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50년대 廣西壯族지역의 혼인풍속 변화에 대한 연구 : '不落夫家' 사례를 중심으로

        황영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3239

        This thesis studies the case of 'not following the husband' and researches the reasons for the use of this marriage tradition of the Zhuang ethnic minority group located in Guangxi. The author focused on studying how the period of women 'not following the husband', or even immediately 'following the husband' before the birth of the first child, has naturally shortened since the 1950s in order to find the reasons for this change. This research mainly concerns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e power and rural civil society tradition, especially regarding the changes of marriage tradition. Further study explains the binding force interaction between state power and the folk customary law. The change in the marriage tradition of 'not following the husband' has appeared on the basis of the spontaneous development within the Zhuang society and the respective interests among men and women. The author first compared and analyzed traditional marriage reform of the Guangxi Zhuang nationality since the 1930's and the reform of early new China in the 1950's, then analyzed their effects on the Zhuang nationality's internal social development. Secondly, the author inquired into the effects of the implementation of new marriage law on the traditional marriage customs of the Guangxi Zhuang people in the 1950's, mainly researching adjustments made on the marriage tradition of 'not following the husband'. Then it is explained that the 'not following the husband' tradition within the Zhuang nationality has not only changed according to newly implemented marriage law, but the trend of 'following the husband' can be more attributed to the Zhuang nationality's increased land ownership rate since the early 1950's. Finally, the changes to the Zhuang nationality civil society brought about from government reforms policies such as the new Chinese government's literacy campaign, land reform, labor liberation, and agricultural collectivization are used to research the reasons for the disappearance of 'not following the husband'. By understanding the needs of the Zhuang people's social develop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exchange and government policy, the acceptance of the cultural change from 'not following the husband' to 'following the husband' can be studied. This thesis demonstrates that the Zhuang men and women's acceptance of 'following the husband' marriage custom voluntarily is based on their individual gender obligations and rights. In short, the change from 'not following the husband' to 'following the husband' of the Zhuang nationality in the 1950's can be divided into three reasons. Firstly, in the early 1950's, Zhuang people began to voluntarily 'follow the husband' in order to gain the ability to acquire more possible land assets. Secondly, changes in social moral values occurred in the 1950's. The change in the orientation of moral values made the 'not following the husband' tradition begin to disappear naturally and influenced the creation of a more harmonious relationship dynamic between married couples. The third reason focuses on the equality of 'obligation and right' with regards to Zhuang women. The change from 'not following the husband' to 'following the husband' in the 1950’s is closely related to the personal interests of Zhuang men and especially women. The 'not following the husband' marriage tradition in the 1950's gradually disappeared according to the social development of the Zhuang nationality and the individual interests of Zhuang men and women. The change from 'not following the husband' to 'following the husband' in the 1950's was not only influenced by new marriage law, but also by various other factors according to the average life experiences of the Zhuang people such as ethical and moral orientation, lifestyle and gender division of labo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oes not only make up deficiencies of previous studies regarding the 'not following the husband' tradition, but it also provides a new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The author intends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ethnic minority studies, regional research,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policy and ethnic customs in the early day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t the same time, the author hopes this study can give aide to the research of Chinese minority nationalities in Korean academia, especially regarding the Zhuang nationality, which is the largest ethnic minority in China. 본고는 광서좡족지역 전통 혼인풍속인 '불락부가(不落夫家)'가 1950년대 변화된 양상과 그 원인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좡족 민간 사회 발전의 상황 및 그 특징을 살펴보고 1950년대부터 '불락부가' 혼인풍속이 결혼 후에 '불락부가'의 시간을 단축하거나 아이를 낳기 전일지라도 곧바로 '락부가(落夫家)'하는 관습으로 차츰 발전·변화한 이유에 대해 중점적으로 탐구하였다. 본고에서는 국가권력이 농촌의 민간사회 풍속과 어떤 관계를 맺 는지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혼인풍속의 변화를 기반으로 국가권력이 민간관습법의 구속력과 상호작용한 점, 좡족 사회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필요성에 따라서 '불락부가' 혼인풍속의 변화가 발생한 양상 그리고 좡족 남녀 각각 이해관계에 입각한 변화의 발생 양상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필자는 1930년대 민국시기와 비교하여 1950년대 신중국 성립 이후 실시된 정책을 살펴보았다. 특히 문맹 퇴치운동, 토지개혁, 노동력 해방 및 농업 집단화 등 일련의 정부정책에 의하여 좡족사회의 낙후성과 폐쇄성이 타파되었고 점점 좡족지역 외부세계와의 교류가 활성화되면서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발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한 좡족사회의 자발적인 동기에서 비롯된 것이었음을 논증하였다. 이 구도에 입각하여 일단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1930년대 민국시기 광서좡족지역의 전통적 혼인풍속에 대한 개량 운동과 1950년대 신중국의 개혁 상황을 비교하면서 1950년대 좡족 사회 내부적 발전 및 환경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1950년대 광서좡족지역에서 신 「혼인법」의 시행 및 혼인정책의 실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1950년대 광서지역에서 신 「혼인법」의 시행 및 혼인정책의 실제, 특히 '불락부가' 혼인풍속의 변화를 중심으로 혼인풍속에 기반을 두고 조정해나간 상황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이 때 좡족의 '불락부가' 혼인풍속이 1950년대 신 혼인법의 홍보 및 시행에 따라 사라졌다기보다, 좡족 사람들이 1950년대 초반 정책 시행에 따라 정부로부터 토지재산을 더 분배받기 위해 자발적으로 '락부가'하기 시작했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좡족 민간 사회 상황과 1950년대 신중국 정부의 일련의 개조·개혁 정책에 따른 '불락부가' 혼인풍속의 단절에 대해 살펴보았다. 