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지원 대상 가정의 경험과 인식에 대한 연구

        신여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94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int and direction of project through the experience and the perception of the family, a support target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For this, four families were selected as a support target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at C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Seou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tilized to examine their experience and perception.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would answer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First, what kind of experience do families, a target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have and how do they perceive that project? Second, What do families, a target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experience in sectional program and how do they perceive it? According to this study, the summary of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s about the opinion about the decision making. Decis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had been made by preference of student, recommendation of a homeroom teacher and local community expert. A problem while making a decision was that a newsletter was not sent well and details about the newsletter cannot be known by the newsletter by itself. Even some students gave up participating because of conflict within schedule for after-school activities. To prevent further conflict, it had been suggest that program should run at fixed time. In case this program had been running just for the student, a target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a problem of a labeling effect might occur. And a necessity of connect with an external organization was mentioned. Second was about the area of study. In case of a program for improvement of scholastic ability, need of self directed learning was higher than the one of class by subject. Satisfaction of confidence camp was very high. Advantages of this camp was to obtain affective effects by the interaction among students longer period and spend time wisely during the vacation. Career planning program was expected to focus on experience based. There was a voice that hoped motivation which is a background of career,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patience to come true. Third was opinion about the area of culture and experience. In case of cultural experience program, it was pointed out that interest of student declined due to the redundancy of similar program. In case of special ability attitude improvement program, importance of develop the talent of each student in every family had been emphasize. But even though special skill was found, opportunities to learn had not been offered continuously. Therefore, it had been suggested that connection with middle and high schools formed and the opportunity to take deepening classes should be offered Fourth was abou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reas. In case of changes in family environment, emotional support was expected with counselling. Also, counselling group and counselling mediacy an individual felt comfort were different. The need of daily space for counselling where students have their problems out. There was a negative preception about this. A labeling effect of students had been worried. Also, parents might feel guilty if problems of students were revealed. Short term counselling was criticized due to its short period. In case of education of humanism, involvement with programs with other areas was expected. Fifth was the opinion about the welfare. It was difficult to make changes on date and time in case of family experience program. In case of a single parent family, because of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member, it had been felt burdensome. There was a opinion that an experience focused program should run every week and preferred to travel centered family trip. For this, there have been opinions. Running program on Sunday and combining with emotional treatment were suggested. Another opinion about welfare, an opportunity to mingle within family was suggested. There had been cases where necessary areas were chosen and concentrated support was expected. Last,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ith students was mentioned. Sixth was about the area of management support. In case of parents and teachers workshops, it was said that individual family has difficulties to make changes in dates and time. Topics of previous workshops were too abstract, which was complained. Even parents and teachers participating workshops hoped to build a good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Opinion related to operation management was demand of integrated facilitie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of all, through individualized support in a long term,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should be supplemented to improve special ability of each student. Next, in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overall, scar and distinct characteristics of family, a target of support should be considered with delicacy. Last, problems of management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should be improved. Based on this study, future study should focus on the followings. First, in-depth study on the demand of target family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should be needed. Next, study of plan on effective networking strategies between unit school and local organization should be done. Last, study to clarity essential contents such as the meaning and purpose of educational welfare to make it standardized should be needed.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지원 대상 가정의 경험과 인식을 통해 사업의 개선점과 방향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C초등학교의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지원 대상 가정을 네 가정 선정하고, 질적 사례 연구의 방법으로 그들의 경험과 인식을 살펴본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다음의 연구 문제에 답한다. 첫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지원 대상 가정은 참여 결정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이를 어떻게 인식하는가? 둘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지원 대상 가정은 영역별 프로그램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이를 어떻게 인식하는가?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 결정에 관한 의견이다.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결정은 학생의 선호, 담임교사 및 지역사회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이루어졌다. 참여 결정을 내릴 때의 문제점으로는 가정통신문이 잘 전달되지 않는다는 점과 가정통신문만으로는 구체적인 내용을 알 수 없다는 점이 언급되었다. 방과 후 수업 등 일정이 겹쳐 참여를 포기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프로그램이 고정적인 시간에 운영되기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있었다. 지원 대상 학생을 대상으로만 프로그램이 운영될 경우 낙인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점도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외부 기관과 연계의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둘째, 학습 영역에 관한 의견이다. 학력증진 프로그램의 경우 과목별 수업 보다는 자기 주도 학습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자신감 캠프는 만족도가 매우 컸으며 학생 간 상호작용을 통해 정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 방학 기간을 효율적으로 보낼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언급되었다. 진로 탐색 프로그램의 경우 체험 위주의 진로교육이 되기를 원하였다. 진로의 바탕이 되는 동기, 성취감, 끈기 등 기본적 정서 요인의 함양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목소리도 있었다. 셋째, 문화·체험 영역에 관한 의견이다. 문화체험 프로그램의 경우 유사한 유형의 중복으로 학생들의 흥미가 저하된다는 지적이 있었다. 특기적성 계발 프로그램의 경우 모든 가정에서 학생의 특기를 길러주는 일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특기를 찾았더라도 배움의 기회가 지속적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었다. 따라서 중·고등학교와의 연계가 이루어지고, 심화 수업의 기회가 주어져야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넷째, 심리·정서 영역에 관한 의견이다. 가정환경에 변화가 있을 경우 상담을 통해 학생의 정서적인 부분이 지원받기를 원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또한 개인에 따라 편안함을 느끼는 상담 집단의 유형과 상담 매개가 달랐다. 학생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털어놓을 수 있는 일상적 상담 공간의 필요성도 언급되었다. 상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도 있었는데, 학생의 낙인효과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었다. 또한 상담을 통해 학생의 문제가 드러나는 경우 학부모가 죄책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었다. 기존의 단기적인 상담 기간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인성 교육의 경우 프로그램의 다른 영역들과 연계하여 진행되기를 바라는 의견이 있었다. 다섯째, 복지 영역에 관한 의견이다. 가족체험 프로그램의 경우 날짜 및 시간 조정의 어려움이 지적되었다. 한부모 가정의 경우 구성원의 차이가 확연하여 부담감을 느끼는 경우가 있었다. 기존 가족 여행 중심의 내용이 만들기 등 체험 위주로 매주 진행되기를 바라는 의견도 있었다. 이때 토요일 시간대를 활용하자는 의견과 정서 치료가 병행되기를 바라는 의견도 있었다. 복지 영역과 관련된 다른 의견으로는 가족 간 어울림의 기회 요구가 있었다. 필요한 영역을 선택하여 집중적인 지원을 받기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과 소통의 중요성이 언급되었다. 여섯째, 운영 지원 영역에 관한 의견이다. 학부모·교사 연수의 경우 각 가정에서는 날짜 및 시간 조정이 어렵다는 의견에 한 목소리를 내었다. 기존 연수의 주제가 추상적이라는 불만의 목소리도 있었다. 학부모와 교사가 연수에 함께 참여하여 유대 관계를 쌓기를 바라는 경우도 있었다. 운영 지원과 관계된 다른 의견으로는 통합 시설에 관한 요구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먼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장기적이고 개별화 된 지원을 통해 각 학생들의 특기를 살릴 수 있는 방향으로 보완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전반에서 지원 대상 가정의 상처와 특수성을 고려한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상의 기타 문제점이 개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 기초해볼 때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먼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지원 대상의 요구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단위 학교와 지역 기관의 효율적인 네트워킹 방안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육복지의 의미와 목적 등 본질적인 내용을 합의된 개념으로 정립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개선방안

        손효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925

