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ssays on the Determinants of Crude Oil Prices

        이화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943

        This doctoral dissertation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crude oil prices in terms of macroeconomics. The first chapter overviews the global oil market based on historical events in global oil markets and structural changes since the 2000s. Furthermore,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conomic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crude oil prices with these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global oil market. The second chapter examines the changes in the behavior of speculators and the response of the real price of oil to supply and demand fundamental shocks due to structural changes in the oil market by the financialization of the commodity markets. In the baseline model, impulse response results indicate that, after financialization, the effect of structural shocks on real activity, the real price of oil, and net positions except for oil production has been amplified, on the whole.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at the increase in speculation demand to a negative oil supply shock has been amplified after financialization. In other words, the development of the financial oil market (financialization) itself forms a bubble in the future oil price expectations of speculators, so speculative demand is further amplified than before financialization. Therefore, the impact response of the real price of oil to each structural shocks can be further amplified by mediating the speculation demand. Furthermore, the results of counterfactual experiment results verify that, in actuality, the impact of oil supply shocks on the real price of oil is amplified mediating the speculative demand after financialization. In the extended model including oil inventories as a speculative demand in the physical oil market, the empirical results generally are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baseline model. What is quite remarkable is that, after financialization, an unexpected oil supply disruption has a more large and persistent positive effect on the real price of oil and net positions as with the baseline model results. Hence, the hypothesis is also valid in the extended model that impact effect on the real price of oil to an unanticipated oil supply disruption has been amplified mediating increase in speculative demand, after financialization. Furthermore, the negative effects of an unanticipated supply disruption on oil inventories are more amplified. It could be interpreted, after financialization, that the precautionary motive in oil inventories demand for production smoothing has been strengthened in the physical oil market, rather than the speculative motive for obtaining capital gain by predicting an increase in oil price in the event of an unanticipated supply disruption. Furthermore, after financialization, speculative trading may have been conducted mainly in the financial market due to the development of an oil derivative market, whereas in the physical oil market, traditional precautionary demand on oil inventories for smoothing production of refined oil products would have increased rather than speculative demand in the face of restrictions of storage cost and the capacity of storage facilities. The third chapter investigates how far the U.S. expansionary monetary policy shock can lead to an increase in the real price of oil, and by which channel. According to previous literature, the main transmission channels of an expansionary monetary policy shock in which affect commodity prices are supply channel, demand channel, inventory channel, financial channel, and exchange rate channel. An expansionary monetary policy shock leads to an increase in real price oil by reducing oil production, depreciating the exchange rate of the U.S. dollar, and an increase in oil demand, oil inventories, and financial speculative demand. In the baseline model, we devise the new recursive identification strategy using the identification strategies of Christiano et al., (1996,1999) and Kilian (2009a)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transmission channels in the monetary policy affecting the real price of oil. Furthermore, we identify how much each transmission factor contribute to fluctuations in the real price of oil in the event of monetary policy shock by the comparison of the counterfactual impulse response, isolating the effect of each transmission channel, with the actual impulse response.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U.S expansionary monetary policy shock triggers an increase in real price oil. Moreover, the transmission channels through an adjustment of oil production, oil demand, financial speculative demand, and exchange rate are valid and consistent with the mechanism predict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Meanwhile, the inventory channel is invalid and inconsistent with the mechanism predict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An expansionary monetary policy shock leads to a decline in global and the U.S. oil inventories, which is inconsistent with the standard theory. The reasons for inconsistency between our empirical results and conventional wisdom could be explained in various viewpoints. For example, in the situation asymmetric information, market participants may become sensitive to fluctuations in oil prices due to frequent price hike and an increase in volatility since the 2000s, hence they could over-react to oil price changes. Therefore, oil inventories could be decreased in the event of an expansionary monetary policy shock, if market participants believe that current oil prices are overvalued and they anticipate oil price to decrease in the future by now selling the oil inventories at a current high price. Furthermore, through counterfactual experiments, we can find that the role of financial factors such as financial speculative demand and exchange rate larger in the transmission process of monetary policy shock affecting oil price than the role of supply-demand fundamental factors. In the extended model, we use the factor augmented VAR (FAVAR) model by  Bernanke et al. (2005)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U.S. expansionary monetary policy on a wide range of commodity prices and its transmission channels. our findings generally robust with the results in the baseline model.