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소공원의 조경설계를 위한 BIM 템플릿 개발 = Development of BIM Templates for Vest-Pocket Park Landscape Des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300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건설, 토목 산업 분야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는 BIM은 초기 계획 설계에서부터 시공, 유지관리, 철거에 이르기까지 전 분야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기술이지만 국내 조경분야에...

      오늘날 건설, 토목 산업 분야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는 BIM은 초기 계획 설계에서부터 시공, 유지관리, 철거에 이르기까지 전 분야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기술이지만 국내 조경분야에서는 도입단계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경설계분야에 BIM 도입과 활성화를 위하여 BIM 라이브러리(library)와 템플릿(template)의 프로토타입(prototype)을 개발하고 시범적용을 통한 성과를 분석하였다. 프로토타입 개발을 위하여 기 조성된 소공원을 대상으로 도면별 주석과 유형을 분석하여 조경 템플릿 구성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놀이시설물, 파고라, 벤치 등을 패밀리(family) 및 템플릿으로 제작하여 자동화 설계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조경설계에서 자주 사용하는 주석과 태그를 만들었으며, 특히 가시성/그래픽 재지정을 이용하여 3D뷰를 구현되도록 하였다. 설계 수량은 경계석 일람표, 마운딩 일람표, 수량집계표, 목차리스트, 포장 수량집계표 등을 그룹화 하여 도면과 연동되도록 하였고 조경 수목은 국내 실정에 맞는 분류기준 및 수목명을 적용하였다. 조경 템플릿은 건축 BIM 프로그램에 탑재될 수 있는 라이브러리 파일 형식(rfa)으로 작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작성된 템플릿을 시범적용 후 나타난 문제점으로는 수량집계표 작성 시 기호의 자동 삽입, 일람표 작성 시 산출근거를 자동으로 만들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BIM 프로그램 및 템플릿 기능 개선을 통해 해결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BIM, which is being applied actively to the construction and civil construction industries, is a technology that can maximize efficiency of various sectors from initial planning and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to demolition; however, it i...

      A BIM, which is being applied actively to the construction and civil construction industries, is a technology that can maximize efficiency of various sectors from initial planning and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to demolition; however, it is in the introductory phase in the field of domestic landscaping. In order to introduce and promote BIM in the field of landscape design, this study developed a prototype of a library and template and analyzed the performance of trial ap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prototype, annotations and types were analyzed from floor plans of existing small parks, and components of landscape template were deduced. Based on this, play facilities, pergola, and benches were madeintofamily and templates, making automatic design possible. In addition, annotations and tags that are often used in landscape design were made, and a 3D view was materialized through visibility/graphic reassignment. As for tables and quantities, boundary stone table, mounding table, summary sheet of quantities, table of contents, and summary sheet of packaging quantities were grouped and connected with floor plans; regarding landscaping trees, classification criteria and name of trees that are suitable for domestic situations were applied. A landscape template was created to enable the library file format(rfa) that can be mounted on a building with BIM programs. As for problems that arose after the trial application of the prepared template, some CAD files could not be imported; also, while writing tables, the basis of calculation could not be made automatically. Regarding this, it is thought that functions of a BIM program and template need improve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수, "한국 조경제도의 국제표준화 방안" 한국조경학회 37 (37): 52-63, 2009

      2 이동운, "건축조경설계 자동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3 (13): 235-241, 2011

      3 The BIM, "The BIM Summer 2012"

      4 Lee, H. S., "Development Landscape Planting Design and Integrating Support using AutoCAD" Yeungnam University 1998

      5 김복영, "BIM에 관한 조경분야의 동향 및 LIM 활성화 방안" 한국조경학회 42 (42): 50-63, 2014

      6 Lenngren, O., "BIM for Landskapsarkitekter" Swedish University of Agricultural Sciences 2012

      7 Jenson, H. L., "BIM for Landskap: fra 2D til 5D, Studieobjekt Hersleb Skole, Oslo" Orwegian University of Life Sciences 2012

      8 Youn, H, "A development of CAD program using planting design support" 23 (23): 20-27, 1996

      9 Park, S. W., "A Visualization Study of Landscape Tree Shape at Landscape Desig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998

      10 Min, S. Y., "A Study on the Adaptability if BIM Technology in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2011

      1 김민수, "한국 조경제도의 국제표준화 방안" 한국조경학회 37 (37): 52-63, 2009

      2 이동운, "건축조경설계 자동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3 (13): 235-241, 2011

      3 The BIM, "The BIM Summer 2012"

      4 Lee, H. S., "Development Landscape Planting Design and Integrating Support using AutoCAD" Yeungnam University 1998

      5 김복영, "BIM에 관한 조경분야의 동향 및 LIM 활성화 방안" 한국조경학회 42 (42): 50-63, 2014

      6 Lenngren, O., "BIM for Landskapsarkitekter" Swedish University of Agricultural Sciences 2012

      7 Jenson, H. L., "BIM for Landskap: fra 2D til 5D, Studieobjekt Hersleb Skole, Oslo" Orwegian University of Life Sciences 2012

      8 Youn, H, "A development of CAD program using planting design support" 23 (23): 20-27, 1996

      9 Park, S. W., "A Visualization Study of Landscape Tree Shape at Landscape Desig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998

      10 Min, S. Y., "A Study on the Adaptability if BIM Technology in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2011

      11 Lee, B. C., "A Study of BIM Introduction Measure at Domastic Design Office" Information Sciences Graduate School at Soongsil University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