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의 서벌턴화와 코스모폴리탄이라는 이념형 -‘전향’과 김남천의 소설

        공임순 상허학회 2005 상허학보 Vol.14 No.-

        이 논문은 전향 사회주의자들의 전향에 대한 논리의 일단을 살펴보는데 주안점을 둔다. 전향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전향은 전향한 당사자만의 문제도 이미 지나간 과거의 문제만도 아니다. 오히려 전향과 관련해서 전향은 사회. 역사적 맥락에 따라 그 의미를 달리해온 것이 사실이다. 이처럼 전향이 사회. 역사적 맥락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져온 것이 사실이라면, 이 논문에서 사용하는 전향은 보편적인 의미가 아닌 그야말로 특정한 시각과 해석을 전제로 한 ‘전향’임을 먼저 밝힌다. 흔히 '전향'에 함축된 (지배하는) 권력과 (저항하는) 개인이라는 이분법적 구도는 일-국가적인 해석의 산물일 경우가 많다. 1937년 중일전쟁부터 급속하게 진행된 세계 질서의 강제적인 재편 속에서 식민지 조선 역시 아시아와 세계를 시야에 넣는 제국 주체로의 탄생을 피할 수 없었다. 이 상황의 변동을 어느 누구보다 민감하게 알아차린 사람이 식민지 조선의 지식인들이었다. 이들은 '전향'이라는 주어진 현실에 복종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변화된 지형 속에서 스스로의 지위를 확보하고자 주어진 현실을 최대한도로 활용한 능동적 행위자였으며, 이런 그들의 능동성은 자발적인 신민이기를 요구하는 제국의 정책과 긴밀하게 조응하고 있었다. 경제적인 이익 못지않게 '전향' 사회주의자들에게 '전향'’은 코스모폴리탄이라는 이념형을 실현하는 일 계기로 다가온다. 이를 잘 보여주는 것이 '전향'사회주의자들의 지속적인 담론 개입과 공격적인 의제 생산일 것이다. 현영섭은 내선일체를 통해 코스모폴리탄을 꿈꾼다. 내선일체에 적극적으로 복무함으로써 세계사적 이상을 실현한다는 현영섭의 견해가 극단적인 경우라면, 인정식은 과거의 업적이 오류에 찬 것이며 걸어온 노선이 잘못됐다는 말과 함께 새로운 진리와 신념을 향해 나아가는 이상인(理想人)을 요청하고 있다. 이런 시대적 압력은 문학 내에서 유사하지만 다른 발화의 징후를 드러낸다. 김남천의 소설이 그 한 예가 된다. 김남천은 건설 기술자와 실업가, 전향한 사회주의자와 문학가를 소설의 중심인물로 삼아 서사를 주조해나간다. 김남천의 소설들은 코스모폴리탄으로서의 자격을 갖춘 자와 그렇지 않은 자를 예리하게 변별하고 있다. 구질서의 표상인 '전향'사회주의자는 신질서의 전형인 건설 기술자로 대체된다. 이 둘은 전혀 별개의 세계에 존재하는 다른 존재들인 것이다. 한 쪽의 죽음을 댓가로 다른 한 쪽의 삶을 온존하는 기형적인 모습을 김남천의 소설들은 보여준다. 또한 구질서의 한 표상인 남성 - 문학가가 등장하는 김남천의 소설 '낭비'는 구질서의 모든 퇴폐와 타락을 도시의 신여성들에게로 되돌리고 있다. 이 타락한 자들과 동일한 공간에 존재한다는 불만과 공격성은 도시의 신여성을 한편으로 받아들이면서 한편으로 거부하는 주된 이유가 된다. 그가 구질서의 표상으로 사회에서 완전히 배제/탈락되지 않을 수 있었던 이유는 이처럼 여성적인 자질의 부정성을 전유함으로써 가능하다. 이처럼 김남천의 소설에서 ‘전향’은 과거와 현재와의 치열한 대결이 아니라 신질서의 제국 주체로 혹은 사회적 약자의 형상을 빌어 스스로를 변명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김남천의 많은 소설이 ‘전향’을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흥미로운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This thesis focuses on research for clues of the logic of the Socialist writer's conversion. Today many investigators are working in the theme of conversion, and a number of results are produced. We have not to limit the matter of conversion to the person concerned or regard the matter as the past remains. Though the matter of conversion is always concerning the context of history. Thereby this matter which is used in this thesis is not the general notion, but the specified notion. Of course that supposes specific viewpoint and the way of interpretation. In general, the matter of conversion have been implied the dichotomy between the power that dominate over the individual and the individual who stands against the power. Maybe this is the result of the interpretation through the idea of one-country. A colony Chosun(식민지 조선) had a fate to become empire-subject who has the sight range from the Asia to the world since the reorgnization of world order ; specially after the war between China and Japan, 1937. The intelligentsia in Chosun early and sensitively had became aware of the situation and change.They did not only obey the given conditions, but also actively make possible effort to use the given conditions. They were active actor and wanted to the a subject according to the policy of the empire. The conversed socialist writer had the chance to make money and more to actualize the idea of cosmopolitan through the very conversion. This appeared the activity that conversed socialist writer produced continual intervention in social discourse and assaultive topic for discussion. Hyeon Yeong Seob(현영섭) was dreaming of becoming a cosmopolitan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Chosun and Japan(Naeseon Ilchae). His dream, hoping the actualize idea of the history of world, is an extreme case, on the other case is founded In Jeong Shik. He criticized false remains and called for the notion of an ideal man who works away pursuing the new truth and belief. These enforcement of that time showed the similar at the same time and different symptom of speech. As it were Kim Nam Cheon'(김남천)s novels. Kim Nam Cheon(김남천) composed the novels focussing on the main character like as an architect and engineer, an businessman, and a conversed writer. His novels show the sharp difference between ideal cosmoplitan and not. Also the conversed socialist writer who standed the old and past order replaced with the ideal architect and engineer who standed the new order. His works has the deformed feature to build one part with killing other part. And in his novel 'Waste(낭비)', the hero, standing the old order, is corrupted by another fact. Writer takes hero's blame upon other women who are modern female in the city. Hero's corruption resulted from coexistence with that women, so in the novel there are lots of critic and attack for them. But those modern women is a dispensable fact, because their existence could explains the hero's corruption and hero, representation as the writer's own or male at that times, has a place of refuge. His novels common showed the fact that conversion is not result of competition with the real conditions of that world, but result of the vindication with the figuration an imperial subject in the new ordered world or a loser.It is interesting that his works are direct dealing with the theme of conversion, but indirect dealing with above that way of expression.

