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불안정한 삶과 예술 노동 : 무용수의 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조형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349

        이 연구는 제도권 교육 체제 안에서 교육받은 무용수의 예술 노동에 대한 탐구이다. 한국에서 무용은 강한 제도권 교육과 재생산 시스템을 갖춘 순수예술의 형태로 예술의 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무용수들과 안무가들이 어떤 방식을 통해 직업적 정체성을 가지고 자신의 예술 작업들을 정체화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문화연구적 접근이 이루어진 바가 없다. 여기에서 출발한 이 연구는 무용 제도권 교육이 형성하고 있는 예술 장을 바탕으로 무용수가 어떻게 자신의 직업 정체성을 형성하고 자신의 무용 작업들을 하나의 예술 노동으로서 인식하는지 연구하였다. 이 연구 과정에서, 젊은 무용 예술가들이 처해있는 예술계 내부에서의 노동 현실을 드러내고, 그들이 그 구조적 문제를 어떻게 극복하고 협상해 나가는지 고찰하였다. 주로 20대에서 30대에 걸쳐있는 아홉 명의 무용수와 안무가들을 대상으로 한 이 연구는 반구조화된 심층 면접 인터뷰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연구자가 분석한 사실은 크게 세 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먼저 무용수들은 제도권 교육을 통해 예술가의 직업적 정체성을 만들어가며, 예술계 내부의 아비투스를 습득하게 된다. 특화된 중등교육기관과 대학 무용과라는 제도권 교육을 거치며 무용수는 완벽하게 예술계의 내부인으로 만들어지며, 여기에서 형성된 도제적 권력관계는 무용수의 예술 노동을 왜곡하는 근거가 된다. 다음으로, 무용수와 안무가의 비예술 노동은 예술 노동을 지속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며, 때로는 예술가의 예술 노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삶을 영위하기 위해 비예술 노동을 병행할 수밖에 없는 예술가들은 이 과정에서 비예술 노동으로 인해 예술 노동이 소진되거나, 훼손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무용수들에게 있어 가장 접근성 높은 ‘비예술’ 노동은 레슨이지만, 제도권 교육이라는 문화자본을 형성하지 못하였거나 혹은 제도로부터 탈주하기를 원하는 무용수들은 예술과 완벽하게 상관없는 노동을 통해 생존 전략을 모색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왜곡된 노동 상황에서 무용수와 안무가는 자기 자신이 처해있는 상황과 경합하고 ‘창조적 욕망’을 통해 그것을 극복해 나간다. 무용수와 안무가들이 작업을 지속하게 만드는 정동은 비물질노동을 가능하게 하는 ‘창조적 욕망’이다. 여기에서 예술가들의 정동적 노동이 하나의 새로운 ‘노동’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예술 노동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무용수와 안무가의 예술 노동을 문화연구적으로 접근하면서, 이전까지 노동의 영역에 포함되지 않았던 예술이 하나의 노동으로 형성되는 과정을 조명하였다. 특히 문화산업의 조직적 체계가 갖추어지지 않은 순수예술에 대한 문화연구를 통해, 기존의 문화산업 노동자 연구에서 노동자성에 가려 완전히 드러내지 못했던 창작에 대한 욕구와 그 정동을 자세히 살펴보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예술가라는 정체성을 하나의 직업적 정체성으로 구체화하고 무용수와 안무가들이 스스로에게 가지는 노동자성과 그 왜곡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예술가들이 처해있는 상황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논의를 시도했다. 더 나아가 예술가들의 복지와 노동 상황에 대한 인식이 이제 막 시작된 한국 사회에서, 본 연구는 예술 노동과 그 사회적 가치에 대한 논의의 방향성을 제안한다. This is an cultural study on artistic labor of dancers who have been trained in institutionalized educational systems. In South Korea, dance, as a form of fine art, is sustained by standardized institutional systems of education that perpetuate this education practice. However, there has been no cultural study on how dancers and choreographers obtain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nd define their artistic work as in terms of a labor. In this context, this study sheds light on how dancers establish professional identities and how they acknowledge their dancing as artistic labor in this field of art that is based on such institutionalized education systems. In particular, I analyzed the labor climate and the systematic problems of the art world to which young dance artists encounter, and how they deal with these conditions. Applying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methodology, 9 dancers or choreographers who have experienced institutionalized educatio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ee main findings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dancers obtain habitus of the art world to which they belong while they have established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s artists based on institutionalized education. Trained in art-specialized secondary schools and colleges, dancers have well-developed as insiders of the art world. In apprenticeship of this institutionalized education, the power relationship between the master and the dancer provides grounds to deteriorate value of artistic labor; price for artistic labor. Next, dancers’ and choreographers’ non-artistic labor is an crucial factor that upon occasion determines whether they are able to continue their artistic labor. Many artists engaging in non-artistic labor for their living experience their art labor seems to disbenefit because they are exhausted or depleted in engaging in their non-artistic labor. The most feasible non-artistic labor for dancers is giving lessons. However, dancers who do not have the cultural capital of institutionalized education or who want to avoid these institutions have to seek labor that is completely irrelevant to their art practice in order to earn a living. Last, dancers and choreographers struggle to overcome their inner conflicts regarding disadvantageous labor situation by pursuing their own creative desire. An affect that allows dancers and choreographers to continue their art work is this ‘creative desire', which has art work to be included the boundary of non-material labor. In order to have artists' affective labor be acknowledged as a new form of labor, social agreement concerning artistic labor is necessary. Approaching dancers’ and choreographers’ artistic labor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study,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process of how art work has been established as a kind of labor. By performing cultural research on fine art, which is less-industrialized, I aimed to analyze artists’ yearning and affect for creation, which were mostly ignored in the previous studies on labor of the cultural industry. We attempted to generate discussions that may change labor situations artists faces in reality, by investigating how artists establish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s an artist.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a direction for the discussion of artistic labor and its social values in South Korea, which has recently started to pay attention to artists’ welfare and labor.

