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Making the Cold War Their Own: Inter-Korean Relations, 1971-1976

        Ria Chae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32445

        The main goals of this dissertation are to find the origins of the Cold War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to explain the reasons why the Cold War on the Korean Peninsula did not finish with the end of the global Cold War in the early 1990s. The dissertation focuses on the period of the 1970s, which was the time of the first peaceful negoti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but also the time of one of the worst security crises since the Korean War. Using declassified diplomatic and policy documents from the archives of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countries of the former socialist bloc; press reports; memoirs of witnesses; and oral history records; the dissertation reconstructs the events of the early to mid-1970s as a dynamic interaction between the two Korean governments,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he analysis demonstrates that fundamental changes took place in the inter-Korean relationship during the period of 1971 to 1976. Through this transformation, the Cold War on the Korean Peninsula became qualitatively different: it was internalized by the two regimes and thereby obtained a life of its own. The global Cold War was centered on the conflict between two superpowers,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The defining features of that conflict included political, economic, and propaganda rivalry; ideological conflict; absence of a direct military conflict but an arms race in conventional and nuclear weapons; continuous communication; and alternating periods of increased hostility and relaxation of tensions. Through the period from liberation to the late 1960s, Korea was firmly embedded in the global Cold War system. Nevertheless, the behavior of the two Koreas during that period was different from the pattern of the Cold War between the US and the Soviet Union. An ideological conflict and propaganda rivalry existed but the political, economic, and diplomatic rivalry did not appear?and even that only in incipient forms and indirectly?until the 1960s. There was no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nor was there room for a detente. While implementing their projects of nation-building and policies of containment in Korea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the great powers also had to make constant efforts to keep the Korean conflict “cold” by curbing their respective proteges from opening hostilities against each other. In other words, until the late 1960s, the Cold War in Korea was imposed and instigated by the great powers. In contrast, during the period of 1971 to 197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Koreas acqui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d War between the superpowers. Seoul and Pyongyang de facto recognized each other’s existence and established contact for the first time. At the same time, the two engaged in a direct, economic, and political competition without being incited to do so by their patrons. The competition for diplomatic recognition, and propaganda rivalr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particularly at the United Nations?reached a scale not seen in any other period and the inter-Korean arms race also surpassed in its intensity any other time since Korean War. The Axe Murders incident brought the two Korean regimes to the brink of an all-out war but the two opted out of a head-on collision. Through this process, the Cold War was institutionalized in Korea, as reflected in the continuous cycles of short rapprochement and long confrontation repeated thereafter. That is the reason why the Cold War on the Korean Peninsula was able to persist despite the end of the Cold War between the great powers.

      • 한국영화의 문화냉전 편입과정 : 미국 공공외교의 영향을 중심으로

        김은영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32445

        This long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s Cold War films and United States’ “public diplomacy”, as an alternative to the more familiar but debased word “propaganda” since 1945. It questions previous research that concluded the formation of Korea’s Cold War films had been made by South Korea’s governmental decision alone and tries to suggest that there is another influential body, USIS Korea(United States Information Service Korea). USIS Korea was a local branch of the USIA(United States Information Agency). By engaging with the world through international information and culture, USIA became an essential agency of US foreign policy during the Cold War. Korean filmmakers have produced their own Cold War films that contained anti-communist themes all the while absorbing and repeating Hollywood conventions and Cold War themes. In short, Korean films have been involved in the cultural Cold War and became a vehicle for propaganda. The Cold War in South Korea originated within complex situations due to the enormously complicated historical experiences such as the Japanese occupation, the Korean War, and the 5/16 coup, and many other relevant events. Ongoing anti-communist hysteria came from the cultural Cold War, USIA’s public diplomacy, South Korea’s political intentions and vigorous censorship.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find four facts. Firstly, the foundation and solid base of anti-communism consciousness was made by direct involvement of the psychological warfare in Korean War and the U.S.’s public diplomacy. Secondly, the anti-communist sentiment after the 5/16 coup in 1961 Korean films was caused by the military government’s own intentions to summon back the memories of the Korean War to develop a national mobilization system. Thirdly, Korean filmmakers regarded Hollywood films as references to learn from but not necessarily examples of conventions for them to follow. They applied common themes found in U.S. Cold War films to their films. However, Korea’s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 from the U.S. offered unique characteristics such as extremely strong anti-communist sentiments, attractive military characters saving their motherland, excessive narrative add-ons and subtitles that increased propaganda. Fourthly, Cold War propaganda has negatively used emotional appeal and paranoid hysteria. The cultural Cold War has created the emotions of fear and hatred rather than compassion. South Korea’s Cold War films in the 1950s and 1960 became an emotionally driven media to carve confidence in the “Free World” capitalistic economy while imprinting Pro-Americanism into the “hearts and minds” of Korean people. As a result, Korea’s Cold War films were also affected for a long time and continued to reproduce the emotional conflict they witnessed in American films. ---------------------------- Keyword: Cold War, Cultural Cold War, USIA, USIS Korea, propaganda, public diplomacy, Cold War film, HUAC, Anti-communism hysteria, Hollywood, Korean Film, “hearts and minds”, emotions. 이 연구는 한국 냉전영화가 남한 정부만의 강력한 국가적 기획과 제도화로 형성된 것이었다고 주장하는 다수의 국내 연구에 문제를 제기하고, 또 다른 안내자로서 미국과 그 공보조직이 있었으며, 그 활동이 매우 체계적이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는 데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한국 냉전영화의 형성과정을 일국적인 수준에서 만 보지 않고, 세계적인 문화냉전의 흐름 속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한국영화와 미국의 공공외교 전략 사이의 관계 속에서, 한국영화가 할리우드 장르와 관습을 어떻게 학습하면서 어떻게 냉전 주제를 이용하고 반복했는지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한국사회의 문화냉전은 특수한 역사적 경험―일제강점, 미군정, 한국전쟁, 5·16 군사쿠데타 등―때문에 더욱 복잡하게 전개되었다. 연구에서 파악한 것은 크게 네 가지다. 첫째, 해방 이후 1950년대 중후반에 걸쳐 형성된 냉전 감각의 프레임은 미국의 공보정책과, 미 극동군사령부의 전쟁심리전, USIA의 공공외교 전략에 따라 만들어졌다. 둘째, 1961년 이후 극단적인 냉전영화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한국전쟁을 다시 기억하고 국민을 개발동원 체제에 소환하려는 군사정권의 정치적 동기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셋째, 할리우드 영화는 닮고 싶은 전형이자 배울 만한 텍스트였지만, 한국영화가 그 장르와 관습을 그대로 따른 것은 아니었다. 영화생산자들은 할리우드 전쟁영화의 전투 스펙터클과 승리서사, ‘내부의 적’ 재현과 간첩소탕서사, 탈출드라마와 체제 긍정 태도를 참조하면서 냉전 주제를 학습했다. 더 나아가 극단적인 반공성을 기입하고, 강력한 군인 캐릭터를 창조했다. 넷째, 냉전 선전은 영화의 정동능력을 부정의 방향으로 이용했다. 냉전영화가 재생산한 감정은 공감과 연민보다 공포와 혐오였다. 분단과 전쟁을 겪은 한국사회에서 영화는 더욱 감정적인 매체가 되었다. 공산주의에 대한 감정적 적대와 연동된 친미감정과 재건 판타지도 한국인의 ‘마음과 생각’ 속에 기입되었다. 한국 냉전영화의 극단적인 반공 히스테리아는 해방 후 미군정의 공보정책과 1953년 이후의 USIA의 공공외교 전략, 국내 정권의 정치적 동기와 검열, 이에 순응한 영화제작자의 협력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남한 사회는, 미국이 목표한 바대로, ‘자유세계’를 옹호하는 공공외교의 ‘모범적’ 현장으로 변모하고 있었다. 냉전 초기 반미활동조사위원회의 청문회를 겪은 할리우드가 국가기관과 협력하면서 고안한 냉전영화는 서로 양립할 수 없는 세계관의 경쟁만을 기계적으로 드러내는 단순한 선전 매체에 그치지 않았다. 할리우드가 유포한 냉전 메시지는 세계인의 ‘마음과 생각’에까지 소구했고, 한국의 냉전영화도 오래도록 그 영향권 안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 핵심어 : 냉전, 문화냉전, USIA, 주한미공보원, 프로파간다, 공공외교, 냉전영화, 반미활동조사위원회, 반공, 할리우드, 한국영화, ‘마음과 생각’, 감정.