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U.S expansionary monetary policy shock triggers an increase in most of the commodity prices as well as the oil price. Moreover, the transmission channels through an adjustment of oil production, oil demand, financial speculative demand, and exchange rate are valid and consistent with the mechanism predict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In particular, the response of global oil production, non-OPEC oil production, and U.S. oil production declines to expansionary monetary policy shock as predicted by the existing economic theory. On the other hand, the response of OPEC oil production i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ese results reflect the OPEC's rigid production strategies by allocated production quota. Moreover, the positive effect of loose monetary policy shocks on the OECD industrial production index is larger and more persistent than on the Kilian(2009)'s real activity index. In addition, the responses of prices in commodity groups, that standardized markets have developed, more financialized and more globalized - such as crude oil, base metals, and foods, etc., are even larger and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while, the inventory channel is invalid and inconsistent with conventional wisdom as a baseline model. Furthermore, the results in the sign restricted SVAR Model are robust with empirical results in our baseline model and extended model. 본 논문은 거시경제적 관점에서 원유가격의 결정요인에 관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본 논문의 첫 번째 장은, 원유시장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인 사건들과 2000년대 이후의 원유시장 특성의 변화 등을 바탕으로 원유시장 전반을 조망하며 원유시장에 대한 경제적 분석의 중요성을 밝히고 있다. 본 논문의 두 번째 장은, 구조적 벡터 자기회귀 모형(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여 2000년대 초반이후 진행된 상품시장의 금융화(financialization)가 경제주체들의 투기행태 및 원유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다루고 있다. 본 논문의 기본모형에서는 Kilian (2009a)의 축차적 당기제약 구조적 벡터 자기회귀 모형을 확장하여 금융화에 따른 선물시장에서의 투기적 수요변화를 분석하였다. 기본모형의 충격반응 분석결과에 따르면, 원유 시장의 금융화 이후, 금융화 이전과 비교하여 부정적 원유공급충격이 발생했을 때 투기수요가 매우 크고 유의하게 증폭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000년대 이후 OPEC의 통제력 약화, 공급채널의 다변화, 산업전반의 원유의존도 감소 등으로 원유공급 충격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Blanchard and Gali, 2007) 본 논문의 충격반응 결과에 따르면 원유시장의 금융화 이후, 부정적 공급충격에 대한 유가의 충격반응이 더욱 크고 영속적으로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원인 중 하나로 금융화의 진전으로 인해 부정적 공급충격 발생 시 투기적 수요를 매개로 구조적 충격이 원유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증폭되어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제로 투기적 수요가 없다고 가정하고 가상적 실험(counterfactual experiment)을 수행한 결과 실제 모형보다 부정적 공급충격에 대한 유가의 충격반응이 더욱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확장모형에서는, Kilian and Murphy (2014)의 부호제약 구조적 벡터 자기회귀 모형을 확장하여 원유 선물시장 뿐 아니라 원유현물시장에서의 투기적 수요까지 분석 범위를 확장하였다. 확장모형의 충격반응 분석 결과는 대체로 기본모형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본 모형에서 주목할 만한 결과는, 원유시장의 금융화 이후 부정적 공급충격에 대해 원유선물시장에서 순매수 포지션(net position)은 더욱 크게 상승한 반면, 원유현물시장에서 원유재고(oil inventories)는 더욱 큰폭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Kilian and Murphy (2014)와 Juvenal and Petrella (2015)에 따르면, 수요-공급 구조적 충격이 재고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서로 상반된 힘이 작용한다. 예를 들어, 부정적 원유 공급충격 발생시, 이에 따른 수급불균형이 발생하여 생산원활화를 위해 기존의 재고가 소진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미래의 가격상승을 예상하는 투기적 수요의 발생으로 인해 재고가 증가할 수도 있다. 전자의 동인이 후자보다 크다면 수요-공급 구조적 충격 발생시 재고가 하락할 수 있다. 따라서, 금융화 이후 부정적 원유공급 충격에 대해, 원유 선물시장에서는 미래의 유가상승을 예상하여 원유선물에 대한 투기적 수요를 늘리는 반면 현물시장에서는 원유재고에 대한 투기적 수요를 늘리기보다는 석유제품의 원할한 생산을 위해 시장 수요에 대응하여 재고를 방출함으로써 시장을 안정화 시키는 기능을 강화한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또 다른 의미로는 금융화 이후 원유파생금융상품 시장의 발달로 인해 투기적 거래는 거래비용이 낮고 저장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금융시장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저장 비용 및 용량의 한계에 직면하는 현물시장에서는 원유재고에 대한 투기적 수요(speculative demand) 보다는 전통적 재고보유의 목적인 예비적 동기(precautionary motive)의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세 번째 장은, 구조적 벡터 자기회귀 모형(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여 미국의 확장적 통화정책이 원유를 포함한 금속, 농산물 등 다양한 상품가격에 미치는 영향과 통화충격이 원유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전파경로에 관해 다루고 있다. 본 논문의 기본모형에서는 Christiano et al. (1996, 1999)의 축차적 당기제약 구조적 벡터 자기회귀 모형을 확장하여 통화정책이 국제 원유가격에 미치는 영향과 통화충격이 원유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전파경로를 분석하였다. 기본 모형의 충격반응 분석결과에 따르면 미국의 확장적 통화정책은 국제원유가격을 유의미하게 상승시키고 있다. 또한,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통화정책 전파경로의 충격반응 결과를 보면, 원유 생산량 및 미달러의 가치는 하락하고, 세계경제활동, 금융시장에서의 투기적 수요는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 기존의 이론적 논의와 부합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반면 원유재고의 경우에는 금리하락에 따른 재고 보유의 기회비용의 감소로 원유 재고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이론적 논의와는 달리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재고반응 관련 본 논문의 실증결과와 기존 이론과의 불일치되는 이유는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원유가격의 변동성 증대로 인해 시장 참여자들이 가격변화에 민감해 지는 경우, 기준금리 하락에 따른 현재의 원유가격 상승에 대하여 충분히 가격이 높아졌다고 판단하여 현재의 높은 가격에 재고를 처분함으로써 재고가 하락할 수 있다. 나아가. 미국의 확장적 통화충격 발생시 각 전파경로가 원유가격 상승에 얼마나 기여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각 전파경로가 차단된 경우를 가정하고 가상적 실험(counterfactual experiment)을 수행한 결과 단기적으로 생산량 조정, 수요변화, 재고조정을 통한 경로와 같은 수급적인 요인보다는 금융시장에서의 투기적 수요변화나 환율 변화와 같은 금융적 요인들이 원유가격 상승에 기여하는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확장모형에서는 요인 활용 다변수 자기 회귀 모형(FAVAR)를 이용하여 미국의 확장적 통화정책이 원유를 포함한 금속, 농산물 등 다양한 상품가격에 미치는 영향과 통화충격이 원유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전파경로에 관해 다루고 있다. 확장모형을 통해 기본모형 결과의 강건성을 검증하는 한편, 전파경로를 보다 다양한 변수로 확장하여 입체적으로 분석하였다. 확장 모형의 충격반응 분석결과에 따르면 미국의 확장적 통화정책은 원유를 포함한 대부분의 상품군의 가격을 유의미하게 상승시키고 있다. 특히, 원유, 기초금속, 식품류 등과 같이 표준화된 국제 시장이 발달해있고 금융화(financialization)가 진전된 상품일수록 통화충격에 보다 크고 유의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기준금리 인하 시, 확장모형의 통화정책 전파경로에 대한 충격반응 분석 결과는 대체로 기본모형 결과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원유생산관련, 미국의 금리 인하 충격에 대해 세계 원유 생산, 비OPEC 원유생산, 미국의 원유생산은 기존의 이론적 논의에서 예측한 바와 같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반면, OPEC 원유생산은 미국의 금리인하 충격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미국 등 비OPEC 국가의 원유생산은 금리 및 원유가격 등 경제변수 및 시장 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생산량을 조절하나 OPEC 국가의 경우에는 경제적 요인 외에도 비OPEC 국가의 생산량 및 전체적인 국제석유수급상황 등을 고려하여 할당된 생산기준에 따라 경직적으로 생산량을 조절하는 OPEC의 행태를 반영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미국의 확장적 통화정책에 대해 Kililan의 세계경제활동지수와 OECD 산업생산지수 모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투기적 수요와 미달러 실질실효환율 및 원유재고는 기본모형과 동일하게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중국 경제 금융화에 대한 연구