      • KCI등재

        교양소설에 나타난 음식과 그로테스크 - 오수연의『부엌』을 중심으로 -

        김미영 ( Kim Mi-you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7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6

        이 글은 오수연의 연작소설 『부엌』에 나타난 교양소설의 성격을 음식과 몸의 부조화에서 비롯되는 그로테스크 양상, 코스모폴리탄적 주체에서 살펴보았다. 주인공 ‘나’가 한국을 떠나 인도에 체류하면서 겪은 외국인으로서의 체험과 사유의 행로는 딜타이와 모레티가 제시한 교양소설의 범주에서 그리 벗어나 있지 않다. 작품에 나타난 교양소설로서의 특성은 주인공이 ‘코스모폴리탄적 주체’ 라는 점으로 드러난다. 인도로 유학을 온 두 여성 화자 ‘나’에게 채식과 육식은 단순한 음식취향의 문제가 아니라 신분과 권력이 내재된 복잡한 의미를 지닌다. 여기에 포식자와 피식자의 관계를 인도 신화인 ‘끼르띠무까(kirtimukha)’의 반복적인 구조로 드러냄으로써 음식과 몸에 의한 그로테스크 미학이 자연스럽게 형상화 되었다. 비대한 몸, 부조화, 식인 등을 통해 그로테스크적 상상력을 환기시키고 있다. 오수연의 그로테스크가 다른 작가들과 차별화되는 지점은 코스모폴리탄적 상상력이라 하겠다. 즉 작가는『부엌』을 통해 ‘위험사회’의 요소를 배태하고 있는 그 어떤 불특정 사회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고자 한것으로 보인다. 위험사회의 요소를 지녔기에 그곳은 공동체 사회로 거듭 태어나야 하는 공간이 된다. 첫 번째 여성 화자 ‘나’가 국적과 인종을 넘어선 인간관계를 유지하려 한 점이나 채식주의자 다모의 생태학적사고, 두 번째 여성 화자 ‘나’의 하층계급에 대한 연민과 평등에 대한 인식 등이 공동체 사회의 코스모폴리탄적 주체의 모습을 담지하고 있다. 이는 오수연이 문학을 통해 평등·생명존중과 같은 보편적 가치의 확장을 세계시민이 추구해야 할 방향으로 제시한 것이라 하겠다. 작중인물의 인식 변화는 음식에 의해서, 음식과 결합된 그로테스크한 양상들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음식을 통해 문화적 차이를 체험하고, 그 안에서 상생, 평등, 생명존중 등의 세계시민의식을 점차 일깨워 나간 것이다. 따라서 이 작품에 나타난 채식과 육식 사이의 갈등은 공동체 사회와 세계시민의식의 심화와 확장을 보여주는 교양소설의 서사장치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Kitchen, a series novel by Oh Su-yeon, from two perspectives. It examined its characteristics as a Bildungsroman on the one hand and approached it in the grotesque aesthetics on the other hand. It falls under the category of growth novels, given its stories and the writer's statement. When the world exhibited by its speaker, "I," is taken into account along with her reflection on life and maturity, however, the category will not be enough to express the novel's unique nature. There are two female speakers in the series novel that have moved to India for study(the speaker "I" in What Happened in the Kitchen?" and I Am Food is different the speaker "I" in The Glory on the Land). As far as "I" am concerned, vegetarian and meat diet is not a simple matter of food taste, but a complex one with social status and power inherent in it. As the predator-prey relations are revealed in the repeating structure of "Kirtimukha," a myth of India, the grotesque aesthetics is naturally embodied by food and the body. "I" get to recognize a "sense of atonement" in the ritualistic cannibal custom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the missing case of "Damo," who is her predecessor studying in India, and a mature attitude as a global citizen in her humane relations with a maid called "Raj." The series novel allows the readers to discover the aspects of Bildungsroman by depicting a youth of strong mobility understanding her relations with the society and the world.

      • KCI등재

        ‘올드 상하이’의 도시사회학과 식민지 조선인의 원풍경

        이혜진(Lee, Hye-Jin) 우리문학회 2016 우리文學硏究 Vol.0 No.51