      • 탈냉전과 미국 공군교리 변화 : 한국전쟁, 베트남전, 걸프전 분석을 중심으로

        도성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2414

        인류역사는 전쟁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전쟁은 역사변화의 중요한 원인이자 동기였다. 또한, 전쟁의 양상은 과거 칼, 창, 화살을 사용하던 고대 및 중세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러서는 그 파괴력과 살상력이 극도로 고도화된 폭격기와 다양한 형태의 미사일로까지 발전되었다. 이러한 무기체계의 급격한 발달은 전쟁에서 군인은 물론, 무고한 일반 시민에 이르기까지 수만 혹은 수십만의 희생을 불러왔고, 설상가상 핵무기의 등장은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인류에게 안겨줄 수 있을 정도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처럼 끝없이 파괴적이고 잔인할 것으로만 생각되던 전쟁이 걸프전에 이르러서는 인간의 존엄성을 크게 강조하게 되었고, 이제는 비록 전(戰)시의 무기사용에 있어서도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게 되었으며 국제적 여론을 의식하게 되었다. 그렇다면 전쟁의 본질은 변한 것인가, 그리고 전쟁의 본질을 이렇게 변화시킨 것은 무엇이며, 우리는 여기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또 앞으로의 전쟁양상은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 이러한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냉전과 탈냉전이라는 국제체제의 변화와 항공력으로 총칭되는 항공기와 정밀무기의 급격한 발달과 더 나아가 항공력의 행위주체인 공군과 행위수단인 공군력, 그리고 그 운용의 원칙인 군사교리의 변화에서 기인한 것이다. 즉, 향후의 분쟁에서는 우수한 형태의 항공력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는, 평시에도 상대국가에게 강압적 수단으로 간편하게 정치적 목적의 달성을 강요할 수 있고, 전시에는 더욱더 결정적인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공군교리에서 『교리(Doctrine)』 즉, 『군사교리(Military Doctrine)』라 함은 군사력으로 국가목표 달성을 지원함에 있어 그 행동지침이 되는 공인된 기본원칙으로서 군사력 건설 및 운용에 있어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냉전과 탈냉전기의 전쟁인 한국전쟁, 월남전쟁 그리고 걸프전의 분석을 통해서 미국 공군 기본교리의 변화를 동태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미국은 공군력이 가장 최고도로 발달되어 있고 선진 공군력을 대표하며, 신세계질서 하에서 세계유일의 초강대국 지위를 독점하고 있다. 또한 한국의 입장에서는 한미 동맹관계 하에서 불가분의 관계에 있기도 하다. 그리고 미국이 참전한 주요한 전쟁들 중, 한국전쟁, 베트남전쟁 그리고 걸프전을 보면 특히, 한국전쟁은 냉전적 성격을 대표하는 전쟁이며, 베트남 전쟁은 데탕트무드에서 일어났으며, 걸프전은 탈냉전과 더불어 새로운 세계질서가 형성되어 가는 시기에 일어난 전쟁이다. 군사교리는 통상 '군사전략', '과학기술' 그리고 '전쟁사적 경험'이라는 세 개의 변수에 의해서 변화된다고 생각되어왔으나, 본 논문에서는 그 시각을 달리 하여 새로운 변수 즉, '전쟁의 성격', '군사전략', '과학기술' 그리고 '정치적 환경의 변화'라는 4개의 변수로서 전쟁과 교리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냉전에서 탈 냉전으로의 바뀌는 국제정치 환경의 변화 때문에, 과거로부터 현대로 오면서 점차 전쟁의 성격은 변화되고 있으며, 특히 전쟁에서 군사전략과 더불어 군사교리가 상대적으로 점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공군이 과학기술에 의존하는 특성상 과학기술의 발전의 그 영향도 갈수록 커지고 있음도 알 수 있다. 냉전의 종식과 더불어 시작된 미국 일극의 탈냉전의 시기는 전쟁의 성격을 변화시키고 있는데, 과거 미-소의 양극화에 의한 냉전체제 하에서는 미국이 소련과 중공의 개입을 의식한 제한전과 대리전을 선호하던 것으로부터 이제는 미국이 전쟁을 주도하고 우방국으로부터는 병력파견 혹은 전비분담을 강요하는 형식의 제한 없는 직접전쟁의 형태로 바뀌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의 공군교리도 변화를 수용하여야 하는 시점에 와있는 바, 첫째, 지금까지의 미국이나 타국의 교리를 모방하는 방식의 교리발전 양태에서 벗어나 한국공군의 변화된 위상과 특성에 적합한 교리체계로 발전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달라진 국제정치 환경과 테러와의 전쟁의 명분으로 변화된 미국의 전쟁수행방식 변화에 능동적이고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교리의 발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셋째, 전략형 혹은 전술형 공군의 구분이 없어지는 현대적 의미의 공군에서는 어떤 무조건적인 강한 공군력 양성보다는 정치적 목적의 달성을 위한 다양한 분쟁의 스펙트럼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복합적 능력과 다양한 무기체계를 갖춘 전력의 확보가 필요하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교리개념의 발전이 필요할 것이다. 이미 현대는 항공우주의 시대에 접어들었다. '항공'과 '우주'의 반사이익을 제대로 향유하지 못하는 국가는 도태될 것이다. 국가안보, 경제발전 나아가서 국가의 필수적 이익 확보를 위해서, 국방정책 결정자 혹은 입안가들은 이러한 근본적 변화를 충분히 인식하여야 하며, 또 현대 공군력의 가치가 정치적 목적의 강압적 달성을 위해서 확실하고도 편리한 군사적 수단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렇듯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각 군이 군별 교리에 알맞게 균형 있게 발전하고, 지상·해상·공중의 전력이 합동교리에 의해 완벽한 조화를 이룰 때, 불확실한 미래에 갑자기 발생할 수 있는 분쟁에서 큰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며 국가안보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It is no exaggeration to call human history as history of wars. Wars brought huge impacts and changes on the history of men. The types of wars also have been changing. Swords, spears and archery were replaced by heavy bombers and destructive various missiles. This radical development of armament system destroyed not just many soldiers but also countless innocent citizens. The advent of nuclear weapons can be regarded as fatal on human existence. War has been thought to be endlessly destructive and cruel. But after the Gulf war, human dignity and public opinion became the main issues of operations of wars. Does this situation indicate changing essence of war? what is the reason of the changing essence of war? what are the lessons of these kinds of changing situations? and what will be the future forms of operations of wars? The changes of recent international system is closely related to this situation. Moreover, the development of airpower and changes of airforce dictrine are main causes of the changing environment of wars. Countries with superior air power will be superior for any aims. It can force the opponent to accept its political intention simply in peace time and it can take possession of superiority over the rival in wartime. From the airforce doctine, 『Military doctrine』 means officially recognized basic action guides to support in achieving national interest and it offers an guidance for military build-up and operation. On this research, dynamic changes of USAF basic doctrine will be examined by analyzing three wars-the Korean war(cold war), the Vietnam war(quasi-cold war) and the Gulf war(post cold war).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as developed hi-tech airforce and has been a symbol of advanced airforce, it occupies the only ultra-power status under the new world order. On Korean's view, Korea and United States of America alliance is indivisible. And among the US engaged major wars, the Korean war was the cold war-charactered war, the Vietnam war was the detent mood-war and the Gulf war which was especially under the post cold war era and it had happened during constructing the new world order. Military doctrine has commonly been thought to be changed by the factors of 'military strategy', 'science technology' and 'war historical experience', but in this thesis, I have analyzed the change of war and doctrine by using four new factors of 'character of war', 'military strategy', 'science technology' and 'political environmental change'. Consequently, the elementary character of war has been changed from the past to modern era because of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hange. Especially, military strategy and military doctrine is comparatively getting important. And also, the scientific technology is becoming influential, because airforce depends on scientific technology more than any other services. US-unipolar post cold war era, characteristics of wars also have been changing. In Us-Soviet bipolar era, US had preferred limited-war and acting for-war. But now, in the post-cold war era, US became to like no limited-direct war, US led-war and compels alliance to send troops or war preparations. Therefore, the Korean airforce has to accept the doctrinal change. First, the Korean airforce must throw away the way of thinking which mostly has been the imitation of USAF or foreign airforce's doctrine. And it must develope doctrine in order to adjust its doctrinal system into proper one for the Korean airforce's raised status and different position under the Korea-US alliance. Secondly, it is necessary to develope the Korean airforce doctrine which can cope actively and elastically with US war executing ways changed by international political environment and the recent war against terrorism. Thirdly, in modern meaning, strategic and tactical airforce is indivisible, so we should build multipurpose airforce and various armament system. We also need to develop the concepts of doctrine to support changing situations. We've already entered aerospace era. A country with no benefit of 'aero(air-power)' and 'space(space-power)' will fail to survive. National policy decision makers or lawmakers have to be fully conscious of these elementary changes in order to improve national security, economic development, and other kinds of national interests. And they must know that the modern airforce power can be the means of achieving political purposes. Besides,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each service should develop their doctrine based on their mutual understanding. When ground, naval, and air forces are fully harmonized by joint doctrine, national security will be guaranteed at any time of uncertainty.

