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EADING KOREAN WAR FILMS THROUGH DIFFERENT LENSES : PATTERNS OF CONSTRUCTING HISTORICAL ACCOUNTS THROUGH FILMS

        김민정 University of Pittsburgh 2004 해외박사

        RANK : 232446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viewers’ expertise and their making sense of films, and whether their understanding of the Korean War changed as a result of the film-viewing experienc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pre-interviews, verbal protocols produced as they watched two Korean War films a week apart, and post-interviews. Nine participants?three each of historians, film scholars, and teachers? were all white male Americans aged 35-55. The film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Bridges at Toko-Ri (Mark Robson, 1954) and Spring in My Hometown (Kwang-mo Lee, 1998). All conversations were audiotaped, transcribed, and analyzed using the NUD*IST N6 program. Coding categories included viewers’ cognitive strategies, focal points, and war schemas. Results showed that interpretive inference was participants’ most frequently used cognitive strategy as they attempted to make sense of the film narratives. The analysis of participants’ focal points highlighted the fact that the different kinds of expertise they held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ir interpretations of film features. The historians’ protocols emphasized that having historical expertise allowed them to reconstruct their accounts of the war based on juxtaposing the history in the films with recent research and new interpretive frameworks. The high level of media knowledge that the film scholars drew upon enabled them to make extensive interpretations of the filmmakers’ stylistic choices. In spite of their lack of historical and media knowledge, the teachers sketched out pedagogical episodes by relying on their pedagogical expertise in their viewing process. Watching Korean War films provided all participants with chances to reconsider their war schemas. In particular, the participants substantiated specific components of their war schemas, such as the war’s effect on Korean civilians. Some of the participants did not develop a completely new war schema. Rather they enriched the Cold War schema that they held beforehand. Watching the films prompted others to expand their existing ideas about war by reconceptualizing the war as a proxy war for a WWIII. This study contributed to educational research and practice by extending our understanding of historical consciousness, teaching and learning history using historical films,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 Orientalism and Cold War Neutrality : The Korean War in Swedish Travelogues

        Karl Tobias Dahlqvist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444

        This thesis explores the Korean Wa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wedish participants. Seen through the framework of orientalism, it more specifically investigates how the Swedish participants perceived Korea and the Korean people. By utilizing Swedish travelogues written in two different eras, pre-WWII and in the Korean War period, a pattern of orientalist prejudice can be identified. In the former era ideas of racial superiority over the Korean people, here defined as scientific orientalism, is clearly present. In the Korean War era, scientific orientalism is hardly present. Ideas of cultural superiority over the Korean people, here defined as cultural orientalism can however be found in both eras. The decline in scientific orientalism but the persistence of cultural orientalism can partially be explained by the general decline of scientific racism since the 1930s, but must also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Swedish neutrality and the Cold War. As the US approach towards potential allies during the Cold War was racial equality and cultural unity, it naturally contributed to the decline of scientific orientalism but opened up for persisting cultural orientalism. Sweden remained neutral during the Korean War, but as it feared USSR expansionism and the spread of communism, it had a clear preference for the creation of a US-friendly Korean state. As Sweden was clearly aligned with the US side in the Korean War, the perspective of the Swedish participants must also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people as a potential Western-friendly ally.

      • 한국전쟁의 원인에 관한 연구사적 검토

        이재훈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32444

        한국전쟁은 남-북한 관계의 여러 모순이 표출된 것일 뿐만 아니라, 미국과 소련 사이의 정책의 대립이었다. 자유민주주의와 공산주의의 이념적 투쟁이기도 하였던 한국전쟁은 전세계에 냉전 체제를 한 층 강화시켰으며, 한국의 분단을 고착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기왕의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한국전쟁의 기원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못하고 있다. 구 공산권에서 중요한 자료를 공개하지 않았기 때문에 연구에 혼선이 계속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러시아측이 일부 자료나마 공개함으로써 한국전쟁에 대한 연구는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고 있다. 소련측 자료는 한국전쟁이 북한이 일으킨 선제적이고 전면적인 전쟁이었음을 입증하고 있다. 한국전쟁은 스탈린의 후원하에 김일성이 주도하였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 같다. 돌이켜 보면, 남한과 북한의 관점에서 진행된 그 동안의 연구는 미흡한 점이 많은 것 같다. 미국과 소련의 관점도 또한 그러하다. 이제 한국전쟁의 원인을 분석함에 있어서 우리는 전쟁을 둘러싼 국제간의 정치적 상황과 같은 외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에 누적되어온 내적인 문제들에 대해서도 눈을 돌려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한국쟁의 원인에 관한 제설을 연구사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앞으로 한국전쟁 연구에 있어 하나의 작은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연구 목적이 있다. 한국전쟁은 남한과 북한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우리는 민족의 재통일을 이루어야 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우리는 그러나, 전쟁을 피해야 한다. 이것이 한국전쟁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인 것이다. The Korean War was not only an expression of contradic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but opposition of policy between U.S. and the Soviet Union. It was also a ideological conflict between democracy and communism. In this sense, the Korean War brought about reinforcement of the cold war in world history and consolidation of division in Korea. Until now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have not been clarified. Because the communist states have not opened materials to the public, the confusions have been continued. But now these states, in especially Russia, are publicizing materials restrictively. Therefore the study on the Korean War should be reviewed according to these material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June 25 invasion of the North Korean armed forces had been pre-emptive and overall in character. Even the inside parts of the Soviet Government have been admitting formally that kim Il-Sung projected and led this war, carrying out Invasion into South with Stalin's connivance. We can say the Korean War is not ended but being continued on the steep path, which has made korea and korean people bisected into the North and the South and suffer the agony of war between the same people for more than 50 years. The research in respect of South-North's view itself is not yet enough whereas researches of the Korean War analized by the Cold War based on historical view in respect of American-Soviet relations are dominent. Therefore I think analysis about causes of the Korean War should be rebuild not only external korean problems generated by the Cold War but also internal insights generated by korean peopl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urnish of basic material on Origins of Korean War by reexamination of various theories on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urnish of basic material on Origins of Korean War by reexamination of various theories on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The Korean War had a lot of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e wish to be unificated. We should avoid only the war. That is the lesson which the Korean War gives us.

