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근대 퀴어 서사의 계보학

        백종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store the emotion and desire of queer existence within modern Korean literature not yet fully dealt with in treatments of its literary history. By capturing the original moment when the Korean literary field was reorganized heterocentrically, this thesis focuses on proving that the heteronormativity of the Korean literary field is not natural. Through this, this thesis will (re)invigorate the politics of Korean literature and make the act of reading Korean literary works of the past into a political act (again). With the recent social visibility of the queer community, the longing of queer people to find “a sample” to prove their existence within literary works of past grows increasingly more intense. In response to this desire to discover traces of past queer existence, this thesis attempts to write a new “history of Korean queer literature” by recovering the rightful voice of queer people represented in narratives from the 1910s to the 1940s. This thesis seeks to redefine the period from the 1910s to the early 1920s as “The Era of Queer Narrative.” The male youth of this period was represented as a pioneering spirit of the times, leading Joseon into a civilized society, as an emblem of hope pushing history constantly forward. In addition, a “love” among male youth, a form of sympathy, was actively demanded by society. At the time, on the argument from many intelligentsia-literati that civilization was differentiated from barbarism depending on the non/existence of sympathy towards others, male youth possessed the potential to become pioneers of civilization and emblems of futurity (only) by exchanging a “sympathy=love” with each other. Male youths from “The Era of Queer Narrative” confirmed their “sympathy=love” towards each other with physical contact such as hugging and kissing, on the basis of which they constructed an Emotional-Community. The Emotional-Community was a community formed by male youth for the civilization of Joseon through the exchange of “sympathy=love,” in order to continue to provide emotional momentum for progress towards a civilized society. In addition, literary form, such as novels and epistolary texts, performed the role of teaching the codes of “sympathy=love” to male youth. In particular, the explosion of epistolary texts in “The Era of Queer Narrative” greatly influenced the spread of the notion that expressing “love” among friends of the same sex adhered to the correct writing convention. In the process of these repetitive citations of “love,” however, “love” could be cited against its original intention, and “love” among male youth always had a possibility that it could be converted into romantic love, that is, queer emotion. In this way, if there is a close continuity between the “love” among male youth and queer emotion, the foundation of the Emotional-Community was indeed queer emotion, therefore the Emotional-Community of “The Era of Queer Narrative” might be defined as a Queer Emotional-Community. And through this, all texts expressing a male’s “love” towards another male can also be placed provisionally within the genealogy of the queer narrative. However, while the Emotional-Community of “The Era of Queer Narrative” required a male-oriented same-sex “love,” it also forbade male youth from expressing their romantic love, namely, queer emotion, to another male. It was because constructing this Emotional-Community required “loves” as a plurality, with many members within the community, not a singular and exclusive “love” with only one person. Thus, this “love” was a contradiction in terms: in the face of such a command to “love,” yet not romantically, the male youth had to control their desires in order not to “deviate” into queer desire. Novels from “The Era of Queer Narrative,” which did demonstrate a same-sex intimacy, performed the command according to the letter, while also revealing the cracks in its façade. Meanwhile, after the mid-1920s, Western sexology and discourses on homosexuality were introduced to Colonial Joseon via Japan. The trends in sexology of that time held the belief that heterosexuality was the foundation for social progress, and it described sexual practices such as sodomy as a sign of racial inferiority to define primitive and barbaric existence. As a result, this assemblage of heterosexuals as civilized and homosexuals as barbaric began to take effect even within the single country of Korea. The behaviors of holding hands or rubbing cheeks between men became regarded as a token of the “homosexual=barbarian.” In other words, in “The Era of Queer Narrative,” physical contact among men, which had been a bodily act meant to arouse the will to progress towards a civilized society, now became a bodily act that put men at risk of being stigmatized as a “barbarian” without a future, that is, an outsider within, with an acceptance of the current discourses on homosexuality. Thus, the status of literary representation of same-sex intimacy was reversed: from “civilization” to “barbarism,” after the introduction and acceptance of international discourses on homosexuality. As a result, to avoid any “misunderstanding” that they represented homosexuality, and not to be “misconceived” as homosexuals themselves, writers consciously endeavored to exclude a depiction of same-sex intimacy. Furthermore, this necessity was closely related to a longing of the intelligentsia-literati for occupying and retaining their status as a transmitter of knowledge and a disseminator of thought. The long-standing belief in the “politics” of the Korean literary field, that they could and should transform society through literature, solidified the position of the Korean literary field as homophobic. From the mid-1920s to the 1940s, after the discourse against homosexuality was introduced and established in Korea, the queer narrative was repressed, refracted or concealed into three different forms. These were (1) queer narrative as a personal and historical reminiscence looking “back” on the situation where one’s desire was perfectly fixated on heteronormative institutions, (2) queer narrative as a token of decadence that premised queer desire as pathological, and (3) a hidden “queer narrative” within a heterosexual narrative that concealed queer desire, in order not to be read as a queer narrative. These three aspects of “queer narrative“ clearly show certain limitations, but at the same time, it is noteworthy that they testify to the presence of queer emotion and desire within the tradition of Korean literature, regardless of the will of writers. In “The Era of Queer Narrative,” male bonding between male writers and male readers had taken a central position on the literary field, and therefore queer narratives focused primarily on portraying desire among men. However, literature representing queer