      • (The) effects of welfare states on gender inequality in care work : a comparative study of time use in unpaid work using multilevel models

        Cho, Sunmi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9 국내박사

        RANK : 232328

        이 연구는 복지국가가 사회정책을 통해 개인들의 성별화된 시간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국가 비교분석을 시행하였다. 특히 가족정책의 유형별 차이가 가족 내 사적 영역에서 돌봄노동의 젠더 불평등을 결정하는지 살펴보고, 시간사용자료를 활용하여 여성과 남성의 일-가족 배분을 둘러싼 성별분업의 상이한 결과에 주목하였다. 가족정책은 가족의 돌봄을 지원하고, 돌봄 제공자 (caregiver)와 돌봄 수혜자 (carereceiver) 사이의 돌봄 관계 (care relations)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 및 지향에 관련되어있으며, 복지제공유형(welfare provision type)에 따라, 현금 (cash), 서비스 (services), 시간(time off)의 세 가지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이 연구는 다양한 가족정책 중 아동돌봄에 관련된 가족정책에 초점을 맞추고, 세 가지 제공유형에 따라 가족 내 임금노동과 돌봄노동의 성별분업에 있어 어떠한 변화를 야기하는지 살펴보았다. 현금, 서비스, 시간은 정책 내에 내재된 원리에 따라 각각 돌봄과 자원을 둘러싼 가족 내 성별화된 의존성에 상이한 효과를 미치는데, 가족 내 의존성을 강화시킬 경우에는 가족주의적 정책(familizing policies)으로, 의존성을 약화시킬 경우에는 탈가족주의적 정책 (de-familizing policies)으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세 가지의 복지제공유형은 어떤 정책이 남녀의 유급노동 및 돌봄노동의 시간 배분에 있어 성별분업을 강화하거나 완화하는지 비교하는데 유효한 기준을 제공할 것이다. 더 나아가, 복지국가의 가족정책은 사회계층에 따라 그 영향력이 다르게 미칠 수 있다. 어떤 정책은 중상층 계층의 성별분업을 줄이는데 더 효과적이고, 반대로 어떤 정책은 하위 계층의 성별분업을 줄이는데 더 효과적일 것이다. 젠더, 계층, 인종 등 다양한 사회적 위계관계의 중층적 구조에 주목하는 ‘불평등의 교차성 (intersectionality)’은 최근 사회정책 및 불평등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관점이지만, 아직까지 돌봄에 대한 가족정책의 효과에 있어 성별과 계층의 교차성을 경험적으로 접근한 연구는 거의 수행된 적 없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가족정책이 일-가족 영역에 미치는 성별화된 효과가 사회계층별로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방법은 다수준 분석 (multilevel model)을 활용하여 비교국가 연구를 시도하였다. 분석자료는 영국 옥스퍼드 대학 (the University of Oxford)의 시간사용연구센터(the Centre for Time Use Research, https://www.timeuse.org)에서 제공한 다국가 시간사용 자료 (the Multinational Time Use Study, MTUS)를 사용하였다. 시간사용은 임금노동과 무급노동으로서 돌봄노동에 주목하였으며, 특히 젠더 불평등에 중요한 이론적∙경험적 함의를 가지는 돌봄의 유형인 가사노동과 아동돌봄 노동에 주목하였다. 가사노동은 여성에게 많은 물리적, 심리적 제약과 일상적 부담을 주는 형태의 가사노동으로 알려진 식사준비, 청소 등의 비유연화된 형태 (inflexible-typed tasks)의 가사노동에 초점을 맞추었다. 아동돌봄 노동은 아동에 대한 물리적, 정서적, 학습적, 여가적 노동을 모두 포함하였다. 분석대상으로 포함된 국가는 경제적으로 발전된 13개의 복지국가이며, 에스핑 앤더슨 (Esping-Andersen, 1990)의 복지국가 유형에 따라, 노르웨이, 핀란드, 덴마크의 사민주의 레짐 (social democratic regime), 오스트리아,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의 보수주의-조합주의 레짐 (conservative-corporate regime), 호주, 캐나다, 영국, 미국의 자유주의 레짐 (liberal regime), 그 외의 국가인 이탈리아, 스페인, 이스라엘, 슬로베니아, 한국으로 이루어져있다. 개인 수준의 분석대상은 기혼상태의 남녀이다. 사회계층은 개인수준의 계층적 지위로서 교육수준을, 가구수준의 계층적 지위로서 가구소득의 두 가지 측면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유급노동과 돌봄노동의 배분에 대한 성별분업 연구는 개인, 부부, 가구를 중심으로 한 미시적 수준의 연구와 국가, 제도, 구조를 중심으로 한 거시적 수준의 연구로 분류된다. 미시적 수준의 연구는 성역할 이론 (gender role theory), 교환 이론 (exchange theory), 시간 가용성 이론(time availability theory), 돌봄 수요 이론 (housework demand theory), 분업화 이론(specialization theory)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거시적 수준의 연구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생활수준의 발전, 복지국가 유형, 가족정책과 같이 제도적 특징이 개인의 성별분업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시적 수준의 제도적 특징이 미시적 수준의 개인 및 부부의 특성 별로 어떻게 성별분업에 상이한 결과로 귀결되는지의 미시와 거시의 관점을 통합하여 접근한 연구는 아직 충분한 양의 연구가 수행되지 않았다. 특히 성별분업에 대한 가족정책의 유형별 효과가 어떻게 젠더 및 계층의 교차성을 중심으로 상이한 결과로 나타나는지 분석한 경험적 연구는 거의 드물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이 연구는 복지국가에서 시행되는 다양한 가족정책의 성별효과를 측정하는데 효과적인 접근방법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그 동안 복지정책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총 지출액 접근법 (expenditure approach), 복지레짐 (welfare regime) 혹은 돌봄 레짐(care regime), 지표화 접근법 (indexation), 개별정책비교 접근법 (individual policy comparison), 복지제공유형 (welfare provision type), 탈가족화 및 가족화 유형 (defamilization/familization)의 다양한 접근방법이 있었다. 이 연구는 특히 돌봄 제공방식에 대한 상이한 성별화된 원리를 내포하고 있는 복지제공유형에 기반하여, 현금, 서비스, 시간의 세 가지 분류법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제공유형은 가족 내 돌봄과 자원의 배분에 있어 성별화된 의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따라, 가족 내 의존성을 강화하는 가족화 정책과 개인의 독립성을 강화하는 탈가족화 정책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족정책의 제공유형별 구성적 차이가 개인의 성별화된 시간사용과 경험적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한국, 미국, 독일, 노르웨이를 선별하였다. 