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의 아동미술치료 체험연구

        김나리,장연집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5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5 No.2

        본 연구는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가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는 과정을 다루어 봄으로써, 처음으로 양육이라는 삶의 변화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아동내담자에게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주어야 하는 미술치료사가 자신을 탐색하고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의 아동미술치료 체험의 본질과 의미가 무엇인지 이해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는 미술치료사가 처음으로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 대한 올바른 경험과 자원을 제공하고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며 임상현자에서의 미술치료에 대한 전문성을 갖고자 하는 임상 미술치료사의 교육 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가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는 체험을 생생하게 보여줌으로써 그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는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가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반성을 한다는 점에서 이미 겪은 체험에 대한 회고적인 반성과정인 본 연구 방법론과 일치한다. 따라서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는 미술치료사가 첫 자녀를 양육하는 체험에 적합한 연구방법론으로 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며 첫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미술치료사 13명으로, 모두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임상현장에서 최소5년에서 최대8년을 활동하고 있다. 연구 참여자는 만6세 이하의 영유아기 자녀를 둔 여성 미술치료사이며, 출산 후 법정 출산휴가 기간만 쉬고 바로 복직하여 아동미술치료와 자녀 양육을 함께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심층면담은 2015년 6월부터 10월까지 5개월 동안 진행되었고, 1~3회까지의 심층면담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자는 자료 수집과정으로 첫 번째 연구자의 경험을 기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의 아동미술치료 체험은 어떠한 것이며, 그 체험은 미술치료사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형성하였다. 해석학적 현상학의 반성단계에서 연구 참여자들의 진술을 통해 공통적인 주제를 분석하고 도출한 결과 10개의 본질적 주제와 33개의 하위 주제들로 산출해 낼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의 아동미술치료 체험의 결론을 다음과 같이 내리고 있다. 첫째,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는 심리적 불안과 갈등 신체적 고단함을 나타냈고, 이 과정을 통해 자신과 아이에게 적합한 어머니상을 형성하며 강인함을 얻게 되었다. 둘째,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며 첫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을 통해 미술치료사로서 엄마로서의 역할의 균형을 이루기 위한 내적 통찰을 통해 엄마로서 미술치료사로서 성장의 기회가 되었다. 셋째,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가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욕구를 인식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과 미술치료사로서의 긍정적인 성장의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성경적 상담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기독교인 어머니의 첫 자녀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정희정 ( Hee Jung Chung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6 복음과 상담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경적 상담을 활용한 부모교육을 통해 첫 자녀를 양육하는 기독교인 어머니의 자녀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첫 자녀양육의 어려움을 겪는 기독교인 어머니를 돕기 위한 실제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25개월과 17개월 된 여아를 키우는 기독교인 어머니 2명이며, 심층면담의 도구로 정희정이 개발한 성경적 상담을 활용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24회 실시한 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성경적 상담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기독교인 어머니들은 첫 자녀양육 스트레스를 인식하였다. 둘째, 기독교인 어머니들은 자녀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과 평가를 통해 감정과 욕구를 찾아 문제의 원인을 이해하였다. 셋째, 하나님의 은혜를 통해 자녀양육에의 새로운 목표를 세워 악순환에서 선순환의 방향으로 나아갔다. 넷째, 새로운 자녀양육행동을 교육하고, 실천을 통해 자녀양육에서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성경적 상담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기독교인 어머니들은 자녀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그들의 반응으로 인한 악순환에 대한 인식을 통해 부모로서의 자신의 의미를 하나님 안에서 깨닫고, 계속적인 자녀양육과정에서 하나님을 의지하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resources through parenting education using biblical counseling to help Christian mothers experiencing the first child rearing stress. The participants are two christian mothers whose daughter is 25 months old and 17 months old respectively. The Christian parenting education program using the biblical counseling developed by Chung Heejung has been utilized as an instrument of twenty-four in-depth counseling interviews, conducted from April 13, 2015 to November 16, 2015.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recognized the situation of the first child rearing stress Second, they understood the cause of the problem and found out their emotion and desire through the objec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child rearing stress. Third, they changed to the virtuous from vicious cycle establishing a new goal in child rearing through God`s grace. Fourth. they were educated to new rearing behaviors and made a change in child rearing through the continuous practice. In conclusion, through th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using the biblical counseling, the Christian mothers realized the meaning of themselves as a parent in God from an awareness of the vicious cycle of their response to the child rearing stress and relied on God in their continuous child rearing process.