        전 세계 좌익혁명가들의 집산지이자 근대 동아시아의 허브였던 중국의 상하이는 의외로 한국근대문학과 그다지 친밀성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1920-30년대 서구 열강의 조계지로서 ‘동방의 파리․동양의 런던’으로 표상되었던 ‘올드 상하이’는 서구 자본주의 시스템이 원활하게 작동하는 국제상업도시이자 동시에 식민지 예속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는 자유의 낙원이라는 양가성을 지닌 곳이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올드 상하이’를 배경으로 한 유진오, 심훈, 김광주의 소설은 당시 상하이 조계가 갖고 있는 국제적 성격과 함께 상하이로 유입된 조선인들의 실상을 여과 없이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특별히 주목된다. 그 동안 이 작품들은 무산계급문학 혹은 조선인의 근대 중국 체험을 반영하는 시선에서만 다루어졌다. 하지만 이 작품들의 등장인물을 ‘올드 상하이’라는 코스모폴리탄의 위상에 놓고 볼 때 그것은 동아시아 근대에 형성된 제국주의적 자본주의 시스템과 그것의 확대과정에서 변모할 수밖에 없었던 도시공간, 즉 ‘지정학적’ 공간의 문제와 그 속에서 파행적으로 진행된 ‘사회학적’ 문제들 속에서 발생하는 긴장관계, 그리고 그 세계와의 상호작용에서 도출된 인간의 다양한 형태들을 목도하게 된다는 점에서 재독의 여지가 있다. Modern Korean literature is generally discussed in the context of the colony of Chosun under the Japanese empire. When we consider this subject from the perspective that modern Korea itself was formed via Japan in its form as a colony, it is also common to discuss the subject of modern literature in the context of Western empires and colonies in the non-Western world. However, Shanghai, in China, which was the breeding ground of leftist revolutionaries of the world and the flower of East Asia, unexpectedly does not seem to have much familiarity with modern Korean literature. There must be a reason for the lack of conditiofor the colony Chosun to create literary works, because Shanghai was the base of the Korean independence campaign on which the survival of Korea depend. However, when the perspective is expanded to include modern East Asian literature, the place that appears as the core is Shanghai. Shanghai was the taxation area that was the colonial government’s seat of power at its birth and formed an area to compete for political hegemony by calling revolutionaries from the countries of the world, so this waa place of great importance that the colony Chosun could not ignore. From this perspective, the novels that have a background in Shanghai from the 1920’s to the 1940’s paint an accurate picture of Shanghai as seen through the eyes of Chosun colonial people like the Chosun independence activists, including an atmosphere of Shanghai as an international city at that time. This study will select the core places in various perspectives and uncover their meanings, focusing on literary imagery through the Shanghai experience of three writers. Specifically, this study will uncover the scenes of modern East Asian literature, using as a reference the scheme of city space theory, which studies the capitalistic system that was formed in East Asia in modern times and the city space that was changed greatly in the course of its expansion-that is, the problem of the space (geographical) and the strained relationship that was revealed between the problems of process (sociological) in it and all forms of human relation deduced from the interaction with that world.