relationships between women has also existed persistently, despite being marginalized. Therefore, in order to write a new history of Korean queer literature, it is also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queer relationship between women. Of particular interest is that, after the importation of the discourse against homosexuality, the number of narratives representing the desire between men decreased, while the number of narratives representing the desire between women increased. The first reason for this phenomenon was that, through the complete desexualization of homosexual women, female homosexuality was represented as a “safe” sexuality which did not threaten the heteronormative social order. Often, female homosexuality was defined as a preparatory stage for heterosexuality, and it was understood as an object which could “safely” satisfy the voyeuristic desire of readers and, as a result, literature depicting a queer relationship between women increased rapidly. What should be emphasized here, however, is that every woman, regardless of sexual preference, was forced to follow a heterosexual life script in institutions of “compulsory heterosexuality.” In order to break down patriarchal oppression and achieve women’s liberation, women also constructed an Emotional-Community of women based on sympathy, and many stories about “women loving women” emerged from this community of “women promoting the interests of women,” which had existed since “The Era of Queer Narrative.” But as censorship and the pathologization of homosexuality became even more intense in the late 1930s, narratives depicting queer relationships between women likewise began to appear in highly refracted and concealed form. Thus, the shuttering and distortion of female queer narrative would be the final destination of Korean queer narrative until the 1940s. The current homophobia of the Korean literary field would later be shaped at two points of inflection: first, in the 1950s when the making of the nation-state was proceeding in earnest, and then in the late 1980s when the AIDS panic would incite more flagrant homophobia. 본고는 기존의 한국문학사가 미처 다루지 못했던 한국문학 속 퀴어한 존재들의 감정과 욕망을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한국문학(장)이 이성애중심적으로 재편되는 원초적 순간을 포착함으로써, 한국문학(장)의 이성애규범성이 결코 자연적인(natural) 것이 아님을 증명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를 통해 본고는 한국문학의 정치성을 (재)활성화하고, 과거의 한국문학을 읽는 행위 자체를 (다시) 정치적으로 만들고자 한다. 최근 퀴어가 사회적으로 더욱 가시화되면서, 과거의 문학 작품에서 자신의 존재를 증명해 줄 “견본”을 찾고자 하는 퀴어들의 갈망은 더욱 강렬해지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퀴어 당사자들의 욕망에 응답하는 한편, 1910~1940년대까지의 서사에 나타난 퀴어한 존재들에게 정당한 발언권을 되돌려줌으로써, 새로운 ‘한국퀴어문학사’를 쓰는 시론(試論)으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이 과정에서 본고는 1910~1920년대 초를 ‘퀴어 서사 시대’로 재규정한다. 이 시기의 남성 청년들은 조선을 문명한 사회로 이끌 시대의 전위이자, 역사를 부단히 앞으로 밀고 나가기 위한 희망의 기호로 호명되었다. 이때 남성 청년들 사이의 ‘사랑’은 동정(同情)의 한 형태로서 사회적으로 적극 요청되었다. 당시 지식인-문인들은 동정의 유무를 기준으로 문명과 야만을 구분할 수 있다고 주장했던바, 남성 청년들은 서로 ‘동정=사랑’을 나눔으로써(만) 문명의 전위이자 미래의 기호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퀴어 서사 시대’의 남성 청년들은 포옹이나 키스 등의 신체 접촉을 통해 서로를 향한 ‘동정=사랑’을 확인했고, 이를 기반으로 하나의 감정-공동체를 구축했다. 감정-공동체란 조선의 문명화를 위해 당시 남성 청년들이 ‘동정=사랑’의 교환을 통해 형성했던 공동체로서, 문명한 사회로의 진보를 위한 감정적 동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했다. 또한 문예적 글쓰기로서의 서간체 텍스트나 소설 등은 바로 이러한 ‘동정=사랑’의 코드를 남성 청년들에게 가르치는 역할을 담당했다. 특히 ‘퀴어 서사 시대’에 폭발적으로 쏟아져 나온 서간체 텍스트는 동성의 벗들끼리 서로 ‘사랑’을 표현하는 것이야말로 올바른 글쓰기 관습이라는 인식을 확산시키는 데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이처럼 ‘사랑’을 반복적으로 인용하는 과정에서 원래의 의도를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마련이었고, 남성 청년들 사이의 ‘사랑’은 연애에 가까운 낭만적 사랑, 즉 퀴어한 감정으로 전이될 가능성을 늘 가지고 있었다. 이처럼 남성 청년들 간의 ‘사랑’과 퀴어한 감정 사이에 긴밀한 연속성이 존재한다면, 감정-공동체의 근간 자체가 퀴어한 감정이라고도 할 수 있는바, ‘퀴어 서사 시대’의 감정-공동체란 기실 퀴어한 감정-공동체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남성에 대한 남성의 ‘사랑’을 표현했던 모든 텍스트 역시 잠정적으로 퀴어 서사의 계보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퀴어 서사 시대’의 감정-공동체는 남성 간의 ‘사랑’을 요청하면서도, 동시에 퀴어한 감정으로서의 낭만적 사랑을 표현하는 것은 금지했다. 이는 감정-공동체의 구축을 위해서는 오직 한 사람과의 단수적이고 배타적인 ‘사랑’이 아니라, 여러 공동체 구성원들과의 복수적인 ‘사랑들’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감정-공동체의 이율배반적인 명령 앞에서 남성 청년들은 퀴어한 욕망으로 ‘변질’되지 않게끔 자신의 욕망을 끊임없이 조절해야 했다. 동성 간 친밀성을 재현한 ‘퀴어 서사 시대’의 소설들은 이러한 감정-공동체의 명령을 적절히 수행하기도 했고, 또한 그 명령의 균열 양상을 현시하기도 했다. 한편 1920년대 중반 이후 일본을 경유해 서구의 성과학 및 동성애 담론이 식민지 조선에 수용·정착되었다. 당대의 성과학은 이성애에 기반을 둔 성도덕이 사회 진보를 위한 토대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으며, 남색(男色)과 같은 성적 실천을 원시적이고 야만적인 존재를 규정하기 위한 인종주의적 기표로 동원했다. 이에 따라 한 국가 내에서도 이성애자를 문명적 존재로, 동성애자를 야만적 존재로 배치하는 효과가 작동하기 시작했다. 또한 남성들끼리 손목을 잡거나 뺨을 비비는 등의 행위가 ‘동성애자=야만인’을 나타내는 일종의 징표로 의미화되기도 했다. 즉 ‘퀴어 서사 시대’에는 문명한 사회로의 진보를 향한 의지를 추동하는 몸짓이었던 동성 간의 신체 접촉이, 동성애 담론의 수입과 함께 미래가 없는 ‘야만인’ 즉 내부의 타자로 낙인찍힐 위험이 있는 몸짓으로 변하게 된 것이다. 환언하자면 동성애 담론 수입을 기점으로 동성 간 친밀성에 대한 문학적 재현의 위상이 ‘문명’에서 ‘야만’으로 역전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작가들은 동성애를 재현했다는 ‘오해’를 피하기 위해, 나아가 작가 자신이 동성애자로 ‘오인’되지 않기 위해, 동성 간 친밀성에 대한 묘사를 의식적으로 배제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필요는 지식의 전달자이자 사유의 전파자라는 지위를 점유·유지하려던 지식인-문인들의 갈망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문학을 통해 사회를 변혁할 수 있다는, 나아가 사회를 변혁해야 한다는 문학의 ‘정치성’에 대한 한국문학(장)의 오랜 믿음이 한국문학(장)을 동성애혐오적으로 구성하게 된 것이다. 이처럼 동성애 담론이 수용·정착된 1920년대 중반부터 1940년대까지의 퀴어 서사는 서로 다른 세 가지 양상으로 억압·굴절·은폐되어 나타났다. (1) 자신의 욕망을 이성애규범적 제도에 완벽하게 안착시킨 상황에서 ‘뒤’를 돌아보는 개인적·시대적 회고담으로서의 퀴어 서사, (2) 퀴어한 욕망을 병적인 것으로 전제하는 데카당스의 징표로서의 퀴어 서사, (3) 퀴어 서사로 읽히지 않게끔 퀴어한 욕망을 적절히 숨기는 이성애 서사로 은폐되는 ‘퀴어 서사’가 그것이다. 이러한 세 가지 양상의 ‘퀴어 서사’는 분명히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지만, 동시에 한국문학의 전통 속에 퀴어한 감정과 욕망이 존재해 왔음을 (작가의 의지와 무관하게) 증명하기도 한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한편 ‘퀴어 서사 시대’에는 남성 작가와 남성 독자로 이루어진 연대가 문학장의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고, 이에 따라 퀴어 서사 역시 대체로 남성들 사이의 욕망을 그리는 데에만 초점을 맞췄다. 그러나 여성들 사이의 퀴어한 관계를 재현한 문학은 주변화되었을지언정 끈질기게 존재해 왔다. 따라서 한국퀴어문학사를 새롭게 서술하기 위해서는 여성들의 퀴어한 관계에 대해서도 반드시 주목해야 한다. 흥미로운 점은 동성애 담론의 수입 이후, 남성 간의 욕망을 재현한 서사가 점차 감소했던 반면, 여성 간의 욕망을 재현한 서사는 오히려 증가했다는 사실이다. 이는 일차적으로 여성 동성애자가 완벽하게 탈성화(desexualization)됨으로써, 여성 동성애가 이성애규범적 사회 질서를 위협하지 않는 ‘안전한’ 것으로 이해되었기 때문이다. 즉 여성 동성애가 이성애를 위한 준비 단계 정도로 규정되면서, 독자들의 관음증적 욕망을 ‘안전하게’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대상으로 이해되었고, 그 결과 여성들의 퀴어한 관계를 다룬 서사가 급증하게 된 것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보다 강조되어야 할 사항은 성적 선호와 무관하게 모든 여성이 “강제적 이성애”라는 제도 속에서 이성애적 생애 각본을 강요당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가부장제적 억압을 타파하고 여성해방을 쟁취하기 위해 여성들은 동정(同情)을 기반으로 여성들의 감정-공동체를 구축했고, ‘퀴어 서사 시대’부터 존재해 온 이 ‘여성의 이익을 증진하는 여성들’의 공동체 속에서 ‘여성을 사랑하는 여성’의 이야기가 다수 등장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30년대 후반 이후 동성애에 대한 검열 및 병리화가 한층 더 심해지면서, 여성의 퀴어한 관계를 다룬 서사 역시 몹시 굴절되고 은폐된 형태로 나타날 수밖에 없게 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1940년대까지의 한국 퀴어 서사가 맞닥뜨린 종착지와도 같았다. 이후 한국문학(장)은 국민-국가 만들기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던 1950년대와 AIDS 패닉과 함께 동성애혐오가 더욱 노골적으로 광범위하게 드러나기 시작한 1980년대 후반이라는 두 개의 변곡점을 지나, 지금의 동성애혐오적 모습으로 구성되게 된다.

