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하천 생태계를 위한 친환경 하이브리드 어도개발 및 적용

        변원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807

        최근 들어 환경과 생태계 보호 문제는 우리나라의 건설 사업에 있어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각종 건축물로부터 시작하여 국가 차원의 구조물에 이르기까지 자연과 하나 되는 구조물을 모색하기 위한 활발한 움직임을 눈여겨 볼 수 있다. 최근 자연환경보전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대두로 하천환경의 보전과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하천의 환경적 기능을 고려하는 관리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하천에 설치되어 있는 어도의 기능 및 운영관리 실태를 조사·분석하여 우리나라 중·소하천에 적합한 친환경적인 하이브리드 어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최적의 배합비 도출을 통한 어도용 블록을 제작하였으며, 이의 적용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오산리의 안성천 제2지류인 월동천(지방하천)에 어도를 설치하여 소상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친환경인 하이브리드 어도의 개량 및 보완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존 하천에 설치된 계단식, 버티컬슬롯식, 아이스하버식 어도의 기능 및 운영관리 실태를 분석한 결과 계단식 어도의 경우 단간 낙차가 고르지 못하고, 경사가 급하여 유속이 빠르므로 유영력이 떨어지는 물고기는 어도의 이용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버티칼슬롯식어도는 도류벽의 높이가 낮고 유속이 빨라 어도의 기능은 상당히 줄어들 것으로 생각된다. 아이스하버 현장타설식 어도는 격벽간의 거리가 너무 가깝고 어도의 입구 낙차가 크며, 수심이 없어 물고기의 이동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2) 우리나라의 중소하천에 적합한 어도형식은 유지관리 측면과 시공성을 고려한 하이브리드 어도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며 어도는 기본형, 좌측형, 우측형 등 3가지 형태로 설계되었고, 어도상부의 돌출부 형태는 자연스러운 경관형성과 다양한 유속대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어도내부의 잠공은 유지관리의 효율성과 내구성 향상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3) 초기 압축강도 평가 실험 결과 일반 콘크리트 시편의 압축강도에 비해서 압축강도가 평균 20~30kgf/cm2 의 강도 차이를 보였으며, 고령토량의 첨가가 적은 시편과 많은 시편의 압축강도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 이유는 고령토량에 따라 약간의 강도차이는 있지만 소석회와 일라이트와의 반응도 함께 포졸란 반응을 일으켰다고 사료된다. 또한, 고령토량 30%이상은 강도가 현저히 떨어진다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FW-5~8의 배합은 평균 288~306kgf/cm2의 강도를 확보하였다. (4) pH 측정 실험 결과 FW-1~4는 pH값이 최대 9.0에서 8.8까지 떨어지면서 그 상태를 유지하였고, FW-5~8은 최대 9.0에서 8.0까지 떨어지면서 pH값을 유지하였다. 두 경우 pH값이 0.8정도 차이가 나타났으며 시멘트 페이스트 pH 11의 값에 비해 현저히 낮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고령토량이 높을수록, 일라이트 첨가 여부에 따라 pH값이 비례적으로 낮게 측정되었다. (5) 동결융해 후 압축강도 평가 실험 결과 FW-1~8의 배합에서는 90싸이클 후 초기강도 280~306kgf/cm2에 비례해서 평균 250~260kgf/cm2의 강도를 확보함으로써 초기강도대비 80%이상의 강도를 확보하였다. 이것은 고령토와 고로슬래그가 포졸란 반응을 일으키며 일라이트와의 결합보다 소석회의 결합력이 더 우수하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이는 소석회의 주성분인 CaO가 고로슬래그, 고령토와의 포졸란 반응을 한다고 판단된다. 또한 일반 콘크리트 배합은 90싸이클 후 평균강도 280kgf/cm2의 강도를 확보함으로서 초기강도 대비 90%이상의 압축강도를 확보하였다. (6) 어도블록 재료 실험 결과들을 종합하여보면 FW-1~12의 배합 중 강도외 pH, 동결융해 실험결과가 에코 콘크리트 어도블록에 적합한 배합은 FW-5~8의 배합으로 모든 실험결과가 기준에 만족하였다. 따라서 고령토량이 25%, 일라이트 10%일때 소석회와의 반응이 최적배합이라고 사료된다. (7) ICP 분석을 통한 중금속 용출실험 결과에서 납, 카드늄, 육가크롬, 수은, 비소 등 중금속이 검출 되지 않았으며 황토 콘크리트 블록은 자연생태계 환경에 중금속 용출로 인한 영향은 끼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8) 월동천에서 2010년 8월부터 10월까지 채집하고 확인된 어류는 총 7과 18종 254개체였다. 이중 우점종은 피라미와 몰개, 긴몰개, 밀어로 전 조사개체수의 58.1%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은 흰줄납줄개 9.8% 다음은 떡납줄갱이 7.1% 다음은 붕어 5.5%를 차지하였다. 이들 10%이상을 점유하는 4종이 전체의 58.1%를 차지하였다. (9) 어도 조성 이전에 마둔보 상류에는 5과 12종의 어류가 서식하고 있으며, 마둔보 하류에는 8과 18종의 어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마둔보 상하류에서 회유성 어종은 조사되지 않았다. 어도 조성 이전의 마둔보 상하류간 서식지 유사도는 80이다. 어도 조성 이후에 마둔보 상류에는 6과 14종의 어류가 서식하고 있으며, 마둔보 하류에는 8과 18종의 어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마둔보 상하류에서 회유성 어종은 조사되지 않았다. 또한 마둔보 하류에서 조사된 왜매치, 미꾸라지 등은 상류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어도 조성 이후의 마둔보 상하류간 서식지 유사도는 87.5로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문헌을 통한 간접조사에 따르면 어도 조성이후가 이전보다 마둔보 상하류간 서식지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도 조성 이전과 어도 조성 이후의 두 조사 간 조사방법과 조사강도의 차이에 따른 결과로 판단된다. (10) 월동천 조사에서 어도를 가장 많이 이용한 어종은 피라미(26.2%), 몰개(21.5%), 긴몰개(16.8%), 밀어(9.4%), 떡납줄갱이(6.8%), 각시붕어(6.3%)순으로 이들 6종이 전체 개체수의 3/4이상을 차지하고, 흰줄납줄개(4.7%), 줄몰개(2.6%), 붕어(2.1%), 참붕어(1.6%), 돌고기(1.0%), 얼룩동사리(1.0%) 순이었다. 어도 이용 조사에서 나타났던 종들은 계절이 4-6월동안에 채집되었고, 채집시간이 주로 낮 시간대에 한정되었기 ??문에 야행성 어종의 물고기는 채집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농업용수의 이용과 강우, 수온 등의 영향도 어도 이용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11) 어도 이용 효율에 조사된 어류 10종 모두 담수어종이고 하천을 회유하는 어류는 조사되지 않았다. 조사된 어종 중에서 일반적으로 유영력이 좋아 어도를 이용할 것으로 알고 있었던 어종은 피라미 정도이고 나머지 종들은 어도를 이용할 필요가 없거나 유영력이 떨어져 어도를 이용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진 종들이었다. 이는 어도 내 웅덩이가 형성되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가능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지금까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추후의 연구 방향을 제안한다. 적용한 어도의 모니터링 기간이 짧아 충분한 조사기간을 가졌다고 볼 수 없으므로 향후 3년 이상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생물상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한다. 또한 다른 적용지와 비교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하이브리드 어도에 대한 효과는 대상지에만 한정될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추후 정부 지류지천 살리기 정책사업장 등 여러 곳에 설치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해 가는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시각적 가치 판단을 위한 환경조형물 감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소정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환경조형물의 시각적 가치 판단 미술교육을 진행해 미술을 삶 속에서 향유할 수 있도록 시각적 가치 판단을 위한 환경조형물 감상 프로그램 개발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시각적 소통 능력 향상과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 향상, 미적 감수성 향상을 핵심역량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학교 교육의 미술 교육은 체험과 표현의 측면에 편향되어 감상 수업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다. 학습자의 올바른 가치 판단을 위해서는 감상 활동이 조화롭고 균형 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2장에서는 환경조형물의 의미를 이해하고 시각적 가치 판단을 위한 환경조형물 감상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현행 미술교육에서 환경조형물 감상 수업의 실시 현황에 대해 분석하였다. 환경조형물의 이해와 감상 수업이 학교 현장에서 활성화되어 있지 않았으며, 환경조형물 및 시각적 가치 판단 미술교육의 이해도 부족, 교수 학습 자료의 부족 등 미술 감상 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3장에서는 환경조형물의 시각적 가치 판단을 위한 환경조형물 감상 프로그램을 3개의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제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지역의 상징성 관련 환경조형물 감상 프로그램’은 반응 중심 학습법을 활용한 수업 모형으로, 지역의 상징성 환경조형물을 앤더슨(T. Anderson)의 미술 비평을 적용하여 감상 활동을 진행하였다. 둘째, ‘지역의 역사성 관련 환경조형물 감상 프로그램’은 창의적 문제 해결법을 활용한 수업 모형으로, 지역의 역사성 환경조형물을 디자인하는 감상 활동으로 진행하였다. 셋째, ‘지역 주민의 정서성을 위한 환경조형물 감상 프로젝트 프로그램’은 프로젝트 학습법을 활용한 수업 모형으로 학습자가 스스로 주민의 정서성 환경조형물 감상을 프로젝트 학습을 통해 브라우디(H. S. Broudy)의 미적정사에 반영하여 조사, 분석하는 활동으로 진행하였다. 이처럼 세 가지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은 비슷하게 일어났다.