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성 중심적 IT 산업에서 여성 개발자의 적응과 대응

        원유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431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work-related performance and gender positioning of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se pursuit of careers in software development is regarded non-traditional. This study examined how they adapted and responded to being women software developers, a rapidly growing segment of the workforce in the booming software industry in the post-financial crisis era, in the male-dominated information technology (IT) industry by exploring their pre-employment and employment experiences. The IT industry has been traditionally dominated by men. Men account for nearly 90% of software developers in South Korea and worldwide. With men occupying the vast majority of software developer positions, the so-called gongdori (engineering guy) culture has come to be at the heart of industry that emphasizes programming skills but depreciates soft skills, such as face-to-face communication. Howeve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increased both the supply and demand for developers and recently opened the industry's doors wider to women computer science majors and men who did not major in computer science but are valued for their communication skills. Government policies have increased the supply of software developers.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Third National Skills Development Policy provided state-sponsored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national strategic IT industries and created many low-wage, labor-intensive jobs. By 2018, the proportion of men and women in state-sponsored IT vocational programs were approximately equal. In addition, around this time, young women graduating from vocational schools, such as Meister high schools, and expensive software development bootcamps without computer science-related university degrees began to gain entry into the software development industry. The IT industry has acknowledged the ever-diversifying routes into the field by establishing a pyramidal labor structure that finely assesses and classifies employees. In this structure, young developers are easily exploited and replaced, in stark contrast to their often rosy outlooks when they begin their careers. This study examined the work experiences of women developers in the 20s and 30s who did not major in computer science in college in this stratified labor system in the IT industry. The most of develop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had less than 4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began their careers around 2018 when there was a boom in state sponsorship for vocational train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digital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o investigate IT industry's structure and male-dominated culture and analyze how women adapted and responded to this structure and culture. Analysis showed that the factors that supported their continued employment hinged on their jobs’ flexibility and autonomy, but they were considered internal outsiders. The gendered labor division with women largely engaged in front-end development and men engaged in back-end development affects developers’ career paths. Men's back-end development positions lead to more seniority while women's front-end development positions lead to more planning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Women's careers can also be interrupted by pregnancy and maternity leave, which adds to the industry's perception of women as casual workers. Women developers’ work is perceived as flexible but also as having similar characteristics to creative digital labor whose precarity demands constant self-development.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tinued to exist in the labor market by strategically utilizing their identities as both women and developers. Their first strategy was to refrain from engaging in notably feminine behaviors, such as wearing makeup or speaking in various ways that would be considered feminine. They did not limit their identities to those of women alone and recognized gendered discrimination to be old-fashioned, leading to blind faith in meritocracy. Based on the belief that their abilities alone can lead to success, they routinely invested their time and energy in self-development. Their second strategy was to take an individualistic attitude to life by distinctly separating