        송징징 청주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942

        20세기 90년대 이래로, 국제경제는 금융화의 추세를 보였다. 경제의 금융화란 한 나라의 국민경제에서 통화 및 비통화성 금융수단의 총액과 국민재정총액의 비율이 점차 높아지는 과정과 추세를 말하는 것이다. 최초의 경제화폐화, 즉 통화량과 GDP 사이의 비율이 끊임없이 높아지는 과정으로부터 경제증권화, 경제가상화, 즉 비통화성 금융수단과 GDP 사이의 비율이 계속 높아지는 과정까지 경제전반에 나타난 경제의 금융화 추세는 이미 현대 경제생활의 일반적인 현상으로 보여진다. 경제의 금융화 과정은 사실상 경제와 금융이 서로 침투하고 융합되어 최종적으로 하나의 완전체가 되어가는 과정이다. 금융의 발전은 실물경제에 의탁하는 동시에 자체의 발전과정에서 실물경제의 발전을 크게 촉진하였다. 또한 “금융화”는 거시적 차원에서의 “경제의 금융화”뿐만 아니라 미시적 차원에서의 “비금융기업의 금융화”로도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 중국 경제의 금융화 발전수준과 영향요소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경제의 금융화 사실을 토대로 세워졌고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최근 30년 동안 경제의 금융화 과정 및 특성을 연구하였다. 먼저 중국 경제의 금융화 평가체계를 설정하기 위해 이론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으로는 중국 금융의 발전 현황을 제시하여 중국의 금융화 수준을 단계별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주로 다음과 같은 3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중국의 금융화 수준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중국이 높은 화폐화율을 가졌다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화폐화율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이론분석과 관련 문헌분석을 결합하여 중국 M2/GDP 비율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둘째, 거시적 차원에서 중국 경제 금융화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미시적 차원에서도 중국 기업 금융화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를 선별하여 해당 데이터를 선택하고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제4장에서는 중국의 높은 화폐화율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분석을 하였다. 첫째, 중국과 선진국, BRICs 국가와의 비교를 통해 중국의 화폐화율이 고도화되어있는 문제가 존재하는 것을 입증하고 “화폐초발”이 중국의 높은 화폐화율의 핵심 원인이 아닌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둘째, M2(광의통화)의 구성요소를 세분하고 분석을 통해 높은 화폐화율의 결정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화폐 수요 측면에서 중국의 높은 화폐화율 결정요인 및 정태적·동태적 패널분석모형을 설정하고 중국 31개 지역의 1993-2016년간 744개 패널자료를 수집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제4장 연구의 분석결과는 기존연구와의 차별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기존 연구는 정태분석방법을 사용한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정태와 동태패널분석을 다 실시하였으며 동시성과 지기상관성을 잘 해결할 수 있는 안정한 동태패널모형의 추정결과를 보고하여 결과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두 번째,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 과정 관련변수가(도시화율, 도시 부동산 가격) 중국 경제 화폐화의 결정요인으로 추가하여 도시화 과정의 변수의 시차변수가 모두 화폐화율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도시화 진행이 화폐화율을 높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 번째, 본 연구에서는 구조변화를 식별할 수 있는 검정을 실시하였음에 통해 중국 경제의 화폐화는 정책변화 또는 2008년 금융위기에 의한 구조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냈다. 즉, 거시적 외부충격 또는 정부정책 변화에 의한 화폐화의 영향을 미미함을 의미하며 중국 경제의 화폐화는 금융시장 및 경제시스템적의 장기적 발전과정에 따라 발전할 수 있다. 제5장은 거시적 차원에서 중국 경제 금융화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실물 경제적인 요인과 금융 경제적인 요인을 설정하고 중국 31개 지역의 1993-2016년간의 744개 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제5장 연구의 분석결과는 기존연구와의 차별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동태패널분석을 실시하여 기존 연구의 분석결과와의 차이점이 나타났다. 영향요인들이 중국 경제 금융화에 미친 영향은 시차별의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발견하였다. 또한, 경제금융화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은 지역별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특히 화폐화는 전국에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에 경제금융화는 증권과 가상경제가 발달한 동·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구조변화를 식별할 수 있는 검정을 실시함으로써 중국 경제의 금융화는 정책변화에 의한 구조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냈다. 제6장은 미시적 차원에서 중국 기업 금융화의 결정요인을 추정하기 위해 단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중국 금융기업과 비금융기업의 현황비교를 통해 중국의 기업 금융화는 주로 비금융기업의 금융화 심화가 주도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둘째, 비금융기업 업종별 금융자산 비중, 금융수익 비중, 금융투자 비중의 비교를 통하여 비금융기업의 금융화 수준을 분석하였다. 셋째, 중국 기업 금융화의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관련 이론과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변수를 설정하고 데이터는 중국 상장기업 중에서 2007년부터 2017년까지의 상하이증권거래소(上海证券交易所)와 선전증권거래소(深圳证券交易所)의 A 주식회사 비금융기업을 취합하여 패널자료를 취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제6장에서는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이 주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가 있다. 첫째, 실증분석방법은 기존연구와 달리 비금융기업의 기간별(2013년 전·후)로 세분화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과 같은 3가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기업의 금융 자산 보유비율과 주영업이익률 사이에 U자형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2) 지분집중도가 낮을수록 비금융기업의 금융화 수준이 높아진다. 3) 거시경제 환경은 기업의 금융투자 행위를 좌우할 수 있다. 둘째, 거시적 차원과 같은 구조변화를 식별할 수 있는 검정을 실시하였음에 통해 거시적 경제 금융화 과정에 구조변화가 없는 것과 달리 미시적 차원에서는 2013년에 중국 기업의 금융화 발전이 구조변화가 있는 것으로 발견하였다. 앞서 살펴본 연구들의 종합적인 분석결과를 토대로 경제발전은 실물경제로의 복귀가 필요하고 금융경제의 발전속도, 규모 및 구조를 조정해야하며 금융경제와 실물경제의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변화 검정을 통해 거시적 중국 경제 금융화 과정에서 정부 정책에 의해 구조변화가 없는 결과로 나타나서 정부 정책이 효과가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따라서 미시적 차원의 점정결과는 2013년에 중국 기업의 금융화 발전이 구조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 정책이 미시적 차원에서 구현됐다는 뜻이 알 수 있다. 또는 화폐화가 전국지역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반면 중국 경제의 금융화는 증권과 가상경제가 발달한 동·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는 결과에 통해 정부 정책에 따른 구조변화가 있는 지역을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편폭 제한으로 인해 각 지역의 구체적인 분석은 이루어질 수 없어서 향후의 연구방향으로도 삼을 수 있다. The international economy has witnessed the trend of financialization since 1990s. Financialization indicates that the process and trend of gradually increasing ratio between the gross value of monetary and non-monetary financial instruments and the gross national wealth. From economic monetization, namely, the process in which the ratio of money supply to GDP is increasingly growing, to economic securitization and economic virtualization later, that is, the process in which the ratio between non-monetary financial instruments and GDP is constantly growing, the trend of economic financialization presented in the whole economy has become a normal state of modern economic life. The process of economic financialization is essentially a process of mutual penetration and integration of economy and finance, which becomes a whole ultimately. The development of finance relies on real economy. At the same time, finance has greatly promoted the development of real economy while it has been developing itself. Therefore, "financialization" is not only reflected in the "economic financialization" at the macro level, but also in the "enterprise financialization" at the micro level.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China's economic financialization and the impacts of financialization. Based on the reality of economic financialization, and studied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economic financialization in China during the 40 years of reform and opening. First of all, this research initiates with theoretical analysis, attempting to design the evaluation system of China's economic financialization. Secondly, by measuring the degree of China's economic financialization in stages, the present situation of China's economic financialization is analyzed. Lastly, by measuring the level of China's financialization, we found the characteristics of China's high currency rate, and then combined theoretical and related literature analysis, selected relevant variables, each affecting China's M2 / GDP ratio, macro-economic financialization, and micro-enterprise financialization, to select corresponding data and conduct empirical analysis. In this study, the determinant and analysis model of China's high currency rate in terms of currency demand are set up to collect 744 panel data during 1993 -2016 in 31 regions of China and to conduct empirical analyses using Eviews and OxMetric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development of urbanization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rate of monetaryization, given that the relevant variables in the urbanization process, a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ate of monetaryization. Second, the effect of CPI and real interest rate on monetary rate was negative correlation, while the effect of exchange rate and import and export on monetary rate was estimated to be a distinct amount (+). In order to analyze the impact factors of China's economic financing on the macro level, we would like to set real economic factors and financial economic factors to utilize 744 panel data for 1993-2016 in 31 regions of China and conduct a demonstr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dynamic panel analysis showed that CPI, real interest rate, real GDP growth rate, income level, savings growth rate, monetary growth rate and capital contribution affected the development of economic banking. And th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China's economic and financialization has also been found in regional differences.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monetaryization can be affected in the whole country while the financialization of the Chinese economy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the eastern and southern regions with developed securities and virtual economies. On a micro level, we would like to analyze the impact of China's corporate financialization on non-financial companies from 2003 to 2017. Since the new accounting rules are enforced from 2007, the empirical analysis seeks to proceed with the analysis of the panel data using the data of China's A-state non-financial entity from 2007-2017, after the accounting rules are implemented. An empirical analysis is intended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by industry and by time of non-financial entit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rom the empirical analysi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financialisation of non-financial entities by industry. Second, there is a U-shaped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the entity's financialization and its main operating income ratio. Third, the lower the concentration of equity, the higher the level of financialization of non-financial entities. Fourth, a stable macroeconomic environment can determine a company's financial investment behavior. According to the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economic development needs to be returned to the real economy, to adjust the speed, scale and structure of financial economic development, and achieve a balance between financial and real economy.

      • Institutional Diversity and The Impact of Global Financialization : Institutional Diversity and The Impact of Global Financialization

