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지구화 내에서의 수용자 문화소비 : 일본에서의 한류를 중심으로

        이호정 연세대학교 영상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943

        Globalization is fundamentally characterized by flows across national boundaries. Objects in motion that lead the flow and affect building globalization include ideas and ideologies, people and goods, images, and technology. Appadurai (1996) proposed those objects as five dimensions of an elementary framework for exploring globalization- ethnoscapes, technoscapes, financescapes, mediascapes, and ideoscapes. In this theory, globalization can be built by considering these landscapes together, which also affect individual audiences.Most preceding studies recognize Korean wave among Japanese as one area of global cultural flow. Otherwise, the researchers tend to explain Korean wave by western-centric Orientalism or Confucian traditions. They overlook Japanese audiences who are the subjects of globalization. To better study practices of audiences' daily lives with global culture flow, this study focuses on Japanese audiences' cultural identity and consumption that prefer the Korean Pop Culture. For closer observation, this study entails in-depth interviews with Japanese audiences.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besides media, Japanese audiences' personal experiences and recognition add to their fandom of international pop culture. Mixed with the individual base and various images from media, Japanese fans could constitute their preference about Korean pop culture. Being fans, they form their cultural identity and construct positive national images of Korea. As Japanese fans, they consume a great deal of Korean culture in their daily lives such as incorporating unique Korean facets in special situations, cooking Korean dishes, or spending a day in a Korean town. These activities allow audiences to share similar experiences with native Korean comrades. Furthermore, during these activities, globalization is articulated with multiple sites in audiences' daily lives.This study shows Japanese audiences’ Korean pop culture tastes and globalization affects the progress each achieves. Globalization is no longer a metaphysical concept in today's world but a realistic idea which is routinely represented. Besides, individuals not only work in ethnoscapes to form globalization but also show globalization in their daily life. 전지구화를 통해 국경을 넘나들며 진행된 문화 교류는 교류가 진행된 사회뿐만 아니라 그 사회의 사회 구성원 개개인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기술의 발달, 경제적 자본의 뒷받침, 글로벌 미디어를 통한 다양한 이미지, 사람들의 이주 및 여행의 경험 등이 서로 얽히면서 전지구화라는 커다란 흐름을 만들어 내고, 이러한 흐름이 다시 개별 수용자들의 일상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최근 몇 년 동안 각 아시아 국가들에서 확장되고 있는 한국 대중문화의 붐은 이와 같은 전지구적 이슈의 한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한류의 인기에 대해 분석을 시도하는 많은 연구들이 있어왔는데, 많은 논의들이 오리엔탈리즘이나 유교 주의적 전통을 이용하여 한류를 설명하거나, 특정한 팬덤 현상을 바탕으로 수용자 연구를 진행하면서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처럼 그 동안 한류에 대한 연구는 주로 한류 인기의 원인 분석과 특정 장르나 그룹의 수용자들의 성향을 국가별로 설명하는데 집중되어 개별적인 수용자의 활동을 제대로 읽어내지 못했으므로, 이제 수용자들의 팬 되기 과정과 문화적 정체성의 형성 과정, 한국 대중문화 소비를 통한 의미 생산 활동 등을 살펴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팬들이 한국 대중문화를 접하면서 팬이 되고 자기인식의 변화를 겪게 되는 과정과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일상생활에서 그들의 취향이 어떻게 나타나게 되는지를 함께 살펴보려 하였다. 특히 일본 수용자들이 문화적 취향을 형성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한류의 형성에 오리엔탈리즘이나 유교 주의적 영향보다는 수용자들의 개별적인 경험과 인식의 차이가 더욱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에서는 우선 아파두라이의 전지구화 이론을 논의의 배경으로 삼았다. 아파두라이의 전지구화 논의는 에스노스케이프, 테크노스케이프, 파이낸스스케이프, 미디어스케이프, 이데오스케이프 다섯 가지의 정경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전지구화를 형성한다고 설명한다. 특히 이중에서도 사람들의 이동과 이주, 관광, 그리고 미디어의 영향 등 수용자들의 개별적인 경험들이 전지구화가 형성되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전지구화는 다시 개별 정경들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제 수용자들은 전지구화를 통해서 그들의 문화적 정체성을 변화시키고 일상생활 안에서 이러한 변화를 드러내게 된다는 것이다.본문에서는 팬들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들이 한국 대중문화의 팬이 되어가는 과정과 이를 통해 변화한 한국에 대한 이미지, 자기 인식 등에 대해 살폈다. 다음으로 이러한 변화를 바탕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어떤 식으로 자신들의 문화적 성향을 드러내고 소비하게 되는지를 논의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처럼 미디어의 영향이 절대적으로 팬이 되는데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수용자 개개인의 개별적인 상황과 경험에 따라서 팬이 되는 과정과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다. 팬이 되면서 이들은 공통적으로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의미구축 과정을 거치게 되고, 다른 수용자들과의 비교나 자신의 문화적 취향에 대한 자체적인 평가를 통해서 팬으로서의 자신을 인식하며 전체적인 문화적 흐름 내에서 자신의 위치를 자리매김하려는 시도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팬들은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문화적 소비를 하게 되는데, 처음에는 의식적인 문화적 행위였던 행동들이 점차 일상적인 활동으로 여겨지거나, 수용자 스스로에게 다른 의미를 가진 행동으로 해석되는 경우들도 있었다. 예를 들어 한국어를 공부하는 행동은 처음에는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의 이야기를 이해하기 위해서 시작한 것이었지만, 점차 자신을 위해 뭔가 투자를 한다는 의미로 다가가게 되면서 한국어 습득의 성공여부와 상관없이 그 자체로 팬들에게 의미를 갖게 되기도 하는 것이다.이러한 결과들은 하나의 전지구적 문화적 현상을 이해하는데 전체를 포괄하는 개념적인 설명만큼 수용자들의 개별적인 경험과 활동들도 큰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다시 한 번 상기시켜 준다. 그리고 전지구화와 개별 수용자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발전하고 있음을 제시한 아파두라이의 논의를 지지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특히 이와 같은 개별 수용자들의 일상생활의 변화를 살피는 분석 결과들은 개별 수용자들의 삶에 전지구화가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증해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르면 오리엔탈리즘이나 유교 주의적 사고 등의 추상적인 개념들만을 통해서 한류 수용자들을 분석하는 것은 유용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개별적인 수용자들이 한류와 연관된 문화적 소비를 통해 자신의 취향과 한류를 조율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과정에서 일상생활 속의 전지구화가 점차 진화하게 되었던 것이다.

