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온라인 팬덤 연구 : 팬들의 즐기기의 변화를 중심으로

        김현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온라인 미디어가 오프라인 미디어의 영향력을 능가할 정도로 대중화됨에 따라, 오프라인 미디어만을 사용하여 팬 의식을 가지고 팬으로서 활동하였던 기존의 팬들이 온라인 미디어를 광범위하게 사용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온라인 미디어에서 팬들의 즐기기 방식을 변화시킨 기제 및 온라인 팬들의 즐기기 양상에서 특징적으로 드러나는 변화들을 살펴봄으로써 온라인 미디어라는 뉴미디어가 팬이라는 수용자층과 상호작용하여 만들어내는 새로운 현상과 그 의미에 주목하였다. 온라인 미디어로 형성된 가상 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의 목적과 지속적이고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므로 인위적인 통제가 불가능한 팬 집단이라는 연구 대상의 특성에 의해 전체 연구는 질적 연구의 설계에 의해 진행되었다. 팬 문화 규범에 익숙해지기 위해 특정 스타의 팬덤을 선정하여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관찰과 참여를 수행한 뒤, 3개의 팬페이지를 집중적으로 관찰하고 회원들과 인터뷰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통해 온라인 팬덤이 오프라인 팬덤을 변화시킨 기제 및 특징적으로 달라진 부분들에 대해 기술적(descriptive)으로 정리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온라인 팬덤의 즐기기가 변화하게 된 주요 기제로서 접근성(accessibility)의 강화를 꼽을 수 있었다. 접근성의 강화는 1) 정보, 2) 팬 커뮤니티 및 팬 생산의 측면에서 모두 드러나고 있다. 먼저 정보란 팬이 스타에 대해 알 수 있는 모든 자료들을 의미한다. 온라인상의 정보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매우 손쉽게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거의 실시간으로 생중계되듯 신속하게 공유되며, '팬이 본 스타의 모습'을 그대로 묘사한 글이나 멀티미디어 자료가 팬들에게 스타를 직접 보는 것과 유사한 생생함(liveliness)을 선사하고 있었다. 또한 대중 매체나 연예기획사와 같은 한정된 정보원에 의해 일방적인 통로로 공급받던 정보들을 이제는 팬 사이에서 수평적으로 공유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아예 자신을 '출처' 또는 '저자'로 명기함으로써 중심 정보원을 해체시키고 있다는 점이 특징으로 지적되었다. 다음으로 팬 커뮤니티의 접근성이란, 오프라인 환경에서의 수용 능력의 제약을 해결한 가상 공간(cyberspace)과 전자 게시판 및 지리적, 시간적 제약을 해결한 각종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이용하여 팬 커뮤니티에 참여하는 것이 손쉬워졌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팬 생산의 접근성은 팬들이 쉽게 생산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만든 온라인 미디어 환경의 특성을 정리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온라인 미디어는 생산물을 올릴 공간과 생산을 용이하게 해주는 디지털 미디어 도구 외에도 활발한 공유와 반응을 촉진함으로써 팬 생산자들에게 생산하고자 하는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다. 이렇게 팬덤 전반에 걸쳐 접근성이 강화됨으로써 온라인 팬들의 즐기기에 새로운 변화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를 1) 팬층의 다변화, 2) 팬 생산 활동의 부각, 3) 팬페이지의 새로운 기능, 4) 팬의 시각의 다변화, 5) 시각에 의해 팬 서클(circle)의 분화(categorization)로 정리하였다. 먼저 오프라인 환경에서 팬이 되기 힘들었던 이들도 팬이 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에 부각되지 못했던 팬층이 수면 위로 부상하였다. 또한 온라인상의 팬 활동이 중요한 팬 활동 방식으로 떠올랐는데, 특히 팬 생산 및 감상 활동의 부각이 특징적이다. 특히 팬 생산물 생산자에게는 자신의 작품에 대한 작가 의식(authorship)이 나타나고 있었으며, 팬들은 이러한 팬 생산물 자체에 대한 애착을 보이며 열광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스타라는 1차 텍스트에의 함몰과 달리 팬 생산물이라는 2차 텍스트에의 함몰이 일어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또다른 온라인 팬덤만의 특징적인 팬 활동이 팬페이지 운영과 참여이다. 팬페이지는 오프라인 팬 커뮤니티와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는 듯 보이지만, 운영자가 팬페이지 운영 자체를 팬으로서의 중요한 활동으로 간주한다든지, 참여자들이 스타와 관계 없는, 재미와 친목 도모만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을 팬페이지 안에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보였다. 또한 온라인 팬들에게서 팬과 스타 간 관계 설정에 대한 시각, 스타 이미지에 대한 시각이 다변화되고 있음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고정적인 시각을 재생산하는 중심 정보원의 역할이 약해지는 대신 다양한 시각을 인정하고 증폭시키는 팬 생산물 공유, 팬들의 의견 교류와 같은 기제가 강화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팬들은 각기 다른 시각을 형성하게 되는데,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으로 상대방이 어떠한 시각을 가진 사람인지 파악하고 친목을 맺는 것은 물론, 이러한 시각에 의해 분화된 팬 서클을 형성하고 그 안에서만 활동하고 참여하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Recently, online media are popularized as exceeding the influence of offline media, so existing fans who have fan consciousness and act as fans using offline media become using online media extensively. This study focused on the present situation and the meaning that new media made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fans. This study is designed by qualitative research, because it is for understanding fans who are impossible to control them by artificial means because they are interact each other in the fan communities continuously. Research materials are obtained from offline and online interviews and observations from 3 online fan communities, 'fanpages'. Through analysis of the research materials, the main factor of the changing in enjoyment as fans is explained strengthening of the accessibility. First, information accessibility means a fan can obtain all the materials about the star very easily and promptly surpassing the space time by online media, and feel 'liveliness' through the textual and multimedia materials from fans who saw the star directly. Online fans also share the information equally, and as fans are insisting the information as their own, by putting their fan ID or fan site name on actual information, fans are getting self-sufficient, and it is breaking the primary relationship beween fans and mass media which used to be dependent and one-sided. Second, Fan community accessibility means fans can participate in the fan community easily using cyber-space including electronic bulletin boards and online communication devices. Third, Fan products accessibility means fans easily product fan productive materials using digital media devices, and online media caused fan production by promoting fans' reactions about fan production. The characters of enjoyment as fans strengthened accessibilities by online media can be describe 5 states. First, diverse fans rise to the surface in online circumstance. Second, fan product makers have 'author's mind', and fans become attached fan products and fan product makers like a star. Third, many fans acts as sysops or members of 'fanpage', and they enjoyed their online participation without regard to a star. Fourth, online fans diversify their views about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ns and a star, and also the star image fans think of. It is caused to weaken a role of main information sources that reproduce the fixed star image, and strengthen the online devices that help amplifying diverse views. These diversified views have made fans get diverse views to the star. So they have friendly relationship with fans who have similar views using online communication devices, and fans make 'fan circles' categorized by these views they mainly participate.