좡족 사회가 자발적으로 인식한 발전의 필요성, 대외 교류 및 정책 활동에 대하여 알아보고 '불락부가'에서 '락부가' 관습으로 바꾸기 시작한 원인이 무엇인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더 나아가 좡족 사회 내부에서 성별에 따라 부과된 의무와 그것에서 파생되는 이익의 균형 관계에 입각해서 자발적으로 '락부가' 관습을 받아들이기 시작했음을 논술하였다. 정리하자면 1950년대 광서 좡족지역에서 '불락부가'에서 '락부가'로 혼인풍속이 변화한 원인은 대체로 아래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접근해 볼 수 있다. 먼저 1950년대 초반 토지재산을 더 분배받기 위해 좡족 사회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락부가'하기 시작했다. 둘째, 1950년대 좡족 사회적 도덕관념 지향의 변화와 관련이 있었다. 도덕관념 지향의 변화가 '불락부가' 풍속을 점차 사라지게 했고, 부부가 화목한 새로운 형식의 가정의 탄생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 분명하다. 셋째, 좡족 사회 내 여성의 의무 및 이익 간 균형 관계에 관한 것이다. 전반적으로 말하자면 1950년대 '불락부가' 혼인풍속이 차츰 사라지게 된 원인은 좡족 사회 내부의 자발적 필요성에 의해 일어났으며 동시에 좡족 남녀 각각의 이해관계에 입각하여 발생했다는 것이었다. 또한 좡족 사회의 실생활에 접근하여 윤리��도덕관념에서의 지향, 생활방식 및 성별적 분업 등의 요소를 기반으로 짚어본다면, 결국 1950년대 '불락부가'에서 '락부가'로 변화한 원인에는 신중국정부가 제정한 혼인법의 영향뿐만 아니라 좡족 사회 내부의 여러 요인들도 있었던 것이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불락부가' 혼인풍속 문제를 다룬 기존 연구의 부족한 면을 채우고, 새로운 이해의 단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사례 연구를 통해 소수민족연구, 지역연구 및 신중국 건국 초기의 정부정책 및 민간 관행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를 희망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한국 학계에서 중국 소수민족, 특히 좡족에 대한 기존 연구가 부족했던 상황에 도움이 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 (The) effects of welfare states on gender inequality in care work : a comparative study of time use in unpaid work using multilevel models

        Cho, Sunmi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9 국내박사

        RANK : 200555

        이 연구는 복지국가가 사회정책을 통해 개인들의 성별화된 시간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국가 비교분석을 시행하였다. 특히 가족정책의 유형별 차이가 가족 내 사적 영역에서 돌봄노동의 젠더 불평등을 결정하는지 살펴보고, 시간사용자료를 활용하여 여성과 남성의 일-가족 배분을 둘러싼 성별분업의 상이한 결과에 주목하였다. 가족정책은 가족의 돌봄을 지원하고, 돌봄 제공자 (caregiver)와 돌봄 수혜자 (carereceiver) 사이의 돌봄 관계 (care relations)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 및 지향에 관련되어있으며, 복지제공유형(welfare provision type)에 따라, 현금 (cash), 서비스 (services), 시간(time off)의 세 가지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이 연구는 다양한 가족정책 중 아동돌봄에 관련된 가족정책에 초점을 맞추고, 세 가지 제공유형에 따라 가족 내 임금노동과 돌봄노동의 성별분업에 있어 어떠한 변화를 야기하는지 살펴보았다. 현금, 서비스, 시간은 정책 내에 내재된 원리에 따라 각각 돌봄과 자원을 둘러싼 가족 내 성별화된 의존성에 상이한 효과를 미치는데, 가족 내 의존성을 강화시킬 경우에는 가족주의적 정책(familizing policies)으로, 의존성을 약화시킬 경우에는 탈가족주의적 정책 (de-familizing policies)으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세 가지의 복지제공유형은 어떤 정책이 남녀의 유급노동 및 돌봄노동의 시간 배분에 있어 성별분업을 강화하거나 완화하는지 비교하는데 유효한 기준을 제공할 것이다. 더 나아가, 복지국가의 가족정책은 사회계층에 따라 그 영향력이 다르게 미칠 수 있다. 어떤 정책은 중상층 계층의 성별분업을 줄이는데 더 효과적이고, 반대로 어떤 정책은 하위 계층의 성별분업을 줄이는데 더 효과적일 것이다. 젠더, 계층, 인종 등 다양한 사회적 위계관계의 중층적 구조에 주목하는 ‘불평등의 교차성 (intersectionality)’은 최근 사회정책 및 불평등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관점이지만, 아직까지 돌봄에 대한 가족정책의 효과에 있어 성별과 계층의 교차성을 경험적으로 접근한 연구는 거의 수행된 적 없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가족정책이 일-가족 영역에 미치는 성별화된 효과가 사회계층별로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방법은 다수준 분석 (multilevel model)을 활용하여 비교국가 연구를 시도하였다. 분석자료는 영국 옥스퍼드 대학 (the University of Oxford)의 시간사용연구센터(the Centre for Time Use Research, https://www.timeuse.org)에서 제공한 다국가 시간사용 자료 (the Multinational Time Use Study, MTUS)를 사용하였다. 시간사용은 임금노동과 무급노동으로서 돌봄노동에 주목하였으며, 특히 젠더 불평등에 중요한 이론적∙경험적 함의를 가지는 돌봄의 유형인 가사노동과 아동돌봄 노동에 주목하였다. 가사노동은 여성에게 많은 물리적, 심리적 제약과 일상적 부담을 주는 형태의 가사노동으로 알려진 식사준비, 청소 등의 비유연화된 형태 (inflexible-typed tasks)의 가사노동에 초점을 맞추었다. 아동돌봄 노동은 아동에 대한 물리적, 정서적, 학습적, 여가적 노동을 모두 포함하였다. 분석대상으로 포함된 국가는 경제적으로 발전된 13개의 복지국가이며, 에스핑 앤더슨 (Esping-Andersen, 1990)의 복지국가 유형에 따라, 노르웨이, 핀란드, 덴마크의 사민주의 레짐 (social democratic regime), 오스트리아,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의 보수주의-조합주의 레짐 (conservative-corporate regime), 호주, 캐나다, 영국, 미국의 자유주의 레짐 (liberal regime), 그 외의 국가인 이탈리아, 스페인, 이스라엘, 슬로베니아, 한국으로 이루어져있다. 개인 수준의 분석대상은 기혼상태의 남녀이다. 사회계층은 개인수준의 계층적 지위로서 교육수준을, 가구수준의 계층적 지위로서 가구소득의 두 가지 측면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유급노동과 돌봄노동의 배분에 대한 성별분업 연구는 개인, 부부, 가구를 중심으로 한 미시적 수준의 연구와 국가, 제도, 구조를 중심으로 한 거시적 수준의 연구로 분류된다. 미시적 수준의 연구는 성역할 이론 (gender role theory), 교환 이론 (exchange theory), 시간 가용성 이론(time availability theory), 돌봄 수요 이론 (housework demand theory), 분업화 이론(specialization theory)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거시적 수준의 연구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생활수준의 발전, 복지국가 유형, 가족정책과 같이 제도적 특징이 개인의 성별분업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시적 수준의 제도적 특징이 미시적 수준의 개인 및 부부의 특성 별로 어떻게 성별분업에 상이한 결과로 귀결되는지의 미시와 거시의 관점을 통합하여 접근한 연구는 아직 충분한 양의 연구가 수행되지 않았다. 특히 성별분업에 대한 가족정책의 유형별 효과가 어떻게 젠더 및 계층의 교차성을 중심으로 상이한 결과로 나타나는지 분석한 경험적 연구는 거의 드물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이 연구는 복지국가에서 시행되는 다양한 가족정책의 성별효과를 측정하는데 효과적인 접근방법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그 동안 복지정책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총 지출액 접근법 (expenditure approach), 복지레짐 (welfare regime) 혹은 돌봄 레짐(care regime), 지표화 접근법 (indexation), 개별정책비교 접근법 (individual policy comparison), 복지제공유형 (welfare provision type), 탈가족화 및 가족화 유형 (defamilization/familization)의 다양한 접근방법이 있었다. 이 연구는 특히 돌봄 제공방식에 대한 상이한 성별화된 원리를 내포하고 있는 복지제공유형에 기반하여, 현금, 서비스, 시간의 세 가지 분류법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제공유형은 가족 내 돌봄과 자원의 배분에 있어 성별화된 의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따라, 가족 내 의존성을 강화하는 가족화 정책과 개인의 독립성을 강화하는 탈가족화 정책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족정책의 제공유형별 구성적 차이가 개인의 성별화된 시간사용과 경험적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한국, 미국, 독일, 노르웨이를 선별하였다. 분석결과, 가족정책의 구성적 차이는 임금노동과 돌봄노동에 대한 성별분업의 정도와 관련이 있었으며, 더 나아가 이러한 성별분업의 차이에는 사회계층적 차이 역시 동반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이 연구는 세 가지 복지제공유형 중 현금과 서비스가 성별분업에 미치는 상이한 효과를 비교하였다. 현금과 서비스 중 어떤 방식으로 돌봄을 지원할 것인지의 문제는 젠더 불평등을 둘러싼 담론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즉, 현금을 통해 돌봄수혜자의 돌봄 사용에 대한 자유로운 선택을 더 우선시할 것인지, 혹은 서비스를 통해 돌봄제공자의 유급노동과 돌봄노동의 배분에 대한 자유로운 선택을 우선시할 것인지의 논쟁과 결부된다. 