      • Effects of Globalization on the World Economy : The Widening Gap between North and South

        박혜진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Korea un 2009 국내석사

        RANK : 2943

        Globalization has given us new opportunities for creating wealth and enhanced quality of life and it has affected all the individuals with increases in trade and capital flows across national boundaries. It is true that people living in extreme poverty in the world has been falling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But, much of this fall has been concentrated in only East Asia. Sub-Saharan Africa, Latin America, and South East Asia have not experienced much of the improvement. Globalization process has not generated positive outcomes to all of us and wealth has not been shared evenly. While people of the North have gained tremendous advantages of economic globalization, people of the South have become more dependent and have suffered through the process. Although there has been economical progress globally there have been imbalances in the distribution of income and wealth; inequality has been widening between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This thesis analyzes how globalization can fail to reduce poverty or even harm development by providing some evidences that result from free trade.

      • 개발도상국들의 국제화 정책에 관한 연구: 네팔의 경우

        판데딜리프라즈 전북대학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943

        Many voices now proclaim that we live in a global age and if we research the trading, communication system of the world we also can guess that it is right. Really we are in the age of globalization by not limiting only to the national boundary really this is age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technology transformation, traveling to the other countries and finally economic integration.But I have to add one thing with sorrow that, still there are numbers of country which are very far from the development, they are facing only the challenges of globalization with taking any advantages some times the kind of feeling comes to those country’s peoples that nothing has been changed. In this regard it is proof that every country should have to do some thing new and creative which might be the weapons for fight to this age. So in this thesis report I have tried to research what are the effects of globalization for developing countries, and what are step that has to move for the developing country like, Nepal? Why country like Nepal remained underdeveloped while other countries are enjoying the globalization? How today’s developed and strong nation South Korea can able to get this magnificent achievement form the stage of underdeveloped at around 1950? Why the countries like Nepal are not trying to achieve the success like Korea? This is the time to think and making the good policy to the field of economy, to absorb this age, for developing nations like Nepal. I have tried to justify that if they try, there is plenty of possibilities of being developed, for developing countries like Nepal by presenting the example of economic development of South Korea.

