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셰익스피어 비극의 여성상

        김경옥 한림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892

        This dissertation studies Shakespeare's women shown in his tragedies, Romeo and Juliet, Hamlet, and Othello from a woman's perspective. I have tried to investigate the ideologies of patriarchy upon which much in the plays has been based. In the process, I have revealed that patriarchy, with its view of women as subservient to men, often promulgated a dangerous male code that is inconsistent and/or impossible to navigate agreements with. I have tried to unearth the prejudices that have masqueraded as givens in much traditional criticism of Shakespeare. I tried to stress that sexuality can be seen as a life force, a pattern to ensure creation and mutuality, freed from the traditional binary and oppressive oppositions that classified women as evil/ lecherous and men as noble/ powerful. I want to emphasize that gender roles are not imposed upon characters biologically but culturally. When society oppresses women, their roles are oppressed. Tragedy has focused on gender issues glorifying male valor at the expense of women's identity and accomplishments. As Madelon Gohlke insightfully urges that the tragedies should be seen "as a vast commentary on the absurdity and destructiveness of the defensive posture" men assume in protecting their male identity and oppressing women. Unlike the traditional male hero of tragedy, in Romeo and Juliet, Shakespeare shows us how Juliet performs her role as a major tragic protagonist. She revolts against the oppressive authority and incongruity of her father and are secretly married to Romeo from the enemy family hoping to make an end to the destructive feud of both families. Romeo, on the other hand, under the male code of patriarchy, should display his masculine identity through violence against the enemy family, In the process, he kills Juliet's cousin Tybalt and is banished to Mantua. Owing to misfortunes, the young couple end their lives tragically. In Hamlet, the fratricidal, incestuous, usurper Claudius corrupts the Danish court. Hamlet tries to revenge his father and to remake his mother. Gertrude and Ophelia, although powerless in social and political senses, exert the greatest influence on Hamlet, Their power on him is such that he cannot accomplish his revenge unless he can dispel his misogyny generated by his mother's remarriage and reestablish his identity. By killing Polonius, Ophelia's father, accidently, Hamlet repents and accepts his role as scourge and minister of Providence. The women in Hamlet, Gertrude and Ophelia, suffer Hamlet's linguistic violence and oppression and prejudice of the male-centered society, They are obliged to keep silent even though they have gained clear insight. Only after her madness, Ophelia can give vent to her feelings and opinions freely, Both women die tragically caused by the poison of deep grief inflicted upon them by patriarchy. In Othello, the heroine Desdemona chooses the moor general Othello for her husband, seeking to live freely apart from the oppression of patriarchy. The Machiavellian devil-like villain, Iago who is obsessed with sexuality in his mind tries to destroy Othello's marriage by poisoning his mind with patriarchal male fantasy that his wife may be false to him and commit adultery with his lieutenant Cassio. The women in Othello, Desdemona, Emilia, and Bianca are submissive to their partners respectively and show no sign of infedelity, Yet the men accuse them of unchastity and oppress and make use of them. The violence the men display is so enormous as to kill their wives ruthlessly, Othello, who loves his wife yet intends to punish her for her (assumed) adultery to keep patriarchal society in order, flies into a sudden passion of sexual jealousy, smothers her and finds his absurdity and kills himself.