      • Two Origins of the Korean War Friendly in Susan Choi’s The Foreign Student

        Hojung Kim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444

        In the American imagination, the Korean War (1950–53) is also known as a forgotten war obscured by the two more prominent wars of the late twentieth century: World War II and the Vietnam War. It is also view as the first hot war of the Cold War, signaling the advent of the late twentieth century’s Manichean structure. In short, the Korean War had been primarily perceived as a proxy war that happened between the American-led South and the Soviet-led North. However,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the Korean War cannot be fully understood only through the Cold War context. Particularly, the Korean American subjects that had been originally understood as the integrated products of the Cold War structure appear to hold different stories that stretch beyond the parameters of the American intervention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thesis aims at examining Susan Choi’s The Foreign Student to understand the moment of integration where a Korean-born figure, Chang Ahn, is severed from his homeland by the Korean War and journeys to America as a foreign student. This Korean Cold War ally being brought into the center of the American empire troubles the preexisting knowledge of the Korean War as a proxy conflict. Such Korean immigrant figure, whom Josephine Park calls a friendly for he is a friendly ally but not fully a friend due to his racial and cultural differences, destabilizes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the Korean War and the Cold War. This thesis traces the two origins given to this figure, which renders him into a war product but simultaneously a remnant of old Korea that had been obscured by the American arrival in the peninsula in 1945. This will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s of the disturbing elements innate in the Korean wartime friendly. 미국에서 한국전쟁(1950–53)은 역사 속 다른 두 전쟁(2차 세계 대전과 베트남 전쟁)에 가려친 채 ‘잊혀진 전쟁’으로도 알려져 있다. 동시에 이 전쟁은 20세기 후반 냉전 체제의 시작을 알린 전쟁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한국전쟁은 미국을 대신한 남한과 소련을 대신한 북한 사이에서 벌어진 일종의 대리전이었다는 것이 미국에서의 일반적이 인식이다. 하지만 최근 연구들에서 한국전쟁이 단순히 냉전 구도만으로는 온전히 이해될 수 없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한국계 미국인들이 냉전 구도 속에서 포섭된 일종의 전쟁의 산물로 이해되던 기존의 양상과는 달리 최근 연구들은 이들이 지니고 있는 다른 이야기들에 주목하고 있다. 본 논문은 수잔 최의 『외국인 학생』을 통해 한국전쟁이 미국과 소련의 대리전이라는 기존의 지식이 얼마나 불안정한지, 또 그 속에는 어떤 다른 이야기들이 숨겨져 있는지에 주목해 본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한국에서 태어나 한국전쟁을 겪은 뒤, 외국인 학생으로서 미국에 건너간 인물인 캐릭터 안창을 살펴보면서 그가 미국에 도착하게 된 두 기원에 집중한다. 조세핀 박(Josephine Park)은 프렌들리(friendly)라는 개념을 통해 안창이 미국의 친밀한 동맹이지만 동시에 인종적, 문화적인 타자로서 온전한 친구가 될 수 없음을 지적하는데, 이처럼 본 연구는 안창을 전쟁의 산물로 이해하는 기원과 그를 냉전 내러티브에 포함되지 않는 한국의 내적 요인들의 산물로 이해하는 기원을 추적한다. 이를 통해 수잔 최의 외국인 학생이 냉전에 포섭되지 않는 어떠한 불안정적인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는지 더욱 명확히 드러날 것으로 기대한다.

      • 한국전쟁기 중국군포로송환문제에 관한 연구 : 포로수용소 내부상황과 휴전협상 진행과정 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탕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443

