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료노인주거시설의 거주환경에 대한 연구

        이현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2312

        우리나라는 지금까지의 경제성장으로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를 맞이하였고 이로 인해 사회구조에서 생활환경의 변화와 인구구조가 상당한 변화를 초래하였다. 과거와는 달리 맞벌이와 가족계획에 따라 유소년 층의 인구가 급격히 줄었고, 의학의 발달과 건강에 대한 관심으로 평균수명이 연장되면서 노년층의 인구는 크게 증가하여 2000년 현재 노인인구가 전에 국민의 7.1%로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2020년경에는 고령사회에 진입할 예정이다. 그러나 노인주거시설은 과거 복지정책의 일환으로 제공된 무료양로원과 최근에 개발되기 시작한 '실버타운'이라는 이름의 유료노인주거 시설만 있을 뿐이며, 현재의 유료노인주거 시설은 고층집약형의 시설로 단위주호에서는 다양성이 결여되어 있어 입주대상의 특성에 맞는 주거단위 평면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료노인주거 시설의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여, 현재의 유료노인주거 시설을 평가해봄으로써 앞으로의 유료노인주거 시설계획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노인주거시설에 관련된 문헌 중 단행본 4권과 학위 논문 3권을 선정하여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연구자가 직접 조사 시설을 방문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유료노인주거시설은 서울, 경기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오산의 R시설만 저층인 4층으로 37세대이며, 세 시설은 고층집약형으로 용인 N시설은 지상20층 269세대, S시설은 지상 14층 144세대, K시설은 지상 15층 109세대로 이루어져 있었다. 각 시설의 거주환경 평가점수는 N시설 67.4점, S시설 60.9점, K시설 68.7점, R시설 38.5점으로 N, S, K시실은 거주환경이 '양호'하였고, R시설은 '개선이 필요'하다. 영역별 평가결과는 옥외공간영역 62.1점, 건물 내부/외부 연결 영역 76.7점, 내부 공공 영역 61.8점, 주거 공공 영역 59.8점, 단위 주거 영역 51.3점을 얻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린다. 우리나라의 유료노인주거시설은 2003년 현재 전국에 31개가 있으며 초기의 전원휴양지형에서 점차 도심형이 많아져가며 규모는 대부분이 단동의 고층집약형이었으나, 노인들의 신체와 건강을 위해서는 중ㆍ저층의 클러스터 형태가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체크리스트를 통한 네 시설의 평가결과 공통적으로 옥외공간 영역과 단위주거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더 낮은 점수를 얻었다. 옥외공간 영역은 우리나라의 높은 지가 특성 때문인 것으로 보이며, 단위주거 영역은 유료노인주거시설이 특수한 형태의 공동 주택으로 공용 공간의 계획에 더 치중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앞으로 유료노인주택의 개발 시에는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옥외공간의 계획과, 단위주거 내에 취사가 가능하며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의 거동에 도움이 되는 보조 손잡이와 비상시를 대비한 비상벨을 각 실에 설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조사시설의 모든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계획상의 미비는 휠체어나 보행보조기구를 이용하는 노인을 위한 시설의 미흡이었다. 앞으로 유료노인주거의 계획에는 화장실이나, 욕실, 공동식당, 로비, 거실 등에서 휠체어를 사용하는 노인들을 위한 충분한 공간과 테이블 설치, 안전 손잡이를 설치하여야 할 것이다. Mushroom growth has brought a lot of changes of our lifestyle and Population Structure of Korea. The population is decreased continuously in childhood because of growing numbers of families in which both spouses work and the family planning. Because of the advances of the medical science and growing interest in health, however, the population of the aged is largely increased. As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eople expanded by 7.1 in 2000, Korea became an aging society and will become an aged society in 2020.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Housings for the elderly and even current Fee Charging Housing Facility is 'high-rise Apartment Housing Type' which has no diversity or multiplicity. It is necessary, therefore, to develop new housing unit plans for the requirement of the elderly. Accordingly,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ata for the Fee Charging Housing Facility development Plan in near future, developing a checklist for the Fee Charging Housing Facility Valuation.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to make a checklist of critical apparatus and to do a field survey. All facilities on this study is located Seoul and Gyeonggi. There is only one Low-Rise Housing Facility R, in Osan. Others are High-rise. R is 4 stories high, having 37 generations, but N in Yongin is 20 stories high, having 269 generations, S is 14 stories high, having 144 generations, and K is 15 stories high, having 109 generations. However,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Evaluation, N, S and K has good score compared with R. R has just 38.5 points, so that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facility. Outdoor Common Area Zone has 62.1, Indoor/Outdoor Contact Zone has 76.7 Indoor Community Activities Zone has 59.8 and The Residential Zone has 51.3.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followed: In 2003, there are 31 Fee Charging Housing Facilities in Korea. Suburban type retirement housing was in the early model, but it has been changed to urban type. Also a low-rise cluster type is better for the elderly than a high-rise type. The result of the valuation using the checklist shows that Outdoor Common Area Zone and The Residential Zone has lower score than others. It seems to high land price of Korea and concentrating too much on common area. As a result, there are three requirements of upcoming future Fee Charging Housing Facility Plan. 1. Improving and developing Outdoor Area Zone is required for various activities. 2. It has to provide a kitchen and to advance security facilities and system in the residential zone. 3.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nough spaces and auxiliary handles for disabilities such as an elderly person on the wheel chair before planning and designing a restroom or bathroom, common restaurant, lobby, living room etc.