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조형물을 통해 삶 속에 미술 활동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미적 감수성, 시각적 소통 능력,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이 함양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4장에서는 본 논문에서 개발한 시각적 가치 판단을 위한 환경조형물 감상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도출하고, 보완할 수 있는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적 효과는 첫째, 시각적 가치 판단의 기준 확립과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둘째, 환경조형물에 대한 지식 습득과 미술 감상 능력 향상되었다. 셋째, 주변 환경과 조형물간의 관계 이해 능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이러한 수업을 학교 교육 현장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시각적 가치 판단이 가능한 구체적인 비교 분석표를 제작하여 다양한 가치 판단 방법을 제공하여 가치 판단을 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환경조형물에 대한 사전 조사 방법을 학습을 하여 자신 주변과 지역에 있는 환경조형물을 효과적으로 조사할 수 있어야 한다. 교사가 제공한 조사과정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 계획을 세워 진행한 사전조사를 통해 자기 주도적인 미술 학습이 가능할 것이다. 셋째,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프로그램에서 프로젝트 학습을 환경조형물의 감상의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의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흥미를 확인하였고 구제적인 프로젝트 학습법을 학습하여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인 미술학습을 가능하도록 한다면 효과적인 교육적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환경조형물, 환경조각, 시각적 가치 판단, 프로젝트 학습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a program to appreciate environmental sculptures for visual value judgment so that high school students can enjoy art in life through art education on the visual value judgment of environmental sculptures. In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improvement of visual communication ability, self-directed art learning ability, and aesthetic sensitivity is presented as core competencies. However, art education in school is geared toward experience and expression and tends to neglect appreciation classes. For the learner to judge the correct value, appreciation activity should be harmonious and balanced. In Chapter 2,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 environmental sculpture appreciation program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environmental sculptures, determine their visual valu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 sculpture appreciation classes in art education. Classes on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environmental sculptures were not available at schools, lack of understanding in the appreciation of environmental sculptures and visual value judgment art education, and a lack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eachers. In Chapter 3, the environmental sculpture appreciation program was developed into three programs for judging the visual value of environmental sculptures, applied to high school students, and its results analyzed: 1. The "Regional Symbolism-related Environmental Sculpture Appreciation Program" was a class model using a reaction-oriented learning method. Appreciation activities were conducted by applying T. Anderson's art criticism to symbolic regional environmental sculptures. 2. The "Regional Historical Environmental Sculpture Appreciation Program" was a class model using a creative problem-solving method and was conducted as an appreciation activity to design regional historic environmental sculptures. 3. The "Environmental Sculpture Appreciation Project Program for the Emotionality of Local Residents" is a class model using the project learning method. It was reflected in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activities. As such, learners' responses to the three programs were similar. Through environmental sculptures that can be easily encountered in daily life, it was possible to enjoy art activities in their lives. It was confirmed that aesthetic sensibility, visual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directed art learning ability were cultivated. In Chapter 4, an educational effect was derived by applying the environmental moulding appreciation program for visual value judgment developed in this paper. An activation plan was presented to supplement it. First, establishing standards for visual value judgment and ability was improved as for the educational effect. Second,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bout environmental sculptures and the ability to appreciate art was improved.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sculpture was improved. As such, in order to apply these classes more effectively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the following activation plan was proposed. First, it is necessary to make a specific comparative analysis table that allows visual value judgment and provide various value judgment methods to make value judgm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learn the pre-investigation method of environmental mouldings to be able to effectively investigate them in and around oneself. Self-directed art learning will be possible through a pre-investigation conducted by the learners themselves, rather than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provided by the teacher. Third, specific education on project learning should be provided. In this program, project learning was used as a means of appreciating environmental mouldings. Students' interest in the project class was confirmed. Practical educational effects via the learner's self-directed art learning are possible by learning the concrete project learning method

      • 환경 농산물 유통개선에 관한 연구 : 산지유통실태를 중심으로

        최성길 명지대학교 부동산.유통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친환경농산물 시장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적극적인 친환경농업육성정책에 따른 친환경농산물 생산량 증가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국내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2008년에 약 3조 2,000억 원으로 전년대비 47% 정도 급성장하였다. 친환경농산물이 전체 농산물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 정도로 증가해 틈새시장에서 주류시장으로 진입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같이 친환경농업에 대한 사회적, 국제적 관심과 소비자의 선호에도 불구하고 친환경농산물 생산출하조직은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으며 환경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친환경농산물의 산지유통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유통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산지출하조직인 농협과 영농조직을 대상으로 실태를 파악하고 유통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친환경농산물 산지조직화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 하였으며, 둘째 시장지향적 마케팅전략 수립 시행이 매우 시급하다고 판단하여 구체적인 대안을 몇 가지 제시하였다. 