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터넷쇼핑몰에서 인터넷쇼핑몰의 특성이 소비자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20대30대 소비자 중심으로

        왕총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35

        가속화되는 정보통신 개혁은 산업 개혁에 비유 할 만큼 사람의 삶의 형태를 발전에 따라 변화시키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인터넷은 국가자원에서 국가 경쟁력을 위한 시간산업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개인 자원에서의 정보화, 지식적인 사회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필수하고 불가결한 수용매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다. 급속하게 발전한 인터넷은 전 세계에서 걸친 광범위한 연결성과 정보공유화의 용이성 등에 때문에 소비자와 구매자들에게 물건과 서비스를 판매하는 중요한 유통경로로 되고 있다. 인터넷 쇼핑몰에서 산업의 사업체수는 매년마다 증가하고 있고 격해지는 업체 간 경쟁을 고려해 보면 소비자로 하여금 더욱 높은 수준의 서비스가 경험할 수 있게 해 줌으로서 경쟁우위를 얻는 것이 존재할 수 있는 길이다. 기업측면에는 소비자들이 인터넷 쇼핑몰 서비스의 어떤 측면에 관심을 갖고 있는지, 또한 소비자와 인터넷 기업은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필요하지를 알아야만 경쟁력이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소비자가 만족할 수 있는 인터넷쇼핑몰의 특성 요인이 소비자의 만족도와 소비자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파악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소비자와 인터넷 쇼핑몰 사이에서 지속적인 관계가 유지할 수 있도록 위한 요인들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이 제출된다고 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중국인이 인터넷쇼핑몰을 이용하는데 있어 인터넷쇼핑몰 특성과 소비자만족도, 소비자충성도에 대한 이론적과 실무적인 시사점하고 이들에 대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기된 인터넷쇼핑몰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개념을 규명하고, 나아가 인터넷쇼핑몰 특성 요인 들을 결정하는 것을 검정하여 소비자 만족이 소비자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이런 연구모델을 검정하기 위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문헌고찰을 토대로 제시된 연구모델은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통하여 실제 인터넷 사용자 3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분석해 검증 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는 먼저 인터넷쇼핑몰에서 인터넷쇼핑몰의 특성들에 대해 소비자 만족도와의 관계를 자세하게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전반적으로 모든 인터넷쇼핑몰의 특성들에 있어서 소비자 만족도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보는 것이 나타났다. 그리고 인터넷쇼핑몰의 특성 중에서 가장 중요한 영향관계를 바로 소비자의 가치인식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시스템품질의 인식, 정보의 제공성, 소비자의 기대와 인터넷 쇼핑몰의 이미지 순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쇼핑몰의 이미지는 20대 30대소비자의 만족도에 .050의 양(+)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다. 인터넷 쇼핑몰에서 정보성은 20대30대 소비자 만족도에 .157의 양(+)인 영향가 주는 것이 나타났고 소비자의 기대는 20대30대 소비자의 만족도에 .066의 양(+)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지 않는다. 그리고 인터넷쇼핑몰에서 시스템품질의 인식은 20대30대 소비자의 만족도에 .220의 양(+)인 영향을 확실히 나타나고 소비자의 가치인식은 20대30대 소비자의 만족도에 .457의 양(+)인 긍정적인 영향을 많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비자가 인터넷 쇼핑몰에서 가치를 느낄 수 록 소비자의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는 것이 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인터넷쇼핑몰에서 소비자의 만족도와 소비자 충성도에 관한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회귀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두 변수사이에서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일 수 있는 것으로 나다났다. 즉 인터넷 쇼핑몰에서 소비자 만족도, 기업의 만족도, 주변 사람들에게 추천할 의사가 등이 지속적인 구매하고 싶은 마음 등에 대해 매우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하는 인터넷쇼핑몰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질 수 록 소비자의 충성도도 높아지는 것이 볼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인터넷쇼핑몰의 구성적 차원에서 볼 때 다양적인 정보성과 인터넷쇼핑몰의 이미지소비자의 기대, 시스템 품질의 인식 및 소비자의 가치인식 등의 요인이 높을 수 록 소비자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만족도보다 높을 수 록 소비자충성도가 높아지는 장기 우호적 소비자로 긍정적인 관계발전을 위한 영향을 미치게 입증해 주었다. 그리고 인터넷쇼핑몰의 특성, 소비자만족도와 소비자충성도사이의 상호관계에도 매우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고 이들의 변수가 인터넷 쇼핑몰의 소비자만족도와 충성도에 중요한 변수임을 시사해 주었다. This research analyzes the effect of Internet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on customer tangibility,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and empathy. In this study, it subjects to measure the customers who are around 20 to 30 years old. Meanwhile, all of the them are come form Beijing and Shanghai in China. Based on the existing data and information, hypothesis and research model can be set to fit the goal of this research. For statistical analysis on the model and testing the hypothesis, SPSS and regression are used. There are totally six hypotheses in this study which aims to test whether six factors influence customer satisfaction respectively. The first hypothesis is that the image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 will have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e second hypothesis is that the valid information on the Internet shopping mall will have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e third hypothesis is that the customer expectation will have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e fourth hypothesis is that the website system quality and website design will have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e fifth hypothesis is that the customer values will have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e sixth hypothesis is that the customer satisfaction will have positive effect on customer loyalty.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analysis by using SPSS, there is no doubt that the second, fourth, fifth and sixth hypotheses are true. Thus, we can conclude that the valid information, customer expectation, system quality and customer values all effect the customer satisfaction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What's more, the customer satisfaction also positively effect customer loyalty.

      • 20~30대 성인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울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소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447

        최근 한국사회에 울분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데, 특히 20~30대의 울분이 심해지고 있다. 사회경제적으로 영향을 많이 줄 수 있는 성인초기의 정신 건강을 위해 울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봐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30대의 성인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울분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자비가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자 한다. 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30대 성인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울분, 자기자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20~30대 성인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자기자비가 울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울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수도권(서울, 경기도, 인천)에 거주하고 있는 만 20-39세 남녀 336명을 대상으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울분, 자기자비에 관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336부 중 누락된 문항이 있거나 무성의하게 응답한 설문지 33부를 제외하고 303부를 본 연구의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분석 자료는 SPSS 21.0을 통하여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30대 성인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자기자비가 울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상관분석에서 전체 변인과 하위요인들 간의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20~30대 성인의 울분은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울분은 자기자비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20~30대 성인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자기자비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30대 성인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울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본 결과, 자기자비,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순으로 설명력이 나타났다. 셋째, 20~30대 성인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울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자기자비의 수준에 따라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낮을 때 울분을 강화시키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20~30대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가 부족했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자기자비, 자기자비와 울분의 관계를 규명하려고 하였다. 또한 울분을 호소하는 내담자들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시켰다. 이 결과는 상담자가 상담 현장에서 울분을 보이는 내담자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도우며 문제개선을 위한 심리치료, 상담 과정에서 울분으로 인한 심리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내담자들의 갈등의 요인들을 이해하고,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는 치료적 기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more and more people are becoming embitterment with Korean society, especially those in their 20s and 30s.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affect embitterment for mental health in early adulthood, which can have a significant socio-economic impact.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s of self-compassion in the course of the belief in the just world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This research problem is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belief in the just world, embitterment, and self-compassion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Second, what is the relative influence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on their belief in the just world and self-compassion on embitterment? Thir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influence of belief in the just world on embitterment?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336 men and women aged 20-39 residing in the metropolitan area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about belief in the just world, embitterment, and self-compassion. Out of 336 copies, 303 copi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of this study, excluding 33 questionnaires that had missing or answered silently. This analysis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one-way varianc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21.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find out the relative influence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in their belief in the just world and self-compassion on embitterment, we first looked a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variables. In the correlation analysis,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ll variables and sub-factors. The embitterment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belief in the just world, and embittermen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compass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belief in the just world and self-compassion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Second,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belief in the just world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on their embitterment, the explanatory power appeared in the order of self-compassion and belief in the just world.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was investigated on the influence of the belief in the just world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on embittermen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self-compassion plays a role as a partial medium to reinforce embitterment when belief in the just world is low.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 in the just world, which lacked research in adults in their 20s and 30s, between self-compassion, self-compassion, and embitterment. It also expanded the breadth of understanding for the clients who complained of embitterment. This result helps the counselor to understand the clients who are resentful in the counseling field, understands the factors of conflict among clients who complain of psychological difficulties caused by embitterment in the psychological treatment for problem improvement, and in the course of counseling. It is expected to provide a therapeutic basis to help elevate.

