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pplication of collective action theories on Chinese K-Pop online fandom community : study of JBJ weibo fandom community

        Ling, Lei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Korea Un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the age of the internet, the fandom community was no longer based on the offline interaction but changed to interaction on the online community. Within the Chinese online K-pop fandom community, different forms of collective activities happen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hashtag events, retweeting, and fundraising. Such activities became more and more pervasive in the Chinese K-pop online fandom circle but few studies have touched on these issues. This thesis discusses how the concept of collective action and associated philosophies fit in the nature of connective action and fandom community during the process of collective action. The thesis also explores the motivation for collective action by adopting the social identities model of collective action (SIMCA), and the problems behind these collective activities. The JBJ fandom’s collective activities on Weibo against the disbandment of the group will be chosen as the object in the thesis. The methodologies in this research are the analysis of the internet public opinion monitoring system and the netnography throughout the whole period of the incident.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 model of SIMCA does apply to the initiation of the fandom collective action. The online fandom managed to prevent the potential collective action problems by utilizing the Weibo platform. However, the participatory rate did not stand high for a long period, because of the increasingly growing of the opportunity cost resulting from the vulnerability of the online fandom community.

      • (The) community they build and live in : emergence of transnational solidarity of women through K-Pop fandom focused on K-Pop idol/singer/actor Kim Jaejoong fandom

        지정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research is an attempt to examine a global K-pop idol fandom pertaining to its function as a vehicle in the emergence of transnational solidarity and empowerment of women. The fandom of a Korean idol star, singer and actor Kim Jaejoong, shares many common attributes with other communities of audience and/or communities of interest. However, global Kim Jaejoong fandom possesses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that make it a community beyond a usual community of audience or interest. It is closer to a “real” life grassroots community happening in both virtual and real spaces that transforms attitudes, values and behaviors of the members that motivates them to engage in collective action to change the system they are confined to. Serving dual function as an observer and a participant, I adopted qualitative analysis metho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ndom from a feminist ethnography/auto-ethnography approach, utilizing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sense of community and gift economy frame works to explor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is fandom. This fandom consists of women of all color, age and relig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llustrates these mostly single, professional women whose first language is usually neither Korean nor English gather in the name of their star to form, maintain and expand a transnational sisterhood to find meaning in life, encourage and comfort each other, and grow together.

      • 브랜드 팬덤의 구축과 확산 : 팝마트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옥혜 수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Fandom, has been mainly used in entertainment or sports area, means the voluntary community or the culture of fans or enthusiastic advocates for certain stars or teams, etc. Recently, brand fandom which applied fandom to a specific brand is growing significance, because it is more and more difficult to have customer loyalty or customer retention. Brand fans have extraordinary affections towards the brand, consume the brand continuously, support voluntarily, and communicate with the brand and other fans. Thus, building and expanding brand fandom sh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goal for any brand. This study explores the case of POP MART, the leading company in Chinese art toy industry, about building the brand fandom and business model, and analyzes the significance and success factors of brand fandom. POP MART had been the declining off-line general store, and made a turn-around to an art toy company with mania consumers, and finally made a successful performance with brand fandom. Key success factors of POP MART can be found as building and expanding brand fandom, communication with fans and among fans, and profitability from brand fandom. This case shows an exemplary case of the brand fandom, and strategic implications are suggested.

      • Interpreting fandom productivity in digital capitalism : focusing on Chinese Hallyu fansub groups

