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민국가의 카오스 : 한국전쟁 참전국 '에티오피아'의 형성과 균열하는 상상의 지리

        김승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에티오피아 한국전쟁 참전용사 담론의 지형을 분석하고, 담론의 질서 안에서 나타나는 ‘냉전’과 ‘국민국가’의 (재)구성 과정을 살핀다. 에티오피아의 참전과 관련된 다양한 언표들은 독특한 구조와 규칙을 가진 하나의 담론으로 자리 잡는다. 참전용사 담론은 상상의 지리 “에티오피아”를 생산하고, 이는 냉전 기억과 두 나라의 관계가 구성되는 데 영향력을 발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참전용사 담론과 냉전 지형의 관계를 규명하여, 참전의 맥락에서 특정한 방식으로 상상되는 냉전의 역사를 재구성한다. 또한, ‘국민국가’를 동질적이고 통합적인 공동체로 상상하는 강고한 믿음을 논파하려 한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다음의 세 가지 질문을 던진다. 첫째, 에티오피아 참전용사 담론이 참전의 역사에 관하여 말하는 대상과 방식은 무엇인가? 그리고 그 가운데 어떤 역사가 밀려나는가? 둘째, 참전용사 담론이 생산하는 상상의 지리 “에티오피아”는 냉전을 기억하는 방식에 어떤 영향과 효과를 발휘하는가? 셋째, 참전용사 담론이 전제하는 “에티오피아”라는 국민국가 단위는 어떤 방식으로 성립되고 구체화하는가? 연구의 주요 현장은 춘천과 서울이다. 춘천은 에티오피아 참전용사의 주요 전투지역으로, 현재 에티오피아의 참전에 관한 기념관과 관련 단체가 소재한 곳이다. 연구자는 춘천을 방문하여 인터뷰와 자료조사를 진행했다. 그리고 서울 노량진에 위치한 에티오피아 식당에서 일하며 약 10개월간 현장연구를 수행했다. 본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2장은 참전용사 담론의 구체적인 특징을 파악하여 담론의 지형도를 그려낸다. 한국 사회가 에티오피아의 참전을 기억하는 방식은 두 나라 현대사의 변곡점들과 맞물리며 구성되어왔다. 1990년대부터 형성된 참전용사 담론은 신화, 상상, 발전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공산 진영에 맞서 한국을 지켜줬지만 결국 악에게 패배해버린 “자유의 수호자” 에티오피아의 이야기는 비극적인 영웅 신화의 형태로 기억되고 있다. 신화 속 영웅들의 땅“에티오피아”는 연속적인 하나의 역사를 토대로 형성된 국민국가라는 상상의 지리로 재현된다. 그리고 “에티오피아”의 도움에 보답하려면 한국이 나서서 그들의 개발을 도와야 한다는 ‘보은과 발전’의 서사가 자리 잡는다. 3장은 한국과 에티오피아가 제3세계 비동맹주의와 관계하는 양상에 주목한다. 한국전쟁과 참전의 역사를 기억하는 방식은 전쟁과 냉전에 대한 두 나라의 인식과 태도를 보여준다. 그러나 냉전을 자유/공산의 이분법적 대결로만 이해하는 기존의 관점은 제3세계 비동맹주의를 경유한 복잡다단한 역사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 특히, 에티오피아는 적극적으로 비동맹의 조류에 동참했다. 그중에서도 에티오피아와 쿠바가 보여준 제3세계 사회주의 연대의 역사는 한국의 참전용사 담론이 상상하는 “에티오피아”의 형상과 사뭇 다른 결을 드러낸다. 이처럼 냉전은 글로벌한 차원에서 펼쳐진 ‘지구사’였고, 기존의 인식론은 한국전쟁과 냉전의 중층적인 맥락을 충분히 다루지 못한다. 4장은 노량진의 에티오피아 식당 ‘셀람’에서 진행한 현장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참전용사 담론이 상상하는 국민국가 “에티오피아”를 재검토한다. ‘셀람’은 한국에 거주하는 에티오피아 이주민들에게 자국어를 사용하면서 익숙한 음식을 먹고 에티오피아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집과 같은’ 장소다. 하지만 이곳은 국민국가 에티오피아가 처한 곤경, 즉 역사적으로 복잡하게 뒤얽힌 종족 갈등의 단층선이 드러나는 곳이기도 하다. 에티오피아 이주민들이 경험하는 균열은 ‘셀람’의 사운드스케이프를 통해 순간적으로 나타난다. 음악은 정치적 이슈와 맞물리며 미묘한 긴장을 조성하고, 이 과정에서 담론이 재현하는 동질적인 “에티오피아”라는 범주가 해체된다. 한편, 에티오피아라는 통일적인 단위는 거대한 인프라스트럭처, 그리고 여기에 관계된 이집트 같은 외부의 ‘적’이 있을 때 일시적으로 성립되곤 한다. 하지만 이러한 장면은 오히려 ‘국민국가’라는 범주가 매우 유동적이고 불안하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줄 뿐이다. 5장은 국민국가 범주 바깥에 위치한 에티오피아 출신 난민의 활동 과정에서 참전의 의미가 전유되는 장면을 발견한다. 난민은 국민국가의 테두리 바깥에 위치한 ‘적’이자 ‘다른 인간형’으로 간주되지만, 한국의 에티오피아 난민은 참전의 역사를 통해 ‘고마우면서 불편한 존재’라는 독특한 위치를 점한다. 참전용사 담론은 에티오피아의 참전을 되갚아야하는 ‘선물’로 구성하고, 포괄적인 국제개발의 형태로 이를 되돌려준다. 하지만 국내에 거주하는 에티오피아 난민은 한국의 ‘환대’를 다시 상환하여 양측의 관계를 연장한다. 또한, 그들은 한국 정부의 난민 심사제도를 비판하며 “참전을 기억하라”고 요구한다. 이처럼 에티오피아 난민이 발휘하는 정치적인 행위자성은 참전용사 담론이 상상하는 “에티오피아”의 허구성을 증명한다. 결론적으로, 한국과 에티오피아를 연결하는 참전용사 담론은 하나의 서사로 모든 이야기를 환원한다. 담론은 한국 사회가 받아들이는 상상된 “냉전”의 세계사를 구성하는 데 요긴한 역사와 기억을 끌어당기고, 그렇지 못한 서사를 말소시킨다. 그러나 완벽한 질서를 구축한 것처럼 보이는 담론은 늘 예상하지 못한 곳에서 어긋나버린다. 본 연구는 단일한 거대서사로 상상되어 온 20세기 냉전사를 복수의 서사들이 중층적인 맥락에서 상호작용하는 역사들로 재구성하는 작업의 결과물이다. 이는 결국 ‘국민국가’라는 범주의 예측 불가능성을 증명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연구자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내용을 근거로, ‘국민국가’라는 일반 범주를 질서 있게 배치된 코스모스가 아닌, 예측 불가능하게 충돌하고 결합하며 새롭게 생성되는 카오스적인 것으로 이해해야 할 필요성을 주장한다. 그리고 에티오피아의 참전이라는 특수한 맥락에서 국민국가가 상상되고 구성되는 카오스적인 방식들을 따라갔던 이러한 시도가 인류학적 현장을 물리적 실체로 환원하지 않는 연구의 한 사례로 읽히길 기대한다. This thesis analyzes (re)structuring courses of the ‘Cold War’ and ‘nation-state’, with examining the topography of discourse about Ethiopia’s war veterans in the Korean War. Various statements relating to Ethiopia’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become a discourse that has a unique structure and rule. The discourse of war veterans produces imagined geography as “Ethiopia” that could influence on constructing the memory of the Cold Wa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Ethiopia. Thus, this thesis investigates relations between the discourse and Cold War terrain and tries to restructure a history of the Cold War that is imagined in a specific way in the context of war participation. Also, It confutes a strong belief which considers a ‘nation-state’ as an identical and unitive community. Following these objects, I make three questions. First, What is the subject and method in which the discourse talks about the history of the war? And what kind of history is being pushed aside? Second, How does the imagined geography as “Ethiopia” produced by the discourse affect the way of memorizing the Cold War? Third, How is the unit of nation-state “Ethiopia” assumed by the discourse established and embodied. The Fields of this thesis are Chuncheon and Seoul. Chuncheon, the main battlefield of the Ethiopian army in the Korean War, is now the place where the memorial of Ethiopia’s war participation and relating organization locates. I visited several places there and conducted interviews and researches. Furthermore, I did fieldwork for 10 months in an Ethiopian