셋째 친환경농산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위한 제안도 언급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불충분했던 향후 연구과제로 유통전체의 단계별 문제점과 개선 대책을 제시하여 앞으로 친환경농산물의 시장 확대로 농가소득증대에 기여하기를 바라는 바이다. The market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ased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grams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has been expanding continuously. Its domestic market size grew about 3.2 trillion won, which is up to 47 per cent higher than the last year. These products in total market shares rose to 10 per cent, moving from niche to mainstream market and are, also, expecting to continue to grow. Even though the social and international interests and preferences of consumers are getting bigger, their association of shipments have been smaller and failing to adapt to environmental changes. Therefore, it is to present possible solutions of distribution problems by analysing to improve the distribution shipments. First, it is to suggest the direction and need on the origin about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Second is the market aimed strategies because of an urgency and a few concrete alternatives proposed. The other is a reliable system upon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Consequently, future research in this study were insufficient to complete each stage of distribution problems, so it is to suggest measures to improve the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future as the market expands to contribute to increasing farmer's income.

      • 환경 초고층 건축 설계에 있어서 자연채광 기법에 관한 연구

        정대교 동국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건축에 있어서 자연채광의 유효이용은 인간의 심리적, 생리적면에서 그 활용가능성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태양광은 인간의 건축공간에 필수불가결한 자연환경요소인 동시에 자연채광에 의한 개방감, 쾌적감, 생동감은 생활의 리듬과 활력소가 되는 건강요소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날 초고층 건물에서 대두되는 환경적 요인을 극복하고 에너지 절약과 환경부하 경감, 거주자의 건강과 쾌적성, 건축의 지속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친환경 초고층 계획의 중요성이 점차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기존에 이미 적용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는 자연채광 기법과 친환경 초고층 건축에 적용되고 있는 자연채광 기법의 사례분석을 통해 이러한 요소들이 초고층 건축물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분석해보고 그 중 아트리움 방식이 적용된 초고층 오피스 건물의 채광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Autodesk ECOTECT Analysis 2010을 도구로 활용하여 실내조도의 변화를 분석/시뮬레이션 하였다. 본 연구는 총 5장으로 구성된다. 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및 방법과 절차에 관하여 서술하였다. 2장 ‘초고층 건축에 관한 고찰’에서는 초고층 건축의 이론적인 배경 및 특성과 역사를 분석하였으며, 오늘날 초고층 건축이 가지는 의미와 특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오늘날 초고층 건축에서 대두되는 환경적 요인을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친환경 초고층 건축의 개념과 의미도 알아보았다. 3장 ‘자연채광의 개념 및 특성’에서는 건축에서의 자연채광의 의미를 이해하고 기존 중, 저층에 집중되어 있는 자연채광 기법을 분석 정리하였다. 4장 ‘자연채광을 활용한 친환경 초고층 건축 설계’에서는 초고층 건축에서의 자연채광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기존 친환경 초고층 오피스 건물에 적용된 자연채광 기법들을 분석,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Autodesk ECOTECT Analysis 2010을 활용하여 친환경 초고층 건물에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된 아트리움 기법의 효과를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5장 ‘결론’에서는 각장에서 얻어진 기초 자료들을 토대로 앞으로 추구해야할 친환경 초고층 건축물의 자연채광 기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흐름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초고층 건물에 적용된 기법들은 기존의 중,저층에 적용되고 있는 자연채광 기법을 모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하지만 건축 계획 초기단계에서부터 전문가들이 설계 과정에 참여하여 수익성을 위해 꽉 들어찬 용적의 초고층 건물이 아닌 재실자들의 쾌적함과 건강, 환경적 측면에서의 에너지 절약을 위해 일정부분을 자연광 유입에 할애한다면 보다 더 나은 가치를 가진 초고층 건물이 될 것이다. In architecture, Effective use of daylighting shows various application possibility in human psychology and physiology. Solarlight is indispensible to architectural space. At the same time, Openness, comfortability, and freshness are also healthy constituents in daylighting which will be a fillip and rhythm in life. For that reason, Importance of environment-friendly skyscraper plan which overcame environmental factors becoming issue in skyscraper and considered energy saving, reduction of environmental load, health of resident and sustainability of building, etc. is expected to grow more and mor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how daylighting techniques which were already being used in skyscraper were applied to skyscraper. And change of interior illuminance was analysed and simulated by using Autodesk ECOTECT Analysis 2010 to find out daylighting effects of high-rise office building applied by Atrium, one of techniques. This study is composed with five chapters. Ⅰ. Introduction - Background, purpose, method and procedure of the study. Ⅱ. Consideration about skyscraper. Ⅲ.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daylighting. Ⅳ. Environment-friendly skyscraper design using daylighting. Ⅴ. Conclusion - Suggestion about daylighting techniques of skyscraper. As you can see in this study, Techniques used in skyscraper have limits in applying all daylighting techniques that is used in mid to low building. However, in the architectural planning stage, If experts devote some parts to natural light to save energy in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not to pursue profitability by maximizing floor area, skyscraper will be more worthy.

      • 선진사례 비교연구를 통한 친환경 주거단지 계획요소 및 기준 타당성 연구 : 개발도상국(몽골) 사례를 적용하여

        김성철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is a major global challenge. Due to the increase in greenhouse gases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temperature of earth is rising, which causes climate change and weather threat. In order to escape from this biggest global problems, each country is trying to prepare and implement mechanisms that can entangle itself, such as the Tokyo Protocol and the Paris Climate Agreement. Eco-friendly residential complexes were also implemented as part of these efforts. In order to reduce the emission of houses and buildings, which account for 40% of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to provide a better environment for residents, a new residential concept called an eco-friendly residential complex was born. Unlike Europe, which studied and demonstrated eco-friendly residential complexes in the early 1990s according to the Tokyo Protocol, Korea started researching and demonstrating eco-friendly residential complexes in the late 2000s. However, Korea is demonstrating Korea's unique eco-friendly housing complex by combining various residential complexes and new town development