      • 20-30대 성인의 지각된 통제감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 : 눈치, 놀이성의 매개효과

        장은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4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ived control in adults in their 20s and 30s on adaptive performance. Also, I would like to find out if air reading and playfulness mediate in such a relationship. The research problems caused by this are as follows. First,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aptive performance, perceived control, air reading, and playfulness according to the gender, age, and years of service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Second, what is the relative impact of perceived control, air reading, and playfulness on adaptive performance in adults in their 20s and 30s? Thir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air reading on the effects of perceived control in adults in their 20s and 30s on adaptive performance? Fourth,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playfulness on the effects of perceived control in adults in their 20s and 30s on adaptive performance?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questionnaire targeting adults in their 20s and 30s who have occupations, and excluded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study. A total of 410 copies were collected, and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402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as the final research target, excluding 8 copies that were not the subject of research or answered dishonestly. For these data, Cronbach's a was calculated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mean, standard deviation, binary variability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perform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investigated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yfulness by air reading the perceived sense of control and performance of adaptation according to the gender and age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and years of service.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nse of control perceived as adaptive performance by distinctio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ir reading and playfulnes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aptive performance by age and years of service, perceived control, air reading and playfulnes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daptation performance, air reading, and playfulness depending on age and years of service. Second, we investigated the relative effects of perceived control in adults in their 20s and 30s on adaptive performance, both in air reading and playfulness. First, we showed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control, air reading, and playfulness on adaptive performance. Nex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perceived sense of control on the adaptive performance, the relative influence with the air reading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relative influence in the order of the adaptive performance and the air reading. At the same time, when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perceived sense of control on adaptive performance was examined, it was found that it had a significant relative influence in the order of adaptive performance and playfulness. Third, we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air reading on the effect of perceived control in adults in their 20s and 30s on adaptive performance. As a result, we were able to confirm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the air reading. Fourth, when the mediation effect of playfulness was investigated by the effect of the perceived control feeling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on adaptive behavior, playfulness show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perceived control sensation of adult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affects adaptive performance, showing partial mediation effects for both air reading and playfuless. This will help adults in their 20s and 30s understand adaptation performance, and we hope that air reading and playfulness will be useful for future adaptation and consultative studies of organizational members. 본 연구의 목적은 20-30대 성인의 지각된 통제감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은 관계 안에서 눈치와 놀이성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30대 성인의 성별, 나이, 근속연수에 따라 적응수행, 지각된 통제감, 눈치, 놀이성은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20-30대 성인의 지각된 통제감, 눈치, 놀이성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어떠한가? 셋째, 20-30대 성인의 지각된 통제감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눈치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넷째, 20-30대 성인의 지각된 통제감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놀이성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직업을 갖고 있는 20-30대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했으며, 대학생은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총 410부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연구 대상이 아니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8부를 제외한 402부의 설문지를 최종적인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의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 하여 Cronbach’s a를 산출하였으며,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이원변량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30대 성인의 성별과 나이, 근속 연수에 따라 적응수행, 지각된 통제감 및 눈치, 놀이성이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셩별에 따라 적응수행과 지각된 통제감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눈치와 놀이성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나이와 근속 연수에 따른 적응수행, 지각된 통제감, 눈치 및 놀이성에서 지각된 통제감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적응수행, 눈치, 놀이성은 나이와 근속 연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20-30대 성인의 지각된 통제감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눈치와 놀이성 각각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우선 적응수행에 미치는 지각된 통제감, 눈치, 놀이성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음으로 지각된 통제감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눈치와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적응수행과 눈치 순으로 유의한 상대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동시에 지각된 통제감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놀이성과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적응수행과 놀이성 순으로 유의한 상대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0-30대 성인의 지각된 통제감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눈치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눈치의 부분 매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20-30대 성인의 지각된 통제감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놀이성의 매개효과를 살펴 본 결과 놀이성은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20-30대 성인의 지각된 통제감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눈치와 놀이성 각각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냄을 밝혔다. 이를 통해 20-30대 성인의 적응수행에 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으며, 눈치와 놀이성은 향후 조직 구성원의 적응 및 상담 연구에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 20~30대 성인의 자기개념 명확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양혜지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447

        사회적 활동 반경이 넓어짐에 따라 다양한 대인관계를 맺고 유지해야 하는 20~30 대 성인은 대인관계를 효과적으로 유지해 나갈 수 있는 대인관계 유능성을 지니는 것 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 에서는 20~30대 성인의 자기개념 명확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30대 성인의 성별, 연령, 결혼 상태, 학력에 따라 자기개념 명확성, 대인관 계 유능성 및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20~30대 성인의 자기개념 명확성과 심리적 안녕감, 대인관계 유능성의 상관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대인관계 유능성에 대한 자기개념 명확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상대적 영향력 은 어떠한가? 넷째, 자기개념 명확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거주하는 20~30대 성인 남녀 340명을 대상으로 자기개념 명확성, 대인관계 유능성,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질문지를 배부하였다. 340부 중 누락되거나 무성의하게 응답한 설문지 13부를 제외하고 317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분석 자료는 SPSS 21.0을 통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의 상관관계, 단순 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30대 성인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자기개념 명확성, 대인관계 유능성 및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결과로 여성이 대인관계 유능성과 심리적 안녕감을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 서는 만 20~29세가 만 30~39세보다 심리적 안녕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에 따라서는 자기개념 명확성, 대인관계 유능성 및 심리적 안녕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 특히 학력이 높아질수록 자기개념 명확성, 대인관계 유능성 및 심리적 안녕감을 더욱 높게 지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혼 상태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20~30대 성인의 자기개념 명확성, 심리적 안녕감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 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로 전체 변인과 하위 변인 간의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20~30대 성인의 자기개념 명확성, 심리적 안녕감 모두 대인관계 유능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20~30대 성인의 자기개념 명확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 는 상대적 영향력을 본 결과, 심리적 안녕감, 자기개념 명확성 순으로 설명력이 나타 났다. 넷째, 20~30대 성인의 자기개념 명확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에 따라 자기 개념 명확성이 높을 때 대인관계 유능성을 강화시키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20~30대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가 미비했던 자기개념 명확성과 심리적 안녕감,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인관 계에 적응적으로 기능하기 위한 이해의 폭을 확장시켰다. 이 결과는 치료자가 상담 장 면에서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내담자를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효과적인 치료적 접근을 위한 내담자의 갈등 요인을 다루며 개인 내적 자원을 발견해 나가는 데 도움을 주는 치료적 기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s the radius of social activities expands, it is effective for adults in their 20s and 30s have to interpersonal competence to effctively mainta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order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se interpersonal competenc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process of self-concept clarity in adults in their 20s and 30s affecting interpersonal competence. This research problem is as follows. First,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oncept clarit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according to gender, age, marital status, and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clarit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Third, what is the relative influence of self-concept clar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interpersonal competence? Fourth, what is the mediating eff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on interpersonal competence? To this end, this study distributed questionnaires on self-concept clarit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o 340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residing nationwide. Of the 340 copies, 317 copi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excluding 13 copies of the questionnaire that were omitted or answered insincerely. This analysis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21.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examined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oncept clarit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women perceive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igher. According to ag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20-29 years old was higher than 30-39 years old,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oncept clarit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In particular, there was a tendency to perceive higher self-concept clarit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academic background increased. There were no differences according to marital statu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was first analyzed to find out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clarity of self-concep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on interpersonal competence. As a result of thi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and sub-variable. Both self-concept clar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competenc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self-concept clar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on interpersonal competence, explanatory power was found in the order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concept clarity.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on interpersonal competence in adults in their 20s and 30s was examin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t plays a role as a partial medium to strengthen interpersonal competence when self-concept clarity is high according to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it was found to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a sub-variab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psychological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hich was insufficient for adults in their 20s and 30s. It also expanded the understanding of interpersonal competenc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psychological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hich were not well studied in adults in their 20s and 30s. It also expanded the scope of understanding to function adaptivel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This result is expected to provide a therapeutic basis for helping therapists understand clients complaining of interpersonal difficulties in counseling scenes, deal with client conflict factors for effective therapeutic approaches, and discover personal internal resources.

