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호스피스자원봉사자의 역할스트레스가 소진 및 조직헌신과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김인태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호스피스자원봉사자의 역할스트레스가 소진 및 조직헌신과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김 인 태 (지도교수 : 조영하)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병원경영학과 본 연구는 호스피스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역할스트레스가 소진 및 조직헌신과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호스피스자원봉사자의 스트레스 감소와 호스피스자원봉사자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고 이들 조직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전국 8개 종합병원의 호스피스자원봉사자 274명을 대상으로 2014년 10월부터 2개월에 걸쳐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1.0 및 AMOS Ver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 경로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조사대상 호스피스봉사자의 특성 중 여성봉사자, 자신의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느끼는 봉사자들의 역할스트레스 수준이 더 높았다. 하위 영역 스트레스 중 역할갈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봉사기간이었고, 역할모호성은 성별과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매개 변수인 소진과 조직헌신의 변이에서는 정서적 탈진은 성별, 비인격화는 연령, 학력, 월수입, 년간 봉사 횟수, 성취감 감소는 성별, 학력, 건강상태, 년간 봉사 횟수, 종속변수인 이직의사는 연령, 년간 봉사 횟수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셋째, 경로분석 결과 역할갈등, 역할모호성, 역할과다 등 역할스트레스 하위 영역 변수들은 소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으며, 조직헌신에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모두 나타내었고, 종속변수인 이직의사에는 모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소진은 조직헌신에 직접효과를 나타내었고, 이직의사에는 간접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조직헌신은 이직의사에 직접효과만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호스피스자원봉사자들의 역할모호성, 역할과다 등과 같은 역할스트레스는 이들의 소진, 조직헌신에 영향을 주어 이직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호스피스자원봉사자 조직과 봉사자들은 역할스트레스와 관련된 요인들을 파악하여 이를 개선함으로서 조직헌신을 향상시키고 소진과 이직의사를 감소시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 말기암환자의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와 만족도조사

        최광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6

        말기암환자가 지각한 호스피스자원봉사자의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 및 만족도를 파악함으로써 자원봉사자의 서비스수준을 높이는 간호중재에 반영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말기암환자가 요구하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서비스 요구도와 자원봉사자들이 제공한 서비스의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2002년 3월 8일부터 8월 31일까지 호스피스를 시행하고 있는 시 지역의 9개 병원에서 말기 암환자로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서비스를 받았으며, 호스피스를 시행하고 있는 병원에 입원중인 환자 8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도구는 최상순. 허혜경과 박소미 (2000)가 개발한 자원봉사자의 호스피스활동 측정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PC+ Win 8.0을 이용하여 Frequency, Percent,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말기암환자의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서비스에 대한 요구도는 35점∼261점 범위에 평균 182점, 평균평점 2.68점이었으며, 하위영역별 평점은 정서적 돌봄 (3.12점), 영적 돌봄 (3.11점), 신체적 돌봄 (2.50점), 사회적 돌봄 (1.80점)의 순이었다. 2. 말기암환자의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11점∼256점 범위에 평균 174점, 평점 2.56점이었으며, 하위영역별 평점은 정서적 돌봄 (2.97점), 영적 돌봄 (2.92점), 신체적 돌봄 (2.53점), 사회적 돌봄 (1.50점)의 순이었다. 3. 말기암환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는 종교 (t=2.11, p=.045)와 학력 (F=6.46, p=. 021)에 따라서, 만족도에서는 종교 (t=2.23, p=.041)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말기암환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 자원봉자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와 만족도에서는 투병기간에 따라서 요구도 (F=6.75, p=.032)와 만족도 (F=5.48, p=.041)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말기암환자의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와 만족도는 순상관 관계 (r=.623, p=.001)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에서 말기암 환자의 자원봉사자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는 인간을 총체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특히 말기암환자의 요구와 서비스 만족에 초점을 두고 활동할 수 있는 능력이 구비되어야 하며, 환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descriptive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level of needs and satisfaction with hospice volunteers' care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hospice volunteers' service and then providing basic data in an effort to increase the level of patient satisfaction with hospice servic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March 8, 2002 through August 31, 2002. The subjects consist of 82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who were given care from hospice volunteers at nine hospice facilities. The research instrument was adapted from the measurement instrument developed by Choi et al, Data were analysed in terms of Frequency, Percentil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using SAS/ WIN 8.0 P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level of needs hospice volunteers' service: minimum score(35 points), maximum score(261 points), mean score(182 points). Subdivision scores were, in descending order, mental support(3.12 points), spiritual support(3.11 points), physical support(2.50 points), and social support(1.80 points). 2.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level of satisfaction with hospice volunteers' service: minimum score(11 points), maximum score(256 points), mean score(174 points). Subdivision scores were, in descending order, mental support(2.97 points), spiritual support(2.92 points), physical support(2.53 points), and social support(1.50 points). 3.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level of needs for hospice volunteers' service and their level of satisfaction with hospice service. 4. In view of the demographics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patients' level of needs for hospice service in terms of religion and education level and among the patients' level of satisfaction with hospice service in terms of religion. In view of the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tients' level of needs and their level of satisfaction in terms of the period of struggle against disease. The study found that the highe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level of needs for hospice service, the higher the patients' level of satisfaction with hospice service. Therefore, research on standardized instrument to measure the level of needs should be done. Hospice volunteers should be educated to understand human beings from a holistic standpoint. In particular, hospice volunteers should be given the opportunity to provide hospice service while understanding patients' experience and educated to care for the sake of patients.