      • 2010년대 한국 영화에 나타난 모성 재현을 퀴어링 하기

        김재연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2010년대 영화 <차이나타운>, <미쓰백>, <도희야>를 통해 한국 영화 내에 이성애규범적으로 각본화되어있는 모성성을 퀴어하게 독해한다. 세 편의 영화는 비혈연 관계의 성인 여성과 미성인 여아 간의 친밀성과 돌봄을 모성으로 각본화한다. 논문은 영화 내 강제적 이성애의 각본에 안착되지 못하고 탈각되는 비규범적 퀴어 정동을 가시화하여 이러한 유사 모녀 간 관계 맺기의 징후로서 멜랑콜리를 발견하고자 한다. 영화 속 성인 여성과 미성인 여아는 과거의 상실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상실한 타자를 자기 안에 보존하는 멜랑콜리한 주체로 호명된다. 특히 영화의 멜로드라마 양식은 이들의 친밀성과 돌봄을 이성애 규범적으로 봉합하려 하지만 오히려 과잉된 파토스로 인해 이들의 친밀성과 돌봄은 모성 각본에서 이탈한다. 애도되지 못한 채 폐제되는 멜랑콜리를 표시하면서 성인 여성과 미성인 여아의 우울증적 동일시와 애착심은 정동을 매개로한 비규범적이고 탈성애화된 퀴어 관계성을 가시화한다. 이 같은 독해에 있어 주디스 버틀러의 우울증적 동일시와 주체의 취약성, 사라 아메드의 퀴어 느낌, 헤더 러브의 뒤처짐의 퀴어 정동은 이론의 거점이 되어준다. Ⅱ장에서는 ‘억압된 과거의 귀환’이라 할 수 있는 여성 동성애의 재현 장치로 구성되어온 플래시백 장치를 경유하여 뒤처짐backwardness의 정동으로서 멜랑콜리를 전유하여, 이성애규범성에 폐제된 슬픔과 우울증적 동성애를 유사 모녀의 관계 맺기의 효과로서 독해한다. Ⅲ장에서는 불안정한 근대성의 재신성화resacralization로 기능해온 ‘파토스와 행동action’의 변증법적 구성의 멜로드라마를 전복적으로 분석한다. 과잉된 파토스로 인해 미덕의 봉합에 안착되지 못하는 정동들을 길어내고 이러한 ‘퀴어 느낌’의 퀴어 정동으로 유사 모녀의 관계성을 독해한다. Ⅳ장에서는 주체의 취약성을 드러내는 슬픔의 정동을 통한 관계성으로서의 퀴어성queerness을 발견하여 이성애 규범에서 벗어난 관계적 정동으로서, 돌봄을 퀴어링한다. 퀴어 정동을 경유하여 유사 모녀 관계를 퀴어링 한다는 것은 모성을 자연적이고 생물학적인 본성이 아닌 구성적인 것으로 독해하는 작업이다. 이를 통해 수행과 실천으로서 어머니노릇mothering과 돌봄은 비규범화될 수 있을 것이다. 여성 욕망을 불가능한 것으로 규정하였던 정신분석학의 토대 위에서 모성애를 퀴어하게 독해하려는 시도는 구조의 효과로서의 규범 체계를 내파하여 그것의 전복 지점을 찾고자 함이다. 규범에 안착되지 않는 정동을 길어냄으로써 퀴어함을 가시화하는 작업은 규범 주위에 맴도는 여러 경합들을 가시화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규범을 확장하거나 유연화하지 않고 규범에 불편하게 거주하는 부정적 정동들을 통해 규범에 다르게 거주하는 퀴어 주체를 호명하고자 한다. This paper reconsiders the standard heteronormative perspective of motherhood in the classic 2010s Korean films Coinlocker Girl, Miss Baek, and, A Girl at My Door from a queer perspective. The three films explored the themes of the intimacy and care of motherhood between an adult woman and an underage girl in a non-blood relationship. This paper visualizes the non-normative queer affect, which is not settled in the script of forced heterosexuality in the film and aims to display melancholy as a symptom of establishing such a similar mother-daughter relationship. The adult women and underage girls in the films are called melancholic subjects who cannot overcome the losses in their pasts and attempt to preserve those(The Others) they lost within themselves. In particular, the melodramatic style of the films tries to heteronormatively suture the intimacy and care between the women, but their intimacy and care deviate from the maternal script by excessive pathos. By marking melancholy, which is foreclosed without mourning, the melancholic identification and attachment of adult women and immature girls visualizes the non-normative and de-sexualized queer relationship effect. In this reading, Judith Butler’s, “melancholic identification,” and subject’s, ”vulnerability,” Sarah Ahmed’s, “queer feeling,” and Heather Love's queer affect of, “backwardness,” serve as the base of this theory. In Chapter Ⅱ, by appropriating melancholy as an affect of backwardness through the flashback device(sequence), which has consisted of representation devices of female same-sex love, called, “the return of the repressed past,” grief and melancholic homosexuality foreclosed by heteronormativity are read as the effect of a similar mother-daughter relationship. Chapter III subversively analyzes the melodrama of the dialectical composition of, "Pathos and Action,” which has functioned as a resacralization of unstable modernity. It draws out the affect which cannot be settled in the suture of virtue by excessive pathos and reads the relationship between similar mothers and daughters with this queer affect of, "queer feeling." Chapter Ⅳ discovers queerness as a relationship through the affect of grief that reveals the subject's vulnerability and queering care as a relational affect that deviates from the heteronormative. Queering similar mother and daughter relationships through the queer affect is the work of reading motherhood as a construct, rather than a natural and biological nature. Through this, mothering and care can be non-normative as performance and practice. Psychoanalysis, which defines women's desires as impossible, attempts to queerly read motherhood to find the point of subversion by imploding the norm as an affect of structure. Likewise, the work of visualizing queerness draws out an affect that is not settled in the norm and is also a work which visualizes various competitions that hover around the norm. It is intended to call the queer subject who inhabits the norm differently through the negative affect that inhabits the norm uncomfortably, without flexing or extending the norm.