최근 서구유럽 등지에서는 기존의 서비스 중심의 돌봄제공으로부터 현금 중심의 돌봄제공으로 변화하고자 하는 복지국가의 개혁적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를 CFC (the Cash-for-Care) 제도로 명명한다. 현금이 가진 유연성과 자유로운 양도가능성의 속성은 대부분의 돌봄을 필요로 하는 수혜자가 사회적 취약계층일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자기 효능감과 자유를 증진시킨다는 점에 장점을 지닌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현금의 특징은 돌봄관계의 성별화된 맥락과 교차할 때 젠더 불평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즉, 현금을 통한 돌봄의 제공은 사적 영역의 불균등한 권력관계와 젠더 규범에 의해 주로 남성보다 여성을 임금노동으로부터 이탈시켜 가족 내 비공식 돌봄제공자로 변환시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돌봄노동에 대한 성별분업을 강화시킬 수 있다. 반면 서비스는 사용에 있어 비유연화되어 있고 양도가 불가능하며 제약이 있지만, 가족 내 비공식 돌봄을 ‘돌봄의 사회화’로써 국가에 의한 돌봄제공을 지향하기 때문에, 가족 내 권력차이나 젠더 규범에 의한 영향력을 적게 받고, 여성의 돌봄을 직접 완화하여 여성의 유급노동에 대한 선택의 자유 역시 증진시킬 수 있다. 이 연구는 복지국가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시행 중인 현금 정책으로 아동수당(family allowance)을, 서비스 정책으로 조기유아교육 및 보육제도 (ECEC,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및 홈케어∙시설 서비스 등에 대한 공공지출액을 선별하였고, 이것이 성별분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현금 지원액이 증가할수록 기혼부부 내의 성별분업 정도가 증가하였으며, 반대로 서비스 지원액이 증가할수록 이들의 성별분업 정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서비스 비율 역시 성별분업을 결정하는 중요한 제도적 차원임이 확인하였는데, 전체 가족지원정책 중 서비스 지원의 비중이 증가할수록 성별분업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현금과 서비스가 성별분업에 미치는 효과는 사회계층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였다. 즉, 현금은 계층별 차이가 부분적으로만 지지되지 않았지만, 서비스는 대체로 상위 계층의 부부에게 성별분업을 줄이는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서비스 비율은 하위 계층의 성별분업을 줄이는데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면서, 서비스 자체보다는 서비스의 비중이 특히 젠더와 계층을 고려한 전반적인 사회적 불평등을 완화하는데 더 중요한 측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이 연구는 세 가지 복지제공유형 중 시간 정책이 유급노동에 종사하는 여성과 남성의 일-가족 업무부담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시간 정책은 출산과 육아 등 가족돌봄을 지원하는 휴가제도이며, 대표적인 일-가족 양립 정책으로서 많은 복지국가에서 시행 중에 있는 돌봄 지원정책이다. 시간 정책은 사용자에게 시간 유연성을 높임으로써 일과 돌봄을 원활하게 병행할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간 정책은 여성의 일-가족 양립을 직접 목적으로 하고 있거나, 성 중립적인 자격이 주어지더라도 대부분 여성에게 높은 접근성이 주어진다. 이와 같은 시간 정책의 여성편향성은 남성의 ‘주된 노동자’로서의 공고한 성역할은 거의 변화시키지 못한 채, 여성이 ‘이차 노동자’이자 ‘주된 돌봄제공자’로서 일∙가정의 양면에서 유급노동과 돌봄노동의 이중노동을 ‘조화롭게’ 수행해야 하는 주체로 가정하면서 여성의 이중부담을 도리어 가중시킬 우려가 있다. 한편, 시간 정책은 자격조건, 범위, 혜택 등에 따라 다양한 정책적 지향을 갖고 있다. 따라서 가족돌봄 관련 휴가정책이 출산휴가제도(maternity leave)와 같이 여성에게만 자격이 주어지는 정책인지, 육아휴직제도 (parental leave)처럼 성 중립적 자격을 부여하지만 일반적으로 여성에게 좀 더 접근가능성이 높은 정책인지, 부성휴가제도 (paternity leave)처럼 남성에게 직접 자격이 주어지고 아버지의 돌봄참여에 대한 권리를 명시한 정책인지, 혹은 공동육아휴직제도 (shared parental leave)처럼 부모가 공동으로 휴가를 사용하거나 분담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여 공동 보육의 책임을 강조하는 정책인지에 따라 일∙가족의 이중노동 및 성별분업 정도에 미치는 효과 역시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또한 휴가정책의 혜택은 ‘시간’의 속성을 지급하는 휴가기간 (the length of leave)의 측면과 ‘현금’의 속성을 지급하는 임금대체율(wage replacement rate)로 나뉘어지는데, 복지제공유형에 따른 효과의 차이가 존재할 것으로 가정하고 휴가기간과 임금대체율을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의 기간과 육아휴직의 임금대체율이 증가할 수록 남성보다 여성의 일-가족 업무의 전체노동량을 더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돌봄노동 역시 남성보다 여성의 부담을 더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성휴가의 기간이 길어질 경우 여성보다 남성의 돌봄참여 정도를 더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 육아휴직의 경우, 특히 성별효과에서 가장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휴가기간이 길어질수록 남성의 돌봄참여가 증가하고 여성의 돌봄부담이 감소하는 등 좀 더 성평등한 시간배분으로 영향을 미쳤다. 한편, 시간정책의 성별효과에는 사회계층별 차이 역시 존재하였다. 즉, 육아휴직제도의 임금대체율과 공동 육아휴직제도는 특히 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 간의 사회계층별 차이가 두드러졌다. 이 두 가지 정책은 남성과 여성 집단을 분리하여 보았을 때, 가사노동의 경우, 전반적으로 여성에게는 부담을 경감시키고 남성에게는 돌봄의 참여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아동돌봄의 경우, 사회계층간 차이가 뚜렷하게 형성되었다. 즉, 하위 계층에서는 육아휴직제도의 임금대체율과 공동 육아휴직제도의 기간이 증가할수록 남녀 모두 아동돌봄 시간이 증가하였지만, 상위 계층에서는 아동돌봄 시간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시간 정책의 효과가 젠더 뿐만 아니라 사회계층에 따른 불평등을 강화할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결과이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정책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복지국가가 가족정책을 통해 성평등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가족돌봄에 투자하는 전체 공공지출 양보다 현금, 서비스, 시간의 복지제공유형에 따른 성별화된 효과를 충분히 고려하고 적절한 배분을 시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복지지출의 총액보다 제공유형별 차이가 여성과 남성의 성별분업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야기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더 나아가, 가족정책의 효과는 사회계층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젠더와 계층의 교차성을 고려하여, 어떤 정책이 사회전반적인 불평등을 줄이는데 효과적인지 다양한 정책유형 간의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돌봄노동의 대한 가족정책의 지향은 단순히 여성의 돌봄 부담을 줄이는 것이 아닌, 좀 더 성평등한 맥락에서의 돌봄 참여를 확산시키는데 있다는 점을 명시하여야 한다. 가족정책의 목표는 여성과 남성이 공동 생계부양자이면서 동시에 공동 육아자가 될 수 있는, 좀 더 자유로운 성역할과 일-가족 배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데 두어야 한다. 따라서 남성의 돌봄에 대한 권리를 확대하면서, 여성의 유급노동에 대한 참여를 보장하는 방안이 향후 가족정책의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This comparative study examines how welfare states affect gendered time use through family policies. In particular, the study considers multinational time use and compares whether each family policy provision type leads to a different outcome affecting the gendered division of paid and unpaid care labor in the work–family arrangement. Family policy is related to the nature of and orientation toward shaping a caring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s and care-receivers. It can be divided based on three types of welfare provisions: cash, services, and time off. This study focuses on family policies related to childcare and examines the changes in terms of gendered division of labor within households, depending on these three types of provisions. According to the principles underlying family policies, cash, services, and time off have different effects on gender-specific dependency within the family in terms of care and resources. These provision types can be classified into familizing and de-familizing policies: the former strengthens while the latter weakens interdependency within the family. Family policies can also have different effects depending on social stratification. Few empir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amily policy on care work by examining (a) the multilevel structure at the macro and micro level and (b) the intersectionality of inequality with regard to gender and class. Thu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gendered effects of family policies in the division of paid and unpaid care work are differentiated by social class. The comparative study employed multilevel models.