      • 호스피스자원봉사자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박지연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평생학습사회, 인적 자원개발의 시대를 맞이하여,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자원봉사활동은 평생학습사회, 인적자원개발이 강조되는 시대, 고령화 사회에 공헌 할 수 있으며 사회적 자본을 창출하는 중요한 교육적 활동이다. 본 연구는 호스피스자원봉사자의 인구통계학적 배경을 통제한 상태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직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나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주로 조직의 과업수행의 성과나 학업성과향상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가 아닌 무보수로 봉사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존에 거의 수행되지 않은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와 소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자원봉사자에 대한 체계적인 인적자원관리와 추후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호스피스자원봉사자의 자기성찰과 탈중심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강정숙 서울한영대학교 일반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외상 후 성장모델에 근거하여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자기성찰과 탈중심화가 삶의 의미를 매개로 외상 후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수도권 및 충청권에 소재한 호스피스 병원과 기관에 소속되어있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29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SPSS 23.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자기성찰, 탈중심화, 삶의 의미,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변인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자기성찰, 탈중심화와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를 삶의 의미가 매개하는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적합도는 양호하였다. 자기성찰과 탈중심화는 삶의 의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삶의 의미는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자기성찰과 탈중심화가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삶의 의미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는 호스피스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을 증진시키는 주요 요인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외상 후 성장을 돕기 위해서는 삶의 의미를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두고, 자기성찰과 탈중심화를 통해 삶의 의미를 촉진시키는 차별화된 개입전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최근 호스피스 완화의료와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면서 ‘좋은 죽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시점에서 호스피스 완화의료팀의 중요한 구성원인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외상에 관심을 두고, 긍정심리학의 관점에서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를 위한 외상 후 성장시스템을 개발하고 구축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여 외상으로 인한 부정적인 증상을 예방하고, 자원봉사자의 개인적 성장과 호스피스 봉사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강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 나아가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외상 후 성장과정은 일반 자원봉사활동과 차별화된 호스피스 전문 자원봉사활동에서 획득되는 고유의 긍정적인 결과임을 확인함으로써 고령화 사회에서 삶의 의미를 추구하고 발견하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제고시키고, 자원봉사자의 질적인 성장에 이바지하는 방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를 위한 자비돌봄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이성경(능인) 위덕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3343

        With the outbreak of Covid-19 in 2020, the world has experienced a deepening of concern on the threat of illness and death, which suddenly became more imminent. While resources on physical caregiving are abundant, those on mental and emotional caregiving are scarce, especially Buddhist resources on end-of-life care. This is in stark contrast to Catholic and Protestant volunteer practices: professional programs that facilitate communication for the recipient are managed extensively. The Buddhist community would be encouraged to come up with its own set of programs that are based on Buddhist principles and provide way for psychological care. Although this is a field in need of a body of research among modern Buddhist societies, it is not difficult to find related material in the two thousand years of word Buddhist history. Brahmajala Sutra introduces 48 minor precepts, the ninth of which is “Look after the sick.” It beckons us to regard the sick as fields of blessings – the same way that we would regard the Buddha – and emphasizes the need to nurse and nurture them back to health.