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하나님 나라와 복음전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125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복음전도의 핵심 주제로서의 하나님 나라에 관하여 살펴보고 있다. 복음을 전함에 있어서 그 핵심 내용을 어떻게 규정하고 전하느냐에 관한 문제는 중요한 문제인데, 그 동안 한국교회는 복음전도를 개인의 구원과 영생에만 초점을 맞추었을 뿐, 그것이 하나님 나라와 어떻게 연결되어 누리며 완성된 하나님 나라를 향하여 달려갈 수 있는지를 잘 설명하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물론 죄에서 돌이켜 회개하고 구원을 얻는 것이 가장 시급한 문제이기는 하지만, 하나님 나라와 연결되어질 때 구원받는다는 것을 또 다른 각도에서 하나님의 통치로 설명할 수 있고, 그 결과 성도로 하여금 이 땅에서 성도로서의 삶의 의미와 가치를 알아 완성될 하나님 나라를 기대하며 나아갈 수 있게 만들어 준다. 그렇지 못하다면, 하나님 나라는 성도들에게 죽어서만 갈 수 있는 나라로 여겨지며, 이 땅에서 성도들의 삶도 하나님 자녀로서 성경이 규정하고 있는 삶과 분리되어 어렵고 힘들게 살아가게 만드는 주된 이유가 되기도 한다. 또한 그리스도인의 완전이라는 구원의 큰 틀 안에서 서로 연결되어질 수 있는 신앙의 주제들이 각자 독립된 주제로 인식되어 혼란을 야기시킬 수도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왜 하나님 나라가 복음전도의 핵심주제가 되는지, 그리고 그 하나님의 나라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으며 또한 어떻게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지 예수와 바울의 모습을 가지고 신학적인 작업을 하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복음전도의 핵심 주제로서의 하나님 나라에 관하여 살펴보고 있다. 복음을 전함에 있어서 그 핵심 내용을 어떻게 규정하고 전하느냐에 관한 문제는 중요한 문제인데, 그 동안 한...

      본 논문은 복음전도의 핵심 주제로서의 하나님 나라에 관하여 살펴보고 있다. 복음을 전함에 있어서 그 핵심 내용을 어떻게 규정하고 전하느냐에 관한 문제는 중요한 문제인데, 그 동안 한국교회는 복음전도를 개인의 구원과 영생에만 초점을 맞추었을 뿐, 그것이 하나님 나라와 어떻게 연결되어 누리며 완성된 하나님 나라를 향하여 달려갈 수 있는지를 잘 설명하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물론 죄에서 돌이켜 회개하고 구원을 얻는 것이 가장 시급한 문제이기는 하지만, 하나님 나라와 연결되어질 때 구원받는다는 것을 또 다른 각도에서 하나님의 통치로 설명할 수 있고, 그 결과 성도로 하여금 이 땅에서 성도로서의 삶의 의미와 가치를 알아 완성될 하나님 나라를 기대하며 나아갈 수 있게 만들어 준다. 그렇지 못하다면, 하나님 나라는 성도들에게 죽어서만 갈 수 있는 나라로 여겨지며, 이 땅에서 성도들의 삶도 하나님 자녀로서 성경이 규정하고 있는 삶과 분리되어 어렵고 힘들게 살아가게 만드는 주된 이유가 되기도 한다. 또한 그리스도인의 완전이라는 구원의 큰 틀 안에서 서로 연결되어질 수 있는 신앙의 주제들이 각자 독립된 주제로 인식되어 혼란을 야기시킬 수도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왜 하나님 나라가 복음전도의 핵심주제가 되는지, 그리고 그 하나님의 나라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으며 또한 어떻게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지 예수와 바울의 모습을 가지고 신학적인 작업을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most evangelism focus to individual's salvation and emphasize to get eternal life. Evangelism that focus in soul salvation was not wrong, but 'Is the image of such evangelism holistic?' can be brought a question. Because when Jesus preached the Gospel, he focused to save souls, but he mainly preached 'the Kingdom of God'. Then, is some relation with 'the Kingdom of God' and evangelism? If 'the Kingdom of God' must become point subject of evangelism, what is the even speak? Is some relation with 'Kerygma' and 'the Kingdom of God' that is principal substance of evangelism? This paper progressed relevant scientific study about these questions. Finding answers about the specific even speak, basis and purpose of evangelism in the Bible holistic and theologizing is important matter. Also, how to prescribe and preach the point substance in evangelism is important matter, too. I think that most established churches did not explain well how individual's salvation can be linked with the kingdom of God. When the individual's salvation is linked with the kingdom of God, it can explain by government of God in another point, and it can make christians realize the meaning and value of life as christian, and expect and advance to the completed kingdom of God. If is not so, the kingdom of God is considered that it can go asleep to Holy Citys, and the life of christians in this earth might become detached with life that is defining in the Bible. Also, it can cause confusion because themes of faith that can be linked each other in big construction of salvation that is the perfection of Christian are realized to each absolute subject. Hereupon, this paper did theological work with evangelism of Jesus and Paul why the Kingdom of God becomes point subject of evangelism and how can explain and preach efficiently the Kingdom of God.
      번역하기

      Today, most evangelism focus to individual's salvation and emphasize to get eternal life. Evangelism that focus in soul salvation was not wrong, but 'Is the image of such evangelism holistic?' can be brought a question. Because when Jesus preached t...