      • 퀴어와 여성성의 재현 : 토드 헤인즈의 <캐롤>을 중심으로

        이가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퀴어와 여성성 사이의 이중적 관련성을 이론적으로 해명하고 두 개념의 상호의존과 상호참조 관계를 사유한다. 이를 위해 퀴어성과 페미니즘의 관점을 동시에 사유하는 이브 세지윅과 주디스 버틀러의 이론적 의의를 먼저 검토하고, 두 가지 방향에서 퀴어영화에 나타난 두 개념의 복잡한 연관성을 탐구한다. 하나는 퀴어영화의 간략한 계보와 역사를 살펴보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퀴어 영화 중 레즈비언의 사랑을 다룬 두 영화, 토드 해인즈의 <캐롤>과 이현주의 <연애담>을 비교하는 것이다. 실제 작품의 비교분석은 <캐롤>을 주요 대상으로 하되 <연애담>과의 차이를 그때그때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영화들은 기존의 레즈비언 관계재현의 문법과 달리 동성애 문제를 여성인물들의 여성성의 차이 – 심리적이자 사회적인 차이 – 와 결부시켜 제시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지니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서론에서는 페미니즘 이론의 태동에서 퀴어이론에 이르는 이론적 변화의 궤적을 젠더와 섹슈얼리티 개념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2장에서는 세즈윅과 버틀러의 논의를 통해 퀴어성과 여성성이 섹슈얼리티 문제틀을 통해 어떻게 관련을 맺는지 이론적으로 간략하게 살펴본다. 3장에서는 퀴어적 여성성이 기존의 영화들에서 어떻게 시각적으로 재현되어 왔는지 살펴본 다음, 4장에서 두 영화에 대한 본격적 분석에 들어갈 것이다. 영화 <캐롤>에서는 여성 동성애 문제를 두 인물의 사랑과 섹슈얼리티의 문제로 환원하기보다 각 레즈비언 여성들이 가족을 비롯한 억압적 사회제도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 및 퀴어관계와 씨름하는 현실적 갈등상황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연애담>은 이른바‘비체’로 규정되는 여성들이 비체적 규정성을 탈피하기 위해 레즈비언 연대를 이루어 현실과 대항하는 모습을 그려낸다. 두 영화는 퀴어성을 섹슈얼리티의 차원에서 재현의 문제로 파악하기보다 레즈비언 여성들의 여성성의 차이와 그것이 그들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섬세하게 그려낸다. 이 논문은 두 여성의 레즈비언 관계를 가로지르는 내적 장애물이자 그들의 평등한 관계를 불가능하게 하는 원인이 이러한 여성성의 차이에 비롯된다는 점을 살펴본다. 두 영화의 희망적 결말에도 불구하고 두 여성의 퀴어관계 속에는 여성성의 차이로 인한 갈등과 비극의 씨앗이 깊게 품고 내장되어 있다는 것이 이 논문의 핵심 주장이다. In this paper, I theoretically speculate that there is a dual relationship between queer and femininity and this relationship of the two concepts consists in their interdependence and cross-reference. For this, theoretical significances of Eve Sedgwick and Judith Butler are reexamined first and then the complex connections between the two concepts are analyzed in two ways through queer films. One is to assess the significance of the genealogy or history of the queer films; the other is to compare two recent lesbian romance films, Carol (Todd Haynes) and Our Love Story (Lee Hyun-Ju) in terms of queer femininity. While the comparative study of lesbian films mainly focuses on the detailed analysis of Carol, the reference to Our Love Story is duly complemented whenever it is necessary. These films are significantly distinct from the existing queer films in terms of cinematic grammar: they represent lesbian homosexu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its singular differences – psychological as well as social ones – from queer woman’s sense of femininity. In the introduction, I critically examine the historical mutation of theoretical interventions from the earlier feminist theories to recent queer theories with regard to their different conceptualizations of gender and sexuality. The next step in chapter 2 is to trace the ways queer and femininity have been forming a strong connection through the notion of sexuality by taking Sedgwick and Butler as two guiding points. In chapter 3, I move on to a brief historical understanding of queer femininity in visual artifacts throughout the twentieth century and then perform a detailed analysis of two queer films. Carol directly confronts, not reducing lesbian issues to individual matters of romance and sexuality, real conflicts that each lesbian woman face in her struggle for feminine identity and queer relationship within the oppressive patriarchal system. On the other hand, Our Love Story illustrates how so-called ‘abject’ women stand together in lesbian solidarity in order to break open their abjection and fight back against queer prejudices. These two films deserve a critical attention in that they describe, taking queerness to be less a matter of sexuality than of life, differences of femininity among lesbian partners and their effects on the relationship. This paper argues that inter-relational obstacles in lesbian couples and the inequality in their partnership largely depend upon these differences of femininity. I conclude that the movies illustrate, despite their happy endings, how queer relationship between two women feeds on the very conflicts and differences in femininity which could be seeds of tragedy in the future.

      • 한국 퀴어퍼레이드와 정동정치

        허성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이성애규범성을 교란하는 독해 실천으로서의 퀴어정치를 지향하며, 그런 맥락에서 최근 한국사회의 퀴어퍼레이드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나아가, 정치의 장에서 배제되었던 잔여적 정동을 유기적으로 감각함으로써 정치적 자원으로 전유하는 실천을 정동정치로 규정하고, 그것이 퀴어정치의 구현임을 주장한다. 최근 퀴어퍼레이드에서 재현 정치를 지향하는 경향은 점점 더 뚜렷해지고 수 있다. 퀴어퍼레이드의 가시성을 증대시키고 참여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시민권 담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모습을 쉽게 관측할 수 있다. 시민권에 의존하는 정치는 성소수자의 권익을 보장하기에 효과적 전략으로 여겨진다. 이성애규범성은 이러한 상황에 비판적으로 개입하기 위한 개념 틀로 유용하다. 이성애규범성은 이성애 문화에 특권을 부여하는 제도, 실천, 이해방식을 포괄적으로 가리킨다. 이성애규범성의 작용을 통해 특정 이성애 문화는 공적, 중립적, 정상적 문화의 권위를 획득하는 한편, 특정 이성애 문화에 포섭될 수 없는 섹슈얼리티는 사적 문제로 여겨진다. 시민권에 의존하는 정치는 정치적 실천의 토대를 시민권이라는 공적 권리로 제한하고 섹슈얼리티를 사적 문제로 간주하는 구도를 강화한다는 점에서 이성애규범성과 공모한다. 또한 이성애규범성은 공사 구분을 강화하면서 정치적 주체의 정동을 조율한다. 이성애규범성을 거스르는 독해 실천이 감각의 차원에서 어떻게 규제되는지 비판적으로 조명하기 위해서 퀴어정치는 정동의 정치적 함의를 섬세하게 읽어내야 한다. 이 논문은 퀴어퍼레이드에 참여하는 정치적 주체들이 상처에 대한 애착을 통해 이성애규범성에 부착되기 쉽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 정동적 애착은 주체의 감각에 개입하여 시민권에 의존하는 정치를 정당화하는 ‘현실주의’를 구성한다. 시민권에 의존하는 정치는 이성애규범성과 공모하고 있기에 현실주의는 작동하지 않는 환상에 불과하지만 주체는 현실이라는 편집증에 정동적으로 부착되기에 이 환상을 포기하지 못한다. 다시 말해, 이성애규범성을 지지하는 정치가 구축, 강화, 증식하는 과정에서 정동은 핵심적 역할을 수행한다. 잔여적 정동을 섬세하게 감각하는 실천, 즉 정동정치가 자동적으로 퀴어정치인 것은 아니다. 정동정치는 이성애규범적 편집증의 바깥을 감지할 때 퀴어정치와 교차할 수 있다. 이성애규범성을 따르는 정동적 애착이 현실을 편집증적으로 구성할 때 현실은 주체의 삶과 인식을 파편화시킨다. 편집증적 현실을 구성할 수 없는 잔여적 정동은 예민한 감각적 수용력을 촉진하면서 주체가 편집증 바깥을 감지하도록 주체를 유도한다. 정동정치는 예민해진 감각적 수용력을 통해 이성애규범적 편집증의 안팎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이성애규범성이 교란되는 순간을 감각적으로 포착한다. 정동적 애착은 정치적 주체를 이성애규범성에 부착시킴으로써 퀴어정치에 난제를 설정한다. 하지만 ‘감각하기’로서의 정동정치는 잔여적 정동을 정치적 자원으로 삼으면서 ‘읽어내기’로서의 퀴어정치가 감각적으로 구현되는 방식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결론은 정치 자체가 언제나 감각과 독해에 의존해 왔음을 강조하면서 정치의 내재적 모순을 드러낸다. This thesis criticizes the politics of Queer Parades in South Korea through contextualizing queer politics as a reading practice which troubles heteronormativity. Further, this thesis attempts to formulate affective politics as an effective enactment of contemporary queer politics by highlighting the affective practice of sensing affective residues to appropriate them into a political resource. Recently,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increasingly pervades in Queer Parades. The discourse of citizenship is accommodated more easily than before for the cause of expansion of visibility and safety. The discourse of citizenship, thus, has been assumed to be an effective tactics for fostering the rights and interests of sexual minorities. The notion of heteronormativity is useful for critically intervening in such tendency. Heteronormativity refers to the institutions, practices, and understandings privileging heterosexual cultures. Heteronormativity not only establishes specific heterosexual cultures as public, neutral and normal, but also limits sexuality to be a private issue. The politics of citizenship colludes with heteronormativity to the extent that it fortifies the public/private division by sanctioning citizenship as the sole basis for public political struggle and confining sexuality within the parameter of the private. Heteronormativity also orchestrates the affects of political subjects. Queer politics, then, needs to read out affects analytically to critique regulatory work of heteronormativity. Heteronormativity exerts itself by way of the inherent wounded attachment of those who participate in Queer Parades. This affective attachment constitutes a so-called ‘realism,’ which justifies politics that relies on the discourse of citizenship. Although the politics of citizenship is a fantasy that colludes with heteronormativity, the subjects cannot be detached from the fantasy because they are attached to the paranoid reality. In other words, affect is mobilized to constitute, fortify, and proliferate the politics supporting heteronormativity. Affective politics, a practice which senses affective residues, does not necessarily realize queer politics. Affective politics still intersects with queer politics as long as it leads beyond heteronormative reality. Affective attachments, in subordination to heteronormativity, generate fragmented perceptions of life. There are, however, residues that cannot conform to the paranoid reality, which encourages a sensitive affective receptivity, thereby inducing the subject to feel beyond the reality. Through the sensitive affective receptivity, affective politics connects in- and outside of heteronormative paranoia and grasps the moment of heteronormativity in trouble. The discourse of affective attachments seems to introduce an impasse by subjecting the political agency to heteronormativity. Nevertheless, the point is that affective politics as a ‘sensing practice’ can acknowledge affective residues as a political resource, thus suggesting how queer politics could be affectively actualized as a ‘reading practice.’ That means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political theory where we can understand that politics always already depends on the array of sensing and reading practices.