experiences with excellent eco-friendly IT technology. Accordingly, the key planning factors were studied by type of major examples of eco-friendly residential complexes in Europe created during the Tokyo Protocol era, and the examples of eco-friendly residential complexes created or planned after the Paris Climate Agreement, centering on the Zero Energy Town, among eco-friendly residential complexes in Korea. want to derive And based on the derived core factors, we deduce the essential elements applicable to developing and underdeveloped countries that actually need eco-friendly housing complexes, and conduct a study to present the planning standards for the essential elements to determine the standards applicable to the under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wanted to present. Accordingly, the essential introduction factors derived from the case study ar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nd cogeneration power generation, improved insulation and heat exchanger. Housing layout, community farm, etc.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derived plan elements, the feasibility was reviewed by applying it to the Ulaanbaatar Ger Region Redevelopment Project (AHURP) in Mongolia, which is implementing the eco-friendly residential complex project. It was concluded that it is possible to introduce eco-friendly residential complexes in under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only through the support of international institutions or policies. Accordingly, international support policies, national policies, and designa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s for development factors were suggested as policies. In-depth analysis was difficult due to the lack of data from case studies, but I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under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suffering from global warming and consequent climate change to reduce GHG emissions. 온실가스 감축은 전 지구적인 숙제이다. 산업혁명 이후 온실 가스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증가하는 온실가스로 인해 지구의 온도는 상승하고 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다양한 기후변화와 기상이변들이 발생하고 있다. 그에 따라 각국은 지구적인 위협에서 벗어나고자 도쿄 의정서와 파리기후협약 등 스스로를 얽맬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고 이를 실행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친환경 주거단지는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온실가스 배출량의 40%를 차지하는 주택 및 빌딩의 배출량을 감소시키고 주민들에게 더 좋은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친환경 주거단지라는 새로운 주거개념이 생겨났다. 유럽지역은 도쿄 의정서에서 따라 1990년대 초반에 친환경 주거단지를 연구하고 실증하였지만 한국은 2000년대 후반부터 친환경 주거단지를 연구하고 이를 실증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한국은 다양한 주거단지, 신도시 개발경험과 우수한 친환경 IT기술 등을 접목하여 한국만의 친환경 주거단지를 실증해 나가고 있다. 본 연구는 친환경 주거단지의 주요 요소들을 도출하기 위해 도쿄 의정서 시대에 조성된 유럽의 친환경 주거단지 주요 사례들을 종류별로 연구하고 파리기후협약 이후에 조성되거나 계획된 한국의 친환경 주거단지 중 제로에너지 타운을 중심으로 친환경 주거단지의 사례를 연구하여 친환경 주거단지의 핵심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앞서 도출된 핵심 요소들을 기반으로 친환경 주거단지가 실질적으로 필요한 개발도상국에 적용 가능한 필수 요소들을 도출하고 필수 요소들에 대한 계획기준을 제시하는 연구를 시행하여 개발도상국에 적용 가능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사례연구를 통해 도출해낸 필수 도입요소는 태양광발전과 열병합발전, 향상된 단열제와 열교환기이며, 지역에 따라 바뀌는 계획요소는 보차분리, 상향된 밀도계획, 일조 및 바람길을 고려한 주택배치, 커뮤니티 팜 등이 산출되었다. 도출된 계획 요소들은 친환경 주거단지 사업을 시행중인 몽골 울란바토르 게르(Ger) 지역 재개발사업(AHURP)에 적용하여 재무적 타당성을 검토하여 보았다. 그러나 이자율 및 장기화된 주택비용 등의 문제로 재무적인 타당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발도상국에 친환경 주거단지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국가적인 정책 또는 국제기관의 지원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결론으로 국제적인 지원정책이나 국가정책, 그리고 개발요소들에 대한 국제표준 지정 등의 정책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의 자료의 부족으로 친환경 주거단지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어려웠던 점이 연구의 한계이다. 그리고 재무적 타당성 분석이외에 친환경 주거단지에 대한 환경오염 저감효과 및 그에 따른 사회비용감소, 신규 일자리 창출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다양한 사회, 환경 인자를 도입한 경제성 분석을 통해 개발도상국에 친환경 주거단지를 건설하는 것에 대한 타당성을 분석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이번 연구가 지구온난화와 그에 따른 기후변화로 고통 받고 있는 개발도상국 온실가스 감축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환경감수성 함양을 위한 가상체험 콘텐츠 활용 방안

        길내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this study, virtual experience contents can be utilized for environmental sensitivity education in the real field by developing a program that can enhance environmental sensitivity by utilizing virtual experience contents, and utilizing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key elements, principles, and steps that an environmental sensitivity education program using virtual experience contents should have were established through the analysis of prior research. After that, by analyzing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5th to 6th grade, appropriate educational contents for enhancing environmental sensitivity were extracted, and related virtual experience contents were established and selected. Afterwards, a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and materials that can utilize the selected contents were develope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e elements that an environmental sensitivity education program must have are empathy-capable content, emotional activity elements, and immersion. These three factors influence each other, and when all three factors are present, they are effective. Based on these three factors, the principles of program development were derived, and the program stages consisting of exploration-experience-reinforcement were developed. Second, by analyz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extbook content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5th∼6th grade curriculum using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category of previous studies, contents dealing with environmental sensitivity were extracted, and 5 program themes were selected. Third, virtual experience contents suitable for learning topics were selected, and a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a total of 7 lessons were developed. When developing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it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and stages of the program derived from this study. Comb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use of virtual experience contents in environmental sensitivity education has several positive effects, and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program in the actual curriculum. The content of the class can vary depending on the virtual experience content used, and it can be said that the application methods are limitless. Therefore, it seems that a follow-up study on educational methods using virtual experience contents is needed not only in environmental sensitivity but also in other environmental education fields. 