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a guideline for modern hospice volunteers to follow when they meet the sick. Although monastics and lay Buddhists may well have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training, and the mindset to provide appropriate care for the unwell in and outside of their family relations, many of them are at a loss as to how to put those principles into practice. When hospice volunteers fail to provide care that puts the patient first and offer support that is self-centered, the difference in their background and cultural upbringing reduces the recipients’ satisfaction levels. The biggest obstacles are the volunteers’ anxiousness at meeting palliative patients face to face and the fear of their own deaths. Hospice volunteers and medical staff alike continue to experience emotional suffering. This provides ample reason to champion a need for a Compassionate-care program for hospice volunteers so that they can better provide suitable hospice care and develop the capability for self-examination. From a Buddhist perspective, this can come from the Four Noble Truths and the Noble Eightfold Path. Anticipating a model of end-of-life care that incorporate communication to accommodate patients’ personal afflictions, meditation on the subject of death and the resulting acceptance of death, this study will look at the theoretical aspect of a compassionate-care program for hospice volunteers that can be utilized in monasteries, social welfare centers, hospitals, schools and homes. Based on the Buddhist Four Noble Truths and the Noble Eightfold Path, the program’s purpose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First, to provide the grounds of a compassionate-care program for hospice volunteers from Buddhist scriptures so that they can be rid of the anxieties of nursing and the fear of death: Second, to provide a customized program for dying patients, to apply a meditation technique to help them physically, emotionally and spiritually: Third, to provide a meditation program for lay Buddhists and others in the medical field to prevent exhaustion and promote compassionate-care. This will enable them to avoid social depression and promote positive self-image. Thus, a compassionate-care program for hospice volunteers with the above purpose can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persons in the hospice and palliative fields to walk the path of the Bodhisattva, ultimately enabling them to attain spiritual enlightenment and to save all sentient beings. 2020년 코로나로 인하여 지구촌은 급작스럽게 다가온 질병과 죽음에 대한 고뇌가 깊어졌다. 그러나 신체적 돌봄에 필요한 자원들만이 풍성하고 정서적, 정신적인 분야로서 특히 임종 돌봄에 관한 불교 관련 자원은 극히 드물다. 그에 반해 일반 기성종교인 가톨릭과 개신교 봉사자들의 임종 관리는 매우 철저하게 이뤄진다. 임종시에 대상자의 관계에 대한 소통의 접근 방법을 돕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매우 전문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그렇다고 하여 타 종교의 프로그램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문제가 있으며, 불교계에서는 불교적 특성에 바탕 한 정신적 돌봄과 그 구체적 실천행에 대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대해서 불교계에는 축적된 연구가 미비하지만, 이미 2천여 년 동안 지속된 불교계에서 그 정신적 돌봄의 근거자료를 마련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특히,『범망경』 48경계 중 제9,“병든 이를 보살펴라(不看病戒)”의 내용을 살펴보면 병든 이를 부처님과 동등한 福田으로 간주하며 병든 이를 보거든 간호하고 공양하여 낫게 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현시점에서 구체적으로 병든 이를 대면할 때 호스피스 자원봉사자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은 발견하기 어렵다. 스님 및 불자들이 구체적인 이론과 실습 교육을 받았음에도 병든 가족뿐만 아니라, 주변에 질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간호하는 데 있어 근본적인 돌봄의 정신은 갖추어져 있으나 구체적 실천에 있어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환자 중심이 아닌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자신의 경험적 토대로 자기중심적인 돌봄을 하게 되었을 때 환자의 만족도는 질적으로 떨어진다. 그들은 각각 자라온 배경과 문화가 다르기 때문이다. 돌봄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은 환자들을 대면하는 데 있어 불안감과 각자의 죽어감에 대한 두려움이 가장 크다. 자원봉사자뿐만 아니라 임상 현장에 있는 많은 사람이 감정적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임상 현장 안에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더욱더 적절한 돌봄 제공과 자기를 성찰하는 힘을 길러 수행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를 위한 자비 돌봄 프로그램이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구체적으로는 불교의 대표적인 교학이며, 실천수행으로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 사성제와 여덟 가지 바른 깨달음의 길 팔정도가 있다. 이를 통하여 환자의 번뇌에 따른 대화 기법과 죽음에 대한 명상을 통하여 벗어남이라고 하는 납득의 길로 이끄는 구체적 방안을 통해 임종 돌봄의 방법이 마련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이와 같은 구체적 실천행의 제시에 따라 사찰 및 복지시설, 병원, 학교 및 가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사성제와 팔정도를 바탕을 둔 이론적인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를 위한 자기 돌봄 프로그램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를 위한 자비 돌봄 프로그램의 목적과 취지는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간병에 대한 불안 및 죽음에 대한 두려움에서 벗어나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를 위한 자비 돌봄 프로그램의 근거를 경전에서 제시한다. 둘째, 질병으로 생을 마감하는 사람들의 입장에 맞게 맞춤형 실천 프로그램을 제시하며, 그들을 신체적, 정서적, 영적으로 돕기 위하여 사성제·팔정도 등에 의한 명상법의 구체적인 적용 및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를 위한 자비 돌봄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셋째, 임상과 관련된 직종의 불자들이나 일반인들을 위한 소진 예방과 마음 돌봄을 할 수 있는 명상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사회적 우울감에서 벗어나 스스로를 돌보고 관리할 수 있는 긍정적 자기 인식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위와 같은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를 위한 자비 돌봄 프로그램의 목적과 취지로 생의 마감과 죽음을 돌보는 관계자들에게 보살행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돕고 상구보리 하화중생을 몸소 실천하고 수행의 깊이를 다져가는 계기가 될 수 있다.