        Chan Sok Ieng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6

        Online productivity and connectivity of digital media contributes for online communities in general and transnational fandoms in particular to vitalize their subculture without being unhindered by time and space. As they expand the scope of their activities, fandom seems to inevitably have more complex interactions with the outside. This study attempted to illustrate the production structure of digital fansub groups and the power relations among fans, fandoms and the industries by taking Chinese Hallyu Fansub Group as an example and online ethnography as the main methodology. In terms of the production structure of fansub, Chinese Hallyu fansub groups integrated the whole system of production into a clear division that allowed them to conduct mass production. Also, they began to step out of their limited boxes like homepage or forum into the public realm by utilizing social functions of digital media actively. Online productive fandoms showed greater consciousness about advertising effectiveness of visualization to promote their products and communities in public. The systematic fansub production served to the reinforcement of the existed order within the fandoms. In order to conduct stable online production, fandoms had to hold on higher standards of cultural capital, which ulteriorly resulted in a threefold hierarchy as distinguished the inside of the fandom from the outside, the periphery from the center, the media fandom from the celebrity fandom as a minor group. However, at the outside, the effect of online productivity failed to empower fandoms to counter against the industries. The capital accumulated during the process of online production, though, helped consolidate the structure of fandom and its production and gain prominence in social media, it also alienated fans from their subjectivity. The result of being alienated by capitalization is severer competition, differentiation and self-exploitation among fandoms. For those fandoms that are capable of commercialization, they were even able to get involved in the official cooperation with the producers or platforms but at the expense of their autonomy and resistance. This research on fansub provides a Marxist-based insight in the interplay betwixt the agency of the productive fandom and the power of digital media and capital as external forces. 디지털 미디어가 사용자들로 하여금 생각을 자유롭게 주고받게 하는 참여문화를 양성해 나가는 가운데, 팬덤 등 하위문화 집단들은 온라인 생산성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그들의 문화을 더욱 견고하게 구축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다양성과 민주화를 가져준다는 견해와 달리, 자율주의적 마르크스주의는 미디어 플랫폼이 팬덤을 포함한 온라인 사용자들을 상대로 한 비물질적 착취에 주목하여 비판한 바가 있다. 본 논문은 디지털 팬덤의 생산구조와 구조적 영향을 받은 생산관계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중국 한류 팬서브 그룹을 사례로 보아 가상 민족지적 연구방법에 의한 참여관찰과 팬서브 그룹 구성원을 대상으로 반구조적 인터뷰를 실시했다. 결과적으로, 온라인에 의해 이루어진 팬자막 생산 프로세스는 전문화와 구조화의 정도가 높은 협업 생산 시스템으로 통합되었다. 생산 능력뿐만 아니라, 소셜 플랫폼의 가시화와 연결성 기능을 활용하여 자기 홍보에 대한 팬덤의 의식과 능력도 강해졌다. 조직화된 온라인 팬덤 생산은 기존의 구조와 특성을 강화시키는 데다가, 새로운 권력 관계도 구성했다. 중국 한류 팬서브 그룹이 팬들의 문화자본과 팬덤의 구조화 수준에 따라 외부와 내부, 핵심 구성원과 일반 구성원을 구별하는 특성을 유지했으며, 미디어 팬덤과 스타 팬덤으로 차별화하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했다. 한편, 감정노동에 기초한 무불노동의 착취성을 해소하기 위해, 디지털 팬덤 구성원들은 생산 과정에서 자본의 보상을 요구하는 공리주의적인 면도 드러났다. 그러나, 자본화를 과도하게 추구하는 팬덤은 한층 심화된 자아 착취, 노동 소외 등 역효화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디지털 팬덤이 자본화할수록 미디어 플랫폼과 문화산업과 협력할 가능성이 커지지만, 동시에 본래의 자율성과 저항성이 상실할 위험도 존재하기 때문에 디지털 팬덤의 정체성과 자본화 간의 모순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Structure of the French K-pop fandom: A case study of the French K-pop fandom’s phenomenon through the making of an organizational structure of it.

        Pontreu? Nina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5

        K-pop, a global music phenomenon, is not just about the rhythm and melodies; it's a cultural movement spurring significant interest in social research. The term ‘fandom,’ denoting a community of dedicated fans, takes on a unique form within K-pop. France, renowned for its cultural heritage and cultural policies regarding music, is the leading European nation in terms of K-pop enthusiasts. This prevalence has necessitated the evolution of its fan culture to accommodate this Korean wave. K-pop fandoms are unique, characterized by their distinct vocabulary and cultural norms. Consequently, it is interesting to examine how these fans organize themselves and the level of their engagement within the fandom. This study delves into the intrinsic structure that shapes the K-pop fandom in France. Bourdieu’s social field theory will be used as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is structure. However, we also incorporate Becker’s critique of the theory to ensure a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the model's potential. Interestingly, the structure of the K-pop fandom in France is structured into two main components: the population and the institutions. The population consists of various categories of fans, while the institutions encapsulate the overarching frameworks that guide the fandom. These two components coexist and work together in a symbiotic relationship, unified by their shared enthusiasm for Korean music and culture. This research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social dynamics of K-pop fandoms, thereby contributing to our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fan culture.

