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력단절 재취업여성의 취업 욕구와 직장만족도의 관계

        민은숙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285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need and workplace satisfaction of career-interrupted reemployment wome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mployment need of career-interrupted reemployment women? Second, what is the workplace satisfaction of career-interrupted reemployment women?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need and workplace satisfaction of career-interrupted reemployment women? The questionnaires for this study were conducted on reemployment women who experienced career interruptions. A total of 4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83 were returned as valid; these were used in the study’s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reer-interrupted reemployment women prefer to work full-time due to the stability of employment and social awareness during career interruption period, and in particular, career-interrupted women with highly educated desire employment to satisfy internal needs such as self-realization and social role rather than income. In addition, career-interrupted women who have children chose reemployment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to be economically beneficial to the household. Second, currently, full-time career-interrupted reemployment women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workplace satisfaction because their working conditions such as wages, working environment and employment retention are more stable than non-regular workers. In general, a job that requires a high level of education means that it has professionalism, suggesting that workplace satisfaction is higher than that of simple workers. Third, when the career-interrupted reemployment women return to the labor market, it is more satisfying if they can achieve self-realization, be recognized by others and society, and continuously develop themselves, rather than by involuntary choice for livelihood.

      • 한국 직장여성의 일상 상황별 추구하는 자기이미지와 선호 패션스타일과 색채

        홍혜림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32282

        현대사회의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다른 사람을 보면서 이미지나 인상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때 의복이 중요한 단서가 되기 때문에 사회활동을 하는데 있어 상황에 맞는 패션스타일을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활동을 활발히 하는 젊은 직장여성에게 의복은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이기 때문에, 의복에 대한 소비행태도 개성에 맞춰 다양해졌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직장여성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25-34세 직장여성의 일상 상황별로 추구하는 자기이미지와 선호 패션스타일과 패션색채의 특성을 규명하여 이를 포지셔닝 맵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해 25-34세 직장여성의 특성, 일상 상황과 패션스타일, 자기이미지에 대하여 고찰하고, 심층면접을 통해 직장여성의 일상 상황과 상황별 추구하는 자기이미지와 선호 패션스타일, 패션색채에 대한 기초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자기이미지 형용사 어휘 21개와 여성복 브랜드 14개를 조사하여 수집한 패션스타일 자극물 24개와 패션색채 48개를 척도로 하여, 서울/경기지역에서 근무하는 25-34세 직장여성 329명을 대상으로 2016년 5월 온라인 리서치 방식으로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와 심층면접을 통해 25-34세 한국 직장여성의 일상 상황을 공적상황과 연계된 외부 미팅이나 프레젠테이션, 평상시 근무, 복합상황과 연계된 결혼식이나 가족모임, 이성과의 소개팅이나 데이트, 그리고 사적상황과 연계된 친한 친구나 지인과의 만남의 5가지 상황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직장여성이 일상 상황에서 추구하는 자기이미지는 ‘품위있는’, ‘활동적인’, ‘화려한’, ‘여성스러운’, ‘평범한’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직장여성이 보편적으로 추구하는 자기이미지는 품위있는, 활동적인 이미지로 나타난 반면, 화려한 이미지는 전체적인 추구 정도가 낮은 편이었다. 품위있는 이미지는 외부미팅이나 프레젠테이션 상황에서, 활동적인 이미지는 친한 친구나 지인과의 만남 상황에서 가장 높게 추구되었다. 여성스러운 이미지는 이성과의 소개팅이나 데이트 상황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외부미팅이나 프레젠테이션, 평상시 근무 상황에서 추구 정도는 낮았다. 평범한 이미지는 평상시 근무 상황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직장여성이 일상 상황에서 선호하는 패션스타일은 ‘매니쉬’, ‘로맨틱/내추럴’, ‘섹시/아방가르드’, ‘엘레강스/클래식’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는데, 5가지 일상 상황 전체에서 엘레강스/클래식 스타일이 가장 높게 선호된 반면, 섹시/아방가르드 스타일이 가장 낮은 선호도를 나타냈다. 매니쉬 스타일은 평상시 근무 상황과 친한 친구나 지인과의 만남에서는 선호되었으나, 이성과의 소개팅이나 데이트 상황에서는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였고, 로맨틱/내추럴 스타일은 친한 친구나 지인과의 만남 상황에서 선호도가 높았지만, 외부미팅이나 프레젠테이션 상황에서는 선호도가 낮았다. 넷째, 직장여성이 일상 상황에서 선호하는 패션색채는 전체적으로 검정과 흰색의 선호도가 가장 높아 직장여성은 무채색 의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채색에서는 직장과 관련된 공적상황일수록 선호 패션색채가 단조로웠으며, 사적상황인 친한 친구나 지인과의 만남 상황에서는 가장 다양한 색상과 색조가 선호되었다. 이성과의 소개팅이나 데이트 상황은 빨간색 계열의 선호도가 가장 높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상의는 흰색이나 고명도 색채의 선호도가 높았던 반면, 하의는 주로 검정이나 어두운 남색이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나 직장여성은 밝은 색 상의에 어둡고 차분한 색 하의가 조화롭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직장여성의 일상 상황별 추구하는 자기이미지와 선호 패션스타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5가지 일상 상황 전체에서 품위있는 이미지를 추구할수록 엘레강스/클래식 스타일을 선호하고, 화려한 이미지를 추구할수록 섹시/아방가르드 스타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니쉬 스타일은 이성과의 소개팅이나 데이트 상황에서 평범한 이미지를 추구할수록 선호도가 높아졌으나, 여성스러운 이미지를 추구할수록 선호도는 낮아졌고, 친한 친구나 지인과의 만남 상황에서는 평범한 이미지를 추구하거나 품위있는 이미지를 추구할수록 매니쉬 스타일 선호도가 높아졌다. 여성스러운 이미지와 대부분의 상황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로맨틱/내추럴 스타일은 외부미팅이나 프레젠테이션, 이성과의 소개팅이나 데이트 상황에서는 화려한 이미지를 추구할수록 선호도가 높아진 반면, 결혼식이나 가족모임, 친한 친구나 지인과의 만남 상황에서는 평범한 이미지를 추구할수록 선호도가 높아져 상황에 따라서 추구하는 자기이미지와 선호 패션스타일의 관계가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25-34세 직장여성들은 일상 상황별로 각기 다른 선호도를 보이기보다는 보편적으로 추구하는 자기이미지로 품위있는, 활동적인 이미지와 선호하는 패션스타일로 엘레강스/클래식 스타일, 패션색채로 검정과 흰색이 있으며, 그 외 자기이미지나 패션스타일, 패션색채는 상황에 따라서 추구하거나 선호하고 기피하기도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일상 상황별로는 외부미팅이나 프레젠테이션 상황에서 자기이미지 중 품위있는 이미지, 패션스타일은 엘레강스/클래식 스타일의 선호도만 높고, 검정, 흰색과 남색만 선호된 것과 대조적으로 친한 친구나 지인과의 만남 상황에서는 대부분의 자기이미지와 패션스타일이 평균 점수 이상이고 패션색채도 가장 다양한 색상과 색조가 선호되어 직장여성은 외부미팅이나 프레젠테이션 상황을 가장 보수적인 상황으로 인식하고 친한 친구나 지인과의 만남 상황은 가장 편안하고 자유로운 상황으로 여긴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별 차이는 공적, 사적, 복합상황의 기준보다 더 세부적으로 직장 내부와 직장 외부와 같은 장소적 측면, 만나는 사람의 성별 측면, 그리고 만나는 사람과의 친밀도 측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25-34세 직장여성들의 일상 상황별 추구하는 자기이미지와 선호 패션스타일과 패션색채의 관계를 규명하고, 그 결과를 포지셔닝 맵으로 제시함으로써 패션산업에서 활용 가능한 정보를 도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In modern society, people can create image and impression from seeing other people in daily life. At this time, it is critical to wear suitable fashion style in societal activities because clothes is a vital clue. As clothes is a tool to express their personality for young career women who socialize well,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has been diversified according to their own