        본 연구는 교육복지의 개념과 필요성을 알아보고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효과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사업의 개선방안을 찾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교육복지의 개념과 필요성은 무엇인가? 둘째,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실시 배경과 운영방향은 어떠한가? 셋째,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에 대한 학교 현장의 반응과 문제점은 무엇인가? 넷째,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문제 해결을 위하여 문헌 연구와 면담 조사를 함께 실시하였다. 문헌 연구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연구 자료와 각종 학술대회자료, 교육인적자원부와 대구광역시 교육청의 보도 자료와 보고서를 검토하였다. 또한 사업을 실시하는 학교 현장의 반응을 파악하기 위해 담임교사와 업무 담당자, 지역사회 교육전문가를 면담하여 다음과 같이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육복지는 교육 불평등 현상을 해소하여 개개인의 교육적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지원이며 교육을 통해 교육격차와 사회 양극화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다. 둘째,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은 지역의 경제적 차이로 인한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실시되었으며 도시 저소득층 지역의 학생을 다차원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셋째,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에 대한 학교 현장의 반응에서 사업의 효과와 함께 인프라 구축 및 홍보 부족 등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넷째,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은 장기적 운영을 위한 행·재정 지원 시스템 구축과 참여자들의 인식 개선을 통해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정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경제 성장 위주의 정책은 경제적으로 큰 성장을 이루었으나 빈부격차와 함께 교육격차를 초래하였다. 부모의 경제적 빈곤이 자녀의 교육 및 학습에 영향을 끼치면서 교육 불평등 현상이 심화되었고 이는 장기적인 국가 발전과 사회 통합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은 교육격차를 줄이고 저소득층 학생들의 교육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다. 그러므로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부모뿐만 아니라 사회의 관심과 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educational welfare,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iority project and problems with it, and to seek reform measures for the project.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are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educational welfare? 2. What is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the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iority project and the directions for that? 3. What are the response from school communities toward that project and problems with it? 4. What measures should be taken to improve that project?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were implemented. Research data releas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ll sorts of conference data and report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the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were analyzed. And the homeroom teachers and people concerned in schools to which the project was applied were interviewed to find out how they responded to that project, and local education experts were interviewed as well.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welfare is a supporting activity to redress educational imbalance to satisfy the educational needs of individuals. And that is an effort to eliminate educational divide and polarized social problems through education. Second, the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iority project was carried out to remove educational divide that stemmed from regional economic gap. That specifically backed up urban students in the lower income brackets in diverse ways. Third, the school members and experts who were interviewed found that project not to be effective enough. And there was neither full-scale infrastructure for educational welfare nor sufficient PR efforts about that. Fourth, the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iority project was in want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groundwork that could contribute to ensuring the long-term continuity of the project. And people concerned should change their mind-set, and how to bolster the efficiency of the project should be considered. A series of national policies that stressed economic growth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growth of the nation, but that has been concurrent with economic divide and educational divide at the same time. The poverty of parents had an impact on their children's education, which resulted in aggravating educational imbalance, and that might be a great hurdle to national development and social integration. The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iority project was executed in a move to bridge educational divide and redress educational imbalance that adversely affected students from the low-income classes. In order to raise the efficiency of the project, not only teachers and parents but overall society should make concerted efforts to back it up.

      • 교육복지정책 평가 연구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이기용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9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analyze the difference among groups of school employees by dividing supportive project for the priority region of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into categories of the policy's establishment, process and output. The supported project is part of the Education Welfare Policies which took effect from 2003 to 2007. To attain such a goal, research areas are set as follows: First, in the category of the policy's establishment, the study evaluates the appropriateness of the policy's goals to the national and social demand. It also evaluates whether the collection and reflection of opinions were democratic. Second, in the category of the process, it evaluates consistency in operation. It questions whether the operation was democratic and managed appropriately for the policy's situational change. Third, in the category of output, it evaluates the achievement of the policy's goals and the possibility of their continuation. In fact, it identifies reasons for the difference in school employees' evaluation by conducting depth interviews. Finally, it aims to provide further implications for future operations by analyzing and discussing problems arose after the evaluation. In order to explore above research areas, the study is integrated, in order, from the evaluation's policy establishment, process to the output. In such a fashion, it analyzes the result of the survey, the quantitative method, and divides the questionaries into the one with employees' different evaluations and the one with similarity. Additionally, interviews, which is the qualitative method, is used by exper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in terms of establishing supportive project for the priority region of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the government or Ministry of Education in 2002 accurately diagnosed national and social problems of the period and reflected them on its policy-making. Thus, the study concludes that having the project's goal as constructing school-centered regional community by providing priority students with multidimensional support in education, culture, and welfare is appropriate. However, in terms of adjusting the balance among priority regions of the project's program, it is necessary to suggest a more practical operational model through thorough research. It can be positively viewed that collection and reflection of opinions were democratic processes. However, because the policy was established in such a short period of time, it lacked considerations when reflecting various opinions from educational welfare experts or other relevant members in project-operated schools or regional Offices of Education.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realization in relation to the political, financial, social, and technological contexts, is high, due to special grants necessitated by social, financial, or political demands. The experts' or school employees' evaluation on the adequacy of human resources was positive but relatively low in comparison to other categories. Their evaluation implies the inadequacy of efficient operation of the project in project-operated schools or city, provincial, or other regional Offices of Education. Overall, employees from project-operated schools expressed their satisfaction for financial support. However, the financial support may be lacking in terms of providing high quality programs to priority students. They also evaluated that human resources were adequately provided by incorporating outside human resources. However, they pointed out their limited authorities and roles when stationed in schools or offices. Project-operated school employees agreed upon appropriateness of rules or policies in relation to such limit and suggested the necessity for pre-legalization in this project to provide them with stability for their status. They evaluated that low realization of horizontal equality was expec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project, much of the policies' direction lied on selection and focus. Thus, many experts and employees concluded that vertical equality is realized effectively. Therefore, they suggested the solutions for pursuing horizontal equality must be searched. Second, in terms of processing supportive project for the priority region of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it is noteworthy that staff from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city, provincial and other regional Offices of Education, and project-operated schools have put great efforts to maintain the consistency in establishing and in operating the project. Because all school staff members were participants for