      • (A) data-driven analysis on a K-pop fandom collaboration network

        Kang, Jiwon Sungkyunkwan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5

        As K-pop industry has been rapidly expanded, the strength of the K-pop fan community is under the spotlight. K-pop fans (or a fandom as a community) seek to support their band, and one of their strategies is \textit{`fandom collaboration'} where different fandoms for different bands mutually support to each other for the success of their band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urrent practice of the fandom collaboration in K-pop. By collecting and analyzing large-scale fandom activity data from DCinside, we investigate (i) to what extent fandom collaborations are prevalent in K-pop, (ii) how fandoms collaborate with others?, (iii) what fandoms play important roles in fandom collaborations, (iv) what fandoms are clustered into a group, and (v) how fandoms collaborate with other fandoms across months. Our semi-structured interview study reveals that the main motivation of the fandom collaborations is ‘mutual help’, which is regarded as effective for the success of K-pop bands. By analyzing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fandom collaboration network, we find that the fandom collaboration tends to be reciprocal. We also identify a small number of fandoms who play significant roles in fandom collaborations in K-pop, and show that they are likely to (i) show active community engagement, (ii) be boy bands, (iii) be listed in the top music chart, and (iv) be 3-5 years active. Our analysis reveals that the prominent K-pop events such as new album releases, annual music awards, audition shows are associated with active fandom collaborations. 케이팝 (K-pop) 산업의 세계적인 흥행함에 따라, 케이팝 문화의 열성적인 지지자인 케이팝 팬덤 또한 주목을 받고 있다. 케이팝 팬덤은 집단 행동을 통해 아이돌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는데, 이러한 집단행동은 팬덤 내부뿐만 아니라 팬덤 밖 또다른 팬덤과의 협업으로 확장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케이팝 팬덤 간의 협력 행위를 이해하기 위해서 데이터 기반의 종합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온라인 커뮤니티 플랫폼인 디시인사이드에서 수집된 케이팝 온라인 팬덤 데이터를 바탕으로, ‘팬덤 간 협업 네트워크’를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팬덤 간 협업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1) 팬덤 간 협업이 어느정도 널리 퍼져있는지, (2) 팬덤 간의 협업이 어떻게 이뤄지는지, (3) 어떤 팬덤이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4) 어떤 팬덤이 그룹으로 묶이는지, (5) 팬덤 간의 협업이 시간에 따라 그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수행하였다. 측정 결과 케이팝 팬덤은 활발하게 협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케이팝 팬 인터뷰 연구를 통해 협업의 주요 동기는 각 팬덤이 지지하는 케이팝 밴드를 효과적으로 돕기 위함임을 밝혔다. 팬덤 간 협업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팬덤 간 협업이 대체적으로 상호적인 경향이 있으며, 신곡 발매, 음악 시상식, 오디션 프로그램 방영 등 케이팝 씬 내의 주요한 이벤트들이 팬덤 간 협업을 활발하게 만들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협업 관계에서 소수의 팬덤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팬덤은 (1) 높은 커뮤니티 참여도를 보였으며, 또한 해당 팬덤은 (2) 보이 그룹, (3) 과거 음원 차트에 진입한 적이 있었던 그룹, (4) 3~5 년차의 그룹의 팬덤임을 데이터에 기반하여 밝혀낼 수 있었다. 케이팝 산업에서 케이팝 밴드를 위한 팬들의 활동은 케이팝 밴드의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 및 발견점은 추후 케이팝 팬들을 이해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Pop 팬덤 현상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BTS와 A.R.M.Y.를 중심으로