        정부만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940

        This dissertation examine the effects of financialization on socio-economic performances depending on institutional diversity and the types of capitalism. While the financialization has been analyzed in the literatures on Post-Keynesian (PK), but on the contrary, the institutional diversity have been studied in the literatures on Varieties of Capitalism (VoC) and Regulation Theory (RT). However, there are still lack of studies about the impacts of financialization on socio-economic performances depending on institutional diversity and the types of capitalism, which are based on various institutions and modes of coordination, or comparative advantages of institutions. Accordingly,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current global economic crisis was caused by the global financialization from the mid-1990s. We assume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financialization, institutions, and socio-economic performances. In general, the financialization means the increasing role of financial motives, financial markets, financial actors and financial institutions in the operati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economies (Epstein 2005). Historically, the expansion of finance is a general phenomenon that emerges in certain phases of capitalist development, in particular during the periods of hegemony countries’decline. At the same time, the financialization in each phase has its peculiar characteristics. The recent financialization can be characterized as an increasing involvement of all economic agents – from financial institutions to households, non-financial corporations (NFCs), and even governments – in the working of financial markets. Under the environment of global financialization, the financial involvement and investment of households and NFCs in financial markets have been increased. Moreover, the increasing deregulation and debt of governments led to constantly increase the possibility of global economic cris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financialization, institutions and socio-economic performances, we used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methods. Firstly, we take theoretical analysis examining financialization and comparative institution literatures. Through this, we demonstrate that current financialization is not a part of economy but a phenomenon of entire domination of financialized economy. We analyze the phenomenon of financialization in the whole economy. In other words, it shows how the financialization spreads the economy as a whole, for example households, corporate, and governments. On the other hand, we applied some variables of financialization in the model of Amable (2003), Hall and Gingerich (2004, 2009) to analyze the impact of financialization on socio-economic performances depending on different institutions inherent in the types of each capitalism: Liberal Market Economies(LMEs), National Coordinated Market Economies (NCMEs), Sectoral Coordinated Market Economies (SCMEs), Intermediate Market Economies(IMEs). Especially, the IMEs are taken into include the southern European states, and Asian countries (Japan, Korea), whose economies have quite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se countries have been classified as ‘NC/C(not categorized or controversial) countries’ by most VoC and RT scholars, because they sometimes have their incoherent coordination regime. Next, we used factor and regression analysis (random effects models) based on comparable variables of finacialization and institutions about 20 OECD countries during 1995~2009 and gained a single index from the factor analysis. Also, various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bout the impact of financialization index(FIN) with different institutions index(Industrial Relations: IR, Soical Protection : SP, Corporate Governance : CG, Flexibility of Labor Market: FLEX, Education & Training : ET) on socio-econmoic performances(GDP growth rates, employment and unemployment rates, Gini coefficients). The LMEs showed quit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financialization after the mid-1990s, but the financialization after the mid-1990s already became one of common global phenomenon across the market economies. For instance, after 2000, the financialization of households and corporate has been rapidly deepen in the NCMEs. The financialization of corporate and financial liberalization has been relatively increased in the SCMEs. However, although global finanicalization becomes one of common trends, the institutional difference based on the types of capitalism is showed significantly across the market economies. The institutional index of marketized corporate governance (CG) and labor market flexibility (FLEX) are relatively more reflected in the LMEs, but on the contrary, the social protection (SP), unions' bargaining power (IR), and education/training (ET) are relatively more reflected in the NCMEs and SCMEs. Under the pressure of global financialization after 1995, it is clear that the growth rates of LMEs have the highest, but inequality in the NCMEs and SCMEshas been increased respectively. Nevertheless, the growth rates of SCMEs and NCMEs are still on average high. Also, the Gini coefficients of SCMEs and NCMEs are still lower than the LMEs. The employment rates of SCMEs are relatively lower than the LMEs, but the employment rates of NCMEs are higher than the LMEs. Therefore, in contrast to the LMEs, despite the increase of marketized corporate governance (CG) and labor market flexibility (FLEX) due to strong global financialization, the NCMEs have been achieved the high growth, employment and equality at the same time due to the high levels of social protection (SP), unions' bargaining power (IR), and education/training (ET). On the contrary, the financialization of corporate and financial liberalization has been a rapid progress in the SCMEs after 2000. Added to this, the relative increase of marketized corporate governance (CG) and labor market flexibility (FLEX) results in the lower socio-economic performances(growth, employment, equality) in the SCMEs compared to the NCMEs. As a result, it is clear that the financialization has constrained the various development model of capitalism. However, at least in terms of growth, the institutions of LMEs (CG, FLEX) do not conflict with the financialization. In terms of income distribution and employment, the institutions of the NCMEs and SCMEs (IR, SP, ET) do conflict with the financialization. In particular, we can say with fair certainty that the financialization has become a constraint in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capitalism. Although existing studies (ILO 2008, Rodrik and Subramanian 2008, Carsey 2007, etc.) have been made on the effect of financialization and institutions on performances, there seems to be no enough evidence to show the impact of financialization on socio-economic performances depending on institutional diversity inherent in the types of each capitalism. Therefore, the new findings of this paper as distinct from previous studi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① Unlike the hypotheses in the previous studies, the rapid increase of financialization (FIN) causes a increase in the growth. However, the fact that financialization (FIN) decreases employment and equality is exactly the same as the existing hypotheses. ② The financialization (FIN)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arketized corporate governance (CG) and labor market flexibility (FLEX), but not with unions' bargaining power (IR), social production (SP), and education/training (ET). ③ Under the pressure of global financialization, the marketized corporate governance (CG) and labor market flexibility (FLEX) respectively increase both growth and inequality, but the social protection (SP), unions' bargaining power (IR), education and training (ET) respectively reduce unemployment and inequality. ④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marketed corporate governance (CG) and labor market flexibility (FLEX) decreases employment, and increases unemployment. Also,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unions' bargaining power (IR) and social protection (SP) increases employment, but on the contrary, it decreases unemployment and inequality. ⑤ The institutional indices of marketed corporate governance (CG) and labor market flexibility (FLEX) are relatively more reflected in the LMEs, but on the contrary, social protection (SP), unions' bargaining power (IR), and education/training (ET) are relatively more reflected in the NCMEs and SCMEs. ⑥ In the case of LMEs, the high levels of financialization with the high levels of marketed corporate governance (CG) and labor market flexibility (FLEX) increase growth, unemployment and inequalit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NCMEs and SCMEs, the high levels of financialization with the high levels of social protection (SP), unions' bargaining power (IR), and education/training (ET) increase growth, employment, and equality. Also, in the case of IMEs, the low levels of financialization (FIN) with the low levels of all institutions decrease relatively both growth and employment, but increase both unemployment and inequality. ⑦ Under the pressure of global financialization, economic inequality has been increased within the NCMEs and SCMEs after 1995. Nevertheless, the NCMEs have been achieved the high growth, employment and equality at the same time due to the high levels of social protection (SP), unions' bargaining power (IR), and education/training (ET) compared to the LMEs. Also, the paper contributes to a growing literature in comparative political economy that emphas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cialization phenomenon and institutional diversity for understanding the origin of global economic crisis. Secondly, under the pressure of global