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청소년들의 자기지각과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생의례중심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예비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387073
서울 :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학위논문(박사) --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 청소년지도학과 , 2014. 2
2014
한국어
362.7 판사항(21)
서울
Development of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focusing on Lifetime Rituals to improve Early Adolescents' Self-perception and Social skills
vii, 111 p. ; 26cm
명지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이은경.
참고문헌 : p.82-8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청소년들의 자기지각과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생의례중심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예비연...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청소년들의 자기지각과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생의례중심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예비연구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초기청소년 30명을 선정하여, 그 중 15명은 실험집단, 다른 15명은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일생의례를 중심으로 한 표현예술치료를 가지고 구성하였으며, 주 1회 180분씩, 총 9회기로 실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각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두 번째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전검사의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해 독립표본 비모수 통계분석인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였다. 세 번째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전ㆍ사후 검사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비모수 통계분석인 Wilcoxon의 부호 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초기청소년들의 자기지각과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생의례중심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의 실시 후 실험집단 초기청소년의 자기지각은 M=3.25에서 M=3.79로 증가(z=-3.410, p<.001)하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자기지각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초기청소년의 사회적 기술도 M=3.24에서 M=3.72로 증가(z=-3.238, p<.001)하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사회적 기술 역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움직임 관찰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1회기에서 9회기까지 각각의 하위요인들인 '눈맞춤(Eye Contact)', '개인공간활용(Kinesphere)', '표현력(Gesture)‘, '자세(Posture)', '활동량(Energy Level)', '표출정도(Kind of Expression)', '대인관계(Relating to Others)', 그리고 '자발성(Frequency of Spontaneity)'에서 소극적 움직임요인들은 적정수준으로 증가하고, 과잉된 요인들은 적정수준으로 감소하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 주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생의례라는 한국전통문화의 콘텐츠를 활용한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은 초기청소년에게 한국인의 정체성을 위한 한국적 가치관을 심어줄 수 있다는데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본 프로그램 개발은 우리의 문화유산을 활용하여 개인의 성장과 관련된 의식을 통하여 초기청소년의 정체감을 확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초기청소년들의 자기지각과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생의례중심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은 미술치료와 무용동작치료, 이 두 영역을 하나로 융합하여 개발하였다. 초기청소년에게 움직임을 위한 동작치료는 몸에 대한 자각을 발달시키고 자신의 모습과 타인과의 관계를 신체적, 정서적, 심리적인 조화와 통합으로 유도하고, 자기를 존중하며 그 안에서 사회적 기술을 활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초기청소년들에게 일생의례라는 어려운 주제를 그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한국전통문화가 가미된 동작과 미술 활동을 활용한 표현예술치료를 경험함으로써 자기이해와 타인과의 관계증진을 돕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일생의례를 중심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전체적인 일생을 다루는 프로그램으로 초기청소년 뿐만 아니라 전 생애에 걸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삶의 발달 프로그램으로도 활용 가능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개발 과정과 효과 검증, 그리고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된 제한점과 의의 등이 함께 논의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focusing on lifetime rituals to improve early adolescents' self-perception and social skills and to prove the effect of the program. For this program, thirty of early adol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focusing on lifetime rituals to improve early adolescents' self-perception and social skills and to prove the effect of the program. For this program, thirty of early adolescents were selected, and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s follow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rogram; fifteen people were assigned to a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fifteen were assigned to a control group. This program was carried out a total of 9 sessions once a week for 180 minutes per session.
Basic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collected data in this research by means of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18.0 and the process of analysis was as follows: First,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s of subjects as well as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variable. Second, Mann-Whitney U Test as non-parametric test for independent samples was conducted to secure preexperimental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ird, Wilcoxon Signed Rank Test as non-parametric test for matching sample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scores on pre-test and post-tes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verified results from the effect of the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focusing on lifetime rituals to improve early adolescents' self-perception and social skills we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is program on the experimental group, it was proved that early adolescents' self-perception was changed significantly(M=3.25 → M=3.79). The standardized score of self-perception was z=-3,410, p<.001 which indicated that the effect was meaningful.
Seco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is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focusing on lifetime rituals, social skills of early adolescents were improved(M=3.24 → M=3.72). The standardized score of social skills was z=-3.238, p<.001 which indicated that the difference of averag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was significant.
Third, during the expressive arts therapy focusing on lifetime rituals, early adolescents showed the positive changes on the sub-factors of the social skills such as 'Eye Contact', 'Kinesphere', 'Gesture', 'Posture', 'Energy Level', 'Kind of Expression', 'Relating to Others', and 'Frequency of Spontaneity' through their physical movem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veloped the program that combined lifetime rituals and expressive arts therapy, and was to help early adolescents to foster Korean traditional values. The configuration of program includes traditional Korean lifetime rituals of birth, growth, and coming-of-age ceremony by means of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This program using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will be helpful for early adolescents to establish their identity through growth rituals.
Second, the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focusing on lifetime rituals to improve early adolescents' self-perception and social skills was developed through combining arts therapy and dance-movement therapy. This program helped early adolescents to learn how to communicate and harmonize with others physically, psychologically, and emotionally through their body movements. Also, the expressive arts therapy helped early adolescents to learn how to respect themselves and apply social skills. Even though lifetime rituals can be a difficult subject for early adolescents, because this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was the combination of arts and movement activities adjusting early adolscents' level, it will help early adolescents to promote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self-understanding.
Third, since this program deals with the overall lifetime, this can be also used for life development program in all stages of life as well as early adolescents.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process and its effectiveness of program were discussed with limitations and significations related to the program development.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