      • High loading rate DAF 공정을 이용한 양식장 유출수 처리 효율 증대 방안

        최호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137

        국 문 초 록 양식업에 의한 수산물 생산량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이로 인해 발생하는 오염물질로 연안해역의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는 사육조로 재 유입되어 각종 질병과 어류의 집단 폐사를 유발한다. 현재 양식장 유출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기존의 하수처리 공정을 응용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여러 가지 측면에서 문제점이 발생한다. 효과적인 양식장 유출수 처리를 위해서는 수질 뿐 만 아니라 수량적인 부분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미세기포를 이용한 용존공기부상법은 입자성 물질을 좁은 공간에서 빠르게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새로운 양식장 유출수 처리 공정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식장에 미세기포를 적용하기 위해 해수에서 기포의 물리적 특성(기포의 크기, 발생량, 기포층 깊이)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수질 측면에서 양식장 유출수의 입자성 물질을 처리하기 위하여 실제 양식수를 통한 실험으로 탁도 제거 효율을 평가하였다. 또한 유출수의 수량을 컨트롤하기 위하여 High loading rate DAF 공정에 적용하였으며, 설계 및 운전인자 변경을 통해 입자성 물질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NaCl은 해수에서 전해질로 작용하여 기포간의 coalescence를 감소시키며, 이로 인해 기포의 크기가 소폭 작아져서 기포의 물리적 특성(기포의 크기, 발생량, 기포층 깊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운전 및 설계 조건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일정압력(본 연구에서는 3 atm)이상에서는 거의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기 때문에 염도에 의한 영향은 특별히 고려하지는 않아도 될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 양식장 유출수를 대상으로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입자성 물질(유실된 사료, 배설물)을 처리한 결과, 평균 98 % 이상의 탁도 제거 효율을 나타냈다. 또한 비교적 낮은 수리학적 부하율(10 m/hr)로 운전한 연속식 실험에서도 평균 95 % 이상의 처리 효율을 보였다. 따라서 양식장 유출수 처리의 수질적인 측면에서 미세기포를 이용한 방법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중·대형 양식장의 경우, 많은 양의 유출수를 배출하기 때문에 이를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리학적 부하율에서의 운전이 요구되므로, 동일한 반응조의 표면적에 유입 유량을 증가시켜 보았다. 반응조의 수리학적 부하율이 증가함에 따라 분리조에 형성된 기포층의 깊이가 깊어졌으며 평균 처리효율은 60 % 이하로 감소하였다. 이는 반응조 내의 하향유속의 증가로 분리조에 조밀도가 낮은 기포층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High loading rate DAF 공정에서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1) 설계인자(접촉조, 분리조의 체류시간) 및 2) 운전인자(회수율, 플록형성 시간)를 각각 변화시켜 보았다. High loading rate DAF 공정에서는 분리조에서의 체류시간보다 접촉조에서의 체류시간 확보가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접촉조에서 체류시간의 증가는 기포와 입자가 충돌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짐을 의미하며 분리조의 기포층 깊이가 충분히 유지될 경우, 접촉조의 체류시간이 처리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High loading rate DAF 공정에서는 회수율의 증가가 처리 효율 향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원수 유입량에 회수 유량이 더해져 최종적으로는 단위면적당 처리해야 할 유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플록형성공정의 체류시간이 길어짐에 따라(4단) 플록의 크기가 커지고 처리 효율도 향상되었다. 이는 플록의 크기가 작기 보다는 어느 정도 커져야 기포와 플록이 결합할 수 있는 면적이 커져서 효율이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진행 중인 양식장 수 처리 기술 개발 및 양식장에 특화된 High loading rate DAF 공정의 설계에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e trend of marine product from aquaculture industry is increasing annually, however it also creates polluted material to severely contaminate the coastal water. Furthermore, the pollutant causes various diseases and high mortality rate of the fish by reentering to rearing tank. Currently, various technologies applying conventional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are getting invented for the treatment of aquaculture effluent, but problems arise from several aspect. For the treatment of the effective aquaculture effluent, not only quality but also quantity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DAF process is emerging as the new aquaculture effluent treatment process due to its rapid treatment of particle substance in short footpri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acts of salinity on physical characteristics(bubble size, bubble volume concentration, bubble bed depth) of bubble applying DAF process in aquaculture system. And analysis of the possiblity of aquaculture effluent treatment such as particle substances. This research was also applying High loading rate DAF process for quantity of effluent control. And for efficiency improvement in High loading rate DAF process using design (detention time of contact zone and separation zone) and operating (recycle ratio and detention time of flocculation process) parameters. NaCl works as electrolyte in the sea water and reduces the coalescence between the bubble. And this bubble with slightly reduced the size influence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ubble (size, BVC, bubble bed depth). However, the size of the bubble small enough, and special consideration is not necessary. The batch test done on the synthetic effluent and actual effluent from aquaculture to measure the turbidity removal efficiency indicated average effectiveness over 98 %. Also when application of DAF process, it presented the effectiveness over 95 % in hydraulic loading rate 10 m/hr. Based on this results, it is estimated that DAF process can treat the particle substances in aquaculture effluent. However, in the case of medium & large fish farms prefer High loading rate DAF process to treat a large amount of effluent discharged. but unlike conventional DAF, with increasing loading rate, bubble bed depth becomes deeper and removal efficiency decrease. This is because increasing downstream water velocity due to increasing hydraulic loading rate formation of bubble bed which has low compactness. For efficiency improvement, change of detention time in contact zone, separation zone, increasing recycle ratio, and floc size through change of detention time in flocculation basin in High loading rate DAF process. The depth of separation zone intact, increasing depth of contact zone leads to higher removal efficiency. Long detention time in contact zone means better collision opportunity between particle and bubble. Generally, separation zone was considered as a key factor in High rate DAF. From this result, with a certain depth of bubble bed depth in separation zone detention time of contact zone can affect removal efficiency considerably. Increasing recycle ratio was not affect to improving removal efficiency in High rate DAF process. In contrast increasing detention time through change of flocculation stage from 2 to 4 higher removal efficiency. With more number of stages, floc size increases. From this results, bigger floc can provide higher collision opportunity with bubble due to its bigger a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basic data of ongoing development of effluent treatment and design & operating parameters in High loading rate DAF process will be available.