      • 한국에서 팬덤정치 현상의 심화에 관한 연구 : 문재인 정부를 중심으로

        성채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국에서 시민의 정치 참여 양상은 시민사회 모델에서 포퓰리즘으로 이어졌으며, 오늘날에는 팬덤정치 현상이 대두되고 있다. 팬덤정치 양상이 나타난 시기는 2010년대부터로 문재인 정부 시기 강화되어 나타났다. 정치인 팬덤의 시초는 2000년 결성된 노사모라 할 수 있는데, 문재인 팬덤은 정동적 감수성(affective sensibility)에 기반한 지지를 보였다는 점에서 노사모와 구분된다. 문재인 현상은 그동안 포퓰리즘의 강화로 분석돼왔다. 포퓰리즘은 사회운동을 추동하는 존재인 포퓰리스트에 주목하며 공급 중심의 관점으로 현상을 분석한다. 그러나 뉴미디어 시대의 시민은 정치의 주체이자 주 대상으로 변화했으며, 더 이상 수용자의 위치에 머물지 않고 정치 정보의 생산자로서 활동한다. 문재인 팬덤은 뉴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정치에 참여하는 네트워크 개인들에 의해 발생한 측면이 존재한다. 더 나아가 특정 정치인을 향한 감정적 헌신의 성격을 보이는 팬덤정치의 특성을 드러냈다. 따라서 문재인 현상은 포퓰리즘 관점과 함께 팬덤정치 현상으로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뉴미디어 플랫폼은 기성 언론이 다루지 않는 정치 정보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는 특성이 있다. 뉴미디어 플랫폼의 발전으로 대두된 팬덤정치 현상은 정치적 의제 설정 능력을 나타낸 소수의 뉴미디어 매체들에 의해 추동됐다. 이명박·박근혜 정부 시기 활동한 <나는꼼수다>와 <김어준의 뉴스공장> 그리고 문재인 정부 시기 등장한 <가로세로연구소>는 각각 문재인과 박근혜 중심의 팬덤정치 현상을 조성했다. 네트워크 개인들이 소수의 뉴미디어 매체를 통해 수용한 정보를 재생산하는 과정에서 정치인 팬덤이 형성되었다. 팬덤정치 현상은 비교적 최근 발생했다는 점에서 팬덤을 통한 정치 참여가 시민의 정치 효능감을 높이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현할지, 민주주의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지에 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뉴미디어 플랫폼의 기술 발전과 함께 소수의 뉴미디어 세력에 의해 추동된 팬덤정치 현상인 문재인 팬덤 이후, 윤석열 그리고 이재명 팬덤 현상이 한국 정치과정을 좌우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시민사회 모델에서 포퓰리즘으로, 오늘날에는 팬덤정치 양상이 심화되어 발생하고 있는 시민의 정치 참여 전환 양상을 문재인 팬덤을 중심으로 논의하려 한다.