본 연구는 가상체험 콘텐츠를 활용하여 환경감수성을 신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실제 현장에서 환경감수성 교육에 가상체험 콘텐츠가 적절히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가상체험 콘텐츠를 활용 한 환경감수성 교육 프로그램이 갖춰야 할 핵심 요소와 원리, 단계를 설정하였다. 이후 2015 개정 초등학교 5∼6학년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분석하여 환경감수성 신장에 적절한 교육 내용을 추출하고, 관련된 가상체험 콘텐츠를 기준을 세워 선정하였다. 이후 선정한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과정안과 자료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감수성 교육 프로그램이 갖춰야할 핵심요소는 감정이입 가능 콘텐츠, 정서적 활동 요소, 몰입이다. 이 세 가지 요소는 서로 영향을 주며, 세 요소가 모두 갖춰졌을 때 그 효과를 발휘한다. 이 세 요소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개발 원리를 도출하였고, 탐색-체험-강화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의 단계를 개발하였다. 둘째, 선행연구의 환경감수성 범주를 활용해 2015 개정 초등학교 5∼6학년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여 환경감수성을 다루고 있는 내용을 추출하였고, 5개의 프로그램의 주제를 선정하였다. 셋째, 주제를 학습하기에 적절한 가상체험 콘텐츠를 선정하고, 총 7차시 분량의 교수·학습 과정안과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할 때에는 본 연구에서 도출한 프로그램의 원리 및 단계에 따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환경감수성 교육에서 가상체험 콘텐츠의 활용은 여러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실제 교육과정 속에서 프로그램의 운영이 가능하다. 활용하는 가상체험 콘텐츠에 따라 수업의 내용이 다양해질 수 있으며, 활용 방안은 무궁무진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감수성 뿐만이 아니라 다른 환경교육 분야에서도 가상체험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진로교육과 연계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교수‧학습 방안

        김지소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진로교육과 연계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환경문제 해결 의지 함양을 위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구현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5∼6학년(군) 교과서 중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국어, 도덕, 사회, 과학, 실과, 미술 6과목의 교과서 및 지도서의 환경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진로교육과 연계할 수 있는 내용을 추출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문제 상황 발견 – 문제 해결 방법 탐색 – 생각의 확장 – 관련 직업 탐색 – 평가의 5단계의 모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환경교육이라는 통합적인 성격에 맞게 교과 시간을 이용하여 운영하거나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5∼6학년(군) 교과서 및 지도서의 환경교육 관련 내용을 국가 수준 환경교육 기준 개발 연구의 내용 체계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주제를 선정하고 진로교육과 연계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환경교육이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진로교육과 연계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교과 시간,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통하여 통합적인 관점에서 지도할 수 있도록 국가, 지역 사회 및 가정과 연계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셋째, 진로교육과 연계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스스로 환경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환경문제 해결 능력뿐만 아니라 의사소통능력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도록 구성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종합하면, 진로교육과 연계한 초등학교 환경교육은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학생 중심의 문제 해결 과정을 통하여 환경문제 해결 의지 및 환경 소양을 함양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다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하여 향후 보완해야 할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주거환경정비사업의 지속가능성 평가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朴貴童 충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1970년부터 발전해 온 지속가능한 개발은 이제 전 세계적인 패러다임이 되었다. 특히 심각한 환경파괴의 주범인 도시가 물리․환경적, 사회․문화적, 경제적 지속가능한 도시로의 변화는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1960년대부터 시작된 산업화의 바람과 경제성장으로 도시의 무분 별환 확산과 환경파괴, 도심 공동화 현상에 따른 지역경제의 쇠퇴, 도시안의 불량주거단지로의 변질로 도시 저소득층의 불편과 열악한 주거환경, 이로 인한 신도시와 구도심간의 격차로 인한 여러 가지 사회문제까지 발생하여 구도심과 불량주거지역에 대한 주거환경정비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해외의 환경선진국이 주거지 정비를 함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계획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것과는 달리 국내의 주거환경정비사업은 사업성에 많은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계획요소가 건축차원에서 부분적으로 제한적이며 표면적으로만 적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거환경정비사업의 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주거환경정비사업의 전략 및 계획요소를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분석해 보고, 주거환경정비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전문가를 통해 계획요소의 중요도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앞으로 추진될 주거환경정비사업 유용한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의 진행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선행연구와 이론 고찰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개념, 전략 및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5개의 선행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전략 및 계획요소를 도출해낸다. 둘째, 위에서 도출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전략 및 계획요소를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주거정비사업의 전략 및 계획요소로 재 도출하여 지속가능성 측면(물리․환경적, 사회․문화적, 경제적)별로 분석의 틀을 만들었다. 셋째, 심층사례 연구를 하기 전에 우선은 “2020 대전광역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의 세부 부문별 계획요소를 토대로 대전광역시 주거환경정비사업을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고찰해 본다. 그리고 대전광역시 주거환경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복수동 2구역 주택재개발사업, 대성동 2구역 주택재개발 사업, 삼성도 1구역 주택재건축사업, 이 3개의 사업구역을 선정하여 위에서 만든 분석의 틀로 지속가능한 측면별로 적용실태를 분석하였다. 넷째, 지속가능한 측면에서 주거정비사업의 전략 및 계획요소들을 전문가 설문을 통해 중요도를 우선순위로 찾아내어 국내 지속가능한 주거정비사업을 위한 적용방향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해 주거환경정비사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우선적으로 적용해야할 중요 계획요소들을 도출하고, 이를 현재 우리나라의 주거환경정비사업의 지속가능성 측면의 계획요소 적용실태와 비교하고, 주거지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우선 적용되어야 할 중요계획요소들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developing since 1970, and now has become a global paradigm. Especially, the change of the cities, 'the main reason for environmental degradation', into the physically, environmentally, socially, culturally, and economically sustainable cities, became an important buzzword. And in our the country,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 economic growth since the 1960's, have caused many problems: the decline of local economy due to the reckless proliferation of city, the destruction of environment, and urban cavitation; the inconveniencies of the low income class people and deteriorated residential environment, due to the deterioration of city's poor residential area; and its consequent gap between New Town and Old