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의 양육참여와 모의 양육신념이 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권정미(Kwon, Jung Mi),박영준(Park, Young Joo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가 어느 정도인지 그 실태를 파악한 후, 부의 양육참여와 모의 양육신념이 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관계에서 지역사회의 환경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에 따라 모의 양육 스트레스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아동패널 5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어머니 중, 모의 양육신념, 부의 양육참여, 지역사회환경, 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관련된 문항에 충실히 응답한 대상으로 유의표집하여 1,572명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첫째, 부의 양육참여와 모의 양육신념은 지역사회환경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의 양육참여는 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모의 양육신념에 따른 모의 양육스트레스를 알아본 본 결과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역사회환경은 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역사회환경을 매개로 검증한 결과 부의 양육참여와 모의 양육신념은 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지역사회환경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녀를 양육하는 모의 양육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a degree of rearing stress of mothers who take care of infancy and young children, to analyze the analysis an influence toward mother's rearing stress by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mother's beliefs, and to find a solution to relieve mother's rearing stress with mediating effect of community environment. By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a total of 1,572 mothers participating in the fifth year survey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selected, who answered all questions related to mother's beliefs,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community environment, and mother's rearing stres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mother's beliefs influence the community environment in positive way. Second,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has a straightforward and positive influence on mother's rearing stress. Third, mother's beliefs directly affects mother's rearing stress. Fourth, community environment has advantageous and direct impact on mother's rearing stress. Fifth, by mediating with community environment,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mother's beliefs influence mother's rearing stress not only a directly way but also a indirect way. With those result of this study, the researchers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to alleviate mother's rearing stress

      • KCI등재후보

        영아의 초기 어린이집 적응이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최지영(Choi, Ji Young)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1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들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태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노원구 어린이집 영아 어머니 300명으로서 최종 263부에 대한 설문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3.0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 5% 범위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먼저, 영아의 초기 어린이집 적응에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영아의 초기 어린이집 적응에 어머니의 애정-거부적 양육태도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영아의 초기 어린이집 적응에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자녀기대와 자녀기질 스트레스가 영아의 초기 어린이집 적응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애정-거부적 양육태도와 자율-통제적 양육태도 모두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and child-rearing stress on infant’s initial adaptation to child care center. An object of the study is totally 300 mothers in child care centers in Nowon Gu Province area, and finally 263 questionnaires survey result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with SPSS 13.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verified with a significant level of 5%. First, as a result of the effects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on infant’s initial adaptation to child care center, it was shown that mother’s affective-refusal rearing attitude affects infant’s initial adaptation to child care center positively. Second, as a result of the effects of mother’s child-rearing stress on infant’s initial adaptation to child care center, it was shown that mother’s rearing stress on expectation and nature for their sons and daughters affects infant’s initial adaptation to child care center negatively. Finally, as a result of the effects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on mother’s child-rearing stress on infant’s initial adaptation to child care center, it was shown that both mother’s affective-refusal rearing attitude and self-regulating and controlling rearing attitude affects mother’s child-rearing stress negatively.

      • KCI등재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논문 고찰 -2000년대 논문을 중심으로-

        장은정 ( Eun Jung Jang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7 아동복지연구 Vol.5 No.2