      • Virtual Worlds as Contact Zones: Development, Localization, and Intergroup Communication in MMORPGs

        Vichot, Rhea Antonia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University of Sout 2019 해외박사(DDOD)

        RANK : 232076

        This dissertation interrogates the structure and communication of members within and around online communities based on virtual worlds. Virtual worlds are conceived using the model of the contact zone (Pratt, 1991) as the basis for examin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developers and users of virtual world environments. An MMORPG, Final Fantasy XIV, is used as a case study. The dissertation examines the role of the development team as they communicate with players the changes and additions to virtual worlds using various platforms. The role of lore and localization of narrative material is considered as to how it helps to establish the contact zone and as a mode of communication between developers and players and among players. Finally, communication between players is examined within the virtual world and over paratextual platforms, using thematic analysis and practices on community generated content using game mechanics as a mode of communication among players which transcend language barriers. The dissertation conceives of a virtual contact zone that transposes contact zones to look at online games and virtual worlds and also expands the conception of the contact zone across various digital spaces to expand the notion of social spaces and how issues of nationality, language, and economic class play a role in participation in online communities.

      • 개성공단 경제특구의 작업장 문화

        강미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32011

        개성공단은 북한의 경제개혁 조치인 2002년 「7.1 조치」를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2004년 시범단지 사업을 시작으로 현재 123개의 남한 기업에 5만 3천여 명의 북측 노동자들이 고용되어 있으며, 남한의 자본과 북한의 노동력이 결합된 경제 사업이다. 개성공단은 남북 간 화해와 번영을 목적으로 양 정부의 정치적 합의에 의해 시작된 경제협력 사업이다. 또한 개성공단은 북한의 정책적 기술에 따라 세제혜택 등의 제도적 특혜가 적용되고 특별히 구획화 된 경제특구이다. 따라서 개성공단은 남북 분단의 정치적 특수성을 배태한 경제협력의 성격이 두드러진 경제특구 사업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개성공단은 서구(1세계)-비서구(3세계) 결합의 경제특구와 경제개방·개혁 목적의 중국·베트남 경제특구와는 차별성을 보이는 특수한 경제특구이다. 