Town. Thu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with respect to the Old Town and the poor residential areas are being performed. However, unlike the cases in which the foreign countries that have been environmentally advanced, have positively reflected the strategic element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the domestic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focused more on the business feasibility, and therefore, the planning elements were partially limited in the architectural aspect and applied only superficially. Thus, this study will analyze the strategies and the planning element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in the sustainable aspects, and derive the importance priority of planning elements for the sustainabi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through the experts, to make them be used for the useful data for the futur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For this, following process have been used for the study. First, through the precedent studies and the contemplation of theory, the concept, the strategy and the planning elements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have been derived and through 5 precedent studies, the strategy and the planning elements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have been derived. Second, the strategy and the planning elements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derived as above, have been derived again into the strategy and the planning elements for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in the sustainable aspect, and the frameworks for analysis by the sustainable aspect(physical,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aspects) were produced. Third, before the in-depth case study was performed, Daejeon Metropolitan City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will be contemplated in the sustainable aspect, based on "2020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Master Plan". And then 3 project areas: Boksu-Dong Zone 2 residential redevelopment project, Daeseong-Dong, Zone 2 residential redevelopment project, and Samsung-Dong, Zone 1, housing reconstruction projects, being implemented at the moment, as a part of the effort for Daejeon Metropolitan City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were selected; and its application has been analyzed by sustainable aspect, through above frameworks for the analysis. Fourth,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the experts, the importance in the order of priority, with respect to the strategy and the planning elements of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s, in the sustainable aspect, were discovere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its applic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domestic sustainable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s. Through these research methods, experts will derive the important planning elements which should be applied preferentially and compare them with the state of its applications, in the sustainable aspect of domestic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and as a result, the important planning elements, which are now being overlooked but should be applied, will be identified. The result of analysis of Through case studies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in the aspect of sustainabilit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ought that the planning elements have been applied to efficient land use, green transportation, and eco-greens, to some extent, in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aspect. However, with respect to energy efficiency of energy circulation, the planning elements were partially and insufficiently applied. Thus, the interests and studies for the transition from the unilateral flow of the resources to the circulation are required, and the positive application of the natural and the renewable energy, which will replace fossil fuels, is needed. Second, in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securing space and the facilities for community is applied to some extent. However, the rental housing construction for the resettlement original residents is limited to the redevelopment project, the introduction of Social Mix concept for the coexistence of stratum and age is applied to only one case area out of 3 areas for the floor area incentive. And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the elements which can be developed by the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environment, is not reflected.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the planning elements for the resettlement of the original residents is required, so that the residents can participate in the planning stage of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for social community, and th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to community for the co-existence of stratum and age, can be activated; the application of the planning elements in the cooperation with the residents from the stage of project planning, for th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local culture, are required. Third, in the economic aspects, 2 case areas out of 3 areas are establishing the energy-saving measures, through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but it application is insufficient for the economic sustainability. In all 3 case areas, self-contained economic structure and financial support and the preparation of institutions, are not realized in the aspect of sustainability. Thus, for the economic stability, in the sustainable aspect for the low income class people for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self-contained economic structure for maintaining the housings, financial stability of low income class people at the time of the implementation of project, and the politic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for the seamless projects, are required. In the futur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should be implemented in the aspect of sustainability derived as above. And for that, the cooperation among municipalities, residents, 'the business principals', and the institutional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aspects, as well as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and economic aspects, can be integrated, for its application.

