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eepening and Improving Democracy : Association in South Korea

        이재철 Univ. of Missouri, Columbia 2005 해외박사

        RANK : 2943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how voluntary associations have affected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in South Korea, one of the most influential new democracies. In other new democracies as well as long-established Western democracies, a great deal of empirical research has examined the role of associations in creating and deepening democracy. In Korea, however, relatively little research has examined how they contribute to the democratization of authoritarian politics and culture. To fill this gap in the literature on Korean democratizat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structural and cultural components of social capital. It analyzed the relationships of these components with each other and how they affect the growth of democratic citizenship. Such citizenship embodies the norms and values of democracy-in-principle and the skills required of democracy-in-practice. Theories relating social capital and democratization claim that participation in voluntary associations, especially horizontal or non-hierarchical associations, inculcates norms of reciprocity and promotes mutual trust. Such theories also claim that civic activism and interpersonal trust contribute directly to democratic citizenship. To test these theoretical claims, this study analyzed the latest waves of the Korean Democracy Barometer survey and the World Values Survey. The empirical results confirmed only one of these two theoretical claims, the one linking social capital to democratic citizenship. Specifically, the structural component of social capital motivates the Korean masses to activity in the political process and to embrace the norms of democratic behavior. Its cultural component, on the other hand, encourages them to appreciate the virtues of democracy and support democratic institutions.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two components of social capital - participating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trust in fellow citizens - complement each other in building a fully democratic state.

      • On democratic crisis and its causes : 'overlapping critical junctures' and 'recurrent legacies' from 1789 to 1991

        서현준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4 국내박사

        RANK : 2943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causes of democratic crisis under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t first introduces the issue of democratic crisis by presenting the objective standards for well-functioning democracy and showing that these standards are not being properly fulfilled with the empirical evidence. It then summarizes the existing arguments on the causes of democratic crisis by grouping them into the categories of ‘external’ and ‘internal’ causes, both of which are divided into the sub-categories based on the commonality of arguments. It reveals that most of current analyses on the causes of democratic crisis are predicated on a short span of time, and that they share a common premise that the anti-democratic features of democratic regimes come from the proximate external factors. To compensate the limits of existing literatures, it presents the ‘historical institutionalism’ as a theoretical framework, and explains the three main concepts of ‘historicism,’ ‘critical juncture,’ and ‘path dependence,’ together with three additional theses of ‘Long History,’ ‘Overlapping Critical Junctures,’ and ‘Recurrent Legacies’ originally suggested by this dissertation. Thereafter, by applying a new theoretical model, it conducts the historical examination of modern democracy from the period of the two great revolutions to the end of the Cold War (1789-1991). Overall, the suggested theoretical model of ‘long history,’ ‘overlapping critical junctures,’ and ‘recurrent legacies’ properly explain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modern democracy. The historical analysis reveals that the incipient anti-democratic tendencies in the early modern democracies had caused the overlapping critical junctures and the recurrent legacies in a way that hinders the development of democratic governance over the last two hundred years. As such, it concludes that the foundation of the crisis of democracy had been created from inside the democratic sphere itself. 본 연구는 민주주의 위기 현상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역사적 제도주의의 관점으로 분석한다. 우선 ‘민주주의 위기’의 실체를 입증하기 위하여 올바른 민주주의의 기준점을 제시하고 이것이 제대로 충족되고 있지 않은 현황을 실증적으로 증명한다. 다음으로 민주주의 위기 원인을 분석하는 선행 연구들을 그 주장의 유사성에 따라 ‘외재적’ 요인과 ‘내재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요약하고 그 한계를 밝힌다. 이에 따르면 기존 민주주의 위기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짧은 기간 동안의 역사적 분석만을 다루며 그 원인을 시간적, 공간적으로 가까운 외부 요인으로부터 찾는다는 한계를 보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현대 정치와 사회 문제의 원인을 보다 긴 역사적 분석과 내재적 요인 분석을 통해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역사적 제도주의’를 이론적 틀로써 차용한다. 이를 위해 역사적 제도주의의 핵심을 이루는 ‘역사주의,’ ‘결정적 분기점,’ ‘경로 의존성’ 세 가지 개념을 상세히 설명하고, 이를 추가로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독창적으로 고안한 ‘긴 역사적 분석,’ ‘중첩된 역사적 분기점,’ ‘반복적 고착화’ 라는 세가지의 추가적인 개념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이 같이 추가로 각색된 역사적 제도주의를 분석의 틀로 적용하여 1789년에서 1991에 이르는 지난 200년 간의 역사를 ‘근대 민주주의의 탄생 및 발전 과정’이라는 주제에 맞춰 상세히 분석한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이론적 틀이 주장하는 바와 유사한 형태로 실제 근대 민주주의 탄생 및 발전사가 진행되어 왔음이 확인된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역사적 분석에 따르면, 초기 형태의 근대 민주주의 국가들 내에 배태된 반민주적 경향성은 두 번의 혁명과 두 차례의 전쟁을 중첩된 역사적 분기점으로 삼아 지난 200년의 기간동안 반복적으로 고착화되어왔다. 이러한 분석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현재 관찰되는 민주주의 위기 현상의 근본적인 원인은 근대 민주주의 그 자체의 발전사로부터 찾아볼 수 있음을 주장한다.