      • 개발도상국들의 국제화 정책에 관한 연구 : 네팔의 경우 : A Study on the Globalization Policies of Developing Countries : In Case of Nepal

        Deelip Raj Pandey 전북대학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942

        Many voices now proclaim that we live in a global age and if we research the trading, communication system of the world we also can guess that it is right. Really we are in the age of globalization by not limiting only to the national boundary really this is age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technology transformation, traveling to the other countries and finally economic integration.But I have to add one thing with sorrow that, still there are numbers of country which are very far from the development, they are facing only the challenges of globalization with taking any advantages some times the kind of feeling comes to those country’s peoples that nothing has been changed. In this regard it is proof that every country should have to do some thing new and creative which might be the weapons for fight to this age. So in this thesis report I have tried to research what are the effects of globalization for developing countries, and what are step that has to move for the developing country like, Nepal? Why country like Nepal remained underdeveloped while other countries are enjoying the globalization? How today’s developed and strong nation South Korea can able to get this magnificent achievement form the stage of underdeveloped at around 1950? Why the countries like Nepal are not trying to achieve the success like Korea? This is the time to think and making the good policy to the field of economy, to absorb this age, for developing nations like Nepal. I have tried to justify that if they try, there is plenty of possibilities of being developed, for developing countries like Nepal by presenting the example of economic development of South Korea.

      • Enterprise Globalization : (A)Study on Large Chinese Enterprises

        장초영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942

        Enterprise globalization, as one aspect of globalization, is considered an efficient means of growth for enterprises in the 21st century. A variety of enterprises all over the world has taken or is considering steps towards globalization. This study exclusively focuses on globalization from an enterprise perspective with a specific focus on large Chinese enterprises. The globalization of large Chinese enterprise has its own special features. In the trend of economic globalization, large Chinese enterprises are facing the unprecedented pressure from competition. The question of how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large Chinese enterprises to survive and develop effectively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has become a subject that large Chinese enterprises will face gradually. This paper is composed of five sections. The introduction part demonstrat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and the background of the globalization in China’s large-sized enterprises. Then the related literature is reviewed. Especially the general stage and process of enterprise globalization is reviewed. The following two sections (section 3 and 4) are the core of this thesis. In section 3, the general performance of globalization in large Chinese enterprise is described. In this section, three main forces that motivate globalization in large Chinese enterprises are analyzed; also the four typical globalization models of large Chinese enterprises are explained one by one followed by associated case studies. Bottlenecks and challenges for large Chinese enterprises in the aspect of globalization are explained as well. And Section four contains my own analysis and thinking of a better strategy for Chinese globalization. The challenges of large Chinese enterprises to go global are analyzed and my research output is demonstrated in this section. This paper ends with the conclusion and the prospects for future action. The most essential finding of this paper is a more efficient strategy for large Chinese enterprises which may better their processes of globalization. Large Chinese enterprises need to process the ‘value-added’ globalization by bettering their independent R&D capabilities; to transform from simple production to advanced creation by applying advanced core technology; to apply brand name strategy and operation and to acquire a global management system by learning from other successful enterprises and adjusting the experiences with their own real context; to get powerful policy support from government and to access to cross-cultural talents by taking efficient personnel cultivation programs.

