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념사와 내재적 발전 = ‘실학’ 개념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353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common paradigm underpins both autochthonous development theory, which aims at establishing a concept of developmental history by picking out aspects of Western modernity in Korean history and Korean conceptual history, which tries to settle the mod...

      A common paradigm underpins both autochthonous development theory, which aims at establishing a concept of developmental history by picking out aspects of Western modernity in Korean history and Korean conceptual history, which tries to settle the modern Western order in Korea by accepting Western concepts. This paradigm, however, is now facing criticism that it will end up intensifying the dichotomy of ‘West vs. East’. The conceptual history of Silhak(實學) however can let us move beyond this paradigm. Silhak as a concept demonstrating autochthonous development, has changed in usage and meaning. Traditionally, it mainly referred to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in preparation for Gwageo(科擧), or the academic study of Confucianism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After having undergone a transition of meaning in the 19th century, it came to have its current meaning after the 1960s. The intent of the change in meaning was to connect a new academic inclination in the 18th century under the mottos of ‘institutional approach to government(經世致用)’ and ‘economic enrichment(利用厚生)’ with modernity. It was also to combine pre-modern content with modern form. This combination is applicable to the embryonic theory of capitalism, another main axis of the autochthonous development theory. Once free from the paradigm of Western-style capitalism, we can examine the embryo of Eastern-style modernity on a broad sca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개념사와 내재적 발전론
      • Ⅱ. ‘실학’ 개념과 개념사
      • Ⅲ.『조선왕조실록』의 실학 용례 검토
      • Ⅳ. 18세기 의미의 전화와 20세기의 재구성
      • Ⅳ. 결론
      • Ⅰ. 개념사와 내재적 발전론
      • Ⅱ. ‘실학’ 개념과 개념사
      • Ⅲ.『조선왕조실록』의 실학 용례 검토
      • Ⅳ. 18세기 의미의 전화와 20세기의 재구성
      • Ⅳ. 결론
      • 〈별표 :『조선왕조실록』의 실학 용례와 의미 연관 어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길환, "栗谷性理學에 있어서 實學槪念과 體系"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15 : 1972

      2 황의동, "栗谷 經世思想의 哲學的 背景" 충남대 인문과학연구소 21 : 1994

      3 박찬승, "한국학연구 패러다임을 둘러싼 논의-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원 (35) : 73-118, 2007

      4 박희병, "한국의 생태사상" 돌베개 1999

      5 이헌창, "한국사 파악에서 내재적 발전론의 문제점, In 한국사시민강좌 40" 일조각 2007

      6 양일모, "한국 개념사 연구의 모색과 논점" 한림과학원 (8) : 5-38, 2011

      7 박상섭, "한국 개념사 연구의 과제와 문제점" 한림과학원 4 (4): 239-264, 2009

      8 폴 A. 코헨, "학문의 제국주의" 산해 2003

      9 김정인, "특집 : 내재적 발전론과 민족주의" 한국역사연구회 (77) : 179-214, 2010

      10 이봉규, "총설; 21세기 실학연구의 문법" 연세대 국학연구원. 1 : 2006

      1 김길환, "栗谷性理學에 있어서 實學槪念과 體系"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15 : 1972

      2 황의동, "栗谷 經世思想의 哲學的 背景" 충남대 인문과학연구소 21 : 1994

      3 박찬승, "한국학연구 패러다임을 둘러싼 논의-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원 (35) : 73-118, 2007

      4 박희병, "한국의 생태사상" 돌베개 1999

      5 이헌창, "한국사 파악에서 내재적 발전론의 문제점, In 한국사시민강좌 40" 일조각 2007

      6 양일모, "한국 개념사 연구의 모색과 논점" 한림과학원 (8) : 5-38, 2011

      7 박상섭, "한국 개념사 연구의 과제와 문제점" 한림과학원 4 (4): 239-264, 2009

      8 폴 A. 코헨, "학문의 제국주의" 산해 2003

      9 김정인, "특집 : 내재적 발전론과 민족주의" 한국역사연구회 (77) : 179-214, 2010

      10 이봉규, "총설; 21세기 실학연구의 문법" 연세대 국학연구원. 1 : 2006

      11 김상준, "중층근대성:대안적 근대성 개요" 한국사회학회 41 (41): 242-279, 2007

      12 시어도어 드 베리, "중국의 자유 전통" 이산 1998

      13 지두환, "조선후기 실학연구의 문제점과 방향" 3 : 1987

      14 원재린, "조선후기 星湖學派의 학풍 연구" 혜안 2003

      15 이경구, "조선후기 安東 金門 연구 (2007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일지사 2007

      16 신항수, "이익(1681-1763)의 경·사해석과 현실인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1

      17 이태훈, "실학담론에 대한 지식사회학적 고찰 : 근대성 개념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4

      18 나인호, "개념사란 무엇인가" 역사비평사 2011

      19 이영호, "‘내재적 발전론’ 역사인식의 궤적과 전망" 한국사연구회 (152) : 239-272, 2011

      20 나종현, "17세기 반계 유형원의 실리 개념과 고례 추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21 이행훈, "'과거의 현재'와 '현재의 과거'의 매혹적 만남 - 한국 개념사 연구의 현재와 미래 -" 한림과학원 (7) : 203-223,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5 1.505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