restaurant which is placed in Noryangjin, Seoul. In Chapter 2, I figure out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and describe its topography. The way which Korean society memorizes Ethiopia’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has been interlocked with turning points of modern histories. The discourse, being built from the 1990s, consists of myth, imagination, and development. The story about Ethiopia as “Guardians of Freedom” which protected South Korea against the communist camp but had been defeated by ‘evil’ is now memorized as a kind of tragic hero myth. “Ethiopia” which is the land of a hero is represented as imagined geography which means a nation-state based on a unilinear history. Then, the narrative of ‘Repaying and Development’ establish, calling for Korea to help Ethiopia’s development to appreciate their sacrifice. In Chapter 3, I focus on the aspect that Korea and Ethiopia connected with the Non-alignment movement of the Third World. The way of memorizing the Korean War history could show how do both two countries cognize and have attitudes about the Korean War and Cold War. But, the existing viewpoint, which understands the Cold War only as a dichotomy of liberalism/communism, fails to explain complicated histories related to the Non-alignment movement. In particular, Ethiopia joined the current of Non-alignment actively. Above all, the history of the third world socialism solidarity between Ethiopia and Cuba reveals a quite different side with a shape of imagined “Ethiopia”. In this way, the Cold War has been a ‘global history’ that spread worldwide, and the conventional epistemology cannot handle the multi-layered context of the Korean War and Cold War enough. In Chapter 4, I reexamine the nation-state “Ethiopia” which is imagined by the discourse based on fieldwork data about the Ethiopian restaurant ‘Selam’ in Noryangjin. This restaurant is a place like ‘home’ for Ethiopian migrants living in Korea. Because they could use their language, enjoy familiar food, and listen to Ethiopian music there. However, this is the place where the predicament of nation-state Ethiopia comes out. In other words, a fault line of ethnic conflict, which is historically intertwined with each other, shows its existence. Ruptures experienced by Ethiopian migrants appear through the ‘soundscapes’ of ‘Selam’ in a moment. Music interlinked with political issues fosters subtle tensions. In the meantime, the category which is represented by the discourse as identical “Ethiopia” is deconstructed. Withal, this unitary unit temporarily constructs when the mega infrastructure project regarding with ‘enemy’ of the nation-state, such as Egypt, exist. This phenomenon, though, only confirms the fact that the category of ‘nation-state’ is very fluid and precarious. In Chapter 5, I capture scenes that refugees from Ethiopia, who stand outside of the nation-state, appropriate the meaning of war participation during their activity in Korea. Refugees are usually considered ‘enemy’ who locates outside of the nation-state’s boundary, or ‘a type of person’. But Ethiopian refugees in Korea occupy the distinctive position that is ‘thankful but uncomfortable being’ on account of war participation history. The discourse transforms the devotion of Ethiopia into a ‘gift’ that should be repaid, then gives it back with a form of comprehensive international development. Nevertheless, Ethiopian refugees exte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by repayment for Korea's ‘hospitality’. They, also, request to “Remember war participation”, criticizing the refugee screening system of Korean governments. On this account, their political activity proves the fabrication of imagined “Ethiopia”. In conclusion, the discourse about war participation, which connects Ethiopia and Korea, reduces every kind of story to one single narrative. It pulls some history and memory which are useful for constructing the world history of imagined “Cold War”, acceptable for Korean society. It, on the other hand, erases unuseful narratives. But the discourse, seeming like forge the perfect order, is always disjunctured in unexpected places. This thesis is an outcome of reconstruction that tries to rewrite the Cold War history imagined as a single ‘Master Narrative’ to ‘histories’ which consist of multiple narratives in multi-layered contexts. As well, the thesis ends up describing the unpredictability of the ‘nation-state’ category. On the basis of this thesis, I argue that we need to understand the fact that a general category ‘nation-state’ is not the cosmos which is arrayed in orderly, but the things of chaotic which collide, combine, and create with each other unpredictably. I, finally, hope that this thesis, which follows the chaotic way in which the nation-state is imagined and constructed in the specific context of Ethiopia’s war participation, will be read as an example of research that does not reduce anthropological fields to a physical entity.