앞의 두 가지 형태의 경제특구는 경제적 위계관계와 불평등 관계에 기반하여 형성되는 데 반해, 개성공단 경제특구는 남북협력이라는 정치적 목적에 기반하여 행위자 간 평등한 협상과 접촉의 평등적 관계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자본주의 경제체계 하에서의 일반적인 경제특구와는 차별성을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개성공단 경제특구의 특수성에 기반하여 남북 노동행위자들이 구축해온 개성공단 작업장 문화의 진화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개성공단에서의 현지조사의 제약 때문에 주로 문헌조사와 개성공단 작업장 참관 그리고 심층면접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심층면접 연구참여자는 남측 입주기업 및 관리위원회 관계자와 북한에서 노동경험이 있는 북한이탈주민이다. 개성공단은 분단의 정치적 특수성으로 인하여 체제의 충돌과 긴장이 잠재해 있으며, 언제 어떠한 제재가 내려질지 모르는 불예측적이고 불안정한 구조이다. 또한 남북의 체제와 문화의 차이는 상호간 충돌과 갈등의 요소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입주기업들은 작업장의 이러한 구조적 한계를 완화하고 안정적으로 생산활동을 유지하기 위하여 ‘안정화 기제’를 고안하였고, 그것이 개성공단 작업장 문화로 구축되고 있다. 안정화 기제의 작업장 문화가 남북의 이데올로기 충돌과 정치적 갈등·긴장이 상존하는 개성공단의 구조적 제약을 해소할 수는 없다. 그러나 본 논문은 남북노동행위자들의 대면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형성된 안정화 기제들이 정치적 영향력에 의한 개성공단 작업장의 위기를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음을 밝히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 정부는 개성공단 경제특구를 남북의 화해와 공존을 위한 민족적 숙원사업으로 담론화하여 경제적 이해보다는 정치적 의미와 가치를 중요시하였다. 북한 정부는 이데올로기적 통제방식을 중심으로 자본주의 체제 확산 방지를 위한 내적단속과 통제를 강화하는 통치기술을 적용하였다. 또한 개성공단은 자본주의-사회주의 국가 간 결합의 경제특구가 체제개방·개혁으로 이어지는 일반적 경로를 따르지 않는다는 점에서 자본주의 경제시스템을 따르는 일반적인 경제특구와는 차별적인 개성공단 경제특구의 특수성을 보여준다. 둘째, 개성공단 작업장의 노동력 구성은 여성노동력이 절대적 다수를 차지하는 노동의 여성화 현상이 뚜렷하며,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체계가 결합된 개성공단에서도 성적고정관념과 성별직종분리현상이 뚜렷한 성별화된 노동구조가 고착되고 있다. 그러나 개성공단은 북한의 집단주의 노동관과 개인적 성과중심의 자본주의 노동관이 혼재된 작업장 문화와 수평적 노사관계라는 구조적 특성을 보인다. 셋째, 입주기업들은 남북의 정치적 갈등과 가치 충돌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생산활동을 유지하기 위한 관리방식을 통해 작업장의 안정화 기제를 발전시키고 있다. ‘투 트랙 체제(two-track system)’로 명명될 수 있는 노동관리 방식과 문화전략을 적용한 다양한 제도적·문화적 안정화 기제들이 시행착오를 거쳐 개성공단 작업장 문화로 구축되고 있다. 개성공단 작업장 문화는 상이한 체제와 문화가 공존하는 접촉지역의 문화적 창조성과 민족적 동질성에 기초한 남북 노동행위자들의 대면적 접촉의 상호작용에 근원하고 있음을 밝혔다. 본 논문에서는 북한 연구의 제한적 특성상, 개성공단 작업장 문화를 형성하는 주요 행위자인 북측 노동자들의 경험은 반영되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성공단 작업장 문화는 작업장 노동주체들의 상호작용과 노동의 일상적 경험들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개성공단과 같은 남북경협 사업이나 남북 통합의 과정에서 정치적 거시구조와 담론의 틀에서 벗어나서 논의와 사고의 틀을 확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적대관계였던 남북이 결합하여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고 갈등을 조정·융합하는 과정을 통해 남북 간 상이한 두 경제체제의 공존 가능성과 점진적인 경제통합 가능성의 함의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 남북한 출신 청년이 만드는 접촉지대의 문화번역과 협력적 생애사 : A 독서모임을 중심으로