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Multinational Time Use Study (MTUS) released by the Center for Time Use Research (https://www.timeuse.org). This study focused on the time allocation of paid and unpaid care work and divided care work into housework and childcare, which have important theoret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s for gender inequality. This study was limited to married men and women from the sixteen economically developed and democratized welfare states. These countries included Australia, Austria, Canada, Denmark, France, Finland, Germany, Israel, Italy, the Netherlands, Slovenia, South Korea, Spain, Norway,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ich is an appropriate approach for comparative policy studies in gender and care dimension. The study suggested three provision types of family policies —cash, services, and time off—based on different institutional concepts of care provision that embody gender-specific dependency within the family. Nex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is an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gendered time use and the effects of family policies based on the three provision types. I selected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Germany, and Norway to compare family policies and the gendered division of labor. Compositional differences in family policies were related to the degree of the gendered division of labor in paid and unpaid care work; furthermore, the policy effects on the gendered division were accompanied by differences in social stratification. Second,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cash and services on gendered divisions in care work. The question of how to support the provision of care by providing cash and services is related to the discourse surrounding gender inequality: will cash allow the caregiver to prioritize his/her free choice regarding the provision of care, or will services allow the caregiver to prioritize his/her free choice in allocating paid work and care work?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cash increased the degree of gendered division in married couples while services decreased it.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ratio of services is an important institutional dimension that determines the gendered division of labor, as the proportion of services from among the total family benefits decreased the gendered division of labor. Furthermore, the effects of cash and services on gendered division differed by social class. Although cash differences were partly supported by class in childcare, services were more effective in reducing gendered division in upper-class couples. However, regarding the ratio of service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rtion of services rather than the services themselves is more important in mitigating overall inequality considering gender and class, as i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gendered division of labor in the lower class. Thir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aking time off from work on the work–family arrangement of women and men engaged in paid work. The time off policy is a leave related to childcare- or birth-giving and has been implemented in many welfare states as part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However, since time off provisions are mostly based on the gender-specific eligibility aiming at the work–family reconciliation of women, or are most likely to be accessible to women, these policies tend to strengthen the dual burden of women in work–family obligations rather than change the role of men in providing care. Meanwhile, time off provisions include various schemes depending on their eligibility, coverage, and benefits. They include maternity, parental, paternity, and shared parental leaves, depending on institutional conditions, and each policy is expected to have different outcomes on the work–family arrangement in a genderspecific way. This study also separated the effects of taking time off on the length of leave—which represents the attribute of “time”—and wage replacement—which represents the attribute of “cash”—from among the provision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longer maternity or parental leaves—and higher replacement rates for parental leaves—increased the total workload and care work borne by working women compared to those borne by working men. Conversely, the study found that longer paternity and shared parental leaves increased men’s participation in the provision of care.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se gendered time off effects were stratified by social cla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lasses in terms of wage replacement rate and shared parental leaves. These two policies increased the time spent on childcare for women and men in the lower class and decreased it for those in the upper class.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effect of taking time off from work can increase not only gender inequality but also social inequality in terms of the work–family arrange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First, the welfare states need to deliberate upon a more gender-sensitive approach in investing their welfare efforts by considering the gendered effects of cash, services, and time off. Second, the goal of the family policy should be to encourage “a dual-earner and dual-carer model,” as both women and men should be able to choose a suitable work–family arrangement for gender-egalitarian division of work.

