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K-POP댄스수업이 초등학생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황윤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447

        K-POP댄스수업이 초등학생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K-POP댄스수업이 초등학생들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써 K-POP댄스수업을 이용한 초등학생들이 건강하고 바르게 클 수 있도록 지도의 방향을 설정하고 K-POP수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를 만드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맞추어 설정한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1. K-POP댄스수업의 참여한 학생의 성별에 따라 사회성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가? 2. K-POP댄스수업에 참여한 학생의 학년에 따라 사회성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가? 3. K-POP댄스수업에 참여빈도에 따라 학생의 사회성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4. K-POP댄스 수업의 참여한 학생과 비참여학생간의 사회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 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강동구에 있는 초등학교3-6학년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으며, 독립표본 t검증, 빈도분석, 그리고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K-POP댄스수업의 참여한 학생의 중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성취감요인에서 결 과가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K-POP댄스수업을 참여한 학생들의 학년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 었다. 3. K-POP댄스수업을 참여한 학생들 중 6개월에서 9개월 동안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 보다 9개월과 1년 이상 참여한 학생들이 책임감요인에서 결과가 더 높 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보였다. 4. K-POP댄스수업을 참여한 학생과 비참여학생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K-POP댄스수업은 초등학생의 사회성에 제한적이지만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차후 K-POP댄스수업을 체육수업 및 교육활동영역에 활용할 수 있는 교육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K-POP dance class on the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et the educational direction of the K-POP clas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en implementing K-POP dance into their physical education class. According to the research goals, the research g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does the gender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K-POP dance class influence on the sociality? 2. How does the grade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K-POP dance class influence on the sociality? 3. How does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K-POP dance class influence on the sociality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it? 4. What is the difference on the sociality between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K-POP dance class and the students who do not participate in i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from 3 to 6 in Gangdong-gu, Seoul. Questionnaire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The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by SPSS 20.0 program and the independent sample t test, the frequency analysis, and one-way ANOVA with posthoc Scheffe’s test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1. Among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K-POP dance class, male students showed higher sense of accomplishment than female students and i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grade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K-POP dance class. 3. Among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K-POP dance clas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for more than 6 months up to 9 months showed higher sense of responsibility than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for more than 9 months up to 1 year and i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etween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K-POP dance class and the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it. As a result, K-POP dance class has positive but limited influences on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pedagogical researches are needed to utilize K-POP dance clas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s well as in the broader area of educational activities.

      • K-pop 뮤직비디오 미장센 연구 : EXO, BTS, Red Velvet, NCT를 중심으로

        범문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논문은 K-pop 뮤직비디오 미장센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상미학콘텐츠 연구의 시각으로 신세대 K-pop 아이돌 그룹의 뮤직비디오의 작품성, 예술성과 영상 미학의 특징을 파악하는 데에 있다. 나아가 뮤직비디오에서 미장센은 어떤 방식으로 표현되고 어떤 메시지가 담겨 있는지에 대해 탐구하고 미장센 기법을 활용한 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기존 K-pop 아이돌 그룹의 뮤직비디오의 강점과 특징을 파악하고 향후 K-pop 아이돌 그룹 뮤직비디오의 발전 방향을 예측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2010년 이후 데뷔한 제3대 K-pop 아이돌 그룹 중 세계적으로 성공을 거두고 국내외 팬덤 규모가 큰 4팀 EXO, BTS, RED VELVET, NCT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대표 뮤직비디오를 분석하였다. 먼저 뮤직비디오와 미장센에 관한 기존 이론을 검토하여 4팀의 뮤직비디오 미장센 분석을 위해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미장센 이론 배경에서 언급한 5가지의 미장센 요소인 공간과 세트, 소품, 빛과 색채, 카메라 움직임, 장면전환은 본 연구에서 분석할 주요 요소이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K-pop 뮤직비디오의 미장센은 탁월한 시각효과와 예술적 표현력에 대한 추구, 아이돌 그룹의 독자적 세계관의 반영으로 표현된다. K-pop 음악 시장에서 초기 뮤직비디오의 존재는 음반의 판촉을 위 하여 제작하고 유통하는 상품이었지만 현재는 사람들의 상상력과 통찰력을 반영한 독립한 영상 예술로 인식된다. 뮤직비디오의 미학적 가치에 주목하여 K-pop 뮤직비디오의 전체적인 품질이 향상되어 K-pop 산업이 무한히 발전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research is about Mise en scène of K-pop music vide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artistry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video of K-pop idol groups in the new era from the perspective of video content, to further explore how Mise en scène behaves in music video and what information it conveys, and to clarify the effect of using the Mise en scène technique.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grasp the advanta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K-pop idol groups' music videos. And we can predic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music video of K-pop idol group. In this study, we selected 4 teams of the third-generation K-pop idol group that debuted after 2010, which has achieved worldwide success, and has a huge scale of fandom at home and abroad, namely EXO, BTS, Red Velvet and NCT as the object of analysis, analyzing their representative music videos. First, the research discussed the existing theories about the music video and Mise en scène.5 Mise en scène elements mentioned in the research background of Mise en scène: space and set, props, light and color, camera movement, scene change are the main analysis elements of this research.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K-pop music video's Mise en scène is expressed in the pursuit of excellent visual effects, artistic expression, and reflection of the idol groups' worldview. In the K-pop music market, music video was originally a commodity that was circulated to promote the best-selling of records, but now music video is an independent video art that reflects people's imagination and insight. Paying attention to the aesthetic value of music video can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K-pop music video. We expect the K-pop industry to have unlimited development possibilities.