the project, the study evaluates that collection of opinions and reflections were achieved democratically. However, it overlooked the importance of widening the channels for communications with project-operated schools or Offices of Education. Management of the policy's situational change was smoothly carried out as previously planned. The project first had 2 years of project experiment period from 2003-2004, followed by expanding its area from cities to local districts in 3 years from 2005-2007. However, experts noted that the project's stability declines due to frequent change of members in Ministry of Education or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rd, in terms of the output in supportive project for the priority region of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school employees highly agreed upon the effectiveness of the supportive project. On the other hand, some experts claimed that fundamental goals have been established, but the ultimate goal of constructing school-centered regional community was not yet attained. Moreover, they highly supported the continuous monitoring system for project amendment, which is the area for appropriateness in evaluation system. On the contrary, they criticized city or provincial Offices' lack of efforts in constructing such systems for regional Offices of Education. They generally agreed upon evaluations on the regular basis for identifying the supportive project's effectiveness. However, they pointed out the need for further discussion on the evaluation's method or period for feedback on the result. As seen above, the integrated evaluation of supportive project for the priority region of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as part of Education Welfare Policies was achieved by school employees and other educational experts. While their recognition differed in various evaluation areas, they expressed positive agreement in many aspects and provided suggestions or implica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When the efforts for reflecting the evaluation results can be built at the level of the nation, not only by school employees but also members from community-level institutions, the ultimate goal of constructing school- centered regional community can be attainable.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네트워크 활동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활동을 중심으로

        정영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909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밀집지역에서 생활하고 있는 아동에게 교육·복지·문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지역사회 내 조직 간의 네트워크 활동의 실태를 파악하고,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네트워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복합적 욕구를 지닌 저속득층 가정의 아동과 부모를 통합적이고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내 지역사회 네트워크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보다 적절하고 질 높은 교육·복지·문화 서비스 제공을 통해 그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는 갖는다. 연구문제 1.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시행 학교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활동의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에서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네트워크 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있는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시행 학교에 근무하는 지역사회교육전문가들을 조사 하였다. 전국의 지역사회교육전문가 전수를 대상으로 161부의 설문지를 배표하였으며 그 가운데 105부가 회수되어 65%의 회수율을 보였다.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네트워크 활동인 종속 변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기관과, 각 네트워크의 유형을 제시하여 체크하도록 연구자가 직접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독립변수로 지역사회요인은 Hahn(1994)이 사용한 지역사회자원의 양적·질적 적합성 2문항과 자원다양성 1문항 등 총 3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측정하였다. 학교요인은 조직이 업무의 자율성을 보장해 주는지에 대해 이현주(1998)가 사용한 조직특성척도를 사용하엿으며, Biegel, Tracy and Song(1995)의 조직체계 장애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지역사회요인은 강순영(2000)의 연구에서 사용된 직무 정체성, Biegel, Tracy and Song(1995)의 연구에서 사용한 사회복지사가 인식한 지식에 대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의 사업시행 기간을 통제변수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가설을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교화 기관의 다양성에는 통제변수로 사용된 사업시행기관, 지역사회요인의 자원적합성, 학교요인의 업무자율성, 교사의 인식이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자원교환 활동의 활발성에는 통제변수로 사용된 사업시행기간, 지역사회 요인의 자원적합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업네트워크 기관 다양성에는 통제변수로 사용된 사업시행기간, 지역사회요인 중 자원적합성, 교사의인식,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전문적 능력이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사업네트워크 활동의 활발성에는 통제변수로 사용된 사업시행기간만이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셋째, 정보교환 기관 다양성에는 통제변수인 사업시행기간, 지역사회 요인인자원적합성, 학교요인인 교사인식, 지역사회교육전문가 요인인 전문적 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보교환 활동의 활발성에는 지역사회 요인인 자원적합성, 학교요인인 업무자율성, 교사인식, 지역사회교육전문가 요인의 전문적 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클라이언트 의뢰 기관 다양성에는 통제변수로 사용된 사업시행기간과 지역사회 요인이 자원적합성이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의뢰 지속성에는 통제변수로 사용된 사업시행기간, 지역사회 요인의 자원적합성, 지역사회교육전문가 요인의 전문적 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갖는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론적 함의로 본 연구가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네트워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해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실천적 함의로는 첫째,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시행 학교의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네트워크 활동에 대한 선행연구가 거의 없는 현실에서 본 연구는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지역사회교육전문가들의 네트워크 활동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둘째, 기존의 사회복지전달체계에 대한 논으는 주로 상부구조인 행정체계를 중심으로 수직적인 체계에 국한되어 논의되고 있다. 반면, 본 연구는 다양한 조직들 간의 관계를 고려하는 수평적인 체계의 구축에 대한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셋째, 지역사회의 다양한 기관들과 네트워크 활동이 활성화되어야 함을 밟혀준다. 넷째, 네트워크 관계 내용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것을 고려할 수 있다. 1. 지역사회 차원의 거시적 네트워크의 활성화 2. 지속적인 클라이언트 관리 다섯째, 본 연구의 분석전과 네트워크 활동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고려할 수 있다. 1. 지역사회 자원적합성 요구 2.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에 대한 교사 인식 교양 3.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전문적 능력 제고 및 교육·훈련 강화 마지막으로 정책적 함의는 첫째, 교육복지관련 관계 부처 간의 협력이 요구됨을 밝혀준다. 둘째,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평가체제가 수정·보완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mmunity network of the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 and the school social work organizations delivering servies to the childrern living in low-income familes, and explore influencing factors on networking by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 Accordingly, b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mmunity networking of durability, suggest the direction of implication for the future practice are discussed. Ultimately this study wishes contribute to high qulity service and improve their qulity of life.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 (1) How is actual condition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2) What is the influencing factors on networking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105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 Collected data analyzed by using SPSS 12.0 for descriptive,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The sum up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erms of the research hypothesis. Firs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accounting for agency diversity of resource exchange are locus of control; a period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resource suitability, self-control of work, teacher´s cognitio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accounting for acivity of resource exchange are locus of control; a period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resource suitability. Seco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accounting for agency diversity of business network are locus of control; a period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resource suitability, teacher´s cognition,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professional abilit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accounting for activity of business network are locus of control; a period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Thir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accounting for agency diversity of information exchange are locus of control; a period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resource suitability, teacher´s cognition,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professional abilit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accounting for acivity of information exchange are resource suitability, self-control of work, teacher´s cognition,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professional ability. Finall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accounting for agency diversity of client referrals are locus of control; a period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resource suitabilit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accounting for durability of client referrals are locus of control; a period of education welare priority zone, resource suitability,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professional abilit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not only to the study on netwoking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but also the theory building of the study of networking in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a study on networking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reveals the importance of the following : First, We don´t see research of networking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in korea. So this study provide to preliminary date Second, administration system of superstructure. The other side, this study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to horizontal system. Third, It´s necessary to reinvigorate networking with diversity community organization. Fort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reinvigorate of macroscopic networking; a level of community 2. constant management about client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needs of the community resource suitability 2. Enhance teacher´s cognition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3. Raise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professional ability and consolidate education and training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a study on networking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reveals the importance of the following : First, It´s necessary to cooperate between the relevant authorities of education-welfare. Second, It´s necessary to complement to evalucation system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 敎育福祉優先支援事業에 있어 學校와 地域社會機關 實務者간 네트워크 活動 活性化 方案 硏究