      • KCI등재

        식민지 말기 박태원 문학에 나타난 시장성 - 『여인성장(女人盛裝)』의 소비주체와 신체제 대응 양상을 중심으로

        하신애 상허학회 2011 상허학보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practices of consumption in the “New System,”, which has generally been characterized by two key words: “technology” and “production”. Studies on popular literature during the period of the “New System” show that intellectuals in the colonial Choseon period sought opportunities to regenerate as a “similar-empire subject” on the grounds of the value-neutral universality of “science-technology”. While Kim Nam Cheon or Lee Tae June's novels presented a desires to proceed with the non-ideological “universal place” by contributing to the production of empire with value neutral technology, Park Tae Won presented the desire to proceed with a cosmopolitan “market place” through an empire-exceeding consuming practice, with the indistinguishable value of money itself. According to the latest study about the colonial market of consumption, the scale of the empire was not always equal to the scale of the market, and those with money could exercise their right to consume without concern about empire composition of the colonial/colonized by indistinguishable order of the market place. During the “New System” period, “byeolun changmada” tried to pioneer a value-neutral “universal place”, where the border between the colonial/colonized could disappear, Park tried to arouse the non-national and infiltrative quality of money itself to present the empire-excessive order of the market as a “universal place” by establishing a cosmopolitan-consuming subject in “Yeoinseongjang”. In other words, the prospect of a “technical subject” grounded on value-neutral universality was recognized as the mainstream of social discourse during this time, but in Park’s literature, response to the “New System” did not come from “technology” or “production,” but rather from the aspects of consumption, border-crossing and passing-through. 이 글의 목적은 ‘기술’과 ‘생산’이라는 키워드로 표상되어왔던 신체제의 또 다른 면모인 소비 실천적 측면을 보다 상세히 분석하는 것이다. 신체제 시기 대중문학을 다룬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식민지 조선 지식인들이 신체제라는 “새 시대”를 맞이하여 ‘과학-기술’이라는 가치중립적 보편성에 근거함으로써 피식민이라는 차별적 표지를 벗고 의사-제국 주체로 “신생”할 수 있는 일종의 기회를 모색하고자 했다는 점을 이미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김남천․이태준 등의 장편소설이 이처럼 가치중립적인 ‘기술’에 의거하여 제국의 생산에 기여함으로써 식민/피식민의 경계가 무화되는 비(非)이데올로기적 ‘보편 영역’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욕망을 그려내고 있었다면, 다른 한편으로 유사한 시기에 발표된 박태원의 장편소설은 “민족과 상관없이 무차별적으로 적용”되는 ‘금전’적 가치에 의거하여 제국의 체제를 초과하는 소비 실천적 면모를 그려냄으로써 국적이나 출신이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는, 코스모폴리탄적 ‘시장 영역’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욕망 역시 피식민자 내부에 존재하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식민지 소비 시장에 대해 고찰한 최근의 논의에 따르면 제국의 범위는 시장의 범위와 반드시 일치하지 않으며, “민족과 상관없이 무차별적으로 적용”되는 시장적 질서 안에서 금전을 가진 자는 식민/피식민의 구도와는 별개로 ‘손님’으로서 대우받으며 소비 대상에 대한 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박태원 문학에서 소비주체가 지니는 ‘선택권’의 수행이란 제국이 규정한 피식민자의 위치를 넘어 “엔리코 카루소”의 세계로 “양행”하고, 통제경제의 장벽을 뚫고 서구 세계를 식민지 경성 안으로 침투․확산시키며, 나아가 제국의 ‘가루삐스’․‘소다스이’ 대신 서구의 ‘레몬티’나 ‘맥주’를 마시는 코스모폴리탄적 신체를 구성하도록 하는 기반이 되었을 수 있다. 신체제기에 이르러 『별은 창마다』 등의 작품들이 ‘기술적 주체’의 확립을 통해 식민/피식민의 경계가 무화되는 가치중립적인 ‘보편 영역’의 개척을 시도했다면, 박태원은 『여인성장』에서 코스모폴리탄적인 ‘소비 주체’의 확립을 통해 ‘자본’ 그 자체가 지니고 있는 무국적(無國籍)적이며 침투적인 속성에 다시 한 번 주목함으로써 애초에 국가나 민족 등의 경계가 문제시 되지 않는, 제국 초과적인 ‘보편 영역’으로서의 시장 질서를 환기시키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즉 이 시기 가치중립적 보편성에 근거한 ‘기술적 주체’의 전망이 사회적 담론의 주류로 자리 잡고 있었다 하더라도, 박태원에게 있어서 신체제에 대응하기 위한 방식이란 기실 ‘생산’이 아니라 경계 횡단적이며 침투적 속성을 지닌 자본에 의거하는 ‘소비’의 측면에서 기인했던 것이다.