      • K-POP의 성장이 음악 장르의 편중 현상과 음악산업 발달의 불균형에 끼친 영향에 관한 고찰 : 해외 대중음악의 사례와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양영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대중음악 중 K-POP의 성장이 음악 장르의 편중 현상과 음악산업 발달의 불균형에 끼친 영향에 관한 고찰이다. 수십 년간 한국 대중음악과 시장은 지속적인 발전과 성장을 거듭하였고, 현재 세계 9위의 큰 음악시장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한국 대중음악과 음악 산업의 발전에는 K-POP이 중심에 자리하고 있다. 최근 들어 K-POP은 세계적인 히트 상품으로 자리하며 남미, 유럽, 미국 등지에서 많은 팬덤(Fandom)을 형성하고 있고, 관련 음원사업 및 부가사업의 매출 또한 꾸준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 이에 정부는 한국 음악 산업의 글로벌화를 위해서 다양한 지원과 정책을 내놓고 있고, 많은 투자자들 또한 앞다투어 음악 산업에 투자를 하고 있다. 이처럼 K-POP은 1990년대 말에 등장하여 현재까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사랑받는 하나의 음악 콘텐츠가 되었으며, 이를 통해 국내 음악시장과 음악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세계 9위의 음악시장 규모를 갖춘 음악산업 대국으로 성장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K-POP으로 인한 문제점들이 국내 음악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음악시장의 지속적이고 균형적인 성장을 위해 음악적 연구와 창작뿐만 아니라, K-POP과 국내 음악시장의 성장 과정에서 나타났던 음악적, 산업적 문제에 대한 연구는 반드시 진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K-POP의 탄생과 성장과정, 그리고 당시의 국내의 음악시장 상황 등을 통해 국내 음악시장에서 나타나게 된 음악 장르의 편중 현상의 원인에 대하여 연구하고, 음악 장르의 편중 현상과 대중매체, 공연시설 등에 관하여 해외 음악시장과의 비교, 특히 세계 음악시장 규모 상위 5개국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국내의 음악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들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K-POP의 탄생과 성장과정에서 음악시장에 나타난 음악 장르의 편중 현상으로 인한 문제점을 짚어보고자 한다. 현재 K-POP의 가장 큰 소비자는 10대이다. 1990년대 중반까지의 경제 호황과 ‘서태지와 아이들’의 등장으로 이러한 10대 소비자들이 급격하게 유입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10대들의 급격한 유입으로 인해 국내 음악시장에서 기형적인 현상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10대들이 소비자로써 급격한 음악시장에의 진입으로 인해 국내 음악사업자들을 통해 국내 음악시장이 10대들을 위한 음악들로 채워지게 되었고, 또한 음악 기기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한 기성세대의 음악시장 이탈과 맞물리면서 K-POP 아이돌 그룹의 음악들로 음악시장이 심각하게 편중된 기형적인 시장이 나타나게 된 한 가지 원인이 되었으며, 이러한 음악 장르의 편중 현상과 아이돌 그룹을 만들어내는 스타 시스템으로 인한 상업적 계산 등이 맞물리면서 음악적 비중보다 방송활동의 비중이 커지는 것과 같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두 번째로는 음악 산업과 K-POP의 활성화 및 발전을 위한 음악 전문 대중매체와 공연시설에 관한 문제를 짚어보고자 한다. 새로운 음악 콘텐츠가 생성되고 소비되기 위해서는 그것을 소개할 음악 전문 대중매체와 공연시설이 필요하다. 세계 음악산업 규모 상위 5개국, 특히 음악산업 초기부터 전 세계 음악 산업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영미권의 경우, 도시별, 국가별로 다양한 음악들을 소개할 수 있는 다양한 음악 전문 대중매체들이 존재하고, 전 세계적으로도 많은 음악 소비자들이 다양한 대중매체를 통해 정보를 얻고 음악을 소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 국가들의 경우 도시별, 국가별로 많은 공연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세계 음악산업 규모 9위의 대한민국은 다양한 음악을 전달할 음악 전문 대중매체와 공연시설이 부족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공연시설의 경우 다른 장르의 음악에서는 확충과 지원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시설 건립에 관한 연구, 논의 및 계획이 K-POP 공연을 위한 대형 공연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K-POP으로 인해 국내 음악시장에서 여러 가지 편중 현상과 대중매체, 공연시설과 관련된 불균형이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 이 논문을 통하여 음악 산업 종사자뿐만 아니라 현재 활동 중인, 그리고 앞으로 활동하게 될 K-POP 뮤지션들에게 다양한 사업적 구상과 새로운 방향으로의 음악적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s a review of the influence of the growth of K-POP in our country on the bias phenomenon of the music genre and the imbalance of the development of the music industry. For decades, the Korean pop music and market has continued to develop and grow, and now the world's ninth largest music market has been formed. In this development of the Korean pop music and music industry, K-POP is at the center. In recent years, K-POP has become a global hit product, forming many fandoms in South America,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and sales of related music and additions have also shown steady and sustained growth. Therefore, the government is offering various support and policies for the globalization of the Korean music industry, and many investors are rushing to invest in the music industry. As such, K-POP emerged in the late 1990s and has become one of the music contents loved not only at home but also abroad to date, and through this, the domestic music market and music industry have continued to develop and become the world's ninth largest music industry. At the same time, however, problems with K-POP are emerging in the local music market. Thus, for the continued and balanced growth of the domestic music market, not only musical research and creation, but also musical and industrial problems that have emerged in the process of growth of K-POP and the domestic music market must be carried out. In this paper, we will study the causes of bias in the music genre that emerged in the domestic music market through the birth and growth process of K-POP, and the situation of the domestic music market at that time, and study the problems that are emerging in the domestic music market by comparing the biased phenomenon of the music genre with the foreign music market, especially by comparing it with the top five countries in the global music market. First, I want to address the problem of bias in the music genre that appeared in the music market during the birth and growth of K-POP. Currently, K-POP's biggest consumer is teenagers. With the economic boom up until the mid-1990s and the advent of 'Seo Taiji and Children,' these teenage consumers began to flow rapidly. However, a sudden influx of teenagers has begun to bring about abnormalities in the local music market. Such teenagers' rapid entry into the music market as consumers has resulted in the domestic music market being filled with music for teenagers through local music businesses, and also as the rapid development of music listening device coincided with the departure of older generations from the music market, music by K-pop idol groups has resulted in a deformed market in which the music market has been seriously biased, creating a more commercial star-studded phenomenon and a group than the music genre and idol group. Second, I would like to address the issue of music-specialized mass media and performance facilities for the revitalization and development of the music industry and K-POP. To create and consume new music content, you need music-specialized media and performance facilities to introduce it. In the top five countries in the world's music industry, especially the British and American music industries, there are a variety of music-specialized media outlets that can introduce different music from city to country, and many music consumers around the world are gathering information and consuming music through diverse media. In addi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se countries have many performance halls by city and country. However, South Korea, the ninth-largest music industry in the world, has found that it lacks music-specialized media and performance facilities to deliver diverse music.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n case of performance facilities, there was no discussion on expansion and support in other genres of music, and that research, discussion and planning on the establishment of facilities were centered on large concert halls for K-POP performances. Thus, this study was able to prove that K-POP is causing various bias phenomena in the domestic music market and the imbalance associated with mass media and performance facilities. Through this paper, we hope to help not only the music industry workers but also the K-POP musicians who are currently active and will be active in the future, in various business ideas and musical developments in new directions.