      • 당위로서 직접민주주의 연구

        서휘양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42

        A study of direct democracy as what is to be In order to conclude that direct democracy is what is to be, this paper goes through five steps. The first step insists that the basic principle of democracy are in ‘equality’ and ‘immediacy’. According to ancient Athenian democracy as original form, all the citizens in Athens had been equal at directly participating in public affairs. The second step asserts that Plato’s ‘Philosopher king’ is just a disguised form of hereditary monarchy. It is evident that any hereditary monarchy destroys equality of direct participating in public affairs. The third step demonstrates that representative democracy as an alternative of hereditary monarchy is a corrupted form of direct democracy. Any representative democracy have degenerated the ideal of equalitarianism. The fourth step calls into question some merit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ny representative have been worshiping an intellectual elitism as just a copy of ‘philosopher king’. Lastly, the five steps shows how to approach direct democracy and to overcome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answer will be dependent upon ICT, civic consciousness, and shortened labor hours.

      • 토크빌의 민주주의를 위한 처방 : 자유의 수련기

        한동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942

        Democratization was a long-cherished desire in Korea for last fifty years. In this respect, Korean democracy has passed one phase as it has established procedural democracy. In reality, however, the problems of Korean politics has not bee overcome. The fact that Korean politics is still limping raises a question about “democracy after democratization'. There are two different opinions about solving the problem of “democracy after democratization'. Some point out the ‘lack of democracy'' as a root cause for the problem. They contend that the biggest problem of Korean politics is that political democratization as procedural democracy did not expand into economic and social sphere, which should be accelerated. The so-called ‘democratization acceleration strategy'' leads to the recent debate on constitutional revision which civil society takes initiative of. On the other hand, others argue that the problem of “democracy after democratization' is due to ‘excess of democracy''. They maintain that democratization has been accomplished when procedural democracy was established and that this institutional foundation should be consolidated. This opinion also appears as ‘constitutionalism''. However, both arguments overlook the absence of ‘citizens'' who operate democracy. On the wrong debate line between ‘substantial democracy'' and ‘procedural democracy'', they fail to see the matter of formation of ‘citizen''.The reason why the formation of ‘citizen'' is important is that the politics of reality consists of interactions between political institutions and human beings that operate them. The argument of ‘procedural democracy'' is hollow as decmoratic institutions cannot be stabilized without ‘citizens''. This is why the question of “democracy after democratization' has to be centered