      • 부모와 동거하는 20-30대 미혼 취업자의 재무상태 및 재무행동 분석

        박혜준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447

        최근 부모와 동거하는 미혼 청년층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부모와 동거하는 미혼 청년의 연령 집단별 부모와의 동거 비율은 20∼24세 72.0%, 25∼29세 64.8%, 30∼34세 57.4%, 35∼39세 50.3%로, 각 연령대에서 1인 가구를 형성한 미혼남녀의 비율보다 높았다(통계청, 2015). 또한 부모가 부양하는 성인자녀의 86.9%가 미혼이고, 이 중 취업자의 비율은 58.9%로 조사대상자의 절반 이상이 취업 상태인 미혼자녀를 부양하고 있다(김유경, 2018). 선행연구는 이러한 성인자녀를 ‘캥거루족’이라는 용어를 활용해 명명하였고, 성인자녀가 부모와 동거하는 것에 대해 성인기로의 이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독립하지 않는 성인자녀로 인해 부모가 겪게 되는 경제적 부담을 지적하고, 고용불안, 저임금, 주거비용 상승 등의 사회경제적 원인을 논의하며, 이들의 독립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주로 모색해 왔다. 그러나 부모와 동거하는 성인자녀의 비율이 증가하고, 동거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소위 말하는 캥거루족의 유형이 다양화되고 있다. 소득활동을 하고 있지만 부모와 동거하는 20-30대 미혼 취업자의 경우, 청년실업, 고용불안 등의 이유로 비자발적으로 캥거루족이 된 집단과는 분명히 다른 특성을 가질 것이다. 그러므로 물리적 동거 여부뿐만 아니라, 부모와 자녀 간의 다양한 교류 특성을 통해 경제적 자립을 판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득활동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모로부터 독립하지 않고 동거하는 20-30대 미혼 취업자들이 부모와 어떠한 사회·경제적 교류를 하고 있는지, 사회·경제적 교류 특성(사회인구학적 특성, 독립계획 여부, 부모에게 지급하는 생활비 유무)에 따라 그들의 재무상태, 재무적 자기효능감 및 재무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이들의 재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독립계획 및 생활비 지급 여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모와 동거 중이며, 일정한 소득이 있다고 응답한 20대와 30대 성인남녀 411명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 t-test, 교차분석(chi-square), 일원분산분석(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 동거하는 20-30대 미혼 취업자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교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자녀의 평균 연령은 30.25세이며, 77.6%는 부모로부터 독립할 계획이 있으며, 독립 예상 평균 연령은 32.93세로 주로 30대에 독립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녀의 67.2%가 동거 중인 부모와의 관계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녀가 부모에게 생활비(현금)를 지급하는 비율은 60.3%, 부모가 자녀에게 용돈 등을 지급하는 비율은 10%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자산부채 상태와 재무건전성을 살펴보면, 자산 중 예·적금의 보유 비율이 92.2%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자산보유액 중에서는 부동산 자산보유액이 가장 많았다. 부채는 신용카드 부채 보유 비율이 22.4%로 가장 높았으며, 평균 부채액은 주택마련을 위한 부채가 가장 많음을 확인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재무건전성을 살펴본 결과, 각 재무비율의 가이드라인 충족 비율은 다음과 같다. 가계수지지표 83.2%, 저축성향지표 35.8%, 금융자산비중지표 86.1%, 부채부담지표 77.6%로, 저축성향지표 가이드라인 충족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와 동거하는 20-30대 미혼 취업자들이 그만큼 자신의 지출액과 저축 및 투자액의 경로 및 현황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독립계획 여부, 자녀가 부모에게 지급하는 생활비의 유무에 따라 재무상태(소득지출, 자산부채 상태, 재무건전성), 재무적 자기효능감, 재무행동을 비교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의 경우, 여성은 남성보다 예·적금 보유액, 금융자산비중지표 값이 높았고, 남성은 여성에 비해 주식·채권·파생상품 보유액과 기타 부채액이 많았다. 또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신용과 부채관리 행동 수준이 높았고, 남성이 여성에 비해 금융환경과 재무관리 의사결정 행동 수준이 높았다. 이를 통해 여성은 남성보다 안전 금융자산을 선호할 가능성이 있으며, 낮은 신용도에 대해 민감하게 생각하거나 대출을 받는 상황에서 대출이나 신용카드 납부액은 연체하지 않고 제때 갚는 등의 재무행동을 통해 안정적인 재무상태를 추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남성은 자동차 구입 등으로 인한 대출 및 할부 거래 등의 재무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연령대의 경우, 30대가 20대에 비해 자산부채액(예·적금, 기타 자산보유액, 주택마련 대출액)이 대부분 유의하게 높았고, 20대가 30대에 비해 금융자산비중지표 값이 높았다. 이는 30대가 20대에 비해 취업 시장에 오래 있었던 것만큼 금융자산 외에 비금융자산에도 투자하는 등 연령이 상승함에 따라 다양한 투자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독립 예상 연령 중 30대의 비중(70.2%)이 높은 것을 토대로 볼 때 앞으로의 경제적, 주거적 자립 등을 위한 30대의 주택마련 대출 비율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교육수준의 경우, 고등학교 졸업 이하보다 대학원 이상인 경우, 소득지출(월평균 소득, 월평균 저축투자액), 자산부채액(예·적금, 펀드, 주식·채권·파생상품 보유액, 학자금 대출액)이 대부분 유의하게 높았으며, 재무적 자기효능감, 재무행동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직업의 경우, 대부분 타 직업군에 비해 전문·관리직이거나 사무직인 경우, 소득지출(월평균 소득, 월평균 저축투자액), 자산(예·적금 보유액), 재무건전성(저축성향지표) 수준이 대부분 유의하게 높았으며, 재무행동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독립계획이 있는 경우, 금융환경과 재무관리 의사결정 행동 수준이 높았으며, 이를 통해 독립계획이 있는 조사대상자는 금융환경 변화에 관심을 갖고 평소 자신의 재무상황을 점검하며 시기에 맞는 재무목표를 갖고 있으며, 계획적으로 재무행동을 수행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녀가 부모에게 생활비를 지급하는 경우, 저축투자액, 예·적금 보유액이 유의하게 많았고, 수입과 지출관리 행동, 위험관리와 보험 행동 수준이 높았다. 이에 따라 자녀가 부모에게 생활비를 지급하는 경우 자신의 수입과 지출을 잘 관리하고, 소비지출 내역 등을 꼼꼼히 확인하는 등의 재무행동을 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또한 재산상의 위험 등에 대비해 자신의 재무상황을 파악하고 미리 계획을 세우는 등 재무행동을 잘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섯째, 조사대상자의 재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직업이 사무직인 경우, 독립계획이 있는 경우, 재무적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은 경우, 총자산, 월평균 저축투자액이 많은 경우 재무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사대상자의 재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영향력이 독립계획 여부와 자녀가 지급하는 생활비 유무에 의해 조절되는지 검증하기 위해 상호작용항을 포함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독립계획에 의해 사무직과 자영업의 재무행동 수준이 조절되었다. 즉, 사무직과 자영업자의 재무행동 수준은 독립계획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가지며, 독립계획이 있는 경우 이들의 재무행동 수준이 더 강화된다는 것이다. 생활비 지급 여부에 의해 교육수준이 대학원 이상인 경우, 부채를 보유한 경우의 재무행동 수준이 조절되었다. 즉, 교육수준이 대학원 이상인 경우와 부채를 보유한 경우에 재무행동 수준은 생활비 지급 집단과 미지급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지닌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부모로부터 독립하지 않는 20-30대 미혼 취업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현 시점에서, 이들 집단의 사회·경제적 특성, 부모와의 교류 특성, 재무상태와 재무적 자기효능감 및 재무행동, 나아가 경제적 자립의 가능성 등을 파악함으로써 청년층의 경제적 자립에 대한 시각을 넓힐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을 기대한다. 또한 이들의 경제적 자립 준비도와 재무역량을 파악하고 이를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Recently, the number of unmarried young people living with their parents is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such people by age group was 72.0% at the age of 20-24, 64.8% at the age of 25-29, 57.4% at the age of 30-34, and 50.3% at the age of 35-39, higher than that of unmarried men and women living alone at each age group (Statistics Korea, 2015). In addition, 86.9% of adults supported by their parents are single, of which 58.9% are employed which means that more than half of the unmarried subjects living with their parents are employed (Kim Yoo-kyung, 2018). Previous studies have coined the term "kangaroo people" to describe the unmarried adults living with their parents, and they were often seen as people who have not properly made the transition into adulthood. The economic burden on parents due to such "kangaroo people" has been pointed out, socioeconomic causes such as employment insecurity, low wages, and rising housing costs have been discussed, and the focus was mainly on ways to promote their independence. However, as the proportion of unmarried adults living with parents increases and the duration of dependent living increases, the so-called kangaroo types are diversifying. Among them, the group that participates in income activities differentiate from the group who involuntarily depend on their parents due to youth unemploy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judge economic independence of "kangaroo people" by considering not only their cohabitation but also various exchanges between them and their pare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financial status, financial self-efficacy, and financial behavior of unmarried employees in their 20s and 30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social and economic exchanges(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dependence plan, and living expenses paid to their parents).