분석결과, 가족정책의 구성적 차이는 임금노동과 돌봄노동에 대한 성별분업의 정도와 관련이 있었으며, 더 나아가 이러한 성별분업의 차이에는 사회계층적 차이 역시 동반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이 연구는 세 가지 복지제공유형 중 현금과 서비스가 성별분업에 미치는 상이한 효과를 비교하였다. 현금과 서비스 중 어떤 방식으로 돌봄을 지원할 것인지의 문제는 젠더 불평등을 둘러싼 담론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즉, 현금을 통해 돌봄수혜자의 돌봄 사용에 대한 자유로운 선택을 더 우선시할 것인지, 혹은 서비스를 통해 돌봄제공자의 유급노동과 돌봄노동의 배분에 대한 자유로운 선택을 우선시할 것인지의 논쟁과 결부된다. 최근 서구유럽 등지에서는 기존의 서비스 중심의 돌봄제공으로부터 현금 중심의 돌봄제공으로 변화하고자 하는 복지국가의 개혁적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를 CFC (the Cash-for-Care) 제도로 명명한다. 현금이 가진 유연성과 자유로운 양도가능성의 속성은 대부분의 돌봄을 필요로 하는 수혜자가 사회적 취약계층일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자기 효능감과 자유를 증진시킨다는 점에 장점을 지닌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현금의 특징은 돌봄관계의 성별화된 맥락과 교차할 때 젠더 불평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즉, 현금을 통한 돌봄의 제공은 사적 영역의 불균등한 권력관계와 젠더 규범에 의해 주로 남성보다 여성을 임금노동으로부터 이탈시켜 가족 내 비공식 돌봄제공자로 변환시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돌봄노동에 대한 성별분업을 강화시킬 수 있다. 반면 서비스는 사용에 있어 비유연화되어 있고 양도가 불가능하며 제약이 있지만, 가족 내 비공식 돌봄을 ‘돌봄의 사회화’로써 국가에 의한 돌봄제공을 지향하기 때문에, 가족 내 권력차이나 젠더 규범에 의한 영향력을 적게 받고, 여성의 돌봄을 직접 완화하여 여성의 유급노동에 대한 선택의 자유 역시 증진시킬 수 있다. 이 연구는 복지국가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시행 중인 현금 정책으로 아동수당(family allowance)을, 서비스 정책으로 조기유아교육 및 보육제도 (ECEC,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및 홈케어∙시설 서비스 등에 대한 공공지출액을 선별하였고, 이것이 성별분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현금 지원액이 증가할수록 기혼부부 내의 성별분업 정도가 증가하였으며, 반대로 서비스 지원액이 증가할수록 이들의 성별분업 정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서비스 비율 역시 성별분업을 결정하는 중요한 제도적 차원임이 확인하였는데, 전체 가족지원정책 중 서비스 지원의 비중이 증가할수록 성별분업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현금과 서비스가 성별분업에 미치는 효과는 사회계층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였다. 즉, 현금은 계층별 차이가 부분적으로만 지지되지 않았지만, 서비스는 대체로 상위 계층의 부부에게 성별분업을 줄이는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서비스 비율은 하위 계층의 성별분업을 줄이는데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면서, 서비스 자체보다는 서비스의 비중이 특히 젠더와 계층을 고려한 전반적인 사회적 불평등을 완화하는데 더 중요한 측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이 연구는 세 가지 복지제공유형 중 시간 정책이 유급노동에 종사하는 여성과 남성의 일-가족 업무부담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시간 정책은 출산과 육아 등 가족돌봄을 지원하는 휴가제도이며, 대표적인 일-가족 양립 정책으로서 많은 복지국가에서 시행 중에 있는 돌봄 지원정책이다. 시간 정책은 사용자에게 시간 유연성을 높임으로써 일과 돌봄을 원활하게 병행할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간 정책은 여성의 일-가족 양립을 직접 목적으로 하고 있거나, 성 중립적인 자격이 주어지더라도 대부분 여성에게 높은 접근성이 주어진다. 이와 같은 시간 정책의 여성편향성은 남성의 ‘주된 노동자’로서의 공고한 성역할은 거의 변화시키지 못한 채, 여성이 ‘이차 노동자’이자 ‘주된 돌봄제공자’로서 일∙가정의 양면에서 유급노동과 돌봄노동의 이중노동을 ‘조화롭게’ 수행해야 하는 주체로 가정하면서 여성의 이중부담을 도리어 가중시킬 우려가 있다. 한편, 시간 정책은 자격조건, 범위, 혜택 등에 따라 다양한 정책적 지향을 갖고 있다. 따라서 가족돌봄 관련 휴가정책이 출산휴가제도(maternity leave)와 같이 여성에게만 자격이 주어지는 정책인지, 육아휴직제도 (parental leave)처럼 성 중립적 자격을 부여하지만 일반적으로 여성에게 좀 더 접근가능성이 높은 정책인지, 부성휴가제도 (paternity leave)처럼 남성에게 직접 자격이 주어지고 아버지의 돌봄참여에 대한 권리를 명시한 정책인지, 혹은 공동육아휴직제도 (shared parental leave)처럼 부모가 공동으로 휴가를 사용하거나 분담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여 공동 보육의 책임을 강조하는 정책인지에 따라 일∙가족의 이중노동 및 성별분업 정도에 미치는 효과 역시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또한 휴가정책의 혜택은 ‘시간’의 속성을 지급하는 휴가기간 (the length of leave)의 측면과 ‘현금’의 속성을 지급하는 임금대체율(wage replacement rate)로 나뉘어지는데, 복지제공유형에 따른 효과의 차이가 존재할 것으로 가정하고 휴가기간과 임금대체율을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의 기간과 육아휴직의 임금대체율이 증가할 수록 남성보다 여성의 일-가족 업무의 전체노동량을 더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돌봄노동 역시 남성보다 여성의 부담을 더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성휴가의 기간이 길어질 경우 여성보다 남성의 돌봄참여 정도를 더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 육아휴직의 경우, 특히 성별효과에서 가장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휴가기간이 길어질수록 남성의 돌봄참여가 증가하고 여성의 돌봄부담이 감소하는 등 좀 더 성평등한 시간배분으로 영향을 미쳤다. 한편, 시간정책의 성별효과에는 사회계층별 차이 역시 존재하였다. 즉, 육아휴직제도의 임금대체율과 공동 육아휴직제도는 특히 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 간의 사회계층별 차이가 두드러졌다. 이 두 가지 정책은 남성과 여성 집단을 분리하여 보았을 때, 가사노동의 경우, 전반적으로 여성에게는 부담을 경감시키고 남성에게는 돌봄의 참여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아동돌봄의 경우, 사회계층간 차이가 뚜렷하게 형성되었다. 