on the project of ‘citizen making'' away from the wrong debate line.Because Tocqueville pondered upon the ‘citizen making'', his idea is still applicable to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 He experienced monarchy, democratic revolution and counter-revolution. In the political history of France that democracy after democratization was not settled, Tocqueville thought over consolidation of democracy. His remedy is to form ‘citizens'' who can operate democracy. He argues, however, that the consequences of democratization are harmful to ‘citizen making''. In the paradoxical situation that the more democratized a society becomes, the more ‘citizens'' disappear, ‘citizen'' can be formed only by taming democracy. In other words, apprenticeship of freedom is essential so that people can learn how to enjoy political freedom and become ‘citizen''. Because democratization is irreversible, he proposed to form ‘citizen'' by controlling and deferring the consequences of democratization. This is the point where Tocqueville''s remedy meets with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n politics. 지난 50여 년 동안 한국 정치의 염원이 민주화였다면, 절차적 민주주의를 확립함으로써 한국 정치는 한 단계 발전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실상을 들여다보면 민주화가 한국 정치의 문제를 해결해 주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민주화가 되어도 여전히 한국 정치의 파행성은 극복되지 못 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라는 문제의식은 민주화 이후에도 계속되는 한국 정치의 파행성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에 대한 해답은 크게 두 가지로 제시된다. 먼저 ‘부족한 민주주의’를 근본적 원인으로 지적하는 입장이 있다. 절차적 민주주의에 머문 정치적 민주화가 경제와 사회 영역으로 확산되지 못한 것이 한국 정치의 문제이고, 이를 위해 사회 각 부문의 민주화를 가속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른바 ‘민주화의 가속화 전략’은 최근의 시민사회 중심의 개헌논의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다음으로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의 문제가 ‘과도한 민주주의’ 때문이라고 보는 입장이 있다. 절차적 민주주의의 확립으로 민주화는 완성되었으며, 이러한 제도적 기반을 공고히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러한 입장 역시 최근 ‘헌정주의’라는 이름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에 대한 이러한 논의들이 빠뜨리고 있는 문제는 절차적 민주주의를 운영할 ‘시민’의 부재이다. ‘실질적 민주주의’와 ‘절차적 민주주의’라는 잘못된 논쟁 전선에서 ‘시민’의 형성이라는 문제의식이 보이지 않는 것이다.‘시민’의 형성이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에서 중요한 이유는 간단하다. 현실의 정치란 정치제도와 제도를 운영하는 인간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시민’의 형성 없이는 민주주의 제도를 안정적으로 지속시킬 수 없다는 점에서 ‘절차적 민주주의’의 주장은 공허하다. ‘실질적 민주주의’를 주장하는 것 역시, 민주화가 자연스럽게 ‘시민’을 만들어내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설득력을 갖지 못한다.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라는 문제의식이 잘못된 논쟁 전선을 벗어나, ‘시민 만들기’라는 기획에 집중해야 되는 이유이다.“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를 고민하는 한국의 현실이 시공간을 뛰어넘어 토크빌과 호응하는 것은 잘못된 논쟁 전선을 벗어나 ‘시민 만들기’를 고민했던 토크빌의 경험 때문이다. 토크빌은 왕정과 민주주의 혁명, 혁명의 반동 속에서 일생을 보냈다. 민주화 이후에 민주주의가 정착하지 못했던 프랑스의 정치사 속에서 토크빌은 민주주의의 공고화라는 문제의식을 키워 나간 것이다.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에 대한 토크빌의 처방은 민주주의를 운영할 수 있는 ‘시민’을 만드는 것이었다. 그러나 토크빌은 민주화의 결과가 오히려 ‘시민’을 만드는 데 부정적이라고 생각했다. 민주화될수록 ‘시민’이 사라지는 역설적 상황에서 토크빌은 민주주의를 길들임으로써만 ‘시민’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즉, 정치적 자유를 향유할 수 있는 ‘시민’이 되기 위해서는 정치적 자유를 익히는 ‘자유의 수련기’가 필요하다고 본 것이다. 민주화는 거역할 수 없지만, 민주화의 결과를 통제하고 지연시킴으로써 ‘시민’을 만들고자 했던 토크빌의 처방이 한국의 현실과 만나는 지점이다.