      • 남성 중심적 IT 산업에서 여성 개발자의 적응과 대응

        원유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00490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work-related performance and gender positioning of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se pursuit of careers in software development is regarded non-traditional. This study examined how they adapted and responded to being women software developers, a rapidly growing segment of the workforce in the booming software industry in the post-financial crisis era, in the male-dominated information technology (IT) industry by exploring their pre-employment and employment experiences. The IT industry has been traditionally dominated by men. Men account for nearly 90% of software developers in South Korea and worldwide. With men occupying the vast majority of software developer positions, the so-called gongdori (engineering guy) culture has come to be at the heart of industry that emphasizes programming skills but depreciates soft skills, such as face-to-face communication. Howeve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increased both the supply and demand for developers and recently opened the industry's doors wider to women computer science majors and men who did not major in computer science but are valued for their communication skills. Government policies have increased the supply of software developers.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Third National Skills Development Policy provided state-sponsored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national strategic IT industries and created many low-wage, labor-intensive jobs. By 2018, the proportion of men and women in state-sponsored IT vocational programs were approximately equal. In addition, around this time, young women graduating from vocational schools, such as Meister high schools, and expensive software development bootcamps without computer science-related university degrees began to gain entry into the software development industry. The IT industry has acknowledged the ever-diversifying routes into the field by establishing a pyramidal labor structure that finely assesses and classifies employees. In this structure, young developers are easily exploited and replaced, in stark contrast to their often rosy outlooks when they begin their careers. This study examined the work experiences of women developers in the 20s and 30s who did not major in computer science in college in this stratified labor system in the IT industry. The most of develop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had less than 4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began their careers around 2018 when there was a boom in state sponsorship for vocational train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digital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o investigate IT industry's structure and male-dominated culture and analyze how women adapted and responded to this structure and culture. Analysis showed that the factors that supported their continued employment hinged on their jobs’ flexibility and autonomy, but they were considered internal outsiders. The gendered labor division with women largely engaged in front-end development and men engaged in back-end development affects developers’ career paths. Men's back-end development positions lead to more seniority while women's front-end development positions lead to more planning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Women's careers can also be interrupted by pregnancy and maternity leave, which adds to the industry's perception of women as casual workers. Women developers’ work is perceived as flexible but also as having similar characteristics to creative digital labor whose precarity demands constant self-development.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tinued to exist in the labor market by strategically utilizing their identities as both women and developers. Their first strategy was to refrain from engaging in notably feminine behaviors, such as wearing makeup or speaking in various ways that would be considered feminine. They did not limit their identities to those of women alone and recognized gendered discrimination to be old-fashioned, leading to blind faith in meritocracy. Based on the belief that their abilities alone can lead to success, they routinely invested their time and energy in self-development. Their second strategy was to take an individualistic attitude to life by distinctly separating their private and public lives. This separation led to a lack of women mentors in the workplace, further isolating women who were already a minority. Women who were unable to find peer groups were likely to experience insecurity and alienation, further deepening their pessimism about pursuing a career in South Korea and inspiring them to seek careers abroad. Their third strategy was to form solidarity with fellow women developers outside of work. They expanded their networks with other women by engaging in side projects related to liberal arts or sociology and exchang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ir careers. This third strategy was in line with the feminism rebooted trend. The emergence of these women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in the IT industry. It also influenced the industry to produce diverse types of software that help dismantle its predominant man-oriented values. However, there were limitations to these strategies. The participants had to work overtime in the face of an industry continuing to perpetuate the male-dominated culture in which communication skills were not valued. This model of labor will continue to cultivate a neoliberal capitalist-favoring labor structure that willingly pushes developers to work overtime and experience burnou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 restructuring of the Korean IT industry’s current employee model and a transformation of its job market, so that the merits of 'flexibility' and 'autonomy' can be promoted in a legitimate work culture and developers of diverse locations can enter the industry. 