financialization, socio-economic performances of financialization can be differed depending on institutional differences inherent in the types of each capitalism. Lastly, this paper suggests that reducing negative effects of finacialization and achieving maximization of socio-economic performances depends on what policies and institutions are chosen, so various policy response in the global financialization era is very important. However, in spite of our significant empirical results, there are the points to be specially considered in the future. Firstly, we used financialization variables as shares & other equity ratio by household, market capitalization, liabilities of general government based on comparable data from 20 OECD countries. For that all, those variables cannot cover all the results of the financialization due to deficiencies in comparability of data. Accordingly, future studies still remain to be done with the improved quality and comparability of data. Secondly, the concept and variables of financialization are open to discussion. As we can find from previous studies, the impact of socio-economic performances can be somewhat differed depending on how we define the concept and variable of financialization. Thirdly, unlike previous studies such as ILO (2008), Rodrik and Subramanian 2008, Carsey 2007, etc., the result of our analysis proposed that the financializ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growth. The positive impact of financialization on growth rates remains as a matter to be discussed further. In conclusion, the global financialization is a reversible, or irreversible? The answer is that the global financialization is not an irreversible process, but a reversible and conflictual process. The institutions do still matter under the environments of global financialization. Therefore, the impact of the global financialization on socio-economic performances depends on the institutional choice and policy response in each market economy. Despite strong impact of global financialization, we can choose a various institutions, which lead to sustainable development. In order to effectively overcome the current global economic crisis, more smart policy and institutional choice are needed, which can lead to a new alternative development model beyond neo-liberalism under the new circumstances of global financialization. 본 논문은 상이한 제도와 자본주의 유형에 따라 금융화가 사회경제적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한다. 그동안 금융화는 포스트케인지언 (Post Keynesian, PK)의 문헌에서 주로 연구되어 온 반면에, 제도적 다양성은 자본주의 다양성론 (Variety of Capitalism, Voc)과 조절이론 (Regulation Theory, RT)의 문헌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다양한 제도와 조절 양식, 혹은 제도적 비교 우위론에 기초하여, 금융화와 다양한 제도가 사회경제적 성과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따라서 우리는 1990년대 중반이후의 글로벌 금융화가 현재의 글로벌 금융위기의 원인이라는 점에 특별히 주목하고, 금융화 및 제도 그리고 사회경제적 성과들 사이에 상당한 상관관계가 존재할 것이라고 가정한다. 일반적으로 금융화 (Financialization)란 국내 및 국제 경제의 운영과정에서 금융적 동기, 금융시장, 금융주체, 금융기관의 역할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현상을 지칭해왔다 (Epstein 2005). 역사적으로, 금융의 팽창은 자본주의 발전의 일정한 단계에서 발생하는 하나의 일반적인 현상이다. 특히, 금융의 팽창은 헤게모니 국가들이 쇠퇴하는 시기에 나타나는 역사적 현상이다. 하지만, 자본주의 발전의 일정한 단계에서 발생하는 보편적 현상으로서의 금융화는 각 국면마다 특수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1990년대 후반 이후 발생한 글로벌 금융화는 미국이라는 헤게모니 국가의 쇠퇴기에 출현하였다는 역사적적 보편성을 가짐과 동시에 금융기관들만이 금융시장에 참여했던 과거 ‘금융의 양적 팽창’을 의미하는 일반적 금융화와는 달리, 경제의 모든 주체들, 즉 가계, 기업, 심지어 정부까지도 금융시장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사실상 ‘금융의 글로벌 경제에 대한 전일적 지배’라는 금융화의 질적 특수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 글로벌 금융화의 압력이 가중되는 환경 하에서, 가계 및 비금융기업들 (NFCs)이 금융시장에 적극 참여하여 투자하고, 정부의 탈규제화와 부채 증가가 일상화됨에 따라, 끊임없이 글로벌 금융위기의 확대 재생산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증대되고 있다. 우리는 본 논문에서 금융화, 제도 및 사회경제적 성과들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이론적이고 실증적인 분석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먼저 이론적 분석을 통해, 금융화와 비교제도론에 관한 문헌들을 검토한 후, 오늘날의 금융화 현상이 경제의 일부분이 아닌 ‘금융의 경제에 대한 전일적 지배’ 현상임을 논증한다. 또한, 우리는 실증분석을 위해 1995년부터 2009년까지 OECD 20개국에 대해 비교 가능한 금융화와 제도변수들을 선별하여 요인분석을 통해 단일지수화 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산출된 금융화 (FIN)와 제도 지수들 (노사관계 IR, 사회적 보호 SP, 기업지배구조 CG, 노동시장유연성 FLEX, 교육훈련 ET)을 사회경제적 성과들(GDP 성장률, 고용 및 실업률, 지니계수)에 대해 다양한 회귀분석(random effects models)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Amable (2003), Hall and Gingerich (2004, 2009)의 분석방법에 착안하여 금융화 변수들을 비교제도 분석에 적용함으로써, 상이한 제도들이 내재한 자본주의 유형에 따라 금융화가 사회경제적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시도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이 때 자본주의 유형은 기존의 자본주의 다양성론(VoC)과 조절이론 (RT)의 유형 구분에 따라 Liberal Market Economies(LMEs), National Coordinated Market Economies(NCMEs), Sectoral Coordinated Market Economies(SCMEs), Intermediate Market Economies(IMEs, the southern European states, Japan, and Korea)로 분류하였다. 단, IME 국가들(남부유럽 국가들과 일본, 한국)의 경우, 대부분의 자본주의 다양성론 (VoC)과 조절이론 (RT)에서는 일관된 조정체제를 결여하고 있어 그 국가들을 특정한 범주로 유형 구분하고 있지는 않다는 점을 고려하여 단일 범주화하였음을 밝혀둔다. 금융화는 1990년대 중반 이후 LMEs에서 가장 현저한 현상으로 나타나지만, 다른 시장경제 유형에서도 동일한 경향성이 공통적으로 나타고 있다. 이는 금융화가 1990년대 중반 이후 이미 각 시장경제에서 하나의 보편적인 글로벌 현상으로 자리매김 되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2000년대 들어 가계와 기업의 금융화가 NCMEs에서 크게 심화되어 왔으며, SCMEs에서는 기업의 금융화와 금융자유화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비록 글로벌 금융화가 하나의 보편적인 경향성을 가진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자본주의 유형에 따른 제도적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다. 예컨대, 시장화된 기업지배구조 (CG)와 노동시장유연성 (FLEX) 지수는 상대적으로 LMEs 유형에 더 많이 투영되어 있는 반면에, 사회적 보호 (SP), 노조의 교섭력 (IR) 및 교육훈련 지수 (ET)는 NCMEs와 SCMEs 유형에 더 많이 반영되어 있다. 특히, 2000년대 이후에는 SCMEs에서의 시장화된 기업지배구조 (CG)와 노동시장유연성 (FLEX)이 증가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글로벌 금융화의 압력 하에서 1990년대 중반 이후 LMEs는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달성해 온 반면, NCMEs와 SCMEs 내의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경제적 불평등이 심화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SCMEs와 NCMEs는 여전히 양호한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LMEs 보다 불평등도는 낮다. 비록 SCMEs의 고용률이 상대적으로 LMEs에 비해 낮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NCMEs의 고용률은 여전히 LMEs 보다 높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강력한 글로벌 금융화로 인해 비록 시장화된 기업지배구조 (CG)와 노동시장유연성 (FLEX)이 증가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LMEs와 달리, NCMEs는 높은 수준의 사회적 보호 (SP), 노사관계 (IR) 및 교육훈련 (ET) 지수의 영향으로 상대적으로 양호한 성장, 고용, 평등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동시에 달성해오고 있다. 이에 반해 2000년 이후 SCMEs는 기업의 금융화와 금융 자유화의 급속한 진전과 함께 기업지배구조 (CG)와 노동시장 유연성 (FLEX)의 상대적 증가로 인해 성장, 고용, 평등의 모든 측면에서 NCMEs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사회경제적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아울러, 금융화는 자본주의의 다양한 발전모델을 제약해오고 있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그러나 적어도 성장의 측면에서 보자면, LMEs의 제도들 (CG, FLEX)은 금융화와 갈등관계에 있지 않지만, 소득분배와 고용의 측면에서는 NCMEs와 SCMEs의 제도들 (IR, SP, ET)은 금융화와 모순적 관계에 놓이게 된다. 특히, 이 점에 있어서 우리가 명확히 주장할 수 있는 사실은 금융화가 자본주의의 질적 발전에는 하나의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기존 연구 (ILO 2008, Rodrik and Subramanian 2008, Carsey 2007, etc.)와 달리 본 논문에서 새롭게 발견한 사실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기존의 연구가설과 달리, 금융화의 급속한 증가는 성장을 증가시킨다. 하지만, 고용과 평등이 감소된다는 우리의 연구결과는 기존연구들의 가설과 정확히 일치한다. 둘째, 금융화는 시장화된 기업지배구조 (CG) 및 노동시장유연성 (FLEX) 지수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지만, 노조의 교섭력 (IR), 사회적 보호 (SP) 및 교육훈련 (ET) 지수와는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지는 않다. 셋째, 글로벌 금융화의 압력 하에서 시장화된 기업지배구조 (CG) 및 노동시장유연성 (FLEX) 각각은 성장과 불평등을 증가시키지만 사회적 보호 (SP), 노조의 교섭력 (IR) 및 교육훈련 (ET) 각각은 실업과 불평등을 감소시킨다. 넷째, 시장화된 기업지배구조 (CG) 및 노동시장유연성 (FLEX) 지수간 상호작용 효과는 고용은 감소시키고 실업은 증가시킨다. 아울러, 노조의 교섭력 (IR) 및 사회적 보호 (SP) 간 상호작용 효과는 고용은 증가시키고 실업 및 불평등은 감소시킨다. 다섯째, 시장화된 기업지배구조 (CG) 및 노동시장 유연성 (FLEX) 지표는 상대적으로 LMEs에 많이 투영되어 있는 반면에, 사회적 보호 (SP), 노사관계 (IR), 교육훈련 (ET) 지표는 NCMEs와 SCMEs에 보다 많이 반영되어 있다. 여섯째, 시장화된 기업지배구조 (CG) 및 노동시장유연성 (FLEX)과 금융화 수준이 함깨 높은 LMEs의 경우에는 성장, 실업 및 불평등이 동시에 증가하는 반면에, 사회적 보호 (SP), 노조 교섭력 (IR) 및 교육훈련 (ET)이 같이 높은 NCMEs 및 SCMEs의 경우에는 성장, 고용 및 평등 수준이 동시에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금융화 수준도 낮고 모든 제도변수들이 낮은 IMEs의 경우에는 다른 자본주의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장과 고용 수준이 낮고 실업과 불평등 수준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일곱째, 1995년 이후 글로벌 금융화의 압력 하에서, NCMEs and SCMEs 내에서의 경제적 불평등이 상대적으로 심화되어 왔음에도, NCMEs는 상대적으로 높은 사회적 보호 (SP), 노조의 교섭력 (IR) 및 교육훈련 (ET)의 영향으로 보다 양호한 사회경제적 성과 (성장, 고용, 평등)를 달성해오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유의미한 실증결과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은 몇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금융화 변수들을 비교 가능한 데이터의 제약으로 가계의 주식보유비중, 시장자본화 및 정부 부채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그럼에도 단일한 금융화 지수는 아직까지 측정하기가 쉽지 않고 국제비교가 가능한 데이터 확보가 용이하지 않아 본 연구의 결과도 제한적일 수 있다. 둘째, 향후 금융화에 대한 개념과 변수에 대해 더 많은 연구와 논의가 필요하다. 기존 연구 결과에 의해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금융화의 개념과 변수를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 사회경제적 성과에 미친 효과는 다소 상이할 수 있다. 셋째, 기존 연구(ILO 2008, Rodrik and Subramanian 2008, Carsey 2007, etc.)의 일부 가정과는 달리, 본 논문의 분석 결과에서는 금융화가 성장에 양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점에 대해서는 여전히 추가적인 연구와 논의의 가능성이 열려져 있음을 밝혀둔다. 본 논문은 오늘날의 글로벌 경제 위기를 이해하기 위한 단초로서 금융화 현상과 제도적 다양성 간의 관계를 강조함으로써, 최근 점증하는 비교정치경제학의 논의에 기여함과 동시에 모든 국가들이 직면하고 있는 글로벌 금융화의 압력 하에서 각 자본주의 유형에 내재한 제도적 차이에 따라 금융화의 사회경제적 성과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이는 결국 글로벌 금융화 시대에는 어떤 정책과 제도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글로벌 금융화의 부정적인 효과가 약화되고 사회경제적 성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정책 대응이 매우 중요함을 함께 시사하고 있다. 지금까지 살펴 본 것처럼, 글로벌 금융화는 불가역적인 과정이 아니라 제도 및 정책의 선택 여하에 따라 상이한 사회경제적 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 하나의 가역적인 과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글로벌 금융화 환경 하에서도 제도는 여전히 중요하다. 그러므로 글로벌 금융화가 사회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효과는 각 시장경제 내에서의 제도적 선택과 정책 대응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오늘날의 글로벌 경제 위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해서는 신자유주의를 넘어서는 새로운 대안적 발전 모델을 만들 수 있는 보다 현명한 정책과 제도적 선택이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하다.