      • 경북지역 초등학교 영양사의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식 및 사용실태 조사

        박경애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경북지역 초등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식, 친환경농산물 사용실태, 친환경농산물 사용 확대 방안을 조사함으로써 사용 확대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경북지역 초등학교 영양(교)사 2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자료의 처리는 SPSS Windows(Ver. 15.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빈도와 백분율 또는 평균과 표준편차, T 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F 검정), Tukey 검정법, 교차분석( 검정)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으로 급식 유형은 도시형과 농&#8228;어촌형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급식 운영 유형은 자체조리 비율이 현저히 높았다. 배식 방법은 식당배식형태, 학부모 부담 총 급식비(우유비 제외)는 평균 1,557원, 근무 경력은 15년 이상 40.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평균 근무 경력은 13년, 고용 형태는 정규직이 75%, 연령은 40대 이상이 과반수, 최종 학력은 전문대이상 대학교 졸업이 66.7%로 조사되었다. 2. 조사대상자의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 개념, 사회 기여도, 교육·홍보 인식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나, 인증제도에 대해서는 확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무엇보다 필요로 하고 있으며 친환경농산물 사용이 친환경 농업육성과 아동 건강 발달에 상당히 큰 기여를 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교과관련 수업활동이나 친환경농업현장 방문 등의 교육방법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3.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별 인식 차이는 사회 기여도 인식에서 연령에 대해서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었다(p<0.05). 사용 실태 차이는 고용 형태에 대해서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었다(p<0.05). 사용 확대 방안 차이는 고용 형태(p<0.05), 연령(p<0.05)에 대해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었다. 4. 친환경농산물의 사용 실태 조사결과, 90% 이상의 학교에서 사용하고 있었으며 건강상의 안전성을 위해서 사용한다고 조사되었다. 친환경농산물의 최초 사용시기는 82.5%가 2005~2008년에 사용하기 시작했다. 친환경농산물 월 식품비 중 차지 비율은 20% 미만이 대부분이었고 일반부식과 함께 구매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증서로 대부분 확인하고 있었으며 조리법은 밥, 생채/쌈 순으로 이용했다. 학교홈페이지, 가정통신문 이용 순으로 교육 및 홍보를 실시했다. 5. 친환경농산물의 품목별 사용실태는 조사한 33개 식품 중 최다 사용 식품으로 콩나물 59.4%, 사과 52.0%, 방울토마토 49.5%, 찹쌀 45.3% 순으로 조사되었다. 일반농산물의 사용 빈도를 살펴보았을 때 배추, 양파, 당근, 무, 감자, 파, 마늘, 생강에 대해서는 95.0% 이상 일반농산물을 사용하고 있었다. 6. 친환경농산물의 사용 확대 방안 조사결과, 종류와 물량확보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방법은 지역단위 학교급식지원센터 설치 후 학교공급이 가장 많았다. 예산지원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확대가 84.3%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친환경농산물 사용 시 가장 시급한 개선점은 적정한 가격, 원활한 물량수급, 안전성에 대한 신뢰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친환경농산물의 신뢰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매스컴이나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제공의 기회 확대와 교과목과 연계한 영양교육이나 지역 친환경농업현장 방문 등 체험활동의 기회가 필요하다. 또한 생산자에 대한 지도 단속 강화, 검사대상지정기관에 대한 철저한 사후관리시스템 확립, 강력한 행정 처분, 정기적인 잔류농약검사 의무적용 등도 필요하다. 다양화와 물량확보를 위해서는 지역단위 학교급식지원센터, 학교급식 식자재 유통사업단, 공동물류센터 등의 설치가 필요하다. 사용 확대를 위한 추가 비용 부담은 지방자치단체의 건강한 지역민 육성, 지역 친환경 농업 육성, 환경과의 조화를 위해서도 지방자치단체의 지원금 확대는 계속 지속되어야 한다. 학교급식 유형에 따라 농촌형, 도시형, 소규모 학교에 따른 차등 지원이 필요하다. 잔류농약허용기준을 가장 많이 초과하는 엽채류 중, 김치의 주성분인 배추에 대해서는 친환경농산물 사용이 적극 권장된다. MA Thesis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Nutritionists' Recognition and Use of Eco-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Gyungsangbuk- do Kyung Ae Park Department of Nutritio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Advised by Professor Kyung Ryu)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a promotion plan by examining the recognition for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use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promotion plan for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argeting elementary school nutritionits in Gyungsangbuk-do.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204 elementary school nutritionists in Gyungsangbuk-do, which was analyzed using SPSS Windows(Ver. 15.0). Also conducted were frequency and percentage or average or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one-way ANOVA(F-test), Tukey test, and Crosstabulation(-test). The study result was as the following: 1. Types of school lunch, general aspects of the subjects, were shown similarly both in urban and rural type. In case of types of school lunch management, a majority of the subjects were self-cooking, while restaurant distribution regarding distribution type, average KRW1,557 of total school lunch fee paid by parents (milk cost excluded), and 40.1% of the subjects with over 15 years of work experience ranked the highest. Average work experience was 13 years and 75% was working as a permanent employee. Meanwhile, most of them were over their 40s and 66.7% had a degree at a community college at least. 2. The study result on the recognition for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showed that although the subjects had high recognition on the concept, social contribution, and education and promotion, they were uncertain about the certification system. They were in great need for support from the community and aware of the fact that eco-friendly agricutural products are contributing heavily to promotion of eco-friendly agriculture and healthy developmet of children. However, they showed a passive attitude toward curriculum-related class activities or visiting an eco-friednly agricultural site. 3. Differences in recognition for each general aspect were most strongly shown in age only in terms of social contribution (p<0.05). In the meantime, significant differences of use were indicated in employment type only (p<0.05). Also, employment type (p<0.05) and age (p<0.05) had noticeable differences in terms of promotion plan. 4. The study result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showed that over 90% of schools were using them for health safety reason. 