      •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 Hospice Volunteer Attitudes Toward Euthanasia

        박영선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3343

        국문초록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간호학과 박 영 선 지도교수 김 숙 남 본 연구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여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를 위한 생명윤리 교육지침의 실제적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08년 10월 15일부터 11월 28일까지 부산에 거주하는 6개 병원에서 호스피스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대상자 232명을 편의표집 하여 연구자가 직접 대상 병원을 방문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안락사에 대한 태도 도구는 Wasserman, Clair와 Ritchey(2005)가 개발한 10문항의 5점 척도인 Attitudes Toward Euthanasia(ATE) 도구를 사용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independent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도구 신뢰도는 Cronbach'α .90이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55.3±8.72세로 여자가 많았으며 종교에서는 천주교 38.4%로 가장 많았다. 학력은 고졸이 47.3%, 생활정도는 보통이 76.3% 이었으며 직업을 가진 대상자가 79.3%를 차지하였다. 건강상태에서는 보통이상의 건강수준을 가진 대상자가 81.8%였다. 2. 대상자의 호스피스 자원봉사활동 특성 봉사활동 기간은 36개월 미만 41.4%, 주1회 봉사가 84.9%로 가장 많았다. 다른 자원봉사 활동을 겸하는 대상자가 56.5%였으며, 참여 동기는 자기존재와 인생의 의미를 찾기 위해서가 33.6%로 많았고, 봉사활동 중 어려운 점은 전문지식과 기술부족이 53.4%로 높게 나타났다. 봉사 중 어려운 점이 발생 했을 때 90.1%가 봉사기관의 사람들과 의논하고 있었으며, 가족의 죽음경험은 87.9%의 대상자들이 사별의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안락사에 대한 정보나 교육을 들은 경험이 있는 사람이 72.5%였고, 안락사에 대한 태도는 약간 알고 있다가 41.8%였다. 3.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태도 평균평점은 2.65±1.00점, 적극적 안락사에 대한 태도 평균평점은 2.34±0.95점으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는 소극적 안락사에서 태도점수가 더 높았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안락사의 태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안락사의 태도 차이에서는 종교에 따른 차이만 있었고 (F=4.082, p=.003) 다른 특성에서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불교와 천주교에서 소극적 안락사(F=4.082, p=.003)와 적극적 안락사(F=5.181,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불교가 소극적 안락사에서는 천주교보다 태도점수가 높았고, 적극적 안락사에서는 불교가 기독교보다 높았고, 기독교가 천주교보다 태도점수가 높았다. 5. 봉사활동 특성에 따른 안락사의 태도 봉사활동 중 어려운 점에서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으며(F=2.342, p=.042), 봉사활동 중 어려울 때 의논대상에 따라서는 적극적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t=-3.214, p=.002). 본 연구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를 위한 생명윤리 교육의 실제적인 지침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안락사.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Abstract Hospice Volunteer Attitudes Toward Euthanasia Park, Young Sun Graduate School of Nursing Catholic University of Busan Supervised by Professor Kim, Sook Na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spice volunteers' attitudes toward euthanasia and use the results as practical data for a guide of bioethics education for hospice volunte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5 to November 28, 2008, from 232 hospice volunteers working at 6 hospitals in Busan. The measurement tool used was "The Attitudes Toward Euthanasia" developed by Wasserman, Clair, and Ritchey(2005), which has a 5-point scale with 10 questions.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independent t-test, and ANOVA using SPSS WIN 14.0 program. 1.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Respondents age was 55.3 ± 8.72 years old (mean ±SEM) and there were more women than men. Catholics formed the highest percentage (38.4%), with 47.3% high school graduates, 76.3% at the normal living standards; and 79.3% were employed. Most (81.8%) had average or better health. 2. Properties of Volunteering Work Less than half (41.4%) had volunteered for less than 36 months; 84.9% were doing so once a week. Many (56.5%) had another volunteering position, and 33.6% were motivated by a desire to find meaning in life; 53.4% addressed insufficient expertise and skills as problems of volunteering. Most (90.1%) discussed problems with other volunteers, and 87.9% had experienced bereavement. Most (72.5%) had received information or education about euthanasia, and 41.8% had some knowledge about euthanasia. 3. Volunteers' Attitudes Toward Euthanasia Hospice volunteers showed higher attitudes toward passive euthanasia 2.65 ± 1.00 for passive euthanasia and 2.34 ± 0.95 for active euthanasia. 4. Attitudes Toward Euthanasia by General Characteristics Relig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euthanasia (F=4.082, p=.003), but other general characteristics did no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ssive (F=4.082, p=.003) and active euthanasia (F=5.181, p=.001) between Buddhism and Catholicism. Buddhists showed higher attitude scores toward passive euthanasia than Catholics and higher attitude scores toward active euthanasia

      •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경숙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생활만족도를 살펴보고,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생활만족도 향상에 기여하고 호스피스 서비스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이론적ㆍ실천적 함의를 도출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근거 및 선행연구 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되는 독립변수(사회인구학적 특성, 노화불안, 죽음불안, 죽음에 대한 태도)을 선정하여 이 요인들이 종속변수인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살펴보는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북도 일원에서 활동하고 있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이며, 2012년 8월부터 2개월에 걸쳐 편의표집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배포된 설문지 총 160부 가운데 155부가 회수되었으며, 불성실 응답과 이상치가 있는 설문지 15부를 제외한 후 최종적으로 140부를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t-검정,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 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스피스 자원봉사자가 인식하고 있는 생활만족은 5점 만점의 척도에서 3.00점(SD=0.53)으로써 중간 정도의 생활만족 수준을 나타내었다. 둘째,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 종교와 여가활동은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노화불안 역시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노화를 불안하게 인식하지 않을수록 생활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불안이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죽음을 불안하게 인식하지 않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는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생활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모형 4>는 <모형 3>에 투입된 변수들을(사회인구학적 요인, 노화불안, 죽음불안) 통제한 상태에서 죽음에 대한 태도를 추가로 투입한 것인데, 모형이 전반적으로 유의하였으며(F=5.608, p<0.001), 독립변수들의 생활만족에 대한 설명력은 32.5%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그 다음은 <모형 3>으로 <모형2>에 투입된 변수들을(사회인구학적 요인, 노화불안) 통제한 상태에서 죽음불안을 추가로 투입한 것으로 모형이 전반적으로 유의하였으며(F=4.128, p<0.001) 설명력은 24.2%로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은 <모형 2>로 <모형 1>에 투입된 변수들을(사회인구학적요인) 통제한 상태에서 노화불안을 추가로 투입한 것으로 모형이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F=2.602, p<0.001), 설명력은 15.3%로 세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모형 1>은 사회인구학적 특성요인을 투입한것으로 유의하게(F=2.069, p<0.05) 분석되었으며, 설명력은 10.3%로 가장 설명력이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도출된 함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실천적 함의를 보면,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죽음과 노화를 불안하게 인식하지 않을수록 생활만족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는 실천적 개입 방안에 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한다.