      • 한국 구전설화에 나타난 기생의 트릭스터적 성격과 의미

        남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857

        국문초록 본고는 한국 구전설화에 확인되는 기생의 트릭스터적인 성향에 주목하여 기생설화의 새로운 유형 분류를 시도하고, 구전설화 속 ‘트릭스터 기생’의 복합적인 양상을 여성주의 관점에서 살펴 그 의의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먼저 2장에서는 ‘거짓말이나 가식, 혹은 은밀한 방법을 통해 남을 속이거나 조종하는 의미’의 ‘트릭’이란 개념을 기준으로 삼아 ‘강자훼절형’과 ‘약자조력형’이라는 새로운 유형 분류를 설정하였다. 이 두 유형의 설화는 어떤 갈등에 대한 해결책으로 트릭이 실행되는 핵심 서사를 공유하지만 ‘강자훼절형’ 설화에는 트릭의 주된 목적이 강자를 훼절시키는 것이며 ‘약자조력형’ 설화에는 트릭을 통해 약자를 구출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라는 점에서 구별된다.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유사한 핵심 서사를 기준으로 각 유형을 3가지 하위 유형으로 다시 분류하였다. 3장에서는 2장의 유형 분류를 기반으로 각 유형에서 확인되는 기생의 여성성의 양상과 가부장적 사상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강자훼절형’의 설화에는 남성의 성욕을 정당화하는 동시에 기생으로 상징되는 여성의 성욕을 경계하는 가부장적 가치관이 반영된다. 하지만 기생은 이러한 가부장적 가치관을 구현하면서도 적극적으로 그 가치관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활용하기도 한다. ‘약자조력형’의 설화에는 기생이 괴로워하는 약자를 돕기 위해 자발적으로 나서는 도덕적이고 주체적인 여성으로 표현된다. 또한 성적 매력을 능동적으로 발휘하면서도 열녀로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실제로 기생이 이룬 것은 남성의 이상과 소원 혹은 하층민의 소원이며, 설화 속 기생의 모습은 여성의 행위주체성을 긍정하는 현대주의 사고방식이라기보다는 설화 향유자의 소원을 성취하는 문학 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한 결과라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 두 유형 모두에서 파괴적이면서도 회복을 이루는 이중적 성향을 지닌 기생은 가부장적 사회에서 통제되어야 마땅한 주체성과 힘을 발휘하면서도 긍정적인 특권을 누리고 가부장제로부터 어느 정도 자유로움을 누리는 입체적인 인물의 모습을 갖는다. 4장에서는 기생이 자신의 주변성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사회를 변화시키고 자기가 변화시킨 사회 중앙으로 이동한다는 것을 기준으로 삼아 진정한 여성 트릭스터임을 확인하였다. 강자훼절형 설화에는 기생이 트릭을 통해 남녀 관계를 중심으로 엄격했던 기존 질서를 인간성과 동정심을 우선시하는 변이된 질서로 대체한다. 그 결과 남성 간에 커뮤니타스가 형성되며 이는 곧 남성 제보자들로 인해 조선 시대를 거쳐 20세기에까지 이 설화들이 계속해서 전승되고 향유되는 이유가 된다. 한편으로 트릭스터 기생은 남성에게 유리한 도구로 여겨지기도 하며, 다른 한편으로 사회적 유대감과 평화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인물로서도 기능하여 진정한 트릭스터다운 이중적 성향을 지닌다. 약자조력형 설화의 기생은 트릭을 통해 강자를 몰락시키고 약자에게 권력을 넘기는 방식으로 사회를 뒤집는다. 기생은 이런 면에서 정의를 이루고 사회 약자의 소원을 성취시켜줌으로써 그들에게 위안과 희망을 제공하는 문학 장치로서 기능한다. 때문에 약자조력형 설화는 남녀노소로부터 보편적인 호소력을 갖는다. 하지만 이는 한편으로 트릭스터 기생이 언제든지 사회를 자발적으로 다시 조율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녔음을 반증한다. 다음으로 본고는 사회 변두리에 위치했던 트릭스터 기생이 자신이 변화시킨 사회의 중앙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것은 신분 상승을 통해 이루어지기도 하고, 기생의 정체와 모순되던 기존 질서를 기생의 정체를 포용하는 질서로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약자조력형 설화의 기생은 능력과 지능을 무시당하는 여성으로서의 신분을 통해 사회적 변화를 남성보다 쉽게 이루는 전형적인 여성 트릭스터로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강자훼절형의 트릭스터 기생은 남성으로부터 능력과 교활함을 지닌 여성으로 인정받음으로써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기회를 부여받는다는 측면에서 독특하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문헌설화 속 트릭스터 기생의 면모와 기능을 구전설화 속 트릭스터 기생과 비교하였다. 첫째, 구전설화에서 확인되는 사회적 변화를 일으키는 기생의 능력이 대다수의 문헌설화 각편에서는 축소된다. 둘째, 문헌설화에서는 구전설화에서보다 기생의 면모와 성격이 단순하고 일차원적인 경향이 있다. 문헌설화에서는 기생을 남성의 명령에 따라 몸을 바치는 여성, 남성을 홀리는 뛰어난 미를 지닌 여성, 남성을 끌어내릴 수 있는 저급한 여성으로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이 반영된다. 또한 문헌설화와 소설에서는 양반 채록자·작자가 자신의 도덕성을 증명하고 교훈을 주려는 노력에 의해 기생에 대한 표현이 제한적이다. 대부분의 문헌설화에서는 기생이 사회윤리에 어울리는 모습을 취해야만 사회 변두리에서 사회 중심으로 들어간다. 이와 달리 구전설화에서 기생은 사회 변두리에 위치한 특권을 누리는 인물로서 성욕의 자연스러움, 억제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 사회적 변혁의 가능성 등을 상징하는 역할을 한다. 구전설화에서 기생은 문헌설화에서보다 복합적인 인물로 표현되고, 복합적 모습 그대로 인정을 받고 사회 중심에 자리매김한다. 주변적 인물로서 기생이 지닌 유연성이 구전설화의 흥미 위주의 전승 성향과 맞물려, 구전설화의 기생은 문헌설화에서보다 사회를 변화시키는 트릭스터로서 더욱 생명력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생의 모습을 통해 사회적 변두리에 있는 인물을 무대의 중앙으로 끌어오는 구전설화의 기능을 엿볼 수가 있다. 주요어 : 한국구전설화, 기생설화, 기생, 강자훼절형, 약자조력형, 트릭, 트릭스터, 여성성, 가부장제 학 번 : 2016-27551 This thesis departs from the premise that the manifestation of patriarchal values in gisaeng folktales is a more complex issue than past research has assumed. With this in mind, this thesis is aimed towards examining the portrayal of gisaeng in oral folktales from a feminist perspective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gisaeng’s trickster-like nature. In chapter 2, based on the nature of the ‘trick’ (a concept defined within this paper as the ‘act of deceiving or making a fool out of someone through lies, pretense or secretive methods’) performed by the gisaeng, this paper divided the tales of gisaeng containing a trick motif into two categories: ‘Gangjahwaejeol-hyeong’ and ‘Yakjajoryeok-hyeong’. Both types of tales are centered around the performance of a trick as the solution to a conflict. However, in ‘Gwangjahwaejeol-hyeong’ tales, the primary aim of the trick is to bring down the powerful by making them betray their values while in ‘Yakjajoryeok-hyeong’ tales the trick is primarily used to help the weak and disadvantaged. For the purpose of a more in-depth analysis, this paper then divided each type into three smaller types by discerning the most prominent patterns of narrative within each type. In Chapter 3, this paper examined the gisaeng’s portrayal in each type, and its significance, in consideration of its relationship with the patriarchy. The ‘Gangjahwaejeol-hyeong’ tales reflect the patriarchy‘s justifcation of male sexual desire and wariness of female sexuality which the gisaeng symbolizes. However, while embodying these patriarchal values, the gisaeng in these tales also use these values to their advantage. In ‘Yakjajoryeok-heyong’ tales, the gisaeng is portrayed as a morally-upstanding figure who possesses agency, choosing of her own accord to help the disadvantaged and disheartened. She is also praised as a ‘virtuous woman’ despite actively capitalising on her sexuality. However, what she achieves through her tricks is the realization of the hopes and ideals of men 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Therefore, rather than reflecting a modernistic attitude in support of female agency, a more suitable interpretation would be that the gisaeng in these tales acts as a literary device that imaginatively satisfies desires for hope-fulfillment. In both tales, the dual-natured gisaeng who both destroys and restores enjoys positive affirmation and privileges and a certain level of freedom from patriarchal oppression despite acting in a manner antithetical to patriarchal views. In Chapter 4, this thesis confirmed the gisaeng’s trickster identity by identifying the manner in which she uses her marginality to transform society and then re-establishes herself in the centre of that society. In ‘Gangjahwaejeol-hyeong’ tales, the gisaeng’s tricks replaces the excessively rigid fabric of society with one that priorities compassion and empathy. As a result, she establishes a ‘partial communitas’ among men that transcends hierarchical divides. On one hand, the trickster gisaeng acts as a tool used for the benefit of men, but at the same time she also holds power as a necessary figure for the establishment of peace and solidarity. In ‘Yakjajoryeok-hyeong tales, the gisaeng reverses the existing social order by bringing down the powerful through her tricks and hands power over to the weak and disadvantaged. By thus establishing justice, the gisaeng acts as a literary device for the wish-fulfillment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to whom she provides comfort and hope. However, the trickster gisaeng in these tales also possesses the power to destabilize the restored social order again at any time according to her desires. Next, this paper investigated the ways in which the gisaeng re-establishes herself at the centre of the society she has transformed. In some tales, this is achieved in the form of an elevated social status, while in others it is achieved by the gisaeng changing the social order from one that rejected her to one that embraces her. The gisaeng of the ‘Yakjajoryeok-hyeong’ tales are like other female tricksters in the sense of achieving social change more easily than male tricksters by using the patriarchy’s tendency to assume women’s ignorance to her advantage. The gisaeng of the ‘Gangjajoryeok-hyeong’ tales, however, are unique in that they are able to transform society because of the recognition they receive from men for their ability and wiliness. Finally, in Chapter 5, this thesis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of the trickster gisaeng in oral folktales to that portrayed in written literature. Firstly, in the versions of the tales that are transmitted in the form of written text, the gisaeng’s abilities and role as a trickster are diminished. Secondly, the portrayal of gisaeng in written literature tends to be more simple and straightforward. In contrast, in orally transmitted versions of the same tales, the gisaeng enjoys more power and freedom as a symbol of the naturalness of sexual desire, the hope of escape from repression and the potential for social change. She is accepted into society as a woman who is both ‘lewd’ and 'virtuous', destructive and restorative. The flexibility of the gisaeng as a marginal figure is activated to its full potential within orally transmitted tales due to their nature as stories that are crafted for the sake of entertainment without concern for consistency or the preservation or assertion of moral ideas and values. The trickster gisaeng demonstrates the oral folktale’s ability to bring minority figures who sit on the brink of society into the centre stage. Keywords: Korean Oral Folktales, Gisaeng Folktales, Gangajahwaejeolyeong, Yakjajoryeokhyeong, Trick, Trickster, Feminity, Patriarchy

