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학력 전문직 기혼 여성의 일: 그 분투와 의미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Married Professional Women and their Work: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n their Struggles and Meaning-Making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협력적 자문화기술지는 고학력 전문직 기혼 여성의 일의 의미에 관한 연구이다. 2000년대로 들어서며 여성의 일과 돌봄의 사회화 그리고 일-가정 양립 논의가 확대되면서 여러 정책이 시...

      본 협력적 자문화기술지는 고학력 전문직 기혼 여성의 일의 의미에 관한 연구이다. 2000년대로 들어서며 여성의 일과 돌봄의 사회화 그리고 일-가정 양립 논의가 확대되면서 여러 정책이 시행되었다. 그러나 그 실효성이 낮아 일부 연구에서는 여전히 견고한 성별분업 이데올로기의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이처럼 교착 상태에 빠진 듯한 여성과 일을 둘러싼 현실을 보며 대학의 교원이자 동시에 미술치료사, 미술사가, 번역가/저자라는 전문직을 가진 세 명의 연구자는 일하는 기혼 여성이 안고 있는 문제를 다른 각도에서 접근하기 위해 협력적 자문화기술지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세 명의 연구자는 네 가지 공통된 경험을 하였는데, 모두가 학부 전공과는 다른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으면서 전문성을 쌓았고, 자신의 직업 안에서 성별 분리 혹은 성별 직무 분리를 경험하였으며, 일-가정 양립에서 상당한 고충을 겪었고, 그런데도 저항과 분리보다는 상생과 통합을 지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고학력 전문직 여성들이 제 일을 찾아가는 과정과 자기 일에 부여하는 의미가 어떻게 갈등을 넘어 통합을 지향하게 하는지를 보여주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n the meaning of work for professional married women with PhD degrees. Studies on women and work abound, and since the 2000s, discussions on socialization of care and work-family compatibility took the ce...

      This study is 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n the meaning of work for professional married women with PhD degrees. Studies on women and work abound, and since the 2000s, discussions on socialization of care and work-family compatibility took the center stage leading to various policies. However, its efficiency has been questioned leading to some studies pointing to the tenacity of the ideology of gender division of labor. Thus, three researchers of this study worked on this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in order to take a different approach to the study of women and work. The three researchers of this study all work in academia but have professional backgrounds as art therapist, art historian, and translator/author. The findings show that all three changed their major in their career building, have experienced gender segregation or gender division of labor in their profession, have struggled with work-family compatibility, and finally, despite such experiences all three embraced an attitude of integration rather than resista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hows how the journey toward meaningful work can work toward conflict resolution and integr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갑숙, "한국미술치료학회의 미술치료사 현황 및 발전방향" 한국미술치료학회 16 (16): 157-169, 2009

      2 이성희, "한국 미술치료사의 현황과 전망" 한국미술치료학회 24 (24): 43-69, 2017

      3 전윤정, "탈상품화·탈가족화 관점에서 본 한국 일가족양립정책, 1990~2014 : 출산휴가·육아휴직제도와 보육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31 (31): 179-218, 2015

      4 양혜원, "종교와 페미니즘 서로를 알아가다" 비아토르 2020

      5 박기남, "전문직 여성의 노동경험과 돌봄의 젠더화: 198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7 (7): 83-124, 2007

      6 한지영, "일가정 양립정책의 성평등 실현을 위한 입법과제" 2 (2): 57-87, 2011

      7 김혜정, "일⋅가정 양립 정책에 대한 젠더 비평적 분석 -모성보호제도와 보육정책을 중심으로-" 여성연구소 21 (21): 113-152, 2011

      8 이수연, "일-가정 양립제도와 경력개발에 대한 구조적 탐색 : 고학력 기혼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03 (103): 31-60, 2019

      9 김이선, "위기 속 노동시장 진입 세대의 노동이동을 통해 본 위기 후 한국 여성노동시장" 한국여성학회 35 (35): 1-37, 2019

      10 김혜경, "여성의 노동사를 통해 본 일과 가족의 접합 : 60년대 산업화 이후 친족관계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7 (7): 37-82, 2007

      1 김갑숙, "한국미술치료학회의 미술치료사 현황 및 발전방향" 한국미술치료학회 16 (16): 157-169, 2009

      2 이성희, "한국 미술치료사의 현황과 전망" 한국미술치료학회 24 (24): 43-69, 2017

      3 전윤정, "탈상품화·탈가족화 관점에서 본 한국 일가족양립정책, 1990~2014 : 출산휴가·육아휴직제도와 보육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31 (31): 179-218, 2015

      4 양혜원, "종교와 페미니즘 서로를 알아가다" 비아토르 2020

      5 박기남, "전문직 여성의 노동경험과 돌봄의 젠더화: 198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7 (7): 83-124, 2007

      6 한지영, "일가정 양립정책의 성평등 실현을 위한 입법과제" 2 (2): 57-87, 2011

      7 김혜정, "일⋅가정 양립 정책에 대한 젠더 비평적 분석 -모성보호제도와 보육정책을 중심으로-" 여성연구소 21 (21): 113-152, 2011

