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TEAM 교육의 구성 요소와 수업 설계를 위한 준거 틀의 개발 = Components of 4C-STEAM Education and a Checklist for the Instructional Desig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를 돕고 학교 현장에 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정착하는데 기여하고자 STEAM의 구성요소와 그 하위 개념 요소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본 연구에서는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를 돕고 학교 현장에 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정착하는데 기여하고자 STEAM의 구성요소와 그 하위 개념 요소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현장에서 교사들이 STEAM 수업 을 계획할 때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의 준거 틀을 제안하였다. STEAM 교육은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 내용 융 통합의 세 영역으로 구성된다. 창의적 설계는 ‘지식 산출’, ‘제품 산출’, ‘작품 산출’의 과정으로 구분되며, ‘지식 산출’ 은 ‘문제 인식’, ‘해결 방안 계획’, ‘해결 방안 실행’, ‘지식 산출’, ‘지식 평가’의 단계, ‘제품 산출’은 ‘필요 발견’, ‘문제 정의’, ‘제품 설계’, ‘제품 산출’, ‘제품 평가’의 단계, ‘작품 산출’ 과정은 ‘예술적 발상’, ‘아이디어 창안’, ‘작품 산출’, ‘작품 감상’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감성적 체험은 ‘몰입’과 ‘성취의 기쁨과 실패의 가치 경험’에 관련된 전 반적인 정서를 의미한다. 내용 융 통합은 두 개 이상의 교과 내용이 유기적으로 통 합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통합되는 분야와 방법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수업 설계를 위한 준거 틀은 수업목표, 개념, 교육활동준거, 보상 등으로 구성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omponents of STEAM education and the sub-components, and to develop a checklist for the instructional design. In this paper, STEAM stands for 4C-STEAM of creativity, convergence, commun...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omponents of STEAM education and the sub-components, and to develop a checklist for the instructional design. In this paper, STEAM stands for 4C-STEAM of creativity, convergence, communication, and caring. For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STEAM education in the school, teachers must understand what STEAM is for and components are, and must know how to plan for their classes for STEAM education. This research would give the idea of STEAM, and the checklist as a practical guideline for the instructional design. STEAM education is composed of three components of Creative Design , Emotional Touch , and Contents Convergence . Creative design is classified as the final outcome of the learning, such as knowledge or ideas, products, or artworks. Emotional touch is defined as something helping students do affective experience, such activities as being immersed, feeling satisfaction, etc. The checklist for STEAM instruction is consist of four components as instructional objectives, concepts, activity, and reward. And the activity is composed of context for learning, contents convergence, creative design, and emotional tou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STEAM 교육의 구성요소
      • Ⅲ. 수업 설계를 위한 준거 틀의 개발
      • Ⅳ. 결론
      • Ⅰ. 서 론
      • Ⅱ. STEAM 교육의 구성요소
      • Ⅲ. 수업 설계를 위한 준거 틀의 개발
      • Ⅳ.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영준, "초등학교 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0 (30): 514-523, 2011

      2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2011년 업무보고" 교육과학기술부 2010

      3 이정모, "인지심리학의 제문제" 학지사 1998

      4 백윤수,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5 백윤수,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149-171, 2011

      6 Polya, G.,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천재교육 1986

      7 Cskikszentimihalyi, M., "몰입의 즐거움" 해냄(네오북) 2007

      8 이은주, "몰입에 대한 학습동기와 인지전략의 관계" 15 (15): 199-216, 2001

      9 황농문, "몰입 : 인생을 바꾸는 자기 혁명" 랜덤하우스코리아 2007

      10 백윤수, "과학교육 내용표준 개발연구. 연구보고 2010"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1 신영준, "초등학교 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0 (30): 514-523, 2011

      2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2011년 업무보고" 교육과학기술부 2010

      3 이정모, "인지심리학의 제문제" 학지사 1998

      4 백윤수,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5 백윤수,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149-171, 2011

      6 Polya, G.,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천재교육 1986

      7 Cskikszentimihalyi, M., "몰입의 즐거움" 해냄(네오북) 2007

      8 이은주, "몰입에 대한 학습동기와 인지전략의 관계" 15 (15): 199-216, 2001

      9 황농문, "몰입 : 인생을 바꾸는 자기 혁명" 랜덤하우스코리아 2007

      10 백윤수, "과학교육 내용표준 개발연구. 연구보고 2010"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11 교육과학기술부, "개정의 배경"

      12 Fogarty, R., "Ten Ways to Integrate Curriculum" 49 (49): 1991

      13 Ames, C., "Systems of student and teacher motivation : Toward a qualitative definition" 76 (76): 535-556, 1984

      14 Terninko, J., "Systematic Innovation: An Introduction to TRIZ(Theory of Inventive Problem Solving)" St. Lucie Press 1998

      15 National Research Council, "Successful K-12 STEM Education: Identifying Effective Approaches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Committee on Highly Successful Science Programs for K-12 Science Education. Board on Science Education and Board on Testing and Assessment, Division of Behavioral and Social Sciences and Education"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11

      16 Meece, J., "Students’ goal orientations and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activities" 80 (80): 514-523, 1988

      17 Sanders, M., "STEM, STEM education, STEM mania" 68 (68): 20-26, 2009

      18 한혜숙, "STEAM 교육을 실행한 교사들의 STEAM 교육에 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 (12): 573-603, 2012

      19 Schultz, I. Z., "Psychosocial factors predictive of occupational low back disability: Towards development of a return-to-work model" 107 : 77-85, 2004

      20 Dweck, C. S., "Motivational processes affecting learning" 41 : 1040-1048, 1986

      21 Mehalik, M. M., "Middle-school science through design based learning versus scripted inquiry : Better overall science concept learning and equity gap reduction" 97 (97): 71-85, 2008

      22 Schoenfeld, A. H.,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cademic Press 1982

      23 크라직, "Design-based science and real-world problem-solving" TAYLOR FRANCIS LTD 27 (27): 855-879, 200506

      24 Apedoe, X. S., "Bringing engineering design into high school science classrooms : The heating/cooling unit" 17 (17): 454-465, 2008

      25 Dweck, C. S., "Achievement motivation, In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Wiley 643-691, 1983

      26 National Research Council,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National Academy Press 2011

      27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 초․중등 교육과정 총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