      • 허스턴의 Their Eyes Were Watching God에 나타난 흑인 여성의 정체성 추구와 그 한계

        이수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856

        할렘 르네상스의 주요 일원인 허스턴은 그녀의 작품을 통해 흑인 여성의 저항적 목소리를 대변한다. 본 논문에서는 허스턴의 흑인 여성의 주체성과 목소리 회복을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타자의 위치로 전락하는 흑인 여성의 한계를 연구한다. 본 논문은 Their Eyes Were Watching God이 할렘 르네상스의 정신을 가득 담은 작품이라는 호평을 받고 있지만 그 이면에 나타나는 가부장제와 흑백 갈등의 억압으로 인한 흑인 여성의 주체성 회복의 실패를 해석한다. 백인 중심사회와 가부장제의 이중 억압을 견뎌야 하는 흑인여성의 삶은 노예제 폐지 전의 상황과 변함없고, 억압적 현실로부터의 해방을 위한 저항과 투쟁은 계속되지만 그들이 극복 해야 하는 현실의 벽은 높다.본 논문의 서론에서는 할렘 르네상스의 배경과 이 시기에 흑인 작가들이 예술적 활동을 통해 흑인의 새로운 이미지를 구축 하려했던 방식을 논의한다. 또한 이 시기에 출간된 작품들과 흑인 작가들의 계몽운동이 흑인과 백인 대중들에게 미친 영향을 연구한다. 뿐만 아니라 이 시기의 대표적 작품인 Their Eyes Were Watching God의 비평 흐름을 다양한 각도에서 살펴본다. 2장에서는 허스턴의 글쓰기를 살펴본다. 그녀가 흑인 문화의 재건, 부활, 그리고 계승을 위해 채택한 글쓰기 방식과 이러한 글쓰기 방식의 의미를 연구한다. 주인공 제니는 흑인 여성으로서 흑백 갈등이 심화된 현실에서 인종적 범주를 초월하여 주체성을 획득하려는 인물이다. 그러나 그녀의 투쟁에도 불구하고 인종적 억압에서 탈피하지 못하는 타자로서의 한계를 3장에서 지적한다. 작가가 흑백 갈등이라는 사회적 문제를 배제하고자 택한 배경인 미국 남부의 흑인 공동체에서도 흑인들에게는 탈피하기 어려운 차별의 현실이 존재한다. 4장에서는 가부장제의 피해자인 주인공의 모습을 고찰한다. 제니가 여성으로서의 삶의 책임감과 주체성을 찾기 위해 투쟁하지만 세 번의 결혼을 경험한 이후에 여전히 성적으로 주변화 되고 흑인 여성의 정형화된 이미지를 답습하고 있음을 읽어낸다. 끝으로 결론에서는 허스턴이 글쓰기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목적과 주인공의 성적, 인종적 주체성을 구축하려는 노력의 한계를 지적한다. Their Eyes Were Watching God은 당시 독자들에게 흑인여성의 입장을 대변하는 급진적이고 전복적인 작품으로 평가 받기도 한다. 또한 흑인 문화를 예술로 승화시키는 중추적 역할을 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흑인 여성의 선구자적 위치를 구축한 주인공이라는 긍정적 해석 보다는 자신의 주체성과 자아 회복을 위한 노력 이면에 나타나는 저항의 한계를 지적하는데 중점을 둔다. 성적, 인종적 범주를 초월한 한 인간으로서의 삶을 개척하려는 주인공의 투쟁은 승리하지 못하고 가부장제와 흑백의 이분법적 구도 하에 단지 저항에 지나지 않다는 것이 본 논문의 입장이다. Zora Neale Hurston, one of the most prominent writers of the Harlem Renaissance, advocates resistance on the part of black women in her writing. Despite Hurston’s efforts to recover black women’s identity and voice, social conditions have placed limitations on these women that have forced them to be inevitably the Other. Although Hurston’s work has been praised for containing the full sprit of the Harlem Renaissance, this thesis examines the failure of one black woman’s attempts to retrieve her subjectivity that has been lost due to the patriarchy and oppression of white society. Their Eyes Were Watching God represents this woman’s hopeless life that has followed in the footsteps of a long history. The women she represents have had to endure beneath the pressure of patriarchy and white supremacy, and like them, her life has remained unchanged since slavery. Even though she desperately struggles to free herself from it, the reality she faces and must overcome is far from her hope.The introduction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Harlem Renaissance and the Black writers’ artistic efforts to develop an image of the New Negro in this period. It also examines other works of the Harlem Renaissance and the influence on readers by the Black writers’ enlightenment movement. The critical views of both those in favor and opposed to these works are shown. In Chapter 2, we study Hurston’s writing methods, regarding them as a resistance that sets out to reconstruct, revive, and inherit the blacks’ unique culture, a significant aspect of her traditional way of writing. Hurston’s protagonist, Janie, is a black woman who attempts to transcend her limited racial boundaries created by oppression and to establish her own personal identity. Despite her efforts, she fails to escape racial oppression and remains the Other. Chapter 3 analyzes Janie’s otherness. This novel is set in Southern Florida, in a black community. The author intentionally tries to eliminate racial oppression in her work, but racial discrimination still exists. In Chapter 4, we observe the protagonist as a victim of patriarchy. She fights to search for her own destiny in life and find subjectivity as a black woman. During her three marriages, however, she never goes beyond the fixed images of a black woman, and she retains her otherness. In the concluding chapter, we study Hurston’s purpose as a writer and the messages she explores in this novel, reflective of her writing. It also examines the limitations of the protagonist’s efforts to build racial and sexual subjectivity. Their Eyes Were Watching God was favorably accepted by contemporary readers as a radical and subversive work that spoke for black women. Moreover,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is novel functioned in an important role to sublimate black culture into an art. This thesis, however, stresses the limitations that the protagonist reveals in her desperate efforts to establish identity and discover self. The protagonist is unsuccessful in developing a life that transcends racial and sexual boundaries; her struggle remains a hopeless resistance beneath both patriarchy and white supremacy.

      • 고학력 무자녀 가족 여성의 삶의 경험을 통해 본 젠더 질서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연구

        이지영 충북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844

        This paper is to delve into how the social structure of gender oppressions make a sample of married women decide not to bear children at a micro level, what these women experience motherhood in the process of that decision making, which kind of changes and cracks their motherhood experiences bring out, in the gender relations and on dominant ideology of patriarchy. From interviews with a sample of 10 highly-educated married women who have no children, as well as from a literature review on motherhood ideology and sexual division of labor, it found out some answers to the research questions. These women were all in the situation of dual oppression. One is the pressure that the ruling ideology of motherhood forces them to give birth child. The other is the repression that the work-centered structure of society prevents them from having offspring. Such a contradictory oppression operates as the main mechanism with which all the women feel as if their motherhood were a paradox, thus forming childless family. It is the resultant form of childless family that women want to have their babies, but live without babies because of their situations(situational paradox). On the contrary, it is the intentional type of childless family that their responsibility for parenting is too strong to have babies(optional paradox). Its study results also shows that the women’s economic activities are gradually increasing, that their self-identities are rapidly changing, but that their gender relations within family are slowly changing. Nevertheless, these childless women, with whose partners live a equal life without children, have some emancipatory implications for the change of patriarchal gender structure. 이 논문은 고학력 무자녀 가족 여성을 대상으로 젠더 억압의 사회 구조가 어떻게 출산 포기를 선택하도록 강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며, 그 과정에서 이들 여성이 겪는 모성 경험의 의미는 무엇이고, 그것이 기존의 젠더 관계와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어떤 형태의 변화와 균열을 초래하는지를 밝혀내려는 탐색 목적의 연구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가부장제의 젠더 질서를 유지하고 재생산하는 모성 이데올로기, 성별 노동 분업구조에 대한 문헌연구와 고학력 무자녀 가족 여성 10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드러난 중요한 사실은 표본의 여성들이 이중 억압 상태에 놓여있다는 것이다. 하나는 모성 이데올로기에 의한 출산 강요의 압력이고, 다른 하나는 일과 성취 중심으로 재편되어가는 사회구조에 의한 출산 포기의 압박이었다. 서로 모순되는 이중의 억압이 여성들로 하여금 무자녀 가족 형성의 ‘역설적 모성’을 경험하도록 강제하는 기제로 작용했다. 그래서 자녀를 출산하고 싶었으나 상황이 여의치 않아서 어쩔 수 없이 자녀가 없는 삶을 살아가고 있는 여성의 모성 경험을 ‘상황적 역설’의 모성 경험으로, 그 가족을 ‘결과적 무자녀 가족’으로 분류했다. 그리고 책임감 있는 부모가 되고자 스스로 부모가 되기를 포기한 여성의 모성 경험은 ‘선택적 역설’의 모성 경험으로, 그 가족은 ‘계획적 무자녀 가족’으로 구분했다. 두 부류의 무자녀 가족 여성들의 삶이 보여주는 또 다른 사실은 여성의 사회 진출과 경제 활동은 점차 확대되고, 여성들의 삶은 일을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어 가는 반면에, 가족 내 젠더 관계의 변화는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무자녀 가족 여성들의 모성 경험이 함축하는 사회적 의의가 자못 크다고 하겠다. 임신과 출산을 통해 남녀 관계가 더욱 가부장적인 성역할의 위계로 구조화되는 현실을 고려하면, 자녀 없이 평등한 부부 관계를 지향하며 동지적 결합을 유지하는 무자녀 가족 여성들의 삶은 그 자체로 여성에게 해방적인 의의를 지닌다.

      • 『기억보유자의 딸』에 나타난 여성의 타자성과 주체성

        황지원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843

        ABSTRACT Otherness and Subjectivity in The Memory Keeper's Daughter Hwang Ji Won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examines the two main female characters of Kim Edwards' The Memory Keeper's Daughter(2005), based on Feminism theory. The novel is about two families' happiness and misery caused by the incident that a baby with Down's syndrome is born. Looking at the novel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m, the two female protagonists from each family, Norah and Caroline, appear to have the contrasting characters respectively. While Norah is depicted as the Other in the relationships with men, Caroline is characterized as a woman living an independent life. The first part deals with Norah's Otherness. Representing the woman who is subordinate to the traditional gender role, Norah shows submissive and self-sacrificing characters. She only does housework and takes care of her husband and son. Her husband, David, considers Norah as the passive being and makes her exist in the position of man's Other. Therefore, she is objectified and marginalized by his own norms and values; and her Otherness lasts, for she internalizes it. Though she tries resisting the Otherness imposed on herself, but there is a limit to such a trial. The second part addresses Caroline's subjectivity. Caroline refuses the stereotyped image of the female defined by patriarchy. She is not the weak woman who needs to be protected by a man, rather she can protect someone with a tough spirit considered as a male preserve. She also creates her life with her own subjectivity rather than living a life dependent on a man. Meanwhile, building a strong bond with other women who are in the same situation with herself lets Caroline attain and keep her subjectivity. Those women make their lives meaningful and increase the value of their existence one another. In conclusion, on the basis of Feminism theory,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he two contrasting female characters in The Memory Keeper's Daughter by Kim Edwards. From the viewpoint of Feminism, the question of whose life is better and happier can be raised. Lots of feminists are likely to say that Caroline, who struggles for the same position as men in her family and society, lives a more meaningful and valuable life as a woman than Norah, who fails to escape from living as a man's Other. Key words: The memory keeper's daughter, Feminism, Patriarchy, Woman, Otherness, Subjectivity