personality. Therefo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seeking self-image, preferred fashion style and characteristics of fashion color according to daily situation for career women who are 25 to 34 years old with the highest percentage of working women, and to suggest that as positioning map. The study explored 25 to 34 year old career women's characteristics, their daily situation and fashion style, and self-image through literature review. A basic investigation of career women's daily situation, seeking self-image, preferred fashion style, and fashion color according to situation was conducted by employing in-depth interview, then a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at. The measurem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wenty one items of self-image adjective were extracted from existing studies, and twenty four items of fashion style stimulus and forty eight items of fashion color were collected by examining fourteen female clothing brands.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329 career women who are 25 to 34 years old working in Seoul/Gyeonggi area in May 2016.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25 to 34 year old career women's daily situation was classified as five situations from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 public situation such as external meeting and presentation, ordinary work, complex situation such as wedding and family gathering, blind date or date, private situation such as meeting with friends and acquaintances. Second, career women's seeking self-image in daily situation was classified as five types such as 'elegant', 'active', 'glamorous', 'feminine', and 'ordinary'. The results showed that career women generally sought elegant and active self-image, however, the extent of seeking glamorous self-image was low. The results indicated that 'elegant' seeking self-image was the highest level in external meeting and presentation, and the 'active' seeking self-image was the highest level in meeting with friends and acquaintances. Also, it showed that the 'feminine' seeking self-image was the highest level in blind date or date, however, it was low in external meeting and presentation, and ordinary work. Additionally, the 'ordinary' seeking self-image was the highest level in ordinary work situation. Third, career women's preferred fashion style in daily situation was classified as four types;'mannish', 'romantic/natural', 'sexy/avant-garde', 'elegant/classic'. Among five daily situations, 'elegant/classic' style was most preferred, however, 'sexy/avant-garde' style was preferred lower than any other styles. 'Mannish' style was preferred in ordinary work situation and meeting with friends and acquaintances, however, it was shown as the lowest level of preference in blind date or date. 'Romantic/natural' style was highly preferred in meeting with friends and acquaintances, however, it was shown as low level of preference in external meeting and presentation. Fourth, career women's preferred fashion color in daily life was shown as the highest level of preference for black and white, which indicated that career women preferred achromatic color clothes. In chromatic color clothes, preferred fashion color was flat color in public situation related to work, however, various hue and tone was preferred in private situation such as meeting with friends and acquaintances. Also, the result showed a distinguished result such as high level of preference for red color in blind date or date. White and bright color for the top was highly preferred, however, black and navy color for the bottom was preferred. It means career women tend to consider that bright color for the top and dark and flat color for the bottom is harmonious. Fifth,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ship between career women's seeking self-image according to daily situation and preferred fashion style are as follows. As career women sought more 'elegant' self-image in all five daily situations, 'elegant/classic' style was more highly preferred, and as they sought more 'glamorous' self-image, 'sexy/avant-garde' style was more highly preferred. As they sought more 'ordinary' self-image in blind date or date, 'mannish' style was more highly preferred, however, as they sought more 'feminine' self-image, 'mannish' style was lowly preferred. In addition, as they sought more 'ordinary' and 'elegant' self-image in meeting with friends and acquaintances, 'mannish' style was highly preferred. 'Romantic' style generally had a positive correlationship with 'feminine' self-image. As they sought more 'glamorous' self-image in external meeting and presentation, and blind date or date, 'romantic' style was highly preferred, however, as they sought more 'ordinary' self-image in wedding and family gathering, and meeting with friends and acquaintances, 'romantic' style was highly preferred. It indica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eking self-image according to situations and preferred fashion style is variable. In summary, 25 to 34 year old career women generally sought ‘elegant’ and ‘active’ self-image, preferred ‘elegant/classic’ style, and black and white fashion color, and also had characteristics to seek, prefer or avoid a certain self-image, fashion style, and fashion color according to situations. In daily situation, they sought 'elegant' self-image and preferred 'elegant/classic' fashion style in external meeting and presentation. Most self-image and fashion style was ranked higher than average and various fashion color was preferred in meeting with friends and acquaintances. It can interpret that career women consider external meeting and presentation as the most conservative situation, however, meeting with friends and acquaintances as the most comfortable and relaxed situation. More specifically,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situations were shown differently in terms of location aspects such as inside office or outside office, gender aspects of people who they meet, and closeness aspect of people who they meet rather than the criteria such as public, private and complex situation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providing practical information to utilize in fashion industry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among seeking self-image according to daily situation, preferred fashion style, and preferred fashion color for 25 to 34 years old career women, and by suggesting the results as positioning map.