        Hidaka, Sawako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010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different shapes of power dynamics and identities that are constructed, exchanged and modified within a contact zone between young South Koreans and young North Koreans. Conducting a fieldwork on a book club organized by these young people called “Book Club A,” it finds that the gathering is a place of daily and micro-cultural activities where the cultural medium of books allows its members to share views. The club serves as a physical space of contact for the two groups of young Koreans and also deepens, psychologically and cognitively, their understanding of each other. The number of North Koreans who have defected to South Korea exceeded 30,000 in 2017. Ever since, South Korea has searched for ways to better support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s to "coexist". A series of developments in the two Koreas’ 2018 international relations, including the inter-Korean summit and the North Korea–United States Summit, has heightened much of the South Korean society’s interest in its Northern counterpart. Some in the South have advocated that North Korean defectors should be integrated into South Korea referring to their shared ethnicity. Indeed, South Korea has been an active party of the inter-Korean relations in a macroscopic sense, and yet it has overlooked the fact that there emerged another form of inter-Korean relations at a microscopic level – that between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 defectors. This thesis attempts to translate the varying terms through which the young people of two Koreas build their relationships in a cultural space of a book club, and to inquire into the ensuing changes in how they identify themselves in the course of such development. It employs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o reveal what conventions are mutually understood by the members and what their respective locations imply. It may be safe to assume that young South Koreans are the majority while the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are minority in the South Korean society. And it is an uncontested fact that power relations between them already exists in many areas. Book Club A becomes a space inconsistent with the outside world. Books lay the foundation for conversations led by shared interests while the formality and rituals set by the club endorse equitable social membership. Here in this quotidian and microscopic space, all members, those native to South Korea and those who defected from the North alike, encounter and practice mutual recognition that cannot be experienced beyond its doors. Also, the discussion about books is based on their life experience, which heals them related to the historical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and forms mental bond between them. This process can be analyzed through the concept, Collaborative Life History as well as the example of German reunification and separated Korean people. Book Club A is different from public institutions in that it does not provide financial supports to the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South Korean society. Its impact, after all, lies in offering the young North Koreans with the experience of social recognition and interaction that are as crucial to a settlement in the Korean society as is any public support. The presence of this space has a great social significance; it signals to the young generation of the Korean society, whose ethnic diversity exhibits continuous growth in the face of globalization,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minorities of their society. 본 연구는 남북한 출신 청년들이 A 독서모임이라는 문화적 접촉지대에서 역동적인 권력 관계와 정체성을 만들어내고 그것을 서로 교환하며 변화시키는 모습을 분석(번역)하는 연구이다. 연구현장인A 독서모임은 책이라는 문화적 장치를 통해 의견을 나누는 일상적이고 미시적인 문화활동의 장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A 독서모임을 단순히 한국과 북한 출신 청년이라는 두 집단이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공간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서로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켜나가는 심리적, 인지적 공간으로서의 문화적 접촉지대로 본다. 한국에서는 북한이탈주민 3만 명 세대라고 불리던 2017년쯤부터 본격적으로 북한이탈주민과 한국 사람이 ‘상생’하기 위한 방향성이 계속해서 모색되어 왔다. 특히 2018년에 들어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이 연이어 개최되는 등 국제관계가 요동치는 가운데 한국 사회에서는 북한에 대한 관심이 한층 더 높아지고 있다. 한편 한국 사회에서는 민족성을 언급하면서‘한국 사람’인 북한이탈주민을 ‘우리’안에 편입시켜야 하는 존재로 보는 시선이 존재한다. 또한 국제관계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볼 때 한국은 남북관계의 주체라고 하지만 국내라는 미시적인 관점에서 볼 때 한국 사람과 북한이탈주민 간의 작은 남북관계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A 독서모임이라는 문화적 공간에서 남북한 출신 청년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관계를 맺어가는 모습과 그들의 변화하는 정체성을 참여 관찰과 심층 면접을 통해 분석(번역)하고 일상적인 현장에서의 남북한 출신 청년의 상호이해와 그들의 위치가 시사하는 의미를 밝혔다. 한국 사회에서 한국 출신 청년은 다수를 차지하며 북한이탈주민인 북한 출신 청년은 소수자인 것은 사실이다. 이들 간에는 여러 분야에 걸쳐 권력 관계가 이미 존재한다. 그러나 A 독서모임에서는 책이라는 문화적 매개체를 통해 그들 간의 대화를 가능케 한다. 또한 동등한 사회적 동료로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의례를 토대로 남북한 출신 청년은 일상적이고 미시적인 공간에서 외부 사회에서는 경험하지 못하는 상호인정의 관계를 실천하고 있다. 또한A 독서모임에서 이루어지는 토론과 논의는 개개인의 인생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역사적인 분단, 민족의 이산 등의 경험으로 인한 고통과 고독감이 치유되고 구성원 간에서의 공동체성이 생기는 효과를 낳는다. 이러한 과정은 독일통일과 한민족 이산의 사례와 같이 협력적 생애사라는 개념으로 해석할 수 있다. A 독서모임은 공공기관의 지원정책과는 달리, 북한 출신 청년을 경제적으로 지원하지는 못하지만, 한국 사회에 정착하는 데에 있어 경제적 지원 못지않게 중요한 사회적 인정의 감각과 소통의 경험을 제공해준다. 이것은 앞으로도 지구화로 인해 다문화사회가 진행될 한국 사회를 만들어가는 주체인 청년에게 소수자와의 교류와 소통의 가능성을 깨닫게 해준다는 사회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 도시언어사용자로서 영어 학습자 정체성 연구 : 국내 대학생의 온라인 학습 사례연구로부터