      • OTHERING OURSELVES : IDENTITY AND GLOBALIZATION IN KOREAN POPULAR MUSIC, 1992-2002

        이희은 University of Iowa 2005 해외박사

        RANK : 2942

        이 논문은 1990년 이후의 한국 대중음악을 중심으로 전지구화, 지역화, 민족주의, 그리고 정치적이고 경제적인 탈규제가 어떠한 긴장 관계를 보여주는지 고찰한다. 특히 뮤직비디오에서 '세계'와 '한국적'인 것 사이가 어떻게 표현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떻게 국가 정체성이 구성되는지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뮤직비디오는 기존의 국가 정체성과 새로이 구성되는 국가 정체성이 함께 표현되면서 갈등을 빗기도 하는 장을 제공한다. 한국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네 가지 담론을 분석함으로써, 이 논문은 정체성의 변화 과정이 단순히 전지구화의 결과로 일어나는 것도 아니며 그에 대한 무조건적인 반발도 아니라는 점을 지적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혼종성(hybridity), 노스탤지어, 모빌리티, 그리고 타자화(othering)의 네 가지 담론이 소개된다. 1장은 음악과 텔레비전, 그리고 글로벌라이제이션과 민족주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문제를 다룬다. 그리고 왜 이런 맥락에서 한국 대중음악의 논의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지 설명한다. 2장은 이론적 논의와 함께 왜 뮤직비디오가 중요한 연구 소재가 될 수 있는지 설득한다. 3장에서는 한국 대중음악산업의 구조적인 분석이 이루어진다. 4장에서는 한국 뮤직비디오에 지배적으로 나타난 담론을 네 가지로 구분한 후, 이를 통해 글로벌라이제이션과 민족주의가 어떤 식으로 복잡한 관계 속에서 정체성 구성에 영향을 주는지 논의한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5장에서는 정체성 문제에 대한 좀더 일반적인 논의와 함께, 한국 뮤직비디를 통해 국가 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총괄한다. 결론적으로 한국 뮤직비디오는 단순히 음악을 듣고 보는 오락매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세계'와 '한국'이 만나는 지점을 제공하며, 특히 한국의 국가 정체성 문제가 끊임없이 논의될 수 있는 문화적 장의 역할을 한다고 본다. 이와 관련하여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최근의 동아시아 지역주의 문제에 한층 더 큰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제안한다. Since the 1990s Korean popular culture has demonstrated an interesting exampl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and the global. Within the popular music field, in particular, locally produced repertoires in Korea accounted for approximately 70 per cent of the market until the recent downturn of the music industry.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he time period between 1992 and 2002, when Korean popular music had experienced great tensions among globalization, localization, nationalism, and political and economic deregulation. More specifically, this dissertation deals with how global and national representations in select music videos interact to articulate conceptions of national identity. Music videos provide a platform where new and old forms of national identities are represented and contested. By analyzing four discursive dimensions of the music videos in Korea, I make an argument that the transformation of identity is neither a simple result of globalization nor an emancipatory resistance against it. A critical analysis of this audio-visual site examines, in detail, the issues of hybridity, nostalgia, mobility, and othering. Chapter one introduces my research question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usic and television, and between globalization and nationalism. In these contexts, the importance of the study of Korean popular music is discussed. Chapter two draws a theoretical map of the literature on globalization, popular music and identity. This chapter also suggests why music video is a crucial site to understand those issu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chapter three commences the contextual analysis of the Korean music industry. A brief history of the Korean media industry and a discussion on the contingencies in shaping the music industry are followed to set to the concept of cultural space of music video. In chapter four, I apply a diagram of four narratives that were prevalent in Korean music videos, which represent the complex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ization and nationalism. Then, I discuss how the relationship is understood in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identity. Chapter five is an overall review of the question of identity formation. This chapter explores exactly how the identity formation is inserted in the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the past and the future, and between others and ourselves. I argue that Korean music videos do not merely signify the transition from listening to music to watching music: they embody a mediation between the global and the local. Neither a simple replica nor a totally new creation, Korean music videos have constantly problematized and refused to address fixed cultural attributes of Korean national identity. In the conclusion chapter, I attempt to put this dissertation in a wider scope of media research and studies of popular culture, with a specific consideration of the East Asian regionalism. A recent example of Hallyu, or Korean Wave, in the region, calls for a greater attention to the transnational and intra-regional flows of cultural products and people.

      • Financial Power in the Global Village : Financial Globalization and the United States

        권은덕 University of Hawaii 2005 해외박사

        RANK : 2941

        This dissertation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roots and motives of financial globalization, and analyzes its various aspects and far-reaching influence on global financial markets. The existing research focuses on how technical development and market forces brought financial globalization, while this dissertation argues that the hegemonic financial power has greatly influenced modern financial globalization. Applying systems theory, hegemonic stability theory, and levels of analysis, it examines the structural power of the United States and its behavior in constructing globalization in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s from an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ic perspective. The United States has strenuously pursued bilateral and multilateral foreign policies to persuade industrialized countries and applied pressure on developing countries to participate in global financial liberalization. Due to this external pressure and domestic needs, developing countries opened their financial markets, and used foreign capital to finance their current account deficit and economic development. As financial globalization proceeded, volatile speculative short-term capital rushed into developing countries, which further opened their financial market without preparing a sound supervisory system and following proper sequencing. This caused serious policy dilemmas and frequently led to financial crises. Managing these financial disasters, the United States and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Ifs) designed a financial governance framework (New International Financial Architecture, NINA) adopting various international financial standards, financial sector assessments, and encouraging transparency in monetary and financial policy by strengthening the role of INIs. Many developing countries criticized that NINA facilitates unilateral policy reforms toward developing countries, and ignores a direct prescription to regulate hazardous speculative short-term financial capital. As an alternative proposal, global civil society groups promote the 'Toxin tax,' which imposes a steep tax on short-term financial capital inflows. However, industrialized countries are unwilling to accept this prescription. Through a critical evaluation of contemporary global governance of international finance, this dissertation highlights the need for a global forum to adjust various financial sector governance proposals, and a global disclosure system to monitor and control speculative capital motility's as alternatives to construct a stable international financial system.