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financial behavior and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planning their independence and paying their living expenses. The following cor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erived from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t-test, Chi-square,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self-written surveys of 411 adults in their 20s and 30s living with their parents who answered they are employed.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and economic exchanges between unmarried employees in their 20s and 30s living with their parents are as follows. The average age is 30.25, 77.6% plan to become independent from their parents, and the expected average future age of when they will become independent is 32.93, mainly in their 30s. 67.2% of them were found to be satisfied with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60.3% of them pay their parents for the living expenses(cash), and 10% of them receive money from their parents. Second, findings on the asset debt status and financial soundness of the survey subjects are as follows. Among assets, the ratio of deposits and installment savings was the highest at 92.2%, and among average asset holdings, real estate asset holdings were the highest. As for liabilities, the credit card debt holding ratio was the highest at 22.4%, and the average debt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debt for housing. The following are ratios of those meeting the standards for each financial ratio derived from examining the financial soundness of the survey subjects. Household balance indicators 83.2%, savings propensity indicators 35.8%, financial asset share indicators 86.1%, and debt burden indicators 77.6%, indicating that the ratio of those meeting the standards for savings propensity indicators was relatively low. This shows that unmarried employees in their 20s and 30s living with their parents are not aware of the exact path and status of their expenditures, savings, and investments. Third, the following are the core findings of analysis that compared financial status, financial self-efficacy, and financial behavior according to the survey subjec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lan to become independent, and contributions towards living expenses. In terms of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women had higher deposit and installment savings and financial asset share indicators than men, while men had higher stock, bond, and derivatives holdings and other liabilities than women. In addition, women had higher levels of credit and debt management behavior than men, and men had higher levels of financial environment and financial management decision-making behavior than women. Through this, it can be interpreted that women are more likely to prefer safe financial assets than men, and that they are more likely to pursue stable financial conditions through financial actions such as paying back loans or credit card payments on time without overdue loans.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men are likely to show financial behavior such as loans and installment transactions due to car purchases. Regarding outcomes of different age groups, most of the asset liabil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ir 30s than in their 20s, and the financial asset share index was higher in their 20s. As the age rises, people showed more variety of investment behaviors, such as investing in non-financial assets as well as financial assets, as those in their 30s have been in the job market longer than those in their 20s. As the majority of the subjects are expected to become independent in their 30s(70.2%),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proportion of home mortgage loan is high in people in their 30s for their future financial independence and independent living. In terms of education level, income expenditure(average monthly income, average monthly savings investment), asset liabilities(deposit, installment savings, funds, student loans, etc.) were mostly significantly higher, and financial self-efficacy and financial behavio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ost occupations, the level of income expenditure(average monthly income, average monthly savings investment), assets(deposit and installment savings holdings), and financial soundness(savings propensity index)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ase of specialized jobs and office jobs than that of other occupations. The survey subjects with an independent plan showed higher level of financial environment and financial management decision-making behavior and were more interested in changes in the financial environment, checked their financial situation more, and had financial goals. The survey subjects who paid living expenses to their par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savings investment, deposits, and installment savings reserves, and showed higher income and expenditure management behavior, risk management, and insurance behavior levels.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when they contribute towards living expenses, they are more likely to perform good financial actions such as managing their income and expenditure well and checking consumption expenditure details carefully. In addition, they show better financial behaviors, such as identifying one's financial situation and planning in advance in preparation for property risks.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inancial behavior of the survey subjects,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financial behavior was higher when they had office jobs, when the level of financial self-efficacy was high, and when the average monthly savings investment was high. Finally, a regression analysis including interaction terms was conducted to verify that the influence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inancial behavior of the survey subjects was controlled by independent planning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tributions towards living expens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level of financial behavior of office workers and self-employed people was affected by the independent plan. In other words, the level of financial behaviors of office workers and self-employed people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groups with and without independent plans. Their level of financial behavior is further strengthened when there is an independent plan. The result also showed that the level of financial behavior was affect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make contributions towards living expenses when the education level was graduate school or higher and when they had debt. In other words, in cases of people with graduate school or higher education level and people with debt, the level of financial behaviors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group paying living expenses and the group not paying living expenses. In conclusion, as there has been a rise in the number of unmarried young people who are employed but living with their parents, this study aims to broaden the view on economic independence of young people by providing preliminary data on the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se groups, the characteristics of exchanges with their parents, financial status, financial self-efficacy, financial behavior and the possibility of their economic independence. It is also expected to help identify their economic independence readiness and financial capabilities and help find ways to strengthen them.