      • Korea ODA and Saemaul Undong the Perspective of Ethiopia

        Yigrem, Tariku Tsegaye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43

        에티오피아와 대한민국은 한국 전쟁 이후 역사적 사회 경제적, 정치적 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에티오피아는 아프리카에서 한국 ODA 사업의 중점국 중 하나이자 주요 협력국이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농촌 개발, 에너지, 운송, 수자원 관리 및 보건 분야와 같은 경제 및 사회 기반 시설 부문을 위해 한국의 공적 개발 원조를 활용한다. 본 연구의 주요 목표는 에티오피아에서의 한국의 새마을 운동이 실행되는 데에 있어서 현지 고유의 전통적 단체가 갖는 역할을 평가하고 두 국가의 전통 단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에티오피아와 한국은 공통된 특징을 지닌 전통적 단체 및 문화적 협력을 갖고 있으면서도 각기 다른 특성을 보인다. 본 연구는 협동이 한국에서의 새마을 운동의 시행에 기여한 바가 있으므로 에티오피아의 전통적 단체 또한 에티오피아에서의 새마을 운동 개념이 시행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Ethiopia and South Korea have historical socio-economic and political relations since the two Koreans War (1950 - 53). Ethiopia is one of the priority country in Africa in receiving South Korea’s ODA and main partner country of South Korea. Ethiopian government utilize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f South Korea for economic and social infrastructure sectors that include such as rural development, Energy, transport, water management and health sectors.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indigenous traditional associations of Ethiopia and South Korea as well as to assess the role of Ethiopia’s indigenous traditional associ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dea of South Korea’s Saemaul Undong movement in Ethiopia.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s that both Ethiopia and South Korea have many indigenous traditional associations and cultural cooperation that have common features as well as those traditional cooperation of both countries have their own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each country. In connection with the study suggested that indigenous traditional associations of Ethiopia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cept of Saemaul Undong movement in Ethiopia as those cooperation had their own contributions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Saemaul Undong Movement in South Korea.

      • Development of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Ethiopia : development strategies

        노영예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Korea Un 2011 국내석사

        RANK : 2942

        Abstract SMEs may be incorporated without spending a lot of capital and it produces relatively high effect in increasing employment. It also facilitates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technology and brings in capital through forming a joint venture with foreign investors. Therefore, SMEs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economic growth of developing countries, and it will be a critical foothold of economic development of Ethiopia where poverty still remains. By looking at the economic structure of Ethiopia, most of the exports are crops such as coffee, and it has a very high dependence on agriculture. From a long-term point-of-view, agriculture cannot be the strong backbone of economic growth in Ethiopia by attracting constant foreign investments since it is largely dependent on the climate. When we categorize Ethiopia’s industrial structure into agriculture, services, and industrial sectors, the industrial sector showed the lowest percentage among the three sectors. It may be estimated that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sector will be the driving force of economic growth by fostering SMEs in considering that 30 percent of high rate FDI inflows into the industrial sector compared to the low composition rate of industrial sector out of all sectors, and industrial sector, especially 80 percent of manufacture sector is composed of SMEs. However, most of the SMEs in Ethiopia have difficulties in starting and maintaining businesses due to the lack access of funds, and business environment in Ethiopia is not appropriate since the land is nationalize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iscuss the ways to foster SMEs by suggesting strategies to make environment to induce FDI and expand SMEs’ exports with competitiveness in overseas market.

      • (The) improvement of Korean TVET ODA in Ethiopia : a programme-based approach (PBA)

        김슬기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Korea Un 2014 국내석사

        RANK : 2941

        TVET is a very effective tool for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Many countries used it to achieve economic development. Korea and Germany are successful examples of using TVET for economic growth. Now Korea is providing TVET ODA in Ethiopia with a project-based approach. This paper will discuss improvement of Korean TVET ODA in Ethiopia with a programme-based approach. It will argue that the Ethiopian government has been trying for decades to improve its TVET, but it still has serious drawbacks, such as the low quality of TVET teachers and curricula, the lack of a TVET monitoring system,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resources on the Ethiopian TVET system and unemployment of TVET graduates. Germany and Korea both have strong domestic TVET systems, but Korea has a relatively short TVET ODA history and still maintains a small scale of TVET ODA. It could be improved by adopting a program-based approach.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Primary Education in Ethiopia (1991-2016) :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Korean ODA to Ethiopia

