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이성교제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분석

        조선영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94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development of an integral dating program for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developed program is conducted in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s analyzed. And a secondary program is implemented and the effectiveness is verified, after being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the specialist’s consultancy. And this program consists of dating-manner education, exercises, self-expression skills, couple training & exercise, style school, participation of parents, for the integrated support for dating of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t up research hypothesis for analysis, and collected datas and materials from participants of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guardians, and analyzed b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 jointly. The result from quantitative evaluation with analysis of program is as follows, 1. After participation of dating program, sexual attitude of most participants is improved. 2. After participation of dating program, most participants acquired dating manners with good result. Through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program, it is noticed dating experience of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various significant points from program for their life. The result from qualitative evaluation is as follows, 1. After program participation, participants improved the happiness and the pleasure. 2. After program participation, participants improved the positive sexual attitude. 3. After program participation, participants improved interpersonal skills. 4. After program participation, participants improved self determined capacities. 5. After program participation, participants improved the self-expression skills. 6. After program participation, participants improved sexual abuse prevention skill. As the result, the study verified the significant effectiveness in general educational field on dating of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this integral dating program and this implies that the integrated support is very effective, for the dating of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is study has further significance as the first research, evaluat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with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 of dating program for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But it is conducted with participants, only as interested with dating, and limitedly, among used measures, sexual reactions(responses) have a bit low credibility. And by conclusion, with this study well-complemented, the next study will develop the improved dating program for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통합적 이성교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분석 및 증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목적을 위하여, ADDIE 교수설계모형을 참조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성인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그 효과성을 분석하였으며, 전문가 자문을 통해 수정 보완된 2차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성인발달장애인의 통합적인 이성교제지원을 위해 이성교제 예절, 실습, 자기표현훈련, 커플운동, 스타일스쿨, 부모참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을 위한 연구가설을 구성하였으며, 성인발달장애인 참여자와 보호자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입증하기 위해 양적 접근과 질적 접근을 병행한 통합연구설계를 통해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양적평가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성교제 프로그램 참여 후 대부분의 참여자들의 성태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성교제 프로그램 참여 후 대부분의 참여자들이 이성교제 예절을 습득하게 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에 대한 질적 평가를 통해 발달장애인의 이성교제에 대한 경험 및 그들의 삶에 부여하는 여러 가지 중요한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질적 평가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참여 후 참여자들의 즐거움과 행복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프로그램 참여 후 참여자들의 긍정적 성태도가 형성되었다. 셋째, 프로그램 참여 후 참여자들의 대인관계기술이 향상하였다. 넷째, 프로그램 참여 후 참여자들의 자기결정기술이 향상되었다. 다섯째, 프로그램 참여 후 참여자들의 자기 표현력이 향상되었다. 여섯째, 프로그램 참여 후 참여자들의 성폭력예방기술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결과, 이러한 통합적 프로그램을 통하여 성인발달장애인의 이성교제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영역에서의 유의미한 효과성이 검증되었으며 이것은 성인발달장애인의 이성교제를 위해 ‘통합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임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성인발달장애인의 통합적 이성교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고 그 효과를 양적, 질적으로 평가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참여자 선정에 있어서 이성교제에 관심이 있는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하위 영역 중 성적대처가 낮은 신뢰도를 보이고 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앞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 대한 장점과 한계점이 수정 보완되어 성인발달장애인의 이성교제에 대한 향상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소셜 데이팅 서비스의 등장에 따른 20-30대의 관계 맺기 방식 변화 : 20-30대 비혼 이성애자를 중심으로