      • 미국 유색인종 디아스포라 여성의 정체성회복 : 『더 컬러 퍼플』과 『여인무사』를 중심으로

        박선희 창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841

        This thesis explores Alice Walker’s The Color Purple and Maxine Hong Kingston’s The Woman Warrior and aims to illuminate the given conditions of minority women in making their identity. They treat the question of diasporic identity, pointing out that especially the descendents of immigrants cannot avoid the question on their identity because social discrimination, which does not approve them as proper social members, compels them to create new identity without resort to the mainstream culture. By showing that the heroines of the novels experience discrimination even in their own ethnic communities, both writers imply that social change would not be so easy to make, but present the possibility that they will recover their dignity through their attempt to make new identities. The change begins with the understanding of homeland culture. Celie in The Color Purple recovers her ethnic identity through her sister Netti’s letter from Africa. Nettie, who gives Celie good information of African culture and heritage, makes it possible for Celie to criticize white mainstream society and realize her miserable situation. Kingston in The Woman Warrior, distanced emotionally from her mother, adores mainstream American culture, but recognizes that she cannot approve herself without understanding her mother and her cultural homeland. Two authors also share the same concern about the problems of ethnic patriarchy. Against the enforced silence by patriarchy the heroines of two works endeavor to raise their own voice. While Celie becomes independent by leaving Albert and making trousers, Kingston finds a path to her own identity by writing Chinese story in her own words and making herself a woman warrior.

      • <콩쥐팥쥐> 설화 연구 - 세계 <신데렐라> 유형 설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자자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840