      • K-POP 스타 팬덤이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러브마크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현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4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veral influential factors. It is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K-POP star fandom on brand engagement, lovemarks and loyalty. The first order factors of these construct variables, except for loyalty, composes a secondary factor. K-POP star fandom is comprised with sixteen measurement items forming 4 factors, including; involvement, commitment, attachment, and group identity. Brand engagement is composed of five measurement items forming two factors, such as absorption and interaction. Lovemarks is measured by thirteen measurement items forming 2 factors, namely love and respect. These factor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whether they affected loyalty, including referral intentions and intention to visit. The survey was conducted on K-POP star fandom membership in the official fan club in Korea for 3 weeks. A total of 364 responses were collected but after deleting 19 unusable answers 345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via SPSS and AMOS. The reliability was verified by the Cronbaha alpha and the validity was verified by conduct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inally, the hypothesis test was carried on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determine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ru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POP star fandom involvement, commitment, attachment, and group identity factors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engagement and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ll the elements of K-POP star fandom have a positive effect on lovemarks. Second, the effect of brand engagement on lovemarks was hypothesized to have a positive significant relationship in between. However, the relationship was turned out to be insignificant. Third, brand engagement and lovemarks have a positive impact on loyalty, each of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loyalty.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ed for crafted fandom marketing targeting on the most fruitful niche as the Hallyu influence increases and positioned the most powerful world-wide pop-culture.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 a few practical implication that help practitioners probe potential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y and capitalize on the K-POP in attraction more overseas visitors and tourists to Korea.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presented in this study.