        이경환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4

        본 연구는 10년 동안 발표된 방탄소년단과 A.R.M.Y.를 중심으로 팬덤 효과를 확인하고자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동향을 확인해본 결과 1편의 논문을 제외하고 10대, 20대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각각 2편, 1편이었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4편의 연구가 설명하는 A.R.M.Y.의 특징은 팬덤의 브랜드 참여와 공유 행위가 방탄소년단이 해외 팬덤을 확보하는 것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는 것이다. 특히, 커버 곡, 댄스 영상, 뮤직비디오 리뷰, 뮤직비디오 리액션과 같은 2차 콘텐츠가 활발하게 생산되고 공유될수록 아이돌 브랜드 참여 욕구를 촉진하여 홍보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이러한 결과물을 관찰한 다른 개인이나 기업 단체, 심지어는 타 브랜드는 더 나아가 BTS 브랜드 관련 굿즈 서비스를 만들어 내어 보장된 시장의 관심을 얻고 이익을 추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생산된 BTS 관련 굿즈와 서비스는 다시 팬덤들에 의해 관심받고 적극적으로 참여되고 공유되면서 상호보완적인 브랜드 인게이지먼트를 실현한다. 이러한 상호보완적인 브랜드 인게이지먼트를 실현하게 하는 팬덤의 적극적인 활동이 결국 방탄소년단의 브랜드 파워와 브랜드 인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성공에 이바지하기 때문에 A.R.M.Y.의 활발한 활동은 방탄소년단과 관련된 굿즈 개발, 서비스 소비 또한 촉진 시키고 방탄소년단의 성공에 기여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팬덤의 특성과 팬덤의 경향성에 관해 보고한 연구 결과를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통해 확인한 결과는 커버로 통칭하는 2차 콘텐츠를 생성하여 팬을 비롯하여 대중문화 소비자들과 공유하는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겠다. 그러나 의과학 분야의 임상 연구 결과를 확인할 때 적합하고 유용한 방법인 체계적 문헌고찰방법을 대중문화 학술 분야에 적용하여 결과를 도출하기에는 제한적인 부분이 있다. 특히,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선행 연구들이 설명하는 내용을 동일한 하나의 개념으로 설명하는 것에 무리가 있으며,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팬덤을 형성하는 K-pop의 사회적 분위기에 반해 학술적 논의는 아직까지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충분하지 못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결과를 도출한 본 연구의 결론은 이론으로 설명하기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to identify fandom effects, focusing on BTS and A.R.M.Y. Systematic review collected studies that were published over a 10 years from now.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trends through a systematic review, 4 studies were collected. There were two studies for teenagers and one study for people in their 20s. The characteristic of A.R.M.Y. described by the four studies is that the fandom’s participation in the brand and share of brand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securing and expanding BTS’s overseas fandom. Particularly, secondary content such as cover songs, dance videos, music video review, and music video reaction created by fandom were actively produced and shared promoting idol brand participation of others. Furthermore, studies show that BTS-related goods and services produced through the process gain fandom’s attention and again are actively participated, and shared by fandom. This fandom’s active participation allows complementary process of brand engagement and help grow BTS’s brand power and eventually have effects on BTS’s success. The results of the report on the characteristics of fandom and the tendency of fandom can be explained by the phenomenon of generating secondary content collectively called ‘cover’ and sharing it with fans and consumers of popular culture. However, applying systematic review in field of popular culture to derive results is limited. Systematic review methods, which are originally suitable and useful for verifying clinical research in the field of medicine has never been applied in such field.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explain what prior studies explained through systematic review, and academic discussions of K-pop are still lacking in contrast to the social atmosphere of K-pop, which attracts global attention and forms fandom. Consequentl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hich resulted from a review of insufficient prior studies, are considered hardly reasonable to explain the phenomenon.