      • KCI등재

        언어적 측면에서 본 일제강점기의 에스페란토와 코스모폴리탄

        서민정(Seo, Min-jeong) 우리말글학회 2013 우리말 글 Vol.58 No.-

        이 연구는 20세기 전반기 ‘에스페란토’에 대한 관심을 주로 ‘언어’의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 이른바 에스페란티스트들은 ‘민족’의 분쟁을 ‘언어’의 다름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하고, 그러한 문제는 결국 ‘국제어’를 통해서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따라서 그러한 국제어로서의 가능성을 에스페란토에서 찾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이 당시 ‘에스페란토’에 대한 관심은 단순히 언어를 넘어서는 시대와 이상의 문제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신문, 잡지, 저서 등에 실린 당시 지식인들의 에스페란토에 대한 글을 분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민족의 분쟁과 언어의 관계에 대한 논의, 모국어와 국제어의 관계에 대한 인식, 인공어인 에스페란토의 언어로서의 한계 인식과 그것의 극복 등으로 구분하여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러한 검토는 에스페란토와 연결되어 당시 에스페란티스트이 추구하고자 한 언어적 이상, 즉 언어적 코스모폴리탄에 대한 문제와 논의들이 분명해질 것이고, 궁극적으로는 일제강점기에 ‘언어’를 둘러싼 다양한 양상들을 포착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concern for Esperanto in the early 20th centuries mainly in terms of “language”. In their times, so-called Esperantists analyzed the “ethnic” clashes which was thought to have resulted from the difference of “language” and expected those problems to be ultimately solved with “World Language”. Thus, in the way that Esperantists explored the possibility of world language from Esperanto, the concern for the Esperanto at that point in time seems to be the problem of the contemporary and its ideal which is far beyond the language itself. In this study, at first, I try to analyze the intellectual’s writings on Esperanto which were featured in a number of newspaper, magazine and books in the early 20th centuries. Based on this, I attempts to formalize such a thematic discourse as the discussion on the relation between the ethnic conflict and language, the understanding the relation of mother tongue to World Language, and the realizing the limitation of Esperanto as a constructed language and the effort to overcome it. Through this examination, the question and discourse of linguistic ideal, namely, the linguistic cosmopolitanism which in their times Esperantists tried to pursue will be clear. And ultimately, this will pave the way for capturing the various aspects regarding the “language”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 KCI등재

        코스모폴리탄어에서 국어로 -19세기말 한국의 언어적 근대성과 속어의 회전(1880년대-1910년)-

        대니얼피퍼 ( Daniel Pieper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3 사이 Vol.34 No.-