        심성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937

        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n the smartphone-base matchmaking service referred to as 'social dating app' and its users. Targeting the major membership of the service, who are in their 20s and 30s, this study examines the emergence of social dating apps, its use, and the consequent changes in their relationship and its formation. To this en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s employed in the form of in-depth interviews of social dating app users and business insiders as well as research of relevant literature. This allows an analysis of the subjective user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and an observation of how they construct their desire for forming a romantic and marital relationship. Also analyzed is the social dating 'market' with interviews with the service providers. The non-married in their 20s and 30s, dubbed as the 'Sampo(Giving up three things in life) Generation' and reputedly giving up romantic relationship and marriage, are effectively the main customer base of the exploding social dating app market. Thus, this study, designating the generation as 'Sampo Generation', began as an attempt to interpret their existential desire for romantic and marital relationship, largely dismissed or ignored by the existing discourses which simply reduce the generation as a helpless entity who has 'given up' getting married. The study reconstructs, on a rather personal level of analysis, a narrative of how their desire is formed and on what ground their style and forma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which has been largely overlooked to date. The highly personal-level observation the changes also has its value in terms of generation research in that it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tracking changes in the set of values regarding relationship and marriage among this generation. Moreover, this study analyzes the social implication and impact of the social dating apps, which are being accepted as a new 'dating tool/culture' among the non-married population in their 20s and 30s. The emergence and use of 'social dating app' and its impact on how the generation considers romantic relationship and marriage will be put under scrutiny, followed by an observation on the shifting forms of relationship creation and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online dating tool. This dissertation, five chapters in all, is composed of as follows: The first chapter, introduction, describes the background of research, the presentation of the research question and the subejct and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It is followed by literature review in the second chapter, stat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existing academic work. The third chapter examines social causes of the growth of the social dating service before classifying the service into different levels. The fourth chapter observes the use of the social dating apps by the subject group Sampo Generation, the non-married populace in their 20s and 30s, and how it is changing their relationship as well as its incepient stage. The conclusion in the chapter five sums up the main body of the study, presents the limitation and implication of the study and suggests further research. 본 논문은 ‘소셜 데이팅 앱social dating app’이라 불리는 스마트폰 기반의 매치 메이킹match making 서비스 및 그 사용자에 대한 연구이다. 소셜 데이팅 서비스 주요 사용자인 20-30대를 대상으로 소셜 데이팅 앱의 등장과 사용에 따라 이들의 만남과 관계 맺기의 방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연구한다. 이를 위해 실제 소셜 데이팅 앱 사용자 및 소셜 데이팅 서비스 관계자를 심층 인터뷰하고 관련 문헌을 연구하는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참여자들의 주관적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고 소셜 데이팅 앱 ‘시장’에서 사용자로 위치한 이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연애 및 결혼과 관련된 관계 맺기 욕망을 구성해 나가는지를 관찰했다. 더불어 소셜 데이팅 ‘시장’과 그에 대한 분석도 서비스 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함께 살펴보았다. 소위 연애와 결혼을 ‘포기’했다고 알려진 ‘3포 세대’에 위치하는 20-30대의 비혼들은 사실상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소셜 데이팅 앱 시장의 주요 고객층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3포 세대’라고 20-30대를 명명하며, 이들을 단순히 결혼을 ‘포기’한 무기력한 주체로 한정시켜온 기존의 담론들이 읽어내지 못하는 이들의 실존하는 연애 및 결혼 욕망을 읽어내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들의 욕망이 구성되는 과정과 연애 및 관계 맺기에 대한 방식이 변화하는 계기들을 좀 더 개인적인 차원에서 들여다봄으로써 삭제되어온 20-30대의 연애 방식과 관계 맺기에 대한 서사를 구성한다. 이 세대의 연애 및 관계 맺기 방식의 변화를 지극히 사적인 차원에서부터 관찰하는 것은, 이들의 연애와 결혼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를 추적해 볼 수 있는 시작점으로써, 세대연구의 의의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20-30대의 비혼들 사이에서 새로운 ‘데이팅 툴/문화’로 자리 잡아가는 소셜 데이팅 앱의 사회적 의미와 효과를 분석한다. ‘소셜 데이팅 앱’의 등장과 사용이 20-30대의 관계 맺기와 연애 및 결혼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사용자들의 만남 방식과 온라인 데이팅 툴에 대한 인식 변화를 관찰한다. 본 논문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서론으로, 연구자가 소셜 데이팅 앱 및 그 사용자를 연구하게 된 배경과 문제제기,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제2장은 문헌연구로, 본 논문의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에 대해 서술한다. 제3장은 소셜 데이팅 서비스의 사회적 성장 배경을 온라인 데이팅 서비스의 성장 및 활용과 함께 살펴보고, 소셜 데이팅의 층위를 분류한다. 제4장에서는 소위 ‘3포 세대’라 불리는 20-30대의 비혼들이 소셜 데이팅 앱을 사용하면서 그들의 만남과 관계 맺기 방식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나아가 그들의 연애는 어떻게 변하는 지를 살펴본다. 제5장은 결론으로, 본문의 내용을 요약하고 연구의 한계 및 시사점, 향후 과제를 제언할 것이다.

