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의 공적노후소득보장체계는 중산층에게 적정한가? : 국민연금과 특수직역연금과의 비교를 통해

        최윤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whether the public retirement income support system is appropriate to ensure the retirement income of the middle clas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difference in assurance level of public pensions on the elderly's lives in the middle class, the special occupational pension(higher guarantee level) and the national pension(lower guarantee level) were analyzed with Difference in Difference Analysis(DID) and Follow-up Study of Panel Data using KRelS(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With results of these analysis and reference to pension reform cases in from other nations, suggestions were made to supplement the national pension system to ensure the stable retirement income and life of the middle clas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study and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effect of public pensions on middle class retirem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ID analysis finding out the effect of the retirement income of middle class depend on difference in assurance level of public pensions(between special occupational pension and national pension), in case, the post-retirement work income was excluded, the difference in assurance level of public pensions had a greater influence on the elderly`s lives of the middle class. This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lots of middle class people who covered by the national pension are unable to prepare their own elderly life before retirement by themselves, so they should have to make up for the shortfall in pension payments through work activities. This means that the stable retirement life of the middle class should be needed government intervention through public pensions. And next, the results of the follow-up study of panel data in one's life before and after retirement also showed that differences in assurance level in public pensions affected retirement life as the results of the DID. Furthermore, through the follow-up study of panel data on before and after retirement income and assets of pension recipients and non-recipients, it could recognize the meaning of the national pension entitlement itself. It showed that national pension recipients’ income and assets were found to remain in continuous and stable control even after retirement. Because they had set up additional retirement income sources with a national pension fund. On the other side, the income and asset sizes of non-recipients decreased drastically after 2∼3 years of retirement. It could be predicted that the non-recipients were being prepared their retirement income by gradually disposing of the assets after retirement. These results showed that national pension entitlement was not just about paying insurance during a work day and returning retirement pension, but it also meaned that recognition for the provision of retirement begins, strengthens, and maintains through the payment process of a long-term fixed amount to obtain the national pension entitlement. According to this analysis, the middle class could not prepare for their own retirement, so they needed to supplement their public pensions to prepare for their old ag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o utilize the multi-pillar old age income security system to supplement the low assurance level of national pension. This system included activating retirement pension plan and creating the second floor national pension plan. A plan on the activating retirement pension is to introduce the form of Italian enterprise pension subscription that the workers subscribe to pension automatically not by individual choice so that the private retirement pension make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pension. Another plan to supplement the national pension is to introduce a premium pension type in Sweden that operates an additional pension layer for a given income or higher. Second floor national pension could be a additional old-age income source that help the retirement life of middle class can be more stable and affluent. Such enabling the activation of retirement pension and introduction of additional pensions with the improvement of long-term structure of the public pension system would give more stability to the middle classes' future life. It also could be the start of a process that could enable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to share the burden of the nation's aging society.

      • 중산층 노인의 삶과 질 향상에 관한 연구

        김두경 동아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인구의 고령화,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 진출 확대 등으로 인하여 노인 부양에 대한 가족의 기능이 해를 거듭할 수 록 약화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중산층 노인들도 노후의 삶이 복지환경의 변화에 의해 열악해 질 위험에 처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 정부에서는 빈곤계층이나 저소득층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단순한 시설보호 및 생계보호 위주의 노인 복지서비스에 취중 하였으나, 앞으로는 전체 노인의 삶의 질 향상 특히 중산층 노인에 대한 새로운 사회복지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산층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를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왜냐하면 저소득층 노인이나 수급권자 대상 노인들은 국가에서 제반 보호 장치를 마련하여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일정 수준으로 지원하고 있지만 중산층 노인에 대해서는 몇 가지 공적인 제도를 제외하고는 거의 실시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국·내외 각종 문헌 및 관련 자료를 통한 기술적 연구를 사용하였고, 그리고 부가되는 각종 통계자료는 국가, 공공기관이나 신뢰성있는 기관에서 발표된 각종 통계자료를 이용하고, 필요하다면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재편집하여 사용할 것이다. 본 연구를 중심으로 하여 중산층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정의 역할 증대 둘째, 노인의 사회적 지원 확대 셋째, 노인의 경제력 유지 및 소득 보장 강화 넷째, 노인을 위한 보건의료서비스의 질 향상 다섯째, 노인의 사회참여 및 역할 제고 Today, the function of family for the old age support has become weakened going thru the year and year due to change as old ages of population, as divided families, expands of social advance of the female. Accordingly, the old ages in middle class also have reached danger to be inferior by changes of the welfare circumstances in their living. However, the government sets importance on protection of the simple facility and the old aged welfare service on self-centered life protection subject to the poverty class or the low income class old ages, but it is required to have construction for the new social welfare system for quality improvement of quality for all old ages in the future, such as for the old ages in middle class, in particular. Accordingly, this study has aimed to quality improvement of the old ages living in middle class. Because, the old ages of lower income class or the old ages subjected to the person who has the right of demand-supply have been supported regular levels by providing a lot of protective devices from country, even if it is not the satisfied level, however, it is the reason why the government was carried out little to the old ages in middle class except some of public systems. As a method to get to purpose of this study, the technical study was carried out thru many kind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documentary records and the concerned data, and the embossed every kinds of statistic data were practically used by every kind of statistic data published by the nation, reliable authorities or public authorities. and it will be used to reedit to be proper to this study, if necessary. If I will provide som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the old aged living quality in the middle class centering this study, it is as follows : First, Increase for administrative role Second, Enlargement of social support for old ages Third, Supporting Economical force of the old ages and enlargement for income secure Fourth, Quality improvement of health & medical services for old ages Fifth, Social participation of the old ages and consideration of role