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죽음의 이해와 준비가 봉사자로서 교육되고 기본소양으로 갖추어져야만 환자 및 그 가족들의 죽음의 준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고 보기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현 상황에 맞는 적합한 프로그램의 전문적인 교육이 매우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호스피스 자원봉사들을 대상으로 좀 더 체계적인 경험을 감안한 단계별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고 단순히 종교적인 신앙심에만 의존하는 형태의 봉사활동보다는 전문인으로서의 활동이 가능하도록 체계적인 교육도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노화불안, 죽음불안 그리고 죽음에 대한 태도가 종속변수인 생활만족도에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지 즉, 변수들 간에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주요어: 호스피스, 호스피스 자원 봉사자, 생활만족도, 노화불안, 죽음불안, 죽음에 대한 태도. This study aims at a contribution to a hospice volunteer's life satisfaction and drawing a theoretical/ practical implication that can be helpful to improvement of hospice service by looking ar a hospice volunteer's life satisfaction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 selected independent variables (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ttitudes of death, fear of death, and anxiety of aging ) which are presumed to have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of volunteers in Hospice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evidences and the result of consideration in the advanced research and constructed the model study about how the variables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a dependent variable. The subjects of research that a volunteer of a hospice is working in Gwang-ju, Jellanam-do and Jellabuk-do. A survey is accomplish in a method of convenience sample through two months from August 2012. In the total of 160 survey sheets, 155 sheets are collected and survey sheets are answered insincere and irrelative therefore except these 15 sheets, 140 survey sheets with proper and correct answers are analyzed in conclusion. Statistical analysis implement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life satisfaction which hospice volunteer recognized shows mid range life satisfaction level as 3 out of 5 (SD=0.53). Second, it is confirmed that religion and leisure activity, which are kinds of hospice volunteer's social anthropology, beneficially affect life satisfaction. Third, aging anxiety was also analyzed as significant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less people anxiously recognize aging,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was shown.  Fourth, the death anxiety was analyzed as significant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less recognizable death anxiety the more high about life satisfaction. Fifth, the attitude for death of hospice volunteer was analyzed, which has an good affect on life satisfaction. That is, the more positive about attitude for death of hospice volunteer the more high about life satisfaction. Finally,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odel 4> committed variables(social and demographic factors, aging anxiety, death anxiety) controlled attitude toward death at <model 3>, which models are significance generally(F = 5.608, p <0.00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life satisfaction was analyzed to 32.5% the most highly. Then, <model 3> committed variables(social and demographic factors, aging anxiety) controlled attitude toward death anxiety additionally at <model 2>, which models are significance generally(F=4.128, p<0.001), the explanatory power explained 24.2% of the second. And then, <model 2> committed variables(social and demographic factors) controlled attitude toward aging anxiety additionally at <model 1>, which models were analyzed significance (F=2.602, p<0.001), the explanatory power explained 15.3% of the third. Finally, <model 1> was analyzed significance(F=2.069, p<0.05) committed characteristic factors of social and demographic factors.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look at the practical implications the more positive attitude about the death of the hospice volunteers the more aging and death anxiety is not recognized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this findings suggest some implications on the practical intervention plan. In order to improve a hospice volunteer's life satisfaction and to do their duty effectively, they need professional training. Only if they received an education in understanding of death as a basic knowledge, they can help preparation of death of patient and their family. Also, hospice volunteers will need step educational program from systematic experiences and they will need systematic education better than type of voluntary service dependence on religious belief. Finally, through this study, the aging anxiety, death anxiety and attitude to death of hospice volunteers whether there is the dependent variable, life satisfaction any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In other words, among the variables that could broaden understanding of theoretical implications can be said. Key words: hospice, hospice volunteers, life satisfaction, aging anxiety, death anxiety, attitudes of death

      •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종교성향과 죽음의식이 호스피스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필기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33343