        Park, MinKyoung 부산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941

        본 연구는 에티오피아 초등교육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동향분석을 위하여 1991년부터 2016년까지 발간된 학위 논문, 저널 기사, 보고서, 책, 회의록, 뉴스레터를 대상으로 하여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찾고, 제언을 하고자 한다. 여러 가지 문헌, 인터넷 검색엔진 및 저널홈페이지를 통해 총 721개의 분석대상을 찾았으며, 중복된 것과 주제에 벗어난 것 등을 제외하고 총 248개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EBSCo (Academic Research Complete)에서 49개, ERIC (Education Resources Information Center)에서 48개, Google Scholar에서 97개, Afric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AJOTE)에서 2개, Ethiopian Journal of Education and Sciences에서 12개, Young Lives에서 34개, African Nebula에서 한 개, RIS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에서 네 개, 그리고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Open Repository에서 한 개였다. 분석대상을 6가지 분석기준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도별로 분석해보면, 1991년과 1993년에는 두 개의 논문이 발간되었으며, 1994년에는 3개, 1995년, 1996년, 1997년에는 각각 두 개, 1999년에는 세 개, 2000년에는 다섯 개, 2001년에는 세 개, 2002년에는 네 개, 2004년에는 다섯 개, 2005년과 2006년에는 8개, 2007년에는 10개, 2008년에는 8개, 2009년에는 9개, 2010년에는 14개, 2011년에는 11개, 2012년에는 17개, 2013년에는 27개, 2014년에는 37개, 2015년에는 35개, 2016년에는 31개였다. 두 번째, 발간기관에 따라 분석해보면, 대학기관에서 37개, 저널에서 152개, 그리고 다른 기관에서 발간된 것이 59개였다. 세 번째, 저자가 소속된 기관의 대륙별로 살펴보면, 아프리카 소속 기관의 저자가 발행한 논문이 141개, 유럽소속의 연구자가 발행한 논문이 49개, 아메리카 대륙소속의 연구자가 발행한 논문이 31개, 국제기관소속 연구자가 발행한 논문이 17개, 아시아 대륙 소속의 연구자가 발행한 논문이 8개, 오세아니아 소속의 연구자가 발행한 논문이 1개로 나타났다. 네 번째,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한 결과로, 99개는 질적연구에 의해, 113개는 양적연구에 의해, 그리고 36개의 논문은 혼합연구방법에 의해 연구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ESDP V를 참고한 연구주제별로 분석해보면, 100개의 논문은 ‘General Education Quality’에 관해서 연구되었고, 63개의 논문은 ‘General Education Access, Equity, Internal Efficiency’에 관해서 연구되었고, 59개의 논문은 ‘Health’에 관해서 연구되었고, 7개의 논문은 ‘Gender’에 관해서 연구되었고, 6개의 논문은 ‘Capacity Development for Improved Management’에 관해서 연구되었고, 2개의 논문은 ‘Education in Emergencies (EiE)’ 에 관해서 연구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대상 지역에 관한 분석결과이다. 73개의 논문은 Amhara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하였고, 72개의 논문은 Oromia 지역을 대상으로, 58개는 Southern Nations, Nationalities, and Peoples' Region (SNNPR) 지역을 대상으로, 49개는 Addis Ababa 지역을 대상으로, 44개는 Tigray 지역을 대상으로 18개는 Somali 지역을 대상으로, 13개는 Afar 지역을 대상으로, 11개는 Harari 지역을 대상으로, 10개는 Benishangul-Gumuz 지역과 Dire Dawa 지역을 대상으로, 9개는 Gambela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는 주제는 다음과 같다. 세부주제 중에서는 다섯 가지 주제가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Teachers’ Trai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에 관한 연구가 59개, ‘Water, Sanitation and Hygiene’에 관한 연구가 33개, ‘School Health and Nutrition’에 관한 연구가 22개, ‘Assessment and Examinations’에 관한 연구가 15개, 그리고 ‘Community Participation’에 관한 연구가 11개로 나타났다. 1991년부터 2016년까지 단 한 번도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주제는 10개로 나타났다. 7개는 ‘Capacity Development for Improved Management’의 하위 주제인 ‘Improving the Education Sector’s Organisational Structure’, ‘Managing the Implementation of Cross-cutting Programmes’, ‘Job Specifications and Operational Handbook’, ‘Improved Use of Existing Documentation Centres and Sharing Platforms’, ‘Profiles and Recruit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Mentoring, Training and On-the-job Support’, ‘Resources and Conditions of Work’이었고, 3개는 ‘General Education Quality’의 하위 주제인 ‘School Leadership’, ‘School Inspection’, ‘Teacher and School Leader Licensing’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따른 시사점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 관리자, 정책입안자 등 초등교육에 관련된 사람들에게 초등교육에 관한 연구논문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연구논문을 작성한 연구자들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등, 두 가지에 초점을 두고 정책이 논의되어야 한다. 둘째,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소외되었던 ‘Gender’, ‘Capacity Development for Improved Management’, ‘Education in Emergencies (EiE)’, ‘Improving the Education Sector’s Organisational Structure’, ‘Managing the Implementation of Cross-cutting Programmes’, ‘Job Specifications and Operational Handbook’, ‘Improved Use of Existing Documentation Centres and Sharing Platforms’, ‘Profiles and Recruit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Mentoring, Training and On-the-job Support’, ‘Resources and Conditions of Work’, ‘School Leadership’, ‘School Inspection’, ‘Teacher and School Leader Licensing’와 같은 연구주제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비교적 적은 수의 연구가 이루어진 Somali, Afar, Harari, Benishangul-Gumuz, Dire Dawa, Gambela 지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연구자들은 에티오피아 초등교육에 대한 더 많은 연구를 해야 하며, 특히 앞서 언급된 소외된 주제와 지역을 중심으로 한 연구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에티오피아는 각기 다른 지역 언어가 있고, 영어를 공통으로 쓰기 때문에, 논문을 쓸 때, 연구의 공유 및 협력을 위해서 영어를 사용하는 것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primary education in Ethiopia by examining degree theses, journal articles, reports, books, conference papers, and newsletters published from 1991 to 2016, and investigating and proposing themes for future study. This analysis was conducted under the quantitative research strategy to find and classify papers into several topics by using various research engines. A total of 721 papers were found in the first time and ended up with 248 papers after the second stage of inquiry; 49 from EBSCo (Academic Research Complete), 48 from ERIC (Education Resources Information Center), 97 from Google Scholar, two from Afric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AJOTE), 12 from Ethiopian Journal of Education and Sciences, 34 from Young Lives, one from African Nebula, four from RIS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nd on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Open Repository. Six criteria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published year, stakeholder of study, the nationality of the affiliation of researchers, methodology, the research subjects relevance to ESDP V, and the research regions in Ethiopi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 First, the results of analysis by published year were two in 1991 and 1993, three in 1994, two in 1995, 1996 and 1997, three in 1999, five in 2000, three in 2001, four in 2002, five in 2004, eight in 2005 and 2006, ten in 2007, eight in 2008, nine in 2009, fourteen in 2010, eleven in 2011, seventeen in 2012, 27 in 2013, 37 in 2014, 35 in 2015, and 31 in 2016. Second, the results of analysis by stakeholder ended up with 37 university publishing, 152 articles by journals, and 59 other publishers. Third, the results were appeared with 141 papers by the researchers in African affiliations, 49 papers by the researchers belong to Europe, 31 papers by the researchers associated in the Americas, 17 papers by the researchers from international organizations, eight papers by the researcher linked in Asia, and one journal article by the researcher pertaining to the Australia, Oceania. Fourth, in the results of analysis by methodology, 99 papers were conducted under qualitative research, 113 papers by quantitative research, and 36 by mixed methods approaches. Fifth was the results of analysis by research subjects in relevance with ESDP V. This study has turned out with 100 papers related to ‘General Education Quality’, 63 papers to ‘General Education Access, Equity, Internal Efficiency’, 59 papers to ‘Health’, seven papers to ‘Gender’, six papers to ‘Capacity Development for Improved Management’, and two papers to ‘Education in Emergencies (EiE).’ Last, in the results of analysis by the research regions, there were 73 papers studied of stakeholder in Amhara, 72 in Oromia, 58 in Southern Nations, Nationalities, and Peoples' Region (SNNPR), 49 in Addis Ababa, 44 in Tigray, 18 in Somali, 13 in Afar, 11 in Harari, ten in Benishangul-Gumuz and Dire Dawa, and nine in Gambela. Current research issues and challenges were as follows; Among detailed topics, five were ended up with the most studied research theme; 59 papers on ‘Teachers’ Trai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33 papers on ‘Water, Sanitation and Hygiene’, 22 papers on ‘School Health and Nutrition’, 15 papers on ‘Assessment and Examinations’, and 11 papers on ‘Community Participation.’ There were ten research topics never attracted attention at all. Seven of them were detailed topics belong to ‘Capacity Development for Improved Management’; ‘Improving the Education Sector’s Organisational Structure’, ‘Managing the Implementation of Cross-cutting Programmes’, ‘Job Specifications and Operational Handbook’, ‘Improved Use of Existing Documentation Centres and Sharing Platforms’, ‘Profiles and Recruit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Mentoring, Training and On-the-job Support’, and ‘Resources and Conditions of Work.’ Three of them were detailed topics belong to ‘General Education Quality’; ‘School Leadership’, ‘School Inspection’, and ‘Teacher and School Leader Licensing.’ Therefore, based on the analysis, there were four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study. Firstly, a policy should be built with focusing on two facets; one is the improvement of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research for the stakeholders of the primary education and the other is the incentive policy for the researchers performing the study. Secondly, the alienated topics should be considers for the next research subjects, like ‘Gender’, ‘Capacity Development for Improved Management’, and ‘Education in Emergencies (EiE). Thirdly, researchers are in need of selection of six regions, marginalized from the study, as the research regions for the future study, including Somali, Afar, Harari, Benishangul-Gumuz, Dire Dawa, and Gambela. Lastly, more academic performances should be done by Korean researchers, especially with mostly alienated topics and target regions. Also, writing the researches in nationwide language, English,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Ethiopia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 CHRISTIAN AND BUSINESS IN ETHIOPIA: : A study on Business as Mission among Muslims in Ethiopia from biblical perspective

