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셜 데이팅 서비스의 등장에 따른 20-30대의 관계 맺기 방식 변화 : 20-30대 비혼 이성애자를 중심으로

        심성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3321

        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n the smartphone-base matchmaking service referred to as 'social dating app' and its users. Targeting the major membership of the service, who are in their 20s and 30s, this study examines the emergence of social dating apps, its use, and the consequent changes in their relationship and its formation. To this en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s employed in the form of in-depth interviews of social dating app users and business insiders as well as research of relevant literature. This allows an analysis of the subjective user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and an observation of how they construct their desire for forming a romantic and marital relationship. Also analyzed is the social dating 'market' with interviews with the service providers. The non-married in their 20s and 30s, dubbed as the 'Sampo(Giving up three things in life) Generation' and reputedly giving up romantic relationship and marriage, are effectively the main customer base of the exploding social dating app market. Thus, this study, designating the generation as 'Sampo Generation', began as an attempt to interpret their existential desire for romantic and marital relationship, largely dismissed or ignored by the existing discourses which simply reduce the generation as a helpless entity who has 'given up' getting married. The study reconstructs, on a rather personal level of analysis, a narrative of how their desire is formed and on what ground their style and forma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which has been largely overlooked to date. The highly personal-level observation the changes also has its value in terms of generation research in that it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tracking changes in the set of values regarding relationship and marriage among this generation. Moreover, this study analyzes the social implication and impact of the social dating apps, which are being accepted as a new 'dating tool/culture' among the non-married population in their 20s and 30s. The emergence and use of 'social dating app' and its impact on how the generation considers romantic relationship and marriage will be put under scrutiny, followed by an observation on the shifting forms of relationship creation and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online dating tool. This dissertation, five chapters in all, is composed of as follows: The first chapter, introduction, describes the background of research, the presentation of the research question and the subejct and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It is followed by literature review in the second chapter, stat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existing academic work. The third chapter examines social causes of the growth of the social dating service before classifying the service into different levels. The fourth chapter observes the use of the social dating apps by the subject group Sampo Generation, the non-married populace in their 20s and 30s, and how it is changing their relationship as well as its incepient stage. The conclusion in the chapter five sums up the main body of the study, presents the limitation and implication of the study and suggests further research. 본 논문은 ‘소셜 데이팅 앱social dating app’이라 불리는 스마트폰 기반의 매치 메이킹match making 서비스 및 그 사용자에 대한 연구이다. 소셜 데이팅 서비스 주요 사용자인 20-30대를 대상으로 소셜 데이팅 앱의 등장과 사용에 따라 이들의 만남과 관계 맺기의 방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연구한다. 이를 위해 실제 소셜 데이팅 앱 사용자 및 소셜 데이팅 서비스 관계자를 심층 인터뷰하고 관련 문헌을 연구하는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참여자들의 주관적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고 소셜 데이팅 앱 ‘시장’에서 사용자로 위치한 이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연애 및 결혼과 관련된 관계 맺기 욕망을 구성해 나가는지를 관찰했다. 더불어 소셜 데이팅 ‘시장’과 그에 대한 분석도 서비스 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함께 살펴보았다. 소위 연애와 결혼을 ‘포기’했다고 알려진 ‘3포 세대’에 위치하는 20-30대의 비혼들은 사실상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소셜 데이팅 앱 시장의 주요 고객층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3포 세대’라고 20-30대를 명명하며, 이들을 단순히 결혼을 ‘포기’한 무기력한 주체로 한정시켜온 기존의 담론들이 읽어내지 못하는 이들의 실존하는 연애 및 결혼 욕망을 읽어내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들의 욕망이 구성되는 과정과 연애 및 관계 맺기에 대한 방식이 변화하는 계기들을 좀 더 개인적인 차원에서 들여다봄으로써 삭제되어온 20-30대의 연애 방식과 관계 맺기에 대한 서사를 구성한다. 이 세대의 연애 및 관계 맺기 방식의 변화를 지극히 사적인 차원에서부터 관찰하는 것은, 이들의 연애와 결혼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를 추적해 볼 수 있는 시작점으로써, 세대연구의 의의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20-30대의 비혼들 사이에서 새로운 ‘데이팅 툴/문화’로 자리 잡아가는 소셜 데이팅 앱의 사회적 의미와 효과를 분석한다. ‘소셜 데이팅 앱’의 등장과 사용이 20-30대의 관계 맺기와 연애 및 결혼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사용자들의 만남 방식과 온라인 데이팅 툴에 대한 인식 변화를 관찰한다. 본 논문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서론으로, 연구자가 소셜 데이팅 앱 및 그 사용자를 연구하게 된 배경과 문제제기,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제2장은 문헌연구로, 본 논문의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에 대해 서술한다. 제3장은 소셜 데이팅 서비스의 사회적 성장 배경을 온라인 데이팅 서비스의 성장 및 활용과 함께 살펴보고, 소셜 데이팅의 층위를 분류한다. 제4장에서는 소위 ‘3포 세대’라 불리는 20-30대의 비혼들이 소셜 데이팅 앱을 사용하면서 그들의 만남과 관계 맺기 방식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나아가 그들의 연애는 어떻게 변하는 지를 살펴본다. 제5장은 결론으로, 본문의 내용을 요약하고 연구의 한계 및 시사점, 향후 과제를 제언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