      • K-pop 음악에 대한 글로벌 선호요인 분석 : 해외 리액션 비디오를 중심으로

        이승연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2447

        K-pop은 Korean Popular Song, 즉 한국 대중음악을 의미하나 최근 아이돌 음악의 글로벌 인기몰이로 한국 아이돌 음악을 상징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그동안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공이 불확실하였던 K-pop은 2012년 싸이의 강남스타일을 시작으로 2018년 방탄소년단의 빌보드 3연속 1위 달성과 함께 여러 K-pop 그룹들이 상위권을 차지함으로써 K-pop의 글로벌 성공이 가시화 되었다. K-pop의 글로벌 성공은 음악 외에도 국가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제고와 막대한 경제적, 문화적 이익 등의 부가적인 가치를 창출하므로 K-pop의 지속적인 성공을 위한 전략을 강구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략의 일환으로 유튜브 K-pop 조회 수 상위 9곡을 선정한 후 해외 청취자들의 곡에 대한 반응을 볼 수 있는 리액션 비디오를 곡당 7개씩 선정하여 이들이 선호하는 K-pop의 음악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리액션 비디오는 총 63개로 비디오에 등장한 인원은 여자 99명, 남자 100명의 총 199명이었다. 연령대는 10-20대가 85%로 가장 많았으며 49%는 K-pop에 대해 잘 모른다고 답하였다. 리액터들이 K-pop 전반에 대해 표현한 단어는 텍스트 파일로 만든 후 R 프로그램을 통해 단어별 빈도수를 도출하였고 K-pop의 특정 구간에서 보인 리액터의 언어적, 비언어적 반응은 멀티모달리티(Multimodality)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 9곡에 대한 선호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3 점으로 높은 수준이었고 코러스와 Verse의 랩 구간에서 높은 빈도의 긍정적인 선호반응을 나타내었다. 리액터들의 선호 유발요인에 대한 음악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기억하기 쉬운 후크 구간의 사용과 연장, 메인 신시사이저 리프와 신시사이저 사운드의 효과적 사용, 댄스에 최적화된 리듬, 주 장르로서의 힙합과 EDM, 그리고 Break, Build-up를 활용한 비대칭적 마디의 사용 등이 나타났다. 또한 스트리밍이 음악 감상의 주요 매체가 되고 소비자의 취향이 빠르게 변하면서 곡의 초반부터 청취자의 주의를 끌 수 있도록 코러스나 메인 신시사이저 리프를 일찍 등장시키거나 Intro에 흥미로운 사운드나 독특한 리듬패턴을 넣는 방법들을 활용하였다. 여러 멤버로 구성된 아이돌 개개인의 개성과 능력을 발휘로 곡의 차별성을 더하기 위해 다양한 장르의 융합과 함께 곡당 평균 3.3개의 장르전환이 있었고 모든 곡이 지속적인 에너지 변화로 역동성을 추구하였다. 리액터들은 가사의 대부분이 한국어로 구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가사 내용에 관심을 보이거나 공감하였으며 영어 가사의 혼용은 이들의 K-pop에 대한 접근성을 높였다. 그러나 가사와는 상관없이 K-pop의 익숙한 스타일, 신나는 리듬, 쉽게 각인되는 중독성 있는 멜로디, 수준 높은 프로덕션, 흥미로운 사운드, 해외 음악과의 차별성 등과 같은 음악적 특성은 리액터들에게 충분한 만족감과 즐거움을 주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연구대상 K-pop 상위 9곡을 선호하게 된 음악적 요인을 구체화하여 보여주고 있어 향후 K-pop의 지속적인 성공을 위한 열쇠를 제공할 것이다. 그러나 급변하는 사회현상과 K-pop 소비자의 세대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해외 청취자들의 선호요인을 강화하는 작업 외에도 장르의 다양화, 국가별 문화적 특성 반영, 뉴미디어의 활용, 공연의 활성화, 글로벌 마케팅 등의 전략을 동반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K-pop is an abbreviation for Korean popular music, but it is used as a term for Korean idol music. K-pop has attempted to enter the global market for the past 20 years but the results have been marginal and the global success seemed impossible. However, the global success of Psy’s Gangnam and BTS's Billboard No. 1 from 2018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K-pop’s global success. Since K-pop's global success leads to additional contributions such as enormous economic and cultural interests along with a positive image of the country, it is important to devise strategies to develop K-pop's global success. As a part of the strateg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usical preference factors by analyzing 63 reaction videos of the most viewed 9 K-pop songs on Youtube. The linguistic expressions of reactors were made into a text file and the word frequency was derived through the R program, and a word cloud was generated. The verbal and non-verbal responses of the reactors’ preferences were analyzed by the multi-modality analysis method. The number of reactors featured on the reaction video was 199 people including 99 women and 100 men. The most common age group was 85% in 10-20s and 49% said they did not know about K-pop. Satisfaction for nine songs was high on an average of 4.3 out of 5 and the reactors showed discriminatory preference responses in the chorus and the rap part of the vers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actor’s preference factors, easy-to-remember hooks, the use of the synthesizer riff, Hip-hop as the main genre, The characteristic of EDM including the break and build-up section, the asymmetrical measure and the effective use of synthesizer sounds appeared in music. Besides, an interesting sound, unique rhythm pattern, the chorus or the main synthesizer riff appeared in the intro to draw an immediate impression. All the songs were dynamic with the constant changes in the energy level and the genre change appeared on an average of 3.3 times per song. Even though most of the lyrics were sung in Korean, a lot of reactors expressed interest in the lyrics. The reactors empathized with the content of the lyrics, praised the expression and said that the use of English lyrics helped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Even if the reactors did not understand the lyrics, most viewers responded that K-pop offered enough pleasure only with the music with its interesting sound, exciting rhythm, addictive melody, and high-quality production. K-pop can be a representative genre of global music by strengthening preference factors. Also, the genre diversification, the reflection of nat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strategic global marketing and the use of the new media should be accompanied considering the rapidly changing social phenomena and the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of K-pop consumers.