      • '사람을 돕는 직업군(helping professions)' 중년기 여성의 진로 전환 경험

        김미령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2280

        국문 요약 ‘사람을 돕는 직업군’ 중년기 여성의 진로 전환 경험 본 연구는 생애 이야기 속에서 드러나는 중년기 여성의 ‘사람을 돕는 직업군(Helping professions)’ 진로 전환 경험을 분석하고 사회적 맥락과 내면적 경험을 심리 체계적 접근 속에서 탐구한다. 이를 토대로 중년기 여성의 진로 전환을 위한 목회적 돌봄과 상담코칭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중년에 ‘사람을 돕는 직업군’으로 진로 전환을 한 7명의 기혼 여성들이며, 자료는 Schütze의 생애사적-이야기식 방법을 통해 수집 되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첫째, 생애사 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연대기적 주제 도출을 위해 Rosenthal의 내러티브 생애사 연구방법론과, 삶의 영역, 전환점, 적응으로 분류하는 Mandelbaum의 방법을 분석의 틀로 삼았다. 둘째, 목회 연구 방법론인 Graham의 심리 체계적 접근과 Neuger의 상관 관계적 나선 방법론을 사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7명 각각의 연대기적 생애사 속에서는 이야기된 생애사와 체험된 생애사를 통해 진로생애 단계별 진로 이야기가 사회 시대적 배경 속에서 나타났다. 주제별 분석을 통해서는 삶의 영역 3개, 전환점 4개, 적응방식 7개의 진로 전환 경험과 관련된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삶의 영역에 대한 주제는 진로 생애의 발달적 전개를 보여주는 것으로, ‘처음 품은 꿈의 실현과 좌절’, ‘관계 속 갑작스러운 사건들의 영향’, ‘사회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새롭게 발견하는 나’로 나타났다. 둘째, 전환점은 중년에 진로 전환의 직접적 촉발이 된 계기들을 포함한다. 이에 대한 주제는 ‘예상치 못한 아픔과 그 현장에 머무름’, ‘진정한 욕구를 성찰하게 던져진 질문들’, ‘우연히 경험하게 된 기회 속에서 반응하기’, ‘생계를 위한 선택과 숨어있는 능력의 발휘’이다. 셋째, 적응 방식은 연구 참여자 각자의 생애를 통해 보이는 삶에서의 적응 방법들이며, 이러한 적응 방식은 참여자들에게 실제 중년 진로 전환의 선택과 결정의 이유가 되는 중요한 가치로 작용되어 나타났다. 적응 방식에 대한 주제는 ‘실천적 배움과 결단’, ‘궁극적 질문과 성찰’, ‘추구하는 가치 지켜내기’, ‘허용의 범위를 넓혀가기’, ‘깊이를 더하도록 선택하고 실행’, ‘진정한 자유를 찾고 누리기’, ‘세상의 필요를 보고 따라가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람을 돕는 직업군’ 중년 여성의 진로 전환 경험을 생애 전반과 개인을 둘러싼 체계로 확장하여, 사회적 맥락 속에서 심리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진로 전환의 주제를 통합적으로 고찰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심리내적 접근을 통해 여성의 경험에 대한 내면의 무의식적 역동을 원형적으로 접근함으로써 경험의 해석을 풍부하게 하였고, 중년 시기의 내향적 에너지 추구를 진로 전환의 경험에 접목하는 시도를 하였다. 나아가 진로 관련 논의와 관련성이 높은 소명의 주제에 대해, 소명에 작용하는 긍정적/부정적 축과 사회문화적/심리내적 축을 사용하여 혼돈 속에서 전체성을 향해 나아가는 나선의 실질적, 통합적 모형을 제안함으로써 소명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 ‘사람을 돕는 직업군’ 중년 여성의 진로 전환 경험은 네 가지 관점 속에서 논의되었다. 첫째, 진로 구성적 관점을 통해서는, 생애를 관통하는 진로 이야기 속에서 진로 관련 행동의 이유가 되는 생애 주제와 직업적 성격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여성의 생애를 통한 진로적응은 성역할 고정관념, 성장기 진로 결정에 대한 부모의 영향과 시대적 사건들을 통해 진로 타협을 거치게 했고, 무엇보다 출산과 육아로 인한 변화 속에서 사회와 상호작용하며 진로를 구성해 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원형적 관점을 통해서는, 개인의 내적이고 심층적인 인식과 경험이 진로 관련 행동에 어떻게 연관되며 작용되었는지를 논의했다. 인과적이기 보다는 내적으로 끌리는 직관과, 변화를 추구하는 창조성 속에서 자율적으로 의미를 부여하는 움직임이 드러났다. 원형적 관점 속에서 ‘사람을 돕는 직업군’으로 진로 전환을 한 중년 여성의 경험을 네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타고난 관계적 특성을 지녔지만 중년에 비로소 돕는 일로 전환을 한 ‘다이몬의 부름’ 형, 자신의 고통 경험이 동기가 되어 같은 상처를 가진 사람들을 돕고자 하는 ‘상처 입은 치유자’ 형, 지속적인 삶의 질문을 가지고 자신의 답을 찾아가는 속에서 돌봄을 실현하는 ‘사원의 구도자’ 형, 시대의 필요를 바라보면서 돌봄의 일들로 들어선 ‘돌봄 시대의 딸’ 형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진로 전환 여정을 여성 영웅의 여정, 개성화의 여정으로서 확인하였다. 셋째, 신학적 관점에서는 심리 체계적 접근을 통해 여성의 내적 외적 경험들을 체계의 움직임 속에서 바라보며 논의하였다. 심리체계의 중심이 되는 개인의 실제 경험에 여성 주의적 입장의 상관 관계적 나선 방법을 접목하여 여성 경험의 폭과 깊이를 더하였다. 이러한 여성의 경험 속에서 신학적 주제는 내적으로 형성된 하나님 이미지와 진로의 상관관계를 드러냈다. 중년의 진로 전환은 체계 속에서 창의적 진보로서 작용하였고, 진로 생애 속에 나타나는 힘의 불균형은 여성의 진로 경험 속에서 해체가 요구됨이 보여 졌다.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 속에서, 여성의 진로 속에 경쟁하는 가치들은 성취와 관계적 가치 사이에서 지혜로운 통합을 요구하며, 그 중심에 사랑의 힘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중년 여성의 이러한 진로 전환은 자기실현, 사회의 필요와 맞물리면서 체계 속에서 선순환이 됨을 확인하게 했다.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중년 여성의 진로 전환을 위한 목회적 돌봄과 상담코칭을 위한 모델을 제안하였다. 과정을 돕는 모델로 ‘창조적 나선 진로 구성 모델’을, 소명의 주제를 중심으로 한 모형으로 ‘자기실현적 진로 전환을 위한 통합적 소명 모형’을 각각 제안하였다. 창조적 나선 진로 구성 모델은 ‘일상의 진동 감지’, ‘내적 하강과 머무름’, ‘원형과 소명의 만남’, ‘선순환의 진로행보’의 네 단계로 이루어지며, 여성영웅 여정의 원형과 유사하지만 원래의 자리로 돌아오지 않고 지속하여 나아가는 나선의 형태를 가진다. 통합적 소명 모형은 긍정적/부정적 축 속에서 전체성을 추구하며 통합으로 나아가고, 사회문화적/심리내적 영역의 축 속에서 세상의 필요와 원형의 부름을 통해 온전한 소명을 추구하는 구조를 갖는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주요어: ‘사람을 돕는 직업군’, 중년기 여성, 진로 전환, 소명, 원형심리학, 진로 구성, 상관 관계적 나선, 심리 체계적 접근, 생애사 방법론 ABSTRACT Career Transition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in 'Helping professions’ Kim, Mi Ryung Department of Theolog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This study analyzes the career transition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to ‘helping professions' revealed in life stories, and explores social context and inner experiences in a psychological and systematic approach. Based on this exploration, a model for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coaching which are for middle-aged women was proposed. Participant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seven married women who changed their careers to the ‘helping professions’ in the middle ages. Al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chütze's life history-story metho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first, a life history research methodology was used, Rosenthal's narrativ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ology and Mandelbaum's method that categorizes life domains, turning points, and adaptations into chronological themes were used as the framework of analysis. Second,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Graham's psycho-systemic approach and Neuger's correlated spiral methodology, which are pastoral research methodolog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chronological life history of each of the seven people, the story of the career path by each stage of the career life through the talked life history and the life history experienced appeared in the background of the social period. Through the thematic analysis, the 3 areas of life, 4 turning points, and 7 adaptation methods were identified as the related topics, respectively. First, the subject of life is to show the developmental unfold of career life: ‘the realization and frustration of one's first dream’, ‘the effects of sudden events in a relationship’ and ‘a newly found me in interaction with society’. Second, the turning