      • Lypossage가 20∽30대 여성의 체형변화에 미치는 효과

        이연수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446

        본 연구는 5주간 Lypossage가 20∼30대 여성의 체형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하체 중심으로 연구하기 위해 비만 및 체형에 대한 인식도, 하체 체형관리의 인식도와 만족도를 설문조사 하였으며, Lypossage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신체조성을 알아보고 체형개선에 효율적인 방안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및 인천에 거주하는 20∼30대 여성 중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2016년 2월 15일부터 3월 20일까지 총 35일간 연구에 참여할 것에 동의서를 작성한 자로 주관적인 부종을 호소하고 5시간 이상 앉아서 생활하는 20∼30대 여성을 임의로 선정하였다. 그 중 체성분 분석기(InBody 720)로 측정하여 BMI 지수가 18.5∼23.0으로 나온 32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Lypossage 실험 시행 그룹 16명과 무적용 그룹 16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실시 기간 동안 음주, 흡연, 운동, 약물복용, 6개월 이내 마사지 등을 하지 않기로 동의서에 서명하였고, 식사는 일상식이와 일상생활습관을 유지 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을 2개의 그룹으로 배치하였으며, 실험군의 경우 Lypossage를 시행하기 전 설문지작성과 대상자의 신체조성을 실시하고 동질성을 확인하였으며, 실험 2차 후와 실험 3차 후에는 설문지 작성과 함께 사전검사와 동일하게 신체조성의 변화에 대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몸무게보다는 체형관리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만하지 않아도 체형의 불균형은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에게 있어 비만은 불리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체형관리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체형관리 시 스스로 하는 것보다 스파나 병원 등의 관리를 받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스파나 병원 등을 이용 시 효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생각하였다. 이에 20∼30대의 체형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체형관리를 위한 방법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 후 만족도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Lypossage를 이용한 관리 방법이 20∼30대여성의 체형 변화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며, 대다수의 여성이 비만으로 자각하는 체형 문제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의 감소는 20∼30대여성의 저하되었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Lypossage를 이용한 실험 결과 1차보다 2차, 2차보다는 3차에서 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Lypossage를 통하여 체지방량과 체지방률, 바깥둘레 및 지방둘레의 감소는 부종 감소와 몸이 가벼워진 느낌을 들게 하였고 체형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체형 관리가 필요함을 지각하던 20∼30대여성에게 효과적인 체형 관리 방법을 제시하였음에 만족도가 높아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Lypossage가 체형 관리 방법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30대여성의 건강한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실험 결과 Lypossage 2차 후 체지방량, 체지방률, 복부지방률에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바깥둘레, 지방둘레에서는 복부에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Lypossage 3차 후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바깥둘레, 지방둘레에서는 복부에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3차 시 2차와는 달리, 바깥둘레(왼쪽, 오른쪽, 엉덩이)와 근육둘레(왼쪽, 오른쪽)에서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 횟수가 늘어나면 광범위한 효과가 나타남을 유추할 수 있다. 그러나 대조군의 1·2·3차의 수치 비교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20∼30대여성의 체형관리가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됨에 따라 체형 관리, 체중 감소, 비만 예방 등을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Lypossage를 이용한 방법을 지속적으로 시행하여 20∼30대여성들의 체형의 변화를 위한 시행착오적인 관리 방법을 개선함으로써 시간과 노력을 소비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또한 20∼30대여성들이 다양한 체형 변화들을 사전에 예방함은 물론, Lypossage 관리방법을 기초로 한 체형 개선하려는 지침을 개발하는데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5주간 Lypossage가 20∼30대 여성의 체형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하체 중심으로 연구하기 위해 비만 및 체형에 대한 인식도, 하체 체형관리의 인식도와 만족도를 설문조사 하였으며, Lypossage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신체조성을 알아보고 체형개선에 효율적인 방안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및 인천에 거주하는 20∼30대 여성 중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2016년 2월 15일부터 3월 20일까지 총 35일간 연구에 참여할 것에 동의서를 작성한 자로 주관적인 부종을 호소하고 5시간 이상 앉아서 생활하는 20∼30대 여성을 임의로 선정하였다. 그 중 체성분 분석기(InBody 720)로 측정하여 BMI 지수가 18.5∼23.0으로 나온 32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Lypossage 실험 시행 그룹 16명과 무적용 그룹 16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실시 기간 동안 음주, 흡연, 운동, 약물복용, 6개월 이내 마사지 등을 하지 않기로 동의서에 서명하였고, 식사는 일상식이와 일상생활습관을 유지 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을 2개의 그룹으로 배치하였으며, 실험군의 경우 Lypossage를 시행하기 전 설문지작성과 대상자의 신체조성을 실시하고 동질성을 확인하였으며, 실험 2차 후와 실험 3차 후에는 설문지 작성과 함께 사전검사와 동일하게 신체조성의 변화에 대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몸무게보다는 체형관리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만하지 않아도 체형의 불균형은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에게 있어 비만은 불리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체형관리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체형관리 시 스스로 하는 것보다 스파나 병원 등의 관리를 받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스파나 병원 등을 이용 시 효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생각하였다. 이에 20∼30대의 체형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체형관리를 위한 방법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 후 만족도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Lypossage를 이용한 관리 방법이 20∼30대여성의 체형 변화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며, 대다수의 여성이 비만으로 자각하는 체형 문제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의 감소는 20∼30대여성의 저하되었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Lypossage를 이용한 실험 결과 1차보다 2차, 2차보다는 3차에서 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Lypossage를 통하여 체지방량과 체지방률, 바깥둘레 및 지방둘레의 감소는 부종 감소와 몸이 가벼워진 느낌을 들게 하였고 체형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체형 관리가 필요함을 지각하던 20∼30대여성에게 효과적인 체형 관리 방법을 제시하였음에 만족도가 높아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Lypossage가 체형 관리 방법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30대여성의 건강한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실험 결과 Lypossage 2차 후 체지방량, 체지방률, 복부지방률에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바깥둘레, 지방둘레에서는 복부에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Lypossage 3차 후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바깥둘레, 지방둘레에서는 복부에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3차 시 2차와는 달리, 바깥둘레(왼쪽, 오른쪽, 엉덩이)와 근육둘레(왼쪽, 오른쪽)에서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 횟수가 늘어나면 광범위한 효과가 나타남을 유추할 수 있다. 그러나 대조군의 1·2·3차의 수치 비교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20∼30대여성의 체형관리가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됨에 따라 체형 관리, 체중 감소, 비만 예방 등을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Lypossage를 이용한 방법을 지속적으로 시행하여 20∼30대여성들의 체형의 변화를 위한 시행착오적인 관리 방법을 개선함으로써 시간과 노력을 소비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또한 20∼30대여성들이 다양한 체형 변화들을 사전에 예방함은 물론, Lypossage 관리방법을 기초로 한 체형 개선하려는 지침을 개발하는데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직장 복식규범과 20·30대 여성의 패션스타일 표현