본 연구는 다양한 트랙을 통해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된 20-30대 여성들에 관한 연구이다. 그중에서도 세계 금융 위기 이후 소프트웨어 산업의 발전과 함께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비전공 출신 여성 개발자들의 입직 전후 과정을 통해, 남성 다수의 노동 시장인 IT 산업 내 여성들의 적응과 대응 과정을 분석한다. IT 산업은 전통적으로 남성의 영역으로 인식됐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성비는 남성이 약 90%에 달한다. 이러한 남성 다수의 구조는 컴퓨터에만 몰두해 대면 의사소통 능력 등 ‘소프트 스킬’은 업무 능력으로 인정하지 않는, 소위 ‘너드(nerd)’, ‘공돌이’식 개발자 문화를 만들어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 담론의 도래 이후 개발자의 수요와 공급은 빠르게 늘었고, 최근에는 의사소통 능력을 갖춘 비전공자 남성과 여성도 IT 업계로 다수 진출하기 시작했다. 이들의 수요 증가에는 국가 정책이 큰 영향을 미쳤다. 정보통신 분야의 국가기간 전략사업 직종 훈련 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정부의 제3차 직업능력개발 정책에 따라, 국비 지원 교육 과정을 통해 연계되는 저임금 중노동 일자리가 다수 생겨났기 때문이다. 특히 2018년에 접어들면서부터는 이 국비 지원 교육 과정에 여성과 남성의 비율이 큰 차이가 없을 만큼 여성의 참여도가 늘었다. 더불어 마이스터 고등학교 등 직업학교 출신, 고비용의 소프트웨어 개발자 양성 프로그램인 ‘부트캠프’ 출신 등 컴퓨터 관련 대학 전공자 외에도 다양한 루트를 통해 개발자가 된 청년 여성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루트에 따라 IT 산업 내에는 개발자에 대한 처우 또는 발전 가능성 등을 기반으로 하는 피라미드형 노동 구조가 형성되었다. 이 구조 아래 청년 개발자들의 노동력은 입직 시의 낙관적인 미래와는 별개로 쉽게 소모되고 교체된다. 본 연구는 이 수직적인 노동 구조로 유입되는 20-30대 비전공 여성 개발자들이 일터에서 겪는 경험에 주목한다. 이들은 국비 지원 정책의 붐이 일었던 2018년을 전후로 IT 산업으로 유입된 저연차 여성들이다. 연구자는 디지털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을 통해 업계의 구조와 남성 중심의 성별화된 문화를 조사하고, 이에 여성 개발자들이 적응하고 대응해나가는 방식을 분석했다. 이들의 주요 입직 요인은 업계의 ‘유연성’과 ‘자율성’의 특성에서 기반하지만, 여성들은 이 특성 아래서도 모순적인 위치에 놓이게 된다. ‘여성은 프론트엔드’, ‘남성은 백엔드’로 구분되는 성별 분업을 기반으로 성별에 따라 각기 다른 커리어 패스(career path)가 요구된다. 남성의 경우 개발자로 커리어를 이어가며 고위 관리자로 상승하지만, 여성의 경우 기획 및 소통을 담당하는 중간 관리자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 과정에서 여성은 여전히 임신과 출산으로 인한 경력 단절 현상을 경험하는 등 임시 노동자로 인식된다. 즉, 여성 개발자의 일은 ‘유연성’을 강조하지만 결국 ‘불안정성’에 기반해 지속적인 자기 계발에 몰두하게 하는 ‘디지털 창의 노동’의 성격을 갖는다. 여성들은 ‘여성’과 ‘비전공자’라는 이중적인 정체성 안에서 지속해서 노동 시장에 머무르기 위한 전략을 취한다. 첫 번째 전략은 ‘꾸밈’과 ‘의사소통 방식’ 등 일상적인 영역에서 성별을 드러내지 않는 것이다. 스스로도 여성임을 인식하지 않고자 하며, 성차별은 구시대적인 것으로 정의 내린다. 이는 능력주의에 대한 맹신으로 이어진다. ‘능력만 있으면 된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기계적인 자기 계발을 지속한다. 두 번째 전략은 개인주의적인 태도를 바탕으로 사내에서 공과 사를 철저하게 분리하는 것이다. 이는 이미 소수인 여성들을 더욱 고립시켜 여성 선배를 찾을 수 없게 하는 ‘여성 멘토 부족’ 현상으로도 연결된다. 여성들은 동료를 찾을 수 없다는 불안감과 소외감을 더욱 쉽게 느낀다. 또한 국내에서의 커리어 패스에 대한 비관으로 해외로의 이직을 꿈꾸기도 한다. 마지막 전략은 여성 개발자 모임을 통해 일터 밖 연대를 형성하는 것이다. 업무 외의 ‘사이드 프로젝트’로 인문·사회학적 의미를 반영한 개발물을 만들어내고자 노력하거나, 여성 후배에 대한 멘토링을 자처하고 이직 정보 공유 등 여성 간의 연결성을 확장한다. 이는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새롭게 주목 받고 있는 현상이다. 이러한 여성들의 등장으로 업계에 비로소 소통 능력의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단일화된 남성 중심의 가치를 해체하고 다양성을 중시하는 개발물 또한 생겨나고 있다. 하지만 업계는 여전히 언제든 초과 근무가 가능하고, 소통에는 취약한 너드형 남성을 바람직한 노동자상(相)으로 단일화된 기준을 두고 있기 때문에, 여성들의 개인화된 전략에는 많은 한계가 뒤따른다. 이렇게 남성 중심의 단일한 노동자상은 지속적인 추가 노동과 사회적 과로를 유발하는 신자유주의 자본가 위주의 수직적 노동 구조를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T 업계의 장점인 ‘유연성’과 ‘자율성’의 실질적인 발현을 위한 노동자상을 재설정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위치에 있는 노동자의 유입과 노동 시장의 재편을 제언하고자 한다.

      • 농가의 영농형태별 중년여성의 농외취업

        심정은 동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00490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whether and how middle aged women in farming households participate in the labor force outside of their own farm. Off-farm work of those women can be understood as a outcome to maintain their farm by subsiding their insufficient household income from farming. It also reflects gender division of labor between husband and wife in farming household. The household farming types can serve as an indicator for the economic resources of the households and the current status of division of labor between husband and wife. This study categorizes the household farming types in three different, but still related, ways: the scale of farming, number of cultivation items, and the content of main crop. The analysis focuses on how the types of farming household would lead the women to engage in off-farm work. The analysis of off-farm work for rural women should consider the demands for their labor. Such demands are approached in this study through the level of off-farm employment opportunities in their neighborhood. In particular, the study uses the ratio of manufacturing, wholesale and retail, accommodation, restaurant businesses in the communities, known as the typical industries for female workers. Demands for and supply of female labor force at the individual and familial level can be conditioned by the geographic conditions and industrial structures in the regions. The study considers the regional differences among 9 metropolitan provinces. It also includes other related factors of female off-farm work, including household composition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empirical analysis is based on the linkage of three data sets from '2010 Farming and Fishing Household Census',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and '2010 Economic Census’. The study selected women in farming households aged 40 to 59, in rural areas from 9 metropolitan provinces. The main finding from a series of logistic regression model analysis are as follow. The effects of household farming types are found consistent, even when to control the influence of other variables including demand side of female labor. Those in small scale farms are more likely than their counterparts to work off farm. Those in monoculture farming households are more likely to do so than those in combined agricultural households that cultivate two or more items. Also the likelihood of off-farm work is higher among rice farming household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regardless of metropolitan provinces. They confirms the expectation of this study that small-scale, monoculture, and rice cultivation households would have a greater need to maintain their incomes and require less agricultural labor.