82.5% of the subjects responded their initial use of eco-friendly agricutural products as between 2005 and 2008. Below 20% were expended as monthly food expenses in purchasing eco-friendly products and with additional side dishes. The subjects were mostly checking the food with a certificate and cooking according to the order of rice and raw vegetable or lettuce. Meanwhile, they carried out education and promotion on the school website most followed by a school newsletter. 5. Over use of each eco-friendly agricutural product, most widely used product was bean sprout (59.4%), apple (52.0%, tomato (49.5%), and sticky rice (45.3). In matters of frequency of general agricultural products over 95.0% were using general agricultural products as cabbage, onion, carrot, radish, green onion, garlic, and ginger. 6. The study on the promotion plan of eco-friendly agricutural products suggested that the subjects were dissatisfied with product types and securing of the sufficient quantity. School supply after setting up a community-based school lunch support center ranked the highest as a purchasing method. For the budget, the community's promotion plan took the majority (84.3%). The most urgent improvements while using eco-friendly products inlcuded adequate price, smooth supply, and crecibility in safety in the order of ratio. The following can be suggest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re are several requirements in order to establish credibility of eco-friendly agricutural products; 1) Expansion of chances to transfer information through mass media, and nutrition education along with a textbook or an experience program including visiting the local community, and 2) enhancement of guidance for a producer, creation of a strict follow-up system for an appointed inspection authority, reinforced administrative measure, and application of mandatory checkup for pesticide residue on a regular basis. For diversity and securing of the sufficient quantity, it is required to prepare a community-based school lunch support center, distribution business for school lunch food supplies, and a joint distribution center. In terms of additional expenses for the promotion plan, the community must keep supporting the promotion plan for raising of healthy community reesidents, nurturing of eco-friendly agriculture, and harmony with the environment. Additionaly, the support must be served at the differentiated level according to the type of school lunch, for example, an urban or rural and a small school type. Eco-friendly agricutural products are strongly recommended for leaf vegetables, especially cabbage the major source for kimchi, that excceed the permitted pesticide residue standards the most.

      • 탐구 중심 환경교육을 통한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발전 및 통합적 물 환경교육을 위한 교재화 연구

        양명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환경문제 해결이라는 외재적 목적을 중심으로 발전한 환경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각 교과에서 분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 환경교육의 발전 방안에 대한 논의에서 시작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탐구 중심 환경교육의 의미와 가치를 재조명하여 탐구 중심 환경교육의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초등 환경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모색하고, 초등 물 환경교육에 필요하고도 적합한 내용을 환경교육을 위한 환경학의 관점으로 체계화하는 교재화 연구를 통해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초등 물 환경교육 교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구 중심 환경교육의 의미와 가치를 이론적 고찰을 통해 재조명하고, 기존의 환경교육이 도외시한 환경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발견하고 학습자가 세상을 바르게 ‘볼 수’ 있는 환경적 관점을 형성함으로써 환경문제 해결이라는 외재적 가치 또한 달성될 수 있음을 밝혔다. 둘째, 환경교육의 원칙을 통해 탐구 중심 환경교육이 초등 환경교육에서 갖는 함의를 밝히고, 탐구 중심 환경교육의 이론을 바탕으로 각 교과에서 분산적 접근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 환경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총체적이고 통합적인 초등 환경교육을 위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셋째, 환경교육의 핵심 개념과 원리에 해당하는 환경교육 내용에 관한 이론적인 고찰을 통해 총체적이고 통합적인 물 환경교육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로 하여금 환경과 환경 문제를 바르게 ‘볼 수’ 있도록 하는 물 환경교육을 위한 교재화 연구를 진행하였다. 넷째, 환경교육을 위한 환경학의 관점으로 초등 교육과정 상의 물 환경교육내용을 분석하고, 물 환경의 기본 개념 및 원리를 도출하여 물 환경교육의 내용이 될 수 있는, 되기에 필요하고도 적합한 주제를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선정된 주제를 중심으로 총체성과 통합성을 지닌 내용으로 구성된 물 환경교육 교재를 개발하여, 초등 물 환경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따라 각 교과에서 분산적 접근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 환경교육의 총체적이고 통합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탐구 중심 환경교육에서 추구하는 내재적 가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실현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탐구 중심 환경교육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환경교육을 위한 환경학을 중심으로 초등 교과교육에서 분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물 환경교육에 관한 교재화 연구를 통해, 물 환경을 바르게 ‘볼 수’ 있게 하는 교육내용의 원천을 마련하여 총체적이고 통합적인 초등 환경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방법론과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