        국문초록 본 논문은 <콩쥐팥쥐> 설화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신데렐라> 유형 설화와의 비교를 통해 <콩쥐팥쥐> 설화의 특수성과 위상을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콩쥐팥쥐> 설화 연구사에서 쟁점이었던 <콩쥐팥쥐> 설화의 독자성을 규명하고 <신데렐라> 유형 설화 내에서 그 위상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제Ⅱ장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신데렐라 설화군’의 유형을 재정리하여 <신데렐라> 유형 설화의 기본화소를 확정하였다. <신데렐라> 유형 설화의 기본서사는 불행한 주인공이 조력자의 도움을 받아, 신발 분실과 신발 시험을 통해, 귀인과 결혼하여 행복한 결말을 맞는 내용으로 정리된다. 기본화소와 기본서사에 더하여 <친절하고 불친절한 자매 이야기>와 결혼후일담인 <검은 신부와 흰 신부 이야기>를 포함하는 <콩쥐팥쥐> 설화도 <신데렐라> 유형 설화에 해당된다. 덧붙여 ‘신데렐라 설화군’ 자료집과 민담 자료집 등에서 <신데렐라> 유형 설화를 찾아내 자료 목록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신데렐라> 유형 설화의 각편을 제시한 후 <신데렐라> 유형 설화의 하위 유형을 분류하였다. 본고는 처음으로 <신데렐라> 유형 설화의 기본화소를 기준으로 하여 <신데렐라> 유형 설화의 하위 유형 분류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신데렐라> 유형 설화의 두 가지 하위 유형이 확인되었다. 첫째는 「처벌형」이고 둘째는 「비처벌형」이다. 이 두 가지 유형에서 각각 적극적인 「처벌형」, 소극적인 「처벌형」, 소극적인 「비처벌형」과 적극적인 「비처벌형」의 처벌 방식이 확인된다. 이 중 한국의 <콩쥐팥쥐> 설화는 「처벌형」에 속하며 소극적인 「처벌형」과 적극적인 「처벌형」이 확인된다. 이어서 <콩쥐팥쥐> 설화의 화소와 서사를 살펴보았다. <신데렐라> 유형 설화에 속한 <콩쥐팥쥐> 설화의 화소를 검토한 결과, <신데렐라> 유형 설화의 핵심화소 가운데 <콩쥐팥쥐> 설화에서는 특히 소와 젓갈이 주목된다. 또한, <콩쥐팥쥐> 설화에는 특이화소로 금기‧위반, 꽃‧구슬이 나타난다. <신데렐라> 유형 설화와 <콩쥐팥쥐> 설화의 서사와 화소를 살펴본 결과, <콩쥐팥쥐> 설화는 결혼후일담 즉 재생 서사와 처벌 화소를 가지고 있는 이야기라고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론은 화소와 서사적 측면에서 <신데렐라> 유형 설화 가운데 <콩쥐팥쥐> 설화의 위상을 보여준다. 제Ⅲ장에서는 <신데렐라> 유형 설화의 핵심화소인 소, 물고기 조력자가 <콩쥐팥쥐> 설화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한국 사회와 설화에서 소와 두꺼비의 상징성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소는 농경사회, 두꺼비는 재물과 복을 상징하는 동물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신데렐라> 유형 설화에서 확인되는 조력자의 피살, 죽음 등의 설화적 기능을 밝혀 <콩쥐팥쥐> 설화에서 소로 변한 생모의 죽음은 낮은 가치(인간)가 높은 가치(초월적 조력자)로 전환되는 과정을 의미한다고 해석하였다. 이어서 처벌 방식이 되는 젓갈 화소를 검토하였다. <콩쥐팥쥐> 설화에서 젓갈은 식인 문화와 관련이 있다기보다는 설화에서 흔히 확인되는 강제적인 식인에 해당한다고 해석하였다. 다음으로, <콩쥐팥쥐> 설화의 특이화소인 금기·위반과 꽃·구슬을 다루었다. <콩쥐팥쥐> 설화에서 금기는 과거와 현재의 삶을 경계 짓는 역할을 한다. 주인공은 신랑이 부여한 금기를 위반하였다가 죽음을 당한다. 살해를 당한 주인공은 나중에 꽃과 구슬로 변했다가 다시 살아난다. 여기서 꽃은 생명의 상징물이며 약한 존재물이다. 그런데 꽃에서 구슬로 변하면서 아궁이에서 다시 살아날 수 있었던 것은 조왕신 덕분에 가능하였다고 해석하였다. <콩쥐팥쥐> 설화의 주인공은 집안일 및 농경사회와 관련된 노동을 해 본 여성이기에 조왕신을 모시는 공간인 아궁이에서 살아남고 재생될 수 있었다. 이처럼 <콩쥐팥쥐> 설화에 등장하는 재생담을 한국의 문화적 맥락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어서 <신데렐라> 유형 설화와 <콩쥐팥쥐> 설화의 핵심화소 및 특이화소와 관련된 서사를 논의하였다. 우선 가부장제 문화와의 관련성이다. 다른 <신데렐라> 유형 설화와 비교해 볼 때 <콩쥐팥쥐> 설화의 계모는 주인공을 학대하면서도 주변 사람과 남편을 의식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면에서 <콩쥐팥쥐> 설화의 학대담은 특히 한국의 가부장제를 반영하고 있다. 아울러 <콩쥐팥쥐> 설화의 조력자 서사와 처벌 서사에 농업사회와 어업사회의 영향이 반영된 양상을 확인하였다. <콩쥐팥쥐> 설화에서 조력자 소는 어머니의 넋으로 나타난다. 소로 변한 어머니는 <콩쥐팥쥐>의 각편 대부분에 나타나면서 농사와 관련된 일을 도와주고 있는데, 이는 다른 <신데렐라> 유형 설화와의 중요한 차이점이다. 소와 물고기가 나타나는 지역을 살펴보면, 소의 도살을 기피하여 물고기가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물과 가까운 전승 지역에서 조력자가 물과 관련 있는 동물로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콩쥐팥쥐> 설화의 경우 소는 물고기로 변형되지 않고 소와 동시에 두꺼비가 나타난다. 그 다음으로, <신데렐라> 유형 설화와 <콩쥐팥쥐> 설화의 처벌 화소인 젓갈에 대해 고찰하였다. <콩쥐팥쥐> 설화의 처벌 방식으로 젓갈이 등장하는 각편이 있는데 신랑은 의붓자매를 난도질하여 젓갈로 담아 계모에게 보내고, 계모는 그 젓갈을 다 먹은 다음 사실을 알게 되는 형식이다. 이런 복수담은 한국을 비롯하여 아이슬란드, 베트남,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등에서도 확인된다. <신데렐라> 유형 설화에서 의붓자매를 젓갈로 만드는 처벌은 전승 지역의 음식 문화와 관계있다고 본다. <신데렐라> 설화의 주요 화소를 전승 지역의 위치에 따라서 살핀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신데렐라> 설화의 조력자에 대하여 새로운 해석이 가능하였다. <신데렐라> 설화의 소가 물고기로 변형되는 것은 인도의 문화적 영향보다 <신데렐라> 설화가 전승되는 지역과 관련이 있다. 인도의 <신데렐라> 설화 중 물고기가 조력자로 나타나는 각편들의 전승 지역을 살펴본 결과 해당 전승 지역에 바다나 강이 있다는 점이 확인된다. <신데렐라> 유형 설화에서 조력자인 소가 물고기로 변형되어서 나타나는 것은 인도의 문화적 영향 때문이 아니라 <신데렐라> 설화가 전승되는 지리적 특징과 관계가 깊다는 것을 밝혔다. 다음으로, <신데렐라> 유형 설화 내에서 <콩쥐팥쥐> 설화의 특수성을 규명했다. 다른 나라의 <신데렐라> 설화에서는 소와 젓갈 중 하나만 확인되지만 한국은 이 두 가지 화소를 모두 가지고 있는 유일한 나라이다. 물과 관련된 동물인 두꺼비가 소와 동시에 조력자로 나타나는 점, 대륙에서 나타나는 소와 해양 지역에서 나타나는 젓갈이 모두 나타나는 점 등이 그것이다. 이 두 가지 양상은 한국의 지형, 음식 문화와 농경‧어업 사회의 공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후 <콩쥐팥쥐> 설화 주인공의 재생 과정에서 확인되는 금기‧위반과 꽃, 구슬에 대해 다루었다. 본고는 <콩쥐팥쥐> 설화의 특이한 재생 과정을 세계 <신데렐라> 설화 자료를 통해 면밀히 검토하여 재확인하였다. <콩쥐팥쥐> 설화에서는 신랑의 금기가 특정한 상황을 촉발시킨다는 점이 주목된다. 금기를 비롯하여 주인공이 의붓자매를 쫓아내려는 노력과 의붓자매가 주인공을 속이려는 노력 등이 자세히 이야기되고 있다. 이어서 <콩쥐팥쥐> 설화의 조력자 서사와 재생 서사를 살펴보았다. <콩쥐팥쥐> 설화에서 신랑은 부인에게 금기를 부여하는데 주인공은 그 금기를 어겨 살해당한다. 신랑과 주인공은 의붓자매와 계모가 충분히 주인공을 해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있었지만 주인공은 의붓자매의 속임에 넘어가 살해당한다. 금기위반으로 부부가 이별한 뒤 주인공이 시련을 겪고 나서야 재결합하게 되는 이야기는 <나무꾼과 선녀>, <구렁덩덩신선비> 등 한국의 다른 설화에서도 흔히 확인되는 서사구조이다. 나아가 <콩쥐팥쥐> 설화의 재생 서사가 한국 설화와 고전작품과 상호텍스트성을 구축하고 있음을 밝혔다. 특히 <콩쥐팥쥐> 설화와 마찬가지로 계모학대 서사와 재생 서사를 가지고 있는 <장화홍련전>의 재생 서사를 검토하였다. <장화홍련전>과 유사하게 <콩쥐팥쥐> 설화에서도 재생서사 즉 결혼후일담이 전승 집단의 보상 심리에 기반하여 전승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상의 비교 연구 결과 <콩쥐팥쥐> 설화의 독자성은 다음과 같다. <콩쥐팥쥐> 설화는 한국의 가부장제와 젓갈 음식 문화, 생업 수단(농업‧어업의 공존), 지역적 조건과 더불어 한국 고전작품과 상호텍스트성을 반영하고 있는 이야기라는 점에서 다른 <신데렐라> 유형 설화와 구별된다. 마지막으로 제Ⅳ장에서는 <신데렐라> 유형 설화와 <콩쥐팥쥐> 설화의 비교연구의 의의를 규명하였다. 본고의 연구 모델은 향후 <신데렐라>처럼 세계적으로 광범위한 전승을 보여주는 설화의 비교 연구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Abstract A study on Kongjwi and Padjwi tales -Comparative analysis with Cinderella tales from around the worl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distinct features and status of Korean Cinderella tale, Kongjwi and Padjwi amongst Cinderella tales from around the world. This has long been an unsolved query in the study of Kongjwi and Padjwi tales. This research thereby conduct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Cinderella tales from around the world and Kongjwi and Padjwi tale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latter. Following is a chapter wise summary of this research. Chapter Ⅱ rearranged the tale-types classified under ‘Cinderella Cycle’ along with determining the basic motifs and narrative of Cinderella tales. This process was essential to have a vivid demarcation between Cinderella tales and other similar tales of ‘Cinderella Cycle’. The basic narrative of Cinderella conveys the story of a persecuted heroine who receives magical help from supernatural helpers and meets a happy end by being able to marry a noble husband through her lost shoe and consequent shoe-marriage test. Cinderella tales were analysed to have five basic motifs and they are 1. Persecuted heroine 2. Supernatural helpers 3. Lost shoe 4. Shoe-marriage test and 5. Happy ending. Tales like Kongjwi and Padjwi were also defined as Cinderella typed tales because these tales included The Kind and Unkind Girls tale and White Bride and Black Bride tale along with the basic plot of Cinderella tale. After defining the scope of Cinderella tales, they were classified for the first time as per the above five basic motifs. Two sub-categories of Cinderella tales could be found and they were namely; 「Punishment type」 and 「Non-Punishment type」. Both of them were again sub-divided into Active and Passive depending upon the means employed for conveying punishment and pardon. Kongjwi and Padjwi tales fall under 「Punishment type」 and have Active and Passive punishments (villain nemesis). Later motifs and narrative of Kongjwi and Padjwi tales were studied and it could be determined that Kongjwi and Padjwi tales have cow/fish and jeotgal (salted fish) as Core motifs along with taboo, flower and bead as Distinct motifs. Kongjwi and Padjwi tales were also found to have an after-marriage narrative and punishment motif and these two features could define the status of Kongjwi and Padjwi tales amongst Cinderella tales from around the world. In chapter Ⅲ, Core motifs and Distinct motifs of Kongjwi and Padjwi tales were studied. The symbolism of cow and toad in Korean society and folk were determined and it was found that cow symbolizes agrarian society and toad represents wealth and fortune in Korean folktales. Next, the slaughtering and death of supernatural helpers were analyzed. It could be established that the death of natural mother, her subsequent changing into a supernatural cow in Kongjwi and Padjwi tales was a conversion from a lower entity (Human) to a higher entity (Supernatural Helper) that occurs in the unreal world of folktales. Then, jeotgal found in Kongjwi and Padjwi tales was studied and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eating of daughter by the step-mother in form of jeotgal is not related with cannibalism culture. It rather is a way of revenge and forced cannibalism commonly depicted in folklore narratives. After studying the Core motifs, the Distinct motifs of Kongjwi and Padjwi tales were analyzed. In Kongjwi and Padjwi tales, taboo plays the role of creating a boundary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life. The heroine of Kongjwi and Padjwi tale breaks the taboo and is murdered by her step-sister only to regain her original form by changing into a flower and a bead. Here a flower represents a feminine and feeble existence. However when thrown in the fireplace by the step-sister, the flower changes into a bead and later the heroine regains her original form. This is possible as the heroine of Kongjwi and Padjwi tale has an indwell vitality which she had acquired as a maiden while working at agricultural fields and doing household chores. The Core and Distinct motifs were further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narratives. As a result, three characteristics of Kongjwi and Padjwi tale could be found. Firstly, the narrative of taboo and ill treatment by step-mother in Kongjwi and Padjwi tales illustrated influences of Korean patriarchy. The heroine breaks the taboo of her husband and is killed. This specifies that breaking taboo of a husband in a patriarchal Korean society signified death. The step-mother is also observed to be affected by the presence of her husband and the society when ill-treating the heroine. Secondly, the cow, toad and jeotgal narrative found in Kongjwi and Padjwi tale signifies the co-existence of agricultural and fishery society in Korea. In the existing research, cow to fish transformation was considered to be influenced by Indian religion. Cow cannot be slaughtered in Hindu traditions and so it was pointed that in Cinderella tales fish replaced cow as a supernatural helper to avoid portrayal of cow slaughtering in the narrative. However, in Korea both cow and fish (toad) appear as supernatural helpers. So, the Indian cities where fish and cow separately existed as helpers in Cinderella tales were re-examined and it was found that areas around water bodies had fish as helpers. Korea consists of abundant water bodies, agricultural lands, jeotgal culture and so Kongjwi and Padjwi tale could have both cow and toad as supernatural helpers. Thirdly, the after-marriage tale of Kongjwi and Padjwi tale was found to have substantial similarity and intertextuality with other Korean tales and classical novels. The woodcutter and the heavenly maiden tale, GureongDeong Deong SinSeonBi tale also have an after-marriage narrative with a similar taboo as seen in Kongjwi and Padjwi tale. The taboo narrative unfolds as follows. One of the partner (husband or wife) breaks the taboo and they get separated. The person who breaks the taboo undergoes various ordeal and at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the tasks is reunited with partner. The after-marriage narrative of Kongjwi and Padjwi tale is also very close to the one in Janghwa-Hongryen-Jon. The heroine in both the narratives are murdered and an after story continues where they regain their original form. As in Janghwa-Hongryen-Jon, the regaining of original form in Kongjwi and Padjwi tale could also be analysed to be a resultant of the compensation psychology prevalent amongst the Korean masses. The listeners of Kongjwi and Padjwi tale are unsatisfied when the tale ends with murder of the heroine and hence the heroine is restored and she is reunited with her noble husband while the step-sister and step-mother are punished. Thus, it could be concluded that Kongjwi and Padjwi tale is influenced by the Korean society, geographical conditions of Korea and other Korean narratives. Lastly in chapter Ⅳ,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explained by demonstrating how the research methodology applied in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further research of various other folktales.