        본 연구를 통하여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논문들을 고찰해 봄으로써 장애아의 부모 자녀 관계의 질을 높이는 방법을 모색하고, 부모의 스트레스에 대한 원인을 이해하고, 도움 요인을 분석해 장애 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감소에 도움을 주고 양육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에 대해서 3가지 변인을 선정하여 고찰해보았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장애아동의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연구에 대한 석 박사 논문, 학회지의 연도별 분석을 하였는데 학회지는 거의 사회복지 관련 학회에서 연구 발표되어졌고 또한 학회지와 석, 박사 논문으로 최근에 활발히 연구되어지고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에 관한 분석 결과로 먼저 아동의 장애 유형으로 대상을 살펴보면 발달장애(40%) 아동의 부모가 가장 많았으나 시각, 청각 장애아동의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의 연구가 상대적으로 적어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그 다음으로 장애 아동의 교육환경은 특수학교 및 치료실 22(73%)가 가장 많았으나 가정에서 이루어진 연구가 거의 없는 것은 가정이나 시설을 이용하지 못하는 아동의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는 소외되는 경향을 보였다. 전반적인 장애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어머니보다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는 비율은 1(3%)로 상대적으로 적었고 더 많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의 분석 대상 논문에 제시된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총 주요 독립변인은 14개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양육 스트레스에 대해 가장 많이 쓰이는 주요 독립변인은 스트레스 대처 방식으로 8(27%)편으로 가장 많았고, 즉 장애아동 부모가 느끼는 양육 스트레스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양육스트레스 대처에 대한 연구가 최근에 더 많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앞으로는 더 많은 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In this research, through study of research papers on parent`s rearing stress of a handicapped child, we can search methods of enhancing handicapped child`s parent-child relationship, understand the origin of parent`s stresses, help in reducing rearing stresses of a handicapped child`s mother through analysis of support factors, and aid in developing a program to overcome the rearing stresses. For these objectives, we will take a closer look into research on parent`s rearing stress of a handicapped child. Research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1. A yearly basis analysis of master`s thesis, doctoral thesis, and journals were done in this research, while studies on parent`s rearing stress of a handicapped child have been actively researched recently. 2. In this research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subjects according to the types of handicapped child, researches on parents of developmental handicapped child were the largest in proportion at 40%, while researches on parents of visually handicapped child and child with hearing impairments were the least in proportion at 3% each. Also, a lot of researches on visually handicapped child and child with hearing impairments are in need. Secondly,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handicapped child, researches on special educational school and treatment centers were largest in number at 22(73%), while studies of combined social environment (home) were not done at all. Overall research on parents of handicapped child should be done along with the research on special educational schools as well. 3. A total of fourteen principal concepts and variant factors have been extracted from the selected papers for this research. Analysis results show that of the 30 papers in total, the most emphasized principal concept variant factor was stress management method with 8 researches (27%), research each.

      •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Social Maturity and Stress of a Child Recognized by Parent

        Eum, Kyung-soon,Bae, Ok-hyun,Hong, Sang-ook 영남대학교 자원문제연구소 1997 資源問題硏究 Vol.1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classified with attitude orienting social value and attitude orienting creative value on social maturity and stress of child recognized by parent. This study was to test the influence of a matched and unmatched rearing attitude between father and mother. The subjects were for the parents of 302 infants attending 2 kindergartens in Taegu city.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was measured by Moon's(1984) Rearing Attitude Test involving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ocial value and creative value deviced by Toranc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reative attitude and social attitude of father on child’s social maturity and stress. That is, father orienting the rearing attitude of creative value than social value recognized more child's social maturity and less child's stress. It suggests that a father's rearing attitude influence child's social maturity and stress. There i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reative attitude and social attitude of mother on child's social maturity and stress. It suggests that a mother's rearing attitude not influence child's social maturity and stress.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matched rearing attitude and a unmatched rearing attitude among father and mother on child's social maturity and stress.

      • 저소득가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가족기능과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유형