      • (The) Varying Impacts of Populist Rule on Liberal Democracy in Latin America

        이승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942

        Populist rule is one of the most symbolic features that have characterized modern politics in Latin America. In so far as the outcomes of populist rule in the region are studied, one of the main interests in the existing literature is its impact on the quality of liberal democracy. This thesis seeks to contribute to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by conducting empirical research based on a panel dataset covering 18 Latin American countries from 1991 to 2017. I find an overall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opulist rule and liberal democracy, which is a reflection of their inherent incompatibility and the populist project of maximizing the utility of the individuals forming a majority at the expense of the elite and minority. However, what has been observed across the countries in the region is that some populist presidents distort liberal democratic institutions with a high level of discretion, whereas others relatively conform to the constraints imposed by liberal democracy and have a limited impact on it. I argue that the capability of populist presidents to attack liberal democratic institutions is determined by the estimated costs of doing so incurred by a set of constraints arising from three groups in society: the informal working class; the formal working class; and the capitalist class. Each of these three groups, with class-specific socioeconomic demands, curtails populist incumbents’ room to maneuver by posing a probable threat to governability. The populist government is by nature constrained by the requirement to please the informal working class, who constitute a majority in a typical Latin American society and are willing to support the populist project only if their socioeconomic demands are met. Its policy choices are also constrained by the formal working class and the capitalist class, who possess disproportionate influences in the society and are interested in the protection of the existing political order. I identify three variabl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f the three potential veto players to the populist project: natural resource rents, industrial employment, and financial development. Depending on the levels of these three variables, the extent to which populist presidents can actually pursue strengthening of executive power and radical institutional changes that are consistent with their populist discourse is determined. I find that the negative impact of populist rule on liberal democracy is exacerbated with a higher level of natural resource rents and lower levels of industrial employment and financial development. Finally, I complement my quantitative analysis with an examination of the experiences of a number of Latin American countries under populist rule. This study is one of the first systematic evaluations of the constraints that shape governing populists’ capability to damage liberal democratic institutions.

      • Social movements as instruments of mass participation in democracy : 'Occupy wall street'(2011) & 'Black lives matter'(2013-2020)

        조원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1 국내석사

        RANK : 2942

        본 논문은 민주주의 위기가 민주주의의 본질적 흠이 아닌 ‘적정한’ 참여의 결여에서 기인하며, 참여와 대의(代議)는 서로 분리될 수 없고 서로 상호연관 되어 있으며, 사회운동은 대표되지 못하거나 잘못 대표된다고 느끼는 사람들의 직접참여의 수단이라는 관점에서 서서 다음과 같은 분석을 행한다. 서론에서는 민주주의의 위기의 역사적 맥락, 민주주의에 대한 모순적 인식, 위기에 대처하는 학계의 반응, 그리고 사회운동의 등장 등을 다룬다. 제 2장은 민주주의의 고전적 정의를 다루고, 정치사에서 다수제가 어떠한 문제를 보였는지를 주목하고, 민주주의가 여전히 보편적 가치인지에 대하여 질문을 던진다. 제 3장은 현대 민주주의에서 참여와 대의 사이의 상호관계에 관한 주요 쟁점에 초점을 맞추고, 대의라는 관념은 비록 과거 국민 국가 안에서 시행되고 성장해왔지만, 정치적 용어로서는 새로운 것임을 강조한다. 이어서 제 3장은 참여를 현대적 대의민주주의 안에서 재정의하면서, 지지자와 대표자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고전적인 “본인-대리인(Principal-Agent) 모델”을 소개할 것이다. 여러 학자들에 의해 참여와 대의의 제도적 시스템으로 높이 평가받는 투표제의 효율성과 자기 수정 능력(self-correctness)에 대해서도 질문을 던질 것이다. 제 4장은 사회 운동을 대표되지 못하거나 잘못 대표된다고 느끼는 사람들의 참여를 위한 도구로서 논의한다. 사회 운동은 참여자들을 위한 열린 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참여자들의 경제 및 정치적 요구를 공공연하게 명료히 밝히고 구체화할 뿐만 아니라 자신들의 정치적, 시민적 권리, 그리고 참여 이념의 행사할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최근 미국에서 발생한 두 사건, ‘월 가를 점령하라’와 ‘흑인 생명은 소중하다’ 에 대하여 사례분석을 진행하는데, 그 이유는 이 두 운동이 미국 민주주의의 위기의 징조들이기 때문만 아니라 해당 사건들이 참여와 대의 사이의 균형을 잡기 위한 집단 행동의 사례들이기 때문이다. This thesis takes the following positions: The contemporary crisis of democracy comes from the lack of ‘proper’ participation, not from the intrinsic flaws of democracy; Participation and representation are not separable from each other, for, like the two faces of a coin, they are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Social movements as reactions by those who feel themselves mis- and ill-represented are instruments of direct participation— contentious, collective, political activities intended to correct the imbalance between participation and representation; Democracy with its protective and constitutive nature is still valid as a universal value and political practice no alternatives can replace at the moment. This thesis begins with reviewing the historical contexts of the crisis of democracy: the paradoxical perception of democracy, scholarly responses to it, and the rise of social movements. Chapter II covers the classical definition of democracy, attending to the problems of the majority rule shown in the political history, and question whether democracy is still valid as a universal value. Chapter III focuses on the critical issu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of participation and representation in contemporary democracy, emphasizing that representation as a political term is new though its concept has long been practiced and grown with the nation-state; Redefining participation in a modern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classical, principalagent model will be introduc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presented and the representatives: Election, praised by many scholars as an institutional system of participation/representation, will be questioned of its efficiency and self-correctness. Chapter IV discusses social movements as necessary and positive instruments of participation for those who feel themselves mis- or ill-represented. They can function as open space for the participants not only to publicly articulate and conceptualize their economic, political needs, but also to exercise their political, civil rights, and ideas of participation. The two recent cases, ‘Occupy Wall Street’ and ‘Black Lives Matter,’ are selected for analysis not only as signs of the crisis of the U.S. democracy but also examples of the collective action to bring back the balance between participation and representation.