즉, 하위 계층에서는 육아휴직제도의 임금대체율과 공동 육아휴직제도의 기간이 증가할수록 남녀 모두 아동돌봄 시간이 증가하였지만, 상위 계층에서는 아동돌봄 시간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시간 정책의 효과가 젠더 뿐만 아니라 사회계층에 따른 불평등을 강화할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결과이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정책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복지국가가 가족정책을 통해 성평등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가족돌봄에 투자하는 전체 공공지출 양보다 현금, 서비스, 시간의 복지제공유형에 따른 성별화된 효과를 충분히 고려하고 적절한 배분을 시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복지지출의 총액보다 제공유형별 차이가 여성과 남성의 성별분업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야기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더 나아가, 가족정책의 효과는 사회계층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젠더와 계층의 교차성을 고려하여, 어떤 정책이 사회전반적인 불평등을 줄이는데 효과적인지 다양한 정책유형 간의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돌봄노동의 대한 가족정책의 지향은 단순히 여성의 돌봄 부담을 줄이는 것이 아닌, 좀 더 성평등한 맥락에서의 돌봄 참여를 확산시키는데 있다는 점을 명시하여야 한다. 가족정책의 목표는 여성과 남성이 공동 생계부양자이면서 동시에 공동 육아자가 될 수 있는, 좀 더 자유로운 성역할과 일-가족 배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데 두어야 한다. 따라서 남성의 돌봄에 대한 권리를 확대하면서, 여성의 유급노동에 대한 참여를 보장하는 방안이 향후 가족정책의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This comparative study examines how welfare states affect gendered time use through family policies. In particular, the study considers multinational time use and compares whether each family policy provision type leads to a different outcome affecting the gendered division of paid and unpaid care labor in the work–family arrangement. Family policy is related to the nature of and orientation toward shaping a caring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s and care-receivers. It can be divided based on three types of welfare provisions: cash, services, and time off. This study focuses on family policies related to childcare and examines the changes in terms of gendered division of labor within households, depending on these three types of provisions. According to the principles underlying family policies, cash, services, and time off have different effects on gender-specific dependency within the family in terms of care and resources. These provision types can be classified into familizing and de-familizing policies: the former strengthens while the latter weakens interdependency within the family. Family policies can also have different effects depending on social stratification. Few empir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amily policy on care work by examining (a) the multilevel structure at the macro and micro level and (b) the intersectionality of inequality with regard to gender and class. Thu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gendered effects of family policies in the division of paid and unpaid care work are differentiated by social class. The comparative study employed multilevel models.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Multinational Time Use Study (MTUS) released by the Center for Time Use Research (https://www.timeuse.org). This study focused on the time allocation of paid and unpaid care work and divided care work into housework and childcare, which have important theoret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s for gender inequality. This study was limited to married men and women from the sixteen economically developed and democratized welfare states. These countries included Australia, Austria, Canada, Denmark, France, Finland, Germany, Israel, Italy, the Netherlands, Slovenia, South Korea, Spain, Norway,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ich is an appropriate approach for comparative policy studies in gender and care dimension. The study suggested three provision types of family policies —cash, services, and time off—based on different institutional concepts of care provision that embody gender-specific dependency within the family. Nex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is an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gendered time use and the effects of family policies based on the three provision types. I selected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Germany, and Norway to compare family policies and the gendered division of labor. Compositional differences in family policies were related to the degree of the gendered division of labor in paid and unpaid care work; furthermore, the policy effects on the gendered division were accompanied by differences in social stratification. Second,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cash and services on gendered divisions in care work. The question of how to support the provision of care by providing cash and services is related to the discourse surrounding gender inequality: will cash allow the caregiver to prioritize his/her free choice regarding the provision of care, or will services allow the caregiver to prioritize his/her free choice in allocating paid work and care work?