      Today, most evangelism focus to individual's salvation and emphasize to get eternal life. Evangelism that focus in soul salvation was not wrong, but 'Is the image of such evangelism holistic?' can be brought a question. Because when Jesus preached the Gospel, he focused to save souls, but he mainly preached 'the Kingdom of God'. Then, is some relation with 'the Kingdom of God' and evangelism? If 'the Kingdom of God' must become point subject of evangelism, what is the even speak? Is some relation with 'Kerygma' and 'the Kingdom of God' that is principal substance of evangelism? This paper progressed relevant scientific study about these questions. Finding answers about the specific even speak, basis and purpose of evangelism in the Bible holistic and theologizing is important matter. Also, how to prescribe and preach the point substance in evangelism is important matter, too. I think that most established churches did not explain well how individual's salvation can be linked with the kingdom of God. When the individual's salvation is linked with the kingdom of God, it can explain by government of God in another point, and it can make christians realize the meaning and value of life as christian, and expect and advance to the completed kingdom of God. If is not so, the kingdom of God is considered that it can go asleep to Holy Citys, and the life of christians in this earth might become detached with life that is defining in the Bible. Also, it can cause confusion because themes of faith that can be linked each other in big construction of salvation that is the perfection of Christian are realized to each absolute subject. Hereupon, this paper did theological work with evangelism of Jesus and Paul why the Kingdom of God becomes point subject of evangelism and how can explain and preach efficiently the Kingdom of Go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는 글
      • II. 펴는 글
      • 1. 하나님 나라의 의미와 특성-복음전도와 하나님 나라의 상관관계
      • 2. 복음전도의 관점에서 본 예수의 하나님 나라 - 복음의 내용과하나님 나라의 시작
      • 3. 복음전도의 관점에서 본 바울의 하나님 나라 - 신앙의 성숙과 하나님 나라의 완성과정
      • I. 들어가는 글
      • II. 펴는 글
      • 1. 하나님 나라의 의미와 특성-복음전도와 하나님 나라의 상관관계
      • 2. 복음전도의 관점에서 본 예수의 하나님 나라 - 복음의 내용과하나님 나라의 시작
      • 3. 복음전도의 관점에서 본 바울의 하나님 나라 - 신앙의 성숙과 하나님 나라의 완성과정
      • III. 나가는 글
      • 참고문헌
      • Abstract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nyder, Howard, "하나님의 나라와 오늘날의 도전" 기독지혜사 1991

      2 김희성, "하나님의 나라" 하나님의 나라&성서연구소 2010

      3 Ladd, George Eldon, "하나님나라의 복음" 서로사랑 2010

      4 Ladd, George Eldon, "하나님나라"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5

      5 양용의, "하나님 나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한국성서유니온선교회 2013

      6 김회권, "하나님 나라 복음 : 모세와 예언자들, 다윗과 시편, 나사렛 예수와 사도 바울을 관통하는 하나님 나라 복음" 새물결플러스 2013

      7 Ridderbos, Herman, "하나님 나라" 솔로몬 2012

      8 하도균, "초기 한국성결교회의 전도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복음주의 실천신학회 (봄) : 71-101, 2004

      9 Snyder, Howard, "참으로 해방된 교회" IVP 2005

      10 최동규, "참된 교회의 성장을 위한 선교적 교회론의 기초"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3 (23): 275-300, 2011

      1 Snyder, Howard, "하나님의 나라와 오늘날의 도전" 기독지혜사 1991

      2 김희성, "하나님의 나라" 하나님의 나라&성서연구소 2010

      3 Ladd, George Eldon, "하나님나라의 복음" 서로사랑 2010

      4 Ladd, George Eldon, "하나님나라"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5

      5 양용의, "하나님 나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한국성서유니온선교회 2013

      6 김회권, "하나님 나라 복음 : 모세와 예언자들, 다윗과 시편, 나사렛 예수와 사도 바울을 관통하는 하나님 나라 복음" 새물결플러스 2013

      7 Ridderbos, Herman, "하나님 나라" 솔로몬 2012

      8 하도균, "초기 한국성결교회의 전도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복음주의 실천신학회 (봄) : 71-101, 2004

      9 Snyder, Howard, "참으로 해방된 교회" IVP 2005

      10 최동규, "참된 교회의 성장을 위한 선교적 교회론의 기초"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3 (23): 275-300, 2011

      11 하도균, "전도바이블" 국제전도훈련원 2010

      12 Theissen, Gerd, "역사적 예수" 다산글방 2001

      13 하도균, "십자가와 성령운동"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29) : 115-142, 2013

      14 하도균, "십자가" 베드로서원 2011

      15 은준관, "신학적교회론" 한들출판사 2005

      16 국어국문학회, "새로나온 국어대사전" 민중서관 2000

      17 홍성철, "불타는 전도자 존웨슬리" 도서출판세복 2006

      18 박창영,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의 치유사역에 대한 이해"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1 (21): 152-181, 2010

      19 조영모, "누가와 바울이 말하는 성령과 하나님 나라』. 서울: 킹덤북스, 2010" 킹덤북스 2010

      20 정지련, "교회" 한들 2007

      21 Dodd, C. H., "The Parables of the kingdom" Nisbet 1935

      22 Schweitzer, A, "The Mystery of the kingdom of God" A. & C. Black 1913

      23 France, R. T, "The Gospel of Mark" Paternoster 2002

      24 Wenham, D., "Paul: Follower of Jesus or Founder of Christianity?" Eerdmans 1995

      25 Marshall, I. H, "Luke: Historian and Theologian" Zondervan 1970

      26 Wright, N. T, "Jesus and the Victory of God. Christian Origins and the Question of God, II" SPCK 1996

      27 Green, Michael, "Evangelism through the local church" A Division of Thomas Nelson Pub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복음주의 실천신학 논총 -> 복음과 실천신학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 0.88 0.878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