      • 중산층 대상 가정보육시설의 실태와 이용자 요구에 관한 연구

        권경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중산층 대상 가정보육시설의 실태와 이용자의 만족도와 요구를 조사하여 중산층 부모의 요구를 보다 적극적으로 수렴한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고 아동의 건전한 발달이 이루어질 수 있는 보육환경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이용되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산층 부모 대상 가정보육시설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중산층 부모 대상 가정보육시설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중산층 부모들의 가정보육시설 이용 현황은 어떠한가? 넷째, 중산층 부모의 가정보육시설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는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서울의 중산층 지역에 위치해있는 가정보육시설 30개소의 운영자 30명과 시설을 이용하는 부모 164명이었고 설문지와 면접의 방법으로 양적인 연구와 질적인 연구를 병행하였다. 설문지를 각 문항별 내용을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고 면접 내용을 분석 정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산층 부모들이 이용하는 가정보육시설의 운영실태는 다른 선행 연구 결과보다 시설이나 인적 구성 요소 전반이 우수하고 보육비용도 더 많이 들고 있었다. 가정보육시설은 대부분 아파트에 위치하여 20-30평 정도의 공간을 가지고 있었고, 총 아동수는 11-15명이 가장 많았으며 교사는 운영자를 포함하여 2-3명 정도이고 20대와 기혼, 대졸의 학력에 자격을 갖춘 교사들이 많았다. 둘째, 운영자는 가정보육시설의 문제점으로 운영상의 문제, 지역적 특성의 문제, 교육 환경의 문제, 운영자 개인의 문제, 부모와의 관계 문제, 국가의 지원과 관리 문제 등을 들었고 이 중 특히 지역적 특성상 생기는 문제에 대해서는 심각한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셋째, 중산층 부모의 가정보육시설 이용 현황에 대한 결과로 이용 자녀의 연령은 대부분 3~4세로 3세 미만의 아동은 대부분 친척이나 대리모, 본인이 양육을 담당하고, 취학전 아동인 5세 아동은 다른 유아교육기관을 이용하고 있었다. 취업모는 종일반을 비취업모는 반일반을 많이 이용하고 있었으나 전체적으로는 반일반의 이용 비율이 더 높았다. 넷째, 가정보육시설에 대한 중산층 부모의 만족도는 대부분 만족 수준이었고 거리와 위치 요인에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하였으며, 상대적으로 시설과 설비를 가장 불만스러워하였다. 또 면접 결과 중산층 부모는 10-15명의 총 아동수에 교사대 아동의 비율은 1:5 정도 수준, 종일반은 20만원, 반일반은 15만원 정도의 보육비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였으며 대졸의 유아교육을 전공한 30대 기혼 교사를 원하였다. 부모의 요구는 모의 취업 여부간, 자녀의 연령 차이간에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general operating situation of the family day care for the middle classes and reqirements of the paremts with objects of the managers and the parents, and to offer basic data for enlargement and popularization of good day care conters fitted in the middle classes' demands. According to this aim, research questions are included as follows ; 1. How is general situation of the family day care for the middle classes? 2. What are the mattered point of the family day care for the middle classes? 3. How is the present using condition of the paremts whose children are attending at the family day care centers? 4. What are the requirements of the paremts whose children are attending at the family day care centers?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30 managers and 164 parents of the family day care centers located at the middle class area in Seoul.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a questionnaire and an interview. The questionnairs were prepared into two separated forms, for the manager of the center and parents;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checked for their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 contents of interview were analyzed and arranged.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 1. Most of family day care centers located at the 1st floor of the building with an average of 20 pyungs to 30 pyungs. The average number of children accomodated are 11 to 15, and most of centers are operated including of all-day and half-day class. The centers largely have 2 to 3 care givers, a manager and assistant care givers, and their age distribution is 26 to 30 and married. They are mostly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university. 2. The managers of family day care centers have trouble with managements, the distingtive features of middle class area, environment of family day care, personal problems, the relationship with parent, the national supports and administrations. 3. The average age of the children attending at the family day care are between 3 to 4. The children under 2 years old is cared by their mother, grandmother or baby sitter, and 5 year-old children are attending at another forms of center like a kindergarten. 4.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 interview with parents, their desirable numbers of children a class are less than 15 and the ratio of care giver and children is 1 : 5, consisting a same-age group. The needs of parents in middle class are so different as the age of their children and if mother has a job or not