        Tesfaye Debella 고신대학교 선교목회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941

        Business as Mission (BAM) is a recently developed concept. God is moving among people and places that do business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among Muslims in Ethiopia. Business is directly related to every part of people’s lives. Thus, it is important for the church to realize the need to mobilize business people for God’s mission, and for missionaries to participate in businesses for the sake of the Great Commission. This study examined BAM as an effective alternative mission strategy to evangelize the rapidly growing Islamic communities in Ethiopia. This thesis further aimed to explore the biblical basis for BAM (i.e., biblical ethic and principles for business) and conducted field research related to BAM. The main problem that was addressed through this framework is the rapid growth of Islam. Among other businesses, the popular Ethiopian coffee ceremony is used as a missional business (BAM) to illustrate the link between BAM and Church planting. Business as Mission creates jobs for the unemployed and ultimately honors God. The researcher employed a review of precedent literature and ethnographic methods to establish the biblical foundation for the missional business and analyzed the data obtained from the survey. The researcher emphasized analyzing BAM in Ethiopia using data from the survey and precedent literature, to help discover factors necessary for the success of BAM. However, more research is needed in order to capture the impact of BAM in reaching Muslims in Ethiopia. 선교 그 자체인 비즈니스는 최근 들어 발전된 개념이다. 하나님께서는 에티오피아의 무슬림들을 포함한 세계 곳곳의 비즈니스가 일어나는 사람들과 장소 가운데에서 움직이고 계신다. 비즈니스는 사람들의 생활에 있어서 모든 부분에서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그러므로, 교회가 하나님의 선교를 위한 비즈니스인들을 동원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겠고, 선교사들은 지상 대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서 비즈니스에 동참해야 하겠다. 이 연구는 에티오피아에서 급속히 성장하는 이슬람 공동체에게 전도하기 위해 비즈니스 선교가 과연 효과적인 선교 전략의 대안인지를 알아보았다. 이 논문은 더 나아가 비즈니스 선교에 대한 성경적인 토대(비즈니스에 대한 성경적인 윤리나 요소들)와 연관된 영역을 조사하며 살펴보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 논문의 틀을 만들어 가면서 주요한 문제점으로 여겨진 것은 이슬람의 급속한 성장이었다. 여러 비즈니스들 중에, 대중적인 에티오피아 커피 행사는 비즈니스 선교와 교회 개척 사역을 이어주는 역할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비즈니스 선교는 일자리를 제공함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실업자들이 하나님께 감사 드리는 마음을 가지게 만들었다. 이전에 나와 있는 문학을 검토하고 민족지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비즈니스 선교에 대한 성경적인 기초를 확립하였고 조사하여 얻게 된 정보를 분석하였다. 이전 문학과 조사된 정보 자료를 토대로 에티오피아에서 진행 되는 비즈니스 선교를 분석하는 것에 강조하여 비즈니스 선교가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밝혀내는데 돕고자 했다. 그러나 에티오피아의 무슬림들에게 비즈니스 선교가 영향을 끼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Depressive Symptoms Among People with Direct Exposure to Natural Disasters in Ethiopia: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Health Insurance