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cash increased the degree of gendered division in married couples while services decreased it.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ratio of services is an important institutional dimension that determines the gendered division of labor, as the proportion of services from among the total family benefits decreased the gendered division of labor. Furthermore, the effects of cash and services on gendered division differed by social class. Although cash differences were partly supported by class in childcare, services were more effective in reducing gendered division in upper-class couples. However, regarding the ratio of service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rtion of services rather than the services themselves is more important in mitigating overall inequality considering gender and class, as i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gendered division of labor in the lower class. Thir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aking time off from work on the work–family arrangement of women and men engaged in paid work. The time off policy is a leave related to childcare- or birth-giving and has been implemented in many welfare states as part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However, since time off provisions are mostly based on the gender-specific eligibility aiming at the work–family reconciliation of women, or are most likely to be accessible to women, these policies tend to strengthen the dual burden of women in work–family obligations rather than change the role of men in providing care. Meanwhile, time off provisions include various schemes depending on their eligibility, coverage, and benefits. They include maternity, parental, paternity, and shared parental leaves, depending on institutional conditions, and each policy is expected to have different outcomes on the work–family arrangement in a genderspecific way. This study also separated the effects of taking time off on the length of leave—which represents the attribute of “time”—and wage replacement—which represents the attribute of “cash”—from among the provision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longer maternity or parental leaves—and higher replacement rates for parental leaves—increased the total workload and care work borne by working women compared to those borne by working men. Conversely, the study found that longer paternity and shared parental leaves increased men’s participation in the provision of care.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se gendered time off effects were stratified by social cla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lasses in terms of wage replacement rate and shared parental leaves. These two policies increased the time spent on childcare for women and men in the lower class and decreased it for those in the upper class.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effect of taking time off from work can increase not only gender inequality but also social inequality in terms of the work–family arrange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First, the welfare states need to deliberate upon a more gender-sensitive approach in investing their welfare efforts by considering the gendered effects of cash, services, and time off. Second, the goal of the family policy should be to encourage “a dual-earner and dual-carer model,” as both women and men should be able to choose a suitable work–family arrangement for gender-egalitarian division of work.