        김태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446

        Since 2000s, young women in their 20·30s have shown a strong tendency to pursue creative and free individual character, becoming a subject of consumption based on increased purchasing power as a new society member who were employed recently. Many modern enterprises respect members' diversity and character and have a flexible restriction on work clothes, however, it's the situation that there is a still rigid fashion culture by the existing workers. This study examined a fashion culture of 20·30s working women through relationship with clothing norms in workplace. For working women in their 20·30s who are accustomed to expressing their character through fashion as the important consumption subject with economic power, it showed that researching their characteristics, understanding and illuminating daily conflict between fashion and norms are a part of the very significant tasks. In addition, taking notice of a changing fashion culture of workplace and young working women's characteristics, this study inspected a meaningful relation between clothing norms in workplace and fashion style expressions. In order to understand domestic working environment and fashion culture, particularly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and consumer culture of 20·30s working women,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at the same time with the qualitative research, depth interview.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clothing norms in workplace, personality-pursuit behaviors, fashion reference group and propensity to consume were analyzed. Also in-depth interview was done for 12 working women in their mid 20s~early 30s who are working at the school, national organization, public enterprise, 3 large corporations and having conflict with clothing norms in the workplace with career within 3 years. The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the increased number of members having various inclinations caused many subcultures through increase of women's economic activities and transition to the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in the domestic work places, changing into the business casual recognizing employees' autonomy and diversity. 20·30s working women are participating in active fashion consumption activities based on economic power and appearance interest, showing the characteristic making much of self-expression through the fashion character. Secondly, at the workplace, clothing norms coexist, one stipulated by statutes, company rules, official documents and the other implied by experiences of sanction against members. clothing norms in the workplace are classified into the norms of exposure, clothes drawing attention and casual clothes, Thirdly, it showed that factors pressuring on clothing norms are classified into two things, pressures by others and by spontaneous self-censorship, causing conflict and confusion with working women's fash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essure. Especially, 2 kinds of pressures by others, or characteristics of departments and members were observed. Fourthly, it showed that working women are conducting diverse kinds of behaviors removing conflict to pursue their character within clothing norms. Such behavior types may be divided into indifference, avoidance of a conflicting situation, compromise of norm and character, dual closets and double life and adaptation by rationalization. Character-pursuit behavior types varied from each interviewee with different conflict degrees in terms of difference between workplace fashion style and preferred style. Fifthly, clothing norms and character-pursuit behaviors have a close relation with a propensity to consume fashion and a reference group. Working women showed a characteristic participating in fashion consumption behaviors with a sense of purpose but reducing fashion expenses with the weakened consciousness as time passed. The most frequent purchasing places were department stores and Internet shopping malls. Working women preferred young casual groups and SPA brands and had a fashion reference group of a career woman character in dramas or a member of the workplace in addition to a role model of the future job. As for paths for working women to get fashion information, there were coworkers, Internet, beauty programs and so forth. Also they shared fashion information mainly with friends outside the job or family members. This study showed that 20·30s working women have strong needs for pursuing their personality in expressing fashion, however, unable to be freed from social · cultural contexts, can't ignore effects of clothing norms in the workplace. Furthermore, workplace fashion has a connection with complex and various contexts caused by difference in the personal tendency and job environment in addition to clothing norms. According to the pressure degree of their workplace and department, individual inclination on clothing norms, working women are sometimes suffering conflict between clothing norms and character-pursuit. This study also showed that clothing norms in the workplace have a difficulty in managing and controlling various fashion styles of the modern society. 20·30s working women recognize a suggestion and a boundary of clothing norms in the workplace by their accumulated experiences, and express their own fashion style while compromising or resisting to the existing norms through character-pursuit behaviors rather than accepting them unconditionally. It revealed that their character-pursuit behaviors are dividing areas of clothing norms in workplace newly and reproducing the fashion culture of 20·30s working women own. This study confirmed that a variety of individuals show multiple behavioral aspects in expressing the fashion style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fashion styles within a group are connected to the various social · cultural contexts. Also it identified clothing norms containing implied understanding and micro feeling uneasy to be expressed, and interpreted their meaning in terms of the contex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documented empirically and attempted at in-depth understanding of 20·30s working women's fashion culture reproduced under clothing norms. Also, it's expected to be helpful for planning and designing working women's fashion style through their character-pursuit behavior and consumer culture. However, 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or only 12 females at certain work places, so it has a limitation to generalize research findings. 2000년대 이후 20·30대의 젊은 여성은 창조적이며 자유로운 개성미를 추구하는 경향이 강하며, 최근 취업을 시작하여 새로운 사회구성원이자 증가된 구매력을 바탕으로 소비의 주체가 되고 있다. 현대 사회의 많은 기업들은 구성원의 다양성과 개성을 존중하여 출근 복장에 대한 규제를 유연하게 하였지만, 기존 직장 인력에 의해 경직된 패션 문화가 여전히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30대 직장 여성의 패션 문화를 직장 내 복식규범과의 관계를 통해 고찰하였다. 패션을 통해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것에 익숙하고 경제력을 갖춰 중요한 소비주체로 부상한 20·30대 직장 여성의 특성을 연구하고, 일상에서 갖는 패션과 규범과의 갈등을 이해하고 조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작업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변화하는 직장의 패션 문화와 젊은 직장 여성의 특성에 주목하여 직장 내 복식규범과 패션스타일 표현의 의미 있는 관계를 고찰하고 밝힐 수 있었다. 국내의 직장 환경과 패션 문화 특히, 20·30대 직장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의 특성과 소비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문헌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동시에 질적 연구 방법인 심층 면접법을 실시하였다. 심층 면접을 통해서는 직장 내 복식규범과 개성추구 행동, 패션 준거집단과 소비성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학교, 국가기관, 공기업, 대기업 3곳에 근무하고 직장 내 복식규범과 갈등을 겪고 있으며, 3년 이내의 경력을 가진 20대 중반에서 30대 초반인 직장 여성 12명을 면접 대상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다. 본 논문의 종합적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직장은 여성의 경제활동의 증가와 지식정보화 사회로의 이행으로 직장 내에 다양한 성향의 구성원들을 증가시켜 여러 하위문화들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직원들의 자율성과 다양성을 인정하는 비즈니스 캐주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0·30대 직장 여성은 경제력과 외모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활발한 패션 소비활동을 하고 있었으며 패션에 있어 개성을 통한 자기표현을 중시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둘째, 직장 내에는 법령, 사규, 공문에 의한 명문화된 복식규범과 구성원의 제재의 경험에 의해 확인된 암시된 복식규범이 함께 존재하고 있었다. 직장 내 복식규범은 노출에 대한 규범, 시선을 끄는 옷차림에 대한 규범, 캐주얼한 옷차림에 대한 규범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복식규범을 압박하는 요인은 크게 타인으로부터의 압박과 스스로의 검열에 의한 자발적 압박 등의 두 가지로 분류되어 나타났으며, 압박이 가해지는 정도에 따라 직장 여성들의 패션에 갈등과 혼란을 일으키고 있었다. 특히, 타인으로부터의 압박은 직장 내 부서별 특성과 구성원 특성의 두 가지 종류의 압박이 관찰되었다. 넷째, 직장 여성은 복식규범 속에서 개성을 추구하기 위한 다양한 갈등해소 행동을 하고 있었다. 행동의 유형은 개의치 않음, 충돌 상황의 회피, 규범과 개성의 절충, 두 개의 옷장과 이중생활, 합리화를 통한 순응으로 분류되었다. 개성을 추구하는 행동의 유형은 각각의 면접 대상자들 안에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직장 내 패션스타일과 선호 스타일과의 차이를 통해 갈등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다섯째, 복식규범과 개성을 추구하는 행동은 패션 소비성향 · 준거집단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직장 여성은 목적의식을 가진 패션 소비행동을 하지만 연차가 쌓이면서 목적의식이 약화되고 동시에 패션에 대한 지출도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구매 장소는 백화점, 인터넷 쇼핑몰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영 캐주얼군과 SPA의 브랜드를 선호하였다. 직장 여성의 패션 준거집단은 드라마 속 직장 여성의 캐릭터와 직장 내 구성원, 그리고 미래를 위한 직장 내 롤 모델이 나타났다. 직장 여성들이 패션 정보를 얻는 통로는 직장 동료, 인터넷, 뷰티 프로그램 등이 있었으며, 패션 정보를 공유하는 대상은 주로 직장 밖의 친구나 가족으로 나타났다. 20·30대의 직장 여성들은 패션을 표현하는데 있어 개성추구에 대한 욕구가 크지만 개인은 소속된 사회 · 문화적인 맥락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에 직장 내 복식규범의 영향을 무시하지 못하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또한 직장 패션은 복식규범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성향, 직장 환경의 차이에 의해 복잡하고 다양한 맥락과 연결되어 있었다. 직장 여성들은 소속된 직장과 부서, 그리고 개인의 성향이 복식규범을 압박하는 정도에 따라 복식규범과 개성추구 사이에서 갈등을 일으키거나 일으키지 않고 있었다. 직장 내 복식규범은 현대 사회의 다양한 패션스타일을 관리하고 규제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20·30대 직장 여성들은 직장 내 복식규범의 암시와 경계를 축적된 경험에 의해 인지하고, 기존의 복식규범을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 개성추구 행동을 통해 타협하고 저항하며 자신들만의 패션스타일을 표현하고 있었다. 직장 여성의 개성추구 행동은 직장 내 복식규범의 영역을 새롭게 구분지어, 20·30대 직장 여성만의 패션 문화를 재생산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개인이 다양한 자아를 가지고 상황에 따라 패션스타일을 표현하는데 있어 복합적인 행동양상을 하고 있으며, 집단 내의 패션스타일은 다양한 사회 · 문화적 맥락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주었다. 더불어 표현하기 어려운 암시적인 이해와 미적인 느낌을 포함하는 복식규범을 식별하고 확인하여 그 의미를 맥락에 따라 해석하였다. 본 연구는 20·30대 직장여성을 대상으로 복식규범 하에 재생산된 그들의 패션문화를 실증적으로 문서화하여, 깊이 있게 이해하려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직장 여성의 개성추구 행동과 소비문화를 통해, 직장 여성을 위한 패션스타일을 기획하고 디자인 하는데 도움을 주리라 기대한다. 그러나 특정 직장의 여성 12명만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기에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 化粧態度 및 메이크업性向에 관한 硏究 : 20〜30代 主婦를 中心으로