      • K-POP의 대중화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소셜 커뮤니케이션 활동간의 연관성 연구

        권혁필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447

        In spite of the post-pandemic caused by COVID-19, this paper. The popularization phenomenon of K-POP, which is loved by fans and is expanding its cultural horizons, was studied. Korean popular music, which was categorized and recognized as regional music in East Asia and part of world music, began to spread along with the Korean Wave, music videos, hip-hop, and dance music, which started in earnest in the 1990s. has been aggravated The fashion and development of K-POP began to spread around the world with the provision of a new environment for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called the Internet. started to bring These developments and spreads have resulted in changes in mutual communication through the web. f the main content that enabled the spread of Hallyu contents in the early days was the existing legacy media based on TV, advertisements, and drama contents, then K-Pop will represent the present of Hallyu in 2021. Various fans under the theme of K-POP spread through comments, link sharing, and fandom culture, and the representative means of this are social media such as Twitter and YouTube. And also, the communication made through these social media is social communication. In addition, this thesis discusses the history of Hallyu craze as well as community activities through the K-pop community, both offline and online. The K-pop fandom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 cultural community by playing and growing together regardless of distance or proximity. Based on these phenomenal characteristics, the development process of K-POP in Korea is divided into four phases: planting period - germination period - flowering period - fruiting perio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and representative artists. In addition, K-POP is changing from an external culture to a community culture through audiences through online communication examples based on actual examples of online communication patterns based on groups that prefer K-POP in Russia, the United States, South America, and Indonesia. was studied. In addition, the social communication platform, which plays a key role in the popularization of K-POP, is largely divided into Internet cafe (Daum), SNS (Instagram, Twitter), and video platform service (YouTube), and each platform supports K-POP. It was studied through actual case analysis on how communication and feedback between artists and fans are derived through what kind of systematization and function by category. Through the business reports of major major agencies that produce K-POP contents (HYBE, SM Entertainment, JYP.ENT), social communication between K-POP audiences and artists is recognized in what direction, and in the era of the pandemic caused by Corona 19, the meta It was analyzed that K-POP content development on a different level and interaction between audiences were prepared through bus and on-tact performances. In particular, offline cultural experiences are being replaced online after COVID-19, and these on-contact experiences often allow more people to watch many performances at the same time, but often do not reflect the realism of offline 100%.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computing equipment, how the development of hyper AI and metaverse programs will bridge the gap between these experiences, and how the accumulated communication experience will come and go, so that K-POP communication and trends in a new era in 2021 There is a need for in-depth research on whether to create. 본 논문은 코로나19로 인한 포스트 팬더믹에도 인터넷을 바탕으로 온라인 콘텐츠와 소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많은 팬들에게 사랑받고 문화적 외연을 확장해 나가고 있는 K-POP의 대중화 현상을 연구하였다. 동아시아의 지역 음악이자 월드뮤직의 일부로 범주화 되고 인식되던 한국의 대중음악은 1990년대부터 본격화되기 시작한 한류열풍과 뮤직비디오, 힙합, 댄스뮤직의 유행과 함께 확산되기 시작하였고, 미디어 및 인터넷의 확산과 더불어 심화되었다. K-POP의 유행과 발전은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통신과 소통의 환경이 구비되면서 확산되기 시작하였고, 단순한 콘텐츠의 변화를 뛰어넘어 한국이 가지고 있는 정형화된 인식과 이미지를 개선하였고, 부가적인 효과를 가져오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발전과 확산에는 웹을 통한 상호 커뮤니케이션의 변화가 있었다. 초창기 한류콘텐츠의 확산을 가능하게 했던 메인콘텐츠가 TV, 광고, 드라마 콘텐츠등을 바탕으로 한 기존의 레거시 미디어였다면, 2021년 한류의 현재를 대표하는 것은 K-Pop이다. K-POP을 주제로 다양한 팬들이 댓글과 링크 공유, 팬덤 문화를 통해 확산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수단이 바로 트위터, 유튜브 등으로 대표되는 소셜 미디어이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소셜미디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이 바로 소셜 커뮤니케이션이다. 또한 본 논문은 한류열풍의 역사와 더불어 K-POP 커뮤니티를 통한 동호활동은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병행하면서 진행되고 있으며. K-POP 팬덤은 거리적 근접성과는 상관없이 함께 놀고 성장하면서 하나의 문화 공동체로서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현상적 특징을 기준으로 국내에서 K-POP이 발전해나가는 과정을 시기별 특징과 대표 아티스트를 토대로, 파종기-발아기-개화기-결실기로 4마디로 구분하였다. 또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양상의 실제사례를 러시아, 미국, 남미, 인도네시아 등의 K-POP을 선호하는 그룹을 바탕으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사례를 통해 K-POP이 외부의 문화에서 수용자를 통해 공동체 문화로 변화해 나가고 있음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K-POP 대중화 현상의 핵심적인 기능을하고 있는 소셜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크게 인터넷카페(다음), SNS(인스타그램, 트위터), 영상 플랫폼 서비스(유튜브)로 구분하여, 각 플랫폼이 K-POP을 범주로 하여 어떠한 체계화와 기능을 통해 아티스트와 팬간에 소통과 피드백을 도출하고 있는지를 실제 사례분석을 통해 연구하였다. K-POP콘텐츠를 제작하는 주요한 대형 기획사(HYBE, 에스엠엔터테인먼트, JYP.ENT)의 사업보고서를 통하여 K-POP 수용자와 아티스트간의 소셜 커뮤니케이션을 어떠한 방향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코로나19로 인한 팬더믹시대에 메타버스 및 온택트 형 공연을 통하여 다른 차원의 K-POP 콘텐츠 개발과 수용자간의 상호작용을 준비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특히 코로나19이후 오프라인의 문화적 경험은 온라인으로 대체되고 있으며, 이러한 온택트 경험은 더 많은 다수의 사람들이 동시에 많은 공연을 볼 수 있게 하면서도 오프라인이 가지고 있는 현장성을 100%로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인터넷과 컴퓨팅 장비의 발전을 통해 하이퍼 AI와 메타버스 프로그램의 발전이 이러한 경험의 간극을 어떻게 매꾸어줄 것인지, 그리고 기존의 누적된 커뮤니케이션 경험을 어떻게 온고지신하여 2021년 새로운 시대의 K-POP 커뮤니케이션과 트렌드를 만들어 갈 것인지 심도있게 연구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 K-Pop에서 나타난 Disco 요소 연구