        1880년-1890년대의 조선 후기에 유교 고전 교육을 받으면서 현대 지식과 해외경험에서 영감을 받은 신흥사대부들이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그 중 으뜸가는 인물은 게이오 기주쿠(慶應義塾)에서 영향력 있는 후쿠자와 유키치 밑에서 공부한 유길준이었다. 유길준은 한국인 최초로 미국에서 유학하며 귀국한 후 경험을 기록한 서유견문(西遊見聞 1895)이란 계몽서를 저술하였다. 이전 연구에서는 이 책이 고립된 조선에 서구 지식을 전파하는 데 미치는 영향을 강조했지만, 유길준이 선택한 작법도 마찬가지로 획기적이었다. 즉 새로운 지식을 전달하기 위한 국한문인 속어(vernacular)의 형식이었다. 이러한 속어의 회전과 함께 조선이 국제무대에서 완전한 독립국가로 이행함에 따라 국문을 국유화하고 한문을 타자화하려는 이념적 전환이 수반되었다. 이러한 언어 개혁의 신속성에도 불구하고, 코스모폴리탄(cosmopolitan, 보편)적 전통과의 완전한 단절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현대 일본어 개혁 운동의 영향을 받고 민족주의적 목적을 지향하는 전근대 글쓰기 관행의 재편제를 보여주었다. 19세기 후반 한국의 “언어 근대화” 운동은 속어화의 한 물결이었다. 이 물결은 훈민정음의 발명(1444년) 이후의 초기 물결의 언어적 도구를 활용했으며, 일본의 속어화 선례에서 사상적 영향을 받고 조선의 출현한 독립을 특징으로 하는 주권과 민족주의 담론으로 개보수되었다. In the 1880s and 1890s a new generation of scholar-officials in Chosŏn Korea trained in the Confucian Classics but informed by modern knowledge and inspired by experience abroad came to prominence. Chief among these was Yu Kilchun (1856-1914) who studied at Keiō Gijuku (慶應義塾) under the influential Fukuzawa Yukichi, became the first Korean to study abroad in the United States, and wrote a record of his experiences upon return, the enlightenment tome Things Seen and Heard in the West (西遊見聞 1895). While previous research has highlighted the influence of this book in spreading knowledge of the West in the largely isolated Chosŏn, Yu’s chosen method of composition was equally groundbreaking:a mixed-script form of vernacular Korean for conveying new knowledge. Accompanying this linguistic shift was an ideological transformation that aimed at nationalizing Korean writing and otherizing Literary Sinitic (漢文) as Chosŏn transitioned toward a fully independent nation in the international arena. Despite the rapidity of these language reforms, they did not represent a clean break with the cosmopolitan tradition, but rather a reconfiguration of premodern writing practices informed by the contemporary Japanese language reform movement and directed toward nationalistic purposes. Korea’s late 19th-century “linguistic modernization” movement represented a wave of vernacularization, one that utilized the linguistic tools of earlier waves following the invention of the alphabet (1444), inspired by Japanese vernacularization precedents and retrofitted with the discourse of sovereignty and nationalism characterizing Chosŏn’s emergent independence.