      •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ization and Performance of Venture Firms in Korea : The Moderating Effect of CEO International Experience

        김범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941

        본 논문에서는 벤처기업이 수출이나 해외직접투자 등의 방식을 통해 국제화를 진행한 경우 기업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한편으론 그러한 벤처기업의 국제화와 성과간의 관계에 있어 CEO가 해외경험을 보유한 경우 어떠한 조절 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벤처기업의 국제화와 관련된 이론적 배경들을 검토하는 한편, 국제화에 따른 기업의 성과를 재무적 성과와 혁신성과로 구분하여 2개의 독립적인 소주제를 구성하였다. 첫 번째 소주제 연구에서는 벤처기업의 국제화와 재무적 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 코스피 및 코스닥에 상장된 299개 벤처기업들을 대상으로 2011년부터 2015년까지의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Hausman & Taylor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벤처기업의 국제화와 재무적 성과 간에는 ‘U자’형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U자’형 관계는 벤처기업의 경우 해외진출 초기에는 외국인비용으로 인해 국제화가 재무적 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나, 일정 수준 이상으로 국제화가 진행되면 지식과 경험이 축적되어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정(+)으로 전환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편으로는 벤처기업 CEO가 해외경험이 있는 경우 국제화와 재무적 성과간의 관계가 정(+)의 방향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벤처기업에서는 CEO의 해외경험이 국제화에 필요한 지식과 경험, 그리고 네트워크 등을 보완해주고 있음을 의미한다. 두 번째 소주제 연구에서는 벤처기업의 국제화와 기술혁신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의 코스피 및 코스닥 주식시장에 상장된 299개의 벤처기업을 선정하여 2차 자료를 활용한 통계적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수행결과 수출 및 해외직접투자 방식 모두에서 국제화와 기술혁신성과 간에 ‘U자’형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벤처기업의 국제화 초기 단계에서는 외국인 비용을 극복할 수 있는 충분한 유휴자원이나 새로운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흡수역량을 보유하지 못하여 국제화가 기술혁신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나, 일정 수준 이상의 국제화 단계에서는 지식과 경험, 그리고 흡수역량 등이 보완되어 정(+)의 관계로 전환된다는 본 연구의 주장과 일치한다. 한편 이러한 벤처기업 국제화와 기술혁신성과 간의 관계를 CEO의 해외경험이 정(+)의 방향으로 조절한다는 본 연구의 주장은 수출방식 보다는 해외직접투자 방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벤처기업이 해외직접투자를 통해 기술혁신성과를 달성함에 있어 CEO가 보유한 해외경험이 도움이 됨을 시사한다. This dissertation aims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and how globalization of venture firms affect performance of the companies. Also,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whether and how CEO’s international experience of venture firm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ization and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theoretical background regarding venture firms’ globalization is described in this research, followed by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samples of Korean venture firms listed in stock market. Performance of the venture firms is divided into two outcomes: financial performanc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The first essay, entitled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iza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 of Venture Firms in Korea,’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iza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 in Korean venture firms. Based on five-year panel data of 299 Korean venture firms listed in Kospi and Kosdaq during the period of 2011-2015, this study performed Hausman & Taylor test. The statistical result shows that venture globaliza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 have ‘U shape’ relationship, which proves that the existing theory that previous researches have proposed can be applied to venture firms as well. This result explains that the venture firms, which usually lack the resources required to exploit globalization, face negative impact of globalization on financial performance due to liability of foreignness at the early stage of globalization. However, after certain point of globalization, venture firms eventually make use of globalization by acquiring knowledge and experience to do so. Also, statistical result showed that international experience of venture CEOs reinforces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iza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 This result supports the proposition of this paper that venture CEOs, whose capability has high impact on the venture firms as founders, supplement required resources for globalization, such as knowledge, experience, and personal network. The second essay, entitled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ization and Innovation Performance of Venture Firms in Korea,’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globalization of venture firms in Korea on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Sampling 247 venture firms listed in Kospi and Kosdaq,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2nd DB data. The results shows that globalization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have ‘U-shape’ relationship in both export and FDI entry mode. This results support the main proposition that venture firms in early stage of globalization will face significant challenge due to ‘liability of foreignness,’ which leads to negative effect of globalization on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However, the liability will be offset as the firm accumulates experience and knowledge that will help to overcome the liability of foreignness, which will eventually turn the negative effect into positive effect. The other proposition that international experience of CEO of venture firms will help the firm overcome the liability of foreignness was supported only in FDI entry mode, not in export entry mode.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international experience might be more supportive in FDI where more direct and various interaction is required during the process.