        신단비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907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는 계층 간 소득격차가 더욱 심화되고 이에 따른 빈곤율의 증가는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의 안정적인 가정생활을 위협하여 학교에서의 풍부한 학습활동과 사회적 관계형성 마저 위태롭게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통합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학교와 지역사회 중심의 교육공동체 구축 달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등장하였다. 이 사업은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기본적인 교육수준의 보장, 교육부적응 불평등 해소, 복지친화적 환경조성 등을 상위목표로 하고 있으며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과 궁극적 목적 달성을 위하여 학교와 지역사회기관의 네트워크 활성화를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기관 실무자의 인식을 통해 학교와 지역사회기관의 네트워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지역교육공동체 구축이라는 궁극적 목적 달성과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 연계로 성공적인 사업 운영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경남의 5개 지역, 지역네트워크협의체 구성 기관의 지역사회 관련사업 운영 실무자들을 중심으로 선정하였으며, 설문에 유효하게 응답한 42개 기관, 100명을 대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수인 네트워크 활동을 인적?물적 자원교환, 사업네트워크, 정보교환의 세 가지 세부 항목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네트워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사업 시행연차, 지역사회 자원 환경 인식정도, 교육복지사업 실무자의 전문성 인식정도, 지역사회 기관의 조직체계 장애요인, 업무자율성, 네트워크 필요성 인식정도, 네트워크의 도움정도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분석기법으로는 빈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적?물적 자원교환에는 네트워크의 도움정도와 지역사회 자원 환경 인식정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업네트워크에는 네트워크의 도움정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교환에도 네트워크의 도움정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체적인 네트워크 활동에는 네트워크의 도움정도와 교육복지사업 실무자의 전문성 인식정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사회기관의 사업 운영에 도움이 될수록, 교육복지사업 실무자에 대한 전문성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네트워크 활동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에 있어 학교와 지역사회 간 네트워크 활동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실무자들의 전문성 강화를 위하여 현재의 비정규직 고용형태를 안정적으로 전환하고 지속적인 전문 교육과 유료 연수 등의 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사회기관 실무자들의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하여 지역사회기관 및 기관실무자를 포함한 학교 단위의 협의회 구성 및 활성화가 의무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사회기관 실무자들과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실무자 모두 자신들이 속해있는 지역사회 환경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전문적 능력을 갖추고, 네트워크 활동에 적합한 자원을 선택할 수 있는 시각을 길러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 단위의 공동 교육도 구체적으로 계획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교와 지역사회기관 간 공동사업 추진도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적정한 업무 분담과 비용 부담을 통해 서비스 대상자 중복, 프로그램 중복 등의 문제를 예방하고 시간과 예산 또한 절감하여 효율적인 사업 운영을 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결과가 갖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기존 선행연구들은 교육복지사업 실무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 연구 결과에 한계가 있으나, 본 연구는 지역사회기관 실무자들의 사업에 대한 인식을 최초로 조사하여 네트워크 활동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현재 사업 기간이 종료되는 학교가 지역별로 나타나고 있는 시점에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과 지역사회 네트워크 활동의 중요성을 제고하여 본 사업의 취지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깊다고 할 수 있겠다. Since the foreign exchange crisis, the income gaps between various classes are more deepen, so increased poverty rate threatens the stable family life for the children and teenagers in vulnerable social groups, and even endangers their rich learning activities and establishment of social relationships. The education welfare project emerged on the purpose of establishing education community around schools and community in order to integrally solve these problems. This project sets the assurance of basic-level education, the elimination of educational maladjustment and inequity, the creation of welfare-friendly environment as its super ordinate goals. For the provision of effective services and the accomplishment of ultimate goals, this project emphasizes the facilitation of network between schools and community welfare agency. This study is purposed to contribute in the project's successful operation through the accomplishment of ultimate goals and the linkage with various tailored services by suggesting the ways to facilitate the network by analyzing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network activity of schools and community institutes. The targets for this study were selected around the staff responsible for operating community-related projects in the welfare agency, which are the members of local network council in 5 regions of Gyeongsangnam-do. The investigator conducted the survey and analyzed the results from the effective questionnaires from 100 respondents in 42 welfare agency Meanwhile, this study classified the network activity as the dependent variable into three sub items of the human & material resource exchange, the project network, and the information exchange. In addition,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t as the project period(years), the community's recognition level on the resource and the environment, the education welfare project staff's recognition level on professionalism, the hindering factors of community welfare agency's organization system, the work autonomy and the recognition level of need for network, and the network's help.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and the used analysis methods were the frequency analysis, the t-test,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z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network's help and the staff's recognition level on the resource & environment influenced on the human & material resource exchange. It was found that the network's help level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project network as well as on the information exchange. Meanwhile, the network's help level and education project staff's recognition level on the professionalism influenced on the whole network's activities. As the network gives more help to the community institute's project operation and the education welfare project staff's recognition on professionalism was higher, the network activities were carried out bett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ways for facilitating the network activity between schools and community in operating the education welfare project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 it will need to transit the employment statute from current temporary positions to regular positions and to give active supports for continual professional education and paid training in order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welfare project staff's professionalism. Second, it will have to set each school's council including the representatives from community welfare agency and their staff and to support its activities for enhancing the community welfare agency staff's recognition on the educational welfare project. Third, the all staff from welfare agency and the Education Welfare Project should occupy professional capabilities to accurately analyze their community environments, and raise the viewpoint to select suitable resources for the network activities. For this goal, it needs to be planned the each community's co-education specifically. Fourth, it should be actively considered to proceed any joint project between a school and a community welfare agency. By suitably dividing the works and costs required for such a project, the problem of overlapped service recipients and programs can be prevented and the reduction of required time and cost enables to operate the project efficiently. The ind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revious studies about the education welfare projects focused on the educational welfare project staff's recognition and their results had some limits, bu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the ways to facilitate the network activities by researching the community welfare agency staff's recognition on the education welfare project. Besides, at the point that there appears some schools ending current project period in each region, this study is very meaningful in that it emphasizes the project's intention b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education welfare project and community network activities.