      • 청소년의 팬덤활동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생활영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정례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looked at the impact of youth fandom activity on youth deviation.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e selected 2,607 fourth graders and 2,590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2017 Education Ministry’s school statistics and conducted an annual follow-up survey of them from 2018 onwards. Based on the panel data conducted on 2,590 first graders in middle school in the first year, fandom activity was classified as off-line and online, youth was classified as real deviation and cyber deviation, and factors analysi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irst of all, if offline and online fandom activities increase, the real deviation decrease. However, offline fandom activity does not effect cyber deviation, but as online fandom activity increases, so does cyber devi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eo Myung-seok and Yang Hye-jin(2014) reduce the number of real deviation, unlike the result that youth’ fandom activities do not effect youth deviations. This is line with the recent increase in media usage, which has improved accessibility. Second, if you look at the effect of the moderating variables in the school life area, the teacher relationship had a control effect between offline fandom activity, online fandom activity and real deviation, and cyber deviation. School life was not controlled between online fandom activity and cyber deviation, offline fandom activity and real deviation, school life was controlled. Finally, there was a control effect between offline fandom activity, real deviation and cyber deviation, and there was no control effect between online fandom activity and real deviation, but there was a control effect between online fandom activity and cyber deviation. The end-to-end change analysis of youth fandom activity in 2016 found that online fandom activity was the most active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middle school, and that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but a little more activity online than offline(Jung yoon-mi, 2016). As with this study, the increase in online fandom activity has many implications. In addition, the area of teacher and peer relations, which can control between online fandom activity and cyber deviation, needs to consider ways to prevent and reduce cyber deviation due to online fandom activity of youth. In addition, I think fandom activities can be an alternative to youth culture that can reduce real deviation. The fandom activities of youth are one of our cultures according to social changes, and if we remove the negative aspects and prejudices that occur among various fandom, we believe that it can be established as a healthy culture and serve as a cultural rest area for youth. However, as online fandom activities are increasing and cyber deviation are increasing due to the improved accessibility of various media use, I would suggest regularizing school education to strengthen the digital media literacy capabilities of youth. 본 연구는 청소년의 팬덤활동이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았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17년 교육부 학교통계를 표집틀로 한 초등학교 4학년2,607명, 중학교1학년 2,590명을 선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2018년부터 매년 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 1차년도 중학교 1학년 2,59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패널자료를 바탕으로 팬덤활동을 오프라인과 온라인 팬덤활동으로 분류하고, 청소년비행을 현실비행과 사이버비행으로 분류한 뒤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오프라인 팬덤활동과 온라인 팬덤활동이 증가하면 현실비행은 감소하게 된다. 하지만 오프라인 팬덤활동은 사이버비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온라인 팬덤활동이 증가하면 사이버비행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서명석, 양혜진(2014)이 청소년의 팬덤활동은 청소년의 일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와 달리 팬덤활동은 현실비행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최근 접근성이 좋아진 미디어의 사용량의 증가와 일맥상통하는 결과이다. 둘째, 학교영역의 조절변수의 효과를 보면 교사관계는 오프라인 팬덤활동, 온라인팬덤활동과 현실비행, 사이버비행 사이에 조절효과가 있었다. 학교생활만족도는 온라인 팬덤활동과 사이버비행사이에, 오프라인 팬덤활동과 현실비행 사이에서는 조절 효과가 없었으며, 오프라인 팬덤과 사이버비행사이에, 온라인팬덤활동과 현실비행 사이에서는 학교생활만족도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친구관계의 친밀도는 오프라인 팬덤활동과 현실비행, 사이버비행 사이에는 조절효과가 있었고, 온라인 팬덤활동과 현실비행사이에서는 조절효과가 없었지만 온라인 팬덤활동과 사이버 비행사이에서 친구관계는 조절효과가 있었다. 2016년도 청소년 팬덤활동의 종단적 변화분석에 의하면 온라인 팬덤활동은 중학교 1, 2학년 시기에 가장 활발하고, 오프라인보다는 온라인에서의 팬덤활동이 큰 차이는 없지만 조금 더 활발한 것으로 조사 되었다(정윤미, 2016). 온라인 팬덤활동의 증가는 사이버비행의 증가를 가져온다는 본 연구 결과와 마찬가지로 많은 시사점이 있다고 본다. 그리고 온라인 팬덤활동과 사이버비행 사이를 조절 해 줄 수 있는 교사관계와 친구관계 영역은 청소년의 온라인 팬덤활동에 따른 사이버비행을 예방하고,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숙고 해 볼 필요가 있고 아울러 팬덤활동은 현실비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청소년 문화의 하나로 대안책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청소년들의 팬덤활동은 사회적 변화에 따른 우리의 문화 중 하나이며 다양한 팬덤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부정적인 부분과 선입견만 없앤다면 청소년의 건전한 문화로 정착되어 청소년들의 문화쉼터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본다. 다만 다양한 미디어 사용의 접근성이 좋아지면서 온라인 팬덤활동이 늘어가고 그에 따른 사이버 비행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므로 청소년들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강화시켜 줄 학교 교육의 정규화를 제안한다.