        안세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939

        Background: Disasters are categorized as either natural or manmade and the cause of disaster defines the type of disaster. Natural disasters are caused by natural phenomena and, recently, the occurrence of natural disaster has been on the rise due to climate change and the damage is substantial. Exposure to natural disasters not only jeopardizes the physical health but also the mental health of the affected population. Globally, psychological distress has been reported following natural disasters, irrespective of the magnitude of disasters or countries' income levels. Nevertheless, the impact of natural disasters disproportionately affects low-and-middle income countries (LMICs), and particularly vulnerable populations who lack the necessary resources to alleviate the psychological distress caused by the shocks. This disparity often results in untreated mental health conditions and can have a disproportionate impact on the mental health of directly affected individuals. Ethiopia is particularly vulnerable to various natural disasters with frequent occurrences of droughts and floods. When exposed to these various natural disasters, people suffer from various psychological disorders and of all the disorders, depression is widely reported as a common mental disorder. In fact,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Ethiopia is 9.1%, which is the highest prevalence among the psychological disorders within the country. This study primarily focuses on depressive symptoms of adult population in the aftermath of natural disasters in Ethiopia. Cognizant of such serious national health issue, the government of Ethiopia has responded actively to mental health problems by integrating mental health care services into primary care since 2012, making these services accessible and affordable. In order to improve accessibility to mental health services, it is critical that more Ethiopians have health insurance, yet only one-third of the population has health insurance. Despite the significant prevalence of mental health problems in Ethiopia, empirical evid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health insurance, and natural disasters is scarce. Furthermore, the topic of mental health remains largely unfamiliar within the country, and stigma and discrimination towards people with psychological disorders continue to persist. As a result, there is an urgent need to generate empirical evidence on whether health insurance protects the mental health of the population directly affected by natural disasters in Ethiopia with the aim of eliciting policy implications for Ethiopia and other developing countr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effects of natural disasters on mental health and moderating effects of health insurance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Ethiopians directly exposed to natural disasters. Methodology: The present study used the Disaster Poverty Household Survey (DPHS) data collected in Addis Ababa and Dire Dawa by the World Bank in May and June 2017 to examine the impact of natural disasters on mental health and the potential moderating effects of health insurance. The DPHS data captured critical information on household characteristics, living conditions, coping strategies, and disaster experiences, which provided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poverty-related disaster risks. In the analysis, the study conducted OLS regression to estimate depressive symptoms as a continuous variable and multiple regression model using both probit and linear probability model to estimate depressive symptoms as a binary variable. Also,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ree models: model 1 for exposure to natural disasters, model 2 for possession of health insurance and model 3 for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exposure to natural disasters and health insurance. For control variables, age, sex, education attainment, marital status, religion, asset ownership, labor participation, social (financial) support, illness, and access to health facility were selected. To ensure a rigorous comparison of disaster exposure,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methodology was performed. The study first estimated the effects of direct exposure to natural disasters on depressive symptoms measured using the 10-item Center for the Epidemiological Studies of Depression Short Form (CES-D-10). Second, the effects of health insurance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those directly exposed to natural disasters were explored. Result: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d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direct exposure to natural disasters and depressive symptom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1% level, while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health insuranc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affected popul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urthermor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being married or in a consensual union, owning a refrigerator as an asset, and social (financial) support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nd the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1, p<0.1 and p<0.01, respectively). Conclusion: Direct exposure to natural disasters in Ethiopia poses a significant risk to the depressive symptoms of affected individuals. Additionally, several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marital status, asset ownership, and social (finan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reduced depressive symptoms. However, health insurance was not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depressive symptoms among those who experienced natural disasters. Such results are likely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small number of insured populations, stigma towards mental illness, and inadequate resources for mental health services. Further,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in order for health insurance to properly work simultaneous efforts to raise awareness of mental health issues and treatment are required.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emotional and social (financial) support in the aftermath of a natural disaster, and emphasizes the access to mental health services as a part of disaster management strategies in developing countries. The evidence derived from this study will support the development of policies and interventions aimed at improving mental health outcomes for disaster-affected populations in Ethiopia and other LMICs,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progress of achieving the SDGs 11.5 and 3.8. 연구배경: 재해는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뜻하고 재난은 통상적으로 재해 발생 원인에 따라 자연재해, 인적재난, 사회재난 등의 유형으로 분류된다. 자연재해는 자연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 자연재해가 증가하여 그 피해도 커지고 있다. 자연재해를 경험한 사람들은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에도 위협을 받는다. 자연재해의 규모나 피해, 국가의 소득 수준에 상관없이 자연재해를 경험한 후 겪는 정신적 피해는 세부 유형이나 피해의 정도가 다를 수는 있으나 전 세계 공통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는 저소득 국가들과 사회적 취약계층에 더욱 가중되어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자연재해의 위험에 노출된 저소득국가 중 에티오피아의 경우 가뭄, 홍수, 산사태, 지진 등 다양한 유형의 자연재해를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자연재해를 경험한 사람들은 다양한 정신질환에 취약해지고 그중에서도 우울증으로 인한 피해가 흔히 보고되고 있다. 에티오피아 국내 질병 유병률의 9.1%가 우울증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 정신질환 중 가장 높은 유병률이며 본 연구에서는 우울증에 취약한 에티오피아에서 자연재해로 인한 우울증상에 초점을 둔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2012년 이래 정신건강 문제와 부족한 자원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일차 의료에 정신건강 서비스를 통합하고 의료 서비스를 높은 접근성과 저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게 만들었다. 따라서 에티오피아에서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더욱 많은 국민이 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에티오피아 인구의 1/3만이 건강 보험에 가입되어 있다. 에티오피아에서 정신 건강, 건강 보험 그리고 자연재해 노출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에티오피아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신건강이라는 주제는 에티오피아에서 여전히 생소하고 낯선 주제이며, 정신 질병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낙인과 차별이 계속해서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에티오피아의 자연재해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건강보험 가입 여부가 자연재해와 우울증상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에티오피아에서 자연재해로 직접 영향을 받은 인구의 정신 건강에 건강 보험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술적 증거를 도출하여 에티오피아와 다른 개발도상국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에티오피아의 성인(18-64세)을 대상으로 2017년 5월부터 6월까지 세계은행 (World Bank)이 수집한 국가 수준의 자료인 Disaster Poverty Household Survey (DPHS) 자료를 사용한 횡단면 분석을 수행했으며 자연재해가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건강 보험의 조절 효과를 조사했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자연재해가 에티오피아 성인들의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두 가지 모형을 이용한 분석을 수행했다. 우울점수를 연속형 변수로 한 최소자승법 (Ordinary Least Squares; OLS)과 우울점수를 이분형으로 구분한 종속변수를 프로빗 모형 (probit model)과 선형 확률 모형 (linear probability model; LPM)을 이용한 분석을 실시했다. 또한 각 모형을 세 가지로 하위유형으로 나누어 독립변수를 각각 자연재해 노출(모델 1), 건강보험 소지(모델 2), 자연재해 노출과 건강보험 가입 여부의 상호작용항(모델 3) 결과를 살펴 보았다. 통제변수로는 나이, 성별, 교육수준, 혼인여부, 종교, 자산소유, 고용상태, 금전적 지원, 질병유무, 병원 접근성을 선택했다. 또한, 직접 자연재해를 경험한 군과 그렇지 않은 군의 특성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성향점수 매칭 (propensity score matching; PMS)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회귀분석 결과 자연재해를 경험한 사람들에서 높은 우울 증상이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p<0.01). 우울증상 점수를 비교했을 때 자연재해에 직접 노출된 군의 우울점수가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약 6점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PM의 결과에 따르면 자연재해에 직접 노출된 군에서 우울 증상이 나타날 확률이 약 17.6% 높았다. 그러나 자연재해 노출과 건강보험 가입 여부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결과 자연재해를 직접 경험한 사람들의 우울 증상은 건강보험으로 인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결혼 또는 동거 상태에 있거나 냉장고를 자산으로써 소유하고 금전적 지원을 인식하는 것이 우울 증상 감소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을 발견했다. 결론: 본 연구는 자연재해가 에티오피아 성인인구의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동시에 개발도상국 맥락에서 우울경감을 위해서는 자연재해 발생 후 재난 관리 차원의 효과적인 정신건강 서비스 확대의 중요성을 제시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에티오피아에서 직접 자연재해를 겪은 사람들의 우울 증상이 위협당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결혼 상태, 자산 소유, 금전적 지지와 같은 사회인구학적인 요인이 우울 증상 감소와 연관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자연재해 노출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건강보험 소지여부의 유의한 조절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에티오피아 내 부족한 보험 가입자 수, 정신 건강에 대한 낙인 및 편견, 불충분한 자원 등 다양한 요인이 존재하며 건강보험이 주요한 역할이나 효과적인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중저소득 국가내에서 정신질환 치료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도 같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개발도상국에서 자연재난 발생 시 효과적인 정서적, 물질적 지지의 중요성과 큰 도시에서 자주 발생하는 자연재해에 대비해 취약계층을 위한 정신 건강 서비스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더 나아가 도시에 이미 존재하는 사회적 불평등을 인지하고 재난경험자의 정신건강을 위해 시의적절하고 접근성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형평성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에티오피아 주변 아프리카 국가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자연재해에 대처하는 정신 건강 서비스 정책 도입을 고려할 때 근거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취약계층의 건강을 위한 보다 체계적인 자연재해 관리 정책 및 위험 관리 정책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에티오피아라는 개발도상국의 현지 맥락을 중심으로 한 재난 피해 분야에 정신건강을 융합시켜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한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궁극적으로 중저소득 국가에서의 위험 관리 정책 확대는 SDGs 11.5 and 3.8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Brain Drain of medical doctors : a challenge to public health service in Ethiopia