        김세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1976

        In the postmodern globalization era, people with different language and ethnic backgrounds interact with each other on a daily basis. The online sphere blurs geo-political borders and enables users to access a wide range of global communities. People can now easily congregate in international groups online based on their hobbies or passions rather than being limited by shared nationality, language, or ethnicity. The growth of such contact zones has drawn the attention of applied linguistics scholars who seek to examine a new type of language use that has simultaneously emerged. In these spaces, speakers frequently utilize multiple languages, including English as the lingua franca, mixing them in a hybrid form. Such mixing pays no regard to grammar distinction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nd often is done simply for the cool factor. The essentialist point of view on language use which distinguishes mother tongue and second language, native and non-native speaker becomes obsolete and inapplicable in understanding such dynamic language users. English as the lingua franca and the identity of its users have not yet received much attention in Korean studies of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A large part of Korean studies in the discipline have focused on motives relating to neoliberalism, highlighting language learners whose primary drive to study English is to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for school admission or career prospects. This leaves a number of questions for additional study. Are there English learners who are motivated to study the language for a personally meaningful cause? If so, in what ways do they learn and practice English? This paper takes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to these questions using the case studies of three English learners with Pennycook’s metrolingualism as the main framework. Expanding the concept of a metropolitan city into an online space where the interactions among speakers of different linguistic and cultural backgrounds take place, this research explores the ways in which the participants performed and practiced language(s) based on specific contexts and relations. Among the many characteristics of metrolinguals that Pennycook suggests, five attributes were considered to interpret language use and identity: everydayness, multi-tasking, playfulness, re-localization, and fluidity and fixity of identity.  This study found that each participant was motivated to learn English largely due to their fascination with Western pop culture during their teen years. Desire to learn more about pop music and online games led them to actively utilize online content while engaging with other online users who share the same passion. During this process, English learning and practice occurred in an organic way. All three research participants demonstrated the characteristics of a metrolingual of learning and practicing English as part of everyday life; utilizing and mixing the language resources that best fit a specific situation; choosing to use a certain language over another for hip factor and incorporating it as part of self expression; re-localizing the content of another culture; and exhibiting a fluid language identity while also highlighting the fixed identity of being a Korean speaker at times for strategic reasons.  