their private and public lives. This separation led to a lack of women mentors in the workplace, further isolating women who were already a minority. Women who were unable to find peer groups were likely to experience insecurity and alienation, further deepening their pessimism about pursuing a career in South Korea and inspiring them to seek careers abroad. Their third strategy was to form solidarity with fellow women developers outside of work. They expanded their networks with other women by engaging in side projects related to liberal arts or sociology and exchang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ir careers. This third strategy was in line with the feminism rebooted trend. The emergence of these women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in the IT industry. It also influenced the industry to produce diverse types of software that help dismantle its predominant man-oriented values. However, there were limitations to these strategies. The participants had to work overtime in the face of an industry continuing to perpetuate the male-dominated culture in which communication skills were not valued. This model of labor will continue to cultivate a neoliberal capitalist-favoring labor structure that willingly pushes developers to work overtime and experience burnou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 restructuring of the Korean IT industry’s current employee model and a transformation of its job market, so that the merits of 'flexibility' and 'autonomy' can be promoted in a legitimate work culture and developers of diverse locations can enter the industry. 본 연구는 다양한 트랙을 통해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된 20-30대 여성들에 관한 연구이다. 그중에서도 세계 금융 위기 이후 소프트웨어 산업의 발전과 함께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비전공 출신 여성 개발자들의 입직 전후 과정을 통해, 남성 다수의 노동 시장인 IT 산업 내 여성들의 적응과 대응 과정을 분석한다. IT 산업은 전통적으로 남성의 영역으로 인식됐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성비는 남성이 약 90%에 달한다. 이러한 남성 다수의 구조는 컴퓨터에만 몰두해 대면 의사소통 능력 등 ‘소프트 스킬’은 업무 능력으로 인정하지 않는, 소위 ‘너드(nerd)’, ‘공돌이’식 개발자 문화를 만들어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 담론의 도래 이후 개발자의 수요와 공급은 빠르게 늘었고, 최근에는 의사소통 능력을 갖춘 비전공자 남성과 여성도 IT 업계로 다수 진출하기 시작했다. 이들의 수요 증가에는 국가 정책이 큰 영향을 미쳤다. 정보통신 분야의 국가기간 전략사업 직종 훈련 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정부의 제3차 직업능력개발 정책에 따라, 국비 지원 교육 과정을 통해 연계되는 저임금 중노동 일자리가 다수 생겨났기 때문이다. 특히 2018년에 접어들면서부터는 이 국비 지원 교육 과정에 여성과 남성의 비율이 큰 차이가 없을 만큼 여성의 참여도가 늘었다. 더불어 마이스터 고등학교 등 직업학교 출신, 고비용의 소프트웨어 개발자 양성 프로그램인 ‘부트캠프’ 출신 등 컴퓨터 관련 대학 전공자 외에도 다양한 루트를 통해 개발자가 된 청년 여성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루트에 따라 IT 산업 내에는 개발자에 대한 처우 또는 발전 가능성 등을 기반으로 하는 피라미드형 노동 구조가 형성되었다. 이 구조 아래 청년 개발자들의 노동력은 입직 시의 낙관적인 미래와는 별개로 쉽게 소모되고 교체된다. 본 연구는 이 수직적인 노동 구조로 유입되는 20-30대 비전공 여성 개발자들이 일터에서 겪는 경험에 주목한다. 이들은 국비 지원 정책의 붐이 일었던 2018년을 전후로 IT 산업으로 유입된 저연차 여성들이다. 연구자는 디지털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을 통해 업계의 구조와 남성 중심의 성별화된 문화를 조사하고, 이에 여성 개발자들이 적응하고 대응해나가는 방식을 분석했다. 이들의 주요 입직 요인은 업계의 ‘유연성’과 ‘자율성’의 특성에서 기반하지만, 여성들은 이 특성 아래서도 모순적인 위치에 놓이게 된다. ‘여성은 프론트엔드’, ‘남성은 백엔드’로 구분되는 성별 분업을 기반으로 성별에 따라 각기 다른 커리어 패스(career path)가 요구된다. 남성의 경우 개발자로 커리어를 이어가며 고위 관리자로 상승하지만, 여성의 경우 기획 및 소통을 담당하는 중간 관리자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 과정에서 여성은 여전히 임신과 출산으로 인한 경력 단절 현상을 경험하는 등 임시 노동자로 인식된다. 즉, 여성 개발자의 일은 ‘유연성’을 강조하지만 결국 ‘불안정성’에 기반해 지속적인 자기 계발에 몰두하게 하는 ‘디지털 창의 노동’의 성격을 갖는다. 여성들은 ‘여성’과 ‘비전공자’라는 이중적인 정체성 안에서 지속해서 노동 시장에 머무르기 위한 전략을 취한다. 첫 번째 전략은 ‘꾸밈’과 ‘의사소통 방식’ 등 일상적인 영역에서 성별을 드러내지 않는 것이다. 스스로도 여성임을 인식하지 않고자 하며, 성차별은 구시대적인 것으로 정의 내린다. 이는 능력주의에 대한 맹신으로 이어진다. ‘능력만 있으면 된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기계적인 자기 계발을 지속한다. 두 번째 전략은 개인주의적인 태도를 바탕으로 사내에서 공과 사를 철저하게 분리하는 것이다. 이는 이미 소수인 여성들을 더욱 고립시켜 여성 선배를 찾을 수 없게 하는 ‘여성 멘토 부족’ 현상으로도 연결된다. 여성들은 동료를 찾을 수 없다는 불안감과 소외감을 더욱 쉽게 느낀다. 또한 국내에서의 커리어 패스에 대한 비관으로 해외로의 이직을 꿈꾸기도 한다. 마지막 전략은 여성 개발자 모임을 통해 일터 밖 연대를 형성하는 것이다. 업무 외의 ‘사이드 프로젝트’로 인문·사회학적 의미를 반영한 개발물을 만들어내고자 노력하거나, 여성 후배에 대한 멘토링을 자처하고 이직 정보 공유 등 여성 간의 연결성을 확장한다. 이는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새롭게 주목 받고 있는 현상이다. 이러한 여성들의 등장으로 업계에 비로소 소통 능력의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단일화된 남성 중심의 가치를 해체하고 다양성을 중시하는 개발물 또한 생겨나고 있다. 하지만 업계는 여전히 언제든 초과 근무가 가능하고, 소통에는 취약한 너드형 남성을 바람직한 노동자상(相)으로 단일화된 기준을 두고 있기 때문에, 여성들의 개인화된 전략에는 많은 한계가 뒤따른다. 이렇게 남성 중심의 단일한 노동자상은 지속적인 추가 노동과 사회적 과로를 유발하는 신자유주의 자본가 위주의 수직적 노동 구조를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T 업계의 장점인 ‘유연성’과 ‘자율성’의 실질적인 발현을 위한 노동자상을 재설정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위치에 있는 노동자의 유입과 노동 시장의 재편을 제언하고자 한다.

