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형동검 단계 중국 동북지역의 동과와 동모 遼寧式銅戈와 柳葉形銅鉾·細身形銅鉾를 중심으로 = The Bronze Halberds and Bronze Spearheads of the Slender Bronze Dagger Phase in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Focusing on the Liaoning-type Bronze Halberd, the Willow Leafshaped Bronze Spearhead and the Slender Bronze Spearhea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933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ronze halberds and bronze spearheads identified for the Slender Bronze Dagger Phase in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were designed based on the motifs of the Zhongyuan-style bronze halberd and bronze spearhead. However, in terms of typological characteristics, they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Liaoning-type slender bronze dagger or the Korean-type bronze halberd and bronze spearhead.
      The Liaoning-type bronze halberd emerged at around 400 BC to the Liaoxi region. At around 300 BC, it spread as far as to the Liaodong region and came to transformed so that it closely resembled the Korean-type bronze halberd. The slender bronze spearhead is regarded as a direct prototype of the Early Koreantype bronze spearhead.
      Distributed throughout the eastern area of the Liaodong region and the northwe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are weapons sharing various attributes, such as the bronze dagger, bronze halberd, and bronze spearhead. As a result, we can know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in the third century BC did not terminate at the Cheongcheon River(淸川江). As such, the viewpoint which attributes the Sejukri-Lianhuabo Cultural Assemblage(細竹里-蓮花堡類型) to the culture of Yan(燕), and which sees the Korean-typ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as belonging to the culture of Gojoseon(古朝鮮) should be reconsidered
      번역하기

      The bronze halberds and bronze spearheads identified for the Slender Bronze Dagger Phase in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were designed based on the motifs of the Zhongyuan-style bronze halberd and bronze spearhead. However, in terms of typological...

      The bronze halberds and bronze spearheads identified for the Slender Bronze Dagger Phase in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were designed based on the motifs of the Zhongyuan-style bronze halberd and bronze spearhead. However, in terms of typological characteristics, they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Liaoning-type slender bronze dagger or the Korean-type bronze halberd and bronze spearhead.
      The Liaoning-type bronze halberd emerged at around 400 BC to the Liaoxi region. At around 300 BC, it spread as far as to the Liaodong region and came to transformed so that it closely resembled the Korean-type bronze halberd. The slender bronze spearhead is regarded as a direct prototype of the Early Koreantype bronze spearhead.
      Distributed throughout the eastern area of the Liaodong region and the northwe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are weapons sharing various attributes, such as the bronze dagger, bronze halberd, and bronze spearhead. As a result, we can know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in the third century BC did not terminate at the Cheongcheon River(淸川江). As such, the viewpoint which attributes the Sejukri-Lianhuabo Cultural Assemblage(細竹里-蓮花堡類型) to the culture of Yan(燕), and which sees the Korean-typ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as belonging to the culture of Gojoseon(古朝鮮) should be reconsider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용구, "한중관계사상의 교통로와 거점" 동북아역사재단 2011

      2 李熙濬, "한반도남부 청동기~원삼국시대 수장의 권력 기반과 그 변천" 嶺南考古學會 58 : 2011

      3 미야자토 오사무, "한반도 청동기의 기원과 전개" 사회평론 2010

      4 이건무, "한국식동검문화의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5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강의 개정신판" 사회평론 2010

      6 리규태, "평양부근과 황해남북도에서 알려진 좁은놋단검 관계 유물" 6 : 1983

      7 윤광수, "토성동 486호 나무곽무덤 발굴보고" 94 (94): 1994

      8 李淸圭, "청동기를 통해서 본 고조선과 주변사회, In 고조선의 역사를 찾아서–국가·문화·교역" 동북아역사재단 2007

      9 홍승현, "중국과 일본 학계의 燕, 秦, 漢長城 연구와 추이" 동북아역사재단 (35) : 327-379, 2012

      10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조선유적유물도감 2" 외국문종합출판사 1989

      1 윤용구, "한중관계사상의 교통로와 거점" 동북아역사재단 2011

      2 李熙濬, "한반도남부 청동기~원삼국시대 수장의 권력 기반과 그 변천" 嶺南考古學會 58 : 2011

      3 미야자토 오사무, "한반도 청동기의 기원과 전개" 사회평론 2010

      4 이건무, "한국식동검문화의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5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강의 개정신판" 사회평론 2010