      • 아이돌 팬덤의 분노 연구

        박지윤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3

        This study analyzes the dynamics and resistance of Korean idol fandom through the anger of idol fandom. Idol fandom is a group that pursues pleasure based on affection for idols, but it harbors anger. Anger of idol fandom has been accumulated from the first generation fandom. The anger of first generation fandom, which was expressed against idol group members' romantic relationships and rival idol groups, was considered as a pathological phenomenon. In order to avoid such stereotype, research on negative emotions of the fandom was not actively conducted, and there was a tendency to romanticize the anger of fandom by interpreting it as an act of resistance. Anger is a complex concept that cannot be understood by limited discussions of resistance or exploitation. In this study, definition of anger is not limited to emotional displeasure. Anger includes cognitive judgment, and it is a dynamic process that keeps changing throughout the cognitive judgment. Anger crosses boundaries between individuals and thus has a potential to develop to social force. ​Therefore, understanding of anger should not be limited to an individual's internal state. It needs to be understood within social contexts and practices. Based on this definition of anger,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e fandom by closely examining the context, dynamics, and transition of the fandom's anger to action. This study observed 'Instiz', an Internet community that idol fandoms use, to analyze the context of anger. There were various contexts of anger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of idol fandom with idol or idol industry. Idol fandom felt anger as a nurturer who supervised idol based on productivity envy, as an unofficial executive of the idol industry, as a salesperson and a strategist, and as a consumer. The flexible identity within these various contexts led to fragmentation of fandom. Fan practice was based on different identities, and fans attempted to differentiate and empower themselves by expressing anger over fan practice that was not considered appropriate based on their standards. In order to observe the dynamic flow of anger of idol fandom, this study classified anger as 'incompetent anger', 'subversive anger', and 'moral anger'. Incompetent anger occurs when fandom recognizes unfairness but judges that there is no proper countermeasure or possibility of correcting the unfairness. Subversive anger occurs when fandom tries to overthrow the unfair relationship. Even when fandom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unfair situation, fandom expresses moral anger based on justice or moral justification. Anger keeps changing dynamically across these types of anger. In a media environment that archives user's emotions, posts and comments containing anger continuously affects users, and anger has the potential to transform into a collective action. To examine this dynamic flow of anger and the possibility of it turning into behavior, I studied the cases of school violence of idol groups, especially focusing on Soojin of (G)I-DLE and Hyunjin of Stray Kids. Neverland, fandom of (G)I-DLE, and Stay, fandom of Stray Kids, felt anger as an unofficial executive of the idol industry, consumer, and a member of community that purses achievement with the idol. Fans of other idols were not directly damaged by the idol's past school violence, but they felt moral anger at the idol, an entertainment management company, and fans cheering for idols. Contrary to expectations that anger based on moral legitimacy and desire for subversion would be converted into strong collective energy, subversive anger and moral anger soon turned into incompetent anger. The study analyzed four reasons why the fandom's anger failed to turn into a powerful act of resistance. First, fandom is fragmented. Fans with a flexible identity felt different context and intensity of anger depending on their relationship with idol. Anger of fandom was individualized, and individualized anger needed to be reconstructed into collective anger. However,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involved 'aggro' or strategic anger of other fandom. Today's online fan community, which