      • Writing Across Layers of Precarity: Professionals' Digital Social Media Labor in Mental Health Advocacy

        Davis, Katlynne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University of Minn 2022 해외박사(DDOD)

        RANK : 232107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This dissertation examines how professionals’ routine social media and advocacy writing work is performed as digital labor within a national mental health nonprofit organization. As a conceptual focus, digital labor asks how types of work, such as social media writing, are ascribed value by workers and by the organizations they work for. Within the field of technical and professional communication (TPC), scholars have explored how social media facilitate workplace writing, and how individuals use digital technologies to advocate for the experiences of those with mental illness. Consisting of two case studies, this dissertation seeks to bridge these areas of focus by exploring how four social media professionals engage in the digital labor of creating mental health advocacy content for two state affiliate organizations of a mental health nonprofit. Through a modified grounded theory qualitative analysis, this study emphasizes how professionals’ social media and advocacy writing labor involved navigating different layers of precarity; professionals faced unique challenges as they were working within a nonprofit environment, as they communicated about mental health advocacy, and as they were using social media platforms to do so. Additionally, within these layers of precarity, social media professionals balanced different dimensions of advocacy, sought out social media tactics to support organizational strategies, and thoughtfully communicated to connect, disconnect, and express care. In considering the field of TPC, this project suggests that precarity can be a useful lens for studying digital, social TPC labor, or teaching TPC courses, because it can highlight how individuals perform the work of communicating against injustices or oppression.