      • IT分野 技術流出 防止에 관한 法制度的 硏究 : 尖端産業技術流出防止 및 保護에 관한 法律案 檢討를 中心으로

        황인표 延世大學校 法務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185183

        본 논문은 정보통신(IT)기술의 고도화 및 세계화에 따라 발생되는 국가간, 기업간 핵심기술유출에 관한 실태와 문제점을 진단하고 현재 입법이 가시화 되고 있고 내년(2005년)7월중에 시행 예정인 ‘첨단산업기술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안’에 관한 주요골자 및 쟁점사항 등을 고찰함으로써 첨단기술의 해외유출에 관한 효율적 대응전략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세계각국은 치열한 경제전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경쟁력 확보의 핵심요소인 첨단기술 개발에 주력하는 한편, 경쟁국의 산업기밀 입수를 위해 총성 없는 전쟁에 돌입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정보통신 기업 및 연구소 등은 수많은 인적, 물적 자원을 투입하여 개발해낸 핵심기술들을 보호하려는 의지와 노력이 아직은 많이 미흡하고, 산업기밀이나 첨단핵심기술 유출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법적인 방지장치가 있더라고 각 산업분야별로 나누어져 시행되고 있거나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에 관한 법률과 같이 전산업분야에 대한 일반적이 사항만을 규정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9월 정부과천청사에서 이헌재(李憲宰)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 주재로 경제장관회의를 갖고 이 같은 내용의 ‘첨단산업기술 유출방지에 관한 법률’(가칭)을 만들기로 하고 결정하고 현재 입법예고를 통해 관계부처로부터 의견을 수렴하고 있는 중이다. 정부가 기존의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새로 첨단기술유출방지법을 만들려는 뜻은 정책적인 고려가 있음이 분명하다. 그 동안 IT산업기술의 불법 해외유출사건이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새로 제정되는 법에 따르면 국가 핵심기술을 보유한 기업이 사업 또는 기술을 해외에 팔거나 이전할 때는 의무적으로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고, 특히 해외에 유출될 경우 해당 산업은 물론 경제와 국가안보 전반에 심각한 영향을 줄 우려가 있는 산업기술은 국가핵심기술로 지정 관리하는 등 첨단기술분야 기술유출방지를 법적으로 규율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법 제정의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세부사항에는 미진한 부분이 들어나고 있다. 국가 예산이 들어간 핵심기술을 보유한 연구기관 등이 해외에 회사를 팔거나 기술을 이전할 때는 물론, 해외 투자시에도 의무적으로 정부의 승인을 받도록 하되 기업이 자체개발한 첨단기술에 대해서는 자율신고제를 도입하는 등 규제사항이 많고 국가핵심기술을 광의적?자의적으로 해석하여 이는 오히려 WTO 및 한일 BIT협정에 위배될 개연성도 엿보인다. 이로 인해 한국과학기술 관련 단체에 많은 반발을 사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과학기술인의 사기저하와 그동안 지적되었던 이공계 기피현상의 극대화를 초래하게 될 수도 있다고 본다. 첨단기술유출이 방치할 수 없는 수준에 있는 것은 사실이고 정부가 올바른 정책방향을 잡은 것은 다행이지만 예상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도록 세심한 정책적 배려와 입법상의 많은 검토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IT와 같은 첨단산업 기술분야에 대한 유출방지 관련한 법적, 제도적 장치의 필요성 및 적용 방법론상의 문제등을 고찰함에 있어서 현실적으로 쟁점이 문제점 등을 집중 검토해보고 이를 법으로서 완벽하게 규정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담당 검사로부터 사건 수사사례에 대한 조언을 통해 현실적으로 발생하는 기술유츌사건 사고의 경위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일선 연구소, 첨단 IT기업의 담당관계자와의 면담 및 회의를 통하여 현재 현실적으로 가장 필요한 방지대책이 무엇인가에 대한 많은 토론과 의견개진이 있었으며 이렇게 모아진 자료를 바탕으로 논고를 정리하면 법률안 상정시 주요검토 사항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을 보인다. 현재 입법예고가 시행되어 각부처별로 의견수렴 과정을 거치고 있으며, 공표시까지 법문항의 수정은 탄력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새로 제정되는 첨단산업기술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안에 개정 및 신설이 필요한 조항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ill examine problems concerning the outflow of IT industry technology as advancement and globalization occur in the industry. Moreover, it will carefully examine tentatively named 'Protecting the Outflow of High-tech Industry Law' that will come into effect in July of 2005 and find effective strategy to deal with random outflow of high-tech technology. Nations all over the world is putting forth its effort to advance its IT technology to take precedence in fierce and competitive economical war. The fact that the world is in a soundless war to obtain confidential industry information from one another is no exaggeration. Nevertheless, it is deplorable to see that most domestic IT industries and laboratories lack the ability to protect their technologies developed by endless amount of material resources and