      • 국민국가의 카오스 : 한국전쟁 참전국 '에티오피아'의 형성과 균열하는 상상의 지리

        김승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410

        본 연구는 에티오피아 한국전쟁 참전용사 담론의 지형을 분석하고, 담론의 질서 안에서 나타나는 ‘냉전’과 ‘국민국가’의 (재)구성 과정을 살핀다. 에티오피아의 참전과 관련된 다양한 언표들은 독특한 구조와 규칙을 가진 하나의 담론으로 자리 잡는다. 참전용사 담론은 상상의 지리 “에티오피아”를 생산하고, 이는 냉전 기억과 두 나라의 관계가 구성되는 데 영향력을 발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참전용사 담론과 냉전 지형의 관계를 규명하여, 참전의 맥락에서 특정한 방식으로 상상되는 냉전의 역사를 재구성한다. 또한, ‘국민국가’를 동질적이고 통합적인 공동체로 상상하는 강고한 믿음을 논파하려 한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다음의 세 가지 질문을 던진다. 첫째, 에티오피아 참전용사 담론이 참전의 역사에 관하여 말하는 대상과 방식은 무엇인가? 그리고 그 가운데 어떤 역사가 밀려나는가? 둘째, 참전용사 담론이 생산하는 상상의 지리 “에티오피아”는 냉전을 기억하는 방식에 어떤 영향과 효과를 발휘하는가? 셋째, 참전용사 담론이 전제하는 “에티오피아”라는 국민국가 단위는 어떤 방식으로 성립되고 구체화하는가? 연구의 주요 현장은 춘천과 서울이다. 춘천은 에티오피아 참전용사의 주요 전투지역으로, 현재 에티오피아의 참전에 관한 기념관과 관련 단체가 소재한 곳이다. 연구자는 춘천을 방문하여 인터뷰와 자료조사를 진행했다. 그리고 서울 노량진에 위치한 에티오피아 식당에서 일하며 약 10개월간 현장연구를 수행했다. 본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2장은 참전용사 담론의 구체적인 특징을 파악하여 담론의 지형도를 그려낸다. 한국 사회가 에티오피아의 참전을 기억하는 방식은 두 나라 현대사의 변곡점들과 맞물리며 구성되어왔다. 1990년대부터 형성된 참전용사 담론은 신화, 상상, 발전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공산 진영에 맞서 한국을 지켜줬지만 결국 악에게 패배해버린 “자유의 수호자” 에티오피아의 이야기는 비극적인 영웅 신화의 형태로 기억되고 있다. 신화 속 영웅들의 땅“에티오피아”는 연속적인 하나의 역사를 토대로 형성된 국민국가라는 상상의 지리로 재현된다. 그리고 “에티오피아”의 도움에 보답하려면 한국이 나서서 그들의 개발을 도와야 한다는 ‘보은과 발전’의 서사가 자리 잡는다. 3장은 한국과 에티오피아가 제3세계 비동맹주의와 관계하는 양상에 주목한다. 한국전쟁과 참전의 역사를 기억하는 방식은 전쟁과 냉전에 대한 두 나라의 인식과 태도를 보여준다. 그러나 냉전을 자유/공산의 이분법적 대결로만 이해하는 기존의 관점은 제3세계 비동맹주의를 경유한 복잡다단한 역사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 특히, 에티오피아는 적극적으로 비동맹의 조류에 동참했다. 그중에서도 에티오피아와 쿠바가 보여준 제3세계 사회주의 연대의 역사는 한국의 참전용사 담론이 상상하는 “에티오피아”의 형상과 사뭇 다른 결을 드러낸다. 이처럼 냉전은 글로벌한 차원에서 펼쳐진 ‘지구사’였고, 기존의 인식론은 한국전쟁과 냉전의 중층적인 맥락을 충분히 다루지 못한다. 4장은 노량진의 에티오피아 식당 ‘셀람’에서 진행한 현장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참전용사 담론이 상상하는 국민국가 “에티오피아”를 재검토한다. ‘셀람’은 한국에 거주하는 에티오피아 이주민들에게 자국어를 사용하면서 익숙한 음식을 먹고 에티오피아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집과 같은’ 장소다. 하지만 이곳은 국민국가 에티오피아가 처한 곤경, 즉 역사적으로 복잡하게 뒤얽힌 종족 갈등의 단층선이 드러나는 곳이기도 하다. 에티오피아 이주민들이 경험하는 균열은 ‘셀람’의 사운드스케이프를 통해 순간적으로 나타난다. 음악은 정치적 이슈와 맞물리며 미묘한 긴장을 조성하고, 이 과정에서 담론이 재현하는 동질적인 “에티오피아”라는 범주가 해체된다. 한편, 에티오피아라는 통일적인 단위는 거대한 인프라스트럭처, 그리고 여기에 관계된 이집트 같은 외부의 ‘적’이 있을 때 일시적으로 성립되곤 한다. 하지만 이러한 장면은 오히려 ‘국민국가’라는 범주가 매우 유동적이고 불안하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줄 뿐이다. 5장은 국민국가 범주 바깥에 위치한 에티오피아 출신 난민의 활동 과정에서 참전의 의미가 전유되는 장면을 발견한다. 난민은 국민국가의 테두리 바깥에 위치한 ‘적’이자 ‘다른 인간형’으로 간주되지만, 한국의 에티오피아 난민은 참전의 역사를 통해 ‘고마우면서 불편한 존재’라는 독특한 위치를 점한다. 참전용사 담론은 에티오피아의 참전을 되갚아야하는 ‘선물’로 구성하고, 포괄적인 국제개발의 형태로 이를 되돌려준다. 하지만 국내에 거주하는 에티오피아 난민은 한국의 ‘환대’를 다시 상환하여 양측의 관계를 연장한다. 또한, 그들은 한국 정부의 난민 심사제도를 비판하며 “참전을 기억하라”고 요구한다. 이처럼 에티오피아 난민이 발휘하는 정치적인 행위자성은 참전용사 담론이 상상하는 “에티오피아”의 허구성을 증명한다. 결론적으로, 한국과 에티오피아를 연결하는 참전용사 담론은 하나의 서사로 모든 이야기를 환원한다. 담론은 한국 사회가 받아들이는 상상된 “냉전”의 세계사를 구성하는 데 요긴한 역사와 기억을 끌어당기고, 그렇지 못한 서사를 말소시킨다. 그러나 완벽한 질서를 구축한 것처럼 보이는 담론은 늘 예상하지 못한 곳에서 어긋나버린다. 본 연구는 단일한 거대서사로 상상되어 온 20세기 냉전사를 복수의 서사들이 중층적인 맥락에서 상호작용하는 역사들로 재구성하는 작업의 결과물이다. 이는 결국 ‘국민국가’라는 범주의 예측 불가능성을 증명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연구자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내용을 근거로, ‘국민국가’라는 일반 범주를 질서 있게 배치된 코스모스가 아닌, 예측 불가능하게 충돌하고 결합하며 새롭게 생성되는 카오스적인 것으로 이해해야 할 필요성을 주장한다. 그리고 에티오피아의 참전이라는 특수한 맥락에서 국민국가가 상상되고 구성되는 카오스적인 방식들을 따라갔던 이러한 시도가 인류학적 현장을 물리적 실체로 환원하지 않는 연구의 한 사례로 읽히길 기대한다. This thesis analyzes (re)structuring courses of the ‘Cold War’ and ‘nation-state’, with examining the topography of discourse about Ethiopia’s war veterans in the Korean War. Various statements relating to Ethiopia’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become a discourse that has a unique structure and rule. The discourse of war veterans produces imagined geography as “Ethiopia” that could influence on constructing the memory of the Cold Wa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Ethiopia. Thus, this thesis investigates relations between the discourse and Cold War terrain and tries to restructure a history of the Cold War that is imagined in a specific way in the context of war participation. Also, It confutes a strong belief which considers a ‘nation-state’ as an identical and unitive community. Following these objects, I make three questions. First, What is the subject and method in which the discourse talks about the history of the war? And what kind of history is being pushed aside? Second, How does the imagined geography as “Ethiopia” produced by the discourse affect the way of memorizing the Cold War? Third, How is the unit of nation-state “Ethiopia” assumed by the discourse established and embodied. The Fields of this thesis are Chuncheon and Seoul. Chuncheon, the main battlefield of the Ethiopian army in the Korean War, is now the place where the memorial of Ethiopia’s war participation and relating organization locates. I visited several places there and conducted interviews and researches. Furthermore, I did fieldwork for 10 months in an Ethiopian restaurant