      • 중산층의 성향과 민주주의의 발전 : 필리핀 사례연구

        전금림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Class and Democracy: Philippines Case Study The history of democratization in the Philippines has shown some progress during the two times of ‘People Power Revolution (1986, 2001).’ However, the democracy in the Philippines is nowhere near entering the developed state. This paper examines the role of the middle class and its political disposition in the Philippines in an attempt to answer why the country is still struggling to successfully implement democracy. The middle class is considered the most vital force in building and sustaining democracy. Although it has exhibited its will to participate in political reforms through the ‘People Power Revolution’, the middle class in the Philippines did not succeed in promoting democracy. The biggest contribution to failure lies in the political motive of the middle class. The middle class was created during the colonized state in the urban center by the elite and leaders as a means of ensuring their power. In return of the support, the middle class was given social and financial security. However, when the security was no longer guaranteed during the financial crisis during the 1980's, the middle class collaborated with liberal reformers in hopes of regaining its wealth and power. Again, during the Second People Power Revolution, the middle class' main concern was in retrieving the benefits and stability rather than in chasing after the democratic ideals. This paper will examine the political tendency of the middle class in the Philippines and what significance it has on the hindered democratic consolidation. Keywords: Philippines, middle class, People Power Revolution, Democracy 국문초록 중산층의 성향과 민주주의의 발전: 필리핀 사례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국제관계학과 전금림 필리핀은 두 번의 피플파워(people power)를 통해 민주주의를 진전시킨 바 있다. 하지만 민주주의가 회복된 이후에도 필리핀의 민주주의는 여전히 ‘결함 있는’ 상태로 지속되고 있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은 필리핀의 민주주의가 취약한 원인으로 중산층의 ‘보수적인 성향’에 주목하고자 한다. 필리핀에서 중산층은 두 번의 피플파워를 성공으로 이끈 세력으로 묘사되기도 하는데, 이들이 피플파워에 참여한 동기를 살펴보면 민주주의를 실현하고자 하는 열망보다는 ‘중산층의 이익과 필요에 의해서’라고 할 수 있다. 즉, 1980년대 중산층은 권위주의체제가 초래한 심각한 경제난에 직면하여 권위주의체제의 대안적 세력으로 부상한 온건개혁세력에 합류하여 피플파워1에 참여하였고,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가 새롭게 형성되는 과정에서 대도시의 이익이 지방으로 분산됨에 따라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었던 중산층의 이익이 감소하면서 이들은 피플파워2에 참여한 것이었다. 한마디로, 소수의 엘리트화한 중산층은 체제 변혁의 의지가 없었고, 자신들의 기득권을 수호하려고만 하였다. 이러한 중산층의 ‘보수적인 성향’은 필리핀의 식민지 역사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필리핀의 중산층은 식민지 정부에 의해 추진된 경제발전의 수혜자인 동시에 식민지 정부의 협력자로서 성장하였고, 이와 같은 분위기 속에서 중산층은 사회정의보다는 본인들의 이익과 현재의 안정을 추구하는 보수적인 성향을 갖게 된 것이다. 독립 이후에도 ‘엘리트 민주주의체제’가 지속되면서 사회적 가치의 불평등한 분배체계로 인해 중산층의 비중은 낮게 유지되었는데, 이는 중산층의 보수적인 성향을 더욱 고착시켰다. 이러한 사실은 필리핀의 ‘보수적인’ 중산층이 민주주의를 이끌어가는 주체세력이라기보다는 오히려 필리핀의 민주주의가 취약해질 수밖에 없는 근본적인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이를 통해 민주주의가 발전하는데 있어 중산층의 존재여부 못지않게 중산층의 성향도 중요한 변수가 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주제어: 필리핀, 중산층, 피플파워, 보수성, 민주주의