      • 한국 구석기 고토양층 석영에 대한 시분해 광자극 냉광의 물리적 특성과 연대 결정

        김명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908

        이 연구에서는 한국 구석기 고토양층 석영에서 측정된 POSL 신호로부터 석영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OSL 연대측정을 수행하여 구석기 고토양층에 대한 절대연대 편년을 수행하였다. 고토양층 석영의 POSL 측정을 위하여 POSL 측정 시스템을 자체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에서 시료의 가열을 위한 히터는 Kanthal wire를 이용하여 직접 제작하였으며, 전리성 방사선을 조사하기 위한 선원으로 소형 X-선 발생장치(Varian VF-50J)를 사용하였다. 광자극 광원으로는 청색 파워 LED (LXHL-PB02) 2개를 사용하였고, LED의 ON/OFF 및 POSL 계측 시작을 위한 신호는 DAQ (NI PCI 6250) 보드에서 생성된 펄스를 이용하였다. POSL 신호는 multichannel scaler (ORTEC MCS-PCI)를 사용하여 계측하였다. 이 POSL 측정 시스템에 대한 최적의 측정 조건은 방사선량 100Gy, 열전처리 생략, 펄스 폭 10μs, 펄스 주기 250μs, 펄스 반복수 100,000번이 적합하였다. 이와 같은 측정 조건에서 청당동 구석기 유적 고토양층 석영을 극세립 석영(63~125㎛)과 세립 석영(125~250㎛)으로 구분한 후 POSL 신호를 측정한 결과 lifetime은 35.34±1.24μs로 시료의 종류 및 입자의 크기 무관하게 모두 유사한 값을 가졌으며, lifetime의 온도 의존성으로부터 운동학 변수인 열소광 활성화 에너지 ΔE, thermal assistance 활성화 에너지 Ea를 결정하였다. 또한 석영의 LM-OSL 신호로부터 4개의 덫이 존재함을 밝히고, 이를 POSL 측정 결과와 함께 종합하여 석영의 냉광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에서는 높은 선량율의 X-선 조사에 관계되는 새로운 발광 재결합 중심 LX를 제안하였다. 구석기 고토양층에 대한 절대연대 편년을 위해 15지점의 구석기 유적에서 OSL 연대측정을 수행하였다. 각 고토양층의 절대영년은 극세립 석영과 세립 석영의 OSL 연대를 비교하여 판단하였다. 이들 유적에서 첫째 토양쐐기와 관련된 (III)층과 (IVa)층, 둘째 토양쐐기와 관련된 (VI)층의 OSL 연대를 결합한 결과, (III)층의 연대 범위는 20.8±1.6 ka BC (1σ SE)였으며, (IVa)층의 연대 범위는 28.5±5.2 ka BC (1σ SE), (VI)층의 연대 범위는 58.8±3.8 ka BC (1σ SE)로 산출되었다. 이로부터 한국에서 첫째 토양쐐기의 형성 시기는 22.4~23.3 ka BC로 추론하였고, 2단구 및 기반암 상부에 존재하는 둘째 토양쐐기는 58.8 ka BC 부근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산출된 OSL 연대의 신뢰도를 입증하기 위해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전처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OSL 연대와 방사성탄소 연대를 비교한 결과, 구석기 고토양층의 OSL 연대가 신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작한 POSL 측정 시스템과 구석기 고토양층 석영으로부터 제시된 냉광 모델은 앞으로 석영의 물리적 특성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구석기 고토양층에 대한 OSL 연대와 이로부터 결정된 토양쐐기의 형성 시기는 한국의 후기 구석기 연구에 크게 기여하리라 판단된다.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physical characteristics of quartz using the POSL signal measured from the quartz of paleosol in the Paleolith of Korea and to chronologically arrange absolute dates of the paleosol of the Paleolith, based on the OSL dating. To achieve such aims, a POSL system was newly developed to measure POSL of the paleosol quartz. Here, a heater to heat the sample was manufactured by using Kanthal wire, and a small X-ray generator (Varian VF-50J) was used as a radiation source. Two blue power LEDs (LXHL-PB02) were employed for the light source, and for the signal to initiate ON/OFF of LED and POSL measurement, a pulse was used, which was generated from the DAQ (NI PCI 6250) board. The POSL signal was measured with the multichannel scaler (ORTEC MCS-PCI). The optimal measurement conditions of the above POSL measurement system were as follows: 100 Gy of radiation dose, omission of the preheat process, 10 μs of pulse width, 250 μs of dynamic range, and 100,000 times of sweep. Under these conditions, the paleosol quartz from the Paleolithic remains in Cheongdang-dong was classified into very fine sand-size quartz (63 ~ 125 ㎛) and fine sand-size quarts (125 ~ 250 ㎛), and subsequently the POSL signal was measured. As a result, a similar lifetime was calculated as 35.34 ± 1.24 μs regardless of the kind of the sample and the size of the particle. The kinetic variables, thermal quenching activation energy ΔE and thermal assistance activation energy Ea,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temperature dependency of the lifetime. The existence of 4 traps was detected from the LM-OSL signal of the quartz. Processed with the subsequent POSL results, a luminescence model of quartz was presented in this study. In this model, a new radiative recombination center LX was proposed, which was related with the irradiation of the high X-ray dose rate. The OSL dating was conducted in 15 places of the Paleolithic remains for the chronology of the absolute date of the paleosol in the Paleolith. The absolute zero age of each paleosol was assessed by the comparison of OSL date for the very fine sand-size quartz and the fine sand-size quartz. In these remains, the OSL dates of (III) and (IVa) layers related with the first soil wedge and (VI) layer related with the second soil wedge are as follows. The date range of the (III) layer was calculated as 20.8 ± 1.6 ka BC (1σ SE), the date range of the (IVa) layer as 28.5 ± 5.2 ka BC (1σ SE), and the date range of the (VI) layer as 58.8 ± 3.8 ka BC (1σ SE). Accordingly, it was inferred that the period of the first soil wedge formation in Korea was 22.4 ~ 23.3 ka BC, and the period of the second soil wedge formation, existing on the 2nd terrace and the upper part of bedrock, was about 58.8 ka BC. Apart from this analysis, the reliability of the OSL date was verified by developing a sample preparation system for AMS radiocarbon dating and by comparing the OSL date with the radiocarbon date.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verified the reliability of the OSL date of the paleosol in the Paleolith. It is concluded that the POSL measurement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and the luminescence model presented by the paleosol quartz of the Paleolith should contribute to future research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quartz. Moreover it is also concluded that the OSL date of the paleosol of the Paleolith and the period of soil wedge formation based on the OSL dates should significantly contribute to future research on the late Paleolith of Korea.

      • 미디어를 통한 정상적 연애의 구성 : 연애 관찰토크쇼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중심으로