which is placed in Noryangjin, Seoul. In Chapter 2, I figure out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and describe its topography. The way which Korean society memorizes Ethiopia’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has been interlocked with turning points of modern histories. The discourse, being built from the 1990s, consists of myth, imagination, and development. The story about Ethiopia as “Guardians of Freedom” which protected South Korea against the communist camp but had been defeated by ‘evil’ is now memorized as a kind of tragic hero myth. “Ethiopia” which is the land of a hero is represented as imagined geography which means a nation-state based on a unilinear history. Then, the narrative of ‘Repaying and Development’ establish, calling for Korea to help Ethiopia’s development to appreciate their sacrifice. In Chapter 3, I focus on the aspect that Korea and Ethiopia connected with the Non-alignment movement of the Third World. The way of memorizing the Korean War history could show how do both two countries cognize and have attitudes about the Korean War and Cold War. But, the existing viewpoint, which understands the Cold War only as a dichotomy of liberalism/communism, fails to explain complicated histories related to the Non-alignment movement. In particular, Ethiopia joined the current of Non-alignment actively. Above all, the history of the third world socialism solidarity between Ethiopia and Cuba reveals a quite different side with a shape of imagined “Ethiopia”. In this way, the Cold War has been a ‘global history’ that spread worldwide, and the conventional epistemology cannot handle the multi-layered context of the Korean War and Cold War enough. In Chapter 4, I reexamine the nation-state “Ethiopia” which is imagined by the discourse based on fieldwork data about the Ethiopian restaurant ‘Selam’ in Noryangjin. This restaurant is a place like ‘home’ for Ethiopian migrants living in Korea. Because they could use their language, enjoy familiar food, and listen to Ethiopian music there. However, this is the place where the predicament of nation-state Ethiopia comes out. In other words, a fault line of ethnic conflict, which is historically intertwined with each other, shows its existence. Ruptures experienced by Ethiopian migrants appear through the ‘soundscapes’ of ‘Selam’ in a moment. Music interlinked with political issues fosters subtle tensions. In the meantime, the category which is represented by the discourse as identical “Ethiopia” is deconstructed. Withal, this unitary unit temporarily constructs when the mega infrastructure project regarding with ‘enemy’ of the nation-state, such as Egypt, exist. This phenomenon, though, only confirms the fact that the category of ‘nation-state’ is very fluid and precarious. In Chapter 5, I capture scenes that refugees from Ethiopia, who stand outside of the nation-state, appropriate the meaning of war participation during their activity in Korea. Refugees are usually considered ‘enemy’ who locates outside of the nation-state’s boundary, or ‘a type of person’. But Ethiopian refugees in Korea occupy the distinctive position that is ‘thankful but uncomfortable being’ on account of war participation history. The discourse transforms the devotion of Ethiopia into a ‘gift’ that should be repaid, then gives it back with a form of comprehensive international development. Nevertheless, Ethiopian refugees exte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by repayment for Korea's ‘hospitality’. They, also, request to “Remember war participation”, criticizing the refugee screening system of Korean governments. On this account, their political activity proves the fabrication of imagined “Ethiopia”. In conclusion, the discourse about war participation, which connects Ethiopia and Korea, reduces every kind of story to one single narrative. It pulls some history and memory which are useful for constructing the world history of imagined “Cold War”, acceptable for Korean society. It, on the other hand, erases unuseful narratives. But the discourse, seeming like forge the perfect order, is always disjunctured in unexpected places. This thesis is an outcome of reconstruction that tries to rewrite the Cold War history imagined as a single ‘Master Narrative’ to ‘histories’ which consist of multiple narratives in multi-layered contexts. As well, the thesis ends up describing the unpredictability of the ‘nation-state’ category. On the basis of this thesis, I argue that we need to understand the fact that a general category ‘nation-state’ is not the cosmos which is arrayed in orderly, but the things of chaotic which collide, combine, and create with each other unpredictably. I, finally, hope that this thesis, which follows the chaotic way in which the nation-state is imagined and constructed in the specific context of Ethiopia’s war participation, will be read as an example of research that does not reduce anthropological fields to a physical entity.