        하유정(Ha, Yu-Jeong) 한국통합치료학회 2009 통합치료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저소득 가정의 부모유형의 특성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가족기능이 스트레스 대처행동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저소득가정의 4,5,6학년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t-test, 일원변량분석(ANOVA)과 Pearson의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의 차이는 권위 · 통제태도에서 차이가, 양육부모유형에 따른 부모양육태도는 권위 통제측면과 적대 · 거부측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양육부모유형에 따른 가족기능의 차이는 가족응집성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부모양육태도 및 가족기능과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유형과의 관계에서는 적극적 대처행동은 애정 · 수용태도와, 소극적 대처행동은 적대 · 거부태도와, 회피적 대처행동은 민주 · 자율태도와,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은 권위 · 통제태도, 애정 · 수용태도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가족기능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유형과의 관계는 가족응집성이 연결형일 때 적극적 대처행동과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에서 상관관계를, 가족적응성과의 관계는 적응성이 강한 융통성일 때 적극적 대처행동에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가족체계유형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관계에서는 보통균형가족의 경우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행동에서 상관을 보였다. 셋째, 부모양육태도와 가족기능이 스트레스 대처행동 유형에 미치는 영향은 애정 · 수용태도가 적극적 대처행동에, 권위 통제태도가 회피적 대처행동에 영항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에는 애정 · 수용태도와 적대 거부태도 모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가족기능의 경우 적극적 대처행동에 대해서는 가족응집성중 연결형과 밀착형에서 가족적응성중 강한융통성과 경직형에 영향을 주었고, 가족체계유형에서는 극단가족과 중간가족 모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에 대해서는 가족응집성중 단절형과 분리형, 가족적응성 중 경직형과 구조형이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how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function of family that were perceived by children can affect stress coping behavior according to style of par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Subjects of the study were 72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ir 4th, 5th and 6th year and it used structured questionnaires about stress from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function of family in 2 children study centers and 3 welfare centers of Seoul and other cities. T -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with SPSS 15.0 program. Main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study also differences in parent’s authority and control over children based on their grades at school. and study took a look at differences in child’s perception about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ccording to styles of parents and there were som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area of authority · control and hostility · rejection. In addition to that, study also saw differences in child’s perception about function of family according to styles of parents, there were some meaningful gap in family cohesion. Secondly, study also focused on how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function of family were connected with stress coping behavior of children. Study results showed that active coping behavior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ffectionate · acceptant attitude and passive coping behavior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hostile · rejective attitude. Finally, study took a look at how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function of family affected stress coping behavior of children. It showed that parents with affectionate and acceptant attitude affected children’s positive coping behavior and parents with disciplinary and controlling attitude, dodging coping behavior respectively. And concerning coping behavior seeking social support, it is shown that affectionate . acceptant · hostile’ rejecting attitude are influential. Additionally, children from connected, enrneshed(based on family cohesion) and very flexible(based on family flexibility) type of family have tendency to cope with their stress actively. Contrary, children from rigid (based on family flexibility), extreme and mid-range(based on family system type) family seemed not to cope with their stress actively. Moreover, children from disengaged, separated family (based on family cohesion) and rigid, structured family(based on family flexibility) were negatively affected in their coping behavior seeking social support.

      • KCI등재

        신생아돌보기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 임산부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지민(Lee, Gi Min),최연희(Choi, Yeon Hee) 한국보건간호학회 2012 韓國保健看護學會誌 Vol.26 No.3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newborn care education promotion program on child-rearing knowledge, child rearing stress, and child rearing self-efficacy of immigrant pregnant women. Methods: The subjects were 23 immigrant pregnant women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D city. The program was provided, once a week for 90 minutes for a period of 3 weeks. The outcome variables were child-rearing knowledge, child-rearing stress, and child rearing self-efficacy.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4 to June 24, 2011,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Results: The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child rearing knowledge, child rearing stress, and newborn care self-efficacy for married immigrant pregnant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compared to women who did not participate.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program has an affirmative effect on child-rearing knowledge, child rearing stress, and child rearing self-efficacy of married immigrant pregnant women. It is suggested, therefore,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be presented to married immigrant woman at public health centers to enhance their confidence in child-rearing.

      • KCI등재

        어머니가 인지한 아버지 양육참여 및 부부갈등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성덕 ( Sung Deok Park ),서연실 ( Youn Sil Se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부부갈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과정을 통합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와 관련이론을 바탕으로 아버지 양육참여를 독립변인으로, 부부갈등을 매개변인, 사회적 지지를 조절변인 및 조절된 매개변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를 종속변인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의 4차년도에 조사된 총 1,706명의 어머니 설문데이터를 분석대상으로 아버지 양육참여, 부부갈등,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Statistics 21.0,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대상 변인들의 상관 및 기술통계 분석을 위해서 SPSS를 사용하였고 부부갈등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였다.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은 Hayes의 “PROCESS”를 이용하였다. 검증결과,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부부갈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conflic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mother’s child-rearing stres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at integrated the processes of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A research model was set up based on earlier studies and related theories. In this model,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marital conflicts were respectively selec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a mediator variable. Social support was selected as a moderator variable and moderated mediator variable, and father’s child-rearing stress was select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n the effect of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The questionnaire data from 1,706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four-year survey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analyzed, and four different scales were used, which respectively dealt with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marital conflict, mother’s child-rear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As for data analysis, SPSS Statistics 21.0 and AMOS 21.0 were utilized. The statistical packages SPSS were us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of the variables and to make 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was utiliz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conflict. To analyze moderated mediating effect, Hayse’s SPSS “PROCESS” was put to use. As a result, marital conflict was found to have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child- rearing involvement and mo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produced both moderating effect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e study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both discussed.