        전인화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906

        이 연구는 2010년대 중후반 이후 한국 예능 프로그램에서 연애를 관찰하고 이에 대해 논의하는 연애 관찰토크쇼의 등장에 대해 주목한다. 당시 한국 사회는 2010년대 초반 ‘관계를 포기한 세대’라는 담론이 형성된 이후 연애와 결혼이 선택적인 개념으로 제시되며 1인 가구, 비혼, 비연애와 관련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시기였다. 신자유주의 체제 이후의 경제 위기 및 경쟁과 자기 계발이 강조된 이후, 오늘날 우리 사회 속 친밀성의 구조 변동이 나타났다. 기존의 관습을 거부하고 선택적 개념으로서의 연애와 결혼을 인식이 사회 전반에 자리하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사회적 담론이 형성되는 방향과 대조적으로 미디어에는 연애를 소재로 한 프로그램이 증가해왔다. 또한, 이와 같은 ‘연애’를 다룬 프로그램 및 콘텐츠는 텔레비전 방송만이 아닌 SNS, 유튜브 등을 통해 미디어의 영역에서 함께 나타났다. 이에 연구자는 이 연구를 통해 오늘날 미디어가 ‘연애’를 재현하고 논의하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그 속에 내포된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관계 맺기에 대한 재정의가 이루어지는 시점에 이와 같이 연애 관찰토크쇼가 증가함에 주목하여 이루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이론적 논의를 통해 신자유주의 체제의 본격화로 인해 형성된 한국 사회 친밀성의 구조변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관찰토크쇼’의 등장 배경을 밝히고자 한국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변화와 특징을 다루고, ‘연애’를 다룬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이론적 논의를 통해 살펴본 ‘관찰토크쇼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사실성 논쟁 이후 등장한 연출자의 개입이 최소화된 형식인 관찰 예능이 등장했다. 그러나 단조로움을 상쇄할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관찰자적, 매개자적, 조언자적 역할을 하는 패널의 개입을 통해 관찰토크쇼가 자리 잡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연애 관찰토크쇼를 살펴보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대상은 2010년대 후반을 기준으로 지속성과 화제성을 기준으로 네 편의 프로그램을 선정했다. 연구 대상을 통해 썸, 연애, 그리고 이탈의 과정을 분석하는 동시에 패널 및 제작진의 개입 방식에 대한 차이를 볼수록 구체화 하였다. 각각 호감의 신호를 읽어내는 <하트시그널 2>과 그리고 사랑 혹은 상금을 획득하기 위해 모인 <러브캐처 2>는 제작진이 패널에게 문제를 제공하며 참여적으로 이끌었다. <연애의 맛 2>는 오랫동안 하지 못했던 연애를 다시 시작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으로 출연자에게 연애에 대한 구체적인 조언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사연을 토해 연애 갈등과 이별에 패널이 함께 고민하는 <연애의 참견 2>는 출연자가 직접 패널에게 ‘고민 해결’을 요구함에 따라 패널의 조언이 더욱 적극적으로 이루어진다는 특징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분석을 통해 ‘연애 관찰토크쇼’의 구조적인 성격과 내용적인 성격을 각각 밝혔다. 연애 관찰토크쇼 중에서 가장 특징적이라고 볼 수 있는 패널은 관찰자이자 매개자, 그리고 조언자가 되었다. 패널은 시선을 통해 주목을 이끌어냄으로써 관찰자 역할을 했으며, 시청자와 유대감을 형성하며, 시청자를 프로그램에서 거리 두기와 밀착을 유도하는 매개자 역할을 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패널은 조언자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조언자로서 패널 중에는 전문가적 발화를 하는 인물들이 등장하였으나 패널의 조언은 전문가와 같은 조언이 아닌 유사 사회적 관계를 통해 형성된 친밀감을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이렇게 패널이 연애 관찰토크쇼에서 관찰과 조언을 하지만 여기에는 제작진의 카메라 시선, 제작진이 제시하는 문제 등에 따라 관찰자의 시선과 조언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제작진은 패널과 출연자가 자유롭게 언행함에 있어 구조적인 틀을 제시하며 제약을 가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 속에서 이루어지는 연애 관찰토크쇼 속 연애는 주로 ‘썸’을 다루고 있다. 이때의 썸은 유동적이고 비정형적으로 ‘관계’보다 ‘연결’의 성격이 더 가까웠다. 따라서 만남의 자유가 이루어지지만, 출연자, 패널, 그리고 제작진에 의해 썸이 연애로 이어지는 것을 정상적인 과정으로 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연애 대상자의 연령대에 따라 썸-결혼으로 이어지기도 하며 성별 역할 분담이 나누어져 좋은 배우자상이 그려졌다. 이에 따라 사회적으로 형성되고 있는 보편혼(婚) 관념의 해체 및 선택적 개념으로서의 친밀성의 개념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즉 연애 관찰토크쇼는 사회에서 형성되는 논의와는 별도로 기존의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관습을 답습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미디어 권력은 오늘날의 바람직한 연애의 상은 이성애 중심의 연애각본에 따라 연애의 상품화를 바탕에 둔 낭만적 유토피아로 재현되고 있었다. 이는 오늘날 논의되는 선택적 연애와 결혼, 성별에 따라 굳어진 역할 허물기를 실현하고자 하는 탈연애, 그리고 이성애 중심이 아닌 동성애 및 양성애 등의 사회적 담론을 역행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국내 연애 관찰토크쇼 및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남성과 여성이 같은 성비로 출연해 이성애적 감정교류를 나누는 것은 어떠한 언급도 없이 당연시되는 제작진의 연애 규범이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미디어를 통해 생성되는 연애 규범은 개인의 성향 및 특성을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일반화된 연애 상식으로 연애를 학습화 및 스펙화로 이끌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개개인은 연애를 위해 자신의 가치관 및 성향을 개선해나가는 자아 프로젝트를 실행해야 하는 것으로 그려지고 있다. 이는 미디어 권력이 행사하는 방향으로 규범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사회적으로 형성되는 담론에는 들어 맞지 못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연애 관찰토크쇼를 통해 만들어지는 연애 규범은 우리 사회를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방향으로 이끌어 가고 있음을 상기해야 한다. The study focuses on dating reality shows and korean variety shows from the mid to late 2010s to observe and discuss dating phenomenon. Ever since the"Generation that gave up relationship" was formed in the early 2010s, Korean society has been discussing single-person households, choosing not to be in a relationship, and non-marriage-related issues. And love and marriage started to be considered as optional. As the economic crisis became serious in Korea, competition intensified and self-improvement fever erupted in society. After Neoliberalism, the change in the structure of intimacy was taking place throughout society. Contrary to the way social discourse was formed, there has been a growing trend in the media in terms of Korean dating reality shows.. Therefore, the study was conducted at a time when the another definition for of relationship in Korean society was created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dating reality talk shows.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s,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changes in portrayed as a romantic utopia based on the value of a commercialized love affair, and this is followed by a love scenario. This runs counter to social discourse such as non-marriage, which is not choosing a marriage that is being discussed today, and non-love, which means a life without a relationship, a breakaway from the gender-obsessed role, and homosexuality and bisexuality, not heterosexuality. In particular, a domestic dating observation talk show and dating reality show can be seen as the dating norm of the production team, where men and women appear in the same sex ratio and share heterosexual emotional exchanges without any mention. This media-generated love code does not recognize individual tendencies and characteristics, and it is perceived as common sense to lead romance to learning and speculating. Based on this, individuals are portrayed as having to carry out self-projects that improve their values and tendencies for dating. This is a normative approach to media power and does not fit the social discourse. In other words, they should be reminded that the love rules created through the dating reality show are not representative of our society, but are leading in a particular direction.