      • KCI등재

        영아기 첫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는어머니가 경험하는 정서

        권혜진,고영미 한국보육학회 2014 한국보육학회지 Vol.14 No.3

        This study purposes to investigate the emotions of a mother who sends the first infant child to a child care center has, and to provide the care center adaptation program for infants and the basic materials for the contents and directions of parent education. For such, a total of 6 mothers who sent 0~2 year old child to a nursery had participated, and processed the in-depth interview with them. The study processed the qualitative analysis by categoriz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First, the emotions that a mother who sends the first child to a nursery was the expectation, doubt, faith, and distrust to a facility and teachers. Second, the mothers had emotions of sympathy and relief to a child, and crisis and braveness within herself. This includes the sympathy towards a child, crisis and dilemma caused by such, and rumination on herself as a mother and the proudness of a child. 본 연구는 영아기 첫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는 어머니가 경험하는 정서를 탐색해 봄으로써 향후 영아의 기관 적응프로그램, 부모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0~2세 자녀를 어린이집에 처음 보내고 있는 총 6명의 어머니가 참여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 내용에 대한 전사본을 중심으로 범주화 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들은 첫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면서 기관 및 교사에 대한 기대와 의구심 대 신뢰와 불신의 정서를 경험하고 있었다. 어린이집을 보내는 어머니들은 자녀의 문제행동 및 부모역할 수행의 어려움에 대한 지원 기대와 함께 자녀의 개별특성을 고려한 보육에 대한 의구심의 정서를 나타내었다. 여기에는 자녀양육 지원에 대한 기대와 의구심, 기대 충족으로 인한 신뢰, 의구심의 지속으로 인한 불신의 정서가 포함된다. 둘째, 어머니들은 첫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면서 자녀와 자신에 대한 연민과 갈등 대 안도감과 의연함의 정서를 경험하고 있었다. 여기에는 자녀에 대한 연민, 이로 인한 갈등과 딜레마 그리고 자녀에 대한 대견함과 어머니로서 자신에 대한 반추의 정서가 포함된다.

      • KCI등재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아버지, 어머니의 부모 역할 인식 및 실천에 대한 비교 연구

        오한나 열린부모교육학회 2017 열린부모교육연구 Vol.9 No.4

        본 연구에서는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아버지, 어머니를 대상으로 부모 역할 인식 및 실천을 분석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만 2세 미만 영아기 첫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아버지, 어머니 총 4쌍, 총 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자료는 저널 기록지, 개별 혹은 집단 면담, 연구자 저널, SNS, E-mail 기록 등을 수집하여 귀납적 분석 방법을 통한 질적 연구 방법으로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아버지, 어머니의 부모 역할에 대한 인식은 아버지, 어머니는 부모 역할을 분담하는 역할에 대한 인식과 변화 가능한 부모 역할에 대한 현대적 관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 역할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아버지, 어머니 모두 부모님의 영향, 직장생활의 문화, 가족형태의 특징 등이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경우는 문지기 역할에 따른 인식이 부모 역할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부모 역할에 대한 실천은 가정 내에서 아버지, 어머니 간에 차이가 나타났지만, 실천 과정에서 경험되는 어려움과 보람에서는 유사한 점이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부모 역할에 필요한 정보에 대해 아버지, 어머니 모두 자신이 속해 있는 사회 환경 속 가까운 지인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 외에도 육아서적을 통해서도 부모 역할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아버지, 어머니들은 부모 역할 실천을 위한 유용한 사이트, 육아서적, SNS 등을 통한 다양한 정보원에 대한 필요를 요구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아버지, 어머니를 위한 부모 역할 훈련 프로그램이나 예비 부모나 초보 부모를 위한 정책적, 사회적 지원 방안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 전업모의 첫 자녀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박혜리(Park, Hye Ri) 한국부부가족상담연구학회 2021 부부가족상담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전업모가 생애 첫 자녀를 양육하면서 겪는 스트레스 경험들을 탐색함을 통해 그 유형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생애 첫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는 정신적, 신체적, 물리적 어려움을 경험하면서 다양한 양육 스트레스를 겪게 되는데, 본 연구에는 이러한 전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경험에 대하여 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스트레스 유형을 분류하였다. 심층 인터뷰와 방문 관찰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Giorgi(2009)가 제시한 자료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 전업모가 겪는 스트레스의 유형은 ‘반복적인 육아 생활, 사회 복귀에 대한 고민, 첫 자녀 육아의 기쁨과 죄책감, 전업모의 육아 스트레스’ 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업모의 현실과 스트레스에 대한 인식 재고가 필요하다. 둘째, 양육 스트레스 절감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셋째, 전업모의 재취업에 대해 개입하고, 조력해야 한다. 넷째, 생애 첫 자녀를 양육하는 전업모는 다양한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적극적인 심리적 개입 시스템 마련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전업모가 생애 첫 자녀를 양육하면서 겪는 스트레스 유형을 분류함을 통해 앞으로 이들에 대해 ‘심리 및 육아상담, 심리조력서비스의 적극적 개입을 위한 제도적 마련’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of stress that full-time mothers experience while raising their first child for the first time in their lives. The mother raising the first child is exposed to various parenting stresses while experiencing ment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e stress types were classified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parenting stress experience of full-time mothers. This study found various types of stress in the participants including repetitive parenting life, worries about returning to society, joy and guilt of raising the first child, and parenting stress as full-time mothers. The discussions through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awareness of the stress and the reality of full-time mothers. Second, we should prepare systematic tools to reduce parenting stress. Third,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re-employment of full-time mothers. Fourth, full-time mothers who raise their first child in their lives experience various negative emotions, an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n ac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 system for them. That is, this study classified the stress elements that full-time mothers experience while parenting their first child, and discussed the need for institutional arrangement for active intervention in psychological and parenting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assistance services.