      • Perception of the elite community on democracy in Egypt

        Shireen Essam Eldin Abdallah Youssef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942

        The choice of the elites in this study is based upon the understanding that this important segment of the population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have a complete picture of Egypt’s political transition. The role of elites "intellectuals" in any society is indeed one of the crucial elements to the development of society. The Egyptian elites proved their important role when they sparked the Egyptian January revolution in 2011. Most of the new scholars were eager to know the perception of the Egyptian elite community on democracy, political system and ways of governance in one of the most famous revolutions in the Arab world, keeping in mind that the elite activists of January 25 uprising spanned to disenfranchised Egyptians, the working class, and politicized reformers. Since the demonstrations began, discussion of the political path forward has engaged not only elites, but also the ordinary citizens. The Egyptian elites' perception about the real problem concerning the democracy and political system is the weak state which is the lack of the IV role of the state institutions, in addition to the lack of consolidation and solidarity that led to the absence of democracy in Egypt. The elites believe that democracy can be reactivated only by two channels, first; the reform of the state institutions , second; raise awareness among people of concepts such as equality, freedom of speech, etc. Although the scene of democracy and political system as well as economic growth of Egypt might be gloomy currently, the Egyptian elites are optimistic that these transitional periods usually take years until the country get back to the right track with their contribution i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 Public Administrators' Acceptance of the Practices of Digital Democracy : A Model Explaining the Utilization of Online Policy Forums in South Korea

        김찬곤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2005 해외박사

        RANK : 2941

        The Internet provides a new digital opportunity for realizing democracy in public administration, but there are wide variations in adopting and implementing practices of digital democracy among government agencies. Thus, this study raises a question: What factors determine public officials' acceptance of practices of digital democracy on government Web sites? To predict public officials' behavioral intention to use online policy forums on government Web sites,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as well as system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Individual factors include Internet attitudes, attitudes toward citizen participation, and knowledge about digital democracy. Organizational factors refer to supervisor support, information system (IS) department support, and innovation-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e. System characteristics of online policy forums include perceived ease of use, information quality, and perceived risk in online discussions.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re is an intervening variable: public officials’ perceived usefulness of online policy forums. A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Korean public officials i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a total of 895 responses were analyzed. Path analysis indicates that three causal variables are important in predicting public officials' intentions to use online policy forums: perceived usefulness, information quality, and attitudes toward citizen participation. Perceived usefulness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some predictors and behavioral intention. This study has defined four stages of digital democracy: (1) information disclosure, (2) listening/feedback, (3) online deliberation, and (4) online decision-making. In the survey, there are no differences in officials' support for practices of digital democracy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stages of digital democracy. This study finds that public administrators' perspectives on the future of online policy forums are affected by Internet attitudes, attitudes toward citizen participation, knowledge about digital democracy, and perceived usefulness of online policy forums. This study also finds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etween previous users and nonusers of online policy forums,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information quality between officials i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Finally, content analysis of comments from respondents reveals that complementary measures are needed in introducing new practices of digital democracy.