      • 탈냉전 이후 중국과 러시아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한계에 대한 연구

        구자룡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2410

        중국과 러시아는 국경 분쟁으로 전쟁까지 벌였던 냉전 시기의 갈등과 대립에서 탈냉전 이후에는 우호 협력 관계로 전환했다. 양국은 1996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선언하는 등 협력의 폭을 넓히고 깊이도 심화되고 있다. 탈냉전 초기에는 초강대국 미국을 견제하기 위해 공동 전선을 구축해야 하는 전략적 필요가 컸다. 21세기에 들어와서는 미·중 패권 경쟁이 격화하면서 양국이 전략적 파트너로서 손을 잡을 요소가 추가됐다. 탈냉전 초기에는 전략적 안보적 분야가 중요했다면 점차 동북아시아 접경 지역의 개발, 가스관 석유관 건설 등 경제적 요인도 커졌다. 탈냉전 이후 중·러의 동반자 관계의 기조는 30여 년간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양국 간에는 협력의 이면에 견제가 있고 경쟁하면서 서로 협력하는 측면이 있다. 냉전 종식 후 세력 공백기를 맞은 중앙아시아에서 테러주의, 극단주의, 분리주의라는 3대 악(惡)에 공동 대처하고, 역내 국가 간 국경 안정과 동진하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에 대응하는 등의 목적으로 출범한 것이 상하이협력기구(SCO)였다. 하지만 러시아의 전통적인 세력권인 유라시아에서 중국의 진출이 강화되면서 SCO 운영에서도 경쟁과 견제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중국이 일대일로(一帶一路)를 앞세워 중앙아시아로 밀고 들어오는 상황에서 러시아의 경계심은 높아지고 있다. 1990년대 초 유엔개발계획(UNDP) 주도로 시작된 광역두만강개발계획(GTI)은 양국의 낙후한 접경지 개발에서는 상호 도움이 되는 다자간 협력체였다. 하지만 중국 동북과 러시아 극동 지역의 인구 불균형과 영토 갈등의 역사, 이 지역에서의 지정학적 경쟁의 관계 등은 GTI가 활성화되지 못하게 하는 배경이 되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 간 ‘시베리아의 힘’ 가스관이나 동시베리아·태평양(ESPO) 송유관 건설 등 에너지 협력은 대표적인 윈-윈 영역으로 꼽힌다. 하지만 양국이 가스와 석유 가격뿐 아니라 노선을 두고 오랜 시간 협상을 벌인 것은 경제적 이익이라는 ‘절대적 이익’만이 아닌 전략적 이익과 관련된 ‘상대적 이익’도 중요했기 때문이다. 양국 간 ‘협력과 견제’ 논리는 새로 부상하고 있는 북극권의 ‘빙상 실크로드’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탈냉전 이후 중국과 러시아 간의 ‘협력과 견제’는 ‘상대적 이익’에 대한 고려 때문이다. 중국과 러시아는 탈냉전 이후 전략적 협력 동반자로서 협력해야 할 항목들이 많아졌지만 양국 간 주요 협력 항목에는 ‘상대적 이익’에 고려가 개입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이는 국경 안전일 수도 있고 양국 국력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일 수도 있다. 논문은 중·러 양국이 동반자로서 서로 협력해야 할 요소가 많지만 어떤 ‘상대적 이익’에 대한 고려 때문에 양국의 협력을 제한하는 요소들이 개입되었는지, 이에 따라 어떤 ‘한계적 특징’ 즉 협력이 원만히 진행되지 않는 현상들이 나타났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탈냉전 시대는 ‘지정학의 부활’로 대변되듯 지구적 지역적 차원에서 자국 이익 우선주의가 높아지고 있다. 중·러 간에는 양국에 특징적인 ‘상대적 이익’이 작동돼 탈냉전 이후의 전략적 협력에 한계를 드러내면서 양국이 지정학적 경쟁국 관계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양국 관계에서 ‘미국 변수’가 중요했듯이 앞으로 어떤 변화가 나타날지는 미·중 갈등 격화 등 미국 변수의 역할을 지켜봐야 할 것이다. China-Russia relations has switched from conflict and confrontation during the Cold War period, when they even fought war due to border disputes, to ‘friendly partnership’ after the post-Cold War. The two countries has been expanding and deepening the scope of cooperation since declaring a ‘strategic partnership’ in 1996. In the early post-Cold War period, there was a eager strategic need to establish a common front to counterbalance the rising superpower,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the 21st century, the hegemonic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has intensified, therefore added an element for the China and Russia to join hands as strategic partners. If we can say strategic security was more important in the early post-Cold War period, then economic factors such as the development of the Northeast Asian border region and the construction of gas pipes and oil pipes also became important in the early 21st century. After the post-Cold War, the Sino-Russian strategic partnership has continued for over 30 years. However, there were checks even during cooperation tim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they cooperated while competing. As shown in chapter Ⅲ, The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SCO) was launched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on the basis of common interests between China and Russia. To cope with the three evils of terrorism, extremism, and separatism and to respond to the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NATO)’s ‘expansion to the Eastern Europe’ were the main common objectives. However, China’s advancement deep into Eurasia, which is the traditional Russian sphere of influence, has caused competition and check from Russia in SCO operations. In particular, Russia’s vigilance has been rising as China pushed into the Central Asia with the so-called ‘One Belt One Road’ project. The Greater Tuman River Initiative(GTI), initiated by the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UNDP) in the early 1990s, was a mutually beneficial multilateral cooper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two countries’ lagging borders. However, the population imbalances, the history of territorial conflicts in Northeast China and the Far East of Russia, and the Sino-Russian geo-political competition relationship fatality has prevented GTI from being activated. Energy cooperation, such as the construction of ‘the Power of Siber’ gas pipeline and an Eastern Siberia-Pacific Ocean(ESPO) pipeline, is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win-win area. The two countries negotiated for a long time not only over gas and oil prices but also over the route. Because the ‘relative gains’ related to the strategic interest was also important. The ‘absolute gain’ of economic benefits was not the sole factor. Sometimes the consideration of ‘relative gains’ was the decisive point. The logic of ‘cooperation and checks’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also applied to the emerging “Ice Silk Road” in the Arctic Circle. After the post-Cold War, China and Russia had many items to cooperate as strategic partner, but there were many cases where ‘relative gains’ was considered. To keep border security is one of major such ‘relative gains.’ The main focus of this thesis is to search; what was ‘relative gains’ for China and Russia; how these factors worked in various areas ; what ‘limit phenomena’ appeared because of involvement of ‘relative gains.’ The post-Cold War era was generally coded the ‘resurrection of geo-politics’ period, when the national interest was the top priority at the global and regional level altogether. In particular, in Sino-Russian relations, the ‘relative gains’ factor after the post-Cold War, has been much more critical than any other countries. Because the two countries are not, and would not far from deviating from their geo-political rivalry. However, just as the ‘US variable’ was always import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after the post-Cold War period, it is necessary to follow and see the role of the US variable in the future. How the conflict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ould intensify also may influence the direction of Sino-Russian strategic relationship.

      • Orientalism and Cold War Neutrality : The Korean War in Swedish Travelogues

        Karl Tobias Dahlqvist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81

        This thesis explores the Korean Wa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wedish participants. Seen through the framework of orientalism, it more specifically investigates how the Swedish participants perceived Korea and the Korean people. By utilizing Swedish travelogues written in two different eras, pre-WWII and in the Korean War period, a pattern of orientalist prejudice can be identified. In the former era ideas of racial superiority over the Korean people, here defined as scientific orientalism, is clearly present. In the Korean War era, scientific orientalism is hardly present. Ideas of cultural superiority over the Korean people, here defined as cultural orientalism can however be found in both eras. The decline in scientific orientalism but the persistence of cultural orientalism can partially be explained by the general decline of scientific racism since the 1930s, but must also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Swedish neutrality and the Cold War. As the US approach towards potential allies during the Cold War was racial equality and cultural unity, it naturally contributed to the decline of scientific orientalism but opened up for persisting cultural orientalism. Sweden remained neutral during the Korean War, but as it feared USSR expansionism and the spread of communism, it had a clear preference for the creation of a US-friendly Korean state. As Sweden was clearly aligned with the US side in the Korean War, the perspective of the Swedish participants must also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people as a potential Western-friendly ally.

      • SOUTH KOREA AND THE END OF THE COLD WAR 1988-1993 : AN OPPORTUNITY MISSED?

