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두 ‘평양시간’: 북한문학에 투사된 북한 특유의 시간과 마음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234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타도제국주의동맹”을 북한 현대사의 기원으로 만드는 것과 같은 대표적인 북한의 역사 다시쓰기 또는 신화만들기는, 최고지도자의 유일권력을 정당화하는 한 방법이지만, 다른 한편 북한 특유의 마음의 시간 또는 시간의 마음의 소산이다. 북한이란 공간에서 탈식민적 사회주의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노선과 권력을 둘러싼 투쟁이 서로의 시간만들기를 둘러싼 쟁투의 형태로 등장했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 1967년 6월의 시점에서 김일성을 유일권력으로 만들고자 했던 김정일은, 항일 “혁명전통”과 사회주의건설의 “속도”를 쟁점화했다. 탈식민적 사회주의 기획이 분단과 강대국정치가 작동하는 지정학적 공간에서의 권력투쟁과 유일권력의 정당화와 결합되면서, 북한 특유의 두 “평양시간”이 만들어졌다. 하나는 사회주의 건설을 속도전으로 치환한 평양시간이고, 다른 하나는 탈식민의 기획을 이항대립적 유기적 주체만들기로 변환한 평양시간이다. 첫 평양시간은 장편소설 『평양시간』(1976년)으로, 두 번째 평양시간은 서사시 “평양시간은 영원하리라”(1996년)로 분석한다. 두 평양시간의 탄생은 북한의 탈식민적 사회주의 기획이 민족주의적 발전/약탈국가의 건설로 변형되었음을 보여준다.
      번역하기

      “타도제국주의동맹”을 북한 현대사의 기원으로 만드는 것과 같은 대표적인 북한의 역사 다시쓰기 또는 신화만들기는, 최고지도자의 유일권력을 정당화하는 한 방법이지만, 다른 한편 북...

      “타도제국주의동맹”을 북한 현대사의 기원으로 만드는 것과 같은 대표적인 북한의 역사 다시쓰기 또는 신화만들기는, 최고지도자의 유일권력을 정당화하는 한 방법이지만, 다른 한편 북한 특유의 마음의 시간 또는 시간의 마음의 소산이다. 북한이란 공간에서 탈식민적 사회주의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노선과 권력을 둘러싼 투쟁이 서로의 시간만들기를 둘러싼 쟁투의 형태로 등장했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 1967년 6월의 시점에서 김일성을 유일권력으로 만들고자 했던 김정일은, 항일 “혁명전통”과 사회주의건설의 “속도”를 쟁점화했다. 탈식민적 사회주의 기획이 분단과 강대국정치가 작동하는 지정학적 공간에서의 권력투쟁과 유일권력의 정당화와 결합되면서, 북한 특유의 두 “평양시간”이 만들어졌다. 하나는 사회주의 건설을 속도전으로 치환한 평양시간이고, 다른 하나는 탈식민의 기획을 이항대립적 유기적 주체만들기로 변환한 평양시간이다. 첫 평양시간은 장편소설 『평양시간』(1976년)으로, 두 번째 평양시간은 서사시 “평양시간은 영원하리라”(1996년)로 분석한다. 두 평양시간의 탄생은 북한의 탈식민적 사회주의 기획이 민족주의적 발전/약탈국가의 건설로 변형되었음을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historical process of the North Korean myth-making, such as establishing the “Down-with-Imperialism Union,” implies a significant way of the North Korean leadership to justify its unitary power. The North Korean rewriting of contemporary history is based upon its unique concept of the ‘mind of time.’ It means that the political struggle of North Korea has emerged in the form of a time-making while constructing its post-colonial socialism. Since the post-colonial socialist project converged with historical power struggles in a geopolitical space of the Korean peninsula, the two North Korean “Pyongyang times” have come into being. One is the Pyongyang time which replaced the socialist construction with a speed battle campaign; the other is the Pyongyang time which has transformed the post-colonial project to a corporatist entity-making. In this paper, the former case is analyzed through the novel “The Pyongyang Time (1976)” while the latter is explicated through the epic poem “For the Perpetuality of the Pyongyang Time (1996).” The birth of the two Pyongyang times shows that the North Korea’s post-colonial socialist project has been so fatally transformed into the nationalistic mode of developmental or predatory state.
      번역하기

      A historical process of the North Korean myth-making, such as establishing the “Down-with-Imperialism Union,” implies a significant way of the North Korean leadership to justify its unitary power. The North Korean rewriting of contemporary history...