      • Local Agencies in Global Markets: Financialization of the Economy and Public Water Governance

        Gibson, Christopher Wayne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University of Cali 2020 해외박사(DDOD)

        RANK : 2907

        This dissertation examines water supply management in the arid American West, focusing on water suppliers in Southern California, and asks, how does the growing reach of financial markets into varied domains of political institutions and social life—a process known as financialization—impact public governance of natural resources? Water utilities are part of an expansive network of hydrological infrastructure and municipal organizations, which undergirds urban growth and economic development but also interferes with natural ecologies and reshapes socio-environmental relations. Additionally, water officials manage financial assets worth billions of dollars and issue billions in municipal debt. To unpac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croeconomic phenomenon of financialization and meso-level outcomes for municipalities and environmental governance, this dissertation presents three empirical studies.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rchival data on the largest provider of drinking water in the nation, Chapter 2 examines financial investing by water officials, finding that, following the period of financial deregulation in the 1980’s, public money became deeply entangled in financial markets and that investments in such markets are increasingly used as a source of revenue for public agencies. Chapter 3, using archival data, investigates how debt accumulation affects water districts, finding a drastic increase of revenue-backed debt as the primary source of funding for water agencies and a corresponding decline of tax-backed municipal debt. As a result, financial gatekeepers, especially credit rating agencies, push finance-oriented objectives on water managers that include commodifying water to maximize revenue, avoiding expenditures, and flouting climatological realities of scarcity. Chapter 4, using data from interviews and participant-observations with water managers, analyzes how they navigate overlapping and conflicting policy domains, like legal and environmental domains of activity, finding that financialized institutional logics are prominent drivers of action across all policy domains, even the non-financial ones, like those oriented on environmental and legal matters. Ultimately, this dissertation shows that contemporary public governance is dependent upon and shaped by the interests of private capital, which are often at odds with environmental and social objectives. Theoretically, this dissertation interrogates the financialization of natural resources to identify positive and negative financial feedbacks, whereby negative feedbacks result in the financial pathology of institutions, a phenomenon in which public governance organizations are systematically drawn away from their substantive charges (such as environmental stewardship) in pursuit of financial objectives in a cyclical, self-reinforcing process. As such, this dissertation advances an economic sociology of the environment and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how financialization affects public governance.

      • 금융화 시대 청년 여성의 주거불안정과 주거전략

        최고훈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878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housing precarity of young women and their housing and independence strategies,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using youth housing policies under neoliberal financialization. This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d the existing discussions of youth labor precarity, youth housing precarity, and housing precarity of young women. In this research, the most important background is the instability of young women’s fund mobilization, which includes family support, labor income, and loans. Based on this, the study examined youth women's housing precarity and strategies, focusing on three main areas. They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areas: securing safe residential spaces under gender-biased urban structures, the desire for independence and formal and informal financial activities, and young women's future plans in the context of neoliberal financialization. First, young women worked in a gender-unequal working environment, and by abandoning their surroundings, they tried to secure housing spaces where they could feel a little safer. However, attempts to secure a safe living space while using housing policies have made young women more unstable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housing and signing a contract. Young women felt intimidated by male brokers. They also paid more than the amount of policy support. Second, some young women relied on their parents when they tried to become independent because of their precarious working environment and low income, while others voluntarily refused parental support to get out of the pressure they felt from them. In the case of refusal of parent’s rental deposit support, they attempted to become completely independent through loans in the youth housing policy, but this was only a “Temporary Independence” through loans by proving their income and employment stability. In addition, young women paradoxically realized that they had to adapt to a male-centered financial order by using loan-oriented housing policies. Finally, the young women tried to build a new form of intimacy by attempting to form a community near the residential area while continuing to live in a single-person household, even though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a single-person household. Unlike this desire, young women were concerned about their future housing environment when their access to the youth housing policy would end, and they were forcing themselves to save money to prepare for this. In addition, the recent rental deposit fraud has made young women more anxious. This can be said to be a new housing precarity in the era of housing financialization, which paradoxically makes young women who cannot even imagine self-possession want to own their own house to not lose their rental deposits. 본 연구는 신자유주의적 금융화 하 청년주거정책 이용 경험을 중심으로, 청년 여성의 주거불안정성과 이에 따른 주거 및 독립의 전략을 함께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청년 노동 불안정, 청년 주거 불안정, 청년 여성의 주거 불안정 논의를 포괄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신자유주의 금융화 배경에서 원가족 지원, 노동 소득, 대출을 포괄한 청년 여성의 자금 동원의 불안정을 가장 큰 배경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청년 여성의 주거 불안정성과 전략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를 중점으로 살펴보았다. 크게 이는 젠더 편향적 도시 구조 아래 안전한 주거공간 확보, 독립 욕구와 공식 및 비공식 금융 행위, 신자유주의 금융화 배경에서의 청년 여성의 생애전망으로 나뉜다. 먼저 청년 여성은 성 불평등한 노동환경에서 일하며, 주변 환경을 포기함으로써 조금 더 자신이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는 주거공간을 구하려고 시도하고 있었다. 그러나 주거정책을 이용하면서 안전한 주거공간을 확보하려는 시도들은 주택을 탐색하고 계약하는 과정에서 더욱 청년 여성을 불안정하게 만들었다. 청년 여성들은 남성 중개인에게 위압감을 느끼고, 오히려 정책 지원 금액보다 더 많은 금액을 지불하고 있었다. 두 번째로 청년 여성은 자신의 노동환경이 불안정하고 소득이 높지 않기에 독립 시 부모에게 의존하기도 했으며, 부모에게 느끼는 압박감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발적으로 부모의 지원을 거부하기도 했다. 부모의 임차보증금 지원을 거부하는 경우 청년주거정책에서 대출을 통해 완전한 독립을 시도했다. 그러나 이는 자신의 소득과 고용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증명함으로써 대출에 의존해야 하는 ‘일시적인 독립’에 불과했다. 또한 청년 여성들은 대출 중심의 주거정책을 이용함으로써 자금 동원의 불안정을 해결하기보다, 남성 중심적인 금융 질서에 적응해야 함을 역설적으로 깨닫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청년 여성은 1인 가구로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1인 가구로 계속 살아가면서 주거지 근처에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자 하는 새로운 형태의 친밀성을 구축하고자 했다. 이러한 욕구와 달리 청년 여성들은 청년 주거정책 이용 기간이 끝나는 미래의 주거환경에 대해 걱정하고 있었으며, 이를 대비하기 위해 무리하게 목돈을 모으고 있었다. 이에 더해 최근 전세 사기 사태가 청년 여성들을 더욱 불안하게 만들고 있었다. 이는 자가소유가 상상조차 불가능한 청년 여성들에게 역설적으로 전세보증금을 잃지 않기 위해 자가를 더욱 욕망하게 만드는, 주택 금융화 시대의 새롭게 등장한 주거불안정성이라고 할 수 있다.