        김장호 University of Newcastle upon Tyne 2002 해외박사

        RANK : 232381

        한국의 외교정책은 한반도의 독특한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전통적으로 복잡한 양상을 보여왔는데 그것은 냉전 체제가 1980년대 말부터 해체되면서 더욱더 심화된 양상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냉전의 종식 직후, 한국은 불확실한 안보 상황을 개선시키면서 변화하는 국제관계에 국익을 충실히 반영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북방정책(北方政策-Nordpolitik)이라는 과감한 정책을 주도해나갔다. 이전 공산주의를 표방했던 국가들과의 관계를 개선시키면서 남북 관계를 증진시키려 했던 한국의 노력인 북방정책은 한국 경제의 팽창뿐만 아니라, 한반도 통일에 우호적인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본 논문은 1988~1993년에 걸친 탈냉전 초기 시기의 동북아시아 지역 안보환경 내에서 수행된 한국의 외교 정책, 특히 북방정책에 관한 검토 작업이다. 이 지역의 역내 안보환경은 한국정부가 북방정책을 형성하고 집행하는 데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본 논문의 주요 연구 대상이다. 북방정책은 세계 공동체 내에서 한국의 정통성을 확립 시켜 주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경제적 지평을 넓혀주었던 성공적인 정책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한국이 북방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는 피해갈 수 없는 딜레마가 있었다. 그것은 바로 한국의 주권과 정통성을 제고하고, 또한 한국의 안보 위협을 줄이려는 북방정책이 성사되면 될수록 그만큼 북한의 고립과 거부감은 커져 갔고, 따라서 냉전의 종식이라는 역사적 기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북방정책이 분단 상태를 지속시키는 뜻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했다는 점이다. 이는 상당부분, 한국의 정책 입안자들이 남북간 관계를 제로 섬 게임 (zero-sum game)으로 여기면서, 현실주의적 노선을 채택했고, 결과적으로 북방정책이 표방하는 목표와는 상반되는 북한의 고립을 추구했던 것에 기인한다. 따라서, 남북간 관계는 냉전 시대와 비교해 보아도 본질적으로 달라진 게 없다. 실질적으로, 노태우 당시 대통령의 북방정책은 역설적으로 한반도의 분단 상황을 고착화 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해 준 셈이다. The foreign policy of South Korea has always been complex given the country's peculiar geopolitical position, and this complexity increased as the Cold War structure, which had conditioned South Korea's foreign policy for so long, dissipated in the late 1980s. In an attempt to take advantage of the changing international political landscape during the immediate aftermath of the Cold War, South Korea undertook a bold policy initiative to improve her precarious security environment: the Nordpolitik. Briefly defined as South Korea's efforts to improve inter-Korean relations through improving relations with the formerly communist countries, Nordpolitik was designed to create a favourable condition for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the expansion of the South Korean economy. This study is an examination of South Korea's foreign policy, specifically Nordpolitik, within the evolving northeast Asian regional environment during the early post Cold War years 1988-1993. The regional environment played a vital role in both the formula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Nordpolitik, and for this reason, it is given considerable attention in this thesis. Nordpolitik was widely accepted as a successful initiative for its achievements in widening South Korea's economic horizons, as well as legitimising itself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owever, there was an inescapable dilemma in South Korea's implementation of Nordpolitik: the more the policy succeeded in reducing security threats by enhancing the sovereignty and legitimacy of the South Korean state, the greater the resentment felt by North Korea, and therefore the stronger the possibility of the continuance of the status quo. To a large extent, this was because the South Korean policy makers exhibited a realist mentality in that they perceived North-South Korea relations as a zero-sum game, and they proceeded to isolate North Korea further despite the contrasting goal of Nordpolitik. There were no signs, therefore, that inter-Korean relations fundamentally changed from that of the relationship during the Cold War. In fact, President Roh's Nordpolitik paradoxically had the immediate impact of solidifying the partition of the Korean peninsula.