seeks loose solidarity based on anonymity, makes it difficult for the fandom to distinguish the strategic anger of other fandom. The fandom, which penetrated the logic of the ecosystem of idol industry, felt that the online community was not a safe place to collect its anger. So fandom tried to censor its own anger by making rules that prohibit mentioning the controversy. Under the attempts to manage anger, anger that failed to be reconstructed as collective anger let to the action of merely expressing the position of fandom. As the collective action of fandom kept failing, subversive anger of fandom turned into incompetent anger that internalized failure. Nevertheless, the resistance of the fandom cannot be easily denied, given that anger is a dynamic process and incompetent anger also has the potential to convert to subversive energy. This research expanded the understanding of the dynamics and resistance of idol fandom through the dynamic emotion of anger. It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tried to conduct empirical study on 'anger', a very important feeling of today’s society, which lacked academic consensus on definition or empirical study. 이 연구는 아이돌 팬덤의 분노를 통해 아이돌 팬덤의 역동과 저항성을 살폈다. 아이돌 팬덤은 아이돌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즐거움을 추구하는 집단이지만 화와 분노를 품고 있었다. 팬덤의 분노는 1세대 팬덤에서부터 누적된 현상이다. 아이돌 그룹 멤버의 열애 상대, 경쟁 아이돌 그룹 등에 대해 표출되던 초기 팬덤의 분노는 병리적인 현상으로 치부되었다. 이러한 팬덤에 대한 편견을 피하기 위해서인지 팬덤의 부정적 감정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고, 팬덤의 분노를 너무나 쉽게 저항적 행위로 해석하며 낭만화하는 경향도 있었다. 하지만 분노는 저항 혹은 착취와 같은 제한된 논의로 이해할 수 없는 복잡한 감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분노를 단지 감정적인 불쾌함에 제한되지 않는, 부당한 대우에 대한 인지적인 판단을 포함하는 화이자 지속적인 인지적 판단 속에서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으로 봤다. 이러한 역동적 과정 속에서 분노는 개인 사이의 경계를 넘나들며 사회적 동력으로서의 잠재력을 지니기도 한다. 따라서 분노를 개인의 내적 상태로 보는 시각을 넘어 사회적인 맥락과 실천 안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노의 정의를 바탕으로 팬덤의 분노의 맥락과 역동성, 행위로의 전환을 면밀하게 살피며 팬덤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했다. 연구자는 아이돌 팬덤이 활동하는 인터넷 커뮤니티인 ‘인스티즈’에서의 참여 관찰을 통해 분노의 맥락을 분석했다. 아이돌 팬덤이 아이돌 혹은 아이돌 산업과 맺는 관계에 따라 분노의 맥락은 다양하게 드러났다. 아이돌 팬덤은 생산성 선망을 바탕으로 아이돌을 관리 감독하는 양육자로서, 아이돌 산업의 비공식적인 집행자로서, 영업자이자 전략가로서, 소비자로서 부당한 사건에 대해 분노했다. 이러한 위치들을 오가는 유동적인 정체성은 팬덤의 균열로 이어졌다. 팬덤은 각자 다른 정체성과 감수성을 바탕으로 팬 실천을 했으며 자신의 기준에서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팬 실천에 대해 분노를 표출하며 차별화와 권능화를 시도했다. 연구에서는 다양한 맥락에서 발생하는 아이돌 팬덤의 분노의 역동적 흐름을 관찰하기 위해 분노를 무력한 분노, 전복적 분노, 도덕적 분노로 유형화했다. 팬덤은 부당함을 인지했음에도 적절한 대처 방안이나 개선의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해 무력한 분노를 하거나, 부당한 관계를 전복하며 스스로의 정당한 지위를 회복하고자 전복적 분노를 하거나, 혹은 부당한 관계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제 3자의 위치에서 도덕적 정당성이나 정의를 근거로 도덕적 분노를 했다. 이러한 팬덤의 분노는 분출의 순간에 머물지 않고 역동적인 과정으로서 지속적으로 분노의 유형들을 넘나들며 변화했다. 특히 사용자들의 감정이 담긴 게시물들이 축적되는 미디어 환경에서 분노의 게시물들은 지속적으로 사용자들에게 영향을 미쳤고, 분노는 감정 혹은 인지적 차원을 넘어 집합적 행위로 표출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녔다. 이러한 분노의 역동적인 흐름과 행위로의 전환 가능성을 살피기 위해 (여자)아이들의 수진과 스트레이키즈의 현진의 학교폭력 논란 사례를 중심으로 팬덤의 분노를 연구했다. (여자)아이들의 팬덤인 네버랜드와 스트레이키즈의 팬덤인 스테이는 아이돌 산업의 비공식적 집행자이자 소비자, 그리고 아이돌과 함께 성취를 추구하는 공동체로서 분노했다. 커뮤니티에서 활동하는 다른 아이돌의 팬들은 아이돌의 과거 학교폭력으로 인해 직접적인 피해를 입지 않았지만 도덕적 가치의 훼손에 대한 공감을 바탕으로 아이돌, 아이돌이 소속된 기획사, 아이돌을 응원하는 팬에 대해 도덕적 분노를 했다. 도덕적 정당성과 전복의 욕구를 바탕으로 한 분노가 강력한 집합적 에너지로 전환되리라는 기대와 달리, 이들의 전복적 분노와 도덕적 분노는 곧 무력한 분노로 전환됐다. 연구에서는 팬덤의 분노가 강력한 저항적 행위로 전환되지 못한 이유를 네 가지로 분석했다. 우선 오늘날의 팬덤은 파편화되어 있다. 유동적인 정체성을 지닌 팬덤은 어떠한 위치에서 아이돌과 관계를 맺는지에 따라 다른 맥락, 다른 강도의 분노를 했다. 즉 팬덤의 분노는 개별화되어 있었으며, 개별화된 분노는 공통의 분노로 재구성될 필요가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재구성의 과정에 지속적으로 ‘어그로’ 혹은 다른 팬덤의 전략적인 분노 행위가 개입됐다. 익명성을 기반으로 느슨한 연대를 추구하는 오늘날의 팬 커뮤니티에서, 팬덤은 논란을 빌미로 아이돌을 끌어내리려는 다른 팬덤의 전략적 분노를 구분할 수 없었다. 이러한 아이돌 생태계를 간파한 팬덤은 온라인 커뮤니티가 안전한 분노 수집의 창구가 아니라고 느꼈고, 논란의 언급을 금지하는 규칙을 만드는 등 스스로의 분노를 검열함으로써 방어했다. 분노의 관리 속에서 개별화된 분노의 차원을 넘어서지 못한 분노는 팬덤 내부에서도 전적인 동의를 얻지 못한 ‘입장 표명’ 정도에 그치는 행위로 이어졌다. 패배가 누적되며 팬덤의 전복적 분노는 실패를 내면화한 무력한 분노로 전환됐다. 그럼에도 분노는 역동적인 과정이며 무력한 분노 역시 언제라도 전복적인 에너지로 전환되어 폭발할 잠재력을 지닌다는 점에서, 팬덤의 저항성은 쉽게 부정될 수 없다. 이 연구는 아이돌 팬덤의 분노라는 역동적 감정을 통해 팬덤의 역동과 저항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는 가치를 지닌다. 또한 개념에 대한 학술적 합의나 경험 연구가 부족했던‘분노’라는 우리 사회의 지배적인 감정에 대한 경험 연구를 시도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 한국 아이돌 팬덤문화 연구 : 팬덤의 일상적 문화실천을 중심으로