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middle-aged women of small-scale farming households, which are behind the rapid transforming into capital and technology-intensive agriculture, engage in off-farm employment as a way to maintain their household income. In addition, the study reveals that women who have engaged in simple, supplementary tasks are more likely to be mobilized to work off-farm of their families. Thus, ongoing academic interest is required as to how the lifestyles of those women and their family members will chang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농가 중년여성의 농외취업 현상을 통해 농가 내 여성노동력의 역할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농가 중년여성의 농외취업은 주로 농가의 소득보전을 위해 행위로 이해할 수 있으며, 부부간 성별분업의 결과이기도 하다. 농가의 영농형태는 이러한 가구의 경제적 수준과 부부간 성별분업 형태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지표이다. 이 연구에서는 농가의 영농형태를 세 가지 측면―영농규모, 경작 품목 수, 주요생산품목―으로 나누어 중년여성의 농외취업과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농가여성 노동력의 외부 공급 차원에서 어떤 농가의 여성이 농외취업에 나서는가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농외취업은 외부에 농가중년여성 노동력에 대한 수요가 있다는 전제가 바탕이 된다. 따라서 거주지에 농외취업 기회―제조업, 도?소매업, 숙박?음식업 사업체 비율―가 어느 정도 존재하는지 반영해야함을 시사한다. 또한 지역별로 자연적 지리조건 및 산업구조가 상이해 농가의 영농형태 및 중년여성 노동력에 대한 외부 수요 정도 또한 다를 수 있으므로, 9개 광역도의 수준에서 각 지역별 차이를 함께 고려한다. 여성 농외취업 관련 기타 요인으로 가구원 구성 및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분석에 포함한다. 농가 중년여성의 농외취업 여부에 대해 이상의 같은 요인들의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농가의 영농형태의 효과가 지속되는지 살펴본다. 경험적인 분석을 위해서 ‘2010년 농림어업총조사’,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2010년 경제총조사’ 원자료의 일부를 연계한 자료를 이용하고 있다. ‘농림어업총조사’에서는 가구원 구성에 대한 파악이 어려워, 이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더불어 여성의 거주지의 농외취업 기회를 반영하는 특정 산업의 사업체 비율을 파악하고자, ‘경제총조사’ 자료를 이용해 시군구 단위로 연계하여 최종적으로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대상은 특별/광역시를 제외한 9개 광역도의 읍?면부에 거주하는 40-59세 중년여성들로 한정하였다. 이는 도시농가와 농촌농가는 둘러싼 환경 및 농가의 성격이 다를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남편이 농업에 종사하는 가구만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농업을 주요 생업으로 삼는 가구를 추출하기 위함이며 남편이 타 산업에 종사하는 것은 탈농의 바로 전단계로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주된 종사분야를 묻는 문항에서 ‘무직’으로 응답한 여성을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이 연구가 여성의 취업형태에 집중하여 분석하려는 의도를 지니기 때문이며, 가족 중심의 영농이 보편화되어있는 농가의 특성상 이들 여성을 전업주부로 분류하는 것도 어렵다고 보았다. 우선 9개의 광역도별로 농가의 영농형태와 여성 농외취업 관련 산업의 사업체 비율을 살펴본 결과, 지역별 차이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가령, 경기도 지역은 쌀을 주로 생산하는 농가의 비율이 높고 제조업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강원도는 노지재배 작물을 주로 생산하며 숙박·음식업의 비율이 월등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는 농가여성의 농외취업 여부에 대해 분석할 시, 세 요소를 동시에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다시 확인시켜 준다. 이어서 농가의 영농형태에 따른 중년여성의 농외취업 여부를 이원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이를 구성하는 세 변수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지니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그 외의 변수들도 여성의 농외취업 여부와 유의한 관계성이 확인되었다. 농가 중년여성의 농외취업여부에 대하여 농가의 영농형태를 중심으로 여성 농외취업 관련 산업의 사업체 비율, 9개 광역도, 가구원구성, 여성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통제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로짓 모형의 확장을 통해 살펴본 결과, 농가의 영농형태는 다른 변수의 영향에도 그 효과가 일관적으로 관찰되었다. 대농보다는 소농 가구에서, 2개 이상의 품종을 경작하는 복합영농 농가보다는 단일경작을 경작하는 농가에서 중년여성의 농외취업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와 같은 경향은 쌀을 주요생산품목으로 하는 농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시설재배 농가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이나 농외취업의 기회 차이에도 불구하고, 소득보전의 필요가 크고 농업일손이 비교적 적게 요구될 것으로 예상되는 소농, 단일경작, 미곡농가 등에서 여성들의 농외취업이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들은 한국농업이 자본과 기술집약적인 영농으로 이전하는 과정에서 뒤처지거나 불리한 입장에 있는 영세농가의 중년여성들이 소득보전을 위한 전략으로 농외취업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농업을 지속해 나가려는 농가 입장에서는 그동안 중추적인 농작업 담당해온 남편보다, 단순?보조적인 작업을 담당해오던 여성이 외부로 취업해 소득을 보충하는 경향이 있음을 드러낸다. 농업구조 재편에 따른 농가의 분화가 농가내 부부간 성별분업과 역할의 재조정으로까지 이어진 것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향후 이에 따라 여성과 그 가족들의 일상이 어떻게 변화해 나갈지에 대한 지속적인 학문적 관심이 요구된다.

      • 가사노동의 외주화와 젠더역학

        채혜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0025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gender relationship of dual-income couples who outsource domestic chores with the concept of doing gender presented by West & Zimmerman.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text in which dual-income couples with children chose domestic chores outsourcing, the contents and changes of outsourcing domestic chores, and the way of doing gender In this study, 6 female and 1 male of dual-income couples with children who regularly use domestic chores outsourcing services were included, and from 1 to 2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asons that dual-income couples with children chose domestic chores outsourcing were largely found as the following three factors: a means to maintain their careers, a reduction of stress their children would experience from being left alone in childcare centers for a long time, and strategies to avoid gender conflict. Economic power was a necessary condition for considering domestic chores outsourcing as an option. It was characteristic that all participants were highly educated and high-income earners. Nonetheless, the domestic chores outsourcing service was shown to be used intensively in a short time according to the necessary purpose. Second, the types of domestic chore outsourced were found to tend to be routine, repetitive, or time constraints. It was found that household management work that can be easily replaced and routine and essential care work with time constraints, such as help with children going to and from school, pick-up from afterschool academies, and feeding children, was mainly outsourced. 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the option of outsourcing was available, it is found that they were willing to do works that could emotionally communicate with their children by themselves if possible. New works yielded by outsourcing included management work for domestic workers and some were shown to be complaining of extreme difficulties caused by the task. The advantages of outsourcing included securing time, mental leisure, and reducing conflicts, while it was found that works that could not be addressed through outsourcing were mainly held by women, with the fundamental division of labor by gender being maintained. Third, although the femal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found to work full-time and had high incomes, they were found to be in charge of overall unbalanced household chores. There were no cases in which gender relations changed due to outsourcing within the family and, in families where men's participation in domestic chore was minimal, outsourcing played a role in securing the form of a 'normal family' by maintaining a smooth marital relationship. The male gender doing methods foun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y used outsourcing as a shield against change, showed poor performance and eliminated the possibility of change, or maintained a passive attitude. Women's gender doing methods were found to be partially the same as men's,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art about motherhood practice.