manpower. Moreover, it has no ability to cannot cope effectively with problems concerning the outflow of confidential industry information high-tech technology. Even if there is a legal device to protect the industry it is divided into each industrial sectors and it only deals with partial matters such as protecting illegal competition and business secrecy. For this reason, the government held, presided over by Lee Hun-Jae deputy prime minister, a Ministerial Meeting of Economy at the government building in Gwa-Chun. At the meeting the tentatively named 'Protecting the Outflow of High-tech Industry Law' has been decided to be established and it is currently being legalized. Even though a law over protecting illegal competition and business secrecy already exists, the government's decision to newly create regulation to protect the leak of high-tech industry has an important reason. It is the fact that the outflow of IT industry has increased drastically over the past few years. According to the new law, a company possessing major technology has to get approval from the government in order to sell or transfer its technology abroad. If these technologies leak into foreign countries it will have a serious impact on not only the IT industry itself but throughout the whole economy and security of the industry. Therefore, the government has decided to make legal regulation over the whole IT industry and established laws to protect the outflow of technology. The demand for new established law is undeniable but there are some parts that are incomplete about the new law. There are too many regulations such as voluntary declaration system for privately developed technologies and mandatory approval system on technologies developed by government budgets that obligates corporate to seek approval before they sell their technology. Even worse, it prohibits a person with high-tech industry technology to transfer or to be re-employed for certain period of time. Korean Science and Technology Union and other related organizations rebel that this new law is against the constitution as all workers have freedom to seek happiness and some even insists that laws to reward prosecutors of technology leakers is a 'slavery of high-tech industry'. This new law will eventually decrease the morale of many technicians and even worse, shun students from majoring engineering and science. It is fact of life that outflow of high-tech industry is a serious problem and the government has made the right decision to protect it but the government should put its utmost effort to minimized the anticipated side-effects and carefully examinations are needed. Therefore, this paper is focused on examining realistic problems concerning laws on protecting the outflow of IT and high-tech technology and search for a complete and effective regulation for the whole IT industry. Many of the case studies in the dissertation has been obtained from inspector in charge of technological outflow and I have carefully examined the reasons of these current matters and personally met with executives of the IT industries and research institution and asked for most effective and in demand protection regulation that should be put in place. It is strongly believed that all the informations that has been gathered in this study has been obtained through numerous discussions and studies and it can assuredly be used for revising the related bill. The new law has not yet been officially proclaimed and revisions can most certainly be made. I strongly would like to make a statement through this paper over the new law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high-tech industry outflow.