        김한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논문은 전 세계적 인기를 얻고 있는 댄스 음악인 K-Pop 음악에 나타난 디스코 음악에 관한 연구이다. 2010년 이후 해외에서 디스코 음악이 부활했는데, 한국에서도 그 영향을 이어받아 디스코 요소를 포함한 다수의 K-Pop 곡이 발표되고 있다. 디스코 음악은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전성기를 이루다가 점차 쇠락했으나, 1990년대 이후 새로운 장르 탄생에 큰 영향을 주었다. 직접적으로는 테크노, 하우스 같은 일렉트로닉 댄스음악을 탄생시켰고, 간접적으로는 초기 랩의 샘플링과 모방의 소재가 되며 많은 하위 장르와 파생 장르들에 영향을 끼쳤다. 본 연구는 현대 K-Pop에서 나타난 디스코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2010년대와 2020년대에 히트한 9곡을 선정하여 분석한다. 한국의 멜론(Melon) 차트와 미국의 빌보드(Billboard) 차트 상위권에 기록된 곡들을 대상으로 하여, 디스코 음악의 곡 구조와 편곡적 특징, 리듬 패턴, 선율 및 화성의 특징을 파악하고 다른 장르와의 혼합 및 다양성을 알아본다. 더불어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디스코 요소들까지 분석하여, 디스코 음악이 K-Pop과 어떻게 결합하고 발전하였는지 알아보고 특징적 결과를 도출한다. 분석 결과, K-Pop에서 나타난 디스코 음악의 특징은 후렴구를 많이 반복하고, Post Chorus를 추가한 구조적 특징이 있으며, 리듬 패턴이 반복되고 신디사이저를 다양한 기능으로 활용한다. 또한, 장르의 혼합 및 다양화가 일어나며 뮤직비디오 내에서 나타나는 레트로·뉴트로적 요소까지 확인할 수 있다. 현 시대 음악시장은 흐름이 매우 빠르고, 다양한 장르의 음악이 생산되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해 K-Pop에서 활용되는 디스코 장르가 더욱 활성화되고 다양해질 수 있기를 바라며, 향후 디스코 장르 및 K-Pop을 연구하는 후속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is paper explores the Disco genre in K-Pop music, a Dance music genre gaining global popularity. The overseas revival of Disco music in 2010 has influenced on the release of numerous K-Pop songs with Disco elements in Korea. Disco music reached its pinnacle during the 1970s and 1980s, gradually declining afterward. However, its significant impact persisted, contributing to the emergence of new genres in post-1990. The Genre of Disco gave rise to electronic dance music including Techno and House. Also it served as a source for sampling and imitation in early Rap, influencing various sub-genres and derivatives. This study analyzes hit songs in the 2010s and 2020s, a total of nine, selected from the top of the Melon and US Billboard charts. The aim is to identify Disco elements in modern K-Pop, examining song structure, arrangement characteristics, rhythm patterns, melody, and harmony. This Study also deals with the combination of the genres. Furthermore, the study delves into the Disco elements depicted in music videos, in the realm of K-Pop. The characteristics of Disco Genre are as follows as in K-Pop. Repeated refrains, structural features incorporating post-chorus elements, recurring rhythm patterns, and the versatile use of synthesizers. The analysis reveals a blend and diversification of genres, featuring Retro and Newtro elements within music videos. Given the rapidly evolving music market with diverse genre combinations, this paper provides the use of Disco elements in K-Pop. I hope this study will be a valuable resource for future researchers investigating the Disco genre within the context of K-Pop.