      • The Experience of Millennial Gay Males after Using a Gay Dating App: A Case Study

        Koumarianos, Nicholas Capella University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2020 해외박사(DDOD)

        RANK : 289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young gay males using adult gay dating mobile apps Grindr and Adam4Adam. The use of a case study design aligned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to explore both the subjective and the external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experiences to g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young gay male experiences with mobile app dating. The sample consisted of nine participants, ages 18 to 35, who identified as gay males and were current or past users of the mobile dating apps Adam4Adam or Grindr. During data analysis, within-case analyses were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patterns within the data for each participant, and then a cross-case synthe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overarching themes. Five cross-case themes emerged, including (a) accessing potential partners, (b) high incidence of personal misrepresentations, (c) predominance of hook-up culture, disappointment, (d) depression, and frustration, and (e) necessity for safety precautions. The most frustrated and disappointed were gay men looking for long-term relationships, as most of the people they met online were looking casual sexual partnerships. Many discovered potential partners misrepresented themselves to protect their privacy. Their descriptions did not match who they really were. One participant complained that prostitutes pretended to be seeking relationships. Participants described insisting on meeting in a public place, talking on the phone before meeting in person, and asking for protection. Many participants said that through the apps, they had access to a larger pool of potential partners, - which was appreciated. These misrepresentation findings in the present study coincided with the results of other researchers. These themes indicated the overall dating-app user experiences of participants and contribute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millennial gay males after using online dating sites (e.g. Grindr and Adam4Adam).