      • Strategies for Proper Security Practices in Small Financial Institutions

        Leffell, Adam Walden University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2023 해외박사(DDOD)

        RANK : 53791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Financial institutions remain high targets for threat actors because of potentially lucrative financial gains from security breaches. Information technology (IT) security professionals in financial institutions are concerned about weak security strategies that could lead to security breaches. Grounded i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multiple case study was to explore strategies IT security professionals use to implement proper security practices to prevent security breaches. The participants were three IT security professionals from three different financial institutions that oversee the implementation of security policies and procedures. Data collection involved conduct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public documents. Through thematic analysis, four themes were identified: layered security, security auditing, technology adaptive, and vendor relationships. Recommendations are for IT security professionals to implement security in layers, review existing security controls and technology with current available market trends, and audit existing security controls to identify gaps with industry standards. The implications for positive social change include potential guidance for IT security professionals to able to strengthen an organizations security posture to better protect resources, intellectual property, and safeguard customer data from threat actors.  .

      • 북한 IT 제품의 UX 디자인 평가 : 주체미술과 글로벌 트렌드의 영향을 중심으로

        김성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4926

        Little is known about North Korean user experience (UX).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North Korea is remarkable, and the spread of IT in North Koreans’ everyday lives exceeds our expectations. Given that UX has traditionally grown in parallel with advancements in the IT industry, a brief look into its IT industry reflects the high potential of UX work in North Korea. In other words, we can assume that UX design exists in the North Korean IT industry. As part of my effort to build foundational knowledge about the North Korean industrial design and IT sectors,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UX design. This study explores three problems. First, The effect of political experiential factors on North Korean UX design. In principle, all sociocultural activities in North Korea aim to realize its political ideology, which is called ‘Juche.’ For instance, ‘Juche Art’ is the only sanctioned art style in North Korea. So how does North Korean UX incorporate Juche? What are the political UX components inherent in North Korean IT products considering their highly ideology-oriented culture? Second, Global UX design trends and North Korean UX. For example, do North Korean Android smartphones conform to the flat design? How do they incorporate global UX design trend with their unique Juche art? Third, what 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UX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hich share the same historical and lingual roots yet have sociocultural gaps after more than 70 years of division? The research focuses on the three representative IT products, mainly smartphones, tablets, and computer software. The research is organized into two studies. The first study explores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of the North Korean smartphone. The second study focused on comprehensive UI analysis of all three products. As a novel and seminal project exploring UX design in the North Korean IT industry, this doctoral study aims to contribute to design scholarship by laying the foundation for a body of knowledge on both North Korean design and IT.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I expect the research outcomes will contribute to the potential exchange of the two Koreas in the design and IT fields. Hopefully, such exchanges will complement many other collaborative efforts that will ultimately lead to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future. 한반도 통일은 특정 영역에서 전담하는 주제가 아니다. 분단된 두 국가가 합쳐지는 것은 사회의 전 분야에 걸쳐 국가 시스템이 통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모든 분야가 통일에 대비하는 연구를 각자의 전문 영역 안에서 수행해야 한다. 통일 연구의 첫 걸음은 상대방을 잘 알아가는 데에서부터 시작된다. 북한의 사용자 경험 (UX)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세계 최빈국 층에 속하는 북한이지만 그들의 정보기술 수준은 생각 이상으로 발전했고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에서의 IT 보급률도 높은 편이다. UX가 전통적으로 IT 산업의 발전과 동반 성장했다는 점에서 예상 이상의 발전과 보급률을 보이는 북한의 IT 수준을 볼 때 북한 UX 디자인의 역량도 꾸준히 성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연구에서는 북한 산업 디자인과 IT 분야의 토대 지식을 쌓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북한 IT에서의 UX 디자인의 현황과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는 다음 세 가지 사안을 탐구한다. 첫째, 북한 UX 디자인에 반영되어 있는 정치 이념적 경험 요소이다. 원칙적으로 북한의 모든 사회문화 활동은 '주체사상' 이라는 북한 특유의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디자인을 포함한 미술 영역에는 주체미술이 공식 창작이론으로 자리잡고있다. 이에 따라 북한의 UX 디자인에 주체미술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IT 제품에 내재된 정치적 UX 요소는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한다. 둘째, 북한 UX의 특징으로서 글로벌 UX 디자인 트렌드에 대한 북한의 대응 방안 및 북한 내부 인력의 UX 디자인 역량이다. 특히 적대국인 미국의 구글이 제창한 머티리얼 디자인(Material Design)에 대한 북한의 정치적 자세(stance)와, 플랫 디자인(flat design)과 같은 글로벌 UX 디자인 트렌드에 해당하는 외세의 디자인을 북한 고유의 주체미술과 어떻게 혼합(incorporate)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셋째, 남북한 UX의 공통점과 차이점이다. 하나의 문화공동체로 역사언어적 뿌리가 동일하면서도 70년 이상의 분단으로 인해 사회문화적인 격차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남북한에 UX 디자인의 공통점 및 차이점은 무엇인지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두 개의 소연구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Study 1에서는 북한 스마트폰인 <평양 2423>의 GUI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Study 2에서는 <평양 2423>, 태블릿인 <룡흥>과 자체 개발한 컴퓨터 운영체제인 <붉은별>의 UI에 대해 포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유관 분야의 전문가 리뷰, 인터뷰 및 문헌 자료를 통해 다각도로 검증한 후, 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베일에 가려져 있는 북한의 UX 디자인을 여러 IT 제품을 대상으로 종합적으로 탐구한 연구이다. 연구의 기여점은 다음과 같다. 북한 UX 디자인의 지식적 토대를 마련하고, IT 부문에서 남북간의 교류와 협력 방안을 모색하게 될 때 UX 디자인 이슈를 미리 파악하는 데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