      6 리규태, "평양부근과 황해남북도에서 알려진 좁은놋단검 관계 유물" 6 : 1983

      7 윤광수, "토성동 486호 나무곽무덤 발굴보고" 94 (94): 1994

      8 李淸圭, "청동기를 통해서 본 고조선과 주변사회, In 고조선의 역사를 찾아서–국가·문화·교역" 동북아역사재단 2007

      9 홍승현, "중국과 일본 학계의 燕, 秦, 漢長城 연구와 추이" 동북아역사재단 (35) : 327-379, 2012

      10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조선유적유물도감 2" 외국문종합출판사 1989

      11 박진욱, "조선고고학전서(고대편)"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12 전북문화재연구원, "전주·완주 혁신도시 개발사업(4구역-도시부)부지 내 문화재 발굴조사 학술자문회의 자료"

      13 경기도박물관, "요령 고대 문물전" 2010

      14 오강원, "요령 건창 동대장자 적석목관곽묘군 출토 비파형동검과 토기" 아주대학교 박물관 12 : 2006

      15 서영수, "요동군의 설치와 전개, In 요동군과 현도군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8

      16 姜仁旭, "러시아 연해주 세형동검 관계유적의 고찰" 韓 國上古史學會 42 : 2003

      17 김정열, "동북문화와 유연문명." 동북아역사재단 2008

      18 王綿厚, "高句麗與濊貊硏究" 哈爾濱出版社 2004

      19 國立中央博物館, "韓國의 靑銅器文化" 1992

      20 趙鎭先, "韓國式銅戈의 登場背景과 辛庄頭 30號墓" 湖南考古學會 32 : 2009

      21 李陽洙, "韓國式銅戈로 본 韓·中·日 三國의 交叉編年" 國立慶州博 物館 3 : 2009

      22 張雪岩, "集安靑銅短劍墓及相關問題, In 高句麗硏究文集" 延邊大學出版社 1993

      23 集安縣文物管理所, "集安發現靑銅短劍墓" 81 (81): 1981

      24 成璟瑭, "關于短內式銅戈相關問題的再檢討" 科學出版社 11 : 2011

      25 石永士, "郾王銅兵器硏究, In 中國考古學會第四次年會論文集" 文物出版社 1983

      26 遼寧省博物館, "遼河文明展 文物集萃" 2006

      27 小林靑樹, "遼東における靑 銅器·鐵器の調査と成果" 日本中國考古學會 11 : 2011

      28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藏文物精華" 科學出版社 2012

      29 梁志龍, "遼寧本溪多年發現的石棺墓及其遺物" 03 (03): 2003

      30 梁志龍, "遼寧本溪劉家哨發現靑銅短劍墓" 92 (92): 1992

      31 萬欣, "遼寧建昌東大杖子飾金青铜短剑的發現和意義" 2012

      32 國家文物局, "遼寧建昌東大杖子戰國墓地的勘探與試掘, In 2000 中國重要考古發 現" 文物出版社 2001

      33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遼寧建昌東大杖子戰國墓地取得重要考古發現" 2011

      34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遼寧建昌于道溝戰國墓地調査 發掘簡報, In 遼寧省博物館館刊 1" 遼海出版社 2006