This paper sheds light on methods of daily language learning for purposes that are outside the scope of previous studies and identifies ways in which learners can exp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others through language learning. While neoliberal scholarship continues to predominantly focus on English learning in the context of schools, institutions, and testing,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provide an example of Koreans actively learning English for the purpose of engaging in a community of multilingual participants with shared cultural interests. As Korea and the world become increasingly interconnected, multicultural, and interdependent with the global syste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llustrates new potential ways to facilitate language learning outside of traditional venues. This study also highlights the need for future research into novel ways of language learning and adaptation in new socio-linguistic contexts to embrace a learning environment that is more receptive towards multilingual speakers. 후기-세계화 시대에 접어 들면서 우리는 점점 더 빈번하게 다양한 언어 민족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교류하는 공간과 상황을 일상적으로 조우하게 되었다. 특히 국경의 구분이 무색해지는 온라인상의 공간에서 누구나 손쉽게 관심 분야의 정보를 원하는 언어로 취하고, 그 흥미를 공유하는 이들과 국가, 언어, 민족적 경계를 넘어 유대함으로써 이러한 ‘접촉 지대’에 출현하는 새로운 형태의 언어 사용에 학계는 주목하였다. 링구아 프랑카로서의 영어를 비롯한 여러 언어가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문법을 무시하고 뒤섞이거나, 그저 ‘쿨’해 보이기 위해 유희적으로 사용되는 등, 기존의 본질주의적 관점에서 모어/외국어, 원어민/비원어민 등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없는 역동적인 언어 사용자들이 등장한 것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이러한 링구아 프랑카로서의 영어 담론 및 그 사용자 정체성에 대한 연구가 풍부하게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신자유주의의 기제 하에서 진학과 취업 등의 목표를 위해 영어를 학습하고 TOEIC 등의 언어 시험을 통해 평가받는 주체들에 대한 논의가 주로 이루어졌을 뿐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주류 담론에 예속되지 않은 채 자신에게 유의미한 영어 학습을 추구하는 학습자 주체가 존재하는지, 그렇다면 그들은 어떤 방식으로 영어를 배우고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질문하게 되었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Pennycook의 도시언어현상(Metrolingualism) 이론을 중심으로 국내 영어 학습자 3명을 질적으로 사례연구 하였다. 위에서 언급한 접촉 지대를 온라인 공간까지 확장된 ‘도시적 공간’, 즉 다양한 언어문화적 배경을 가진 이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공간으로 간주하고, 그 안에서 그들이 어떻게 영어를 맥락과 관계에 기반 하여 ‘수행’ 및 ‘실천’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Pennycook이 제시한 도시언어사용자의 속성 중, 일상성, 멀티태스킹, 유희성, 재지역화, 유동성과 고정성을 범주로 삼아 연구 참여자들의 언어 사용 양상 및 정체성을 해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각자가 청소년기 때 매료된 영미권 음악 및 게임에 몰두하는 과정에서 온라인상의 콘텐츠를 통해 스스로 영어를 학습하였고 비슷한 관심사를 공유하는 이들과 소통하고자 하는 열망과 함께 영어를 사용해 왔음을 볼 수 있었다. 도시언어사용자로서 이들은 영어를 정복 목표물이 아닌 일상적으로 학습하고자 했고, 자신의 언어 자원들을 상황에 따라 멀티태스킹 적으로 혼용했다. 더 ‘힙’한 언어를 일종의 장식물처럼 선택하여 자기표현의 일부로 활용하기도 하고 게임이나 음악을 재지역화 작업하여 선보이기도 했다. 한편 특정 상황에서는 전략적으로 자신의 한국인 화자 정체성을 드러내기도 했는데, 이는 도시언어사용자의 유동적이면서 고정적인 언어 정체성을 적절히 보여주는 예이다. 본 연구는 언어 학습과 실천을 통해 성장하며 자기 확장을 경험한 이들을 조명함으로써 언어를 더 이상 학교, 기관, 평가의 영역이 아닌 개인의 정체성에 관여하는 삶의 일부로 바라보고자 했다. 자신이 소속하고 싶은 문화적 공동체에 참여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다중 언어를 사용하고, 기존의 주류 언어 담론에 저항하면서 자기를 재구축하는 이들의 모습은 현시대에 퇴색되어버린 언어 학습의 본래 의미에 큰 시사점을 제시한다. 앞으로 이러한 주체적인 언어 사용자들이 등장하며 그려낼 창발적인 도시 언어실천 모습을 상상하며, 그들이 구성하는 다면적인 언어 정체성에 주목하는 사회언어적 연구가 국내 언어 학습 및 수행 현장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 Orthokeratology Contact Lens의 직경변화가 굴절이상도와 각막형태에 미치는 영향