        호스피스 자원봉사자가 말기 암환자를 돌볼 때 가지게 되는 호스피스 태도는 환자 자신과 그 가족에게 대단히 중요한 요소이다. 호스피스 자원봉사자가 어떠한 호스피스 태도를 가지고 있는가 하는 것이 환자가 편안하게 삶을 마무리하게 하고, 남은 가족들은 사별 후에 심리적 고통을 완화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에게 필요한 여러 요인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종교성향과 죽음의식의 특징을 알아보고, 그것이 호스피스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D시에서 현재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로 활동하고 있는 166명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직업유무, 종교, 자원봉사기간, 자원봉사 횟수, 자원봉사자교육 유무, 죽음교육 유무, 임종경험 횟수의 통제 변수와 자원봉사자들의 내재적, 외재적 종교성향과 죽음에 대한 불안과 염려 수준(죽음의식)이 이들의 호스피스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종교성향은 성별, 교육수준, 종교 등과 같은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종교성향은 여성이,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종교가 없는 집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재적 종교성향은 기독교 집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죽음의식은 기독교 집단이 다른 종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대상자의 호스피스 태도는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대상자의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죽음의식은 내재적 종교성향과는 부적 상관, 외재적 종교성향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호스피스 태도는 내재적 종교성향과는 정적 상관, 죽음의식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여섯째, 내재적 종교성향과 죽음의식은 호스피스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재적 종교성향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스피스 교육, 임종 경험 등의 변수들도 호스피스 태도에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에 주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실천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호스피스 교육이 호스피스 태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긍정적인 호스피스 태도를 배양할 수 있는 호스피스 교육에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죽음의식이 호스피스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을 위한 호스피스 교육에서 죽음교육이 많이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죽음에 대한 불안과 염려를 극복하지 못하면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로서 효과적인 역할수행을 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외재적 종교성향은 호스피스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내재적 종교성향은 호스피스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영성 개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The attitude toward hospice of Hospice Volunteer is very important to patients and their family when he or she looks after patients who have terminal cancer. That is because the attitude toward hospice that the hospice volunteer has can help patients finish their life comfortably and patient's family alleviate their psychological agony after losing their beloved patients. In this thesis I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orientation and death orientation and aimed at recognizing how these characteristics affect the attitude toward hospice. This thesis studies 166 hospice volunteers who were working at the hospitals in D city. I surveyed and analysed two kinds of variables affecting the attitude toward hospice; the control variable such as age, gender, marital condition, education level, occupation condition, religion, the time and period of volunteer work, volunteer training condition(including death training) level, the frequency of the deathbed experience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such as the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the death orientation which means the anxiety level about death.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igious orientation of the hospice volunteer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such as gender, education level, religion. The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ppeared highly in women, lower education level, non-religious group. The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ppeared highest in christian group. Second, the death orientation of the hospice volunteer showed more meaningful difference in christian group than other religious group. Third, the attitude toward hospice of the hospice volunteer appeared positive in higher education level. Forth, the death orientation of the hospice volunteer showed the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whereas the attitude toward hospice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showed the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death orientation. Fifth, the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the death orientation appeared to affect meaningly the attitude toward hospice. But the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didn't appear to affect the attitude toward hospice. Other variables such as hospice training and the deathbed experience also didn't appear to affect the attitude toward hospice. The specific action plan included in training and training program on the hospice volunteer is based on above research finding is as follows. First, We should devote many deep studies on the hospice training to cultivate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hospice. That is because the hospice training didn't appear to affect the attitude toward hospice. Second, We should provide frequently the basic effective hospice training on the death for the hospice volunteer because the death orientation appear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attitude toward hospice. Without overcoming over anxiety and fear about death, the effective role performance of hospice can be impossible. Third, My thesis showed that the attitude toward hospice wasn't affected by the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but by the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Therefore we should arrange the special plan for spirituality improvement for hospice volunteer through the various training programs.

      •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창수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요인 관한 연구이다.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임파워먼트 수준을 파악하고, 동시에 개인특성, 업무특성, 조직특성이 임파워먼트 수준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으로 의미성, 역량, 자기결정성, 영향력을 나누어 변수를 설정하였다. 독립변수의 하위요인으로 개인특성은 자아존중감, 자기통제, 대인통제, 업무특성은 업무정체성, 업무자율성, 피드백, 역할특성, 조직특성은 자원봉사자 관리 담당자의 리더십, 보상체계, 교육과 계발기회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10년 보건복지부 지정 암환자 완화의료기관 총 40개 기관 중 11개 기관을 선정하여 서울, 인천․경기, 대전․충남, 제주에서 활동하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25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임파워먼트를 구성하는 요소인 의미성, 역량, 자기결정성, 영향력과 독립변수들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의미성의 경우 조직특성의 보상체계와 가장 강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역량은 개인특성의 대인통제와 가장 강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결정성은 업무특성의 업무자율성과 가장 강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향력은 조직특성의 자원봉사자 관리 담당자의 리더십과 가장 강한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난 변수는 개인특성의 자아존중감, 대인통제 변수와 업무특성의 업무자율성, 피드백 변수, 조직특성의 자원봉사자 관리 담당자의 리더십, 보상체계 변수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적 차원에서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이 각각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에 정도와 타인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생각과 행동의 영향력에 따라 임파워먼트에 수준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업무특성 차원에서는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자율성의 인정 여부와 개인의 수행한 일의 결과를 계속적으로 이해하고, 자기가 행한 성과가 얼마나 유효한가를 알고 있는 정도, 조직특성 차원에서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관리 담당자의 리더십,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보상이 어떻게 이루어지냐에 따라 임파워먼트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임파워먼트의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 본 결과,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해서는 호스피스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적절한 보상과 활동에 대한 자율성 인정과 자원봉사자 관리 담당자의 리더십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가 타인과의 관계에서의 영향력을 인정이 필요하며,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자원봉사자 개인,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관리 담당자의 노력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힌 연구로서 의미를 가진다. 