      • MODERN TECHNOLOGY AND DEMOCRACY

        손화철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2005 해외박사

        RANK : 2941

        본 논문에서는 최근에 활발하게 제기되고 있는 기술민주화(Democratization of Technology) 이론들을, 20세기 초반에 시작된 기술철학의 역사적 맥락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1장과 2장에서는 기술의 민주화 이론들이 나오게 된 기술철학사적 배경들을 개괄한다. 먼저 하이데거 (Martin Heidegger), 엘룰(Jacques Ellul), 요나스 (Hans Jonas), 마르쿠제 (Herbert Marcuse) 등을 `고전적 기술철학자`로 구분하고, 이들의 기술철학적 입장과 그 입장들이 가지는 기술발전의 정치적 제어에 대한 함의를 알아본다. 2장에서는 고전적 기술철학에 반발하며 1980년대 이래 기술철학의 주류로 떠오른 소위 `경험으로의 전환 (empirical turn)`을 살펴본다. 경험으로의 전환은, 기술철학이 기술 일반에 대한 비판보다는 개별 기술에 대한 심층적 이해에 기반하여 전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흐름은 다시 사회구성주의, 기술에 대한 인식론적 접근, 정치적 접근 등으로 나누어지는데, 기술민주화 이론도 이런 맥락에서 파악되어야 한다. 3장에서는 위너 (Langdon Winner)와 스클로브 (Richard Sclove), 그리고 핀버그 (Andrew Feenberg)의 기술의 민주화 이론들을 정리해 본다. 이들은 현대 기술발전의 폐해들이 전문가들에 의해 일방적으로 주도되는 비민주적 기술발전에 있다고 보고 일반인들의 참여로 이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 위너의 기술의 정치적 이해에 영향을 받은 스클로브는 직접민주주의의 원칙을 기술발전에 적용할 것을 제안하고, 핀버그는 사회구성주의에 입각하여 대중이 기술을 민주적으록 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4-6장은 3장에서 살펴본 기술의 민주화 이론들을 여러가지 각도에서 비판한다. 먼저 4장에서는 미국의 고준위 핵폐기물 처리장 건설을 둘러싼 정치적 결정과정과 인터넷과 민주주의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스클로브와 핀버그의 기술민주화 이론들이 이들 구체적인 사례들에 얼마나 잘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이 과정에서, 두 사람의 기술민주화 이론은 한정된 범위 안에서 사용되는 특정 기술에는 잘 적용될 수 있지만,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거대기술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것이 밝혀진다. 5장은 기술민주화 이론에서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민주주의의 개념이 기술이 초래한 전지구적 상황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정치학자 헬드 (David Held)의 정치학 이론을 빌어 주장한다. 헬드는 기존의 민주주의 이론들이 지리적 경계와 주권의 영역이 뚜렷한 근대국가를 전제해 왔음에 주목한다. 그러나 전지구화는 이런 경계와 영역을 모호하게 만들기 때문에 이런 전제들은 더이상 유효하지 않다. 기술민주화 이론들의 설득력이 떨어지는 것은 정치학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는 `전지구적 시대에서의 민주주의`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채 고전적 민주주의 이해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헬드의 대안인 국제 민주주의 이론 (Cosmopolitan Democracy)을 기술민주화에 적용하는 데에도 무리가 있음을 밝힌다. 6장은 엘룰의 `기술의 허세 (Technological Bluff)` 개념을 바탕으로 기술민주화 이론 자체가 자율적 기술의 지속을 위한 도구로 역이용될 수 있음을 지적한다. 기술을 민주화하면 기술사회의 모든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다는 식의 주장은 현대 기술이 인간에 미친 심대한 영향을 무시한 피상적인 사고의 결과이다. 기술은 인간의 물질적인 삶의 조건을 바꾸었을 뿐 아니라 사고방식과 사회구조 전반에 변화를 가져왔기 때문이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기술이 초래한 전지구화가 정치환경의 심대한 변화로 이어져 민주주의 개념을 재고해야 할 필요를 낳는다는 사실은 기술사회의 문제가 그리 간단치 않음을 보여준다. 6장의 후반부에서는 앞의 논의들에 바탕해 고전적 기술철학과 경험으로의 전환을 주장하는 현대 기술철학의 대립을 재평가한다. `경험으로의 전환`이 개별기술을 강조하여 기술철학을 한단계 발전시켰다는 사실을 부인할 필요는 없고, 기술민주화의 노력을 모두 폄하할 수는 없다. 그러나 기존의 기술민주화이론들과 같이 단순화된 해결책의 제시는 자칫 기술에 대한 막연한 허상들을 오히려 증폭시키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결론에서는 고전적 기술철학자들이 보여준 겸손한 현실인식과 경험으로의 전환이 강조하는 실제기술에 대한 이해를 함께 추구할 수 있는 기술철학의 바람직한 발전방안을 모색한다.