      • 걸프전과 미국의 군사변화 : 기초군 논쟁(1989~1992)과 새로운 군사 정책 수립

        이진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2379

        본 논문은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으로 발발한 걸프전이 미국의 군사 전략과 군 구조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탈냉전 이후에 미국 내부에서 벌어진 안보 논쟁인 기초군 논쟁을 살펴보고 이러한 논쟁의 구도가 걸프전을 통해서 어떻게 변화되어 이후의 군사 정책에 영향을 미쳤는지 관찰하였다. 우선, 탈냉전은 국제관계의 구조적인 변화를 초래한 역사적 초유의 사건이었다. 이로 인한 변화에 대한 논의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세계 초강대국인 미국에게 미치는 영향 또한 적지 않았다. 특히 미국의 군사 부문인 안보 분야에서는 양극체제에서 적용되었던 모든 사유방식을 바꿔야 할 현실에 직면하였다. 즉, 탈냉전은 미국의 전통적인 위협이 해소됨으로써 어떻게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졌다. 1989년 합참의장으로 취임한 콜린 파월은 예산 축소, 위협의 변화라는 안보 현실에서 미국의 지위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보존하는 노력을 함과 더불어, 군 내부에서 전력 감소에 반대하는 군인들을 설득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구상이 구체화 된 것이 바로 기초군 또는 기반 전력(the Base Force) 개념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미군의 전력 변환에 대하여 군 내부와 의회 및 상하원 군사위원회는 위협의 변화에 대한 이견(異見)으로 쉽게 동의하지 않았다. 걸프전이 발발하기 전까지 논의 구도는 콜린 파월에게 불리하게 작용하였다. 특히, 탈냉전이 안보 불안을 현저히 줄일 것이라는 자유주의적 입장과 군 규모의 축소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입지가 적어질 군 내부의 반대는 새로운 군사 정책을 수립하는데 커다란 걸림돌이었다. 이러한 합참과 자유주의적 견해, 군 내부의 이해 관계가 얽힌 기초군 논쟁은 걸프전의 성공과 함께 새로운 국면으로 발전하게 된다. 즉, 걸프전에서 보여준 신속한 전쟁 수행 방법과 정보력의 우위에서 이루어진 첨단 전쟁은 두 가지 시사점을 던져주게 되었다. 하나는, 군 병력을 상당히 줄이더라도 기존의 안보 공백을 보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신뢰가 생겼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파월이 주장한 지역 패권 국가가 장래의 미국의 안보 위협이 될 것이라는 예상이 적중했다는 점이다. 이는 군 내부에서 반대했던 전쟁 수행에 있어서 병력이 주는 의미가 미래전에서는 달라질 것이라는 것과 정보 부문에서의 절대적인 우위가 승리에 관건이라는 것을 증명하였고, 지구적 위협 수준에서 지역적 위협 수준으로 위협의 차원이 달라졌다는 사실을 말해주었다. 이러한 탈냉전 초기의 미국의 경험은 중기적으로 병력을 약 140만 수준으로 감축하면서, 기술적인 부문에 투자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냈고, 그 간의 의회와 군 내부의 불신을 동시에 떨쳐버리는데 커다란 기여를 하였다. 이후의 미국의 군사 정책은 점차 군사혁신 방향으로 기울어졌다. 1993년부터 미군은 장차 미국의 위협이 어떤 형태일지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탐구해 나가고, 1996년 이후에는 새로운 군사혁신 정책을 제일 앞에 두고 21세기 새로운 군사표준을 만들어낼 준비를 마치게 되었다. 군구조의 개편이 이루어 졌고, 과학기술의 군사부분으로의 적용 과정을 혁신적으로 수정하고, 보다 적극적으로 미래 전장의 환경을 추론해 나갔다. 새로운 군조직과 보다 발전된 군사무기를 바탕으로 새로운 전략 개념을 도출하였으며, 이는 과거 베트남 전쟁까지 적용하였던 전통적 군사 전략을 대폭 수정한 것이 되었다. 또, 전술적 차원에서 개별 전투병의 능력이 신장되었고, 상하위 제대간 의사결정 체계를 간결하게 조정하였다. 이는 기존의 과학 기술 정책과 새로운 군사혁신 정책을 조화시킴으로써 미래전에 대비하고, 재래식 전력의 규모는 대폭 감축하면서 상대적으로 군사의 질을 높이는 정밀 타격 무기와 정보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기술 중심의 전력을 만들어 낸 것이다. 즉, 걸프전은 미국의 전략, 병력, 무기체계에 대한 생각을 바꾸었고, 그 내용은 디지털화된 무기체계에 바탕을 둔 미래전에 대비하고, 현재와 미래의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최소한의 병력 구조로 개편하며, 지구적 위협이 아닌 지역적 위협 인식에 근거한 전략을 수행할 능력 중심의 기술 군대를 육성한다는 것이다. 정리하면, 걸프전은 탈냉전기 미국의 군사 정책에 과학 기술을 적용하고, 적극 개발하는데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냈고, 그것의 적용 시기를 획기적으로 앞당겼다. 이러한 사회적 합의는 미국의 탈냉전기 군사 정책 속에서 군사혁신이라는 구체적인 대안으로 나타났고, 21세기 군사표준을 만들어내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다시 말해서, 걸프전은 미국이 탈냉전기에 미래전에 대한 비전을 구체화하였고, 특히 기술 중심의 미군을 육성하도록 영향을 미쳤다고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influence of the first Gulf War on the United States' military strategy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This research will be conducted through two stages: First, the Base Force debate that had occurred internally within the U.S. since the Post-Cold War would be examined. Second, this paper will then investigate how the direction of such debate developed through the outbreak of the Gulf War and how it influenced American strategic policy in its aftermath. Foremost, the post-Cold War is a historically unprecedented phenomenon that has brought about a structural change in international relations. As a result, not only has a lively debate on such transformation been evident both among academics and practitioners alike, but it also has exerted an immense amount of influence on the sole remaining superpower, the United States. Especially noteworthy is the fact that the U.S. were faced to change their strategic thinking that had been applicable under bipolar system. That is, post-Cold War dissolved their traditional source of threat but this also posed the question of how to adapt to the new security environment. In 1989, as the newly appointed chairman of the joint Chief of Staff, Colin Powell, along with the overall reduction in military expenditure and the changes in the source of threat, strove hard to maintain U.S.'s strategic position in the international system. In addition, he was also in charge of reducing the internal friction that was becoming increasingly evident with the reduction in armed forces. Such plan was able to take concrete form through the concept of the Base Force. However, with the changes in U.S. strategic direction, the U.S. Armed Forces, Congress and the Senate Armed Services Committee were not able to come up with an clear-cut agreement on exact object of the new source of threat. Before the outbreak of the first Gulf War, the direction of the debate had been proceeding to Colin Powell's disadvantage. Especially, the liberal assertion that the uncertainty on security affairs would considerably decrease in the post-Cold War clashed with the general views of the U.S. armed forces, who were about to lose their relative position on security matters. As a result, it was considerably difficult to formulate a new military policy. The different opinions of the Chief of Staffs and the liberalists, along with the interests involved for the U.S. Armed Forces took upon a new phase with the developments and the aftermath of the Gulf War. It proved that the reduction of armed forces would give new implications in the direction of future wars and the key to success had very much depended on the superiority in the information sectors. Furthermore, the change of the source of threat, from a global to a more regional scale also led to the fresh insights in the post-Cold War. However, such differences in opinion and the interests that concerned the different parties took a entered upon a new phase with the successful That is, the swift execution of the war along with the superiority in information that the U.S. possessed during the Gulf War was clearly evident. Such high-tech war that was witnessed during the Gulf Was portrayed two interrelated implications. One is that the security vacuum created even with the mass reduction of the military force could be replaced with the military technology, which apparently had gained credibility after the Gulf War. The other point is that Powell's presumption of a regional hegemony rising to become a future threat to the U.S. had hit the mark. Such American experience at the start of the post-Cold War eventually started the long-term plan of reducing the U.S. Army by 1,400,000 soldiers, paved the way for increased investment in the military technology and also ended the rift between Congress and the U.S. Army. Soon Afterwards, American defense policies gradually started to lean towards the direction of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In 1993, the US first started their active investigation on what the next source of threat will take and ever since 1996, the U.S. Armed Forces were prepared to lead the world through the 21st century with a new standard on military affairs, specifically military weapons and organization. This led to the reformation of the military organization, the application scientific technique into the military sector for innovative changes, and also the active strategic thinking about the environment of future wars. A new strategic concept could be adopted with the different military organization structure along with the newly developed high-tech weapons. This newly developed strategic concept was a version much advanced from the traditional concept that the U.S. had acquired and employed during the Vietnam War. In addition, from a tactical perspective, not only had the individual combat soldiers capability had expanded but the decision-making system between the higher and lower echelons had been greatly reduced. Thus, the U.S. started to prepare for future wars by combining the existing science technology policies with new policies on military innovation. Further, military capability was reoriented with the most essential information and high-tech weapons that saw the rise in precise enemy targeting, while at the same time traditional strength of the army had been reduced to a significant level. In other words, it is the first Gulf War that had transformed the U.S. perspectives on military strategy, armed forces and weapons structure. As a result, the U.S. started preparing for future wars with highly digitalized weapons, restructured the armed forces to the minimal required level that could oppose threats in the present and the future, and trained its armed forces that were not only technology oriented but it was also able to conduct strategies against not global but more regionalized threats. In conclusion, not only the results of the first Gulf War bring about a social consent among conflicting parties and groups on military strategy that was to be developed and based on innovative science technology, but it also significantly advanced the period in which such policies were to be pursued. Such consent and compromise could be witnessed through the U.S.'s post-Cold War military policies, which greatly stressed the importance of military innovation. Furthermore, it has provided the U.S. to construct a military standard in the 21st century. In other words, it is through the first Gulf War that the U.S. was able to give concrete form to future wars in the post-Col War era, which particularly influenced the U.S. Army to be trained and developed that was technology oriented.

      • Bilateralism and Multilateralism in the Republic of Korea’s Security Policy in the post-Cold War : 냉전 이후 한국의 양자주의와 다자주의: 한미동맹과 6자 회담을 중심으로 : Focused on the ROK-U.S. Alliance and the