        This paper examines the repatriation issue of the prisoners during the Korean War, which was the toughest one in the truce negotiations between the United Nations Command and its Communist counterpart to reach an armistice. Although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was already over 70 years ago, but strictly and technically speaking, the Korean War is still ongoing. This is because the armistice system of the Korean War has not yet been converted into a peace system. This is probably the most difficult problem to solve between the two Koreas during these past decades and still for now. The effects of the Korean War not only existed o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on the regional situation in Northeast Asia. The Korean War began as a civil war aimed at reunification of the whole peninsula at first, but it took on the character of an international war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UNC and later the Chinese forces. In addition to the Korean Peninsula, the Korean War also left a huge scar on China, a major participant in the war. Nearly 200,000 Chinese soldiers lost their lives in the Korean War, and about 22,000 were taken prisoners. These 22,000 prisoners of war are both parties to the war and witnesses of the unfortunate times. Where did those who survived from the front lines go? About 22,000 Chinese POWs were detained in Geoje Island and later Jeju Island, and then returned to each other before and after the signing of the armistice agreement in 1953. But unexpectedly, 70% of them, or about 14,000 POWs, went to Taiwan, not mainland China, where they came from. What factors contributed to these results?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narrates the stories related to the POWs of the Korean War, which seem to have been forgotten, and examines one aspect of the Korean War, by especially focusing on the stories of the Chinese POWs. Therefore, first of all, Chapters 1 and 2 of this study described the background of Chinese military intervention in the Korean War and the process of occurrence of Chinese POWs, and Chapters 3 and 4 described the internal situation of Chinese POW camps and the Korean War truce negotiations respectively. In Chapter 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factors and the interaction process were analyzed. Finally, in Chapter 6, the above contents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an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presented. In this study, the historical fact that a large number of the Chinese POWs went to Taiwan after the end of the war, is considered as a product of the clos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key factors, as mentioned in Chapter 3 and 4,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POW camps and the progress of the Korean War armistice talks. Specifically,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POW camps was examined from three perspectives. First, the compositional diversity of the Chinese military mobilization process; Second, the existence of anti-communist prisoners of war and ideological conflicts and power struggles among them; Third, the responsibility of the prisoners management authorities. Above all, it would be possible to better understand the repatriation issue of the war only by accurately understanding the situation inside the camps. Regarding the progress of the armistice talks, which acted as another key factor, in this paper,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repatriation policy of both the Communists and UNC, the resistance of the prisoners and clashes of opinions inside the camps, and the final agreement process and problems, etc. were considered. The conclusion is that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POW camps and the progress of the armistice negotiations jointly influenced the handling of the POWs of the Korean War, including the Chinese POWs, as they mutually influenced each other over a period of one and a half years. Chapter 5 summarizes important events that can support the assertion of this study by dividing these interaction processes by period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in detail. Through this, this study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handling prisoners of war in the Korean War, including the issue of the repatriation of the Chinese POWs. 한국전쟁의 발발은 이미 70여 년 전의 일이지만 엄밀히 따지면 한국전쟁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한국전쟁의 휴전체제는 아직까지 평화체제로 전환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한반도 뿐만 아니라, 동북아 지역정세에도 한국전쟁의 영향은 아직까지 지속되고 있다. 한국전쟁이 처음에는 통일을 지향하는 내전의 형태로 시작되었지만 미국을 비롯한 유엔군과 중국군의 참전으로 국제전의 성격을 띄게 되었다. 한반도 뿐만 아니라, 한국전쟁은 주요참전국인 중국에게도 큰 상처를 남겼다. 20만 명에 가까운 중국군인이 한국전쟁에서 목숨을 잃었고 22,000여 명의 포로도 발생하였다. 이 22,000여 명의 포로는 전쟁의 당사자이자 불행한 시대의 목격자이다. 전선에서 구사일생을 경험한 이들은 어디로 갔을까? 22,000여 명의 중국군포로들은 거제도와 제주도에서 수용되었다가 1953년 정전협정 조인 전과 후에 차례로 송환되었지만 이상하게도 이들 중의 70%, 즉 14,000여 명의 포로들은 자신의 출신지인 중국대륙이 아닌 대만台灣으로 가게 되었다. 어떠한 요인들이 이러한 결과를 초래한 것일까?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그동안 잊혀진 듯한 한국전쟁의 포로에 관련된 이야기를 서술하였고 특히 중국군포로들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국전쟁의 일면을 고찰하였다. 따라서 우선 본 연구의 제1장과 제2장에서는 중국군의 한국전쟁 개입배경 그리고 중국군포로의 발생과정을 서술하고, 제3장과 제4장에서는 각각 중국군포로수용소의 내부상황과 한국전쟁 휴전회담의 진행과정 등을 살펴보았다. 제5장에서는 이 두 가지 요소 사이의 연관성 그리고 상호작용과정을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이상 내용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수의 중국군포로들이 전쟁이 끝난 후 대만으로 가게 되었다는 역사적 사실은 포로수용소의 내부상황과 동시에 진행된 한국전쟁 휴전회담의 진행과정 이 두 핵심적인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의 산물이라고 주장한다. 우선 포로수용소의 내부상황에 대해서는 크게 3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첫째, 중국군의 동원과정에서 나타난 구성상의 다양성; 둘째, 반공포로들의 존재 및 포로들 사이의 이념분쟁과 권력투쟁; 셋째 관리당국의 책임 등이다. 무엇보다 수용소내부상황에 대해 정확히 파악해야 이 문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또 한 가지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되었던 휴전회담의 진행과정에 대해서는 본 논문에서 공산군과 유엔군 양측의 포로송환정책의 수립과정, 포로들의 저항 및 양측의 의견충돌, 그리고 마지막의 합의과정과 문제점 등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결론은 포로수용소의 내부상황과 휴전협상의 진행과정이 1년반 동안의 시간에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공동적으로 중국군포로를 포함한 한국전쟁 포로처리문제를 좌우하였다는 것이다. 제5장에서는 이러한 작용과정을 시기별로 나눠서 각 시기의 특징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의 주장에 뒷받침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사건들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군포로송환문제를 비롯한 한국전쟁의 포로처리과정에 대해 더 잘 이해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 외국인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 전쟁소설 감상 교육 연구 : 전쟁 트라우마 극복을 중심으로

        성현지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32443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appreciation education for foreign advanced learners, and to present ways to appreciate Korean war novels centered on overcoming war trauma. Recently,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is increasing and the level of learners is diversifying. Therefor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ed on language education is limited. Literature education is education that can supplement these limitations. This is because comprehensive education is possible for literature education. Therefore, literature appreciation education is needed.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novel genre that can contain all of this in the narrative is the most suitable, and that it is a foreign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it is reasonable to use short stories. As for the topic of education,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Korean War, which contains Korea's unique characteristics and will not be unfamiliar to foreign learners. War novels set in the Korean War were published in the 1950s and 1960s, and the educational value of war novels is overcoming hardships. Therefore, this research defines the hardship as war trauma and aims to suggest ways of how learners can overcome the war trauma. Thus, the concept and symptoms of war trauma were identified in this article, and the specific criteria for symptoms were summarized through DSM-5. Based on this, it analyzed the trauma and attitude of overcoming war novels. In this study, it was selected as a Korean war novel published in the 1950s and 1960s. A total of eight works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into three attitudes to post-traumatic growth. First, he revealed the causes and symptoms of the war trauma in which the character in the work was seen. In addition, the attitude of overcoming the war trauma was reset to 'will to overcome through love, discover inner strength, and re-recognition of the meaning of life' so that the attitude of the characters in the novel could be encompassed. It went through the process of analyzing what the character's overcoming attitude was focused on and whether the content contained educational values. The three attitudes to overcome the war trauma and one of the selected works was selected to present the actual practice of appreciation education. The significance and the purpose of appreciation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first revealed and an effective map model was formed. Through this, the third city's guidance plan to learn Lee Chung-joon's "dumb and idiot" was formed and suggested focusing on activities that allowed learners to become independent readers.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suggest that literature appreciation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ld be possible in terms of the nature of literature as well as the enhancement of language skills.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the content cruelty, dialects, and difficult vocabulary of war novels can be used as educational content. Nevertheless, literature appreciation education through Korean War novels provides foreign learners with the opportunity to learn about Korea and experience the situation at that time. Moreover, it has great significance in terms of providing time to understand the emotions of Koreans.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learners can learn the growth of overcoming hardships shown by the character in the novel, rather than taking only the Korean War itself as a learning element.