      • K-Pop 팬덤 내 사진 이미지 생산 및 소비에 관한 분석 : '찍덕'의 트위터 사용을 중심으로

        한수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팬덤의 고도화와 생산 장비의 발달 및 보급은 팬덤의 생산 능력 강화로 이어졌고, 팬덤의 생산물은 인터넷의 발달 및 보급과 맞물려 팬덤 내・외부에서 널리 유통할 수 있는 환경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 같은 현상은 K-Pop 팬덤 내에서 사진 이미지의 생산과 유통을 담당하고 있는 ‘찍덕’의 경우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찍덕이 어떠한 활동을 수행하는지와 이 활동들이 트위터 상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트위터 상 K-Pop 팬덤의 활동을 분석하여 찍덕의 트위터 활용 전략, 팬덤 내 구별 짓기 양상 및 찍덕의 팬덤 내 위상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찍덕의 활동은 어떠한 성분 및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와 트위터 상 K-Pop 팬덤의 활동 양상은 어떠한지의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해 심층 인터뷰와 오프라인 관찰로 구성된 사용자 조사, 팬덤 조사와 찍덕 조사로 구성된 트위터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찍덕의 활동을 한 가지의 주 활동 및 세 가지의 보조 활동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주 활동인 사진 촬영 및 배포 유형에는 출사, 프리뷰 사진 업로드, 보정본 사진 업로드 활동이 있다. 보조 활동인 경쟁력 관리 유형에는 정보 수집 및 출사 준비, 팔로워 관리 활동이 있다. 보조 활동인 팬 이벤트 유형에는 온라인 이벤트와 오프라인 이벤트 활동이 있다. 보조 활동인 수익 활동 유형에는 굿즈 제작 및 판매, 대리 촬영 및 데이터 판매 활동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찍덕의 활동이 트위터 상에서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트윗 유형 및 유형별 업로드 패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영향력에 따른 찍덕의 트위터 업로드 전략을 확인하였다. 팔로워 수가 높은 찍덕은 프리뷰 사진을 많이 업로드하고 보정본 사진을 적게 업로드하며, 굿즈 판매 트윗을 많이 업로드 한다. 팔로워 수가 낮은 찍덕은 보정본 사진을 많이 업로드하며, 온라인 이벤트 및 공식 콘텐츠 재업로드 트윗 역시 많이 업로드 한다. 찍덕은 자신이 촬영한 사진의 리트윗 수를 높이기 위해 출사 횟수 및 업로드일 수를 높이고, 보정본 사진을 빠른 시일 내에 업로드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리고 트위터 상의 K-Pop 팬덤은 생산 능력과 소비 행태에 따른 팬덤 내부의 구별 짓기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찍덕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콘텐츠 생산자 계층이 연예인과 기획사 및 기성 미디어 매체의 바로 아래, 즉 팬덤 내에서 가장 상위 권력을 차지하며, 팬덤 내 콘텐츠 소비자 중 적극적인 소비 활동을 통해 구별 짓기를 수행한 집단이 그 아래를 차지한다. 가장 아래에는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일반적인 콘텐츠 소비자들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연예 산업의 팬덤 내 다른 콘텐츠 생산자 그룹, 혹은 타 분야 팬덤 내 콘텐츠 생산자 그룹을 분석할 때의 기초 연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advancement of fandom and the dramatic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production equipment has led to the enhancement of fandom's production capacity. Fandom's products have become widely distributed both inside and outside of fandom due to the power and ubiquity of the internet. This phenomenon is exemplified by 'photaku', those responsible for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photographic images within K-Pop fandom. This study explores the photaku's activities and how they are reflected on Twitter.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activities of K-Pop fandom on Twitter, and identifies the Twitter usage strategies and differentiation strategies of K-Pop fandom and the influence of photaku on the fandom. This study addresses two research questions: What are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photaku's activities, and what are the activities of K-Pop fandom on Twitter.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I conducted a user study consisting of an in-depth interview and offline observation. I also conducted a Twitter activity analysis of both photaku and fandom. The study classified photaku's activities into one main activity, photography and content distribution, and three secondary activities: competitiveness management, fan event and monetization. Photography and content distribution include photo-taking, uploading preview images and uploading edited images. Competitiveness management includes information gathering, preparation for photo- taking, and follower management. Fan events include online events and offline events. Monetization includes making and selling goods, surrogate shooting and data sales. The classification of photaku activity is reflected on Twitter by tweet type. I confirmed photaku's Twitter upload strategies based on their influence. I found that photaku with many followers upload a higher percentage of preview photos, and photaku whose photos have a high number of retweets attend more photo-taking events, have more uploading dates, and upload edited photos faster. I confirmed that K-Pop fandom on Twitter distinguishes itself within fandom according to production capacity and consumption behavior. The content producers, the majority of whom are photaku, occupy the top position in the fandom, right below the entertainers, the management and promotion agencies and the established media. Among content consumers in the fandom, the group distinguished by active consumption activities are situated right below the content producers. At the bottom are general content consumers who represent over 90% of the total.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research for analyzing content creators in the fandom of th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and other fields.

      • K팝 팬덤, 정서적 공동체의 이해 : 방탄소년단 팬덤 아미를 중심으로

        이지원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SNS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팬덤 커뮤니티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형성된 정서적 공동체라는 점이 특징이다. 특히 K팝 아이돌 팬덤의 경우 스타에 대한 공통된 관심사를 열정적으로 공유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문화권에 속한 이들도 쉽게 경계를 허물고 팬덤 안에서 관계 맺기를 통해 직접적이고 친밀하게 소통한다. K팝과 같은 대중음악은 본래 정서적 파급력을 가진다. 무엇보다 사람들로 하여금 감정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K팝 기획사와 생산자들은 스타 캐릭터를 중심으로 팬덤이라는 특정한 마니아층을 타깃으로 한 K팝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K팝 아티스트 또한 소셜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팬덤과의 커뮤니케이션에 열중한다. 무엇보다 스타 콘텐츠를 소비하는 팬덤의 기대감, 만족감을 충족시키기 위해서이다. 팬덤은 문화콘텐츠 산업에서 절대적인 영향을 가진다. 팬덤의 존재는 K팝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돕는다. 스타 비즈니스를 넘어 팬덤 비즈니스에 집중해야 하는 까닭이다. K팝 팬들은 팬덤 내부에서 스타에 대한 경험을 한 주체로서의 자신을 인식하며 팬 활동을 지속한다. 팬으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 강화시키는 요인은 팬덤 내부에서 획득하는 정서적 만족감과 팬들 간의 끈끈한 연대이다. 본 연구에서는 K팝을 대표하는 아티스트 방탄소년단의 팬덤 아미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K팝 팬덤, 정서적 공동체의 함의를 고찰하였다. 특히 소셜 미디어를 중심으로 팬덤 활동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동일한 감정과 경험의 공유가 집단적 연대와 사회적 실천 행위로 진화하는 과정을 탐색하였다. 또한 팬덤의 역할과 의미론적 관점에서 팬덤의 정서 구조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홈마’의 팬덤 생산활동을 통해서 조명한 홈마의 역할과 노동의 문화적 함의