      • 퀴어’정치의 가능성 : 제주사례를 중심으로

        배진희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focuses on the interest of 'Queer' which is spreading all over the world and the consequent changes in society. The number of the countries allowing same-sex marriage as well as of the countries legalizing homosexual are increasing. Many people are coming out regardless of their social positions and localities. Furthermore the social movements centering on ‘queers’ are growing. One of them is the Queer Culture Festival, which has continued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terms of the scale and scope of the Queer people's friendship and recognition. Beginning with the 'Stonewall' which has been a symbolic event since happening as a resistance to the anti-homosexual forces in 1969, the Queer Culture Festivals have taken place around the world every June in commemoration of the day. Korea is no exception. The first Queer Culture Festival in Korea was the "Queer Culture Festival Rainbow 2000" held in Seoul in 2000. In 2009, the Queer Culture Festival was held in Daegu. In 2018, the Seoul Queer Culture Festival has reached 19th and the Daegu Queer Culture Festival has reached 10th. Queer culture festivals expanded rapidly over the years. In 2017, the Queer Culture Festival was held for the first time in Jeonju, Jeju and Busan. Also it was held for the first time in Incheon and Gwangju in 2018. In 2019, the Queer Culture Festival will be held in Cheongju. Recently the books and academic papers on 'queer' also has continued to increase. I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 the issue of the sexual minority had been a difficult question to the candidates of the main political parties. After the on-TV debate, several candidates had to additionally explain what they said about homo-sexual. It might be argued that sexual minority question is a criterion to judge the degree of democracy in relations to human rights. Sexual minority movement is a kind of identity politics, which endeavor to construct the same identity. There is a danger that identity politics fail to build an united movement. If failing to build social solidarity, it is almost impossible to achieve what diverse minorities movements aspire. Without the solidarity, they cannot overcome political maneuvering and the public's neglect. In this sense, identity politics should include social justice and equal human rights, and then intermingle one another. Today, queer theory paid attention to diverse fields of the social movements. Those who resist state violence including suppressing sexual minorities, and those who struggle against a tiny small elite monopolizing resources and information and so on, could be signified as diverse moments of queer movement. Queer politics might be symbolized as a broad church of movements resisting repressive power over the ‘Queer’ as well as resistant actions to sexual subordination The Jeju Queer Cultural Festival has strived to involve various social movements within the ‘queer’ Along with the sexual minority in Jeju Island, Jeju residents themselves could be called ‘queer’ in that they have suffered from the state violence for a long time. The subordinate position of Jeju Island in Korea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sexual minority. There are common ground. In terms of campaign, the Festival employed traditional cultures and customs as a way of communicating with local people. The members of Organizing Committee of Jeju Queer Culture Festival were elected as the candidates of provincial governor and proportional representatives of the Jeju Green Party in local election in 2018. Each of them set up themselves as an representative of youth politics, women politics, and queer politics. All of them spoke loudly 'Queer Jeju', which meant a solidarity of Jeju people and diverse minority movements. The Jeju Green Party failed to win governor and proportional representative, but gained significant votes. In addition, all together the progressive political par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queer movement in Jeju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votes among the 17 regional municipalities across the country. The progressive parties including the Green Party did not regard queer issues as confined to the cultural realm. Because it was seen as a problem of human rights and rights, they supported Jeju Queer Culture Festival and Queer politics of the Green Party. The queer movement of Jeju Island actively used the theoretical meaning of queer. It has argued the need of fundamental change, but simultaneously has tried to form consensus with the local people. Th support for sexual minorities and the progressive political parties is demonstrating the possibility of 'queer politics' in Jeju Island. 본 논문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퀴어’에 대한 관심을 정치적 실천문제와 관련지어 논의한다. 동성애를 합법화한 국가들이 늘어나고 있고 동성커플의 법적 지위를 보장하는 나라도 증가하고 있다. 영역과 직책을 가리지 않고 커밍아웃하는 명사들도 늘어나고 있다. 더불어 퀴어인들을 중심으로 한 사회운동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논문의 관심 주제인 퀴어문화축제도 이러한 사회운동의 일환으로 전개되고 있다. 1969년 반동성애 세력에 저항한 ‘스톤월 인’ 사건을 시작으로, 그날을 기념하는 의 미에서 매년 6월이면 세계 곳곳에서 퀴어문화축제가 열린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한국 최초의 퀴어문화축제는 2000년 서울에서 열린 “퀴어문화축제 무지개 2000”이 다. 2009년에는 대구지역에서도 퀴어문화축제를 개최했다. 2018년인 지금 서울퀴어 문화축제는 19회, 대구퀴어문화축제는 10회를 맞이했다. 퀴어문화축제는 몇 년 사이에 급속도로 확장되었다. 2017년에는 전주, 제주, 부산 에서 처음으로 퀴어문화축제가 열렸다. 2018년에는 인천과 광주에서 열렸으며 2019 년에는 청주에서 퀴어문화축제가 개최될 예정이다. 퀴어문화축제뿐만 아니라 ‘퀴어’ 를 주제로 하는 서적과 학술논문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성소수자 이슈는 19대 대선 당시 후보토론에서 각 정당 후보들을 난감하게 했다. 토론회 이후 몇몇 후보자는 자신의 발언에 대해 해명에 나서기도 했다. 오늘날 성 소수자 이슈는 인권 문제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민주주의의 척도로서 의 의미를 가진다. 퀴어운동을 주제로 삼은 본 논문의 초점은 정체성의 정치가 가지는 한계다. 동일 한 정체성으로 모인 집단의 운동이 다른 집단과 분화되기만 할뿐 연대하지 못하는 것이 최대 문제점으로 지적받고 있다. 정체성의 정치가 사회적 연대를 형성하지 못 한다면 사회적 약자를 중심으로 한 운동들은 정치적 반격과 대중들의 외면 속에서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정체성 정치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사회 정의를 회 복하고 권리를 획득하는 운동으로 발전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흩어져 있는 운 동의 주체를 등가적으로 묶어 낼 수 있어야 한다. 오늘날 퀴어이론은 운동의 영역에서 주체를 다각화 한다. 성소수자를 포함하여 국 가 폭력에 반대하고 자원과 정보를 독점하는 소수집단에 저항하는 이들을 퀴어운동 의 영역 안에 포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성소수자들의 존재를 알리고 퀴 어문화를 활성화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퀴어인들을 종속화하는 지배 규범과 권 력에 저항하는 운동을 시도하고 있다. 제주도의 퀴어문화축제는 사회적 약자들 사이의 연대가 구성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제주퀴어문화축제는 성소수자와 함께 오랜 세월 국가 폭력으로 고통 받았던 제주도민들을 ‘퀴어’로 상징화하고 제주도민과의 공감대를 넓히기 위해 노력 했다. 제주도와 성소수자는 모두 종속적인 위치에 처해 있다는 것이 부각되었다. 축 제를 조직하고 운영하는 방식에서도 제주사회의 풍습을 접목하여 도민들과의 친근 감을 높이려 했다. 제주퀴어문화축제가 운영되는 과정에서 제주 녹색당의 역할이 컸다. 축제의 조직 위원들이 제주 녹색당과 협력하여 2018년 6·13 지방선거에 도지사후보와 비례대표 후보로 선출되었다. 각각의 후보들은 청년정치, 여성정치, ‘퀴어’정치를 내세웠다. 그 들은 제주지역 퀴어운동을 통해 형성된 ‘퀴어한 제주’를 지방선거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제주 녹색당은 도지사와 비례대표 의원을 배출하지는 못했지만 이례적으로 높은 득표율로 선거를 마쳤다. 더불어 제주 지역 퀴어운동에 함께 동참했던 도내 진보정 당들은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가장 높은 득표율을 차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 다. 제주 녹색당 이외에도 도내 진보정당들은 퀴어이슈를 문화 영역에 국한된 문제 로 보지 않았다. 인권과 권리의 문제로 보았기 때문에 제주퀴어문화축제와 녹색당 의 ‘퀴어’정치를 지지하고 연대했다. 제주도의 퀴어운동은 퀴어의 이론적 의미를 적극적으로 재해석하고 실천과정에서 동원했다. 문제에 대한 근본적 개선책 요구를 중심으로 운동을 이끌어 갔으며 지역 민들과의 공감대 형성에도 적극적이었다. 또한 성소수자들에 대한 지지와 퀴어한 연대에 동참한 도내 진보정당들은 제주도의 ‘퀴어’정치 가능성을 높였다.