      • 가치투자의 수행성과 대중투자문화의 형성

        오승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873

        본 연구는 한국에서 1990년대 후반 이후 등장한 ‘대중투자’ 문화를 주식투자라는 금융적 실천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중적인 주식투자 전략의 하나인 ‘가치투자’가 개인투자자들에 의해 해석되고 활용되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 사회에서 ‘투자’라는 금융적 실천이 갖는 사회적·문화적 함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치투자는 재무제표와 사업보고서와 같은 자료를 토대로 기업의 가치를 분석하고 계산하여, 이러한 가치를 기준으로 주식을 거래하는 투자 전략이다. 하지만 가치투자는 단순히 주식투자를 매개하는 금융지식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가치투자자’라는 투자자 주체를 생산하는 핵심적인 계기이기도 하다. 가치투자는 투자와 투자자에 대한 합리적이고 도덕적인 표상을 생산하며 투자자들의 실천과 인식을 변화시키고, 더 나아가 이들의 생애기획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수행적 효과를 발휘한다. 연구자는 ‘가치투자의 수행성’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 ‘잃지 않는 투자’와 ‘배우는 투자’를 지향하는 가치투자 전문 교육기관인 ‘A 투자교육연구소’에서 개설한 가치투자 강좌를 참여관찰하였고, 수강생들을 중심으로 심층면접을 수행하였다. 가치투자는 1997년 경제위기 이후 구조조정을 통한 기업의 재무구조 개선과 2000년대 초반 주식시장에서의 가치주 등장을 배경으로 개인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가치투자는 1990년대 후반 이후 벤저민 그레이엄과 워렌 버핏과 같은 가치투자의 상징적 인물들의 투자 방식을 충실하게 해석하고 한국적 맥락으로 번역하는 소수의 ‘매개자’에 의해 대중적으로 확산되었다. ‘A 투자교육연구소’ 역시 이러한 매개자 그룹 중 하나로, 개인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가치투자 교육을 통해 가치투자를 전파하는 데 일조한다. 투자자들은 반복되는 주식투자에서 실패를 경험하거나 기대만큼의 수익을 기록하지 못하면서, 가치투자를 통해 주식투자를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을 학습하기를 원하고, 이를 통해 더 이상 주식투자에서 실패하지 않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버핏 교실’은 가치투자에 대한 특정한 지식을 생산하고, 이를 구체적인 테크닉의 형태로 재가공하여 수강생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합리적이고 건전한 투자를 실천하는 현명한 투자자라는 윤리적인 주체를 적극적으로 생산하고자 한다. 또한 가치투자는 투자자들이 주식투자를 정당한 사회적 실천으로 의미화하는데 있어서 핵심적인 개념과 논리를 제공한다. 가치투자자들은 돈의 논리가 지배하는 자본주의 하에서 경제적 자유를 열망한다. 경제적 자유를 획득하기 위한 유력한 방식이었던 직장생활은 한국 사회의 신자유주의적 전환 이후 노동 환경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더 이상 매력적인 선택이 아니게 되었고, 이들이 자연스럽게 눈을 돌리게 되는 것이 재테크이다. 그리고 주식투자를 통해 자산을 관리하고 증식하려는 투자자들은 가치투자를 통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수익을 기록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사라진 자리에 ‘평생직장으로서의 주식투자’라는 상상이 등장하는데, 가치투자는 이러한 상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생산한다. 이 연구는 한국 사회의 신자유주의적 전환 이후 일상화된 경제적 불안정에 ‘재테크’라는 사적인 자산관리의 전략으로 대응하는 투자자들의 인식, 윤리 그리고 실천을 이해하려고 시도하였다. 대중투자문화는 다양한 금융적 수단, 재테크 지식과 정보를 통해 돈이 스스로 일하게끔 하라고 요청하면서, 일상을 돈을 만들어내기 위한 열망으로 가득 채운다. 그리고 돈을 현명하게 투자하고, 사려 깊게 예측하며, 전략적으로 자산을 배치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환상을 만들어낸다. 가치투자는 주식투자를 통한 부의 획득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가치투자자들을 지속적으로 생산함으로써, 대중투자문화를 재생산하는 핵심적인 계기이다. This research analyzes the so-called “popular investing culture”, which has emerged since the late 1990s, focusing on the financial practices of the stock investment.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analyzing the concrete processes of the interpretations and exploitations of “value investing” - one of the strategies of the popular investing culture ? by individual investors, has an object of elucidating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the financial practices of the “stock investment” in Korean Society. Value investing is an investing strategy which trades stocks in accordance with some values produced by calculating and analyzing a value of a company on the basis of financial statements and business reports. However, value investing is not a simple finance knowledge which mediates the practices of the stock investment, but it is also the essential points which produce investing subjects called “value investor”. Value investing displays performative effects in that it produces rational and moral representations about the investment and the investor, and transforms the recognition and practice of the investors, and furthermore, has an influence on the life-plans of the investors. In the view of the concrete examination of the “performativity of the investor”, this research - 115 - participates and observes some courses of value investing organized by “A research center for education of investment” - this research center aims at “no-losing investment” and “enlightening investment” - , and carries out some in-depth interviews with some students of this course. Value investing was starting to get a lot of attention of individual investors after the economic crisis of 1997. It was because after the economic crisis of 1997, financial structures of some companies were improved by the restructurings, and in this situation, value stock recorded stable profits. In that time, value investing was popularly introduced and propagated by a few of “mediators” who accurately interpreted - and translated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 the investment strategies of the emblematic figures of value investing, for example Benjamin Graham and Warren Buffett. “A resarch center for education of investment” was also one of the mediating groups, and until now it performs a role of introducing and propagating value investing by the education of value investing for individual investors. Individual investors, who repetitively fail in investment or cannot obtain profits expected, learn the ways of performing the stock investment systematically by value investment, and after these learnings, they expect that no more they would not fail in the stock investment. “Buffett Class” produces the particular knowledge of value investing. “Buffett Class” reformulates this knowledge as some forms of specific techniques and provides these techniques in education programs, thereby “Buffett Class” enthusiastically aims to produce the ethical subject as a smart investor who practices rational and sound investments. Value investing purveys the essential concepts and logics for signifying the stock investment as a justifiable social practice. Value investors aspire to obtain economic freedom in the capitalism which is predominated by the logics of money. After the neoliberal turn - 116 - of Korean society, the employment, which was the only and prime way to obtain economic freedom, is now out of the charming choice alternatives because of the destabilization of the labor. Consequently, individuals pay much attention at financial technique. And individual investors who want to administer and increase their assets by stock investment, expect to obtain continuous and stable profits by value investing. In the vanished place of the notion of the life-time workplace, the imagination of the “stock investment as a life-time job” emerges, and value investing plays an essential role as a concrete strategy and life-plain for embodying this imagination. This research tries to understand the knowledge, the ethics and the practices of the investors who counter-act and defend for themselves with a private strategy of asset-running financial technique in the face of the prevailing economic destabilization after the neoliberal turn of Korean society. The popular investing culture, through a variety of financial techniques, financial knowledge and information, ordering money to work or operate of itself, fills everyday life of the people with aspirations for making more money. And this culture creates some fantasies in which the investors who invest smartly, predict reflexively, and arrange their assets strategically can succeed in the investment. Value investing is an essential moment which reproduces the popular investing culture by producing value investors who expect that they can make more money through the stock investments.