      • 12개월 미만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경험

        오은애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4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12개월 미만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경험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 자녀가 12개월 미만인 어머니 1인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참여관찰, 면담, 연구자의 반성적 저널, 연구참여자의 육아일기 등을 통해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자는 12개월 미만의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경험을 크게 세가지로 범주화하였으며, 첫째,「새 생명과 함께 하는 첫 걸음」은「자녀의 성장이 주는 경이로움」,「최고의 것을 주는 행복」,「우리 가정에 찾아온 보물」로 범주화하였다. 둘째,「힘겹지만 함께 걸어갈 길」은「아가, 너는 나의 전부」,「때로는 힘겨운 시간들」,「나란히 함께 걷고픈 사람」,「이제는 긴 담을 허물 시간」으로 범주화하였고, 셋째,「모두의 행복을 위한 새로운 걸음」은「미래를 위한 또 다른 시작」,「일 선택의 조건」,「마음 단단히 먹기」로 범주화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renting experience of the mothers with the first child younger than 12 months old.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as one mother with the first child was younger than 12 months old. The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terview transcription, researcher's reflective journal and researcher's parenting diary were collected, and the data analysis were composed of the stages of the transcription and confirmation of the contents of participant observ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first step with a new life’ was categorized into ‘the wonder given by the child's growth’, ‘the happiness that gives the best thing’ and ‘the treasure that came to our home’. Second, ‘the way to walk together though it is tough’ was categorized into ‘My baby, you are my everything’, ‘Times that are tough sometimes.’, ‘the person with whom I want to walk along together’ and ‘It's time now to tear down a long wall.’ Third, ‘a new step for happiness of all’ was categorized as ‘another start for the future’, ‘the conditions of selecting a job’ and ‘making a firm resolution’.

      • KCI등재

        영유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원가족 애착경험이 양육스트레스에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이은희,김정규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on the Effectsof Family Origin Attachment of Mothers of First Child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on Parenting StressEunhee Lee & Jeonggyu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o the family of origin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raising their first child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survey results of 393 mothers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performed. Self-soothing ability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attachment to the family of origin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their first child in infanc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elf-soothing ability can be considered as a mother's psychological resource to cope with parenting stress. Key Words: Mother of First Child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Family Origin Attachment, Parenting Stress, Self-soothing Ability, Mediating Effect 영유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원가족 애착경험이 양육스트레스에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이 은 희**ㆍ김 정 규***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첫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원가족 애착경험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어머니 393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 회귀분석,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영유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한 원가족 애착경험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은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및 제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양육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어머니의 심리적 내적 자원으로 자기위로능력을 고려할 수 있겠다. 핵심어: 영유아 첫 자녀를 둔 어머니, 원가족 애착경험, 양육스트레스, 자기위로능력, 매개효과 □ 접수일: 2022년 11월 6일, 수정일: 2022년 11월 29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본 논문은 주저자의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을 일부 발췌・수정한 것임. ** 주저자, 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석사(First Author, Master, Sungshin Univ., Email: heeya13571@gmail.com)*** 교신저자, 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Sungshin Univ., Email: jkkim3880@daum.net)