        Demeke, Sintayehu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927

        Brain drain in general (including that of medical doctors) has been a problem in Ethiopia as of 1970s coinciding with the ascent to power of the Derge regime. Prior to the 1974 revolution, virtually all Ethiopians who attended university in the country remained at the completion of their work and the vast majority of those who studied overseas returned to Ethiopia. The Derge brought upon Ethiopia disastrous economic and political turmoil. The level of poverty had widened and deepened, the rate of unemployment increased, political and economic insecurity have become the norm, and the majority of Ethiopians were desperately poor and hopeless. These economic and political upheavals are the fundamental reasons why most Ethiopians prefer to move to other countries. Nevertheless the exodus continued even after the overthrow of the dictatorial regime although the reason differs somewhat. Recent statistics show that Ethiopia is one of the Sub Saharan countries which is severely affected by internal and external medical doctors bran drain. As a result, the public health sector is in a chronic shortage of physicians. By 2006, the aggregate loss of medical doctors from the public health facilities in Ethiopia was estimated to reach 80%. The country has lost 65.8% of its specialist doctors and 84.5% of its general practitioners in 1987 to 2006. The doctor to population ratio in the public health sector of the country by 2006 was 1:118,000. On the other hand, the WHO minimum ratio for developing countries is 1:10,000. As a result, the country meets only 8.5% of the WHO standard and thus the remaining 91.5% is the deficit. In order to fill this gap, the government increased enrollment in medical schools though not satisfactory and raised the number of medical schools from three until 2004 to seven by 2008. The government has also been VI employing expatriate medical doctors to fill the gap. As brain drain of medical doctors is unlikely to cease given the fact that the shortage in universal, appropriate production and retention strategies have to be taught of in Ethiopia. For example, the government has to concentrate on production strategies as opposed to an aggressive move of importing expatriate doctor since production is much cheaper in Ethiopian context than employing expatriates. Most important but obvious retention strategy is improving the incentives (financial and non financial) of medical doctors in the country. Mobilization of the intellectual Diaspora through encouraging return to home either permanently or temporarily or through virtual participation will also help to mitigate if not to totally dry up brain drain of medical doctors.

      • 에티오피아의 자녀 수 결정요인 연구

        이호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927

        에티오피아는 전 세계에서 12번째, 아프리카에서 2번째로 인구가 많은 국가이며, 합계출산율은 2019년도 4.2명으로 아프리카에서 3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이에, 국제기구 및 인구학 전문가는 에티오피아의 인구구조가 급격히 증가하여 2050년에는 전 세계에서 4번째로 인구가 많은 국가로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이유로 에티오피아에는 가족계획과 관련된 물품 지원사업, 교육프로그램 사업, 인식변화 사업 등이 투입되어 진행되고 있다. 에티오피아는 11개 지역끼리도 인구구조의 차이가 간극화 되고 있고 있으며, 특히 도시지역과 지방지역의 인구구조의 차이가 심화되고 있다. 아디스아바바(수도)의 합계출산율은 1.6명으로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지방의 합계출산율은 평균 4.0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에티오피아의 중앙정부와 중앙보건부는 합계출산율을 3명 이하로 계획하는 「Ethiopia FP 2020」전략을 발표하였다. 하지만, 에티오피아 지방정부의 예산배분이 지역의 인구 수와 비례하여 분배되기 때문에 가족계획사업의 이행에 비협조적이다. USAID의 발표에 의하면 소말리 지역은 합계출산율이 7.2명이고, 아디스아바바 지역은 1.8명으로 약 4배의 차이가 나기 때문에 지역간 인구균형을 맞추기 위한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에티오피아 가임기 여성들의 자녀 수 결정요인을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을 실시하며, 이를 바탕으로 질적연구를 실시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에티오피아 가족계획정책과 관련된 문헌들을 고찰비교하여 지역별로 필요한 가족계획 정책 개입을 개발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은 혼합연구로서 양적연구, 질적연구를 통하여 분석이 된다. 첫째, 양적연구는 USAID가 에티오피아 전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Ethiopia DHS 2016」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개인과 지역을 구분하여 다수준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양적연구 결과, 에티오피아 전국 가임기여성의 현재 자녀 수는 4.06명이며, 이상적인 자녀 수는 5.59명으로 이상적인 자녀 수가 더 많아 인구구조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적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질적연구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질적연구 설문지는 UNFPA의 「UNFPA Qaulitative Study on Family Planning in developing Countries」를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질적조사는 COVID-19 판데믹상황을 고려하여 비대면방식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암하릭어로 번역한 설문지를 구글 설문조사 시스템(Google Online Survey System)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대상자에게 송부하여 눈덩이 추출방식으로 설문조사자를 모집·조사하였다. 그 결과, 95명을 조사완료하였다. 이러한 혼합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에티오피아 가족계획정책과 관련된 중앙정부와 국제기구의 사업계획 등 문헌과 비교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7개의 핵심키워드를 확인하였다. ①낮은 여성의 지위, ②정책적인 이유, ③교육, ④보건의료인, ⑤미디어활용한 가족계획사업, ⑥문화/종교, ⑦접근성 이다. 이러한 핵심키워드 및 연구결과로 아래와 같은 정책제언을 한다. 첫째, 전문 지역보건의료인(HEW) 제도 마련 및 지역사회에 투입해야 한다. 둘째, 에티오피아 연방정부의 인구협의회 설치 및 연방정부의 인구협의회에서 가족계획 사업을 주도적으로 계획, 실시 그리고 관리를 해야한다. 셋째, 종료지도자와의 지속적인 감담회를 통한 종교교리와 가족계획사업의 타협점을 찾아야한다. 넷째, TV를 활용한 가족계획 교육사업·홍보사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행해야한다. 특히, 소말리, 남부민족연합, 감벨라 지역을 중심으로 실시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소말리 지역과 남부민족연합주는 지리적·문화적·종교적 이유로 국제기구의 지원에서 후순위였다. 앞으로 연방정부와 종교지도자, 그리고 국제기구와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하여 소말리 지역과 남부민족연합주를 중심으로 가족계획사업을 실시해야한다. Ethiopia is the 12th most populous country in the world and the second most populous in Africa, with a total fertility rate of 4.2 children per woman in 2019, the third highest in Africa. Therefor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demography experts predict that Ethiopia's population will increase rapidly making it the fourth most populous country in the world by 2050. For this reason, programs related to family planning, such as donation of goods, education programs, and awareness projects have been implemented in the country. In Ethiopia, the difference in demographic structure among the 11 regions is widening;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in demograph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s becoming wider. For example, the total fertility rate in Addis Ababa, the capital city, is 1.6 children per woman, and the population is continuously contracting, while the that in rural provinces is on the rise with an average of 4.0 children per woman. In response,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Ministry of Health have announced a program called “Ethiopia FP 2020" which aims as its objectives to decrease the total fertility rate to three or less. However, since the Ethiopian local governments' budget alloc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he local population,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family planning projects especially where they are needed most. According to the 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USAID), the total fertility rate of Addis Ababa is 1.8 children per woman while the Somali Region is 7.2 children per woman, which is about four times higher. Thus, there is a clear need for policies to balance the population difference between region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the number of children born from Ethiopian women of childbearing age, taking into consideratio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onducts a qualitative study based on these. Finally, by reviewing and comparing studies related to Ethiopian family planning policy, I intends to develop necessary family planning policy interventions for each region. The analysis method of this paper is a mixed study, which is investigated both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First, the quantitative study was analyzed using data from "Ethiopia DHS 2016" for which USAID surveyed all over Ethiopia. For the analysis, a multilevel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classifying individuals and regions. 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the current number of children from individuals of childbearing age nationwide in Ethiopia is 4.06 per woman, and the number of children desired by the women is 5.59, indicating that the population is bound to increase as the desired number of children is increasing. Second, qualitative research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and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using the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s "UNFPA Qualitative Study on Family Planning in Developing Countrie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a contactless manner give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As for the survey method, the questionnaire translated into Amharic was sent to the subjects using the Google Online Survey System, and surveyors were recruited and surveyed using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As a result, 95 people were surveyed.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mixed studies, a comparison was conducted with literature from organizations such as the Ethiopian central government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related to Ethiopian family planning policies. As a result, a total of seven keywords were identified. (1) Low social status of women: (2) policy-related reasons; (3) education; (4) health workers; (5) family planning projects using media; (6) culture/religion; and (7) accessibility. Based on these keywords and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Fir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rofessional community health extension worker (HEW) system and implement it within the community. Second, an Ethiopian federal government's population council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council should lead the planning, implementation, and supervision of family planning projects. Third, it is necessary to find a compromise between religious doctrines and family planning projects through continuous meetings with the religious leaders.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carry out family planning education and awareness campaigns using TV as a medium. In particular, it should be carried out more vigorously in the Somali, Southern Nations, Nationalities, and Peoples' Region, and Gambela regions. Finally, the Somali region and the Southern Nations, Nationalities, and Peoples' Region were ignor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for support due to geographical, cultural, and religious reasons. In the future, family planning projects should be carried out in these two regions through continuous negotiations with the federal government, religious leader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 Fostering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tewardship among youth in Ethiopia from a Chriatian Worldview Perspective