      • K-POP댄스 선호청소년의 참여활동경험과 진로준비과정 탐색

        안창용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32447

        이 연구는 K-POP댄스의 주요 소비층인 청소년들의 K-POP댄스의 매력과 선호이유를 알아보고 이러한 선호활동을 통해서 경험하고 있는 진로준비과정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고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를 C지역에서 1년 이상 활발히 댄스활동을 하고 있는 청소년 10명을 대상으로 댄스학원에 등록 된 학생 5명, 자체 댄스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는 5명으로 각각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들로부터 심층 면담과 현장노트, 지속적 관찰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었다. 그리고 청소년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고자 각 연구 문제에 따라 자료 분석 방법을 달리 하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인 K-POP댄스를 선호하는 이유와 참여활동의 경험에 대한 자료 분석은 사례연구인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원자료를 주제별 결과로 도출하였다. 두 번째 연구 문제인 K-POP댄스 활동을 통한 진로준비과정은 Strauss와 Corbin(1990, 1998)이 개발한 근거이론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이 K-POP댄스를 선호하는 이유와 참여활동을 통한 경험에 관한 내용은 총 세 가지 주제별 상위 범주들과 다양한 하위 범주가 연구 결과로 구체화 되었다. 첫 번째 상위 범주로는 ‘시각적 대리만족과 정서적 교감’을 갖는 특징이었고 하위 범주로는 ‘입덕과 팬 활동, 댄스활동을 통한 교감과 사회성 함양’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는 ‘모방과 소비의 대상인 K-POP댄스’로 하위 범주로는 ‘K-POP댄스 모방을 통한 재미 세 가지, 특별한 모방행동’으로 나누어졌다. 마지막으로 ‘우리들만의 리그’의 하위 범주로는 ‘K-POP댄스 프로슈머, 깊은 유대관계 형성, 우리 K-POP댄스 선생님은 동영상’을 포함하고 있었다. 둘째, K-POP댄스 활동을 통한 진로준비과정의 경험에 관한 연구에서 근거이론을 통해 121개의 개념어, 8개의 상위 범주와 13개의 하위 범주가 결과로 도출되었다. 인과적 상황으로는 ‘댄스활동을 통한 만족, 취미 VS 전공에 대한 고민’, 맥락적 상황으로는 ‘댄스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부족, 댄스 수업의 한계, 취업구조 단편화’, 중심현상으로는 ‘학교생활과 진로 간 괴리’, 중재적 상황으로는 ‘사회인식의 변화, 전문화된 댄스 오디션, 댄스에 대한 긍정적 담론’,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적극적인 진로준비과정 경험, 중립적 행동’, 결과로는 ‘댄서로서 자아정체성 확립하기, 취미로써 댄서활동’이 근거이론을 통해 도출되었다. 그리고 근거이론의 선택코딩에 의한 핵심 범주로는 ‘자아의 재정의’가 도출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imed to figure out the reasons why adolescents, who are the main consumers of K-POP Dance, prefer K-POP Dance and are fascinated by it and also, to analyze the career preparation process through these preferred activities in depth. For these, ten adolescents who are doing dance activities for more than one year in area C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five of them in a dance course at a dance academy and the others in a dance club.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depth interviews, the field note and continuous observations from research participants. The data analysis methods were distinguished by each research in order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adolescents’ experiences in depth. For the first research agenda; reasons of K-POP Dance preference and experiences of activity participation, the result was drawn from case study ‘inductive content analysis’ according to subject. For the second research agenda; career preparation process through K-POP Dance activities, grounded theory developed by Strauss & Corbin(1990, 1998) was used to clear up the result. The results have been produced and consequentl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for reasons adolescents’ preference of K-POP Dance and experiences through participation activities, three upper categories and various subcategories were concluded as a result. One of upper categories is ‘visual vicarious satisfaction and emotional communion’, and ‘Iptteok and fan movement, and communion and sociality cultivation through dance activities’ are the subcategories. Another is ‘K-POP Dance as imitation and consumption’, and the subcategories are ‘three amusements through imitations of K-POP Dance and special mimetic activity’. The other is ‘our own league’, and there are ‘K-POP Dance prosumer, formation of strong ties, and moving pictures as K-POP Dance instructor’ in subcategories. Second of all, the results driven by grounded theory on experiences of career preparation process were classified under 121 concept words, 8 upper categories and 13 subcategories. Followings are elements of the grounded theory of this study; ‘satisfaction from dance activities, concerns of hobby vs major,’ as causal conditions, ‘lack of social identity about dance, limit of dance lesson, and fragmentation of employment structure’ as context conditions, ‘gap between school life and entering upper schools’ as central phenomenon ‘changing social attitudes, specialized dance auditions, and positive discussion on dance’ as intervening conditions, ‘aggressive experiences of career preparation process and neutral actions’ as action/interactional strategies, ‘establishment of identity as a dancer and dance activities as a hobby’ as a consequence, ‘redefinition of identity’ as a core category of selective coding.