point involves opportunities that have become direct triggers for career transition in middle age. The topics include ‘unexpected pain and staying on the scene’, ‘reaction in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real needs’, ‘choice for living and the use of hidden abilities’. Third, the adaptation methods are the way of adaptation seen in the lives of each participant throughout their respective lives, and these adaptation methods have been shown to serve as an important values for the participants to choose and make decisions on real middle-aged career transitions. The topics for adaptation methods were ‘practical learning and determination’, ‘questions and reflection on the ultimate’, ‘keeping the value to pursue’, ‘selection and execution to add depth’, ‘find and enjoy real freedom’ and ‘following the needs of the world’, respectively. This study has significancy in that it has expanded the experience of career transition of middle-aged women in ‘helping professions’ into a system surrounding their entire lives and individuals, and considered the topic of career transition in an integrated way by psychologically exploring in social context. Through an psychological approach, the interpretation of the experience was enriched by approaching the inner unconscious dynamics of women's experiences in a archetypal manner, and an attempt to combine the introverted energy pursuit of the middle age with the experience of career transition was made. Furthermore, a model for career-related discussions and highly relevant topics of calling, the practical and integrated model of the spiral moving toward wholeness in chaos with the positive/negative axis and the socio-cultural/psychological axis acting on the calling broadened the understanding of the calling, has been proposed and leaded to broade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alling. The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s career transition in ‘helping professions’ was discussed in four perspectives. First, from a career construction perspective, life themes and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as reasons for career-related actions in the story of career through life. It has been confirmed that career adaptation through women's lives has undergone career compromise through gender role stereotypes, parental influences on career decisions, and the events of the times, above all, they have been interacting with society and forming a career path amid changes caused by child-birth and child-care. Second, through a archetypal perspective, we discussed how an individual's intrinsic and in-depth perceptions and experiences were related to and acted on career-related behaviors. The move to give meaning autonomously has been revealed in the midst of an introspection that is drawn internally rather than causal, and creativity that pursues change. The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en who changed their careers to ‘helping profession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from a archetypal perspective. The four types are ‘Daimon's Call’ who had natural relational characteristics but transits to helping in the middle age, ‘Wounded Healer’ who motivated her pain experience to help people with the same wounds, ‘The Seeker of Truth in the Temple’ who realized taking care of oneself with continuous questions of life, and ‘Daughter in the Age of Care’ who does the things of care while looking at the needs of the times. Furthermore, the journey of career transition was confirmed as a journey of female heroes and individuation. Third, from the theological point of view, women's internal and external experiences were discussed in the movement of the system through a psychological systematic approach. The breadth and depth of female experience were added by grafting the correlated spiral method of feminist perspective to the actual experience of the individual, which is the center of the psychological system. In these women's experiences, the theological theme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ly formed image of God and the career. The middle-aged career transition served as a creative advancement in the system, and the imbalance of power in career life was shown to require dismantlement in women's career experiences. Values ​​competing in women's careers in work-family balance require wise integration between achievement and relational values,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power of love is at the center. This career change of middle-aged women made it a virtuous cycle in the system, in line with self-realization and social needs.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e study, a model for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coaching, which are for middle-aged women was proposed. As a model for the process, a ‘Creative spiral career construction model’ was proposed, and a model centered on calling, an ‘Integrated calling model for self-realistic career transition’ was proposed, respectively. The creative spiral career construction model consists of four stages: 'detection of the vibration of everyday life', 'inner descent and stay', 'the meeting of the archetype and the calling', and 'the path of the virtuous cycle'. It is similar to the archetype of the female hero's journey, but it has the form of a spiral that does not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continues to progress. The integrated calling model has a structure that pursues wholeness in the positive/negative axis, advances toward integration, and pursues a whole calling through the needs of the world and the calling of the archetype in the axis of the sociocultural/psychological domain.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Key word: Helping professions, Middle-aged women, Career Transition, Calling, Archetypal psychology, Career construction, Correlational spiral, Psycho-systemic approach, Life history methodology