      • 지방도시의 퀴어 축제를 통해 형성된 다양성 레짐 : 대구, 제주, 부산을 사례로

        홍예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도시 다양성 레짐(urban diversity regime)’ 개념을 통해 지방도시에서 퀴어 축제가 정치적 프로젝트로 포지셔닝하고 도시 정부와 시민사회 간의 협력을 이끌어내는 과정을 분석한다. 레짐 이론은 도시 정치에서 행위자들의 통치 역량과 관계에 주목하는 접근으로, 도시의 경제적·정치적 프로젝트를 위해 결성되는 정부 행위자와 비정부 행위자 간의 협력을 분석한다. 퀴어 축제는 도시에 존재하는 다양한 정체성을 수용하는 정치적 프로젝트 중 하나로, 본 연구는 ‘도시 다양성 레짐’ 개념을 제안하고, 다양성 수용 프로젝트의 한 사례인 퀴어 축제를 위 개념을 통해 설명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구, 제주, 부산 세 도시의 퀴어 축제를 사례 지역으로 다루고 있다. 서울과 비교해 지방도시 포괄적인 성소수자 커뮤니티가 부재하거나 지속성이 짧았으며, 정치적, 그리고 섹슈얼리티 측면에서의 보수적인 분위기로 인해 성소수자 인권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지방도시가 가진 척박함과 보수성 속에서 퀴어 축제는 지역 내부의 자원과 외부로부터의 지원을 활용해 새로운 정치적 흐름을 이끌어 나가고 있다. 특히 대구, 제주, 부산의 퀴어 축제는 2회 이상 퀴어 축제를 개최해오고 있으며 지역의 기존 시민사회 특징과 지역의 정치적 성향, 퀴어 축제의 등장으로 인해 역동적인 퀴어 정치를 관찰할 수 있는 지역이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지방도시의 퀴어 축제를 가능하게 하는 구체적인 절차와 행위자들에 주목한다. 퀴어 축제가 개최되기 위해 필요한 절차를 4단계로 나누고, 도시 다양성 레짐을 포착하기 위해 각 단계에서 개입하는 행위자와 이들이 보유한 권력을 분석한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퀴어 축제가 정치적 프로젝트로 부상하고, 이 프로젝트를 성사시키기 위해 도시 다양성 레짐이 구성되는 과정을 도출한 것이다. 퀴어 축제는 다양성에 대한 논의가 부족했던 지방도시에서 성소수자 인권을 공론화하고 새로운 정치적 의제로 자리잡는다. 퀴어 축제를 개최하기 위해 모인 활동가들은 퀴어 축제를 개최할 인적 자원을 얻고 지역 사회에서 정치적 세력으로 인정받기 위해 지역의 지지 세력을 발굴 및 네트워킹, 연대를 통한 지지 세력 확장, 지식 전달과 물질적·인적 자원을 확보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지역의 시민사회에서 새로운 정치적 프로젝트로 등장한 퀴어 축제는 도시에서 퀴어 정치를 확장하고 재생산하는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비정부 행위자들 사이에서 정치적 의제로 자리매김한 퀴어 축제는 다양성을 기치로 한 도시의 정치적 프로젝트가 되어 비정부 행위자와 정부 행위자의 협력을 요구한다. 도시의 다양성 축제를 성사시키기 위한 협력 관계의 핵심에는 퀴어 축제의 공공공간 사용권 획득이 있다. 지방 도시 정부와 경찰은 도시 내부의 공공공간 사용권에 대한 허가 권한을 배타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정부 행위자들로, 퀴어 축제를 개최하는 비정부 행위자들이 장소를 요구함으로써 퀴어 축제라는 프로젝트에 관여하게 된다. 법원과 국가인권위, 주한 외국 대사관은 퀴어 축제에 직접 연대함으로써 레짐 형성에 기여한다. 정부 행위자 내부의 이질성과 다양성은 레짐 형성에 역동성을 더한다. 한편 지방 도시 정부와 경찰의 협력을 이끌어내기 위해 퀴어 축제를 조직하는 비정부 행위자들은 다른 정부 행위자들과 지역에 기반을 둔 비정부 행위자들에게 직접적인 지원을 요청해 퀴어 축제를 앞세운 연대를 확장한다. 연대의 확장은 축제 개최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부와 비정부 행위자 간의 갈등에 대응하거나, 정부 행위자를 상대로 협상력을 높이는 데에 효과적으로 작동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process of positioning queer festivals as political projects in non–capital area cities through the concept of urban diversity regime and leading to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The regime concept deals with the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al actors and non-governmental actors, formed for the economic and political projects of the city, with attention to the power and relationship of actors in urban politics. The queer festival is one of the political projects that accept various identities that exist in the city. This study proposes the concept of 'urban diversity regime' and explained the queer festival as a case of the project for diversity. This thesis conducts a case study on the queer festivals in Daegu, Jeju, and Busan. Compared with Seoul, the non-capital cities lacked a comprehensive sexual minority community and had a short history. Furthermore, the conservative atmosphere in terms of political and sexuality in local cities inactivated a discourse on queer rights. Nonetheless, festivals in non-capital cities are leading the new political trends by mobilizing local resources and external support. In particular, Daegu, Jeju, and Busan have held more than two festivals, and they are crucial cities where dynamic queer politics can be observed due to the dynamics among the local civil society, the regional political tendency, and the queer politics. In this context, this study focuses on the specific procedures and actors that enable queer festivals in non-capital cities. The four main steps for holding the queer festival and the actors involved at each stage and their resources were analyzed to scrutinize the urban diversity regim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queer festival emerged as a political agenda and mobilize actors for the urban diversity regime. The local activists gathered to hold their own queer festival struggles for the support from the local community in order to gain the human resources which are necessary for holding the event and to be recognized as a political collective, expanding support through networking, solidarity, knowledge transfer and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The queer festival, which has emerged as a new political project in the local civil society, acts as a platform to expand and reproduce queer politics in the local scene. The queer festival, which gained a stable position as a local political agenda among non-governmental actors, requires cooperation between non-governmental actors and governmental actors. At the heart of the partnership for celebrating the city's festival is the approval of public space by the governmental actors. Local governments and police are the main actors who exclusively own authority to permit the public space of the city center. That exclusive power summons governmental actors to the regime and has non-governmental actors negotiate with them. Non-governmental actors, pursuing queer festivals to bring about cooperation between the local government and police, seek support from other government actors. On the other hand, non-governmental actors secure solidarity in civil society to get the power for negotiation.