        RAHUL RAJ 한양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32378

        ABSTRACT Bilateralism and Multilateralism in the Republic of Korea’s Security Policy in the post-Cold War: Focused on the ROK-U.S. Alliance and the Six-Party Talks Rahul Raj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Hanyang University Ever since the formation of its first government, the Republic of Korea (ROK) has witnessed two trends in its national security: bilateralism and multilateralism which has calibrated its security policy discourses. The former relates to the U.S. led bilateral security alliance which has its genesis in the Cold War and has been the cornerstone of the ROK’s national defense. The latter reflects a new trend of global and regional cooperation such as the ASEAN Regional Forum (ARF) which is related to the regional security and the Six Party Talks which is related to the security of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and the Northeast in general. The Six Party Talks attracts special attention in comparison to other multilateral security networking in the ROK’s security discourse because it is directly related to the security of the ROK in comparison to the ARF which is more focused on the regional security of Asia-Pacific broad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ehavior of the ROK in the bilateral alliance and in the multilateral Six Party talks from the logic of the state-power relations and the nature of issue. The ‘state-power relations’ can be explained as a distribution of a set of capabilities in which a weak state follows the strong state. The ‘nature of issue’ can be explained as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behavior of the state. The bilateral security alliance can be analyzed under the framework of “cooperation against the enemy” in which the ROK has cooperated with the U.S. against its enemy, North Korea. Unlike its European counterparts, the U.S. promoted the bilateral alliance and the ROK complied, which is in accordance with the state-power relations. The ROK has continued its bilateral alliance with the U.S. even in the post-Cold War because it still faces a traditional security threat from North Korea. Although there have been a few anomalies in the bilateral alliance, they have not in any way changed the basic structure of the bilateral alliance. However,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the ROK has witnessed a different shape of security threat. North Korea, which was earlier posing only a traditional security threat, has begun to pose non-conventional (nuclear) security threat to the ROK. This security threat was not confined to the ROK but to the whole Northeast Asia region. In order for the resolution to be found, the U.S. first selected to proceed with bilateral negotiations with North Korea but failed as North Korea did not stop its nuclear programs. In comparison to the Clinton administration, the Bush (Jr.) administration was not inclined for any bilateral negotiations with North Korea in reflection of its failure to arrest the North Korean nuclear program. The Bush administration also perceived that the nuclear problem was not the problem of the U.S. alone but was a problem of all states in the Northeast Asia. Furthermore, it didn’t want to open a new war front as it was already involved in a war in the Middle East. There was also a view that the U.S. wanted to share financial burden multilaterally when any resolution comes out. Therefore, looking at the nature of issue, the U.S., henceforth, promoted multilateral as opposed to bilateral negotiations in cooperation with the other stakeholders in the region. The ROK followed the position of its ally, the U.S. and participated in the Six Party Talks. The participants of these talks, including the U.S., could be explained under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cooperation without the enemy.” The ROK did not consider North Korea in the concept of enemy in the Six Party Talks. Thus, this study identifies two characteristics which influence the security policy of the ROK. The first is state-power relation and the second is the nature of (nuclear) issue. The behavior of the ROK in the bilateral alliance and in the multilateral Six Party Talks has been influenced by these two characteristics. Both these characteristics could be conceptualized under the framework of “cooperation against the enemy” and “cooperation without the enemy.” The research demonstrates that the ROK has cooperated bilaterally with its ally, the U.S. to thwart any threat coming from its traditional enemy, North Korea, which is according to the logic of the state-power relations. At the same time it also followed the multilateral approach to resolve the nuclear issue. The ROK accepted the multilateral approach according to the logic of state-power relation which the U.S. selected according to the logic of nature of issue, and under this multilateral approach, the ROK has participated in negotiations with North Korea in close cooperation with its ally, the U.S. The former can be analyzed under “cooperation against the enemy” and the later in the “cooperation without the enemy.”

      • 냉전 초기(1945-1960) 미국의 흑인 민권 운동

        임지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2377

        미국 현대사의 중요한 주제인 냉전과 민권 운동은 각각 국제 관계 또는 외교적 문제와 국내 또는 사회적 문제로 구별되어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제 2차 대전 종전 직후로부터 1950년대에 이르는 시기 민권 운동의 진전은 냉전이라는 국제적 상황으로부터 상당 부분 영향을 받았다. 본 논문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냉전이라는 국제 문제와 민권 운동이라는 국내 문제를 연계시켜 미국사의 두 쟁점에 대한 다양하고 폭넓은 이해를 추구하고자 한다. 2차 대전 종전과 더불어 도래한 냉전 시기에 전세계의 지도적 위치에 오른 미국은 자국 체제의 우월성을 강조함으로써 공산 진영을 대표하는 소련과의 세력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자 했다. 또 전후에는 2차 대전의 원인이 나치의 인종주의에 있다는 시각이 주목을 받으면서, 세계 평화와 인권의 존중이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인식이 점점 확산되었다. 이런 종전 후의 변화된 조류로 인해 미국의 국내 문제였던 흑인 민권 문제는 국제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자유 민주주의의 수호자를 자처하며 인종주의에 맞서 싸웠다고 내세우는 미국 안에서 인종 차별 문제가 벌어지고 있다는 것은 모순되는 일이었던 것이다. 2차 대전으로 인한 전시 번영과 참전 등 변화된 상황으로부터 다양한 삶의 경험을 향유할 기회를 가진 흑인과 민권 운동가들은 이러한 국제적 조류를 파악하고 이를 민권 운동의 추진력으로 이용하고자 했다. 자국 내에서 인종 차별이 지속되는 한 미국은 위선적이라는 국제 사회의 비판을 면하지 못할 것이고, 이러한 미국의 약점을 대외적 공산주의 선전에 즐겨 이용하는 소련과의 세력 경쟁에서도 어려움을 겪을 것이었다. 이러한 전후의 분위기를 타고 미국의 흑인 민권 문제는 점점 국제 사회의 테두리 안에서 다루어지게 되었다. 흑인에게 가해진 폭력 사건이나 차별적 관행들이 해외 언론에 보도되자 사람들은 경악했고 전세계 리더의 위치에 있는 미국의 위선을 비판했다. 민권 운동가들은 인종 차별 문제가 미국의 대외 관계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해결책을 촉구했고, 정책 입안자들도 차츰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국내외적 압력에 직면한 국무부는 흑인을 다룬 대외 선전 활동을 타개책으로 내놓았으나 그 효과는 미비했다. 실제 미국 안에서 벌어지는 인종 차별이 구체적인 방법으로 시정되지 않는다면 국제 사회에서 미국의 입지가 불안해질 것은 자명해 보였다. 이런 국제 사회의 비판과 대외 관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흑인 민권 문제에 접근하는 정부의 태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법무부는 여러 민권 케이스에 법정 고문 자격으로 참여해, 인종 차별 문제가 미국의 대외 관계에 끼칠 악영향을 언급하며 흑인의 입장에 서서 법원 판결을 촉구했다. 이런 문제 의식은 역사적인 브라운 판결을 이끌어내는 데 기여했다. 브라운 판결의 실행에 반대하는 군중이 일으킨 리틀락 사건을 중재하는 것에도 대외 관계에 대한 문제 의식은 한 역할을 담당했다. 전후 1950년대에 이르는 시기 민권 운동의 진전은 냉전기 상황, 특히 국제 사회의 관심과 압력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 이것은 대외 관계의 중요성에 대한 미국의 인식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 시기 민권 운동가들은 자신들이 구축한 내적 토대 위에 이러한 국제적 상황을 민권 운동의 추진력으로 이용했다. The issues of the Cold War and civil rights movement has often been considered that the former was a diplomatic problem and the lattter only domestic one. After the World War Ⅱ, however, external pressure from the Cold War began to play a monumental role in the civil rights reform.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understanding the impact of this external pressure on the civil rights movement in the early Cold War years. Immediately after the World War Ⅱ, the United States and Soviet Union locked themselves into their bitter struggle known as the Cold War. As the leader of the free world, the United States had to show a kind of moral superiority of its own. And the war experience convinced people that Nazi's racism caused the terrible war so racial equality couldn't be divorced from the world security and peace. With these atmosphere the United States domestic racial discrimination possessed widespread notoriety. It would have negative implication for foreign relations. Moreover, the color bar was the greatest propaganda gift for the Soviet against the United States. The idea that racism was a blot on the nation was to become a very familiar theme. The fact that the African-Americans were organized as never before were also important. During the war period, the African-Americans got the optimism and leadership and an improved financial and political condition to sustain the drive for equal rights. People who wanted to eliminate racial discrimination determined to work with this mood and external pressures. Civil rights activists focused on the fact that race discrimination harmed foreign relations seriously. Then policy makers slowly came to the conclusion that America's domestic racial problem was now a foreign policy problem. International criticism of the U. S. racial discrimination could not be left unanswered. The State Department, faced with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essures to confront the issues of racial discrimination and civil rights, therefore, conducted an various overseas propaganda programs dealing with America's racial problems. But these efforts was not fully successful. More specific efforts were needed to solve the racial problems and address the criticisms. Then the Justice Department tried to participate in the civil rights cases. As and amicus curiae, the Justice Department stressed to the Supreme Court the international implications of racial discrimination and focused on the negative impact on U. S. foreign relations. All of these efforts played a role in leading up to landmark desegregation case of Brown v. Board of Education. And the Little Rock crisis, caused by the desegregation opponents, was also mediated by aid of foreign pressures. In conclusion, the external pressure from the early Cold War years helped the civil rights reform and activism. African-Americans, improved during the war period, made use of this international condition on their civil rights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