      • Made into Strangers: An Account of Social Alienation

        Brinkerhoff Young, Daniel Walter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New York Universit 2022 해외박사(DDOD)

        RANK : 232075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In this dissertation I offer a new and systematic account of the concept of social alienation, rooted in a reading of Karl Marx and Frantz Fanon. In doing so, I overturn the dominant received understanding of alienation, both in popular and in critical social thought. Usually, alienation is taken to consist entirely of an individual's disposition towards any aspect of their life. But alienation in the tradition represented by Marx and Fanon, I argue, is primarily about the objective character of people's social relationships, and their response to it. This concept of social alienation is a way of articulating a sense in which people can be strangers to one another—"strangers" not in the sense of merely not knowing one another, but in the sense of lacking the right kind of basis to justify caring about one other for the other's own sake. People caring about one another in this way is a certain social good of community—the third, I argue, in the French Revolutionary trio, "liberte, egalite, fraternite"—and social alienation is the absence of this good. In this absence, the default is instead for people to disregard one another's value or treat one another merely as tools.However, according to this account of social alienation, these deficient relationships do not come just from bad individual behavior. Rather, we are made into strangers from one another by certain social forces—indifference and instrumentalization are actually baked into our patterns of social interaction. One example (from Marx): competitive market arrangements pit us against one another in pursuit of livelihood and desirable work. Another (from Fanon): racist social conditioning trains us to unconsciously treat certain people as worthy of being instrumentalized. Certain social conditions, therefore, rob us of this important good of community: community in which people experience others caring for them as valuable for their own sake, and to be able to see themselves as directly contributing to the lives of others for their own sake. Furthermore, when we relate to people as strangers in this sense, we experience those social bonds as constraining, a form of unfreedom.In Chapter 1, I develop an interpretation of Marx's early texts on alienation, arguing that his guiding question on alienation is what kinds of social and political structures allow individuals to be justified in treating others as ends in themselves, rather than as 'strangers.' Even Marx's famous discussion of alienated or estranged labor, I argue, is really about the character of the social relationships involved. In Chapter 2, I offer original arguments for Marx's conviction that overcoming alienation is in fact a form of freedom, and I reconstruct an ideal of freedom within social interdependence inspired by socialist and feminist traditions. In Chapter 3, I argue that Fanon takes up and develops this concept of social alienation to understand the character of social relationships in a racist society. Fanon innovates the concept in order to understand how racist ideology and practice create new forms of alienation that are internalized in the psyche, with monstrous and destructive results.

      • Rewriting the Martyr Teacher Myth: A Cartography of Women Social Studies Teachers' Gendered Labor

        Wheeler, Amelia Haynes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University of Geor 2022 해외박사(DDOD)

        RANK : 232047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In this study, I use Rosi Braidotti’s critical posthumanism to produce a cartography that tracks the production of gendered labor for five women social studies teachers. The project is intended to provide women educators in our field with a map of how their labor can become produced as a martyr-like sacrifice and the sites they found to produce their labor otherwise. This is a non-traditional dissertation as it utilizes theoretical and analytic texts to generate some of its data and presents its findings in the form of a “zine” or a homemade magazine.

      • 중국 서비스산업 직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진향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045