        김나경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446

        This study has made to study consumer preference of basic cosmetics and coloring cosmetics of housewives who are in their twenties or thirties and lives in local small towns and study their changes of cosmetics purchase before and after marriage and makeup, so understand the attitude on cosmetic and tendency to makeup of housewives in the group as above and make useful data for image making of housewives in their twenties or thirties. The specific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age categories, the rate of the housewives group in thirties were 55.0%, higher than the housewives group in twenties. In educational background, college graduate was the highest, 33.0%. Housewife was the highest, 37.8% in career. Housewives who have 1 child was the highest, 45.5% in children categories. Gyeongi-do was the highest, 51.0% in residence categories. In monthly average income categories, 200∼299 thousand won(around 2,150∼3,214 USD) was the highest, 32.3%. Second, about attitude on cosmetics in the housewives group, most of them are using general products for their basic cosmetics, but they use traditional oriental cosmetics more when they are older. They purchase basic cosmetics and coloring cosmetics in department stores, complex was the most skin type, 51.8%. The housewives group care about quality when they buy basic cosmetics and color when they purchase coloring cosmetics. Monthly average expenses were 30∼50 thousand won(around 32∼53 USD) for basic cosmetics, less than 30 thousand won(around 32 USD) for coloring cosmetics. 84.3% of basic cosmetics and 68.0% of coloring cosmetics were imported products, the rates of satisfaction with them were higher than 70%. Third, about changes of purchase of cosmetics after marriage, in both of the groups, the rate of housewives who buy same level with the cosmetics they bought before their marriage was the highest, 45.0%. The rate of who buy less number of cosmetics was 30.3% and 25.0% of the group bought less expensive products. Fourth, in tendency of makeup, both of the groups(the twenties and the thirties) began to makeup when they were college girls, but more number of housewives in twenties began to make up in middle school or high school than the housewives in thirties. Housewives in twenties answered sunscreen and housewives in thirties said makeup base as the first step of makeup. Usually housewives in twenties mainly do skin care, the group in thirties do complete makeup. About the time when they do makeup, housewives in twenties answered they do it for appointments, the group in thirties said they always do makeup everyday. Fifth, when they choose eye-shadow and lipstick, both of the groups care about their skin ton mostly. And 54% of them don't often change the color of their eye-shadow and lipstick for their makeup. The popular color of eye-shadow and lipstick in twenties and thirties were pink, more than 45% of them liked it. About eye makeup, the number of who do complete was more than who do only eyebrow. And the number of who use only light colored lip gloss was more than who use transparent lip gloss over lipstick. Sixth, the most important reason of housewives's makeup in twenties and thirties were satisfaction for herself 34.0%, covering small spots 25.8%, making clear skin tone 13.8%, change of daily life 8.5%. Preferred makeup image were comfortable image 50.0% and next was graceful image 21.8%. Both of the groups answered makeup effect on the change of image, the part they care about the most were eyes in twenties and skin tone in thirties. The order of the rate of satisfaction at their own makeup was middle/unsatisfied/satisfied as follows. Most of them, 72.8% didn't learn how to makeup from lecture or education. They were interested in popular eye makeup, 56.5% of them wanted to participated in makeup education, so we could see their interests about makeup is high. Seventh, most of housewives changed their makeup style after their marriage, the rate was 70.0%. Housewives in their twenties who didn't change coloring was 68.9% and the group in their thirties who changed coloring was 52.5%. Both of the groups said 'I don't do makeup except for meetings or appointments.', 'I go out with no makeup.' and 'I only care about skin care' about the change of makeup after marriage.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방 중소도시의 20∼30대 주부들을 대상으로 기초화장품과 색조화장품의 선호도 조사와 메이크업 성향을 파악하고 결혼 전·후의 화장품 구매 변화와 메이크업 변화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20∼30대 주부들의 화장태도와 메이크업 성향을 이해하고, 20∼30대 주부들의 이미지 연출을 위한 효율적인 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연령별로는 30대 주부가 55.0%로 20대 주부 45.0%보다 많았으며, 학력은 대졸이 33.0%로 가장 많았고, 직업별로는 전업주부가 37.8%로 가장 많았으며, 자녀수별로는 자녀가 1명인 주부가 45.5%로 가장 많았다. 거주지별로는 경기도 지역이 51.0%로 가장 많았고, 가정의 월평균 소득별로는 200~299만원이 32.3%로 가장 많았다. 둘째, 20∼30대 주부들의 화장태도에 대해 보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기초 화장품은 일반화장품을 사용하는 주부가 많았으나 연령이 높아질수록 한방화장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화장품· 색조화장품은 백화점에서 구입하고, 피부타입은 복합성이 51.8%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왔다. 20~30대 주부들은 기초화장품 구입시 품질을 고려하였고, 색조화장품은 색상을 고려하였다. 화장품의 월 평균비용은 기초화장품이 3~5만원, 색조화장품은 3만원미만으로 나타났으며, 수입화장품 사용여부는 기초화장품이 84.3%, 색조화장품이 68.0%였으며 사용하고 있는 기초· 색조화장품 만족도는 모두 70%이상이 만족하는 것으로 나왔다. 셋째, 결혼에 따른 화장품 구입 변화에서는 20∼30대 주부 모두 기초·색조화장품 구입 시 결혼 전과 비교하여 동일한 수준의 제품을 구입하는 주부가 45.0%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구입하는 화장품 개수가 줄었다가 30.3%, 저렴한 가격의 제품을 구입한다가 25.0%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메이크업 성향을 보면 20∼30대 주부 모두 대학교 때 메이크업을 시작한 주부가 많았으나 20대 주부에서는 중학교와 고등학교때 시작한 주부가 30대 주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이크업의 시작단계는 20대주부는 자외선차단제, 30대주부는 메이크업 베이스로 인식하였으며 평소 메이크업 정도는 20대 주부는 피부 표현만, 30대 주부는 전체 화장을 한다로 나타났다. 메이크업을 언제 하는지에 대해서는 20대 주부는 약속이 있을때, 30대 주부는 언제나 매일한다고 하였다. 다섯째, 아이새도우와 립스틱 선택시 중점 부분은 20∼30대 주부 모두 자신의 얼굴색에 중점을 두고 있었으며 메이크업시 아이새도우와 립스틱 색상 교체는 54%가 자주 바꾸는 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 주부가 선호하는 아이새도우와 립스틱 색상은 핑크색상으로 45%이상이 즐겨 사용하는 것으로 나왔고, 눈 화장의 정도는 전체다 한다, 눈썹만 그린다 순이었으며, 입술화장은 연한색상의 립글로즈만 바른다, 립스틱 위에 투명 립글로즈를 바른다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20∼30대 주부가 메이크업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자기만족을 위해 하는 주부가 34.0%, 잡티커버 25.8%, 자외선차단 18.0%, 피부색 투명감 연출 13.8%, 일상의 변화 8.5% 순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메이크업 이미지로는 편안한 이미지가 50.0%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품위 있는 이미지 21.8%순으로 나타났다. 20∼30대 주부 모두 메이크업이 이미지 변화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으며 메이크업시 가장 신경쓰이는 부분은 20대 주부는 눈, 30대 주부는 피부표현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메이크업 만족도는 보통, 불만족, 만족 순으로 나타났으며, 강의나 수강을 통해 메이크업을 배운 적이 없는 주부가 72.8%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유행하는 아이 메이크업에 관심이 있었으며, 메이크업 관련 교육 시 참가할 의사가 있는 주부가 56.5%로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일곱째, 결혼 전·후 메이크업의 변화 여부에 대해 메이크업에 변화가 있는 주부가 70.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색상선택 변화에 대해 20대주부는 없다가 68.9%, 30대 주부는 있다가 52.5%로 나타났다. 20∼30대 주부모두 결혼 전·후의 메이크업 변화는 ‘모임이나 약속 이외에는 메이크업을 하지 않는다’, ‘노메이크업 으로도 외출을 한다’, ‘피부표현에만 신경을 쓴다’ 라고 하였다.