이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필요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교육과 관리의 중요성을 제기하는데 하나의 이론적 근거로써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임파워먼트의 영향을 주는 요인들 중에 업무특성에 피드백을 추가시켜 업무특성에 대한 관련된 논의를 보다 확장시켰다는 데에 그 의의를 갖는다. 그 동안 업무특성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져왔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논의가 충분하지 못했다. 기존의 논의에서는 단순히 활동 자체의 특성만 보고 있었으며, 활동 중에 이루어지는 업무수행결과에 대한 계속적인 이해와 자신이 행한 성과가 얼마나 유효한가를 알고 있는 정도를 파악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주는 업무특성의 하위영역에 피드백 요인을 포함하여 분석함으로써 업무 수행에 대한 범위를 확장시켰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자원봉사자에 대한 기관차원이 아닌 정책차원의 보상체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에게 다양한 인센티브와 인정 및 보상을 해 줄 수 있는 체계를 만들고, 개인의 능력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서적 지지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넷째,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해서는 자원봉사관리 담당자의 리더십이 부족하지 않게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호스피스 자원봉사관리 담당자는 자신을 계발하고 새로운 시각의 사고방식을 가리도록 리더십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호스피스 자원봉사활동의 효율적 관리와 체계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호스피스 자원봉사활동에 필요한 표준화 된 업무지침이나 매뉴얼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며, 단순히 수동적 입장에서의 봉사활동이 아닌 스스로 지침에 따라 업무를 판단하고 효과적인 지원을 위한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보다 능동적인 호스피스 봉사활동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explore factors affecting hospice volunteers' empowerment. It intends to identify hospice volunteers' empowerment level and at the same time, how individual features, work features, and organization features are related to the level of empowerment. As sub factors of empowerment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variables such as signification, capacity, self-resolution, and impact were adopted. As subfactor of independent variable, self-esteem, self-control, and personal control were adopted. As work features, work identify, work autonomy, feedback, and role characteristics were adopted. As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leadership of volunteer manager, compensation system, and training and development opportunity were adopted. For this study, 11 medical organizations out of total 40 medical organizations designated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2010 were selected. 255 hospice volunteers who are performing in Seoul, Incheon, Gyeonggi, Daejeon, Chungnam, and Jeju were analyzed. The summary of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signification, capacity, self-resolution, impact, independent variables which compose hospice volunteers' empowerment was reviewed. As a result, in case of signification, it appeared the most strong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mpensation system which is one of organization features. Capacity appeared the most strong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sonal control which is one of individual features. And self-resolution appeared strong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work autonomy which is one of work features. Impact strong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dership of volunteer manager which is one of organization features. Second, self-esteem and personal control which are among individual features, work autonomy and feedback which are among work features, volunteer manage's leadership and compensation system which are among organization features appeared significant affecting hospice volunteer's empowerment. This shows that hospice volunteers affect empowerment level according to their own thoughts and actions in the relation with others and self-trust for their own capacity in personal level. In addition, in work feature level, the level of empowerment gets higher depending on compensation for their volunteer activities, hospice volunteer manger's leadership, how much volunteers understand their performances and results of their achievements continuously, and level of autonomy approved about volunteer activities. Third, from results of reviewing factors affecting empowerment of hospice volunteers, to improve empowerment of hospice volunteers, proper compensation and autonomy for activities, leadership improvement of volunteer manager require efforts. Also, hospice volunteers require impact approved to act in the relation with others. Volunteers and hospice volunteers' manager efforts are required to improve self-esteem of volunteers.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significant since it found factors affecting empowerment of hospice volunteers. Through this study, we can show one theoretical ground to raise the importance of control and training for hospice volunteers. Secon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since it expands discussion about work features by adding feedback to work features among factors affecting empowerment. Even though a lot of discussion about work features has been done so far, discussion was not sufficient. Features of activities were reviewed simply in previous discussion. Constant understanding about work performance results which are done during activities and awareness level how efficient performance one acted were not identified. Therefore, range about work performance was extended by including feedback factor to work features affecting empowerment. Third, compensation system in policy level instead of agency level about volunteers is required. To this end, system which can provide diverse incentives,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should be built. constant emotional system is required to secure conviction about individual capacity. Fourth, to improve hospice volunteers' empowerment, leadership of volunteers manager shouldn't be insufficient. To this end, manager should develop himself and leadership to teach new viewpoints and thinking ways. Fifth, systemicity and efficient management of hospice volunteer activities are required. To this end, work guidelines or manuals standardized for hospice volunteer activities are said necessary. These will help volunteers act more active hospice activities based on guidelines and their own judgement by themselves.