        Zhong, Wenfang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Homema(홈마)” is a specific term that refers to “Homepage Master” and it also refers to the productive subjects who take idol photos and videos in fandom and share them on their SNS homepage. This term can be encountered periodically on news and academic projects that related to fandom or cultural industry. Homema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onstruction of fandom by taking a series of activities. Whereas, there were very few existing academic researches related to their role as cultural mediators. Homema is a fan who consumes idols, and Hmoema also plays a productive role through a series of fandom activities and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ns and idols. The series of production activities carried out by Homema, both online and offline, rely heavily on digital technology and social media. And they are still working for idols without getting any financial reward despite of the unstable working environment. The first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formation of Homema’s identity and the specific role they medi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fans and idols in fandom by observing the process of Homema’s working activities. The second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not only the characteristic and meanings of the emotion and behaviors expressed by the Homema in the process of playing their role in fandom, but also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their labor.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lected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3 Homema who familiar with the production environment. Also, a text analysis of news about Homema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edia news mainly focuses on the behavior of Homema and the public issues about them. The pubic issues about Homema can be devided into two opinions: one i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Homema in a positive way, and the other is to criticize some phenomenons, such like infringement of portrait rights and tax evasion by Hmoema's photo shooting and selling in a negative way.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we found that there are some specific Homema's activities that which mainstream media did not notice, the emotions and perspectives that they develope as they interact with the fandom community, the discourses shared among Homema group and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interests in the fandom. Specifically, the activities of Homema’s work can be categorized into Preparatory work (preparation), main work (photo-shooting), and post work (homepage management), and they enjoy the works as an hobby and evaluate it as an important life experience. The fact that Homema's self-exploiting work was concealed by the pleasure and happiness gained from so-called "Dokjil". in fandom, The series of activities organized by “Homema” has a great effect on the expansion of fandom, and also bring huge economic effect to the idol industry. On the other hand, regardless of the pressure from the fandom community and fierce competition between Homema, Homema insist to do their Homema work to pursue happiness and self-realization. They try to resolve the inner conflict of homma life-real life through selective activities or "Dokjil(덕질)", to live in homema life while compromising with real life. In addition, overlooked in the existing fandom research and media, the work that homema doing can be characterized by digital labor and free labor. They accumulate cultural capital and promote career management in the process of doing their works. Key words: fandom, Homema, digital labor, free labor, fan productivity, career management ‘홈마’는 ‘홈페이지 마스터’를 지칭하는 특정한 용어로, 팬덤 내에서 아이돌 사진과 동영상을 촬영하여 자신이 운영하는 SNS 홈페이지에 공유하는 생산적 주체를 말하는데, 팬덤이나 문화산업 관련된 기사와 학술기획에서 이제는 주기적으로 접할 수 있는 표현이다. 이들은 팬들이 생성하는 일련의 활동 속에서, 정보와 팬덤을 구현하는데 상당히 긴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반면에 기존의 팬덤연구에서 이들의 문화적 매개자로서의 역할에 주목한 학술연구는 매우 소수에만 그치고 있다. 홈마들은 아이돌이라는 문화상품을 소비하는 팬이기도 하지만, 일련의 팬덤활동을 통해 생산적 실천을 하며 팬과 아이돌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들이 팬덤에서 수행하는 일련의 생산활동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막론하고 디지털 기술과 소셜 미디어에 많이 의존하고 있으며, 불안정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아이돌을 위한 노동을 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보상이 없는 현실에 처해 있다. 이 논문의 첫 번째 목적은 팬덤 내의 주요 생산주체인 홈마들의 활동과정을 상세하게 들여다봄으로써 홈마 정체성의 형성과 이들이 팬덤에서 스타와 팬을 매개하는 특정한 역할에 대해 탐구해 보는 것이다. 두 번째 목적은 홈마들이 팬덤에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표출하는 감정과 행위의 특성과 의미가 무엇이며, 이들의 노동의 특징과 문화적 함의에 대해 탐구해 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추진하면서, 주로 생산현장에 대해 잘 아는 13 명의 홈마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고, 이들과 관련된 언론기사에 대한 텍스트 분석도 부분적으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홈마에 대한 언론의 재현은 주로 홈마의 활동양상과 이들에 대한 대중적 쟁점에 대해 중심적으로 조명하고 있는데, 대체로 홈마의 선한 영향력을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과 홈마의 촬영과 판매 활동으로 인한 초상권 침해와 탈세 등 문제를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으로 정리될 수 있다. 심층 인터뷰를 통해 관찰된 홈마의 모습은 언론에서 재현된 모습을 일정 부분 포함하는 동시에 주류 언론이 충분히 포착하지 못하는 홈마의 구체적인 활동양상, 이들이 팬층과 상호작용하면서 구성하는 감정과 관점, 그리고 홈마 집단 내부에서 공유되는 담론에 대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홈마들의 활동은 전기작업(준비), 주요작업(현장 촬영), 후기작업(홈페이지 관리)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들은 홈마로서 하는 활동을 취미생활로 즐기며 중요한 인생 경험으로 스스로 의미를 부여하는 동시에 이들이 자아착취적인 노동을 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른바 “덕질”의 즐거움과 행복감에 은폐되는 경향을 보였다. 홈마들이 팬덤에서 실행하는 일련의 활동은 팬덤의 확장과 충성도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동시에 아이돌 산업에도 커다란 경제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한편, 홈마들은 기획사의 관리, 일반 팬들의 견제와 압력, 그리고 홈마 내부에서의 심한 경쟁으로부터 적지 않은 스트레스와 부담감을 느끼면서도 즐거움과 자이실현을 추구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홈마활동을 하고 있다. 홈마들은 홈마-삶이라는 내면의 갈등을 선택적인 “덕질”을 통해 해소하려 노력하며, 현실생활과 타협하면서 홈마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팬덤연구나 언론의 보도에서 간과된 측면으로, 홈마들의 활동은 디지털 노동과 무임노동의 성격을 띠며 홈마들은 활동과정에서 상당한 문화적 자본을 축적하며, 나아가서 향후 경력 관리 등을 도모한다.