      • K-Pop 음악에서 활용된 Moombahton 요소의 분석

        임승준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논문은 2015년 이후 전 세계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댄스 음악인 K-Pop 음악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뭄바톤 (Moombahton) 요소에 대 한 연구이다. 한국에서 흥행하던 기존의 댄스 음악은 디스코 등의 장르에서 파생된 음악이 주를 이루었으며, 그 특징은 전자음악을 기반으로 하며 정박에 악 센트가 있는 리듬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연구의 핵심인 뭄바톤 장르는 자메이카 음악에서 발전한 레게톤 (Reggaeton)과 전자음악 장르인 일렉트로 하우스 (Electro House)가 혼합하여 발전한 장르로, 뎀 보우 (Dem Bow) 리듬을 중심으로 여린박에 악센트가 존재하는 오프비트 (Off Beat)가 다수인 양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기존 한국의 주류 댄스 음악과 여러 다른 특징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뭄바톤의 요소가 K-Pop에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되었는지 확인 하기 위하여 미국의 음악 매체인 Billboard와 한국의 음원 스트리밍 사이트 Melon의 상위권에 기록된 곡인 Major Lazer의 <Lean On>, Justin Bieber의 <Sorry>, Major Lazer의 <Cold Water>, Zedd와 Liam Payne의 <Get Low>, 방탄소년단의 <피 땀 눈물>, 블랙핑크의 <마지막처럼>, 선미의 <가시나>, 블랙핑크의 <Forever Young>, 여자친구의 <열대야 (Fever)>, 트와이스의 <More & More>, 아이즈원의 <환상동화 (Secret Story of the Swan)>, (여 자)아이들의 <화(火花)>를 분석했다. 본 논문은 선행 논문과 다른 시각으로 2015년 이후 뭄바톤 요소가 활용된 Pop과 K-Pop을 분석하여 뭄바톤을 중심으로 K-Pop에서 고유하게 나타나는 특징인 긴 재생시간과 곡 구성, 적극적인 Hook의 활용, 장르의 혼 종화, 다양한 화성진행의 활용과 한국적인 요소의 결합에 대해 분석했다. 더불어 2020년대 초반 뭄바톤 요소가 활용된 K-Pop을 분석하여 최근 K-Pop 장르에서 적용되는 뭄바톤 요소의 경향인 멜로디의 비선율화, 곡 구성의 다양화, 뎀 보우 리듬의 변형 등 시간의 흐름에 따른 K-Pop에서 활용되는 뭄바톤 요소의 경향을 파악하고, 2021년 이후 K-Pop에서 트렌디 뮤직의 경향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lements of Moombahton, which has been one of the most popular musical trends in K-Pop music since 2015. The previous popular dance music in Korea was mainly derived from the genre of Disco, and was based on the rhythm with the accent on the strong beat. The genre of Moombaton combines Reggaeton of Jamaican music with Electro-house of Electronic music, contains Dem-bow rhythm with Off-beat, and show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prior Korean dance music. To find out how these elements of Moombaton were applied to K-Pop, analyze 13 songs : Lean On, Sorry, Cold Water, Get Low, Blood Sweat & Tears, AS IF IT’S YOUR LAST, Gasina, Forever Young, Fever, Secret Story of the Swan, Hwaa. This paper analyzes both Pop and K-Pop using the five following elements of Moombaton since 2015 with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previous approaches: A short playback time, Active use of hooks, Combination of various genres, Using many harmony progresses and Using Korean elements. And this study analyzes trends in K-Pop with developed three following elements of Moombahton in K-Pop over time : A simplified melody, Song composition diversification, Modified Dem-bow rhythm.

      • 대중가요(K-Pop)를 활용한 한국어 연음 현상 발음 교육 방안 연구

        김가람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447

        A study on education strategies of liaison using K-Pop for chinese learners of Korean This paper, based on Bruner’s theory of discovery learning, aims to present a classroom strategy of effectively teaching a Korean pronunciation phenomenon called liaison to Chinese students. It proposes a strategy of utilizing Korean pop music (K-pop) as a way to achieve such a goal. Chapter 1 states the purpose and the need of research on the subject of this paper and examines previous studies on teaching strategies that utilize K-pop to teach the pronunciation of liaison phenomenon to Chinese students. My research on the subject has revealed that K-pop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inspiring many foreign students to have an interest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t has also shown a tremendous potential of K-pop as a key instrument in the field of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Chapter 2 examines Bruner’s theory of discovery learning, which compris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thesis. Although such theory of Bruner’s is not yet being actively used in the second language education, it has been approved of its effectiveness in other fields of education because of its emphasis on encouraging students’ inquisitiveness, creativity, problem solving skills, and other thinking powers. This is why my research has chosen to incorporate Bruner’s theory into the field of educating Korean pronunciation. Chapter 3 discusses the liaison phenomenon in Korean language and some common errors from which Chinese students often suffer. Next, it has selected some K-pop songs that are deemed to be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eaching the pronunciation of liaison phenomenon. The selection process reflects the result of survey on students’ preference. The songs that meet both the course objective of teaching liaison phenomenon and students’ preference are “Eyes, Nose, Lips” by Taeyang and “A Midsummer Night’s Sweetness” by San E and Raina. Chapter 4 lays out the classroom plan of utilizing K-Pop in teaching the pronunciation of liaison phenomenon. The overall framework of the plan is based on the steps of class procedure proposed in Bruner’s discovery learning theo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suggests a particularly effective pedagogical strategy in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by utilizing the worldwide popularity of K-pop. It has also shown a real potential of utilizing Bruner’s discovery learning theory in the field of second language education. I hope that the application of this study to actual classroom experience helps Chinese students to improve their pronunciation of Korean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