      • 식민지 지식인의 초상 : 김창세와 상하이 코스모폴리탄의 길

        신규환 문화사학회 2012 역사와 문화 Vol.23 No.-

        Kim Chang-sei (1893-1934) graduated from Severance Union Medical College in 1916, and he was the first Korean to become a Doctor in Public Health(DrPH) at Johns Hopkins University in 1925. Dr. Kim opened the discourse on national hygiene and national physical rebuilding, and was also interested in the health care system. However, as a fighter for national independence, he would not collaborate with the colonial government to improve the Joseon people’s health condition. He wanted to become a health director of an autonomous government, but the discourse of autonomy was abolished. Dr. Kim’s journey to Beijing in 1926 offered him an important opportunity to determine what his activity in public health would be in the future. He met John B. Grant (1890-1962) who had taken the lead in public health in China. Dr. Kim wanted to secure his independent health program with financial support from the Rockefeller Foundation. He planned hygiene- laboratory-managed health activity to improve the Joseon people’s health condition. Perhaps he needed to prepare a similar plan to John Grant's the First Health Station because John Grant had interviewed him when Dr. Kim asked for financial support. However, the Rockefeller Foundation did not want to support financial backing for individuals such as Dr. Kim and private institutions such as Severance Union Medical College in colonial Korea. As the plan of implementing hygiene laboratories was frustrated in colonial Korea, Dr. Kim looked for cosmopolitan space to secure political liberty and to enable hygiene experiment. Ultimately, he resigned his professorship of Severance Union Medical College in August 1927, and headed for Shanghai in November 1927. The National Revolutionary Army tried to unite China in the Northern Expedition. They aimed at anti-imperialism and anti-warlordism and occupied Shanghai on May 1927. As a field director of the 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in 1927, he was responsible for publicity and health education with the Council on Health Education in China. Concentrating on publicity and health education, he broadcast his concerns about government and civilian activities. According to his article in The China Medical Journal in 1928, in which he analyzed bleak condition of public health in Shanghai, he had a solution that would improve this problem. At first, he noted the differences in health administration among the International Settlement, French Concession, and Chinese residences. He argued that if concession authorities, the Chinese government, and voluntary health institutions progressed toward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collaborated with the Nanjing government, they would contribute to international peace. Dr. Kim could not be satisfied with civilian activities, and he tried to participate in the health administration of the Chinese government or the concession authorities. In doing so, he thought to complete his hygiene experiment. Finally, he got his job in the department of health in French municipal concession. As a Shanghai cosmopolitan, he foresaw that the health care system in Shanghai could improve the health condition of residents, while cooperating with concession authorities, the Chinese government, and voluntary health institutions. But he resigned the short-lived position in the concession authorities and voluntary health institutions. He headed for New York to search for new activities, and finally he shot himself to death.

      • KCI등재

        What Doesn’t Love a Wall : Human Systems, Emotions, the Russian Doll Fallacy, and Contemporary Cosmopolitanism

        Bellomy. Donald C.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4 No.-

        본질적으로 인간사회는 점차적으로 크고 복잡한, 독특하지만 비교할만한 정체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일련의 러시아인형이 아니다. 왜냐하면 종의 역사는 더 한 층 안정적으로 통합된 정체성을 둘러싼 새로운 벽을 세우는 것을 추구함으로써 경험의 벽을 파괴하는 감정적 충동성에 이끌어진 역사이기 때문이다. 현대의 위기는 주, 국가, 종교, 시장, 인종, 민족, 그리고 다른 공동체는 동시에 팽창하고 방어적인 감정적 정체성을 위한 충동으로 함께 휩쓸려가기 때문이다. 본고는 코스모폴리탄(세계시민)이라는 사고방식에 대한 어려움을 밝히는 다양한 시대와 장소의 예와 더불어 앞에서 언급한 것 중 처음 세 가지, 즉 주, 국가, 종교에 중심을 두고자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 감정은 문제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문제의 해결을 위한 핵심 역할을 한다. 본고는 코스모폴리탄(세계시민)의 가치를 추구하는데 있어서 러시아인형의 오류를 다루는 것을 시작하는 실제적인 해결책으로 마무리한다. In its essence human society is not a series of Russian dolls with progressively larger and more complex systems distinguished by distinct but comparable identities, for the history of the species has been driven by an emotional impulse to break down walls of experience in the interest of erecting new walls around a more securely integrated identity. In the contemporary crisis, states, nations, religions, markets, races, ethnicities, and other communities are swept together in this compulsion for a simultaneously expansive and defensive emotional identity. This paper centers on the first three - states, nations, and religions - with examples from different periods and places that illuminate the difficulties posed by this tendency for the cosmopolitan mindset. It nevertheless will argue that human emotions not only play the central role in creating the problem - they are also the key to its resolution. The paper concludes with practical solutions to begin dealing with the Russian doll fallacy in the interest of cosmopolitan values.