        김미영 을지의과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01262

        Orthokeratology는 RGP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각막곡률을 변화시켜 근시도를 일시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수술에 의한 근시 교정술은 만족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수술 후 굴절이상도를 변경할 수 없다는 제약이 따른다. 요즘 이 점을 보완하여 수술하지 않고 각막형상을 변화시키는 orthokeratology 콘택트렌즈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orthokeratology 콘택트렌즈의 직경변화가 굴절이상도와 각막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안질환이 없고 건강한 성인 16명(31안)을 대상으로 직경이 다른 두 가지의 수면착용 orthokeratology 콘택트렌즈(10.0mm, 11.2mm)를 착용시키고, 렌즈 착용 전, 렌즈 착용 후 1일 및 7일에 각각 자동 굴절검사, 각막곡률검사, 자각식 굴절검사 및 각막형태검사를 실시하였다. 두 가지 직경의 렌즈에서 나안시력의 개선 및 자각식 굴절검사에 의한 등가구면 굴절이상도의 감소는 차이가 없었고, 자동굴절검사에 의한 등가구면 굴절이상도의 감소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573, p=0.001). 각막난시의 변화도는 직경이 큰 렌즈에서 감소하고 직경이 작은 렌즈에서는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794, p=0.008). 렌즈 착용 일주일 후 자동각막곡률계로 측정한 평균 곡률반경(t=-3.586, p=0.001), 약주경선 곡률반경(t=-5.452, p=0.000) 및 강주경선 곡률반경(t=-5.117, p=0.000)의 변화량은 직경이 큰 렌즈에서 더 커졌다. 각막두께의 변화도는 중심부에서 감소하고 주변부에서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149, p=0.001). Treatment zone의 넓이는 직경이 작은 렌즈보다 큰 렌즈에서 좀 더 넓었다(t=-2.751, p=0.006). 이상으로부터 10.0mm 직경의 렌즈와 비교하여 11.2mm 직경의 렌즈가 나안시력의 개선 및 근시도의 감소 효과는 차이가 없으나, 각막곡률의 변화 및 눌리는 부위의 증가로 좀 더 안정된 근시감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임상에서 문제점 해결을 위한 피팅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요망된다. Orthokeratology is a method of temporarily decreasing myopia by changing the corneal curvature using RGP contact lens. Myopia correction via surgical procedure can produce satisfactory result, but it is accompanied by the restraint that refractive error after the surgery cannot be corrected. Recently, interest is being focused on orthokeratology contact lens that complements this limitation and changes the corneal shape without surgery In this study,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s change in diameter of orthokeratology contact lens has on refractive error and corneal shape, 16 healthy individuals with no eye diseases were fitted with two different types of overnight orthokeratology contact lens with different diameters(10.0mm and 11.2mm) and auto refractometer, auto keratometry, subjective refraction, and ORBSCAN topography/pachymetry were performed for each individual before wearing the contact lens, 1 day after wear, and 7 days after wearing the contact lens. In the lens with different diameter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improvement of visual acuity or in reduction of refractive error measured by subjective refraction, a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refractive error measured by auto refractometer(t=-3.573, p=0.001). Corneal astigmatism decreased in lens with greater diameter, and increased in lens with smaller diameter,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2.794, p=0.008). The change in mean K-reading(t=-3.586, p=0.001), flat K-reading(t=-5.452, p=0.000), and steep K-reading(t=-5.117, p=0.000) measured using autokeratometer at one week after wearing the lens was flatter in the lens with greater diameter. Corneal thickness decreased in the central region and increased in the periphery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t=3.149, p=0.001). The width of treatment zone was slightly wider in the lens with greater diameter than in lens with smaller diameter (t=2.498, p=0.013). From the above results, although lens with 11.2mm diameter did not have differences in effect of improving visual acuity or decreasing astigmatism compared to lens with 10.0mm diameter, with changes in corneal curvature and increase in the region of pressure, it is believed to be able to provide stable myopia reduction effect and further studies that can be applied in the fitting process for solving clinical problems are anticip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