      A historical process of the North Korean myth-making, such as establishing the “Down-with-Imperialism Union,” implies a significant way of the North Korean leadership to justify its unitary power. The North Korean rewriting of contemporary history is based upon its unique concept of the ‘mind of time.’ It means that the political struggle of North Korea has emerged in the form of a time-making while constructing its post-colonial socialism. Since the post-colonial socialist project converged with historical power struggles in a geopolitical space of the Korean peninsula, the two North Korean “Pyongyang times” have come into being. One is the Pyongyang time which replaced the socialist construction with a speed battle campaign; the other is the Pyongyang time which has transformed the post-colonial project to a corporatist entity-making. In this paper, the former case is analyzed through the novel “The Pyongyang Time (1976)” while the latter is explicated through the epic poem “For the Perpetuality of the Pyongyang Time (1996).” The birth of the two Pyongyang times shows that the North Korea’s post-colonial socialist project has been so fatally transformed into the nationalistic mode of developmental or predatory stat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I. 문제설정
      • II. 시간과 탈식민적 사회주의 기획
      • III. 사회주의건설의 속도로서의 시간: 첫 번째 평양시간
      • IV. ‘김일성민족’을 발명하는 탈식민적 시간: 두 번째 평양시간
      • 국문요약
      • I. 문제설정
      • II. 시간과 탈식민적 사회주의 기획
      • III. 사회주의건설의 속도로서의 시간: 첫 번째 평양시간
      • IV. ‘김일성민족’을 발명하는 탈식민적 시간: 두 번째 평양시간
      • V. 결론: 두 평양시간의 수정(?)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태호, "??평양시간??에 나타난 ‘수령 형상’과 ‘연애담’ 연구" 한국현대소설학회 (36) : 283-299, 2007

      2 김준오, "현대시와 장르 비평" 문학과지성사 2009

      3 김만영, "평양시간은 영원하리라: 위대한 수령님 서거 2돐에 즈음하여 조선로동당에 삼가 드린다"

      4 오태호, "최학수의 장편소설에 나타난 수령 형상의 의미 고찰" 상허학회 24 : 73-99, 2008

      5 리은실, "천리마시대의 ≪평양속도≫와 더불어 영생하는 삶"

      6 로동신문, "천리마. 만리마로 달리는 해주–하성간 철도 건설자들"

      7 리영환, "조선통사(하)" 사회과학출판사 2016

      8 리영환, "조선의 표준시간제를 말살한 일제의 범죄적책동" 10 : 94-95, 2012

      9 리영환, "조선의 표준시간을 말살하고 일본의 표준시간을 강요한 일제의강도적죄행" (4) : 50-51, 2012

      10 박종원, "조선문학개관 2" 사회과학출판사 1986

      1 오태호, "??평양시간??에 나타난 ‘수령 형상’과 ‘연애담’ 연구" 한국현대소설학회 (36) : 283-299, 2007

      2 김준오, "현대시와 장르 비평" 문학과지성사 2009

      3 김만영, "평양시간은 영원하리라: 위대한 수령님 서거 2돐에 즈음하여 조선로동당에 삼가 드린다"

      4 오태호, "최학수의 장편소설에 나타난 수령 형상의 의미 고찰" 상허학회 24 : 73-99, 2008

      5 리은실, "천리마시대의 ≪평양속도≫와 더불어 영생하는 삶"