      •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 연구 : 클레오파트라를 중심으로 한 전복적 읽기

        박수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840

        본 논문의 목적은 성(gender)적인 측면과 인종(race)적 측면에서 이중적으로 타자화 된 클레오파트라를 규정하는 틀과 그 틀을 거부하는 클레오파트라의 저항을 살펴보는 것이다. 동양을 타자의 공간으로 인식하는 이 작품 속에서 이집트는 정치의 세계인 로마에 대립되는 성(性)의 공간으로, 클레오파트라는 그 환락의 공간 속에서 성의 향연을 제공하는 ‘창녀의 이미지’로 재현되고 있다. 로마적 가치와 이집트적 가치의 혼돈 속에서 클레오파트라의 관능과 마법에 의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상실한 안토니는, 서양인의 이성과 합리성을 무력화시키는 위험스런 이교도의 문화에 의해 숭고한 로마적 가치를 상실해 가는 인물로 설정되어 있다. 그것은 안토니가 로마적 절제와 이성의 영역을 수호한 시저에 의해 정치적 패배와 죽음을 맞게 되는 원인이 되며, 그 과정에서 로마에 의한 이집트 침략은 야만에 대한 이성의 승리로 의미변형을 일으키면서 자연스럽게 용인되고 수용되는데, 이처럼 클레오파트라에게 부과된 도덕적 타락의 이미지는 서양의 제국주의적 폭력성을 정당화시켜주는 구실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 작품 속에서 '로마다움'(Romanness)은 '남성성'(masculinity)과 동질적 개념으로 상정되어 있으며, 그 반대편에서 남성성과 대립하는 '여성성'(feminity)은 남성성에 대한 이단적 개념, 혹은 악마적인 패러디로 인식되고 있다. 이집트의 여성성을 체현하는 클레오파트라가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은 그녀의 '무한한 다양성'(infinite variety)이 성적 경계를 교란하고, 가부장제 사회가 구축해놓은 지배와 피지배의 구도까지 교란할 수 있는 위험성마저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규범과 경계를 중시하는 로마적 사고 속에서 여성은 남성과는 달리 정치의 테두리 바깥에 머물러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클레오파트라는 옥타비아와는 대조적으로 여성의 역할인 정치적 거래의 대상이 되는 것을 거부하고 정치의 주체로 나선다. 안토니의 정치적 욕망을 거세함으로써 자신의 정치적 욕망을 이루어나가는 클레오파트라는 남성이 여성을 이용하여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공고히 하는 방식을 역이용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여성답지 않은 여성, 남성의 위대함에 도전하는 여성, 정치에 관여하는 여성은 남성의 자존심을 짓밟는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으며, 이러한 남성들의 두려움과 경계의식은 클레오파트라의 창녀이미지를 더욱 강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 그러나 클레오파트라가 자신을 부정적으로 규정하려는 틀에 일방적으로 희생된 것만은 아니며, 클레오파트라가 보이는 저항의 몸짓은 이 작품 속에 표현된 지배담론의 양상을 단순치 않게 만든다. 클레오파트라가 비록 타자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지만, 그녀는 자신을 기꺼이 타자의 위치에 노출시키기도 하고, 그 이미지를 자신의 목적에 따라 변형시켜 이용하기도 한다. 시드너스강과 제관식의 경우처럼 자신을 비너스(Venus) 혹은 아이시스(Isis)의 이미지로 만들어 냄으로써, 클레오파트라는 자신을 타자화 시키는 주체를 위압하고 매혹시키기까지 한다. 클레오파트라가 자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철회하게 만드는 가장 결정적 계기는 그녀의 죽음이다. 음탕한 욕정의 소유자인 창녀나 집시로 인식되어졌던 여성이 여왕다운 숭고한 죽음을 감행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편협한 백인 가부장적 인식의 틀 속에서는 불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또한 여왕의 성장과 독사의 독을 동반한 화려하고 에로틱한 죽음의 방식 역시 금욕주의적 자살에 대한 로마적 이상을 조롱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죽음의 순간에까지 격심한 갈등과 내부분열을 일으켰던 안토니의 죽음은 클레오파트라의 죽음과 대조를 이루면서 그녀의 죽음이 갖는 비극성을 강조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안토니의 연인으로서 동시에 이집트의 여왕으로서 시드너스로의 회귀를 꿈꾸는 클레오파트라의 죽음은 그녀의 정치적 패배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가치관에 대한 포기나 변경이 아니라 자신의 정체성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는 점에서, 적극적 저항의 의미를 갖는다. 이처럼 안토니를 유혹하는 집시의 모습으로 등장하였던 클레오파트라는 숭고한 자살을 감행하는 여왕으로 변모하고 결국 이 작품이 갖는 비극성의 중심에 서게 된다. 마침내 클레오파트라는 재현가능성으로부터 자신을 분리시키면서, 자신은 결코 재현될 수 없는 여성이며 동화될 수 없는 타자임을 증명한 것이다. Shakespeare's Cleopatra represents the image of 'whore' and 'witch'. Egypt representing 'the other' land of sensuality and witchcraft is an archetypal and unrealistic world unburdened by any historical mission. Antony standing at the crossroads of self-denial and self-indulgence, as well as of Rome and Egypt, loses his own identity and Roman Value by Cleopatra's seduction that relegates Antony's manliness and soldiership with her charm. Antony, the emasculated hero is defeated by Octavius Caesar who preserves the myth of Roman greatness. Cleopatra's sexual conquest of Antony is connected to Antony's political defeat by Caesar. Antony running away from Rome's imperial project abandons his job serving for Rome because of his obsession with the love object. Through the image of Cleopatra's corruption, the imperial invasion of the Roman empire is metamorphosed into reason's triumph over savageness. 'Romanness' in this play like many of Shakespeare's Roman plays is virtually identical to the idea of 'masculinity', in contrast to 'femininity' perceived as the alien which is chaotic or unformed or demonic parody of order by the authority or masculinity. Egypt is closely linked to femininity as Cleopatra is a woman who is also a nation, calling herself Egypt. Unlike Roman virtue of firmness, constancy and imperviousness, Cleopatra considers 'heavenly mingle' or mobility and changeability as the supreme values. Because of her 'infinite variety', Cleopatra's femininity is regarded as negative and dangerous to practice subversion. The ideology of exclusion through which the Romans perceive the power relations and gender relations is repeatedly dismantled by Cleopatra. Cleopatra's appropriation of Antony's military and sexual power means the dissolution of gender boundaries which can be amplified to transgression of social order. Cleopatra bring about Roman fear that she contaminates their manhood with female attributes and makes havoc of the hierarchies by which Rome exists at all. Therefore her infinite variety negates the patriarchal discourse. As the patriarchal view of disobedient women intensifies the whore image of Cleopatra, she can not be free from the imperial threat and the discourse of white patriarchy. Although Cleopatra has the image of the other, she has the ability to control and make the best of the image for her purpose. Publicly enthroned, Cleopatra in chair of gold is deified into the goddess Isis, and sensual Cleopatra in Cydnus represents Venus. It is through her majestic and queenly death that she breaks through the image of the other. By means of subversion of Roman paradigm of a whore or a gypsy, Cleopatra makes her suicide noble. While Antony dies not as a defeated soldier but as a desirous lover, Cleopatra thinks her death is the affirmation of her large self. Her desire for Antony rather affirms than threatens her identity of the Egyptian queen. Furthermore, her luxurious ritual death in best attires mocks the Roman ideal of the stoic suicide. Finally she separates herself from the possibility of her representation. It proves that she is the unrepresentable woman and the unassimilable other.