      •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초등동물복지 교육 교수·학습 방안

        김가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907

        이 연구는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 구현 전략을 개발하고 실행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초등학교 현장에서 동물복지 교육을 체계적으로 구현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반영한 1∼6학년(군) 통합교과·실과·도덕·사회·과학 교과서의 동물복지 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동물복지 교육 관련 내용영역과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초등동물복지 교육을 위한 사례기반용 교수·학습 전략을 제안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전략은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동물복지 교육 내용 영역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교과 간 통합으로 수업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실행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한 통합교과·실과·도덕·사회·과학 교과서의 동물복지 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한 결과, 각 교과의 특성에 맞는 동물복지 교육 내용이 반영되어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동물복지 교육 내용 영역에 따라 적절한 동물복지 문제 사례를 선정하고 사례기반학습용 교수·학습 전략을 수립하였다. 둘째,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초등동물복지 교육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방안으로는 동물복지 관련 사례와 연관이 있는 여러 교과를 동물복지 내용 영역을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지도하는 방안이 있다. 여러 교과를 재구성하면 통합적 관점에서 동물복지 문제를 다룰 수 있어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학습이 가능할 것이다. 셋째,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초등동물복지 교육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방안으로 학생 주도의 적극적인 학습이 이루어져 동물복지에 관한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동기유발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일회성 교육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동물 문제에 꾸준한 관심을 가지며, 생활 속에서 동물복지를 실천하고자 하는 동물복지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 얻은 시사점을 종합해 보면,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초등동물복지 교육은 체계적으로 구성된 사례를 통해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을 통해 비판적 사고력, 합리적 문제해결력 등 고등사고능력과 미래 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동물복지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해 다양한 사례를 개발하고 실제 활용하는 활발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ed to contribute to the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animal welfa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field by developing and exploring the execution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using case-based learning. To achieve this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tents related to animal welfare education in integrated subjects, practical arts, ethics, society, and science textbooks for 1st to 6th grade(group) reflecting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the content areas and implications related to animal welfare education were analyzed. Based on this, a case-base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for elementary animal welfare education was proposed.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the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in the school field, a teaching and learning implementation plan was proposed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centering on the content area of animal welfare education so that classes can be integrated between subjects.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related to animal welfare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tegrated subjects, practical subjects, morality, society, and science textbooks, the contents of animal welfare education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were reflected. Based on this, appropriate cases of animal welfare problem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animal welfare educ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case-based learning were established. Second, as a way to effectively teach elementary animal welfare education using case-based learning, there is a plan to reorganize and guide various subjects related to animal welfare-related cases, focusing on the animal welfare content area. Reconstructing several subjects will enable systematic and in-depth learning by dealing with animal welfare issues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Third, elementary animal welfare education using case-based learning is a learner-centered educational method, and active student-led learning is made possible to continuously motivate students based on their interest and interest in animal welfare. Furthermore, it will help to achieve the goal of animal welfare education that does not stop at one-time education, but has a steady interest in various animal problems and practices animal welfare in life. To sum up the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elementary animal welfare education using case-based learning achieves learner-centered active learning through systematically constructed cases, and through this process, higher thinking such as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rational problem-solving ability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develop capabilities and future capabilities.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up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various cases to achieve the goal of animal welfare education and to activate them by applying them in practice.

      • 노인복지관 선배시민교육 참여자의 지역사회 실천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유미선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905

        노인복지관 선배시민교육 참여자의 지역사회 실천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복지관 선배시민교육 참여자의 지역사회 실천 경험을 시민권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선배시민교육은 노인을, 시민권을 가진 존재로 보고 노인의 권리, 참여, 그리고 지역사회의 변화를 위한 교육을 의미 한다. 선배시민교육은 기존의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이 취미, 여가, 자기 계발 등의 개인 중심으로 구성된 것과 다르다. 시민권에 대한 인식, 공동체 참여와 변화, 후배시민과의 대화와 활동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는 새로운 패러다임 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를 통해 시민권 교육에 대한 실체적인 기초지 식을 확립하고 새로운 노년상과 노인의 정체성, 그리고 실천 방향에 대한 제 언을 통해 이 분야의 학문적 이해를 발전시키고자 한다. 노인복지관은 대표적인 사회복지서비스 제공기관으로, 노인 교육은 노인들 의 사회 적응과 생산적인 활동을 촉진하여 성공적인 삶을 살아가는 것을 목적 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 노인들은 경제적 어려움이나 건강 문제 발 생 시 가족에게 의존하거나 노인 당사자가 해결해야 한다. 이러한 결과로써, 한국의 노인들은 OECD 국가 중에서 빈곤율과 자살률이 최고 수준으로 나타 나, 노인 문제의 심각성을 드러내고 있다. 노인 문제는 최소한의 삶을 국가가 보장해 주는 시민권이 확보될 때 해결될 수 있으며, 불평등과 계급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자유권, 정치권, 사회권 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민권은 시민들이 권리를 자각하고, 토론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조직화할 때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노인들의 시민권을 강 화하기 위해서는 노인들이 자기 목소리로 공동체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민권이 보장되는 사회에서 시민은 노후에도 각자의 개성을 지니며 살아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복지 시스템은 노인의 권리에 대해 소극적 인 태도를 보이며, 노인을 복지의 수혜자로만 인식하는 상황이다. 