      • 한국전쟁 발발원인에 관한 연구 : 미국과 소련, 그리고 북한의 오인(misperception)과 오판(miscalculation)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안상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2443

        얄타체제(the Yalta Status Quo) 하에서 미국과 소련 사이에서 상호 협의될 수 있는 질서로 보였던 한반도 문제는 왜 극복되지 못하였는가? 미국은 왜 주한미군을 철수시켰으며, 대한공약을 약화시켰는가? 수많은 남침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왜 강력한 억지정책을 실시하지 않았는가? 전쟁을 유도했던 것인가, 아니면 실수였던 것인가? 소련과 북한은 무엇을 한국전쟁의 기회로 인식했으며, 왜 자신하게 되었는가? 오판이었는가, 아니면 계산된 위험이었는가? 본 연구는 역사적으로 대부분의 많은 전쟁에는 오인(misperception)과 오판(miscalculation)이 존재했다는 사실에서 과연 한국전쟁에 있어서도 그러한 오인과 오판이 원인으로 존재했는지, 만약 그렇다면 어떠한 요소가 어떠한 방법으로 작용이 되었는지에 대한 문제제기로 출발하여 역사적 사실검증에 기초한 인지심리학적 접근으로 한국전쟁의 원인을 분석해 본 결과 미국과 소련, 그리고 북한의 오인과 오판이 복합적인 상호작용 속에서 한반도에 전쟁의 원인으로 작용되었음을 밝혔다. 한국전쟁도 미국과 소련, 그리고 북한은 모두가 급변하는 한반도에서의 상황변화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그에 따르는 정책의 적절한 수단선택에 실패함으로써 국제정치의 복잡한 상황과 사건이 가져다주는 예기치 못한 전환 및 대외정책에서 고려해야 할 상대국에 대한 오인과 오판으로 한국전쟁을 초래한 것이었다. 미국은 먼저 한반도의 전략적 가치와 미국의 이익 사이에서 정확한 목적과 범위를 올바르게 평가하지 못함으로써 주한미군의 철수를 결정하게 되었고, 그리고 미군 철수 후의 대한반도 정책에서는 상대 적국인 소련과 북한의 전쟁의지를 과소평가하고 일본에 있는 자국의 공군력으로 인한 억지 능력에 대해서는 과대평가하는 오인을 범함으로써 對한반도 정책에 모순된 결과를 낳게 되었고 소련과 북한으로 하여금 또다른 오판의 계기를 제공을 하였다. 소련은 49년까지 북한의 남침계획을 반대했다가 50년 1월 애치슨 선언의 모호성을 전쟁에 대한 유리한 국제환경으로 자의적으로 해석하여 한국전쟁을 승인하게 되었고, 그리고 한국전쟁 발발시에 미국의 개입변수를 고려함에 있어서 단순히 과거 미온적인 정책경향에 비추어 그 의지를 과소평가 함으로써 전쟁에 낙관적인 견해를 가지게 되었다. 또한, 미국이 개입할 의사가 있다는 가정을 한다고 하더라도 북한의 단기간에 전쟁을 종결시킬 수 있다는 주장을 믿음으로써 잘못된 승인을 결정하게 된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북한은 남한에 비해 월등한 군사력에 대한 자신감과 남한의 무장봉기에 대한 확신으로 남한의 능력과 미국의 의도를 과소평가 하는 오인을 범하였으며, 더욱이 이로써 발전된 단기전에 대한 확신은 소련으로 하여금 최종적으로 전쟁승인을 이끌어 내어 직접적인 전쟁의 원인을 구성하였다. 즉, 한국전쟁은 팽창해 나오려는 현상타파 세력인 소련과 북한, 그리고 이를 거부하는 현상유지 세력인 미국의 대립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서 미국과 소련, 북한이 서로 상대국과 자국의 의도와 능력에 대한 정확하고 올바른 평가를 내리지 못한 채, 각 행위자들의 잘못된 인식과 잘못된 판단이 서로 복합적으로 상호작용되어 유발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런 시각에서 본다면 한국전쟁은 각 행위 국가간에 상대방에 대한 인식이 보다 현실적이고 철저했었다면 피할 수도 있었던 불필요한 전쟁이었던 것이다. 본 논문은 한국전쟁에 있어서 오인과 오판의 논거를 각 행위자별로 살펴봄으로써 오랫동안 논쟁의 주제가 되었던 전통주의와 수정주의의 냉전적 이념논리를 떠나 한국전쟁을 역사적으로 재평가하는 데 있어서 도움을 제공하는 데 기대를 건다. 앞으로도 균형 잡힌 틀 내에서 한국전쟁의 원인을 구명하여 올바로 분석하는 문제는 국제정치와 한국정치사 논의에 보다 정확한 인식의 근거를 제공하여 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한국전쟁 원인에 대한 요인과 성격을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따라 전쟁전후의 역사인식과 서술이 크게 달라지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극히 탈냉전의 시대에 접어든 지금에도 한국전쟁의 연구는 그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Why had the Korean Peninsula problem not overcomed seemed to be an order capable of mutual discussion between the US and Soviet under the Yalta Status Quo? Why had the US evacuated the troops stationed in the South Korea and weakened the commitment to the South Korea? Despite so many warnings against the possible invasion of the South Korea by the North Korea why had the US not implemented some strong deterrent policy? The US led the War? Or unintentional mistake? On what basis did the Soviet and North Korea grasp a good chance of the Korean War and why had they confidence of their victory? Miscalculation? Or expected danger? In view of the fact that most various historical wars had some misperceptions and miscalculations, really the Korean War had also one cause from both of them, if so, what elements were effected by what processes? The analysis result of the cause for the Korean War arisen from the above mentioned questions by way of cognitive psychological approach shows clearly that each misperception and miscalculation from the US, Soviet and North Korea intermingled with one another effected the cause thereof. It was believed that the Korean War broke out due to the misperception and miscalculation against their relative nations which they should have considered in the unexpected changes and diplomatic policies, with which the complicated international status and affairs appeared, because the US, Soviet and North Korea hadn't understood fully the accurate status change of the Korean peninsula at that time and hence failed to take some appropriate prior measures against them. Because the US first failed to correctively calculate an accurate scope between the strategic valu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benefit for the US, from which result the US troops was determined to evacuate. And after they evacuated the South Korea the US policy of the Korean peninsula underestimated the strong war will of the Soviet and North Korea, their counter enemy, and further committed misconceptions by overestimating the deterrent capability of their air force stationed in Japan, from which result they brought about a contradictory policy against the Korean Peninsula and provided with other opportunity of miscalculation taken by the Soviet and North Korea. The Soviet disagreed the South invasion plan prepared by the North Korea by the year of 1949. However when Acheson expressed the ambiguity from his speech in January 1950, the Soviet approved the Korean War Plan by analyzing the Korean situation as a favorable international environment for themselves and further had an optimistic standpoint for the war by underestimating the US intention in view of their simple past lukewarm policy trend considering the US intervention variables in case of the Korean War. Further even if the US was assumed to intervene in the war, the Soviet believed the North Korean insistence of terminating the War for a short period of time ,from which fixed a misled approval thereof. At last the North Korea had their self confidence of far stronger military power over that of the South Korea and was sure of an armed uprising in the South Korea ,from which they led to the misjudgement of underestimating the South Korean capability and the US intention thereof. Further their assurance of a short war so developed was made up of the cause of the direct war by inducing the final war approval from the Soviet. Namely, the Korean War broke out from the antagonism process between the Soviet and North Korea, one power trying to destruct the status quo and the US, the other power trying to maintain it. It can be seen that the war flared up due to the wrong understanding and judgement of each actors for the US, Soviet, North Korea without any mutual practical and right evaluation on the intention and capability for each relative country. In view of such an angle of vision, the Korean War was an unnecessary one which had been prevented if th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each acting nation would have been more practical and thorough. This thesis provide Korean War studies with a new view of the misperception and miscalculation and it may be helpful to contributing toward the historical revaluation for the Korean War regardless of the Cold War ideological logic. It may be one of the important subjects in view of providing with the basis on more accurate recognition for discussing on the international and Korean political history for the future, in the balanced frame work, we should examine the cause of the Korean War more closely to analyze thereof correctly. For the reason may come from quite a different aspect of the historical perception and description for each prior and post war period depending on how we could approach some primary factors and characters about the cause for the Korean War. Therefore, the study of the past war may suggest many invaluable points at the present time being extremely of the Cold War.