        Dereje Tolossa Aby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927

        The thesis was written based on the framework of a Reformed Christian Worldview: creation, fall, redemption and ultimate restoration. God created the world and he sustains it moment by moment by his powerful word (Heb 1:3). The world is God’s possession; people and all creatures in it are God’s creation. The fall brought pain and suffering upon both humans and the whole creation (the environment) (Rom.8:19). The whole creation is part of God’s redemptive plan (Jn. 3.16) in Jesus Christ. God will restore and renew his creation (2 Cor. 5:19).This research mostly explored the Biblical,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aspects of the topic. This Reformed paradigm provided the framework for this investigation into environmental issues among young people in Ethiopia. Advocacy and historical analysis have been the major part of the stud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used extensively.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online software program Survey Monkey to gather these data. In addition, the researcher made an educational visit to WaggaWagga Christian College in Australia. This gave him an opportunity to observe an educational program that addressed environmental issues both in class and field studies from a Christian worldview perspective. The research confirmed that human activities have caused environmental degradation, mainly through energy consumption (burning of fossil fuels) in homes and industries; deforestation, pollution of the air with pollutant gases; the pollution of water bodies with oil spills; the discharge of industrial wastes to rivers, lakes and the ocean; agricultural pesticides and herbicides; nuclear wastes from power plants and garbage wastes from industries and homes. The results of environment degradation were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desertification, loss of biodiversity, ozone layer depletion, and poverty and health problems. In Ethiopia, deforestation, overgrazing, soil erosion, desertification, and water shortage were identified as the major environmental challenges. Finally, strategies for assisting Ethiopian youth to identify and thus better steward any immediate environmental challenges within the Reformed worldview perspective were identified. 이 논문은 창조, 타락, 구속과 궁극적 회복으로 표현되는 개혁 기독교 세계관의 틀을 기반으로 작성하였다. 하나님이 세상을 창조하고 그의 강력한 말씀 (히 1:3)으로 매 순간, 순간을 지탱하고 계신다. 이것은 하나님의 세계이고, 사람들과 그 안 에 있는 모든 생물은 하나님의 창조물이다. 타락은 인간과 모든 창조물(환경)에 고통과 괴로움을 가져왔다 (롬8 : 19). 모든 창조물은 하나님의 구속의 계획 (요 3.16)의 일부이다. 마지막에는 하나님이 그의 창조를 복원하고 새롭게 하실 것이다 (고후 5:19). 본 연구는 이 화제의 성경, 역사, 그리고 철학적 부분을 주로 탐구하였다. 이 개혁 패러다임은 에티오피아 젊은이들이 가진 환경문제를 연구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혁 패러다임을 옹호하고 역사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정성적 연구 방법이 폭넓게 사용되었는데, 데이터를 보완하기 위해서 온라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Survey Monkey 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또한 연구자는 교육을 위해 호주의 와가와가 기독교 대학(WaggaWagga Christian College)을 방문했다. 이는 연구자에게 강의나 필드 실험에서 기독교 세계관의 관점에서 환경 문제를 제시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관찰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연구는 인간의 활동이 주로 가정과 산업의 에너지 소비(화석 연료의 연소)를 통해 환경의 악화(삼림 파괴, 가스로 인한 공기 오염, 석유 유출로 인한 수역의 오염, 강, 호수, 바다로의 산업 폐기물 배출, 농약이나 제초제 사용, 발전소의 핵 페기물, 산업과 가정의 쓰레기)를 일으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환경 파괴의 결과는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화, 사막화, 생물 다양성 감소, 오존층 파괴, 빈곤과 건강 문제이다. 에티오피아에서는 삼림 벌채, 과도방목, 토양 침식, 사막화, 물 부족이 주요 환경 문제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개혁의 관점에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에티오피아 젊은이들을 지원할 수 있는 전략을 알아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