      • Late quaternary glaciation in the Nun-Kun massif, India

        이수영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3 국내석사

        RANK : 2891

        The late Quaternary glacial history of the Nun-Kun massif, locate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Greater Himalaya and Zanskar range in northwestern India, was reconstructed using field mapping, geomorphic analysis of glacial landforms and sediments, and quantitative age controls using 10Be terrestrial cosmogenic nuclide exposure,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and radiocarbon dating. On the basis of morphostratigraphy and 10Be dating of glacial landforms (moraines and glacial trimlines), five glacial stages were recognized and defined, which include: 1) the Achambur glacial stage dated to Marine Oxygen Isotope Stage 3 to 4 (38.7–62.7 ka); 2) the Tongul glacial stage dated to the early part of the Late Glacial (16.7–17.4 ka, ΔELA for ST1 moraine was 620 m and TG1 moraine was 340 m); 3) the Amantick glacial stage dated to the latter part of the Late Glacial, where the oldest and outermost moraines of the Amantick glacial stage were formed at 14.3 ka, with a younger inner set of moraines dated to 11.7–12.4 ka that represent a short-lived readvance (ΔELA for ST2, 3 moraine was 570 m); 4) the Lomp glacial stage, which dates to ~0.4 ka and is possibly coincident with the Little Ice Age (ΔELA was 204 m); and 5) the Tanak glacial stage, which has the youngest moraines, but these moraines could not be examined in detail because of their inaccessibility being near to very steep present-day glacial snouts. Present and former equilibrium-line altitudes (ELA) were calculated using the standard area accumulation ratio method. This shows that the average present day ELA (~4790 m above sea level [a.s.l.]) in the Greater Himalaya is lower than in the Ladakh (~5384 m a.s.l.) and Zanskar ranges (~5903 m a.s.l.). The ELA in the Zanskar range is higher than in the Ladakh range possibly due to the higher peaks in the Ladakh range that are able to more effectively capture and store snow and ice. ΔELA depression decreases toward the Ladakh range. Peat beds interbedded with aeolian deposits that cap the terminal moraine of Tarangoz Glacier suggest millennial timescale climate change throughout the Holocene, with soil forming times at ~1.5 ka, ~3.4 ka, and ~ 5.2 ka, which are likely coincide with Holocene abrupt climate change events. Given the style and timing of glaciation in the study area, it is likely that climate in the Nun-Kun region is linked to Northern Hemisphere climate oscillations which teleconnections via the mid-latitude westerlies. 히말라야 산맥은 인도와 네팔, 파키스탄에 걸쳐 광범위하게 솟아있으며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산맥의 군집으로 이루어져있다. 이 중 인도 북서부에 위치한 그레이트 히말라야와 잔스카 산맥의 경계에 위치하는 눈쿤 지역을 대상으로 제4기 기후 변화 역사를 복원하였다. 야외답사, 빙하지형과 풍성퇴적층의 지형분석, 우주선유발동위원소인 10Be를 이용한 노출연대측정, OSL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연대측정,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을 이용하여 기후 해석을 위한 자료를 습득하였다. 지형학적 층서 기록과 10Be 노출연대측정을 이용하여 모레인과 Trimline을 포함하는 빙하지형을 조사한 결과, 이 지역에서는 5개의 빙하시기가 구분된다. 1) Achambur 빙하 시기는 MIS (Marine Oxygen Isotope Stage) 3기와 4기에 나타난다 (38.7~62.7 ka). 이 시기의 빙하 전진사는 Trimline의 기반암에서 얻은 연대값으로 결정되었다; 2) Tongul 빙하 시기는 Late glacial의 초기에 나타난다 (16.7~17.4 ka). 이 시기의 빙하 전진은 Sentick 빙하의 ST1, Tarangoz 빙하의 TG1, 그리고 Rantac 빙하의 RT1 모레인을 형성하였다. 빙하의 진출을 보여주는 ΔELA는 ST1 모레인의 경우 620 m 이며, TG1 모레인의 경우 340 m 이다; 3) Amantick 빙하 시기는 Late glacial의 후기에 나타난다. 이 시기에 빙하는 14.3 ka에 최대로 진출하여 최외곽 모레인을 형성하였다. 최대 진출 이후 빙하가 후퇴하다가 11.7~12.3 ka에 일시적으로 진출하거나 정체하여 상대적으로 어린 연대의 내부 모레인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모레인 층서를 살펴보았을 때, 고도가 낮은 모레인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이 시기의 모레인의 특징이다. ΔELA는 570 m이다; 4) Lomp 빙하 시기는 Little Ice Age와 일치하는 것으로 보이며, 모레인 연대는 약 0.4 ka이다. TG3 모레인을 대상으로 측정한 ΔELA는 204 m이다; 5) Tanak 빙하 시기에는 현재 빙하에서 1 km 하류에 위치하는 가장 어린 모레인이 형성되었다. 이 모레인은 급한 능선을 가지고 있어서 이곳에서는 샘플을 채취하지 못하였다. 눈쿤 지역의 빙하 전진사의 특성을 알기 위하여 선행연구가 이루어진 인근 지역의 빙하를 대상으로 ELA 계산한 후 그 값을 비교하였다. 그레이트 히말라야 산맥과 잔스카 산맥, 라다크 산맥의 5지역에서 현재와 고 ELA를 복원하였다. 그레이트 히말라야의 현재 ELA (~4790 m asl)는 잔스카 산맥 (~5903 m asl)과 라다크 산맥 (5384 m asl)의 현재 ELA 보다 낮게 나타난다. 내륙으로 갈수록 현재 ELA가 증가하는 것은 강수량의 추세와 같은 경향성을 보인다. 다만 잔스카 산맥의 현재 ELA가 라다크 산맥보다 높게 나타나는데 이것은 잔스카 산맥에는 높은 고도의 봉우리가 흩어져 나타나기 때문에 다른 산맥에 비해 지형성 강수를 효과적으로 유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현재 ELA는 오늘날 빙하의 분포와 동일한 경향을 보인다. 고ELA 분석 결과, 과거 최외곽 산맥의 빙하가 더욱 넓은 범위로 확장되었으며, 이 지역의 모레인의 연대가 상대적으로 어렸다. 반면에 최내곽 산맥인 라다크 산맥의 경우 빙하가 상대적으로 적게 확장하였으며, 이 지역에 존재하는 모레인의 연대는 상대적으로 오래되었다. 이것은 연속적인 산맥의 배열이 수분을 머금은 바람의 이동을 차단하였기 때문에, 강한 강도의 바람만이 선택적으로 내륙으로 유입될 수 있었음을 시사한다. Tarangoz 빙하 계곡의 가장 하류에 위치하는 TG1 말단 모레인의 측면 에는 풍성퇴적층과 peat 층이 연속적으로 나타난다. 비교적 습윤한 시기에 형성된 Peat층의 연대는 1.5 ka, 3.4 ka, 5.2 ka로 나타나며 이는 홀로세 동안의 급격한 천년 단위의 기후 변화를 반영한다. 이 시기는 빙하가 진출하는 시기와 일치한다. 이를 통해 눈쿤 지역은 중위도 편서풍과 연계된 북반구 기후 파동의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다.