        양인화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3

        This dissertation aims to look at fandom cultures for Korean idols from both an insider and an outsider’s lenses with the purpose of analyzing specific forms of daily cultural practices in the fandom. Fandom for Korean idols has diversified with the changes of pop industry and society since idol musicians emerged in South Korea in the middle of the 1990s till present. For understing of these trends, I navigate key concepts necessary to understand fandom culture in the dissertation,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that includes multiple sessions of in-depth interviews, focal group interviews, online communications with idol fans and the industry personnel, which I have conducted not only to grasp their experiences and thoughts but also to refer to them for the dissertation writing, as well as my own participant observation of fandom. The key concepts discussed and explored in this dissertation are as follows: ‘fantasy’; ‘cultural practice’; and ‘cultural community.’ Fandom can create ‘fantasies’ that individual fans and fan groups are indulging in. However, these fantasies can be modified. If the fans are not allowed to modify their fantasies or they find a huge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and modified fantasies, fandom cannot operate constantly. Fans’ ‘cultural practices’ reflect their everyday, customary performances carried out in fandom, as well as fans’ preferences. To shape the preference, fandom of Korean idols not only expends capitals but is also significantly influenced by mass and social media. Fandom as a ‘cultural community,’ which is far beyond the existing and general concept of a community, enables fans to construct an online society where the fans can make either casual or close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even if they, as strangers, have never met. This cultural community in fandom can be occasionally shaped across online and offline worlds. Fans are not always experiencing the cultural community within their fandom in a positive way but the participants in my dissertation research confirm that their experience of the community has gone positively. It is more meaningful for many fans to experience the cultural community rather than to merely commit only to idol stars as fandom. Even more importantly, the experience of the cultural community within fandom makes an indelible impression on the fans in various ways. For research on this dissertation, I firstly review the established studies that surveys K-pop and its fandom. Also, I anonymize K-pop idols except particular cases in order to claim that fandom cannot be specific to each idol but can be commonly experienced. Secondly, I trace a history of fandom for idols and delineate it. I then analyze the change of fandom resulting from the COVID-19 pandemic from the industry and fandom’s perspectives. More specifically, I examine whether fans can achieve intimacy with their favorite idols through the paid membership for an online messenger service for the K-pop idols and fandom, which has been launched since the pandemic. For this examination, I rely on the fans’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the service. The examination is also to comprehend whether the service can be specific to K-pop idols. Additionally, I not only look at characteristic movements of the online and offline cultural practices in fandom but also describe how fandom gets systematized and organized. For this description, I delve into how fans can b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different roles as producers, transmitters, and consumers, as well as how these fans can interact with and influence