최근 몇 년 동안, 노인복지관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선배시민교육은 노 인을 한 사회의 시민으로 최소한의 생존 문제를 국가가 보장할 수 있도록 자 기 목소리로 공동체에 참여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사회권을 자각한 노인들은 불쌍한 사람을 돕는 활동에서 불쌍한 사람이 생기지 않도록 사회와 국가에 요 구하는 역할을 한다. 이 맥락에서 연구자는 노인복지관의 시민권 교육이 참여 자들에게 어떻게 전달되고 실천되는지에 대한 질문을 하게 되었다. 따라서 연 구 문제는 ‘노인복지관 선배시민교육 참여자의 지역사회 실천 경험은 어떠한 가?’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고자 연구참여자가 선배시민교육과 실천에서 경 험한 인식, 판단, 행위를 탐색하고, 참여 과정을 파악하여 인식과 태도에 어떠 한 결과로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노인복지관 선배시민교육과 실천에 만 4년 이상 참여 경험이 있는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성별은 남성 7명, 여성 10명이며, 연령대는 60대 3명, 70대 12명, 80대 2명으로 평균 연령은 74.2세다. 교육 수준 은 전문대학 졸업 이상 4명, 고등학교 졸업 11명, 중학교 졸업 이하가 2명이 다. 지역은 서울 4명, 경기 5명, 충북 4명, 부산 2명, 울산 2명이다. 선배시민 프로그램 참여 기간은 만 4년 이상 2명, 5년 이상 3명, 6년 이상 4명, 7년 이 상 3명, 8년 이상 5명이다. 자료수집은 1:1 심층 면담으로 진행하였으며,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 방법으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개방 코딩에서는 251개 개념, 75개 하위범주, 25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 코 딩에서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를 분석한 결과, 중심 현상은 [권리 자각과 시민 의 역할 인식], [공동체 변화를 위한 실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 나거나 발전하는 인과적 조건은 [사회적 단절과 무료함], [배움에 대한 열정], [선배시민교육과의 만남]이었다. 중심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은 [만고풍상의 세월을 살아옴], [권력과 제도에 순응함], [가족 중심의 삶을 살 아옴], [약자를 배려하고 도움]이었다. 중심 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 전략 을 중재하는 조건은 [복지관의 지향 철학], [동료들과의 관계], [가족의 신뢰 와 지지], [세대 차이], [지역사회의 관심과 인정]으로 나타났다. 중심 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반성과 성찰하기], [지역사회에 관심 갖기], [실 천 조직 구축], [다름을 인정하며 소통하기], [갈등 예방하고 조정하기], [세 대 간 장벽 허물기], [자원 활용하기], [자기 주도적 실천 역량 강화하기]였 다. 이러한 전략에 따른 결과는 [노년의 삶 재구성], [현실과의 균형 추구], [자립과 제도화의 기대]로 나타났다. 과정 분석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의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단계별로 분석하였다. 첫 번째, [시도 단계]는 연구참여자들이 권리 실현에 대 한 자신들의 역할을 인식하고 지역사회 변화를 위해 실천을 시작한다. 두 번 째, [조정 단계]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교류와 소통으 로 관계를 조정하면서 연대 의식이 형성된다. 세 번째, [고도화 단계]에서 연 구참여자들은 강화된 실천력과 지역사회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기존보다 체 계적이고 거시적인 차원의 실천을 시도하게 된다. 선배시민교육 참여자의 지역사회 실천 경험에서 나타난 핵심 범주는 [지역 공동체에서 시민으로 정체성 찾아가기]였다. 핵심 범주의 속성과 차원에 따라 분석한 결과 [가치추구형], [리더형], [노블레스 오블리주형], [솔선수범형]으 로 유형화되었다. [가치추구형]은 ‘사회권의 제도화’를 추구하는 유형으로 사 회권을 잘 이해하고 권리 실천을 고민하는 유형이다. 이들은 개인의 능력이라 고 생각했던 생존 문제를 국가가 보장할 수 있도록, 시민의 선배로서 권리형 실천을 추구하고 있다. [리더형]은 ‘지역주민들의 민원을 해결하는 역할’을 추 구하는 유형이다. 대부분 임원으로 활동하며, 공적 제도와 행정기관의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이들은 공동체 변화를 위한 실천에 앞장서고 있지만 사 회권에 대한 인식보다는 지역사회의 관심과 인정에서 오는 자부심이 높다. [노블레스 오블리주형]은 ‘부담스러운 노인에서 사회에 도움을 주는 어른의 역할’을 추구하는 유형으로 어려운 이웃을 돕는 선한 활동을 통해 정체성을 찾아가고 있었다. [솔선수범형]은 ‘개인 삶에 대한 성찰과 노년의 재구성’을 추구하는 유형으로 젊은 시절 가족들을 위해 헌신적으로 살아온 여성들이 포 함되어 있다. 동료들과의 관계에서 동기부여를 받으며, 사회보다 개인이 먼저 변화하고 성장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한다.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선배시민교육 참여자의 지역사회 실천에 관한 경험적 자료를 제시하고 이론화에 기여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선배시민교육을 통해 한국 사회에는 ‘선배시민’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도입되었으며, 이들의 지역사 회 실천은 의미 있는 변화로 평가된다. 연구참여자들은 선배시민교육을 통해 권리를 깨닫고 지역사회 변화를 위해 동료들과 연대하여 공동체에 참가했다. 또한 이들은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데 익숙해졌으며, 사회문제와 정책에 관 심을 두고 지역사회에서 실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자유권과 정치권 측면 에서의 변화로 해석된다. 그러나 자본주의의 불평등과 계급 문제를 해결하려 면 사회구조에 대한 비판과 실천이 필요하지만, 노인들에게 사회권은 받아들 이기 어려운 내용이었다. 이들에게 부당한 질서를 비판하는 것은 자신들의 과 거를 부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다수 참여자는 공동체를 돌보는 역 할을 선배시민의 정체성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복지관 선배시민교육을 통해 노인들은 변화를 겪었으며, 자유권과 정치 권을 권리로 자각하며 공동체에서 실천하였다. 그러나 사회권의 경우 참여자 개인의 편차와 교육의 한계가 드러났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선 배시민교육의 체계적인 관리와 활성화 방안 마련, 교육기관 및 담당자의 선배 시민교육에 대한 이해, 노인복지관의 커뮤니티센터 역할, 선배시민 프로그램의 제도화, 시민권에 기초한 노인복지정책 수립, 노인을 시민으로 바라보는 언론 플레이, 선배시민교육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와 분석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mmunity practic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of senior citizen education at a senior welfare center from the perspective of citizenship. Senior citizen education refers to education for the rights, participation, and change in the community of the senior citizens with consideration of the elderly as citizens. Senior citizen education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individual-oriented programs at the senior citizen welfare center focusing on hobbies, leisure, and self-development. The Senior citizen education rather consists of awareness of citizenship, community participation and change, and communications and activities with younger citizens, presenting a new paradigm. Therefore, through this analysis, it is aimed to provide substantial basic knowledge about citizenship education and present a new figure and the identity of the elderly, and a direction for further practice. Senior welfare center is a representative social service delivery organization with senior education aiming to help seniors adapt to society and lead successful lives. However, in the real world, when an economic or health problem arises, the elderly must depend on their families or deal with the problems by themselves. The elderly in Korea have the highest poverty rate and suicide rate among OECD countries, showing the seriousness of the elderly problem. The elderly problem can be resolved only when citizenship guaranteeing the minimum standard of living provided by the state, is secured and, for alleviation of inequality and class issues, the rights to freedom, political rights, and social rights must be secured. Citizenship is achieved when citizens become aware of their rights, discuss them, and organize to realize them and therefore, the necessity to strengthen the citizenship of the elderly is raised, for which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with their own voices is essential. In a society where citizenship is secured, citizens would be able to live with their own individuality even in old age. However, the current welfare system of Korea is taking a passive stance toward securing the rights of the elderly, only recognizing the elderly as beneficiaries of welfare. In recent years, senior citizen education, which has been conducted centering on senior welfare centers, supports the elderly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with their own voices as citizens of society and to ensure the guarantee of minimum survival issues by the state. Elderly people who are aware of their social rights may play a role required by society and the state to prevent the poor from becoming poor in activities supporting them. In this context, research questions were raised about how citizenship education at senior welfare centers is conveyed and implemented to participants : ‘What are the community practice experiences in participants of senior welfare center citizen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perceptions, judgments, and