      • 해방 이후 한국영화의‘국민’형성과 한일관계 재현 : 1960년대‘한일국제연애’서사와 2010년대‘연대’서사를 중심으로

        김영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888

        This study examines how Japan is represented in Korean films after the Liberation set i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focusing on films created around two “nodal points” in Korean history: the 1960’s and the 2010’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Korean films envisioned the formation of the Korean “Nation.” A Nation always seeks to establish its identity in its relationship with Others. In the formative years of the Korean Nation, Japan was an Other that was particularly difficult to handle. For Koreans, Japan as an Other existed on two planes: strong anti-Japan sentiment and public memories that originate from the history of colonization and driven by government policies aimed at forming a national state under the influence of the Cold War; and Japanese culture and personal memories that originate from the experience of life under colonization, embedded deep in people’s memories. The gap between these ambivalent memories and emotions was never resolved, and caused numerous conflicts from the Liberation to the present day. Korean films have been more closely linked with government policies than any other media. At the same time, they have served as conduits for capturing and representing public emotions and desires, combining these ambivalent memories, and producing the “public memories” of antipathy toward Japan. On the surface, Korean films seem to have produced seamlessly smooth public memories regarding Japan. However, by examining Korean films in the 1960’s, a period centered around the signing of the Korea-Japan Agreement in 1965, and the 2010’s, a period represented by the “Feminism Reboot” around 2015, this study seeks to show that these films show signs of post-colonial orientation in which Japan was imaged as a partner in exchange efforts. Many Korean films in the 1960’s imagined the Korea-Japan relationship in new ways. Korea was represented by male subjects who no longer suffer from the trauma of colonization. By depicting their romantic relationship with Japanese women, these films allegorically re-establish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realm of imagination. This study refers to these narratives as “Korea-Japan International Dating” narrative. However, the transition to a post-colonial relationship envisioned by Korean films through the Korea-Japan International Dating narrative seems to have failed. This study finds the reason for the failure in the fact that the post-colonial “male subjects” actually reproduced the trauma from the Occupation period. Under the unusual circumstances fostered by colonization, Korean men were deprived of their agency as “male subjects.” The Liberation, which Korea owed in large part to the superpowers at the time, was not sufficient to restore their agency. In other words, the male subjects, as the Korean “Nation,” inevitably internalized, at least partially, the sense of inferiority in the course of their formation. The Korea-Japan Agreement in 1965 was also far from the establishment of an equ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expected by the Korean public. In keeping with Jung Hee-jin’s and GwonKim Hyun-young’s discussions on the trauma and sense of inferiority of male subjects summoned as the Korean “Nation” by these films, this study uses their term “colonial masculinity.” Granted, colonial masculinity is a controversial concept that still requires substantial discussion. Nevertheless, this researcher agrees with their proposal that the universal male should be decoupled from its previous position of the universal human, and this study uses the term in order to critically examine how, in the Korea-Japan International Dating narrative, the “Nation” was represented as male subjects who internalized the sense of inferiority originating from the trauma during the Occupation period. By analyzing the films featuring the Korea-Japan International Dating narrative, the “Nation” envisioned based on the “colonial masculinity” otherized and distorted the women and Japan represented as a partner in exchange efforts, and created fissures in the vision pursued by the narrative. After the failure of the Korea-Japan International Dating narrative in the 1960’s, Korean films went back to repeatedly reproducing the narrative that pegs Japan as the enemy to be excluded. The subjects in these films were exclusively represented as men. Japan, which was placed at the other side of the dichotomy, was also represented as men. These trends took a new turn in 2015 with the “Feminism Reboot.” After Feminism Reboot, the Korean cinema saw the production of films with “women’s narratives.” These films brought women’s voice to the screen, which had been “voiceless” Subaltern in the male-centered society. These trends also influenced films set i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These films take a critical approach to the male-centered structure that otherized women and reduced them to “Subaltern,” and proposed new ways to view colonialism, imperialism, and Japan.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post-colonial and trans-national vision proposed by these women’s narrative films based on the “solidarity” concept proposed by Rainer Zoll, and Katarani Kojin’s “association” concept. These films, which this study categorizes as “Solidarity” narrative films, propose a new narrative that departs from the patriarchal national state and builds a new community beyond the confines of national borders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and exchange. By analyzing the narrative strategies of these films,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how the “Solidarity” narrative tries to overcome the failure of the “Korea-Japan International Dating” narrative and transition to a “post-colonial” society beyond national boundaries. 본고는 1960년대와 2010년대를 중요한 결절지점으로 파악하여 해방 이후 식민지기를 다룬 한국영화가 일본이라는 타자를 어떤 방식으로 재현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고는 한국영화가 어떤 방식으로 한국의 ‘국민’ 형성을 기획하여왔는지를 고찰할 것이다. ‘국민’은 항상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한다. 한국이 국민국가를 형성함에 있어 일본은 항상 처리하기 힘든 타자였다. 식민지의 기억으로부터 시작되어 냉전의 자장 속에서 국민국가를 형성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추동된 강렬한 반일감정-공적 기억으로서의 일본과 기나긴 식민지 시절에서 비롯된, 대중의 기억 깊숙한 곳에 남아있는 문화로서의 일본-사적 기억으로서의 일본이라는 양가적인 기억과 감정들은 결코 매끄럽게 하나로 봉합되지 않으며 해방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갈등을 빚어내왔다. 한국영화는 오랜 기간 그 어떤 매체보다 정책과 긴밀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대중의 정서와 욕망을 포착하고 재현하며 이러한 양가적 기억들을 종합하고 일본에 대한 적대감이라는 ‘공적 기억’을 생산하는 중요한 통로가 되어왔다. 일견 한국영화가 생산해온 일본에 대한 ‘공적 기억’은 오랜 기간 틈 없이 매끈했던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1965년의 한일협정을 중심으로 한 1960년대와 2015년을 즈음한 ‘페미니즘 리부트’를 중심으로 한 2010년대에 한국영화가 일본이라는 타자를 교류의 대상으로 상상하며 탈식민적 지향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1960년대에 한국영화의 한일관계에 대한 새로운 상상력은 한국을 식민지의 트라우마에서 벗어난 당당한 남성 주체로 그려내며 일본 여성과의 연애를 통해 두 국가 간의 관계를 상상의 공간에서 알레고리적으로 재정립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본고는 여기에 ‘한일국제연애’ 서사라는 이름을 붙이고자 한다. 그러나 ‘한일국제연애’ 서사를 통해 한국영화가 기획한 탈식민적 한일관계로의 이행은 결국 실패한 것처럼 보인다. 본고는 한국영화가 내세운 탈식민적 ‘남성 주체’가 실제로는 그 재현 과정에서 식민지기의 트라우마를 반복적으로 재생하고 있었다는 점을 ‘한일국제연애’ 서사의 기획이 실패한 요인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식민지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한국 남성의 ‘남성 주체’로서의 주체성은 상당 부분 거세되어왔고, 열강에 의해 주어진 것이나 다름없었던 해방 또한 이러한 주체성이 회복될 수 있는 사건은 아니었다. 말하자면 한국의 ‘국민’으로서의 남성 주체는 그 형성 과정에서 일정 부분 열등감을 내면화할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1965년의 한일협정 또한, 기대와는 달리 대등한 한일관계의 재개와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본고는 한국 영화가 ‘국민’으로 호명하는 남성 주체가 가진 이러한 트라우마와 열등감에 정희진과 권김현영의 논의를 빌려 ‘식민지 남성성’이라는 이름을 붙이고자 한다. 물론 이들이 제시한 ‘식민지 남성성’이라는 개념은 아직 논의해야 할 부분이 많은 논쟁적 개념이다. 그럼에도 본고는 “남성 ‘일반’을 인간 보편으로 상정했던 위치를 탈구시켜야 한다는 해당 논자들의 문제의식에 동의하며, 특히 ‘한일국제연애’ 서사에서 ‘국민’이 식민시기의 트라우마에서 비롯한 열등감을 내면화한 남성 주체로 재현되었던 양상을 비판적으로 사유하기 위해 ‘식민지 남성성’이라는 개념을 빌려 쓰고자 한다. 본고는 '한일국제연애' 서사 영화들의 분석을 통해 ‘식민지 남성성’을 바탕으로 기획된 ‘국민’이 교류의 대상으로 재현되는 여성과 일본을 타자화하고 왜곡하며 ‘한일국제연애’ 서사의 기획에 균열을 만들어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1960년대 ‘한일국제연애’ 서사의 기획이 실패한 이후, 한동안 한국영화는 다시 일본을 적으로 규정하고 배제하는 서사를 반복해서 재생산한다. 이 영화의 주체들은 여전히 남성으로만 재현되었으며, 그 대타항으로서의 일본 또한 남성으로 재현되었다. 이러한 경향이 다시 한 번 새로운 조류를 맞이한 것은 2015년의 ‘페미니즘 리부트’를 전후해서였다.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영화계에 속속 등장하기 시작한 여성서사들은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하위주체로 몰려나 ‘말하지 못하는’ 존재가 되었던 여성들의 목소리를 스크린 위에 재현한다. 이러한 조류는 식민지기를 다룬 영화들에도 영향을 끼쳤다. 식민지기를 배경으로 하는 여성서사 영화들은 여성을 타자화하며 ‘하위주체’로 몰아냈던 남성 중심의 국가 구조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며 식민지기와 제국주의, 일본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본고는 이러한 여성서사 영화들이 제시하는 탈국가적-탈식민적 기획을 라이너 촐의 ‘연대’ 개념과 가라타니 고진의 ‘어소시에이션’ 개념에 기대어 파악하고자 했다. 본고에서 ‘연대’ 서사라는 이름으로 묶고자 하는 이 영화들은 가부장적 국민국가에서 벗어나 상호간의 이해와 교류를 바탕으로 국경을 넘은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하는 서사를 제시한다. 본고는 이 영화들의 서사 전략을 분석하며 ‘연대’ 서사가 어떻게 ‘한일국제연애’ 서사의 실패를 넘어서 국민국가의 경계를 넘어선 ‘탈식민’ 사회로 나아가려 시도하고 있는지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 Late quaternary glacial history in Khentey mountain range, Central Mongolia