      • KCI등재

        ‘운동가 코스모폴리타니즘’의 낭만성과 그 함의 —송영과 이효석 소설에서의 이국(異國)

        최은혜 현대문학이론학회 202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88

        이 논문은 이 논문은 1920년대 후반부터 1930년대 초반에 걸쳐 창작되는 국제 이동 서사의 한 계열로서, 사회주의 운동가들의 해외 활동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는 소설들을 살펴보았다. ‘운동가 코스모폴리탄 소설’로 명명할 수 있을 만치 이 계열의 소설은 동아시아를 벗어난 더 넓은 세계를 배경으로 활동하는 운동가들을 등장시키고 있다. 특히 송영과 이효석의 소설은 사회주의가 실현된 선진적인 공간으로서의 러시아에 대한 동경을 보여주거나 운동의 공간으로서의 ‘이국(異國)’에서 벌어지는 각종 사건들을 다루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국’이라는 소설적 시공간의 탄생은, 사회주의 운동이 가능한 세계에 대한 ‘동경’과 지금-여기 식민지 조선의 현실로부터 ‘초월’하고자 하는 것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이 소설들은 현실 반영이라는 잣대에 의하면 관념적이고 낭만적이지만, 주변부에서의 문학적 상상력이라는 측면에 집중할 때 그 낭만성은 이념적이고 정치적인 색채를 띠게 된다. 한편, 서사 내부에서 ‘사랑과 우정’은 이 소설 속 주인공들을 진정한 사회주의 코스모폴리탄으로 거듭날 수 있게 하는 이니시에이션으로 작동한다. 이국인과 나누는 사랑과 우정은, 국제적 연대의 기반이 되어 주인공들을 국제주의자로서 자리매김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이국인과 나누는 엑조티시즘적 사랑과 우정은 변화와 이행의 과정에서 사회주의자가 겪게 되는 소설 속 의례로서 소설의 내용적 측면에서의 낭만성을 자아내며, 이때의 낭만성은 정치적인 것이다.

      • KCI등재

        식민지 조선에서 ‘헨리·제임스·조이스’라는 기호

        장성규(Jang, Sungkyu) 한국근대문학회 2014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5 No.1

        식민지 조선에서 외국문학의 수용은 빈번히 탈식민적인 효과를 낳았다. 즉, 단순한 외국문학의 ‘이식’을 넘어 나름의 문제설정 속에서 이를 재구성하여 특정한 의미를 담은 ‘기호’로서 활용하는 계기로 삼았던 것이다. 이는 특히 창작의 자유가 극도로 위축된 일제 말기에는 더욱 두드러진다. 이 시기 헨리 제임스와 제임스 조이스의 수용은 이러한 관점에서 조명될 필요가 있다. 김남천의 「낭비」에는 이 두 작가를 묶어 ‘헨리·제임스·조이스’로 호명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이는 이들이 당시 모종의 불온성을 담지한 기호로 작동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헨리 제임스의 경우 당시 국가주의 이데올로기에 반하는 코스모폴리탄적 기호로, 제임스 조이스는 식민지 출신 작가를 암시하는 기호로 작동했던 것이다. 이 기호는 일제 말기 최명익과 유항림의 작품을 해석하는데 상당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최명익의 「폐어인」에서는 로렌스와 지드로 표상되는 보편주의적 미의식이 표출되며 이는 「심문」에서의 ‘방인’의식으로 진전된다. 이러한 보편주의적 지향과 방인으로서의 자기 인식은 ‘헨리·제임스·조이스’라는 기호가 내포하는 식민지 부재의식의 구체적인 발현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편 유항림의 경우 「부호」등의 작품을 통해 독특한 두 겹 이야기의 구조를 보여준다. 이는 헨리 제임스가 고안한 ‘시점’ 개념을 계승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유항림은 이 구조를 통해 속 이야기와 겉 이야기가 충돌하는 지점에서 독특한 상징과 알레고리를 형상화하는 글쓰기 전략을 구사한다. 특히 이를 통해 과거 카프의 경화된 사회주의적 지향은 물론, 당시 대두하던 파시즘적 지향과도 객관적 거리를 확보하는 내적 형식을 구축한 점은 매우 중요한 성과로 평가될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 최명익이나 유항림 등에 대한 평가는 다소 범박한 의미의 심리주의 문학이라는 개념으로 환원된 경향이 있다. 그러나 당대 문학장에서 유통된 ‘헨리·제임스·조이스’라는 기호를 적극적으로 고려한다면, 이들은 당시 파시즘의 대두에 대해 특유의 ‘방인의식’을 표출하거나 혹은 두 겹 이야기의 형식을 통해 이에 대한 객관적 거리 두기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는 또한 식민지 조선에서 외국문학의 수용이 지닌 탈식민적 역학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