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outsourcing may only play a role as a temporary means for middle-class women to balance work and family, rather than a fundamental solution. Although outsourcing was chosen strategically within the structure of the labor market and the ideology of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it was found that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within the family was sustained overall. Also, sometimes outsourcing was found to function as a means of gender doing and work as a mechanism to avoid redistribution in domestic chores. In addition, in that the subject of outsourced labor is 'another woman', it may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stereotype of 'women's work' and heterogeneity within the women's group. 본 연구는 웨스트와 짐머만(West & Zimmerman)의 젠더수행(doing gender) 개념을 활용하여 가사노동을 외주화한 맞벌이 부부의 젠더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초점은 유자녀 맞벌이 부부가 외주화를 선택한 맥락, 외주화하는 일의 내용 및 변화, 젠더수행 방식이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가사서비스를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유자녀 맞벌이 여성 6명과 남성 1명을 대상으로 1~2회의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자녀 맞벌이 부부가 외주화를 선택한 계기는 세 가지로 나타났다. 경력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 홀로 보육기관에 장시간 남아있는 것에 대한 아이의 스트레스, 젠더갈등을 피하기 위한 전략이다. 고정적인 외주화가 가능했던 조건은 역시 경제력이었으며 모든 참여자가 고학력 고소득자라는 특징을 가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사서비스는 필요한 목적에 따라 단시간 압축적으로 이용하는 형태를 보였다. 둘째, 외주화하는 일의 종류는 일상적이고 반복적이거나 시간제약이 있다는 특성을 가졌다. 청소, 정리정돈 등 일상적인 가정 관리 노동은 쉽게 대체 가능했으며 아이의 등‧하원 돕기, 학원 픽업, 밥 먹이기 등 시간제약이 있고 필수적인 돌봄노동이 외주화되었다. 반면 아이와 정서적인 교감을 나눌 수 있는 일들은 맡길 수 있더라도 직접 하고자 했다. 외주화의 장점으로는 시간의 확보, 정신적인 여유, 갈등 감소가 나타났지만 외주화로 해결할 수 없는 영역은 주로 여성이 책임지며 근본적인 성별 분업이 유지되었다. 셋째, 본 연구의 여성 참여자들은 전일제로 근무하고 소득이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가사분담이 불균형했다. 가족 내부에서 외주화로 인해 젠더관계가 변화한 사례는 없었으며 남성의 가사 참여가 소극적인 가정에서 외주화가 부부관계를 원만하게 하여 ‘정상가족’을 유지하는 역할을 했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남성의 젠더수행 방식은 세 가지다. 변화의 방패막으로 외주화를 사용하거나, 부족한 수행 능력을 보이며 변화의 가능성을 제거하거나, 수동적인 태도로 일관하는 것이다. 여성의 젠더수행 방식은 일부는 남성과 동일했으나 차이점이 있는 부분은 모성실천에 관한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외주화가 중산층 여성들이 일과 가정을 병행하기 위한 일시적인 방편일 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노동시장의 구조 및 성별 분업 이데올로기 속에서 전략적으로 외주화를 택했지만 전반적으로 가족 내부의 성별 분업은 지속되었고 때로는 외주화가 젠더수행의 수단으로 기능하여 가사노동에서의 재분배를 회피시키는 기제로 작동했다. 또한 외주화된 노동의 주체는 또다른 여성이라는 점에서 ‘여성의 일’에 대한 고정관념 및 여성 집단 내의 이질성을 증가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Doing housework, doing gender :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n 80 hou (the post-1980s generation) dual-earner couples in urban China

        여가흔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5 국내석사

        RANK : 167724

        “바링허우(80後, 80년대 출생)”는 중국 일자녀 정책의 첫 경험 세대이자, 계획경제에서 시장경제로 전환하는 중국 개혁 개방 정책과 함께 성장한 세대이다. 이들은 부모의 헌신적 지원과 물질적 풍요 속에서 “무너진 세대” “철부지” 세대로 알려져 있으나, 시장경제 개발에 따른 극심한 경쟁과 불안 속에서 살아 독립적인 성향이 있다. 오늘날 마지막 “바링허우”인 89년생마저 20대 후반으로 혼인 관계에 진입하고 있는데, 이들은 주로 맞벌이(dual-earner) 가정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남성과 여성 모두 임금 노동에 참여하는 “바링허우” 부부에서 가사 노동은 어떻게 분담되고 있는가? 본 논문은 상기한 질문에 답하고자, 맞벌이 “바링허우” 부부 여덟 쌍을 인터뷰한다. 이를 통해 거시적 수준의 사회적 변화가 미시적 수준의 개인들 사이에서 경험되는 바를 보여주고자 한다. 인터뷰에 참여한 “바링허우” 부부들은 다음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시장경제 체제의 극심한 경쟁과 불안 속에서 “바링허우” 부부들은 긴 시간의 임금 노동을 담당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긴 시간의 임금 노동은 가사 노동의 가치와 분담에 영향을 준다. “바링허우” 부부에게 가사 노동은 임금 노동과 비교하여 가치가 없고 단지 생계만을 위해서만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까닭에, 둘 중 시간 여유가 있거나 선호하는 일을 찾아 가사 노동을 수행하는 경향이 있다. 즉, 인터뷰 속 “바링허우” 부부는 고정된 성별 역할이 아닌, 상황에 따라 유연하고 주체적으로 가사 노동을 분담한다. 시장경제 체제의 극심한 경쟁과 불안을 느끼는 상황에서, “바링허우” 여성들은 가족의 생계를 위해 경쟁을 불사하지 않는 ‘철의 여인’을 자신의 역할 모델로 삼는다. 이에 따라 가사 노동에는 별 관심을 두지 않는다. 반면 남성들은 가사 노동에 낭만화된 의미를 부여하며, 가사노동을 수행함으로써 가정을 책임지는 자신의 역할 모델을 강화하는 측면이 있다. “바링허우” 맞벌이 부부는 일상적인 실천들 속에서 남편 혹은 부인으로서, 아버지 혹은 어머니로서의 젠더 정체성을 구성해간다. 이로써 젠더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역동적인 것이며, 가족이라는 제도 안팎에서 여성과 남성의 상호작용으로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As the first generation born after the one-child policy, the post-1980s generation (hereafter 80 hou) is known in China as the "Spoiled Brat Generation". Having grown up with the development of a market economy brought about by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many 80 hou couples are in dual-earner families. They are also a self-reliant generation surrounded by fierce competition and insecurity brought on by the development of the market economy in China. This paper is an exploratory study based on the self- reports of eight 80 hou dual-earner couples to investigate how 80 hou dual-earner couples understand and organize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Drawing on West and Zimmerman’s (1987) approach of “doing gender”, the interview data shows that the 80 hou dual-earner couples in this study divide the household labor flexibly without fixed arrangements due to a combination of the pressure from long hours of paid work and attaching less value to household labor. Men are reported to be very involved in housework. I suggest that gender is dynamic and reproduced in the interactions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institution of the family, intersecting with individuals’ social relationships in the institutions beyond fam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