      • 한국사회의 이혼율 증가에 관한 연구 : 1997년 이후 구조적 요인과 미시적 요인을 중심으로

        이주홍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840

        이 논문은 한국 사회가 고이혼율사회로 들어섬에 따라서 그러한 변화의 사회 구조적 배경이 어떠한 것인가를 밝히고 그러한 구조적 변화 속에서 개인들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이혼에 이르게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이혼율을 증가시키는 장기적인 요인으로서 사회문화적 요인을 살펴본다. 그러한 요인으로는 먼저 결혼, 이혼과 관련한 1990년의 개정가족법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개정가족법에서는 여성이 이혼 후에도 자녀양육과 재산분할에 있어서 정당한 권리를 주장할 수 있도록 보호하고 있다. 또한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상승하면서 의식 수준이 높아지고 경제적 독립 능력이 증대하면서 이혼 후의 삶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된 것도 이혼을 증가시키는 요인 중 하나이다. 한편 가족가치관이 변화하고 있다. 특히 결혼과 이혼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제 이혼은 필요한 경우 선택해야 하는 정당한 대안 중 하나로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전반적인 조건들이 변화하면서 이혼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의 사회적 장벽을 점차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조건들은 이혼을 보다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사회적 조건을 형성한다. 그러나 산업사회 및 정보사회로의 변화를 겪으면서 한국의 가족 제도는 가부장제와 서구적 가족주의 사이의 과도기적 단계에 있으므로, 가족 내 긴장과 갈등이 잠재되어 있는 상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97년 경제위기가 발생하면서 이것이 이혼율을 급격히 증가시키는 촉진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경제위기는 가정의 재정적 어려움을 야기한다. 가계의 재정난은 부부 관계의 갈등을 심화시킨다. 부부 갈등의 심화는 이혼율의 증가로 나타난다. 이러한 사실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존재했던 세 번의 경제위기 때에도 마찬가지로 이혼율이 증가했다는 사실을 통해 더욱 명확해진다. 그런데 1997년 이후의 이혼율은 70, 80년대의 경제 위기때보다 훨씬 크게 증가한다는 점이 의문으로 남는다. 그러한 배경에는 1990년대 새로이 형성된 가족문화와 경제위기로 인한 중산층의 몰락, 시기별 가족생존전략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위기로 인해서 가족의 불안정이 극대화되었다는 사실은 단지 경제위기만이 이혼율 증가의 결정요인인 것이 아니라, 위기 이전부터 한국의 가족이 심리적.정서적으로약화되어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 사회의 이혼을 증가시키는 위와 같은 구조적 요인은 개개인들이 어떠한 경험을 통해서 이혼에 이르는지를 보여주지 못한다. 이 연구에서는 열 명의 이혼 여성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통해서 그러한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심층면접에서는 이혼 과정에 다양한 측면들이 내재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러한 과정을 두 가지 경향성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먼저 중장년층의 여성들은 관습적 가족규범에 얽매여 있는 계층이다. 통계자료를 기초로 하여 볼 때 이들의 이혼율은 낮고 결혼과 이혼에 대한 가치관도 전통적 가족관의 영향을 받고 있다. 이들은 사회가 부여한 아내, 며느리, 어머니로서의 역할에 강하게 몰입되어 있다. 따라서 불행한 결혼 생활에서도 이혼을 최대한 기피하게 된다. 그러나 남편의 외도나 폭력, 빚, 도박 등 커다란 위기가 닥치면 그것을 계기로 비로소 과거의 자신의 삶에 대해서 성찰적으로 되돌아보게 되며 미래를 위한 새로운 계획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혼을 함에 있어서도 자녀와 부모님에 대한 심한 죄책감을 드러내는 등 여전히 주어진 사회적 지위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한국 사회에서 유교적 가족 문화가 뿌리깊게 자리잡고 있는 동시에 서구화된 가족이데올로기가 공존하고 있기 때문에 대다수의 여성들이 이러한 딜레마 속에서 이혼을 하고 그 후의 삶을 모색한다는 것은 당연한 결과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두 번째 집단은 앞의 집단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관습적 문화로부터 인식적으로 자유로운 것으로 보인다. 이들에게는 주어진 역할보다는 ‘나’의 개념이 더 중요하게 작용한다. 내부준거성에 의해서 행위를 결정하고 사회적 장벽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한다. 외형적으로 ‘가족’이라는 울타리를 유지함으로써 좋은 아내, 좋은 어머니, 좋은 며느리로 평가받는 것보다는 결혼 생활을 통해서 스스로가 행복한 것이 더 중요하다. 이들을 통해서 결혼부터 이혼까지의 과정에서 새로운 관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한국 사회에서는 아직 소수이지만 변화의 움직임을 분명히 관찰할 수 있었다. 이렇게 가족, 결혼, 이혼에 대한 새로운 문화적 정체성이 형성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혼자들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구축되지 못하면 사회 변화를 흡수하지 못하는 데에서 비롯하는 다양한 사회 문제들이 발생한다. 이제는 이혼이 정상적인 생애주기 중 하나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사회는 이러한 변화를 흡수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structural background of increasing divorce rates in Korea, and with that background in mind, to analyze the divorce process of female individuals. There are various determinants for the increase in divorce rates, such as the revised Family Law of 1990, the increase in socio-economic status of females, and changes in marriage ideology. Divorce has increasing public acceptance; people approve of it as a 'normal' alternative to unhappy marriage life. These are long-term factors that help create a socio-cultural background that supports the process of choosing divorce. These factors also weaken social barriers which prevent people from deciding on divorce. However, the Korean family is still deeply rooted in the Confucian patriarchy. Present families must therefore negotiate among conflicting family values. This causes structural strain. These determinants were latent in society, then stimulated by the 1997 economic crisis. Empirical indexes of the '97 economic crisis are closely related to the high divorce rates after 1997. It means that the economic crisis of the country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finances of individual families, which is linked in turn to conflict between husbands and wives. If the husband is fired, he will lose culturally symbolic status as a breadwinner, which leads to changes in the family power structure. The correlation between high divorce rates and economic crisis in 1997 is supported by data from the 1970s and 1980s, which show a similar pattern. The data since 1997, however, is far more extreme due to the new socio-cultural background. The Korean family is in the midst of change between conventional familism and individualism, and between previous gender role structures and gender equalitarianism. These internal rifts in values and norms are leading to ambiguity and contradiction rather than stability; more couples are unable to find successful strategies for maintaining their system. In this way, 1997 economic crisis precipitates the high divorce rates in Korea. Moreover, it means that relationships between husband and wife were not sufficiently organized and stable to cope with crisis efficiently as they were before. Next, this study explains, through in depth interview, the divorce process of divorced female actors who are in the kind of structural change just noted. Interviews show that a few women apparently belong to the conventional family norm. Such women seem to be strongly embedded in the traditional roles of wife, mother and daughter-in-law. Consequently, they seldom choose divorce as an alternative to their unhappy marriages. They choose instead to sacrifice themselves throughout life in support of husband and children, and to be content with compliments about being good wives and mothers. They don't need to think much about life as long as their existence is measured only by the relationship with the husband. But sudden negative events, like the husband having an affair, bankruptcy, or violence, can give the wife a new reflexive impulse: looking back on her life, she discovers that sacrifice was meaningless and decides to divorce. In contrast, a few interviewees held a new egalitarian marriage ideology. For them, the concept of 'Self' is more important than the role of wife imposed on them from without. They behave according to their own standards rather than traditional social rules. They prefer their happiness over being evaluated as a good wife for maintaining the family system superficially. However, this group also embodies traditional familism, so they faced the dilemma of whether to follow traditional rules or modern family ideology. Their decision to divorce shows that their own happines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m. Although these movements are very few in Korean society, some female actors showed that this new family culture is growing gradually.