      • 러시아의 세계화 정책 : 세계화 추진과정에서 국가의 역할을 중심으로

        이상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9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Russia corresponds to the issue in the dispute of globalization which is an inevitable main stream of the world, how to approach this globalization trend thru the actual policies, how the nation plays a role in the process of operating polic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pproached at the point of structuralism, which says there is no superior power except the nation as the propulsive power of globalization and examined the opinion of structuralism that the nation is influenced by the external factor, that is, the globalization and influenced by various other internal factors.$$a$$aRussia is adapting herself in the current of globalization in various sides such as the participation in several world organizations, which is generally thought to be the organization regulating the role of each nation. In spite of growing such trend of globalization, Russia accelerated the centralization of power and it seems to be that the idea of nation, Russia is still served as the highest authority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y. This is distinguished from the general globalization and as this idea is examined in more meaningful way, it can be a significant study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Russia for the role of nation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a$$aDifferently from the idea of democratic principle in western counties saying that the role of nation should be limited and the freedom of people should be secured, the politics of Russia emphasizes the role of nation. This came from the experience of long time Russian history caused by the propensity of Russian people who want have stabilized public order rather than the social chaos from the freedom even though there is the control of nation. In the foreign policy, they actualized the value of globalization thru the integration and cooperation, but they don’t like the monopolizing system by the USA and try to strengthen the power of the nation as the central force of globalization. For this purpose, as the basic policy corresponding to the globalization, Russia pursues becoming a powerful country in Eurasia and making multipolarization system in the international society.$$a$$aAs Russia is seeking after the integration of world economic system in the economic aspect, it is shown that she is trying to take a power and strong influence over the international society. Russia participates in making various systems to minimize the ill effect generated from the integration of world economic system or legislated system to secure such phenomenon and leads to solve all problems. Also, she performs the powerful national strength to nationalize companies related to the energy business, which can be the core of Russian economy.$$a$$aThough it is concerned that such a Russian nation-initiated globalization policy is going against the globalization in many aspects, this shall be understood as a Russian-style globalization policy consider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Russia has. Each nation has each different condition and she makes her own policy, melting into each field of policy. From this point of view, Russia is considered to make her own globalization whatever her outer look is and believed to do as such in the future.$$a$$a 본 연구의 목적은 피할 수 없는 전 세계적 조류인 세계화의 논쟁 속에서 러시아가 어떻게 대응해 나가는지 구체적인 정책들을 통해 접근하고, 정책의 추진과정에 있어서 국가의 역할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세계화 추진세력으로서 국가 외에 상위 권력은 존재할 수 없다는 구조주의의 입장에서 접근하였는데, 국가가 외부적인 요인 즉, 세계체제의 영향을 받는다는 구조주의의 주장뿐 아니라, 국가 내부의 여러 요인들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 있다$$a$$a러시아는 일반적으로 개별 국가들의 역할을 제한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세계의 각종 기구들에의 참여 등 여러 가지 면에서 세계화의 현상 속에 적응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계화의 심화추세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는 오히려 집권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여전히 러시아에서 국가는 대내외적으로 최고의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일반적인 세계화와 구별되는 것이며 이러한 의미에서 보았을 때, 세계화 추진과정에서의 국가의 역할에 대한 러시아의 특수성을 고찰한 본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a$$a러시아의 국내 정치는 국가의 역할이 제한되고 국민의 자유가 최대한 보장되어야 한다는 일반적인 서구식 민주주의와는 다르게 국가의 역할이 강조된다. 이것은 오랜 러시아의 역사적 경험에 의한 것으로 러시아 국민들은 자유로운 무질서 보다는 국가의 통제가 있더라도 안정된 질서를 원하는 그들의 성향에 기인한다. 대외정책에 있어서 그들은 통합과 협력을 통하여 세계화의 가치를 실현해 가고 있지만, 무엇보다 미국의 단극체제를 못마땅하게 여기며, 국제사회에서 세계화의 중심세력으로서의 국가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자 한다. 이것을 위해 러시아가 기본적으로 세계화에 대응하여 취한 정책으로는 유라시아 강대국이 되는 것과, 국제사회에서 다극체제를 추구하는 것이다.$$a$$a경제부문에 있어서 세계경제로의 통합을 추구하면서, 국제사회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국가가 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국가는 러시아가 세계경제로 통합함으로 인해 생기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장치를 만들거나, 이를 보장해 주기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만드는 등 정책들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국가 주도로 모든 것을 해결해 나간다. 또한 러시아 경제의 핵이라 할 수 있는 에너지 사업에 대해서는 에너지 관련 회사들을 국유화하는 등 보다 강력한 국가의 힘을 행사하고 있다.$$a$$a이와 같은 러시아의 국가주도의 세계화 정책은 많은 부분에서 세계화에 역행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낳기도 하지만, 러시아가 가진 대내외적 조건들을 고려해 보았을 때 이것은 러시아 방식의 세계화 정책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개별 국가들은 각기 다른 조건들을 가지고 있고, 이는 각 분야의 정책에 녹아들어 자신만의 정책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러시아의 세계화는 겉모습이 어떻든지 간에 자신들만의 세계화를 잘 만들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앞으로도 그렇게 될 것으로 보인다.$$a$$a