      • Who is in Debt? The Role of Social Class, the Welfare State, and a Culture of Finance

        Tufail, Zaibu Nissa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University of Cali 2019 해외박사(DDOD)

        RANK : 2844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debt and credit, my dissertation provides a comprehensive sociological examination of household level credit consumption—both within the US and in the European Union. I attempt to account for how both supply and demand side social forces—cultural and structural—simultaneously drive indebtedness. I address three questions. First, how does class position mediate the influence of structural and cultural forces on U.S. households’ levels of indebtedness? Second, has acceptance of debt in U.S. households changed with intensified financialization? Third, how do welfare-state provisions influence households’ indebtedness across countries over time? In Chapter 2, I show that credit consumption is class-contingent. Specifically, using Survey of Consumer Finances (SCF) data for 2010, I find that upper class households use their credit to make financial investments, ostensibly in the service of wealth creation. The middle classes are interested in using their homes as investment in long term security, and the upper middle class (along with the upper class) does use some of its credit to engage in status based, positional consumption. In contrast, the lower classes deploy their debts to make ends meet. They use credit to pay for basic necessities and also to fund education. In Chapter 3, I approach the issue of debt and finance culture from a longer-term perspective, interrogating the contours of the ‘norm of debt acceptability’ over the 1989 to 2016 period, using SCF. I extend my examination beyond general debt acceptance levels, by interrogating how acceptable households find using credit for 5 specific kinds of purposes. Surprisingly, I find that social class membership is less important in patterning how households think about credit than it is in determining actual credit consumption and debt. One interesting pattern is that American households’ understandings of the appropriate uses of credit shifted substantially in the mid-1990s, when Americans, regardless of position in the social structure, moved away from seeing credit as a means by which households may furnish frivolous/luxury consumption to a view where credit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tool to deal with economic constraint. Interestingly, credit use in general is considered less acceptable to upper class households, and more acceptable to poor households, likely reflecting the structural need to rely on credit. In Chapter 4, contrary to most scholarship on the credit/welfare nexus, I find a complementary, rather than substitutive relationship between state spending levels and the total amount of household indebtedness in European Union countries,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s of EU SILC data, 2004-2015. I also uncover that time exerts a positive impact on household debt amount, as does degree of financialization. I argue that the welfare regime/household credit tradeoff proposition needs rethinking for different institutional environments. On the whole, my dissertation provides a multidimensional understanding of debt, and advances economic sociology and the study of finance by integrating it with issues of social stratification and by considering how structural and cultural forces jointly shape household indebtedness across space and time.

      • (The) Long-run Effect of Financialization and Labor Market Institutions on Inequality, Investment, and Growth : Panel Cointegration Approach

        신호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667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long-term effect of financial and labor market institutions on inequality, investment, and growth. Prior to this analysis, I examine the dynamic evolution of capitalism in terms of growth, employment, and inequality using cluster analysis in the first section. My investigation shows that the type of capitalism in most European countries differs from Anglo-Saxon capitalism since the 1990s. This distinction is relatively stable over time despite globalization and rising inequality around the world. However, compared with European countries, East Asian and emerging economies have shown a more dynamic evolution of capitalism over time. Korea, Japan, Russia, and Brazil have converged to Anglo-Saxon capitalism, which is characterized by slow growth and high inequality while Taiwan converged to Northern European capitalism, which is characterized by moderate growth and low inequality over time. The reason for these different evolutions between European countries and emerging countries might be that path dependency or institutional complementarity are relatively weak in emerging economies than in European countries due to the relatively short history of capitalism in the former. The second section investigates the long-term effect of financialization, financial development, and labor market institutions, such as minimum wage and union density, on inequality, investment, growth, and consumption using data of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member countries since the 1970s. I used various measures of financialization and financial development. Labor market institution variables are used to test arguments on wage-led growth theory. To investigate the long-run effect of these variables, I used panel cointegration approach. Results of estimation show evidence of cointegration between financial and labor market institutions and each economic outcome such as inequality, labor income share, investment, growth, and consumption. Group mean fully modified ordinary least squares (FMOLS) results, which is robust of endogeneity problem, show that high dividend tendency in the non-financial corporations is positively correlated to inequality in the long run. It also shows that financial globalization is negatively correlated to private investment and financial development is positively correlated to private investment in the long run. Results of panel vector error-correction model (VECM) show the existence of unilateral Granger causality from financial globalization to private investment. No direct effect of financialization and financial development on growth is observed, but their indirect effect occurs via private investment. However, estimation results for labor market institutions suggest that they are not robustly correlated to macroeconomic outcomes in the long run. This condition is not in accordance with the findings of proponents and critics of wage-led growth. No robust evidence exists to show that increasing minimum wage and union density, which are representative policies for wage-led growth, are correlated to inequality and labor income share in the long run. Similar to what wage-led growth theory posits, there is weak evidence that the increase of minimum wage is related to the increase of private consumption in the long run. However, these results are not robust to the change of specification. Similar to criticism of wage-led growth theory, there is weak evidence that an increase in minimum wage and union density is related to a decrease in private investment, but these results are not robust to the change of specification either. Estimation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mpirical basis of both support and criticism for wage-led growth theory is weak.

      • 금융화 현상이 한국의 소득 분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 포스트 케인즈 학파 관점을 중심으로

        김상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654

        Since the early 1980s, financializ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trend in developed countries. In this article we analyze the effects of financialization on income distribution, before and after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and the 2007-2008 Financial Crisis for South Korea. We apply the Kaleckian approach to the effects of financialization on functional income distribution through three main Kaleckian channels: first, the sectoral composition of the economy; second, the financial overhead costs and profit claims of the rentiers; and third, the bargaining power of trade un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fter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and the 2007-2008 Financial Crisis, a continuation of the downward trend in the wage share can be observed in South Korea. Changes in the sectoral composition of the economy were irrelevant in explaining the falling wage share, and the financial overhead costs and profit claims of the rentiers channel was not clear to explain the downward trend. However, we could argue that financialization has contributed to this downward trend by deteriorating the bargaining power of trade unions.

      • Financialization and Income Inequality: How the Growth of Corporate Debt Undermined the Power of Organized Labor in the U.S

        Kaldor, Yair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The University of 2020 해외박사(DDOD)

        RANK : 2639

        Financialization and rising income inequality are two of the most pronounced economic developments of recent decades. In recent years scholars have provided increasing evidence of a strong statistical association between these trends. However, explanations of this link are still limited, and there is a need to go beyond statistical analysis to examine how financialization contributes to income inequality “on-the-ground”. The present research addresses this issue by identifying a specific channel through which financialization shapes the income distribution within the firm: the use of corporate debt as a “negotiation tool” in collective bargaining.The growth of corporate debt is a central indicator of financialization at the firm level. This trend is usually associated with the rise of the shareholder value approach to corporate governance. In contrast, the present research argues that corporate debt played a more salient role in the struggle between workers and employers, and was increasingly deployed in collective bargaining processes to extract wage concessions and justify massive layoffs. It shows that the transformation of debt into a “negotiation tool” was the outcome of a broader shift in property relations that accompanies the rise of financial assets as a dominant form of capitalist property. While this development leaves the basic conflict between labor and capital very much intact, it opens up new strategies and courses of actions within this ongoing class struggle.The core empirical research consists of a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three U.S. nonfinancial industries: auto, steel and airlines. Through a mixed-method approach that combines a quantitative analysis of financial data with qualitative research of news items, industry reports and other primary sources, I trace the transformation of debt into a “negotiation tool” to the shift in U.S. monetary policy in 1979 that pushed interest rates to unprecedented heights and led to the economic recessions of the early 1980s. I show that in all three industries, the use of debt as a “negotiation tool” started in financially distressed firms, but quickly spread to more stable corporations. This strategic use of debt played an important part in the spread of “concession bargaining” and contributed to the decline of organized labor in the 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