      • The Influence of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Contextual Factors on Saudi Women Career Commitment and Satisfaction in Nontraditional Occupations

        Dukhaykh, Suad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ProQuest Dissertat 2019 해외박사(DDOD)

        RANK : 232271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Women occupy only 21% of the private and public positions occupied by Saudi nationals. Occupational segregation is increasingly being recognized as the primary factor contributing to women’s low representation in many fields in Saudi Arabia. Women have experienced numerous difficulties as a result of limited education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other obstacles related to cultural and religious factors. Rigid gender role expectations stemming from cultural and religious doctrines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pportunities availed to women to seek employment outside accepted career paths for many years. This research seeks to understand how women who successfully entered nontraditional careers have overcome the existing societal pressures associated with traditional gender role. This research utilizes a sequential mixed methods design of an exploratory and explanatory approach beginning with a qualitative study followed by a quantitative study followed by a final explanatory quantitative study. The initial qualitative phase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barriers women encounter in nontraditional careers and how they have overcome these barriers. Key findings such as family support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self-efficacy informed measures for a quantitative phase to determine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 women’s career commitment and satisfaction. The quantitative study revealed that social support is the main factor that influences women’s career commitment and satisfaction. However, women’s ideal self and their vision of the future influenced their career satisfaction, but it did not influence their career commitment. The final quantitative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under what condition does the ideal self drive women’s career commitment. Findings should be of interest to public policy makers, families, educators, and organizations to retain and increase female workforce participation in nontraditional professions.

      • 기혼 여성 중기경력자의 경력개발 의미 생성과 변화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양재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270

        Married mid-career women may well gain their professional recognition, while their career continuity is threate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married mid-career women's perception of the career development, and thereupon, analyze the special conditions they face in their career development and thereby, discuss the practical changes required to help them maintain their career. For this purpose, this narrative study sampled 6 married mid-career women with children; their age was between 35 and 41, while their career length was 5~15 ye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Subjects' job historical changes due to childbirth were three-fold: perception of the job, physical changes, and career continuity and development. The subjects felt that their job was their major work, and after their maternity leave, they felt that their job was more valuable and interesting. In addition, they thought that a working mom would be a model for their children, and they felt confidence and pride as main agents of economic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ir experience of childbirth had changed their positions in their organization in terms of promotion and replacement. Unlike in the past, childbirth was an opportunity for the growth of their organization as well as for themselves. The subjects changed their job life style by minimizing overtime work and get-together. They tried to leave their offices regularly to take care of their children; if necessary, they did their homework after their children fell asleep. In short, they made use of the daytime most effectively rather than sharing information during get-together. Namely, they struggled to maintain the two-track strategy: their career continuity and self-development together with their children's growth. They set a goal for growing together with their children. They wanted a career switch in accordance with their children's growth or considered a relocation abroad to help their children enlarge their experiences. The two-track strategy was designed to combine the organization- centered career development with their own new career development. As a member of their organization, the subjects were faithful to their job in line with their organization by achieving more and, thereby, they hoped for a promotion. At the same time, the subjects were planning to be an independent professional beyond their workplace. The subjects perceived at the earlier career that their current workplace would be a stepping stone toward a new job, but at the mid-career, they were busy 'making their own weapons.' They were working hard to acquire a special license or receive a new academic degree, all related to their job career. In short, they were building their own special competence. In overall terms, their life was changing from 'wandering' to 'settlement.' Such career development process differed depending on the organizations they belonged to. In case of a public organization characterized by a stable working environment, their career development process relied on their organization's migration track. In contrast, in case of private organizations, the subjects were prepared to switch their careers like protean career people if their organization should not support their professionalism or if their child-rearing conditions should not be met. Lastly, it was found through this study that subjects' human relationship net like helper or mentor had some important effects on their career development. The helpers served to relieve the subjects of house choirs and child-rearing burden to help them maintain their career. Furthermore, the mentor or reference cases helped the subject to reflect on their roles, responsibilities and leadership. Their social relationships outside their organization influenced their job replacement or learning, supporting them emotionally. 본 연구는 전문성과 능력을 인정받는 시기이면서 동시에 경력단절의 위협이 상대적으로 큰 기혼 여성 중기경력자들에 대한 경력개발에 대한 인식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특정 경력 구간의 여성들이 경력개발과 관련하여 겪는 특수성을 분석하여 경력의 유지를 위해 어떤 실천적 변화가 필요한지에 대한 관심으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35세~41세, 경력 5년~15년, 자녀가 있는 기혼 여성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내러티브 연구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혼 여성 중기경력자들의 출산 경험을 통한 직업생애사적 변화는 일에 대한 인식, 몸으로 느끼는 변화, 경력 유지 및 개발 방법의 3가지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들은 일을 자신의 본업으로 느꼈으며, 육아휴직 사용 후에는 일의 소중함과 재미를 이전보다 더 많이 느꼈다. 또한, 일 하는 엄마의 모습이 곧 자녀 교육이라는 생각을 갖게 되었고, 경제의 주체로 자신감과 자부심을 느끼고 있었다. 기혼 여성 중기경력자들의 출산 경험은 승진이나 발령 등 조직에서의 위치를 변경시켰다. 이는 과거와 달리 출산이 조직과 개인의 성장 기회가 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이들은 야근과 회식을 최소화하는 등 업무 스타일을 변경했다. 가급적 정해진 퇴근 시간에 퇴근해서 자녀를 돌보았고 필요한 경우 자녀가 잠든 후에 업무를 더 보는 식으로 시간을 활용했다. 회식 등의 비공식적인 정보의 공유 시간보다 업무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에 집중하고 있었다. 경력 유지 및 개발 방법에서는 자녀와의 동반성장과 투트랙 전략을 볼 수 있었다. 자녀와 함께 성장하는 목표를 설정하여 자녀의 연령에 맞춘 경력전환이나 자녀의 견문을 넓혀주기 위한 해외근무나 연수 등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였다. 투트랙 전략은 조직 중심의 전통적인 경력개발과 개인 중심의 새로운 경력개발을 동시에 취하는 방법이었다. 조직 구성원으로서 업무성과와 승진 등 조직과 일원화된 경력개발에 대해 충실했으며, 이와 동시에 연구 참여자들을 둘러싼 여러 변수들에 따라 직장이라는 공간을 벗어난 독립적 전문가라는 경력계획을 세웠다. 기혼 여성 중기경력자들은 경력 초기에는 현재의 직장을 이직에 필요한 관련 경력을 만드는 징검다리로 인식했다. 경력 중기로 넘어가서는 ‘자신만의 무기 만들기’에 여념이 없었다. 특화된 자격과 연관 분야의 학위 취득이나 경력개발 제도를 활용하며 전문적인 영역을 구축하고 있었다. 전체적인 맥락에서 보면 ‘방황’에서 ‘정착’으로 의미가 변화했음을 알 수 있다. 기혼 여성 중기경력자들은 경력개발 과정은 속해있는 조직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근로 환경이 안정적인 공공조직의 경우에는 이들의 경력개발 과정은 조직의 이동트랙에 의존적이었다. 이에 반해, 사기업의 경우에는 프로티언 경력과 같이 언제든지 변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 조직에서 자신의 전문성을 살려주지 않거나 자녀양육 조건이 충족되지 않을 시에 경력전환을 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력자와 멘토 등 관계망이 여성 중기경력자들의 경력개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조력자들은 가사노동과 양육의 부담을 덜어주어 경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직장 내의 멘토 혹은 반면교사 사례들은 조직 내 역할과 책임, 리더십에 대해 돌아볼 수 있게 하였다. 직장 밖의 사회적 관계는 이직이나 학습 등에 영향을 미쳤고, 정서적인 지지를 하였다.

