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억의 역사를 통한 비판적 문화재 읽기 실행 연구 = Action Research on Critical Reading of Cultural Properties through History of Mem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005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억으로 역사를 바라보는 것은 역사를 엄정한 객관적 진술의 기준을 가진 값으로 보기 보다는 사회적 맥락에 따른 담론으로 보게 된다. 기억, 역사, 유물은 서로 결합할 때 과거에 이르는 ...

      기억으로 역사를 바라보는 것은 역사를 엄정한 객관적 진술의 기준을 가진 값으로 보기 보다는 사회적 맥락에 따른 담론으로 보게 된다. 기억, 역사, 유물은 서로 결합할 때 과거에 이르는 가장 훌륭한 통로가 된다. 과거를 변화시키려는 다양한 집단의 노력들이 유물, 혹은 문화재를 변형시킨다. 학생들로 하여금 문화재에 담긴 비판적 역사읽기를 통해 문화재에 담긴 강조, 수정, 변경 등을 확인하는 것은 현재를 이해하는 의미 있는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행연구의 방법을 통하여 삼전도비, 자유의 다리, 서대문형무소, 노동당사에 포함된 문화재 변경의 과정을 확인하고 그것들이 현재에 갖는 의미를 확인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계획-실행-관찰 및 반성-재실행 및 반성-발표 및 공유’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문화재에 담긴 기억의 의미를 이해하고 재해석하며 공유하였다. 프로그램에서 학생들은 문화재가 기억의 산물이며, 다양한 경로를 통해 변형되고, 수정되어 현재에 전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행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은 역사와 문화재를 단순히 암기하거나 중요한 정보를 확인하는데 그치지 않고 다양한 집단들이 충돌하고, 이해가 상충되는 수단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역사에서 문화재와 기억이 갖는 의미를 재확인하고 비판적으로 역사 읽기를 통하여 민주적인 시민의식을 갖추는데 도움을 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see history as a memory is to perceive it as a discourse within social contexts rather than an objective statement based upon strict standards. As the notion of history of memory has been distributed collective memory has come into the picture and ...

      To see history as a memory is to perceive it as a discourse within social contexts rather than an objective statement based upon strict standards. As the notion of history of memory has been distributed collective memory has come into the picture and helped the identity of the society built. The ideology of the society cultural discourses and power distribution among groups have influences o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memory. When combined with one another memory history and cultural artifacts can be great pathways to the past. The efforts multiple groups put in to change the past transform the cultural artifacts or properties. It is a significant process to lead students to identify the emphasis modification and alteration done to cultural properties through critical reading of history and lead them to understand the present. In this study educational programs were implemented in an action research to help the students recognize the process of alteration of cultural properties such as ‘Samjeondobi Monument’ ‘ the Bridge of Freedom’ ‘Seodaemun Prison History Hall’ and ‘Labor Party Building’ and the meaning of them in the present. The students understood reinterpreted and shared the meaning of the memory contained in the cultural properties through the program that included ‘plan-action-reflection-re-action-presentation and sharing’ process. Students realized that a cultural property is a product of memory transformed and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transmitted to the present. To conduct an action research in cultural property learning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not just to identify the historical information in cultural properties but to make it possible for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at cultural properties are the product of memory of past and to perform critical investigation reflecting the identity of the historical period. Students proceed from mere memorizing or identifying important information about history and cultural properties to becoming aware that history and cultural properties are the means through which the interests of various groups conflict in the action research. These programs help students reconsider the meaning of cultural properties and memory develop democratic citizenship through critical reading of histo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기억으로서의 역사와 비판적 문화재 읽기
      • Ⅲ. 연구의 방법
      • Ⅳ. 연구의 실행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기억으로서의 역사와 비판적 문화재 읽기
      • Ⅲ. 연구의 방법
      • Ⅳ. 연구의 실행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정화, "초등사회과 논쟁문제 수업을 위한 대립토론 적용에 대한 실행연구" 16 (16): 3-27, 2004

      2 한국교원대학교 사회과학교육연구소, "초․중학교 문화재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2006

      3 Tessa Morris-Suzuki, "우리안의 과거" 휴머니스트 2006

      4 최지선, "역사적 사건에 대한 기억의 정치 : 일본군 '위안부' 사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4

      5 정진성,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휴머니스트 2005

      6 이용숙, "실행연구방법" 학지사 2005

      7 Jenkins, Keith,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혜안 2002

      8 권귀숙, "기억의 정치: 대량학살의 사회적 기억과 역사적 진실" 문학과지성사 2006

      9 Jeffery K. Olick, "국가와 기억: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본 집단기억의 연속, 갈등, 변화" 민주화기념사업회 2006

      10 Harvey J. Kaye, "과거의 힘" 삼인 2004

      1 구정화, "초등사회과 논쟁문제 수업을 위한 대립토론 적용에 대한 실행연구" 16 (16): 3-27, 2004

      2 한국교원대학교 사회과학교육연구소, "초․중학교 문화재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2006

      3 Tessa Morris-Suzuki, "우리안의 과거" 휴머니스트 2006

      4 최지선, "역사적 사건에 대한 기억의 정치 : 일본군 '위안부' 사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4

      5 정진성,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휴머니스트 2005

      6 이용숙, "실행연구방법" 학지사 2005

      7 Jenkins, Keith,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혜안 2002

      8 권귀숙, "기억의 정치: 대량학살의 사회적 기억과 역사적 진실" 문학과지성사 2006

      9 Jeffery K. Olick, "국가와 기억: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본 집단기억의 연속, 갈등, 변화" 민주화기념사업회 2006

      10 Harvey J. Kaye, "과거의 힘" 삼인 2004

      11 한명숙, "과거는 낯선 나라다" 개마고원 2006

      12 최문규, "[단행본] 기억과 망각 : 문학과 문화학의 교차점" 책세상 2003

      13 Hirsch, Herbert, "Genocide and the Politics of Memory"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