      • 탈인습적 세계시민성을 지향하는 기독교교육 모형 연구

        문수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939

        이 논문의 목적은 초국가적 세계화(globalization)시대의 도전에 적합한‘탈인습적’세계시민성을 지향하는 기독교교육 모형을 연구하는 데 있다. 또한 이 연구는 오늘날 세계화에 관한 반세계화(anti-globalization movement) 및 탈세계화(deglobalization)에 대한 비판적 담론 구성뿐 아니라 새롭게 인식되는‘세계시민성’에 대한 글로벌 정체감(global identity)의 획득과‘세계시민-되기’(becoming a global citizenship)로서의 탈인습적 기독교교육의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세계화의 흐름은 20세기 이후 교통·통신 및 정보 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국가의 경계를 넘어‘위로부터의 세계화’(globalization from above)를 비판하고, ‘아래로부터의 세계화’(globalization from below)를 지향하는 환경, 인권, 평화 교육 등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고 있다. 특별히, 초국가적(transnational) 공동체의 출현은 하나의 국가에 소속된 고정된 형태인 국민-국가로서의 시티즌십 개념을 넘어 다중시민(multi-citizenship)성을 지닌 복합적이고 유동적 형태인 세계시민성 개념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오늘날 초국가적 세계화에 긍정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시민교육의 변화를 요청하고 있다. 일반적인 글로벌 시민교육은 세계화 쟁점에 대한 교사 중심의 지식 전달식 교육에만 치중됨으로써 학습자들로 하여금 비판적 성찰 의식의 결여로 한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무엇보다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추구하는 글로벌 시민교육 목표는 소외와 고립, 나아가 공동체의 부적응 등으로 글로벌 정체감의 위기에 대한 주된 요인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일반적인 시민교육을 넘어 새로운 형태의‘탈인습적’(postconventional) 글로벌 시민교육의 모형을 수립하려는 것이다. 탈인습적 글로벌 시민교육은 기독교 성인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아 성찰 및 타자성을 규명하는 데 신학적 기반을 필요로 한다. 즉 글로벌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인간의 존엄성과 관련하여 중요한 틀을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글로벌 시민교육을 위한 신학적 근거로 제기하는 바는, 세계화의 상황변화에 대한 ‘하나님의 몸’이해, 세계화 시대에 새로운‘글로벌 정체감’이해, 그리고 타자성을 추구하는 환대(hospitality)에 관한 이해를 논하였다. 그리고 탈인습적 세계시민상(像)을 함양하기 위하여 글로벌 자아정체감의 핵심 원리로서 다음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즉 글로벌 성찰성(global reflexivity), 글로벌 개방성(global openness), 그리고 글로벌 연대성(global solodarity)이다. 글로벌 성찰성이란 세계화의 쟁점과 지식에 대한 비판적 자기-탐구의 과정을 성찰하는 것이며, 글로벌 개방성이란 다양한 목소리를 발견하고‘차이’와 ‘다름’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개방하는 것이며, 나아가 글로벌 연대성이란 전 지구적인 책임적 연대를 실천하기 위한 신앙공동체를 구현하는 것이다. 이런 견지에서 탈인습적 기독교교육의 목적은 세계화 시대에 요구되는 인간상으로 탈인습적‘상생’(相生) 중심의 세계시민을 지향하는 것이며, 교육 목표는 글로벌 성찰적 자아를 지닌 세계시민-되기, 글로벌 개방적 자아를 지닌 세계시민-되기, 그리고 글로벌 연대적 자아를 지닌 세계시민-되기로 상정하였다. 결국, 탈인습적 글로벌 시민교육의 목적 및 목표를 토대로 탈인습적 기독교교육의 교수-학습 모형을 다음과 같이 수립하였다. 즉 1) ‘글로벌 성찰적’ 모형(탈중심화), 2) ‘글로벌 개방적’모형(탈경계화), 3) ‘글로벌 연대적’나눔 모형(탈경쟁화)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그 외에도 전문적인 교사와 학습자의 역할과 태도 등에 대해 살펴보고, 무엇보다 비형식적인 교육 환경 및 평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기독교적 관점에서 급변하는 세계화의 상황변화로 파생되는 글로벌 정체감에 대한 연구를 분석하였다는 점과, 또 한 가지는 하나님의 타자 사랑을 실천하는 탈인습적 글로벌 시민교육의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탈인습적 세계시민성 획득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모형을 마련했다 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a model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imed at ‘postconventional’global citizenship that responds the challenges in the era of transnational globalization. The study also seeks to create a critical discourse on anti-globalization and de-globalization on globalization today, and to explore the task of postconventional Christian education as becoming a global citizenship in order to acquire global identity. Since the 20th century, the trend of globalization has been rapidly developing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media, which criticizes ‘globalization from above’ beyond national boundaries, and various discussions are being held on environment, human rights, and peace education aimed at‘globalization from below.’In particular, the emergence of transnational communities requires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a complex and fluid form of multi-citizenship beyond the concept