      • 참전 중국인의 기록을 통해 본 한국전쟁 인식

        조첨육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442

        한국전쟁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소가 쟁패하여 형성된 냉전 구도를 구체화한 것이고,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 후 처음으로 참여한 국제적 전쟁이다. 중국정부는 한국전쟁을 한반도의 내전으로 규정하여 북한을 지지하면서, 중국의 기존 국가 건설발전계획을 바꾸지 않았다. 그러나 미국을 비롯한 유엔군의 참전하면서 중국은 한국전쟁이 국가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생각하였다. 1950년 9월 중순 미군은 인천에 상륙해 북상하기 시작하였다. 10월 1일, 김일성은 공식적으로 중국에 출병 지원을 요청하였고, 중국정부는 검토를 거친 후 중국군을 중국인민지원군이라는 이름으로 10월 19일에 3개 노선으로 나눠 한국전쟁에 참전하기로 결정했다. 1953년 7월 27일에 정전협정을 체결할 때까지 중국군이 한국전쟁에 참전한 시간은 2년 9개월이 걸렸다. 참전 중국인들은 한국전쟁에 대한 인식은 크게 참전 전, 참전 중, 귀국 후로 나뉜다. 참전 이전에는 한국전쟁에 참여하는 것을 중국을 보위하고 개인의 생계를 개선하려고 생각이 주를 이루었다. 참전 중에는 한국전쟁에 투입되어 실제 전쟁을 겪으면서 군대의 현대화가 절실하다는 점에 집중하였다. 귀국 후 참전 중국인은 한국전쟁 참전 경험으로 인해 개인 생활이 바뀌었고 이에 따라 시간이 흐르면서 한국전쟁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부분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부분이 병행하고 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한국전쟁의 진상은 점점 객관적이고 구체화되고 있다. 한국전쟁의 경험자인 참전 중국인의 한국전쟁에 대한 인식은 한국전쟁을 제대로 이해하는 중요한 측면이다. The Korean War is a concrete manifestation of the Cold War pattern of the United States-Soviet hegemony after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first international war in which New China participated after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Fo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the Chinese government characterized it as a national civil war and did not change the original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plan. However,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United Nations led by the United States, the nature of the Korean War had changed. The Chinese government had to judge whether the Korean War would pose a threat to China. In mid-September, the American army landed in Incheon, reversing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s superiority in the battlefield, and forcing it to move northward. On October 1, Kim Il-sung officially sent a request for assistance to China. After discussion and research, the Chinese government decided to join the Korean War along three paths as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s on October 19. By July 27, 1953, the Korean Armistice Agreement was officially signed, and the participation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s in the Korean War had lasted two years and nine months. The Chinese people's apprehension of the Korean War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hree aspects: before the war, during the war and after returning home. Th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War before it had started was mainly reflected in the protection of New China and the improvement of personal livelihood; The appreciation of the Korean War during the war mainly focused on the modernization of the Korean War, which should be developed in the army ; After returning to China, due to the changes of personal life caused by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Korean War, as time passed, the Chinese involved in the war had positive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s the Korean War. With the different backgrounds of the times, the overview of the Korean War has become more and more objective and specific. As a participant in the Korean War, the Chinese people's perception of the Korean War is crucial for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War.