      • 슬립웨어(Sleepwear)의 의복이미지에 관한 연구 : 20, 30대 여성의 선호디자인을 중심으로

        목정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2445

        본 논문의 목적은 슬립웨어도 외의와 같이 착용이미지가 있는지의 여부와, 슬립웨어의 선호이미지에 따른 선호디자인을 밝히고, 그에 따른 슬립웨어의 구매행동을 밝힘으로써, 슬립웨어 시장의 마케팅 전략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20·30대 여성이 착용하는 슬립웨어에 대한 소비자의 이미지 반응도를 알아보고, 실제 착용하는 슬립웨어에 대한 착용이미지를 알아본다. 둘째, 20·30대 여성이 선호하는 슬립웨어의 선호이미지와 선호디자인 요소에 대하여 알아본다. 셋째, 20·30대 여성의 슬립웨어구매행동에 대하여 알아본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이론적 고찰과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실증연구는 탐색조사, 예비조사, 본조사의 세 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는데, 탐색 조사 단계에서는 슬립웨어의 구매행동의 문항을 추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예비 조사 단계에서는 착용이미지와 선호이미지를 추출하기 위하여 의류학과 전공 대학원 41명을 대상으로 자유 연상 기법으로 추출하였고, 2차로는 1차 때와 같은 의류학과 전공 대학원생 41명을 대상으로 슬립웨어사진 11개를 통해 추출하였다. 이것을 선행연구를 참고로 본연구와 적합하게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문항을 구성하였다. 구매행동에 관한 문항도 본연구에 적합하게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문항을 구성하였다. 이것을 다시 의류학과 전공 대학원생 58명을 대상으로 2차 예비조사을 실시하여 본조사 문항을 확정 하였다. 본조사 단계에서는 서울 시내 거주하는 20·30대 여성과 경기도 신도시에 거주하는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슬립웨어사진 11개를 자극물로 사용하는 설문지법이 실시 되었고,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x^(2)-test,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t-test, 분산분석 등을 실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응답자의 668명 중 627명인 93.9%가 착용하는 슬립웨어에도 이미지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착용이미지는 4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요인의 명칭은 섹시한, 귀여운, 세련된, 편안한이라고 명명하였다. 20·30대 여성이 착용하는 슬립웨어에 대한 이미지 반응는 편안한 이미지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귀여운, 세련된, 섹시한 이미지의 순으로 높았다. 주로 기혼 여성과 결혼 예정이 있는 미혼 여성이 섹시하고 세련된 이미지의 슬립웨어를 착용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고, 20대 초반의 여성은 귀여운 이미지의 슬립웨어를 착용하는 경향이 높았다. 둘째, 20·30대 여성이 선호하는 슬립웨어의 이미지는 5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요인의 명칭은 사랑스러운, 섹시한 귀여운, 세련된, 편안한이라고 명명하였다 20·30대 여성이 선호하는 슬립웨어의 이미지로는 사랑스러운 이미지가 가장 높았다. 20·30대 여성이 선호하는 슬립웨어로는 사진 9번의 귀여운 이미지의 슬립웨어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진 3번과 사진 10번의 사랑스러운 이미지, 사진 7번의 편안한 이미지의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색상으로 분홍색 계열, 흰색 계열, 베이지 계열의 순으로 선호하였고, 소재는 면섬유와 실크 소재의 천연소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 무늬는 작은 꽃무늬로 자연적인 무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20대 여성이며 미혼인 여성은 사진 3번의 사랑스러운 이미지의 슬립웨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0대 여성이며 기혼인 여성은 사진 7번의 편안한 이미지의 슬립웨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와 30대 여성의 슬립웨어에 대한 선호이미지에는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사랑스러운 이미지를 슬립웨어이미지로 선호하는 여성은 11개의 사진 자극물 중 사진 3번과 사진 10번을 선호슬립웨어로 선택하였으며, 선호 이유로는 소재라고 응답하였다. 섹시한 이미지를 슬립웨어이미지로 선호하는 여성은 사진 4번과 사진 11번을 선택하였으며, 선호 이유로는 무늬와 디자인이라고 각각 응답하였다. 귀여운 이미지를 슬립웨어이미지로 선호하는 여성은 사진 5번과 사진 9번을 선호슬립웨어로 선택하였으며, 선호 이유로는 소재와 디자인이라고 응답하였고, 세련된 이미지를 슬립웨어이미지로 선호하는 여성은 사진 1번과 사진 2번을 선호슬립웨어로 선택하였으며, 선호 이유로는 무늬와 디자인이라고 각각 응답하였다. 편안한 이미지를 슬립웨어이미지로 선호하는 여성은 사진 6번과 사진 7번을 선호슬립웨어로 선택하였으며, 선호 이유로는 소재와 디자인이라고 각각 응답하였다. 20·30대 여성이 특별한 날에 선호하는 슬립웨어이미지에 대해서는, 모든 상황에서 사랑스러운 이미지와 편안한 이미지가 1순위와 2순위로 나타났다. 그러나 3순위에서는 신혼여행 일 때는 섹시한 이미지, 기념일 날일 때는 세련된 이미지, 평상시 특별히 입고 싶은 날과 여러 사람 같이 여행을 갈 때는 귀여운 이미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20대 여성과 미혼인 여성이며, 대학 재학 중인 여성이 특별한 날을 위해 슬립웨어를 입고 싶은 경우 신혼여행이라고 가장 많은 응답을 하였고, 30대 기혼 여성은 평상시에 특별히 입고 싶은 날로 가장 많은 응답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서, 결혼이라는 시점에서 아직 결혼을 하지 않은 여성이 생각하는 특별한 날과 결혼을 한 여성이 생각하는 특별한 날은 다소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셋째, 구매동기에 대한 요인은 2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각각의 요인은 충동구매동기와 계획구매동기이라고 명명하였다. 슬립웨어선택기준에 대한 요인은 4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각각의 요인의 명칭은 기능성, 심미성, 경제성, 사회 심리성이라고 명명하였다. 사진 1번과 사진 4번, 사진 11번은 충동구매동기에서 높게 나타나서, 섹시한 스타일과 세련된 스타일의 슬립웨어가 충동구매동기를 일으키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슬립웨어 구매할 때 기능성을 중요시할 때 사진 6번이 가장 적합하다고 응답을 하였으며, 심미성을 중요시 할 때는 사진 1번, 사진 3번, 사진 4번, 사진 8번, 사진 10번이 적합하다고 나타났다. 사회 심리성을 중요시할 때는 사진 1번, 사진 2번, 사진 8번 사진 10번, 사진 11번이 가장 적합하다고 나타났다. 20·30대 여성은 슬립웨어 구매처로써 백화점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선호 브랜드로는 비너스 21.0%, 비비안 20.8%, 와코루 12.4%의 순으로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at the sleeping wear has a same image a s the apparel, to clarify the preference on design from image and following purchase behavior, and provide reference to marketing. This study has set the following three issues. First, the image response of sleeping wear consumers, mostly women in their 20's and 30's. Second, the sleeping wear image preferences and preference design factors of women in their 20's and 30's.Third, purchasing behavior. The research on former studies and survey were used a s the methods of this study. Survey was consisted of 3 stages which were exploratory step, pilot study and main research. For the main research, women aging from 20's to 30's living in the Seoul and Kyung-Gi Province were given 720 questionnaires and the sum of 66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Using SPSS package,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regression, ANOVA and Duncan test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93.9%(627 women out of 668) women answered that sleeping wear has an image. The wearing image was sampled into 4 factors which is sexy, cute, refined and comfort. The response was highest at the comfortable image and in following order came cute, refined and sexy. Married or soon to be married women preferred sexy and refined image sleeping wear. Women in their early twenties preferred cute styles. Second, the sleeping wear image women preferred was sampled into five categories and were named lovable, sexy, cute, refined and comfort. Cute style a s in Picture #9 was most preferred among 20 and 30 year old women. and the lovable image(picture#3,#10) and the comfortable image(picture#7) came next. Pink, White, Baige was the most preferred color. Cotton and silk was the most preferred textile. The flower was the most preferred pattern. The most preferred image for a special occasion, was lovable and comfortable image each a t #1 and #2.But the third choice differed on what the occasion really was sexy image for the honeymoon and refined image for the anniversary and the cute image when traveling with other people. Third, the purchasing motive was sampled into 2 factors, and was named Impulsive purchasing Motives and Planned Purchasing Motives, Informants were samples into 2 factors, each was named non-personal informants and personal informants. Clothing selection standards was sampled into 4 factors, and each was named functionality, taste, economy, social psychology. Store selection standards was sampled into 3 factors, and was named Commodity & Services, Promotion & Mood, Comfort. Dissatisfaction after purchase of sleeping wear was sampled into 4 factors, and was named functionality, taste, economy, social psychology. Picture#l,#4 and #11 was high in Impulsive Purchasing Motives, and sexy style and refined style was high. Cute style was in Planned Purchase Motive and character pattern was high. Functionality in clothing selection appeared high in comfortable style(Picture#6) and taste appeared high in picture#l, #3, #4,# 8, #lo. Social psychology appeared high in picture #1, #2, #8, #lo. #11. 20-30 aged women preferred the department stores the most, and for the preference brand, Venus a s the highest with 21% and Vivien 20.8%, Wacoal 12.4%.20-25 aged women got much information from informants, and when choosing a sleeping wear, think of taste and functionality a s the most important fa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