      • 호스피스 자원봉사활동이 자원봉사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선숙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3343

        우리나라는 한 해 동안 10만5천명이 암환자로 등록하고 6만5천명이 사망했다. 암 환자는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황폐함을 경험하게 된다. 호스피스는 임종이 6개월 이내로 예견된 환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주는 인간의 가치와 존엄성을 바탕으로 한 사랑을 실천하는 서비스이다. 본 논문은 호스피스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봉사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내고, 결국 이는 사회복지사업에서 호스피스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며 호스피스 마인드의 저변확대와 확대될 자원봉사의 방향을 준비하는 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천안을 비롯한 2개 지역에서 활동 중인 70명의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에게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조사도구는 자원봉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연령, 직업, 학력, 소득, 자원봉사활동기간, 자원봉사활동횟수, 자원봉사에 대한 가족의 지지도)에 대한 질문 12문항, 자원봉사 활동내용과 자원봉사자 의식에 관련된 12문항,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질문 15문항으로 모두 39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사결과에서 수집된 자료는 사회과학을 위한 통계패키지 SPSS 12.0 for Windows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자원봉사 의식에 따라 삶의 질을 측정하기위해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등 기초통계량 산출 후 F검증(다변량 분석)으로 유의도 검사를 하였으며, 자원봉사자의 의식에 따른 자원봉사 만족도를 알고자 변량분산분석 통계방식을 이용하여 교차분석 후 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지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자원봉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조사대상자 70명중에서 여성은 95.71%를 차지하였으며, 연령은 40세 이상 65세미만이 전체의 84.28%에 해당되며, 학력에 있어서는 고졸이하는 62.85%, 고졸이상은 37.14%를 차지한다. 종교별 분포를 보면 기독교와 천주교가 94.28%로 그들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직업별 분포를 보면 대부분 즉 74.29%가 주부로 이루어졌다. 봉사활동기간으로 살펴보면 2년 미만 활동한 봉사자가 62.85%를 차지하였다. 가정 평균 월 소득별 구성을 살펴보면 300만원 미만이 70%에 해당되었으며 자원봉사 만족도에 대한 조사를 통해 “매우 만족한다.”와 “대체로 만족한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91.42%가 되었다.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그들의 인구·사회학적 요건들 중 소득 수준에 관련된 사항만이 유일하게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 외의 요건 즉, 연령수준, 직장유무, 학력수준, 자원봉사활동기간, 활동 횟수, 가족의 지지도에 따른 삶의 만족도는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자원봉사의 의식정도에 따른 삶의 질은 환자의 영적문제에 대한 해결정도와 봉사자 자신이 호스피스 활동을 통해서 본인의 영적문제를 해결한다고 인정한 정도와, 사후세계에 대한 인정정도에 따라 그들의 삶의 질에 유의미한 확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자원봉사를 통한 환자의 영적문제 해결정도와 본인의 영적문제가 해결한다고 인정한 정도와 사후세계에 대한 인정정도에 따라 자원봉사 만족도에 유의미한 확정적인 결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앞으로 호스피스 자원봉사에 많은 수의 유휴인력이 참여한다면 호스피스를 통해 위안을 받을 대상자수도 증대될 것이며 봉사자 자신 역시 한 단계 높은 차원의 삶을 일궈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호스피스 활동은 더불어 사는 사회에 적합한 밝고 건강한 사회를 구축하는데 기틀이 될 것이다. In Korea, 105,000 people register as cancer patients and 65,000 people die from cancer every year, and their quality of life is critically threatened due to physical, emotional, social and spiritual problems. Hospice is a care system prepared for patients who have been predicted to die within 6 months and their families in order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from the standpoint of human value and dignity. In this context, the study attempts to addresses factors exerting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of volunteers participating in hospice so as to provide basic data to enhance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hospice in social welfare projects, expand the base of the hospice mind and set a direction for the volunteer work to pursue. The study selects for sampling 70 hospice volunteers at work in Cheonan and two areas and carries out a questionnaire survey. The questionnaire is comprised of 39 questions which include 12 questions concerni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volunteers (age, occupation, the level of education, the level of income, period of time working as a volunteer, number of time working as a volunteer, the degree of family’s support), 12 questions concerning volunteer activities and the consciousness of volunteers and 15 questions concerning influences on the quality of life of volunteers. The data collec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are analyzed by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12.0 for Windows. First, the study calculates elementary statistics such as average,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percentage, etc. and then carries out a test of significance by using F-test (multivariate analysis) for the measurement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consciousness of volunteers. In addition, in order to test of significance for their satisfaction with volunteer works according to the consciousness of volunteers, the study carries out the chi-square test after crosstabulation analysis by using a statistical method of the analysis of vari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aed as follows: When looking at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volunteers, 95.71% of 70 volunteers surveyed in the study is female and 84.28% is between 40 and less than 65 years old. In addition, 62.85% received high school education or lower education and 37.14% received high school education or higher education. As for religion, the rate of Christians and Catholics accounts for 94.28% to be the mainstream. In terms of occupation, 74.29% is housewives. When looking at the period of time working as a volunteer, the rate of volunteers who have served as a volunteer for less than 2 years accounts for 62.85%. The rate of households earning an average monthly income less than 3,000,000 won is 70%. For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volunteer works, the rate of such answers as ‘Very satisfied’ and ‘More or less satisfied’ amounts to 91.42%. Of the factors exerting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of hospice volunteers, only the level of income is found to exert influence on the degree of volunteers' satisfaction with life. Other conditions such as age, employment, education level, period and number of time working as a volunteer and the degree of family’s support aren't found to exer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gree of volunteers' satisfaction with life. When looking at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consciousness of a volunteer, it is found that the quality of life is decisively influenced by whether a volunteer solves the spiritual problems of patients, whether a volunteer him/herself solves his/her own spiritual problems through hospice activities and whether a volunteer acknowledges the existence of the otherworld.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volunteers’ consciousness that they solve spiritual problems through volunteer works and acknowledgment of the otherworld exert influence on their satisfaction with volunteer works. If more idle human resources are put in hospice volunteer works in the future, it will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hospice beneficiaries and moreover, the volunteer him/herself will live a life of higher level. In addition, hospice will serve as a foundation to construct a bright and sound society in which all live 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