      • 온라인 엔터테인먼트 산업발전의 필요성과 팬덤 플랫폼에 대한 연구

        나인영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팬덤 문화의 변화에 대응하고, 새로운 형태의 팬덤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인 고찰을 제공한다. 현대의 팬덤은 주로 온라인 상에서 활동하며, 이들의 상호작용과 참여 방식은 기존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넘어서는 새로운 요구를 제기한다. 과거 일방향적인 형태의 포털사이트 팬클럽 카페나 커뮤니티 사이트 갤러리/게시판등을 통해 자생적으로 운영되어 왔던 팬덤의 형태가 아니라, 아티스트와 직접 소통하며 자체 콘텐츠 유통 및 커머스, 커뮤니티의 확장을 요구하는 다방향적 형태의 팬덤이다. 또한 더 신속하고 적극적인 소통을 원하며 실시간 번역서비스, 온라인 콘서트, 아티스트와의 1:多 메시지 서비스 등의 기술적 발전을 적극 수용한다. 이렇게 변화된 팬덤의 니즈는 팬덤 플랫폼의 필요성으로 이어졌다. 팬 모집 및 공지사항 전달, 자체 콘텐츠 유통, 온라인팬미팅, MD판매, 콘서트 예매까지 기존의 여러 채널에 분산되어 있던 활동들이 플랫폼을 통해 집중되어 편리성을 높이고 커뮤니티의 상호작용 활성화를 높인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팬덤 플랫폼, '위버스(Weverse)'와 '버블(Bubble)'의 특성과 운영 방식을 비교 분석하고 사업적 가능성을 예측한다. 또한 팬덤 플랫폼의 아쉬운 점과 우려점, 한계에 대해 고찰한 후 디자인적 사고방식을 통해 플랫폼 활성화를 위한 기능적 개선점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팬덤 플랫폼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이론적 틀과 실용적 지침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팬덤 기반의 디지털 커뮤니티가 더욱 풍부하고, 상호작용적이며, 경제적으로 가치 있는 공간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이는 디지털 시대의 팬덤 문화를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provides a foundational exploration to respond to the changes in fandom culture in the digital era and to develop new types of fandom platforms. Modern fandoms primarily operate online, and their modes of interaction and participation raise new demands beyond traditional social media platforms. Unlike the past forms of fandom that were self-operatively managed through one-way fan club cafes or community site galleries/forums, the current fandoms demand a multi-directional form that involves direct communication with artists, distribution of self-created content, and expansion of commerce and community. Additionally, they seek swifter and more proactive communication, readily adopting technological advancements like real-time translation services, online concerts, and one-to-many messaging services with artists. These evolved needs of fandom have led to the necessity of fandom platforms. Activities that were previously dispersed across various channels, such as fan recruitment, announcements, content distribution, online fan meetings, merchandise sales, and concert ticketing, are now centralized through platforms, enhancing convenience and invigorating interactions within the fandom community. This research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al methods of leading fandom platforms, 'Weverse' and 'Bubble,' and predicts their business potential. It also contemplates the shortcomings, concerns, and limitations of fandom platforms and proposes functional improvements for platform activation through design thinking. This study offers essential theoretical frameworks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fandom platforms, exploring ways to enrich digital communities based on fandoms, making them more interactive and economically valuable. This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fandom culture in the digital age and establishing new business models based on it.

      • 재한 중국 유학생의 한국 아이돌 그룹 팬덤 활동에 관한 연구 : 팬 페이지 운영자를 중심으로

        Fa, Zhengzheng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research records the process of fan activity by interviewing th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 fans who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fan activities in Korea by choosing to study in Korea under the influence of Korean Wave to expand the features and the meaning of the fandom activities of the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The research was fcused on Chinese student fan who mainly operated fan page and the methods of this qualitative research were selected as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 observation, and docum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 fans who are studying in Korea, idol is similar to 'Brother next door ' rather than 'Star'. The relationship between fan and idol is shown as a relatively equal relationship. Fandem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 in Korea is considered to be fandom as a 'Foster' .  Home Masters tend to think of their own fan pages as their own, and identifies the identity as an idol group fan by hanging on to the operation of one-person media such as Twitter and Wei Bo. The spontaneity and activeness are characteristic in the process of the activity to take photos of idols. It was part of the aspects of 'Personalization' and 'Subjectification'.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 fans studying in Korea are prosumers without staying at consumers. They are doing fan activities such as purchasing various agencies, commissioning signatures, requesting photographs, etc. using Twitter and Wei Boo,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ods manufacturing process were voluntary and positive participation. In short, the Korean idol group fandom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is a group that acts in an independent producer compared to a simple idol consumer. The meanings and problems of the fandom activity of th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 fans in Korea which the study revealed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process of accomplishing the fulfillment of desire by adoring an idol, the 'Pleasure' as leisure occurs. In addition, the start of studying, such as computer programs and languages ​​shows a positive experience and th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 fans in Korea are well influenced by relationships, sociality, self-satisfaction and self-realization. The negatives which the research revealed are as follows. First, if someone is deceived by the cultural industry and become addicted to a fantastic idol, he will become easy to escape from reality. Second, A number of them seek to find a fuller and brilliant thing to fill the emptiness that lacks the existential sense of value of oneself. It's easy to be tricked by false desires. Based on these results, to solve the problem, it is necessary to be encouraged to develop critical consciousness and rational thinking and to choose a goal worth achieving, plan your path and then get started. 본 연구는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유학을 선택하여 한국 현지에서 팬 활동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재한 중국 유학생 팬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해 팬 활동의 과정을 기록하며, 중국 유학생 이주 팬덤 ‘덕질’의 특징과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 연구다. 주로 팬 페이지 운영하는 재한 중국 유학생 팬에 대한 심층면접, 참여관찰, 문헌 분석의 질적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한 중국 유학생 팬들에게 아이돌은 갈망하는 ‘스타’가 아닌 ‘옆집 오빠’와 비슷한 느낌이며 비교적 동등한 관계가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한 중국 유학생 이주 팬덤은 팬덤은 주체적이고 ‘양육자’로서의 팬덤이라고 볼 수 있다. 홈마들이 자기가 만든 팬 페이지를 ‘자신의 소유물’로 생각하는 경향이 보이며 트위터, 웨이보 등 1인 미디어 의 운영에 매달림으로써 아이돌 팬으로서 정체성을 확인한다. 또란 오프라인의 ‘찍덕’ 활동 과정에서 이들의 자발성과 능동성은 특징적으로 드러난다. 그것이 ‘개인화’, ‘주체화’ 되는 측면과는 맞닿아 있다. 재한 중국 유학생 팬들은 소비자에 머물지 않고 프로슈머로 나서고 트위터, 웨이보를 활용하여 각종 대리 구매, 사인 의뢰, 사진 의뢰 등 팬 경제 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모습은 특징적으로 드러났다. 요컨대 재한 중국 유학생 한국 아이돌 그룹 팬덤은 단순한 아이돌 문화의 수용자에 비해서 주체적으로 행동하는 집단이라고 볼 수 있다. 덧붙여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가 밝혀낸 중국 유학생 이주 팬덤의 팬 활동의 의미와 문제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아이돌로 욕구 충족을 달성시키는 과정에서 휴식, 여가로서의 즐거움이 발생한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언어와 같은 새로운 분야에 대한 공부를 시작하는 모습은 이들이 긍정적인 경험을 하고 있으며 인간관계, 사회성, 자기만족과 자아실현에 있어서 좋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아이돌 ‘덕질’의 부정한 면을 검토하고자 하면 첫째, 문화산업에 기만을 당해 환상적인 아이돌에게 중독이 되면 현실 소홀, 현실 도피를 불러온다. 둘째, 스스로의 존재적 가치감이 결핍된 공허함을 메우고자 멋지고 화려한 것, ‘나’를 느끼게 해 줄 수 있도록 충만한 것을 찾아 헤매며 거짓된 욕구에 지배당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몽환적인 아이돌에 집착하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체적이고 합리적인 의식, 즉 비판의식이 필요할 것이며 삶의 목표를 세우고, 목표를 이루기 위해 꾸준히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 오디션 프로그램 유형이 팬덤 문화에 미치는 영향