of national-citizenship as a people-state, a fixed form belonging to a country. Under these circumstances, we are calling for a change in citizenship education to positively respond to transnational globalization today. Gener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cuses on the issue of globalization only on teacher-centered knowledge transfer education, which is seen as limiting for learners to a lack of critical reflection consciousness. Most of all,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oal, which seeks to strengthen global competitiveness, is seen as a major factor causing a crisis of global identity due to alienation, isolation and, moreover, to maladjustment of the community. Postconvention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requires theological foundation for Christian adult learners to identify self-reflection and Others. This is because it provides an important theological framework in relation to human dignity for the formation of a global sense of self-identity. The theological ground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discussed the understanding of the ‘body of God’ of the changing situation of globalization, the understanding of global identity as a new human understanding in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hospitality seeking Others. This study presented three key principles of global identity in order to establish a postconventional global citizenship: global reflectivity, global openness and global solidarity. Global reflectivity means the reflection of the issues of globalization, the process of critical self-exploration of knowledge, and global openness means the discovery of diverse voices and the opening up of a shift in perception of ‘differentness’and ‘dissimilarity’, furthermore, global solidarity means the establishment of a Christian community to implement a global responsible solidarity. Based on these principle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encourages Christian adult learners to pursue a 'Sang-Saeng'(co-prosperity), postconventional global citizenship as a human becoming required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the educational goal is to become a global citizenship with a global reflective-self, a global citizenship with a global open-self, and a global citizenship with a global solidarity self. The purpose of the postconvention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to pursue a global citizenship as a human being required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its education goal was to become a global citizenship with a global reflective-self, a global citizenship with a global open-self, and a global citizen with a global solidarity self. In the end, a teaching-learning model of deviant Christian education based on the objectives and goals of the postconventional 'Sang-Saeng'(co-prosperit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follows, 1) the ‘global reflective’ model (post-centralization), 2) ‘global open’ model (post-boundarization) and 3) ‘global solidarity’ sharing model (post-competition). In addition, the roles and attitudes required by each professional teacher and learner have been examined and an informal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ssessment have present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lobal identity derived from the changing situation of globalization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and another is that it has prepared a new model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attaining a postconventional global citizenship in order to carry out the task of postconventional Christian education to practice God's love of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