      • Ⅰ. 서론 = 1
      • Ⅱ. 이론적 배경 = 6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ⅳ
      • 표목차 = ⅵ
      • Ⅰ. 서론 = 1
      • Ⅱ. 이론적 배경 = 6
      • 1. 취업모와 자녀교육 = 6
      • 1) 어머니의 취업이 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 6
      • 2) 맞벌이 가정의 자녀교육을 위한 지원 = 11
      • 2. 부모교육의 개념과 부모교육 프로그램 유형 = 12
      • 1) 부모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 12
      • 2)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 18
      • 3)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25
      • 3. 부모교육 관련 선행 연구 = 26
      • Ⅲ. 연구방법 = 29
      • 1. 연구대상 = 29
      • 2. 연구도구 = 30
      • 3. 연구절차 = 31
      • 4. 자료 분석 방법 = 32
      • Ⅳ. 결과 및 해석 = 33
      • Ⅴ. 결론 및 제언 = 52
      • 1. 요약 = 52
      • 2. 논의 및 결론 = 54
      • 3. 제언 = 57
      • Ⅵ. 참고문헌 = 59
      • Abstract = 64
      • 부록 설문지 = 66
      • 감사의 글 = 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