      • 퀴어 영화에서 재현되는 젠더 수행 : -주디스 버틀러의 수행성 개념을 중심으로-

        장다정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 1956~)의 ‘수행성(performativity)’ 개념을 중심으로 현대 퀴어 영화에서 재현되는 젠더 이미지들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주체 설정의 폭력성이 매체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재현되는지 살펴보고, 전복적인 젠더 수행을 하는 인물들의 사례를 통해 이들의 전복적 젠더 수행이 어떻게 정형성을 파괴하며 이러한 정형성의 파괴가 어떤 의의를 지니는지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주디스 버틀러의 수행성 개념을 ‘가변적 주체’, ‘수행성’, ‘패러디(parody)와 드랙(drag)’ 세 부분으로 나누어 정리한 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 27편의 퀴어 영화 대부분이 공유하는 보편적인 젠더 이미지를 추출하고 논의에 맞게 분류하고 분석한다. 그리고 이 영화들 중 <가장 따뜻한 색, 블루 (2013)>, <메종 드 히미코 (2005)>, <나쁜 교육 (2004)> 세 편의 퀴어 영화를 버틀러의 수행성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하며, 보편성을 파괴하는 전복적인 사례들에 대해 논의한다. 버틀러는 섹스, 젠더, 섹슈얼리티의 전통적인 구분법에 저항하며, 또한 자율성과 일관성을 주축으로 하는 기존의 주체 개념이 불가능하다고 본다. 버틀러는 행위 속에서 가변적으로 구성되는 행위자, 즉 호명에 완전히 복종하지 않고 잉여 부분을 둠으로써 완전한 복종도 완전한 저항도 아닌 복종을 하는 주체를 이야기하며 근대적 주체 개념의 해체를 지향한다. 주체의 존재를 전제하는 퍼포먼스(performance)와는 달리 오랜 시간 동안 계속되는 반복의 과정인 수행성(performativity)은 주체의 존재를 전제하지 않는다. 주체는 고정적이고 완결된 상태로 선행하는 것이 아니라 행위를 통해 가변적으로 구성되며, 주체가 형성되는 과정 중에 작동하는 것이 반복적인 수행이다. 여기서 버틀러는 다르게 반복하기를 중요하게 본다. 기존 구조를 모방하되 원본성을 조롱하고, 권력에 속하지만 권력의 이분법을 뒤흔드는 문란한 복종이나 비복종의 방식으로 논의한다. 또한 드랙과 같은 패러디적 수행은 수행자의 육체와 수행된 젠더 사이의 분열을 강조함으로써 모든 젠더 정체성의 모방적 본성을 폭로한다. 버틀러에게 있어서 젠더는 패러디적인 속성을 지닌다. 모방의 대상, 원본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사실은 원본이 아니라 이상적인 관념의 패러디에 불과할 뿐이라면 원본에 우위를 두는 것은 무의미하다. 남성/여성의 이분법 자체도 실상은 남성성/여성성이라는 관념, 즉 진정한 남성이나 진정한 여성이라는 이상적인 관념만이 존재할 뿐이다. 특히 매체에서 재현되는 젠더 이미지는 기존의 이분법적인 규범을 강화하는 경향이 있으며, 규범에서 벗어난 존재들까지 규범 내부에 포섭시키곤 한다. 예를 들어 퀴어 주체의 젠더 수행의 경우에는 퀴어라는 속성 자체의 전복성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퀴어 영화에는 비전복적인 이미지가 많이 존재한다. 일탈적이고 비주류적인 이미지도 매체 안에서 계속 반복되다 보면 기존의 질서에 순응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모든 이미지가 정형화되는 것은 아니며, 정형화된 이미지를 벗어나 전복적인 수행을 하는 인물들은 ‘트러블’을 일으키지만, 이러한 트러블은 그 자체로 강력한 행동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퀴어 영화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근대적 주체 개념의 폭력성은 퀴어 주체만의 문제가 아니다. 성폭력의 문제, 에이즈 문제 등 윤리와 인권에 관한 문제도 포함되며 더 나아가 성소수자 뿐만 아니라 사회 각층의 소수자, 그리고 언제라도 배제될 가능성을 안고 살아가는 현대 사회의 모든 주체들, 즉 우리 모두의 문제가 될 수 있기에 버틀러의 논의가 일으킨 젠더 ‘트러블’에 대한 문제의식은 그 자체로 큰 의의를 지닌다고 생각한다.

      • 지방도시에서 퀴어로 살아가기 : 공간 경험과 퀴어 수행

        조용화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규범성이 지배하는 공간에 균열을 내는 퀴어의 공간 수행 경험을 살피기 위해 전주에 거주하는 지방 퀴어들의 사례를 조명한다. 섹스와 젠더, 섹슈얼리티의 경계를 넘나들며 수행을 통해 유동하는 존재인 퀴어는 인간의 기본값을 이성애에 두고 이성애적 관념과 몸에 따른 생애를 강제하는 이성애규범성과 충돌한다. 전주의 퀴어들이 거주하는 지방 공간은 그 위에 대도시(특히 서울)를 모든 공간적 특성의 기본값으로 상상하며 지역 불평등을 확대하는 대도시규범성을 덧붙인다. 더하여 코로나19의 유행으로 이동과 생활에 대한 새로운 규범들이 공간을 둘러싼 통제를 늘려나가는 상황에서, 전주의 퀴어는 이성애-대도시-방역규범과 동시에 직면해야 한다. 규범과의 충돌은 퀴어를 우울과 소진에 빠트린다. 그러나 심층면접을 통해 살펴본 전주 퀴어들의 공간 경험은 다양한 일상공간에서 마주하게 된 규범과의 충돌에서 멈추지 않았다. 전주를 퀴어링(queering)하는 이들의 노력은 규범성이 지배하는 공간에 균열을 내고 흥(excitement)과 관계를 만들어 삶을 이어나가는 공간적 수행(space performance)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정상과 비정상, 전주와 서울,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경계를 유동하며 넘나드는 전주 퀴어들의 공간 만들기는 일상적 퀴어공간의 가능성을 찾아내고 유목주의적 공동체를 만들어내는 실천으로 나아가고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local queers residing in Jeonju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performing the space of queers that crack in the space dominated by normativity. Queer, a being that flows through performance across the boundaries of sex, gender, and sexuality, conflicts with heterosexual notions and heteronormativity that enforce life according to the body with the basic values of humans in heterosexuality. The local space where queers live in Jeonju imagines large cities (especially Seoul) as the basic value of all spatial characteristics, adding to the metronormativity that expand regional inequality. In addition, with the COVID-19 epidemic, new norms on movement and life are increasing control over space, Jeonju's queer must face the heterosexual-large city-quarantine norms at the same time. Conflict with norms puts queer into depression and exhaustion. However, the spatial experiences of Jeonju queers examin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did not stop in conflict with the norms encountered in various daily spaces. Their efforts to queering Jeonju were leading to space performance that cracked the space dominated by normativity and created a relationship and excitement to continue their lives. Creating a space for Jeonju queers that flows through the boundaries between normal and abnormal, Jeonju and Seoul, offline and online is moving toward finding the possibility of everyday queer space and creating a nomadic community.