actions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in senior citizen education and practice and the participation process were explored, with analysis of the outcomes on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A total of 17 elderly with more than four years of experience participating in senior citizen education and practice at the senior welfare center were included in the study. For gender, the subject group consisted of 7 males and 10 females and for age,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74.2 years old, consisting of 3 in their 60s, 12 in their 70s, and 2 in their 80s. For education level, 4 of the subjects graduated from college or higher, while 11 graduated from high school, and 2 graduated from middle school or lower. For the region, there were 4 subjects from Seoul, while 5 from Gyeonggi, 4 from North Chungcheong Province, 2 from Busan, and 2 from Ulsan. For the participation period in the senior citizen program, there were 2 of the subjects over 4 years, 3 over 5 years, 4 over 6 years, 3 over 7 years, and 5 over 8 year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one-on-one in-depth interviews, and the content was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 of Strauss & Corbin (1998). As a result, 251 concepts, 75 subcategories, and 25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open coding. In axial coding analyzing categories by paradigm, the central phenomena were shown as [awareness of rights and recognition of the role of citizens] and [practice for community change]. The causal conditions for the phenomenon to be induced or developed were shown to be [social disconnection and freedom], [passion for learning], and [encounter with senior citizenship education]. The contextual conditions affecting the central phenomenon were found to be [time of hardships and privations], [conformity to power and system], [family-centered life], and [care and help for the weak]. The mediating conditions for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on the central phenomenon were found to be [welfare center orientation philosophy], [relationship with coworkers], [family trust and support], [generational differences], and [community interest and recognition].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for the central phenomenon were found to be [reflection and introspection], [concern for the community], [building a practice organization], [communicating with differences], [preventing and mediating conflict], [breaking down intergenerational barriers], [utilizing resources], and [empowering self-directed practice]. The outcomes of these strategies were found to be [reconstruction of life in old age], [pursuit of balance with reality], and [expectation of independence and institutionalization]. In process analysi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of research participants were analyzed by stages over time. First, in the [Trial stage], research participants recognize their role in realizing rights and begin taking action to change the community. Second, in the [Coordination stage], a sense of solidarity is formed as research participants acknowledge each other's differences and adjust relationships through exchange and communication. Third, in the [Sophistication stage], research participants attempt to implement practices at a more systematic and macroscopic level by utilizing their strengthened practice capabilities and local community networks. The core category that emerged from the community practice experiences of senior citizenship education participants was identified as [Finding identity as a citizen in the local community]. In the analysis based on the attributes and dimensions of the core category, it was categorized into [Value-seeking type], [Leader type], [Noblesse oblige type], and [Leading-by-example type]. [Value-seeking type] with ‘pursuits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ocial rights,’ is the type that understands social rights and considers putting them into practice. They pursue rights-based practices as senior citizens who have experienced society earlier, to secure the state guarantee the survival that used to be thought of as an individual's capability. [Leader type] is the type that pursues ‘the role of resolving the complaints of local residents’, most of whom work as executives and actively utilize the resources of public systems and administrative agencies. Although they are at the forefront of action for community change, they are characterized by high self-esteem that comes from the interest and recognition of the community rather than awareness of social rights. [Noblesse Oblige Type] is a type that pursues ‘the role of a senior who helps society rather than being a burdensome elderly person’, finding its identity through good activities that help neighbors in need. [Leading-by-example type] is a type that pursues ‘reflection on personal life and reconstruction of old age’, including females who lived devotedly for their families in their youth. They tend to be motivated by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believing that changes and growth of individuals should be preceded before those of society.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s empirical data on the community practices of participants in senior citizen education of senior welfare centers, contributing to theorization. It is shown that through senior citizen education, a new concept of ‘senior citizen’ was introduced into Korean society and their community practices were shown to lead to meaningful changes. Research participants were shown to realize their rights through senior citizen education and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in solidarity with their colleagues for change in the community. They were also found to be more accustomed to expressing their opinions with more interest in social issues and policies, and participation in their communities, which are interpreted as changes in terms of freedom and political rights. However, although criticism and implementation of social structures are necessary to solve the inequality and class problems of capitalism, difficulties in accepting the concepts of social rights were shown for the elderly, since criticizing the unfair order implies denial of their past. Therefore,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were manifested to accept the role of caring for the community as their identity as senior citizens. In conclusion, it is found that the elderly experienced changes, became aware of their freedom and political rights as rights, and practiced them in the community through senior citizen education at the senior welfare center. However, in terms of social rights, differences and limitations in education were revealed depending on each individual.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the establishment of systematic management and revitalization of senior citizen education, understanding of senior citizen education by education institutions and personnel in charg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role of the senior welfare center as a community center and the senior citizen programs, establishment of senior citizen welfare policies based on citizenship, media play on the perspective of senior citizens as citizens, and objective evaluation and analysis of senior citizen education are requir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 청소년 봉사활동의 역사적 전개와 교육적 성격 연구 : 시혜적 봉사활동에서 복지교육으로의 변화를 중심으로