        이민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팬덤 문화는 과거도 지금도 큰 인기가 있는 주제이다. 이 연구는 오디션 프로그램의 발전에 따라 오디션 프로그램 출신 아이돌 팬덤의 변화에 대한 연구로서 나아가 연예인 기획사가 내놓은 아이돌 그룹 팬덤과 오디션 프로그램 출신 아이돌 그룹 팬덤의 팬덤 문화 차이를 연구하여 실증적 검증 결과를 밝혔다. 이를 연구하기 위해 한국어, 중국어 두 개 버전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51부의 최종 설문지가 수거되었으며 불성실 응답자를 제외하고 총 215명의 응답이 설문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디션 프로그램 출신 아이돌 그룹의 팬덤이 연예인 기획사가 내놓은 아이돌 그룹의 팬덤보다 충성도가 높았으며 <연구가설 1-1>은 지지가 되었다. 오디션 프로그램 출신 아이돌 그룹의 팬덤이 연예인 기획사가 내놓은 아이돌 그룹의 팬덤보다 친밀감이 더 높아, 가설에서 예측한 방향과 일치한 방향의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오디션 프로그램 출신 아이돌 그룹의 팬덤이 연예인 기획사가 내놓은 아이돌 그룹의 팬덤보다 정체성이 높게 나타나 <연구가설 2-1>은 지지가 되었다. 오디션 프로그램 출신 아이돌 그룹의 팬덤은 연예인 기획사가 내놓은 아이돌 그룹의 팬보다 스타에 대한 소비의지가 높아 <연구가설 2-2>의 예측과 같은 방향의 결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오디션 프로그램 출신 아이돌 그룹 팬덤이 연예인 기획사가 내놓은 아이돌 그룹 팬덤보다 소비의지와 정체성이 높다는 것을 말할 수 있다. 충성도와 친밀감도 소비의지와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가설 3-1>과 <연구가설 3-2>의 예측과 같은 방향의 결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친밀감과 소비의지가 참여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나타났다. 충성도와 정체성의 유의 확률 p> 0.05이므로 따라서 <연구가설 4-1>에서 충성도와 정체성이 참여감에 긍정적인 영향의 결론은 확실히 내릴 수 없다. Fandom culture is a very popular topic in the past and now. As a study on the change of idol fandom from audition programs with the development of audition programs, this study further studied the difference in the fandom culture between idol group fandom from audition programs and idol group fandom from audition programs. To study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 two versions: Korean and Chinese. 251 final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215 responses, excluding unfaithful respondents, were used to analyze the survey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ndom of the idol group from the audition program was more loyal than the fandom of the idol group presented by the celebrity agency, and <Research Hypothesis 1-1> was supported. The fandom of the idol group from the audition program was more intimate than the fandom of the idol group released by the celebrity agency, resulting in a direction consistent with the direction predicted by the hypothesis. Second, <Research Hypothesis 2-1> was supported as the fandom of the idol group from the audition program was higher in identity than the fandom of the idol group presented by the celebrity agency. The fandom of the idol group from the audition program had a higher willingness to spend on stars than the fan of the idol group presented by the celebrity agency, indicating the same direction as the prediction in <Research Hypothesis 2-2>. Third, it can be said that the idol group fandom from the audition program has a higher willingness and identity to consume than the idol group fandom released by the celebrity agency. Loyalty and intimacy were also found to affect consumption will and identity. The result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edictions of <Research Hypothesis 3-1> and <Research Hypothesis 3-2> were significant. Fourth, it was found that intimacy and willingness to consume influenced the sense of participation. Since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of loyalty and identity is p>0.05, the conclusion of the positive effect of loyalty and identity on participation in <Research Hypothesis 4-1> cannot be concluded for sure. 粉丝文化在过去和现在都是非常受欢迎的主题。 该研究是随着选秀节目的发展,对选秀节目出身的偶像粉丝团的变化进行研究,进而研究了艺人企划公司推出的偶像组合粉丝团和选秀节目出身的偶像组合粉丝团的粉丝团文化差异,并公布了实证验证结果。 为了研究这一点,进行了韩语、中文两个版本的在线问卷调查。 收集了251份最终问卷,除不诚实受访者外,共有215名受访者用于调查数据分析。 研究结果如下。 第一,选秀节目出身的偶像组合的粉丝团比艺人企划公司推出的偶像组合的粉丝团忠诚度更高,《研究假说1-1》得到了支持。 选秀节目出身的偶像组合的粉丝团比艺人企划公司推出的偶像组合的粉丝团更亲密,出现了与假设预测方向一致的结果。 第二,选秀节目出身的偶像组合的粉丝团比艺人企划公司推出的偶像组合的粉丝团整体性更高,因此《研究假说2-1》得到了支持。 选秀节目出身的偶像组合的粉丝团比艺人企划公司推出的偶像组合的粉丝对明星的消费意志更高,因此与《研究假说2-2》的预测方向相同的结果有意义。 第三,可以说选秀节目出身的偶像组合粉丝团比艺人企划公司推出的偶像组合粉丝团消费意志和认同感更高。 忠诚度和亲密感也会影响消费意志和认同感。 与<研究假设3-1>和<研究假设3-2>预测方向相同的结果有意义的出现。 第四,亲密感和消费意志对参与感产生影响。 由于忠诚度和身份的显着概率p>0.05,因此无法在《研究假设4-1》中明确得出忠诚度和身份对参与感的积极影响的结论。