        중국 경제의 발전에 따라 중국의 산업구성이 크게 변화하였다. 3차 산업인 서비스 산업이 중국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서비스 질을 강조한 서비스 산업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 3차 산업은 1차 산업이나 2차 산업과 달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서비스 산업의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국가의 경제 발전 과정에서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국가들은 서비스 산업을 경제성장 및 발전의 중심으로 간주한다. 중국에서는 서비스가 국민경제를 구성하는 중요한 부분이고, 서비스 산업의 발전수준은 현대사회의 경제 발달 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이로 인해 서비스 산업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원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서비스 산업에 종사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중국 서비스 산업의 감정노동자들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의 영향관계에서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사회적 지원이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간에 조절의 효과를 미칠 것이다. 이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를 두 부분으로 나누었다. 한 부분은 이론에 대한 연구이다. 또한 다른 부분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즉 설문지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가설에 대해 정확하게 검증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총 252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220부를 회수하였으나,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11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사용된 유효 표본은 총 209부이다. 통계 분석으로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감정노동의 주의정도가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상사의 지원이 감정노동의 주의정도와 직무스트레스 간에 조절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를 기초로 서비스 산업에서 종사하는 직원들이 자기의 서비스 태도에 대해 신경을 쓸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많아질 것이고, 상사지원 수준이 높을수록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정(+)의 영향력은 더욱 줄어들 것이다. 또한 조직지원이 상사지원에 비해 많아도 직무스트레스를 줄이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development of Chinese economy, some great changes have taken place in China’s industrial structure. As the proportion of service industry, the third industry, is continue growing, therefore,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 industry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Different from the primary industry and the second industry, the service of the third industry is provided by the employees, so the staff plays an indispensable role in the progress of the service industry. In many countries, the service industry is regarded as an important driver of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Some countries, especially those who are competitive in the international economic exchanges, always regard the service industry as the basic point of economic growth, replacing the sunset industry and implementing structural adjustment. In China, the service industry, as an intermediate link, will affect the competitiveness of the economy through the interaction of its industrial activities and other services. Service industry is an important part of national economy, and the development degree of the service industry is an important sign that measures the economy, social modernization level.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employees in the service industry. In this study, the research object is the staff engaged in the service industry. We ne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and whether social support affects employee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In this study, there are two hypotheses: Hypothesis 1: the sense of labor has an impact on job stress. Hypothesis 2: supervisor support has a moderating effect on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In order to confirm the hypothesis,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is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and the other is questionnaire survey.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and analysis, we can verify whether the hypothesis is correct or not. In this study, 252 questionnaires were written and distributed to people. There are 220 questionnaire replies, but 209 of them are available for analysis.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degree of attention to emotional performance has a positive impact on job stress. 2. The supervisor support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emotional attention and job stress. The above findings indicate us: 1) people in the service industry who care more about their service quality will experience more pressure than those who do not. 2) The supervisors' support serves as a reducer for job pressure caused by attentional intensity of affection performance. 3) Despite of more support giving by organization than supervisors, the employees still face with much more job pressure.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 수행방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형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012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main and interactiv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social support in predicting turnover intention among care workers. For this purpose, the participants were 414 care workers at 19 long-term care facilities in Daegu city and Kyungpook provinc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multiple regression, and Interaction effect. The results showed that surface acting led to increases in subsequent turnover intention while deep and genuine acting did not effect in turnover intention. The analysis also confirmed that supervisor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acting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creating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of care worker is essential for reducing turnover intention, and that supportive work environment of supervisor is needed to retain care workers.

      • Extraction, Conservation, and Household Multiplicity in the Peruvian Amazon

        Ulmer, Gordon Lewis The Ohio State University ProQuest Dissertations & 2018 해외박사(DDOD)

        RANK : 232010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Thousands of Andean peasants migrated to the Peruvian Amazon to work in artisanal and small-scale mining as the international price of gold quadrupled in the 21st century. During this time, gold surpassed cocaine in revenue and usurped its place as Peru’s most profitable illicit export commodity. Amidst the gold rush, the past decade also witnessed a growing ecotourism economy that has capitalized on protection of areas with high rates of biodiversity in the Madre de Dios region. In this dissertation, I examine how contingent laborers and their households adapt to global processes of natural resource extraction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as they make a living in a rapidly developing region of the Peruvian Amazon where ecotourism and extraction are concurrently booming markets. Green business entrepreneurs, environmental NGOs, and other influential social actors in the region frame extraction and conservation as “contradictory forces” to promote ecotourism and other market-based conservation initiatives as the best responses to unbridled resource extraction. However, my research demonstrates that many households are unencumbered that these work opportunities are seemingly divergent or contradictory. Moreover, I show that households adopt creative strategies of shifting between formal and informal economies as they manage their precarity and work towards greater social mobility.In this monograph, I synthesize political economies of labor, household ecology, and social reproduction theory to construct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how families adapt to the concurrently booming economies of extraction and conservation. This framework helps to understand the agency of social actors in relation to the broader structural forces that limit their opportunities, from the household to the global economy. I identify how extractive lifestyles of the household are transmitted across generations and internalized by young individuals struggling to find their place in a rapidly changing world. This dissertation utilizes a combination of ethnographic methods including life-story narrative elicitation, shadowing, free lists exercises, multimedia elicitation, and digital modalities to understand the myriad forces that shape decision-making about work in extraction and conser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