      8 이수연, "일-가정 양립제도와 경력개발에 대한 구조적 탐색 : 고학력 기혼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03 (103): 31-60, 2019

      9 김이선, "위기 속 노동시장 진입 세대의 노동이동을 통해 본 위기 후 한국 여성노동시장" 한국여성학회 35 (35): 1-37, 2019

      10 김혜경, "여성의 노동사를 통해 본 일과 가족의 접합 : 60년대 산업화 이후 친족관계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7 (7): 37-82, 2007

      11 강이수, "여성과 일: 일터에서 평등을 찾다" 동녘 2015

      12 김현미, "성별화된 시공간적 노동 개념과 한국 여성노동의‘유연화’" 한국여성학회 19 (19): 63-96, 2003

      13 김종길, "비루한 한국 큐레이터의 현실과 명랑한 희망" 70-75, 2010

      14 김현미, "문화산업과 성별화된 노동: TV 방송프로그램 여성작가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1 (21): 69-103, 2005

      15 안숙영, "돌봄노동의 여성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여성학회 34 (34): 1-32, 2018

      16 신경아, "노동의 불안정성과 젠더─ 시론적 접근" 한국여성연구소 19 (19): 173-206, 2019

      17 박홍주, "기혼여성노동자의 일·가족 경험과 직업의식" 한국여성학회 20 (20): 141-178, 2004

      18 이재경, "기혼 취업 여성의 일가족생활 변화와 한계: 계층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2 (22): 41-79, 2006

      19 손승영, "고학력 전문직 여성의 노동 경험과 딜레마:강한 직업정체성과 남성중심적 조직문화" 한국여성학회 21 (21): 67-98, 2005

      20 이재경, "고용조건이 일과 가족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비판사회학회 (64) : 172-206, 2004

      21 Cohen, L., "Work–Life Balance? An Autoethnographic Exploration of Everyday Home–Work Dynamics" 18 (18): 229-241, 2009

      22 Mernissi, F., "Women’s Rebellion and Islamic Memory" Zed 1996

      23 Weber, M. J., "Women in Leadership and Work-Family Integration"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1-9, 2015

      24 Weber, M., "Women in Leadership and Work-Family Integration"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153-168, 2016

      25 Cissna-Heath, K., "Women in Leadership and Work-Family Integration"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123-150, 2015

      26 Guadec, D., "Translation as a Profession"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01

      27 Ngunjiri, F. W., "Theorizing Women and Leadership:New Insights and Contribution form Multiple Perspectives" Information Age Publishing 103-119, 2017

      28 Junge, M. B., "The history of art therapy in the United States" American Art Therapy Association 1994

      29 Freiner, N. L., "The Social and Gender Politics of Confucian Nationalism: Women and the Japanese Nation-State" grave Macmillan 2012

      30 Hochschild, A., "The Second Shift" Viking Books 1989

      31 Smith, S., "Reading Autobiography: A Guide for Interpreting Life Narrative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0

      32 Josselson, R., "Paths to Fulfillment: Women’s Search for Meaning and Identity"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33 France, P., "Mapping Lives: The Uses of Bi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34 Ngunjiri, F. W., "Living autoethnography: connecting life and research" 6 (6): E1-, 2010

      35 Lapadat, "Life Challenge and Memory Work: Using Collaborative Autobiography to Understand Ourselves" 9 (9): 77-104, 2010

      36 Gilligan, C., "In a Different Voice: 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s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82

      37 Setton, R., "Identity and Status in the Translational Professions"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89-117, 2011

      38 Katan, D., "Identity and Status in the Translational Professions"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65-87, 2011

      39 Simon, S., "Gender in Translation: Cultural Identity and the Politics of Transmission" Routledge 1996

      40 Lapadat, J. C., "Ethics in Autoethnography and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23 (23): 589-603, 2017

      41 Mernissi, F., "Dreams of Trespass: Tales of Harem Girlhood" Perseus Books 1994

      42 Steel, Gill, "Cross-Regional Support for Gender Equality" 29 (29): 133-156, 2008

      43 Bateson, M. C., "Composing a Life" Plume Book 1990

      44 Chang, H.,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New" Routledge 2013

      45 Brinton, M. C., "Babies, Work, or Both? Highly Educated Women’s Employment and Fertility in East Asia" 125 (125): 105-140, 2019

      46 Ellis, C., "Autoethnography: An Overview" 12 (12): 10-, 2011

      47 Tavani, R., "Art Therapy" 24 (24): 22-28, 2007

      48 Anderson, L., "Analytic Autoethnography" 35 (35): 373-395, 2006

      49 Talwar, S., "An intersectional framework for race, class, gender, and sexuality in art therapy" 27 (27): 11-17, 2010

      50 박기남, "20-30대 비혼 여성의 고용 불안 현실과 선택" 한국여성학회 27 (27): 1-39,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2-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nthropology of Education -> The Journal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5 1.45 1.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5 1.903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