      • 한·중 여성 경력개발 비교 연구

        양필완령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268

        최근 이제까지 남성의 영역으로 인식되어 오던 분야에서 고위직에 이르며 두각을 나타내는 여성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직장생활 참여는 아직도 미흡한 실정이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2008년 현재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54.7%로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OECD, 2008). 특히 대졸 이상의 취업률이 낮아 고급 여성인력의 활용도가 낮은 것이 문제이다. 게다가 결혼과 출산으로 인한 중도 퇴직이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여성의 승진이 제한되는 남성 중심의 조직문화 풍토 또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중국의 경우 사회주의 국가라는 환경의 차이로 조직의 고위직에 오른 여성의 비율이 한국보다 훨씬 높다(<표 Ⅲ-21>참조). 그런데 중국과 한국 상대적 차이만 있을 뿐 공통적인 부분이 많이 있다. 중국에서 여성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여성 인적 자원 개발 정책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다.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에 시장경제 제도 및 정책을 운용함에 따라 중국 정부가 큰 잠재력을 지닌 여성인력을 낭비하지 않고 남녀평등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련의 여성 인적 자원 개발 정책을 수립하였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비록 많은 재취업 정책을 실시하더라도 재취업단계에서 취업 의지 및 재취업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재취업 여성 인적자원 개발 정책이 부족한 상태이고 정책의 실효성도 높지 않은 편이다. 본 연구는 여성 경력개발과 관계된 기존의 이론들을 정리해 보고, 이와 관련하여 한국과 중국 두 나라의 여성 경력개발과 관계된 국가 차원이 통계 데이터를 비교하여 정책의 시사점을 도출해 내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여성 경력 개발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현황 자료 검토를 통해 다음 및 가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문제의 핵심은 남성 중심의 차별 의식이 조직의 인적자원관리 과정에서의 차별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즉 여성들은 취업의 시장인 채용에서 고용의 벽에 부딪힌다. 이러한 문제는 한국의 경우 더욱 두드러진다. 즉 여성들의 경우 취업자의 다수가 비정규직인 ‘직종분리’의 차별을 받고 있다. 둘째, 여성들이 승진 및 인력개발 과정에 차별을 받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한국과 중국 모두에 공통적으로 해당된다. 셋째, 한국의 경우 고위관리직 및 임원직 승진이 제한되어 경력이 정체되는 ‘유리천장’현상이 매우 심한 것으로 나타난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중국의 경우 고위 관리직에서 여성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넷째, 여성들은 결혼과 함께 임신, 출산 및 육아와 맞물려 퇴직을 강요당하는 사회문화적 압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한국이 더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문제점들로부터 여성의 경력개발 활성화를 위해 다음의 방안들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1) 기업을 비롯한 사회전반의 조직문화 혁신이 이루어져야 한다. 2)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혁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3) 사회적 지원 체계의 확립이 요구된다. 4) 여성 자신의 자기계발 강화 노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The careers development of women is the one of important purposes and duties of social integration and progress. By the way, female resources become vulnerable group in this society owing to the traditional concepts, social environment, women themselves. To fulfill the gender equality and integration of the society at large, the problems in careers development of women in our society have to be fully learned. There is sex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of Korea and China. There exists the prejudice that the place where women should be is home, or women are not high-quality human resources that need to be developed in the long term since the dedication of women to the organization is low in labor market. Thus it causes unemployment of women. Furthermore recently, the temporary severance of career caused by the childbirth and infant care makes women's reentry to the labor market fall behind or makes women give up getting jobs. And even though women get the jobs, they are less paid and are in a more disadvantageous position for the promotion than men. The logic which discriminate women in the labor market like this is that women lacks level of education and productivity in work training compared with men. But although women of their speciality have been being produed with the expansion of investment in education for women, they have been being sexually discriminated even in professional works. There are many cases that women should satisfy taking role of assistants of men. The study attempted to integrate relevant theories of career development for women. The analysis of current practices included the level of women's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gender discrimination practices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s, and the current status of corporate culture. The results were that the most critical barrier in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was men's negative attitudes toward women which were geared to discrimination practices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s. This study reviewed the implications of the policies and drew the effective and rational policies or system in order to supplement current system through comparing current policies, supporting system, materials of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n resources development of women for career development of women in Korea and China based on the theory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of women. Given the results and theories, strategies for improving career development of women were suggested. The strategies involved a variety of specific ways in terms of three levels: organizational, societal, and individual levels.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 남성 중심적 IT 산업에서 여성 개발자의 적응과 대응