      • KCI등재

        영아기 첫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부모교육 경험 및 요구

        정보미 ( Jeong Bo Mi ),김낙흥 ( Kim Nak He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기 첫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부모교육에 대한 경험 및 요구를 파악하는데 있다. 자료수집을 위해 2012년 6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서울과 경기 지역에 있는 어린이집과 은행, 공공기관에 연구대상을 의뢰하여 연구 참여를 희망하는 0세 - 만 2세 영아를 첫 자녀로 두고있는 맞벌이 부부 200쌍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이메일, 서면, 우편으로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173쌍의 설문지가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부모교육 경험에서 맞벌이 부부는 전문강사에 의한 강의에 가장 많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아발달에 관한 지식과 정보에 관한 내용을 가장 많이 교육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교육 교육방법에대한 요구를 살펴보면 자녀의 출생순위와 연령에 특화된 부모교육을 필요로 하며 오프라인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또한 부모교육 장소로 자녀가 다니는 유아교육기관을 선호하였으며, 강의 및 강연 형태의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셋째, 부모교육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면 자녀와 효과적인 대화 및 상호작용, 영아의 질병 및 아플 때 간호 방법, 올바른 식생활습관, 영아의 성격과 사회성발달 등이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at looking at the perceptions of double-income parents who have the first child in infancy on their parent education status and needs. To perform this study, 200 pairs of working couples who have 0~2 year old infants were selected. From June 2012 to October 2012.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hrough the nursery, workplace, working mom``s cafes.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y mail, in writing, or e-mail. 173 pairs of the questionnaire were selected for the final stud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using SPSSWIN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experiences of parent education, most of the parents participated in instructor-led lectures, and the most common content of parent education was on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infant development.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ents wanted a customized parent education considering children’s birth order and age. Also, there was a higher demand on participating in off line education and education in child-care centers. Third, the results found out that the parents highly required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the effectiv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children, how to take care of infant’s sickness and illness, infant’s proper eating habit, and infant’s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 KCI등재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문화센터 참여 경험 연구

        정효진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8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articipation experiences and meaning of mothers with first child infancy in ‘Community Center’.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in this study, six mothers with infants in-deep interviews and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wo months. The collected data are the transcripts of the interview data and the journal of the researchers written during the study perio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Breathing in child care life', 'Jump beyond the limits of a new mother', 'Awareness of child growth and mother role', and 'Getting into the educational world'. These mothers' experiences brought about 'Widening the understanding of child and Infant education', it was 'Opportunity to constitute educational beliefs as parents' and it had the meaning of 'Going to the way of happy parenting'.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should expand support for infant’s parents and infant education. 이 연구는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문화센터에 참여한 경험과 그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 6명을 대상으로 2개월 동안 심층면담과 집단면담을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면담자료 전사본과 연구 기간 동안 작성한 연구자 저널이다. 연구 결과, 어머니들은 문화센터 참여를 통해 ‘육아 생활에 숨통 트기’, ‘초보 엄마 한계 뛰어넘기’, ‘자녀 성장과 엄마 역할에 대한 불안함 떨쳐내기’, ‘교육세계로 입문하기’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어머니들의 경험은 ‘자녀와 영아교육에 대한 이해 넓히기’를 가져왔고, ‘부모로서 교육적 신념 구성’의 기회가 되었으며 ‘행복한 육아방식 찾아가기’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가와 지역사회에서는 영아 부모 및 영아교육에 대한 지원을 넓혀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18-24개월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질적 탐색

        김교령(Kim, Kyo Ryoung),안예슬(Ahn, Ye Seul),이승연(Lee, Seung Yeo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30

        본 연구는 18-24개월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어머니의 양육에 대해 다각적으로 이해하고 이후 세분화된 부모지원을 위한 자료의 토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8-24개월 첫 자녀를 둔 어머니 1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개인 요인, 가족 요인, 사회 요인으로 나눌 수 있었다. 개인 요인은 성장경험, 양육관, 양육스트레스, 자녀의 특성에 대한 관점으로, 가족 요인은 부부관계, 가족의 지지로, 사회 요인은 사회의 영아관, 모성과 양육에 대한 사회의 관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요인은 어머니의 양육에 유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각 요인에 대한 부분적이고 분절된 정책 지원 외에 어머니의 양육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사회에서 영아, 모성, 양육에 대해 이해하고 배려하는 문화를 만들어갈 필요성과, 어머니 중심의 양육에서 벗어나 부모, 가족, 사회가 함께하는 양육으로 나아가야 함을 보여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arenting of mothers of rearing 18-24 month firstborn infan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various aspects of mothers" parenting an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detailed parent suppor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 mothers with their firstborn infants aged 18-24 months, and the data were genera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actors influencing mother"s parenting were largely divided into mother factors, family factors, and social factors. The mother factors included their own growth history, perspective on parenting, parenting stress, and perspective on the infant’s characteristics; the family factors included their marital relationship and family support; and the social factors included the society"s perspective on the infant, and on motherhood and child rearing. In addition, each factor organically influenced the mother"s parenting, working in a complex way. These findings imply the necessity of a comprehensive approach to mothers’ parenting rather than partial policy support for each factor. It also shows the need to create a culture that understands and considers infants, mothers, and parenting in society. Furtherm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e significance of moving from mother-centered parenting to co-parenting with father, family, and society 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