      • 사회운동의 가부장성과 여성주의 정체성의 형성

        전희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651

        80년대 이후 한국 여성운동의 역사는 주류 사회운동의 포섭주의적·가부장적 이념구조의 강력한 영향력 하에서 발전해 왔다. 사회운동진영과 여성운동의 관계를 둘러싸고 여러 차례 논쟁이 진행되기도 하였으나, ‘주류’라고 할 수 있었던 것은 소위 ‘전체운동’ 속에 자신을 위치시킴으로써 “진보성”을 인정받고자 했던 여성운동이었고, 이들은 90년대에 들어서면서 ‘여성단체운동’의 형태로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90년대 초반에 들어서면서 ‘진보’를 표방하는 사회운동이 실상 대단히 가부장적이라는 점에 대한 비판적 연구들이 나오기 시작했으며, 90년대 중반 이후 등장한 ‘여성주의자들’은 주류 사회운동의 가부장성에 전면적으로 도전하면서 새로운 여성주의 정체성을 형성해 왔다. 본 논문의 관심은 이들의 여성주의 정체성이 사회운동의 오랜 가부장성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페미니즘 이론에서 여성주의 정체성을 갖는다는 것은 자기 자신과 세계에 대해 근본적으로 새롭게 인식한다는 것을 뜻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여성주의 정체성이 어떤 단일하고 고정된 것은 아니다. 그것은 구체적인 맥락과 조건 속에서 끊임없이 협상되고 재구성되는 ‘과정’ 속에 놓여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에 기대어, 나는 90년대 중반 이후 등장한 ‘여성주의자들’이 한국 주류 사회운동의 가부장성에 대한 도전과 단절을 통해 새로운 여성주의 정체성을 발전시켜 왔다고 보았다. 나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90년대 중반부터 형성된 특징적인 두 집단인 ‘대학가 여성주의자들’과 ‘사회운동단체 여성주의자들’에 대한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여성주의자들’의 비판과 실천적 도전은, 한국 맑스주의계열 사회운동의 가부장성이 이념의 몰성적(gender-blind) 성격에서부터 남성중심적 문화 및 조직원리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으로 맞물려 있는 구조적 문제임을 드러냈다. 성역할분담과 남성편의적 이중도덕, 여성비하적인 성 의식과 권위주의적인 일상문화 등은 주류 사회운동에 뿌리깊이 박혀 있는 가부장적 구조이며, 특히 거대담론을 중심으로 한 이분법적 이념 구조는 여성문제를 부차적인 문제로 폄하하고 계급모순 속에 수렴시키려는 포섭주의적 경향을 띠고 있다. ‘여성주의자들’은 여성억압을 소위 ‘전체 운동’과 분리하여 독립적인 것으로 사고하며 기존의 ‘주류 사회운동’이 지니고 있는 가부장성을 극복하고 새로운 운동 의제와 방식을 실험해 왔다. 사회운동의 가부장성에 대한 비판의식과 여성주의운동의 ‘독자성’에 대한 자의식은 90년대 중반 이후 등장한 여성주의 정체성의 특수성을 설명해 주는 중요한 지표이다. 그러나 여성주의 운동의 ‘독자성’을 실천적으로 구현하려는 여성주의자들의 노력으로 인해 여성주의를 가부장적 사회운동에 대한 ‘반정립’으로서 정의하려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주류 사회운동과의 끊임없는 갈등 속에서 여성주의 운동을 하고 있는 고립적 상황은 여성주의에 대한 해석과 문화 등에 있어서의 ‘차이’를 제대로 표면화하지 못하게 가로막았다. 여성주의 정체성의 구체적 양상은 각자의 개인사적 맥락과 조건, 그리고 운동의 경험에 따라 상이할 수밖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차이’를 드러내고 논쟁하기보다는 ‘우리’라는 단일한 정체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강박이 존재했던 것이다. 16명의 사례에 대한 심층면접 결과, ‘진정한 여성주의자’라는 위계화된 정의 방식은 배제를 낳을 수밖에 없으며, “우리는 하나”라는 동질적인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은 각자의 경험과 조건을 오히려 탈맥락화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오히려 ‘차이’나 ‘갈등’을 적극적으로 드러내고 맥락화함으로써 보다 나은 여성주의적 연대를 모색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차이와 갈등에도 불구하고, 이들 여성주의자들이 한국 사회운동사 및 여성운동사에서 차지하는 역사적 의의는 과소평가되어서는 안 된다. 우선 대학가 여성주의자들은 한편으로는 주류 사회운동에 대한 비판을 통해 여성주의 운동의 ‘독자성’을 강조하는 자의식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실천적으로 매우 풍부한 전략과 담론을 창출하고 일상적인 삶의 영역에까지 정치적 실험을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사회운동단체 여성주의자들의 경우 주류 사회운동 내부에서의 개별화된 고립 상황에서 벗어나 여성주의 의식을 형성하고, 가부장성에 대한 저항을 점차 체계화, 집단화, 조직화해왔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렇게 볼 때, 90년대 중반 이후 등장한 ‘여성주의자들’은 사회운동의 가부장성에 대한 비판 및 실천적 투쟁을 통해 독자적인 여성주의 정체성을 형성해 왔다는 점, 그리고 집합적 실천을 통해 세력화함으로써 전면적인 도전을 수행하고 가시적 성과를 획득해 나가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여성주의 정체성의 출현으로 평가될 수 있다. The history of the Korean women's movement after 1980's developed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absorptive and patriarchal ideology structure of the main-stream social movements. There have been numerous debat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movement and the women's movement, but what was regarded as the 'main-stream' was the women's movement which tried to gain its recognition of its 'progressiveness' through positioning itself within the 'total movement', and it continues into the 1990's as 'women's organization movement'. But from the beginning of the 90's, critical analysis began to emerge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social movement which profess itself as 'progressive' is actually very patriarchal, and the 'feminists' after mid 90's, extensively challenging the patriarchy of the main-stream social movements, came to form a new feminist identity. The focus of this thesis is to bring light on how the formation of these women's feminist identity is related to the age-long patriarchy of social movements. In feminist theory, to have a feminist identity is defined as fundamentally having a new cognition of oneself and of the world But this does not mean that the feminist identity is singular and fixed It is placed within the 'process' that is endlessly negotiated and reconstructed according to particular context and conditions. Leaning on this theory, I viewed that the 'feminists' after mid 90's developed its feminist identity through the challenge against and delinking from the patriarchy of main-stream social movement of Korea With this hypothesis in mind I performed sample analysis centered around in-depth interviews with two groups that were formed after mid 90's - the 'feminists inside universities' and the 'feminists inside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The criticisms and the challenges put to practice manifested that, from the gender-blind ideology to the male-centered culture and organizing principles of the Korean Marxist social movements, these elements form systematically entwined structural problem The division of roles according to gender, the, male-convenient dual ,morality, gender perspective that degrades women and the authoritarian everyday life etc, are the patriarchal structures that he deep inside the main-stream social movements, and the dichotomy based on meta-discourse that depreciates women's issues has the absorptive tendency to converge them into class conflict. The 'feminists' thought women's oppression as being separate and independent from the so-called 'total movement', tried to overcome the patriarchy of the former 'main-stream social movements' and have experimented with new themes and methods of mobilizing. The criticism against the patriarchy of social movements and the self-recognition of independence of the feminist movement are important indexes in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minist identity that came into being after the mid 90's But through the efforts to implement and put into practice the 'independence' of the feminist movement, there emerged a tendency to define feminism as an antithesis to the patriarchal social movement, and the isolating situation of being involved in the feminist movement while continually conflicting with the main-stream social movement prevented the proper surfacing of 'difference' within feminist interpretation and culture. Despite the fact that the particular aspects of feminist identity cannot help but differ according to personal historical context, conditions and experiences of social activism, there was an obsession to maintain a singular identity of 'we' instead to manifesting and debating these differenc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6 people, I was able to see that hierarchal definition method of 'the true feminist' cannot help but give birth to exclusion, and the establishment of homogeneous identity of 'we are one' has the danger of actually de-contextualizing individual experiences and conditions. Instead, feminist solidarity can be sought for through actively manifesting and contextualizing 'difference' and 'conflict' But despite these differences and conflict,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se feminists that occupy in the history of Korean social movements and women's movement cannot be undervalued. First of all, the fact that the university feminists showed self-identity through the emphasis of 'independence', that they created and practiced a variety of strategies and discourses, and that they extended political experiments even to the territory of everyday life, have historical meaning. In the case of feminists in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they are important because they escaped from individual isolating situations and formed a feminist conscious, and they systemized, collectivized and organized resistance against patriarchy inside social movements. Therefore, one can conclude that the feminists who emerged after mid 90's was the appearance of a new feminist identity, on the basis that they formed their independent feminist identity through the criticisms and struggles against patriarchy of social movements and that they extensively challenged and attained notable achievements by organizing through collective 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