        윤혜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905

        본 연구의 목적은 192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한국사회의 청소년 봉사활동의 역사적 전개와 교육적 성격을 청소년관과 청소년정책 그리고 교육정책의 변화와 관련지어 밝히는데 있다. 또한 ’60년대 이후 본격화된 근대산업사회와 관련된 청소년 봉사활동과 ’90년대 이후 정보사회로의 전환에 따른 청소년 봉사활동 활성화 정책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와 한계를 규명함으로써 복지교육론으로의 개념 전환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사회에서 근대적 의미의 청소년 봉사활동은 3.1운동이후 독립운동차원의 계몽운동에서 그 형태를 찾아볼 수 있다. 한편, 일제가 주도하였던 전시체제기의 봉사활동은 ‘수련’, ‘교화’, ‘수양’의 수사적 표현을 사용하였지만 학교나 청년단 등을 통해 황국신민으로서 전시동원을 강제한 것이었다. 해방이후 미군정과이승만 정부에서의 봉사활동은 민주독립국가 건설을 위한 계몽운동이었다. 청소년들은 정부의 문맹타파사업에는 이견이 없었으나 민주, 자주, 통일 등을 계몽하면서 정부와 대립하였다. 정부는 건전육성을 명분으로 반정부적인 봉사활동을 비정치적인 봉사활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봉사활동을 어용화하는 전례를 남겼다. ’60년대부터 ’90년대 이전은 본격적인 근대산업사회로 대부분의 청소년이 학교에서 유예기를 보내면서 입시경쟁에 얽매여 자발적이기보다는 국가정책사업에 동원되는 봉사활동이 대부분이었다. 국가 주도의 새마을봉사활동은 학교가 계획하거나 ‘새마을청소년회’를 통한 동원형으로서 식민지의 유산을 답습한 것이었다. 봉사활동은 단순노동력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청소년을 미숙하고 불안한 존재로 보고 사회체험욕구나 사회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덕육하고 관리하려는 청소년정책과도 관련된다. 둘째, 1990년대 이후 정부는 정보사회에 따른 교육개혁의 일환으로 실천위주의 인성교육 강화를 위해 봉사활동을 입시에 반영하여 활성화하였다. 문서상으로는 근대화에 따른 국가를 위한 봉사나 산업화과정에서 소외된 사람들에 대한 일방적인 봉사보다는 지역사회에서의 체험을 통한 개인적인 학습의 의미를 강조하였다. 봉사활동은 청소년을 권리와 책임의 주체로 여기는 청소년관과 지식위주 학교교육을 보완하고자 하는 청소년육성정책의 변화와도 맥락을 같이한다. 그러나 청소년문제와 청소년의 사회진출욕구를 통합하고 관리하려는 의도를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봉사활동은 입시를 위해 편법적으로 또는 형식적으로 이루어졌다. 청소년 분야와 교육분야는 서로 다른 봉사활동 정책추진체계와 프로그램을 갖고 있어 비효율적이었다. 또한 봉사활동은 실제로 기존의 단순노동력 제공과 자선과 시혜의 봉사활동을 답습하였다. 개선방안으로 제7차 교육과정 개정을 통한 봉사활동의 위상 강화와 이론적 근거로 제시된 봉사학습론은 봉사활동의 문제점을 제대로 해결할 수 없었다. 이는 무엇보다 청소년을 미숙한 존재라고 여기고 인성교육을 저해하였던 입시라는 유인체제로 봉사활동을 활성화했기 때문에 생겨난 것이다. 셋째, 봉사활동의 방향으로 제시된 복지교육론은 봉사활동의 복지적인 성격에 주목하면서 복지교육의 실천 개념으로 봉사활동을 자리매김한다. 복지교육의 목적은 기존의 ‘자선’이나 ‘시혜’의 봉사개념을 비판하면서 민주복지사회를 사회적 비전으로 제시하고 권리요구와 문제해결과정에서 주체를 형성하는 데 있다. 그런데 복지교육 논의는 한국사회에서 청소년이 봉사활동을 통해 어떻게 권리와 참여의 주체로서 스스로의 복지문제를 해결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의 주체형성에 대한 관점이 명확하지 않으며 청소년 복지교육을 논하고 있으면서도 청소년복지를 제외한 다른 영역을 주요 대상으로 하였다. 결국 청소년 봉사활동을 둘러싼 논의와 정책은 기존의 근대산업사회의 패러다임에 따라 청소년을 미숙한 존재로 보는 청소년관과 정보사회에서 청소년을 권리와 참여의 주체로 보려는 청소년관의 갈등과정이었다. 근대교육의 역사에서 객체로 소외되었던 청소년이 주체로 나아갈 때 복지국가는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the educative role of youth volunteerism in Korean society from the 1920s to 1990s by looking at the changes in a view of youth in society, and the shifts in youth and educational policies.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youth volunteerism following the realization of modern industrial society after the 1960s, and youth volunteerism activation policies brought about by the shift to an information society after the 1990s. By examining closely the educative significance and the limits of youth volunteerism in these two periods, the study proposes a transition to the concept of welfare education theory.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Youth volunteerism before the 1990s: It is possible to trace youth volunteerism in Korean society, in its modern sense, to the enlightenment movement for achieving independence from colonial rule, following the March First Movement. However, volunteerism initiated by the Emperor of Japan during the war period i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expressions like personal training, moral enlightenment, and cultural refinement. It was an exercise in compulsory wartime mobilization of the Korean people as subjects of the Emperor through schools and youth groups. Even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volunteerism under the US military regime and the Seungman Lee government was part of an enlightenment movement for the purpose of building an independent, democratic nation. Korean youth did not go against the government's effort at combating illiteracy through the mobilization of youth in volunteer activities but in their advocacy of democracy, self-reliance and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they stood in opposition to the government. In the name of promoting sound volunteerism, the government converted anti-government volunteer activities into non-political ones and left a precedence of misusing the name of volunteerism. From the 1960s until 1990, most of the youth attended schools and were too occupied with the competitive entrance examinations to participate in voluntary activities. Most of the volunteer activities were mobilized through policies initiated by the government. In this sense, volunteer activities conducted in the name of modernization by national policies followed the footsteps of volunteerism during the colonial period as a mobilization exercise through programs organized by schools and educational social groups. Youth were not only viewed as mere labor force, but as an immature and unstable presence in society. Volunteerism initiated by the government was also related to youth policies that sought to control youth and educate them on social virtues in order to eradicate their wish for social experience and dissatisfaction toward society. Youth volunteerism in the 1990s: In the 1990s, as part of educational reform under an information society with the aim of putting education as character-building into practice, the government activated volunteerism by incorporating it into the entrance examinations. In formal terms, instead of the purpose of providing service for rights-assertion and problem-solving. However, the welfare education debate fails to consider how the youth in Korean society act as rights-holders, how they participate as subjects and how they can solve their own welfare problems through volunteer activities. Besides, the view of the subjective formation of the youth is ambiguous and while discussing on youth welfare education, instead of youth welfare, other fields become the main targets of consideration. As a result, debates and policies surrounding youth volunteerism involve the conflict between views of youth as an immature presence under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paradigm and as the subjects of rights and participation in an information society. The realization of the welfare state will be made possible when youth whose subjective role has been ignored in the history of modern education become the real subjects of education. self-directed learning, modern industrial society, informatio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