        원유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6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work-related performance and gender positioning of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se pursuit of careers in software development is regarded non-traditional. This study examined how they adapted and responded to being women software developers, a rapidly growing segment of the workforce in the booming software industry in the post-financial crisis era, in the male-dominated information technology (IT) industry by exploring their pre-employment and employment experiences. The IT industry has been traditionally dominated by men. Men account for nearly 90% of software developers in South Korea and worldwide. With men occupying the vast majority of software developer positions, the so-called gongdori (engineering guy) culture has come to be at the heart of industry that emphasizes programming skills but depreciates soft skills, such as face-to-face communication. Howeve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increased both the supply and demand for developers and recently opened the industry's doors wider to women computer science majors and men who did not major in computer science but are valued for their communication skills. Government policies have increased the supply of software developers.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Third National Skills Development Policy provided state-sponsored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national strategic IT industries and created many low-wage, labor-intensive jobs. By 2018, the proportion of men and women in state-sponsored IT vocational programs were approximately equal. In addition, around this time, young women graduating from vocational schools, such as Meister high schools, and expensive software development bootcamps without computer science-related university degrees began to gain entry into the software development industry. The IT industry has acknowledged the ever-diversifying routes into the field by establishing a pyramidal labor structure that finely assesses and classifies employees. In this structure, young developers are easily exploited and replaced, in stark contrast to their often rosy outlooks when they begin their careers. This study examined the work experiences of women developers in the 20s and 30s who did not major in computer science in college in this stratified labor system in the IT industry. The most of develop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had less than 4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began their careers around 2018 when there was a boom in state sponsorship for vocational train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digital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o investigate IT industry's structure and male-dominated culture and analyze how women adapted and responded to this structure and culture. Analysis showed that the factors that supported their continued employment hinged on their jobs’ flexibility and autonomy, but they were considered internal outsiders. The gendered labor division with women largely engaged in front-end development and men engaged in back-end development affects developers’ career paths. Men's back-end development positions lead to more seniority while women's front-end development positions lead to more planning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Women's careers can also be interrupted by pregnancy and maternity leave, which adds to the industry's perception of women as casual workers. Women developers’ work is perceived as flexible but also as having similar characteristics to creative digital labor whose precarity demands constant self-development.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tinued to exist in the labor market by strategically utilizing their identities as both women and developers. Their first strategy was to refrain from engaging in notably feminine behaviors, such as wearing makeup or speaking in various ways that would be considered feminine. They did not limit their identities to those of women alone and recognized gendered discrimination to be old-fashioned, leading to blind faith in meritocracy. Based on the belief that their abilities alone can lead to success, they routinely invested their time and energy in self-development. Their second strategy was to take an individualistic attitude to life by distinctly separating their private and public lives. This separation led to a lack of women mentors in the workplace, further isolating women who were already a minority. Women who were unable to find peer groups were likely to experience insecurity and alienation, further deepening their pessimism about pursuing a career in South Korea and inspiring them to seek careers abroad. Their third strategy was to form solidarity with fellow women developers outside of work. They expanded their networks with other women by engaging in side projects related to liberal arts or sociology and exchang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ir careers. This third strategy was in line with the feminism rebooted trend. The emergence of these women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in the IT industry. It also influenced the industry to produce diverse types of software that help dismantle its predominant man-oriented values. However, there were limitations to these strategies. The participants had to work overtime in the face of an industry continuing to perpetuate the male-dominated culture in which communication skills were not valued. This model of labor will continue to cultivate a neoliberal capitalist-favoring labor structure that willingly pushes developers to work overtime and experience burnou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 restructuring of the Korean IT industry’s current employee model and a transformation of its job market, so that the merits of 'flexibility' and 'autonomy' can be promoted in a legitimate work culture and developers of diverse locations can enter the industry. 본 연구는 다양한 트랙을 통해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된 20-30대 여성들에 관한 연구이다. 그중에서도 세계 금융 위기 이후 소프트웨어 산업의 발전과 함께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비전공 출신 여성 개발자들의 입직 전후 과정을 통해, 남성 다수의 노동 시장인 IT 산업 내 여성들의 적응과 대응 과정을 분석한다. IT 산업은 전통적으로 남성의 영역으로 인식됐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성비는 남성이 약 90%에 달한다. 이러한 남성 다수의 구조는 컴퓨터에만 몰두해 대면 의사소통 능력 등 ‘소프트 스킬’은 업무 능력으로 인정하지 않는, 소위 ‘너드(nerd)’, ‘공돌이’식 개발자 문화를 만들어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 담론의 도래 이후 개발자의 수요와 공급은 빠르게 늘었고, 최근에는 의사소통 능력을 갖춘 비전공자 남성과 여성도 IT 업계로 다수 진출하기 시작했다. 이들의 수요 증가에는 국가 정책이 큰 영향을 미쳤다. 정보통신 분야의 국가기간 전략사업 직종 훈련 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정부의 제3차 직업능력개발 정책에 따라, 국비 지원 교육 과정을 통해 연계되는 저임금 중노동 일자리가 다수 생겨났기 때문이다. 특히 2018년에 접어들면서부터는 이 국비 지원 교육 과정에 여성과 남성의 비율이 큰 차이가 없을 만큼 여성의 참여도가 늘었다. 더불어 마이스터 고등학교 등 직업학교 출신, 고비용의 소프트웨어 개발자 양성 프로그램인 ‘부트캠프’ 출신 등 컴퓨터 관련 대학 전공자 외에도 다양한 루트를 통해 개발자가 된 청년 여성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루트에 따라 IT 산업 내에는 개발자에 대한 처우 또는 발전 가능성 등을 기반으로 하는 피라미드형 노동 구조가 형성되었다. 이 구조 아래 청년 개발자들의 노동력은 입직 시의 낙관적인 미래와는 별개로 쉽게 소모되고 교체된다. 본 연구는 이 수직적인 노동 구조로 유입되는 20-30대 비전공 여성 개발자들이 일터에서 겪는 경험에 주목한다. 이들은 국비 지원 정책의 붐이 일었던 2018년을 전후로 IT 산업으로 유입된 저연차 여성들이다. 연구자는 디지털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을 통해 업계의 구조와 남성 중심의 성별화된 문화를 조사하고, 이에 여성 개발자들이 적응하고 대응해나가는 방식을 분석했다. 이들의 주요 입직 요인은 업계의 ‘유연성’과 ‘자율성’의 특성에서 기반하지만, 여성들은 이 특성 아래서도 모순적인 위치에 놓이게 된다. ‘여성은 프론트엔드’, ‘남성은 백엔드’로 구분되는 성별 분업을 기반으로 성별에 따라 각기 다른 커리어 패스(career path)가 요구된다. 남성의 경우 개발자로 커리어를 이어가며 고위 관리자로 상승하지만, 여성의 경우 기획 및 소통을 담당하는 중간 관리자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 과정에서 여성은 여전히 임신과 출산으로 인한 경력 단절 현상을 경험하는 등 임시 노동자로 인식된다. 즉, 여성 개발자의 일은 ‘유연성’을 강조하지만 결국 ‘불안정성’에 기반해 지속적인 자기 계발에 몰두하게 하는 ‘디지털 창의 노동’의 성격을 갖는다. 여성들은 ‘여성’과 ‘비전공자’라는 이중적인 정체성 안에서 지속해서 노동 시장에 머무르기 위한 전략을 취한다. 첫 번째 전략은 ‘꾸밈’과 ‘의사소통 방식’ 등 일상적인 영역에서 성별을 드러내지 않는 것이다. 스스로도 여성임을 인식하지 않고자 하며, 성차별은 구시대적인 것으로 정의 내린다. 이는 능력주의에 대한 맹신으로 이어진다. ‘능력만 있으면 된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기계적인 자기 계발을 지속한다. 두 번째 전략은 개인주의적인 태도를 바탕으로 사내에서 공과 사를 철저하게 분리하는 것이다. 이는 이미 소수인 여성들을 더욱 고립시켜 여성 선배를 찾을 수 없게 하는 ‘여성 멘토 부족’ 현상으로도 연결된다. 여성들은 동료를 찾을 수 없다는 불안감과 소외감을 더욱 쉽게 느낀다. 또한 국내에서의 커리어 패스에 대한 비관으로 해외로의 이직을 꿈꾸기도 한다. 마지막 전략은 여성 개발자 모임을 통해 일터 밖 연대를 형성하는 것이다. 업무 외의 ‘사이드 프로젝트’로 인문·사회학적 의미를 반영한 개발물을 만들어내고자 노력하거나, 여성 후배에 대한 멘토링을 자처하고 이직 정보 공유 등 여성 간의 연결성을 확장한다. 이는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새롭게 주목 받고 있는 현상이다. 이러한 여성들의 등장으로 업계에 비로소 소통 능력의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단일화된 남성 중심의 가치를 해체하고 다양성을 중시하는 개발물 또한 생겨나고 있다. 하지만 업계는 여전히 언제든 초과 근무가 가능하고, 소통에는 취약한 너드형 남성을 바람직한 노동자상(相)으로 단일화된 기준을 두고 있기 때문에, 여성들의 개인화된 전략에는 많은 한계가 뒤따른다. 이렇게 남성 중심의 단일한 노동자상은 지속적인 추가 노동과 사회적 과로를 유발하는 신자유주의 자본가 위주의 수직적 노동 구조를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T 업계의 장점인 ‘유연성’과 ‘자율성’의 실질적인 발현을 위한 노동자상을 재설정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위치에 있는 노동자의 유입과 노동 시장의 재편을 제언하고자 한다.