      • 어머니의 자녀교육관과 양육태도가 자녀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녀의 자기효능감이 갖는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윤미,정태연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5 미래청소년학회지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influence of mother’s educational view and child-rearing attitude on adolescent’s stress while using sense of self-efficacy as a medium. 500 junior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rveys with scales of parent’s educational view,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sense of self-efficacy and stress were distributed to collect data. Using sense self-efficacy as a mediating variable, a structural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parent’s educational view, and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on adolescent stress. As a first result,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adolescent’s stress which uses sense of self-efficacy as a mediating variable. This means mother’s non-affectionate attitudes such as hostility, apathy and rejection lowers adolescent sense of self-efficacy and effects child stress. Second, educational view did not reveal a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self-efficacy and stress. However, when sense of self-efficacy was dismissed as a mediating factor, mother’s educational view and child-rearing attitude showed direct influence on stress. To generalize the conclusion of the results above,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which directly effects adolescent stress, can reduce stress through high level sense of self 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an emphasis should be put on mother’s affectionate child-rearing attitude and adolescent high sense of self-efficacy to understand the problems of adolescent stress.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자녀교육관과 양육태도가 자녀의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500명의 중·고등학생 남녀를 대상으로 자녀교육관, 양육태도,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변수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어머니의 자녀교육관과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스트레스 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비애정적인 양육태도인 적대적, 무관심, 거부적인 태도는 자녀의 자기효능감을 감소시켜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교육관은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설명하지 못했다. 그러나 매개변인인 자기효능감을 제외하고 어머니의 자녀교육관과 양육태도가 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청소년들이 겪는 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연구는 청소년들이 높은 자기효능감을 가질 때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경감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문제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어머니의 애정적인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높은 수준의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이 보다 강조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유아기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애선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19 상담심리교육복지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hild-rearing stress of the mothers who hav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has conducted a questionnaire-based survey of those mothers with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use child-care facilities exclusivel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D” region during November of 2015. The research results, which are based on the questionnaire responses from 151 subjec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with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gistered higher levels of parenting efficacy and social support than average, while registering average child-rearing behavior and child-rearing stress. Second, the comparison of the child-rearing stre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mother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family’s average monthly income. Third, child-rearing behavior,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showed significant as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child-rearing stress of the mothers who ha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makes suggestions for reducing the child-rearing stress of the mothers with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유아기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5년 11월 한 달 동안 D지역 장애아전담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는 장애아동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151명의 설문 응답자료를 토대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사회적 지지 정도는 보통보다 높았으며, 양육행동과 양육스트레스는 보통 수준이었다. 둘째, 장애아동 및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가족의 월평균 수입, 부모교육 이용유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기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양육행동, 사회적 지지, 양육효능감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기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모 애착과 학업스트레스의 관계 : 모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최윤정,한유진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2017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Vol.12 No.3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 in the relation between mother-child Attachment and academic stress. Research Participants were 494 5 th and 6 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provi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in autonomy/control and achievement pressure of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s were significant according gender. Also, the differences in academic stress, mother-child attachment and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s were not significant according grade. the mother-child attachment and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 significantly effected on academic stres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mother-child attachment and academic stres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ecifically, the mediating effects of autonomy/control and achievement pressure were significant. Third, it was concluded the autonomy/control and achievement pressure all had a similar meditating effect on both boys and girls by observing the meditating effect of the child-rearing attitude depending on the sex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child and academic stress. These results extend the study on academic str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foundational informations on development of effective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