      • 한국전쟁 기간 북-중 관계와 북한의 생존전략 : 약소국 외교정책을 중심으로

        조요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2442

        한국 전쟁은 초기에는 남북한 간의 분쟁이었으나 점차 국제전으로 확대되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한반도에 형성되었던 세력균형은 전쟁 초기 북한으로 기울었다가 이후 미국으로 치우쳤다. 그리고 중국군의 참전으로 다시 균형을 이루었다. 만약 중국군이 참전하지 않았더라면 한국전쟁은 조기에 종료되었고 한반도의 세력균형은 미국진영으로 완전히 기울어졌을 것이다. 그런데 중국은 왜 많은 사상자를 유발하고 추후 서방과의 적대관계를 야기할 것이 극명한데도 한국전쟁에 참전했을까? 중국은 표면적으로 전쟁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실제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획득할 수 있는 정치적·경제적 이익이 많지도 않았고, 뚜렷한 전쟁 개입의 명분도 없었다.기존 연구들을 보면 중국의 참전 이유에 대해 여러 가지 상반된 견해들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의 한국 전쟁 참전은 소련의 지령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유엔군의 북진으로 인해 전쟁이 자국영토로 비화될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다. 그리고 산적한 국내적 문제 때문에 외환을 계기로 이를 해결하고 국내의 정치권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런 연구들은 중국의 한국 전쟁 참전 동기·원인을 고찰함에 있어 중국의 목적과 이익 차원에서만 연구되고 있어, 한국 전쟁이 중국이라는 외래적 변수에 의해 발전, 확대되었다는 입장만을 되풀이하여 설명할 뿐이다. 따라서 이런 연구에서는 중국의 한국 전쟁 참전에 대한 북한의 역할에 대해서는 일체 거론하고 있지 않다.본 연구는 중국군의 한국전쟁 참전에서 북한의 외교적 입장에 대한 기존의 수동적 시각에서 탈피하여, 북한이 세력균형의 운용자로서 열강들의 세력경쟁을 이용해 생존을 모색하려 했던 주체적 국제정치 행위자였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한반도에서 이루어진 ‘중국’과 ‘미국’의 세력 대결과 균형이 단지 그들의 정책에 의한 것일 뿐 아니라, ‘북한’의 생존전략이 부분적으로나마 성공한 데에 기인한 것이라는 점이다. ‘힘의 원리’가 지배하는 무정부상태의 국제정치에서, 약소국은 강대국들의 역학관계를 교묘히 이용한다면 생존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여지가 있으며, 약소국의 이러한 생존전략은 현실주의적 국제정치관에도 모순되지 않는다. 미소 냉전체제로 인한 한반도의 분단은 기본적으로 그들의 이해관계 상충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힘의 우위를 확신하고 전쟁을 도발한 북한이 오히려 미국으로 인해 역전되는 상황에 직면했을 때, 다른 강대국을 끌어들이는 전략을 펼친 것 또한 한반도 주변의 국제관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파악하는 것이다.‘세력균형’은 일반적으로 강대국이 자신의 국력을 바탕으로 상대 세력집단과의 힘의 균형을 추구하는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어, 약소국의 외교정책과 관련해서는 적극적으로 논의되지 못했다. 그러나 생존을 위해 중국군을 끌어들이고자 했던 북한의 외교적 노력은 강대국의 전유물이라 생각했던 세력 균형 구도가 약소국에게도 정책적 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고, 약소국의 특정 정책이 강대국들의 세력 균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 주는 것이다.1950년 6월 25일 북한 지도부는 38선 전역에서 남침을 개시하였다. 전쟁 초반에는 전쟁 개시 며칠 후에 낙동강 유역에서 전선이 형성될 정도로 승승장구 했으나, 유엔군의 참전으로 인해 야기된 공군력 문제와 전쟁 수행능력 미흡으로 내부적인 문제에 봉착하고 중국의 지원과 참전 문제를 검토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군수물자의 보급에서 중국철도의 필요와 병력 확충이 절실해지는 전장 상황으로 인해 북한에게 있어 중국의 중요성은 부각되었다. 이에 따라 북한 지도부는 중국에 직접 지원을 요청하기 시작하였고, 외교관계를 원활히 유지하기 위해 대사관 설치도 건의하였다.전장 상황이 점점 악화되자 군수품 지원을 위해 7월 중순 처음으로 북한측은 중국지도부를 방문하였다. 이때 모택동은 파병을 위해 참전 명분을 제공하고, 한반도 지형도와 연락요원을 제공할 것을 요구하였다. 미국의 참전으로 안보위협에 직면한 중국의 적극적인 태도는 북한이 중국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갖고 외교행위를 수행하게 하는 토대가 되었다.유엔군의 신속한 전개와 인천상륙작전 성공은 한국전쟁의 성격을 바꾸었다. 16개 국가가 유엔군을 지원했으며, 이는 초전에 형성된 북한군의 전력 우위 상황을 변화시켰다. 또한 유엔군의 한국전쟁 참전으로 인해 국제 여론 자체가 북한을 전쟁 도발국으로 지목했다. 이로 인해 전쟁이 남북한 간의 대결 양상에서 ‘자유주의진영의 국가들 대 북한’의 대결로 변모하였고, 북한의 국제적 입장 또한 불리해졌다. 인천상륙작전의 성공으로 낙동강 전선에 진출해 있던 북한군 대병력은 후방보급로가 차단되었고 강력한 적을 배후에 두게 됨으로써 순식간에 패전병력으로 전락하였다. 이와 더불어 북한은 많은 국토와 병력을 상실하였으며, 철도, 도로 등 기반시설과 생산시설 및 농촌이 파괴되어 국가의 기본 자산도 급격히 고갈되었다.한국전쟁 발발 후 유엔군의 참전으로 인해 변화된 국제정치적 상황은 중국의 안보 위협도 증대시켰다. 이는 주로 대만과 동북지역에 대한 중요성 때문에 제기되었다. 전쟁 발발 전과 달리 북한을 둘러싼 전장 상황은 급격히 변화하였고, 중국은 전쟁이 발발한 이후 이를 인지하고 병력을 이동시키는 등 사전 예비조치를 시행하였다. 이런 중국의 준비는 북한이 인천상륙작전으로 인해 절멸의 상황에 직면했을 때 북한의 요청에 즉시 응할 수 있는 전략적 환경을 제공했다. 그러나 활용할 수 있는 국력이 급격히 고갈된 북한이 시행할 수 있는 생존전략은 주변국에게 지원을 요청하기 위해 외교적 채널을 활용하는 것 밖에 다른 방법이 없었다.이런 전장상황의 변화는 북한 외교정책의 목표를 변화시켰다. ‘민족통일’을 불변의 목표로 상정했던 이전과는 달리, 38선 이북으로 이미 넘어온 유엔군의 진격을 멈춰 북한의 ‘생존’을 도모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던 것이다. 전쟁의 도발자로 규정된 국제적 여론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북한은 전쟁을 승인하고 동의해 준 중국과 소련의 지원이 절실해졌다. 이들이 한반도 전장에 직접 개입한다면 전쟁의 양상이 자유진영 대 공산진영의 대립으로 확대되어 균형을 이룰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북한의 절멸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전쟁의 장기화로 북한군의 병력과 화력이 급감하고, 식량과 각종 보급이 부족해지자 병사들의 사기도 극도로 저하되어, 북한군은 사실상 지휘 불능상태로 괴멸되었다. 군사력이나 경제력 등의 물리적 역량이 고갈된 상황에서 북한은 중국을 참전시키기 위해 무형의 자산을 활용할 수밖에 없었다. 북한은 중국이 미국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불안감과 안보에의 위협을 자극하여 중국의 참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라는 이념적 요인과 마르크스-레닌주의에 입각한 전쟁관을 이용하여 사회주의 국가의 역할론을 자극했다. 이는 항일 공동투쟁과 국공 내전시 북한의 도움으로 인해 중국이 갖게 된 부채의식과 결부되어 더욱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북한은 절멸의 상황에서 불굴의 의지를 피력함으로서 중국의 국제주의 이념을 자 것이다. 또한 과거 맺었던 북-중간 군사적 유대관계는 중국과의 연합 업무를 원활히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북한 지도부는 중국과의 교섭 및 업무 협조를 위해 과거 맺었던 군사적 유대관계를 활용하였다. 중국과의 교섭에서는 김일, 김광협, 이상조, 박일우 등 만주파 계열이 주로 담당하였고, 중국이 참전한 이후 주요 지휘관들도 중국과 관련이 있는 자들로 거의 충원되었다. 그리고 북중 연합 사령부를 설치하여 작전 지휘권을 통합함으로써, 김일성은 중국군 지휘부에 작전 지휘권을 내주었다. 주권을 제한하는 문제이기도 했지만, 김일성은 굴욕을 감내하며 중국의 한국전쟁 운용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중국의 한국전쟁 참전은 전세를 변화시켰다. 10월 25일 유엔군에 대한 제 1차 공세를 시작하고, 11월 25일 2차 공세를 전개하면서 전장 상황은 변화하였다. 이에 따라 11월 28일 이후 미국은 청천강 이남 지역으로 철수하기 시작하였고, 12월 5일 평양이 중국군에 의해 점령됨으로써 한국전쟁은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었다. 이후 유엔군과 북-중 연합군은 38선을 사이에 두고 오락가락하며 전선을 변화시켰고, 이런 상태는 3월에 와서 균형을 이루게 되었다.38선 이남으로의 진격 문제에 대한 북한지도부의 중국 입장 수용과 유엔군의 거센 반격으로 전세는 38선 전후에서 고착되었고, 3월 이후에는 본격적으로 정전회담이 거론되기 시작했다. 중국은 이때부터 휴전협정을 지도하며 자본주의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이 균형을 이루도록 만드는 한 축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 그 결과 1953년 이후 한반도에서는 두 축이 대치하는 적대적 균형 상태가 되었다.