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North Korean Refugee Women in China  :  Causes of Flows and Current Situ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942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으로의 탈북행렬이 지난10여년간 지속되고 있다 특히 이들 가운데 여성인구는 7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 여성들 가운데 상당수가 인신매매 희생자들로서 강제노동과 성노예로 생활...

      중국으로의 탈북행렬이 지난10여년간 지속되고 있다 특히 이들 가운데 여성인구는 7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 여성들 가운데 상당수가 인신매매 희생자들로서 강제노동과 성노예로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중국으로의 탈북을 강행하는 가장 큰 이유는 경제난이다. 북한의 경제난은 사회주의권 붕괴에 따른 외부적인 요인으로 발생되었지만, 폐쇄정책 등 북한의 부적절한 정책적 대응이 또 다른 구조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북한여성들을 떠나게 만드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가난자체보다도 북한여성의 열악한 사회경제적 지위 때문이다. 여기에는 북한의 선군정치와 전근대적 남성우월주의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북한여성들을 끌어들이는 유인요인(Pull Factor)으로서는 중국내 사회, 경제 및 인구학적 변화가 있다. 특히 농촌여성인구의 도시이동에 따른 여성부족 현상, 대도시 성산업 발전 등과 이들을 매개하는 국경밀무역 조직과 국경수비대의 부패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내 탈북여성들의 열악한 인권실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북한의 개혁개방정책이 요구되지만, 이것은 현 상황에서 요원한 실정이다. 무엇보다 중국정부의 정책변화를 유도하기 위해서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문제제기와 관심이 필요하다. 특히 중국내 민간 지원단체들의 현장활동을 활성화하고 탈북자들의 자조모임을 강화하여 탈북자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및 자원제공이 가능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lux of North Korean refugees into China has continued on. At least 70% of North Korean defectors are presumed to be female, and most of them become victims of human trafficking as well as forced labor. A considerable number of North Korean women ...

      The flux of North Korean refugees into China has continued on. At least 70% of North Korean defectors are presumed to be female, and most of them become victims of human trafficking as well as forced labor. A considerable number of North Korean women are reportedly working as sex slaves in Chinese cities under horrible situations. The far most important push factor of the refugee flux is the chronic famine in North Korea. The starvation in North Korea has become prominent primarily due to a mixture of several major external elements. Though these external factors might be counted as the root of the domestic economic crisis, improper policy responses to the crisis and state failure in a broader sense could be claimed as the structural origin of the North Korean famine. In other words, the North Korean famine is a system-induced catastrophe mainly caused by its political inadequacy or state failure. North Korea exhibits deteriorating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infrastructure to supply basic public goods and human security to its population, especially women. The prominent push factor might be women's relative weakness in terms of social and economic status in North Korea, a state that combines a mixture of East Asian patriarchy and muscular militarism. There are pull factors, as well, such as the demand of the sex industry market in boosting Chinese economy and demographical change in Chinese rural society. There is another parameter, like a newly established illegal smuggling ring between Chinese and North Korean border guards after the collapse of North Korean state-run economy. The essential solution to the North Korean refugee women issue in China might be related to a peaceful transition of North Korean failed state system. In the meantime, the international support network for North Korean refugees in China needs to throw more efforts into protecting women from victimization of human trafficking and sex slavery. Facilitating self-help forms of lifeline and human contacts among the North Korean refugee community, especially between settlers (or survivors) in other host countries and asylum-seekers in China, could help them gain inform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ntroduction Economic Dimension: Famine Social Dimension: Fragmentation and Discrimination Political Dimension: Coercion & State Terror Current Situation in China Conclusion
      • Introduction Economic Dimension: Famine Social Dimension: Fragmentation and Discrimination Political Dimension: Coercion & State Terror Current Situation in China Conclus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