      • 중국 ‘한류팬’의 팬덤 활동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재한 중국 유학생의 팬 페이지 이용 사례를 중심으로

        왕이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벤야민의 이론적 사유를 통해서 팬 페이지를 제작하는 재한 중국 유학생들의 팬덤 활동 경험과 한류 문화 수용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으며 또한 이러한 초국가적 문화 수용의 개인적·사회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팬덤 문화 이용자에 대한 기존 연구에 따르면 팬들은 적극적으로 팬덤 활동에 참여하는 능동적인 집단이다. 그러나 ‘빠순이’라는 호명이 존재하는 만큼 팬덤 공동체에 대한 사회의 시각은 여전히 부정적이다. 중국에서는 역시 연예인에 열광하고 쫓아다니는 사람들을 지속적으로 비평하고 있으며 ‘어리석은 팬(脑残粉)’ 혹은 ‘덕질개(追星狗)’라는 부정적인 호명도 계속 사용하고 있다. 이중에 초국가적으로 한류 문화를 수용하는 ‘한류팬’ 집단은 더욱더 중국 국민들의 질의를 받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팬 페이지 제작 경험이 있는 재한 중국 유학행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그들의 시각적·촉각적인 팬덤 활동 경험을 알아보았고 한류 문화에 대한 인식을 벤야민의 산보자, 수집가 사유와 접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의 유희 공간으로 활용되는 SNS와 한국 도시 환경에서 그들의 미메시스 능력 실천 양상도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이와 같은 일련의 실천행위를 통해 획득한 함의를 살펴보았으며 한계점을 통해서 팬덤 문화 또한 초국가적 문화 수용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 ‘한류팬’들이 한류 문화를 수용하는 것은 맹목적으로 타국 문화를 숭배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인 주체로서 하나의 대중문화를 향유할 뿐이다. 또한 초국가적 문화 수용에 있어 중국 ‘한류팬’은 문화 교류 촉진의 역할을 행하고 있으며 중국 본토 대중문화의 발전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중국 ‘한류팬’아라는 집단에 대해서 다시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이를 통해서 한류 팬덤 문화, 또한 한·중 대중문화 교류에 있어 발생한 문제점을 제시함으로써 문제의 해결방안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Through Benjamin's theoretical thinking,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of fandom activities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and the perception of Korean wave culture acceptance by Chinese students who create fan pages and also attempt to derive the personal and social implications of such transnational cultural acceptance. According to existing research on fandom culture users, fans are groups actively participating in fandom activities. However, as the name “fangirl” exists, society's view of the fandom community is still negative. China continues to criticize the fandom community and continue to use negative nicknames such as “foolish fans” or “fangirls”. Among them, the “Korean Wave Fans” group, which embraces the Korean wave culture in a transnational state, is increasingly being questioned by the Chinese public.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selected the participants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who had experience in making fan pages, to study their visual and tactile fandom activities, and to combine their awareness of Korean culture with Benjamin's Flâneur and Sammler thinking. Besides, the social media used as a space for study participants and their mimetic abilities in the Korean urban environment were also examined. Furthermore, the implications obtained through this series of practices were examined, and through the limitations, the fandom culture also presented the problem of accepting transnational cultur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acceptance of Korean wave culture by Chinese “Korean Wave fans” does not blindly worship foreign cultures, but only enjoys one popular culture as an active subject. Also, Chinese “Korean Wave Fans” play a role in promoting cultural exchange in accommodating transnational culture, and can also help the development of popular culture in China. H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Chinese “Korean Wave Fans”, thereby suggesting problems that occurred in the exchange of Korean Wave fandom culture and Korean-Chinese popular culture, and find the sol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