      6 로동신문, "천리마. 만리마로 달리는 해주–하성간 철도 건설자들"

      7 리영환, "조선통사(하)" 사회과학출판사 2016

      8 리영환, "조선의 표준시간제를 말살한 일제의 범죄적책동" 10 : 94-95, 2012

      9 리영환, "조선의 표준시간을 말살하고 일본의 표준시간을 강요한 일제의강도적죄행" (4) : 50-51, 2012

      10 박종원, "조선문학개관 2" 사회과학출판사 1986

      11 쏘련 과학원 경제학 연구소, "정치 경제학: 교과서" 조선로동당출판사 1960

      12 손응목, "정치 경제학 상식 (3)" 조선로동당출판사 1960

      13 김만영, "정론시, 세계에 격함"

      14 강혜석, "정당성의 정치와 북한의 민족재건설: 주체, 우리 식, 우리민족제일주의" 아시아여성연구원 10 (10): 65-96, 2017

      15 백성근, "일제가 조선민족앞에 저지른 만고의 죄악을 기어이 결산할것이다: 우리 나라의 표준시간까지 빼앗은 극악무도한 범죄행위"

      16 로동신문, "우리 인민을 천리마. 만리마에 태우시여"

      17 김만영, "영원한 우리 수령 김일성동지: 이 서사시를 위대한 수령님 서거 1돐에 삼가 드리노라"

      18 백보흠, "영생"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7

      19 류동민, "시간은 어떻게 돈이 되었는가" 휴머니스트 2018

      20 안주영, "시간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 고찰: 전통적 시간과 근대적 시간의 대조를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소 19 (19): 41-82, 2013

      21 김만영, "수령님은 영원히 우리와 함께"

      22 김일성, "세기와 더불어(1)"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23 송명희, "북한의 문학과 주체문예이론: 수령형상시를 중심으로" 4 : 287-316, 1999

      24 김일성, "북한경제자료집" 도서출판 민족통일 1989

      25 박순성, "북한 경제와 한반도 통일" 풀빛 2003

      26 강효실, "만리마"

      27 김 현, "르네 지라르 혹은 폭력의 구조" 나남 1987

      28 4로동신문, "당과 혁명대오의 사상적일색화를 위한 력사적진군을 힘있게 다그쳐나가자"

      29 김정일, "김정일선집(18): 증보판" 조선로동당출판사 2012

      30 김정일, "김정일선집(1)"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31 김일성, "김일성전집(24)" 조선로동당출판사 1998

      32 김일성, "김일성전집(21)" 조선로동당출판사 1998

      33 김일성, "김일성전집(19)" 조선로동당출판사 1998

      34 구갑우, "국제관계학 비판: 국제관계의 민주화와 평화" 후마니타스 2008

      35 백과사전출판사, "광명백과사전5: 경제" 백과사전출판사 2010

      36 로동신문, "경애하는 최고령자도자 김정은동지께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표준시간을 다시 제정할데 대하여 제의하셨다"

      37 로동신문, "경애하는 최고령도자 김정은동지께서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 건설장을 현지지도하시였다"

      38 로동신문, "경애하는 최고령도자 김정은동지께서 삼지연군을 현지지도하시였다"

      39 로동신문, "경애하는 최고령도자 김정은동지께서 민족최대의 경사스러운태양절에 즈음하여 금수한태양궁전을 찾으시였다"

      40 리종태, "≪평양속도≫ 창조의 나날에 (2)"

      41 리종태, "≪평양속도≫ 창조의 나날에 (1)"

      42 구자정, "“맑스(Marx)”에서 “스탈린(Stalin)”으로 - 맑시즘 민족론을 통해 본 소비에트 민족정책의 역사적 계보 -" 역사연구소 80 : 441-485, 2013

      43 구갑우, "<문화시평> 4차 산업혁명과 남북관계" (34) : 72-77, 2019

      44 김만영, "21세기 찬가"

      45 서동만, "1950년대 남북한의 선택과 굴절" 역사비평사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