      • 퀴어 문화 운동과 대항 공공 영역의 형성 : 서울퀴어영화제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정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1990년대 후반 이후 한국 사회에서 퀴어 문화 운동의 일환으로 전개되었던 서울퀴어영화제에 관한 연구이다. 지난 10년 사이 급격히 성장한 한국 사회의 ‘퀴어 커뮤니티’와 퀴어 운동은 이성애 규범적 지배 담론에 대항해 왔다. 1998년 처음 개최된 서울퀴어영화제는 2003년 영화제 사업을 종결하기까지 여러 형식의 영화제 및 아카이브 사업을 전개했고, 그간 퀴어 담론의 변화와 맥락을 같이 하며 영화를 통해 현실에 개입하는 문화적 실천을 벌여왔다. 이 논문은 서울퀴어영화제가 대중문화, 특히 영화를 통해 이성애 규범적 상징질서와 의미 투쟁을 벌이고, 재현의 정치학을 통해 관객들의 정체성 형성에 관여하고자 했던 시도에 주목한다. 특히 서울퀴어영화제를 이성애 규범성에 근거한 이분법적 공사 영역의 구성을 비판하고 한국 사회의 섹슈얼리티 담론에 새로운 사회적, 문화적 관계를 제안하는 문화적 대항 공공 영역(counterpublics)이라고 바라보면서, 그 형성 과정과 함의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a$$a이러한 목표를 가지고 영화제 관객 경험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자가 지난 2002년부터 서울퀴어영화제 활동을 해 온 경험은 참여관찰의 자료가 되었다. 심층면접은 영화제 참여 경험이 있는 관객들, 영화제 스탭들과 자원 활동가 및 관련 단체 활동가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a$$a논문의 논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서울퀴어영화제 등장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분석함으로써 영화제가 퀴어 문화 운동으로서 가지는 담론적 위치를 드러냈다. 다음으로 서울퀴어영화제를 시기별로 재구성하면서 1990년대, 그리고 2000년대 초반 한국 사회의 퀴어 주체들과의 상호 작용 속에서 그 의미를 만들어 내는 대항 공공 영역으로서의 영화제의 형성 과정과 의미들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통해 비가시화되었던 이성애적 국가 지배 권력의 작동, 퀴어 영화와 관객성의 관계, 관객들의 사회적 조건 변화에 따라 영화제의 의미 구성이 변하는 지점 등을 드러내었다. 마지막으로 관객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퀴어영화제의 문화정치적 의미를 분석해 보았다. 문화 소비를 통해 정치적 주체의 형성을 꾀하려 한 영화제의 시도는 영화와 적극적으로 관계 맺을 수 있는 조건을 지닌 특정 관객들에게 자기 긍정과 정체성 형성의 기회를 제공했다. 또한 문화적 텍스트를 통해 비이성애적 친밀성을 탐색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하지만 대중문화에 기반 하는 영화제는 퀴어 정치학의 문화적 실천이 내재한 급진성과 탈정치화의 위험을 동시에 보여준다. 이 논문은 퀴어에 대한 문화적 재현이 소비 가능한 ‘취향’으로 ‘관대하게’ 수용될 때, 이것이 이성애 사회의 ‘안전한 타자’로 퀴어를 귀속시키고 있음을 드러내고 이에 대한 비판을 제기했다. 또한 현재 한국 사회에서 퀴어 주체들이 ‘사적 쾌락’의 소비, 근대적 주체로서의 ‘레즈비언’, ‘게이’ 정체성 형성, 이성애 규범성에 대한 성찰적 해석 등을 어떻게 분절적으로 경험하고 있는지를 영화제 장을 통해 드러냈다. 이어 개인 주체들의 사회적 조건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는 관객 경험을 퀴어 주체들의 성별성, 개별화ㆍ비정치화된 방식의 개인 주체들의 소비 활동과 퀴어 커뮤니티에 대한 방관적 태도 등의 맥락 속에서 분석했다. $$a$$a이 연구를 통해 영화제라는 문화적 장에서 관객들이 그 경험을, 자신들을 둘러싼 퀴어 담론의 현실에 기반하여 언어화할 때 드러나는 다층적이고 모순적인 의미들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퀴어 문화 운동이 새롭게 개입해야 할 지점을 모색해 보았다. 이 논문은 서울퀴어영화제가 1990년대 한국 사회에서 퀴어 문화 담론의 논쟁적 구성을 보여주는 한 장이라고 주장한다. 퀴어 문화 운동은 퀴어 주체들의 문화적 권리 확보만이 아니라 이성애 섹슈얼리티에 대한 성찰을 통해 한국 사회의 공고한 이성애 규범적 문화 전반을 변화시키는 급진적 가능성을 지닌다. 서울퀴어영화제 관객 경험의 모순성과 다층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분석은 퀴어 문화 운동이 새롭게 개입해야 할 지점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a$$a$$a$$a$$a This thesis examines Seoul Queer Films and Videos Festival which led a queer cultural movement in the Korean society in the late 1990s and the early 2000s. For the past ten years, 'queer communities' in Korea have grown tremendously, confronting dominant discourses of heteronormativity. Seoul Queer Films and Videos Festival, from its first year in 1998 to the last one in 2003, had conducted holding film festivals and establishing archives. Meanwhile it had culturally intervened in the realities of life through films corresponding to the changes in queer discourses. This study, in particular, pays attention to the attributes of Seoul Queer Films and Videos Festival which involved in the audiences' identity formation through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and which contested against the symbolic orders of heterosexuality through films. It also defined Seoul Queer Films and Videos Festival as cultural counterpublics where a new social and cultural relationship to the sexuality discourses of the Korean society was proposed criticizing the dichotomic segragation of public and private domains based on heteronormativity. In addition, formation process and implications of the counter publics were investigated.$$a$$aThis thesis proceeds its arguments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film festival audiences. The researcher'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Seoul Queer Films and Videos Festival as a staff since 2002 were useful as resources of participatory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taffs and volunteers of film festivals, activists of related organizations and audiences who had ever participated in any film festivals$$a$$a$$a$$aThis thesis develops as according to the following orders: $$a$$aFirst, it reveals the necessity and the status of Seoul Queer Films and Videos Festival as part of queer cultural movements by analyzing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its birth. Then, it looks into the issues and collisions of counter discourses that the film festival had realized, through studying the history of Seoul Queer Films and Videos Festival. This uncovers the functions of heterosexually dominant ruling state's power which have remained invisible, the relationship between queer films and the audiences, and the extrication of politics from film festival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audiences' social conditions. Lastly, cultural politics of Seoul Queer Films and Videos Festival was looked into, focused on the audiences' experiences. Its attempt to be a political subject through cultural practices provided with an opportunity of self-affirmation and identity-formation to a specific group of audiences who were able to relate the films actively with their lives. Furthermore, it served as a chance to explore non-heterosexual intimacy in a cultural context.$$a$$aFilm festivals based on popular culture, however, showed radicalism and risk of de-politicalization at the same time, both of which were inherent in the cultural practice of queer politics. Such stratified structure and irony were unveiled in the experiences of audiences of Seoul Queer Films and Videos Festival. This paper reveals and criticizes that when the cultural representation of queers was 'generously' accepted as a consumable cultural product, it associates queers with an image of 'a safe stranger' confined in a heterosexual society. It also proves that the consumptions of 'personal pleasure,' gay and lesbian identities as modern subjects, and the contemplative interpretation of heteronormativity are not mutually intervening but happening in separate and discontinuous ways. The gap between actual social conditions and the cultural plans of film festivals has prevented audiences from actively engaging in significance contestation against heterosexual symbolic orders, meanwhile reducing film festivals to a mere venue for films. This paper also analyzes that the audiences' experiences differ according to the different social conditions of individual subjects in relation to gender, individual personality, indifference toward queer communities and de-politicized consuming activities and so on. $$a$$aThis paper argues that Seoul Queer Films and Videos Festival was testimony to an argumentative structure of queer culture discourses in the 1990s of Korean society. Queer cultural movements have a radical possibility of changing the overarching heteronormative cultural norms in Korean society by contemplating and questioning heterosexuality as well as securing cultural rights to queer subjects. This critical review and analysis of the irony and the stratified structure of audiences' experiences in Seoul Queer Films and Videos Festivals will contribute to seek for new intervening points in queer cultural movements in South Korea.$$a$$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