      • The Career Experiences of Women Support Staff in Higher Education with Advanced Degrees

        Maher, Ashley N Kent State University ProQuest Dissertations & The 2022 해외박사(DDOD)

        RANK : 232254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Guided by the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framework, this study explored the career experiences of women support staff with advanced degrees who work at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 researcher interviewed eight participants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also completed a written reflection detailing their career journeys. Two feminist organizational frameworks guided the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procedures: Kanter's (1977) structural empowerment theory and Acker's (1990) gendered organizations theory, as well as Acker's (2006) notion of inequality regimes. The researcher found 11 themes across the participants' career experiences: (1) the challenge and reward of support staff work, (2) the disrespect and invisibility of support staff work, (3) uncertain career goals inside higher education, (4) openness to career goals outside higher education, (5) perceiving opportunity, (6) navigating absence of opportunity, (7) the value of networking, (8) the benefit of an advanced degree, (9) the benefit of woman identity, (10) the hindrance of woman identity, and (11) the influence of identities beyond gender. To assist in the career advancement of women support staff, the researcher recommends supervisor support, formalized institutional opportunity structures, and addressing the inequality regimes of higher education. Further inquiry is needed to explore career experience influences beyond women's gender identity. The findings are valuable to higher education administrators concerned with employee retention and support staff advancement.

      • 중년 기혼여성의 자아분화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배우자 지지에 의해 조절된 다중역할계획태도의 매개효과

        황나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50

        This study empirically identified the focus of effective intervention in career counseling for middle-aged married women by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ple role plan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cognitive function vs. emotional function) and career adaptability, moderated by spouse support. The participants were 392 married women (40-60 years old) residing in Seoul, Gyeonggi-do, Incheon, Gangwon-do, Chungcheong-do, Gyeongsang-do, Jeolla-do, and Jeju-do.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self-differentiation scale, career adaptability scale, multiple role planing scale, and spouse suppor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 21.0 program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s,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and the integrated model(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adopting Hayes’ (2013) method to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using a bootstraping procedure. The study found that first, self-differentiation (cognitive function vs. emotional fun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oth multiple planning and career adaptability, but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pouse support (informative support, emotional support, & respect support). Multiple planning, spouse support (informative support, emotional support, & respect support), and career adaptability all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the multiple planning of middle-aged married wome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cognitive function vs. emotional function) and career adaptability.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overall spouse support, emotional support, and respect support in the influence of the multiple planning on career adaptation was significant, but the moderating effect of informative support was not significant.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overall spouse support, emotional support, and respect support was significant i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cognitive function vs. emotional function) affecting career adaptability through the medium of multiple planning, but the moderating effect of informative support was not significant.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ple planning on the effect of the self-differentiation (cognitive function vs. emotional function) of middle-aged married women on career adaptability, depends on the level of spouse support.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중년 기혼여성의 자아분화(인지적 기능 대 정서적 기능)와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다중역할계획태도의 매개효과가 배우자 지지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검증하여 중년 기혼여성의 진로상담에서의 효과적인 개입의 초점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경기도, 인천, 강원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 지역에 거주하는 392명의 기혼 여성(만40세-60세)이며, 자아분화 척도, 진로적응성 척도, 다중역할계획태도 척도, 배우자 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Hayes(2013)의 PROCESS(Version 2.11)를 이용하여 매개 및 조절효과와 이 둘의 통합모델(조절된 매개효과모형)을 검증하였으며 부트스트랩핑 방법을 통해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아분화(인지적 기능 대 정서적 기능)는 다중역할계획태도와 진로적응성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배우자 지지(정보적 지지, 정서적 지지, 존중감 지지)와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다중역할계획태도, 배우자 지지(정보적 지지, 정서적 지지, 존중감 지지), 진로적응성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중년 기혼여성의 자아분화와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다중역할계획태도가 완전 매개하였다. 셋째, 다중역할계획태도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체 배우자 지지, 정서적 지지, 존중감 지지의 조절효과는 확인되었으나, 정보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자아분화(인지적 기능 대 정서적 기능)가 다중역할계획태도를 매개로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주는 매개효과에서 전체 배우자 지지, 정서적 지지, 존중감 지지의 조절효과는 확인되었으나, 정보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중년 기혼여성의 자아분화(인지적 기능 대 정서적 기능)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다중역할계획태도의 매개효과가 배우자 지지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