one another. I then suggest that the small number of fan producers and transmitters can occupy more prominent positions than other fans within fandom. Finally, I, analyzing and illust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fandom for Korean idols as a community, demonstrate how fans identify themselves with K-pop idol fandom, and how fans with different fantasies are conflicting with each other. This dissertation presents the multiple relationships between the idol industry, idol fandom and diverse phenomena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further it prospects fandom’s crisis and future. The dissertation eventually provides in-depth understanding of K-pop and its fandom. It also argues that issues of and around K-pop are associated with social issues in South Korea. Although fandom itself seems passive, fans as individual members of the civil society contemplate and discuss how they make an appropriate choice on the conflict between their fondness and ethic for idols. According to their choice, the fans might disagree with each other but should be led to the progressive direction. Thus, fandom should not only function as the cultural community rooted in fans’ fondness for idols but also be separate from ‘fantasies’ that weave idols, leading to fans’ own cultural practice and experience of their own community. The process of research on this fandom culture for Korean idols will be part of a 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e. 이 논문은 한국 아이돌의 팬덤문화를 팬덤 내외부의 시각에서 살펴보고 일상적 문화실천의 구체적인 형태를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 아이돌 팬덤은 ‘아이돌’이 등장한 1990년대 중후반부터 2022년까지 변화해왔는데, 아이돌 산업의 변화에 따라 팬덤도 변화했고, 또 사회현상도 변화했다. 이를 위해 질적연구방법인 심층면접, 초점그룹인터뷰를 통해 팬과 아이돌 산업관계자와의 직‧간접적인 인터뷰를 수행하며 그들의 경험과 의견을 논문에 반영하였다. 그리고 연구자의 실천을 바탕으로 팬덤문화를 직접 참여관찰하였고 자문화민족지 서술을 시도하였다. 팬덤문화를 분석하기 위해 논의한 개념은 ‘환상’, ‘문화실천’, ‘문화공동체’이다. 팬덤은 아이돌에 대해 팬 개인 및 팬 집단이 함께 조성한 ‘환상’을 가지고 있지만, 이는 수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환상’의 수정을 수용할 수 없거나 기존 환상과 큰 차이가 있다면 팬의 역할수행을 지속하기 어렵다. ‘문화실천’은 일상의 습관적인 수행과정이며 취향을 반영하는데, 이 취향의 생성에는 자본도 수반되지만, 한국 아이돌 팬덤은 미디어나 소셜 네트워크로부터 큰 영향을 받는다. 팬덤의 ‘문화공동체성’은 기존 공동체 성격을 넘어 일면식도 없는 타인과 온라인을 통해 느슨하거나 긴밀한 관계에 놓이는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때로는 현실까지 연결된다. 팬덤 내 문화공동체 경험이 반드시 긍정적인 것은 아니지만 논문 연구에 참여한 팬들은 대부분 좋은 경험임을 표명하였다. 이 문화공동체 경험이 아이돌 자체에만 몰입하는 것보다 의미있다고 평가하는 팬도 상당한데, 팬에게 어떤 형태로든 각인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본 논문은 먼저 기존 케이팝과 팬덤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아이돌도 익명 처리하여 팬덤의 특징이 어느 한 아이돌 팬덤에만 속한 것이 아니라 공통적인 경험이라는 점을 규명하였다. 다음으로 기존 아이돌과 팬덤의 활동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팬데믹이 가져온 변화를 산업과 팬덤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특히 팬데믹 이후 등장한 각종 유료서비스에 대한 팬의 인식을 통해 아이돌과의 친밀감의 획득 여부를 확인하고, 아이돌에게 특수함이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구체적인 문화실천 양상을 살펴보고, 팬덤이 아이돌의 성과를 위해서 어떤 체계를 가지고 조직을 운용하는지를 기술하였다. 팬을 역할별로 분류하여 생산자와 전파자, 소비자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와 상호작용과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생산자와 전파자는 그 수가 적으며 팬덤 내에서 우월한 지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한국 아이돌 팬덤의 공동체적 성격을 분석하여 아이돌의 팬이 된다는 의미와 이것이 정체성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또 아이돌 팬덤의 공동체 성격을 서술하고, 각기 다른 환상을 가진 팬이 어떤 갈등을 유발하는지 유형별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 사회의 여러 현상과 아이돌 산업, 아이돌 팬덤의 관계를 분석하고 위기와 미래를 조망해보았다. 이 논문은 케이팝과 팬덤에 대한 심층 이해를 제공하고 케이팝의 문제는 결국 한국사회의 문제임을 밝히려 하였다. 팬덤은 수동적이지만, 시민사회의 일원으로 아이돌에 대한 애정과 윤리의 충돌 사이에서 올바른 선택을 고민하고 토론한다. 이로 인해 팬덤 내 갈등을 빚기도 하지만 발전적인 방향이 제시되어야 한다. 팬덤은 아이돌에 대한 애정을 기반으로 한 문화공동체인 동시에 ‘환상’인 아이돌과 별개로 자신의 문화실천과 자기 공동체의 활동 경험에서 가치를 부여하고 실천하는 것이다. 이러한 한국 아이돌 팬덤문화의 탐구 과정은 한국 문화발전에 대한 방향 모색의 한 과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