      • Asian perspectives on democracy : Decoding the influence of Asian values and corruption

        Oh, Haseok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941

        시민들의 권위주의적 수단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는 것은 민주주의 후퇴의 지표로 작용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통념이다. 왜냐하면 이러한 상황에서 시민들은 정치에 대한 신뢰를 잃고 점차 비민주적이고 비자유주의적인 방법을 선호하는 정치세력을 지지하는 경향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안정적인 아시아 민주주의 국가에서도 비자유주의적인 정치 관행이 공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권위주의적 유산의 지속적인 영향으로 아시아 민주주의 국가에서 아시아적 가치가 민주주의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러한 관계는 부패가 효과적으로 통제되는 국가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이는 부패가 낮은 국가에서는 개인의 자유를 침해할 수도 있는 정치적 관행이 존재하더라도, 아시아적 가치를 믿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정치인들이 정치적 자원을 오로지 공적인 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라는 믿음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아시아적 가치를 정의한 뒤, 민주주의 국가로 분류된 31개의 국가-연도 데이터를 대상으로 아시아 바로미터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아시아적 가치와 민주주의에 대한 만족도 사이에 긍정적인 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 또한, 이러한 관계는 부패 수준이 낮은 국가에서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는 아시아적 가치를 측정하는 방식을 바꾸거나 정부신뢰를 종속변수로 두었을 때도 일관적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시아 가치를 믿는 사람과 믿지 않는 사람 사이의 국가별 민주주의 만족도 격차를 조사한 결과, 부패 수준이 낮은 동아시아 국가일수록 민주주의 격차가 더 뚜렷하고 코로나 기간 동안 비자유주의적 정책에 대한 수용도가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민주화 이후 국가들이 직면한 다양한 정치적 문제를 고려할 때, 부패수준이 낮은 동아시아 국가 시민들은 아시아적 가치가 공동의 이익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믿는 경향이 있다. Conventional wisdom has suggested that manifestations of authoritarian attitudes serve as a signal of democratic backsliding. In such situations, citizens can lose trust in politics and tend to support political parties that advocate non- democratic and illiberal practices. However, illiberal political practices seem to coexist in stable Asian democracies and contribute to democratic satisfaction. To explain this puzzle, I argue that Asian values can increase satisfaction with democracy in these democracies due to the persisting influence of authoritarian legacies. This paper contends that this relationship becomes more pronounced in countries where corruption is effectively controlled. Conversely, in less corrupt countries, citizens who embrace Asian values trust that the government’s illiberal practices will be employed for public purposes. After defining Asian values, this thesis utilizes data from the Asian Barometer Survey (ABS) covering thirty-one country-year. I fin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sian values and satisfaction with democracy. Furthermore, this relationship appears stronger in countries with low levels of corruption. This finding remains robust when using an alternative measure of Asian values or employing trust in government as the other dependent variable. Finally, after examining each country’s democratic satisfaction gap between adherents and non-adherents in Asian values, the thesis finds that a more pronounced democracy gap exists. This is particularly notable in East Asian countries with lower corruption levels, and it is accompanied by a higher acceptance of illiberal polic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Given the various political challenges in post-democratic countries, Asian citizens tend to believe that Asian values can help address these issues and improve their communal intere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