        Khandsuren Purevmass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875

        Mongolia has five main mountain systems which glaciated during Late Quaternary. Although Khentey Mountain Range (105-112°E, 47-51°N) represents one of the typical landlocked mountain system that has clear geomorphic evidence for Late Quaternary glaciation, it has received minimal research attention than other glaciated mountain systems. In order to determine glacial history and interpret past climate, we undertook geomorphological mapping and cosmogenic 10Be surface exposure dating in the two glaciated regions; Yestii and Khagiin Khar. Total 34 samples are taken from five moraine sequences for 10Be exposure dating. Four glacial stages for the Late Quaternary are identified on basis of morphostratigraphy and 10Be exposure age dating. i) The maximum extent; My1 terminal moraine sequence for Yestii is dated to 21.0 ± 4.6 ka and Mk1 for Khagiin Khar moraine is dated to 19.6 ± 1.9 ka (Last Glacial Maximum), ii) Mk2 moraine is defined to 16.9 ± 2.8 ka (Lateglacial), iii) Mk3 moraine is estimated to 12.1±0.1 ka (Younger Dryas), iv) Mk4 moraine is undated but predicted as the Holocene (~2200 m). The largest ice expansion in our study area is synchronous with the Global Last Glacial Maximum (gLGM). Our data suggest that warming right after the peak of LGM was preceded by abrupt cooler and/or unstable climatic conditions that may correlated to cooling of the North Atlantic (Heinrich events). During this time of interval glaciers in Khentey re-advanced and reached to their upper reaches more than twice; Lateglacial and Younger Dryas and possibly the Holocene. Although almost all glaciers in Mongolia including Khentey significantly advanced during MIS 2, the timing of the farthest advances is differed by region across Mongolia. Glaciers in Khentey expanded to their maximum position in MIS 2 when summer insolation reached at its minimum. Whereas, for the Khangay and Khovsgol, and Mongolian Altay MIS 2 advances were smaller than MIS 3 advances, that may have been triggered by cool-wet conditions. Furthermore, many of glaciers that are dated in Mongolian Altay descended to their minimum altitude during thermal-induced stage of MIS 4. Late Pleistocene Equilibrium Line Altitude (ELA) for all six moraine sequences were calculated using THAR (Toe to Headwall Altitude Ratio) method with MEM (Medium Elevation Method) and the ratio of 0.58 and Maximum Elevation of Lateral Moraine (MELM). The Pleistocene ELAs of the study area were estimated as ~2030-2260 m with THAR of 0.58. This value is ~0-100 m lower than Darhad basin, ~600-700 m lower than Khangay, 1000-1800 m lower than Altay Mountain Ranges. Former glacier ELA descended to their lowest limit (2032-2077 m a.s.l) during LGM. On the other hand, this significant lowering of ELAs in Khentey reveals that how glaciers in this region intensively advanced than other regions during MIS 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