중국의 한국전쟁 참전은 북한에게 있어서 대중국 외교정책의 성공을 의미한다. 북한이 중국과의 군사 동맹을 자산으로 생존을 위한 전시외교를 수행함으로서 중국군의 참전을 이끌어 냈기 때문이다. 북한은 중국의 참전을 성사시킴으로서 적군의 세력이 우세한 상황에서 지역 내 적대적 균형을 형성하는데 성공했던 것이다. 이것은 세력균형이 강대국의 입장에서만 가능하다는 기존의 주장에서 진일보한 것으로서, 세력균형에 약소국도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비록 그 역할이 직접적인 행위자가 아니라 행위자를 움직이게 한 외교력이었다는데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자국의 의도와 행위를 통해 세력균형을 이루어냈다는 것은 세력균형을 위한약소국의 역할을 높이 평가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Korean War was disput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beginning but was expanded before international gradually. Balance of power formed in the Korea Peninsula since Second World War leaned to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since for leaned to the war early North Korea. Korean War is ended on croaker and Korea Peninsula's counterpoise might be tiped perfectly by American camp, if the China military did not participate in the war. By the way, why did China participate in korean war though it is scrupulous something to leads to heavy casualties and causes hostile relations with western late? China tried to escape war responsibility phenomenally. And there were not many political and economic incomes and there was no justification of clear war intervention.If conduct existing researches, various contradictory opinionses are brought about Chinese participation's reason in the war. Chinese participation in the war has captain that is thing by Soviet Union's order and that because feared from U.N. Forces' northing that the war is come to involve to china's territory. These researches are studied in Chinese purpose and profit dimension being to investigate motive and cause of Chinese participation in the war. And this study explains situation that Korean War was expanded by external variable repeatedly. Therefore, this study is not taking all about North Korea's role for Chinese participation in the war.This study exuviates in existent passive time about diplomatic situation of the North Korea in China participation in the war, I wish to emphasize in terms of the North Korea was an independent international politics doer who tried to grope survival because use influence competition of great powers as operator of balance of power. It is that survival strategy of 'North Korea' originates to succeed partially as well as influence confrontation and balance of 'Chin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ttained in the Korea Peninsula are thing by their policy only. In international politics of state of anarchy that 'Principle of force' dominates, small nation can grope survival plan if use dynamism of powerful countries skillfully, and this survival strategy of small nation is not inconsistent to realism international political awareness. Korea Peninsula's division by cold war system is caused in their interests contradiction basically. But when the North Korea that believes firmly high position of force and foments the war faced in turned circumstance from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preferably, it exerted influence that is considerable to international relations of Korea Peninsula surrounding that the North Korea executes strategy that draw other powerful country.'Balance of power' is accepted to concept that powerful country seeks isostasy with companion influence group with own national strength usually, was not discussed actively in connection with diplomatic policy of small nation. But, diplomatic effort of North Korea that wished to draw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Military for Survival previews counterpoise composition that thought all hang-over of powerful country can provide political vacant space to small nation, and specifications policy of small nation can affect to 'Balance of Power' of powerful countries.June 25, 1950, North Korea leadership began southward invasion in 38 line Campaigns. At War opening part, North Korea made a long drive taking advantage of victory enough to form Front Line in Nag-dong river after war onset a few days. But, North Korea began to run into internal chapter and examine Chinese exercise support branch participation in war chapter by air power and war potential insufficiency caused from participation of United Nations forces in war. Specially, the Chinese importance was embossed being to North Korea from battlefield situation that personnel strength expansion is serious and that People's Republic of China railway in Supply of military material is needed. Accordingly, North Korea leadership began to Request Direct Support, and memorialized embassy setting to People's Republic of China for keeping diplomatic relations smooth.When battlefield situation is worsed gradually, North Korea visited People's Republic of China leadership at first July middle for war stores support. This time, Mao Tse-tung required something to provide participation justification, and Korean peninsula topographic map and liaison member for operations, commitments and requirements. Chinese active bearing that face in security threat by Participation of United Nations forces became footing that do as North Korea achieves diplomacy action with more interest about People's Republic of China.Quick arrival of United Nations forces and Incheon Landing Operation changed