      35 王成生, "遼寧出土銅戈及相關問題的硏究, In 遼寧考古文集" 遼寧民族出版社 2003

      36 李淸圭, "遼寧 本溪縣 上堡村 出土 銅劍과 土器에 대하여" 東亞大 學校 博物館 16 : 2000

      37 滿承志, "通化縣小都嶺出土大批石范" 87 (87): 1987

      38 小林靑樹, "近年の遼寧地域における靑銅器·鐵器硏究の 現狀" 日本中國考古學會 12 : 2012

      39 鄭紹宗, "論河北近年出土的戰國有銘靑銅器, In 北方考古硏究 (三)" 中州古蹟出版社 1994

      40 靳楓毅, "論中國東北地區含曲刃靑銅短劍的文化遺存(上)" 82 (82): 1982

      41 方殿春, "西漢平剛故址考, In 遼寧省博物館館刊 2" 遼海出版社 2007

      42 宮本一夫, "細形銅劍と細形銅鉾の成立年代, In 東アジア靑銅器の系譜(新彌生時代のはじ まり 第3卷)" 雄山閣 2008

      43 姜仁旭, "紀元前 8~3世紀 中國 北方 草原地帶의 銅劍文化–銅劍의 型式分類와 地域性을 중심으로" 2004

      44 郭大順, "異形戈尋踪, In 遼寧省博物館館刊 1" 遼海出版社 2006

      45 裵眞永, "燕昭王의 政策과 ‘巨燕’의 成立" 중국사학회 25 : 1-36, 2003

      46 陳平, "燕文化" 文物出版社 2006

      47 杜迺松, "燕國靑銅器, In 古代靑銅器" 文物出版社 2005

      48 河北省文物管理處, "燕下都第23號遺址出土一批銅戈" 82 (82): 1982

      49 河北省文物管理處, "河北易縣燕下都第44號墓發掘報告" 75 (75): 1975

      50 河北省文化局文物工作隊, "河北懷來北辛堡戰國墓" 66 (66): 1966

      51 金旭東, "東遼河流域的若干种古文化遺存" 92 (92): 1992

      52 小林青樹, "東北アジアにおける銅戈の起源と年代–遼西式銅戈の成立と燕·朝鮮ヘの 影響, In 東アジア靑銅器の系譜 (新彌生時代のはじまり 第3卷)" 雄山閣 2008

      53 朝陽市博物館, "朝陽歷史與文物" 遼寧大學出版社 1996

      54 田立坤, "朝陽吳家杖子墓地發掘簡報, In 遼寧考古文集 (二)" 科學出版社 2010

      55 許明綱, "旅大市新金縣後元臺發現銅器" 80 (80): 1980

      56 黃盛璋, "旅大市所出啓封戈銘的國別,地理及其相關問題" 81 (81): 1981

      57 撫順市博物館考古隊, "撫順地區早晩兩类靑銅文化遺存" 83 (83): 1983

      58 李學勤, "戰國題銘槪述(上)" 59 (59): 1959

      59 姬娜, "戰國郾君戈器銘考釋評論" 陝西師範大學 2005

      60 林淸源, "戰國燕王戈器銘特定及其定名辨僞問題" 70 (70): 1999

      61 李學勤, "戰國時代的秦國銅器" 57 (57): 1957

      62 李成珪, "戰國時代 官營産業의 構造와 性格" 延世大學校 國學硏究院 30 : 1982

      63 국립문화재연구소, "建昌縣 東大杖子墓地, In 중국동북지역 고고조사 현황–요령성편–" 2012

      64 朱永剛, "大, 小凌河流域含曲刃短劍遺存的考古學文化及相關問題" 2 : 1997

      65 劉大志, "喀左老爺廟鄕靑銅短劍墓" 93 (93): 1993

      66 吉林省文物工作隊, "吉林長蛇山遺址的發掘" 80 (80): 1980

      67 吉林省地方志編纂委員會, "吉林省志 券四十三 文物志" 1991

      68 楊泓, "古代兵器通論" 紫禁城出版社 2005

      69 朱鳳瀚, "古代中國靑銅器" 南開大學出版社 1995

      70 程長新, "北京通縣中趙甫出土一組戰國靑銅器" 85 (85): 1985

      71 權五重, "前漢時代의 遼東郡" 嶺南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17 : 1995

      72 井中偉, "先秦時期靑銅戈·戟硏究" 吉林大學校 2006

      73 成璟瑭, "于道溝遺蹟 出土 靑銅武器에 對하여" 考古學探究會 5 : 2009

      74 許玉林, "丹東地區出土的靑銅短劍" 84 (84): 1984

      75 胡保華, "中國北方出土先秦時期銅鉾硏究" 吉林大學校 2011

      76 魏兵, "中國兵器甲冑圖典" 中華書局 2011

      77 정대영, "中國 河北省北部 “玉皇廟文化”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37) : 91-120, 2004

      78 李厚錫, "中國 東北地域의 細形銅劍文化와 한반도" 한국청동기학회 2010

      79 李厚錫, "中國 東北地域 細形銅劍文化 硏究–遼寧式細形銅劍을 중심으로" 崇實史學會 21 : 2008

      80 宮本一夫, "七國武器考–戈·戟·矛を中心にして–" 2 :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9 1.49 1.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2 1.4 2.51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