personality of Korean War. 16 nations supported United Nations forces, and this changed War Potential Situation of Korean People's Army formed to first battle. Also, world public opinion itself indicated North Korea to war provocation nation from Korean War participation of United Nations forces in war. War underwent a change by showdown of 'Nations of camp of free state vs North Korea ' in showdown aspec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reby, and international standpoint of North Korea was also disadvantageous. Korean People's Army mighty host power that advance to Nag-dong river Front Line by up-and-up ago Incheon Landing Operation cut-offed Rear Supply Route. And they degraded by beating strength of an army in on time by putting on back is strong. North Korea lost a lot of countries and personnel strengths along with this, and infrastructure and productive capacity such as railway and road and farm village is destroyed and underlying assets of nation was run dry rapidly.International political Situation changed from participation United Nations forces after Korean War conflagration increased Chinese security threat. This was brought because of importance about Taiwan and northeast Locality mainly. Battlefield situation that enclose North Korea unlike outbreak of hostilities ago was jumpy, and People's Republic of China enforced preliminary pretreatment that recognize this and move Personnel Strength after war breaks out. This Chinese provision provided strategic environment that can answer immediate to request of North Korea when North Korea faced to situation of annihilation from Incheon Landing Operation. But, survival strategy that North Korea that active national power is run dry rapidly can enforce utilize that to request support diplomatic channel to marginal state be.Diversification of this battlefield situation changed objective of North Korea diplomatic policy. North Korea faced to situation that becalms storming of United Nations forces that already come over to 38 line North Koreas and must plan 'Survival' of North Korea. To survive within international opinions named provocator of War, North Korea was urgently need support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Soviet Union that approve and agree war. If these intervene directly to Korean peninsula battlefield, aspect of war may be in balance because is expanded by ill-coordinated of free world vs communist camp and furthermore, it is to check annihilation of North Korea.Personnel strength and fire power of Korean People's Army decrease by long period of War, and morale, esprit of enlisted personnels is fallen extremely when subsistence and various supplies are lacking, Korean People's Army was destroyed by command incapability state actually. North Korea could not but utilize abstract assets to do People's Republic of China so that participate in the war in situation that physical capacity of military capacity and economic strength etc. is run dry. North Korea exerted important influence on Chinese Participation in War by stimulating fear and threat to security that People's Republic of China had about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stimulated role loan of socialist country by using ideological part which is a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and war idea that is based in Marxism. This did more definite role because is linked with debt feeling which People's Republic of China is had from anti-Japan joint struggle and help of North Korea at China's civil war. North Korea stimulated Chinese internationalism idea by revealing grim determination in situation of annihilation. Also, North - China Military relationship that formed past was beaconed to make combined tasks smooth with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Kim il-seong took operational command to People's Republic of China Army command element through installing North-China combined command and integrating operational command. This was a chapter that limit sovereignty, but Kim il-seong endures humiliation and supported Chinese Korean War operation actively.Chinese participation in War changed situation. Battlefield situation changed begins the first Offensive about United Nations forces on October 25 and deploy the second Offensives on November 25. Accordingly, United States began to evacuate by Chung-Chun river south locality since November 28, and Pyeong-yang was taken up by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military on December 5. And Korean War took new angle. After this United Nations forces and North - China allied force changed front line at 38 line neighborhoods, and this state was in balance in March.Situation was adhered to at 38 line preceding and the followings by People's Republic of China standpoint reception of North Korea leadership about storming chapter of south of the 38th parallel and strong counter offensive of United Nations forces. And, cease-fire conference was begun to take regularly not earlier than March. People's Republic of China supervise Armistice Agreement from this time and People's Republic of China achieved role of a axes that capitalism Interest and socialism Interest make to be in balance faithfully. As a sequence, Korean peninsula became antagonistic eq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