      • 중산층의 일상생활을 위한 백화점의 지역시설 역할에 관한 연구

        박연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국내 주요 백화점 브랜드가 도심이 아닌 압구정동에 위치하는 것과 백화점에서 중요한 입지요소인 교통인프라의 집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 그리고 일부 백화점에 세탁소와 같은 서비스들이 있음을 통하여 백화점이 아파트단지와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에서 출발하였다. 이 가설은 백화점과 아파트단지의 도시공간적 위치가 근접하다는 것과, 아파트단지 중산층의 일상생활과 백화점의 공간이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통하여 증명하고자 하였다. 1970년대 들어서면서 주거의 대량공급이 목표로 설정되고 영동지역(강남)의 개발이 시작되었다. 대량공급이라는 목표는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주거지를 형성시켰다. 또한 도시화가 미비한 상황에 주거지를 우선하여 계획하였기에 제도적으로 아파트단지 내에 일상생활을 위한 시설들을 설치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아파트단지 내에서는 복지와 관련된 일상생활시설인 어린이놀이터, 집회와 관련된 시설인 집회소, 환경위생에 관련된 시설이 공중목욕탕, 체육 스포츠시설에 관련하여 수영장, 정구장 등의 설치, 그리고 쇼핑에 관련한 일상생활 시설로 시장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관료적인 일상생활시설들은 민간건설사에 의해 축약되어 나타났다. 즉 압축된 아파트 단지 내 일상생활은 단조로움 해결에 대한 욕구와 다른 하나는 동질집단 속에서도 차이를 갈구하는 욕망은 ‘소비’라는 욕구로 변질되었다. 또한 쇼핑을 지원하기 위해 규정되어 있던 시장은 그 정의가 모호한 상태였기에 쇼핑센터, 백화점이라고 하는 시장보다 높은 수준의 쇼핑시설도 건립가능 하였다. 이로써 백화점이나 쇼핑센터이라는 광역생활시설이 아파트단지 일상생활권으로 침투하였다. 이런 배경 속에서 나타난 것이 한양쇼핑센터, 현재의 갤러리아백화점과 현대백화점이다. 결국 백화점에서 아파트단지 일상생활 시설의 일부분이 대체되었고, 광역생활시설들의 일부도 소비재로 대체되어 일상생활시설로 백화점에 포함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2000년 이후 중산층을 위한 새로운 아파트 형식들이 나타나게 되면서 백화점에는 몇 가지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게이티드 커뮤니티로 형성된 아파트단지들이었는데, 아파트가 중산층의 새로운 지위를 표현해주는 소비재가 되면서 단지 내의 일상생활시설들은 더없이 풍부해졌고, 외부공간은 공원으로 계획되기 시작하였다. 현대아파트와 한양아파트는 이러한 변화를 수용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그들의 일상생활권 내에 위치한 백화점이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였다. 옥상정원을 공원으로 변모시킨다던지, 문고의 역할을 수용할 있는 북카페 같은 것들이 생겨났으며, 게이티드 커뮤니티 강화에 대응하는 VIP라운지를 설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중산층의 일상생활 시설로 백화점이 이해되고 강남지역이 중산층의 집단적 거주지라는 특별한 사회적 경계를 형성하면서 결국 백화점에 대한 새로운 기호로 작용하게 되었다. 즉 상품의 지위도 이들 백화점에 있으면 새로워지게 되었으며, 백화점의 외관은 중산층의 지위를 표현하는 물적 대상이 되어 주거지역과 근접한 백화점에 동일한 외관이 그대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중산층의 일상생활과 백화점의 관계는 이후 다른 백화점 및 다른 지역시설에서도 영향을 미치고 있기에 중요하다. 이를테면 AK프라자 구로점에서는 주변 지역의 일상생활시설 가운데 체육스포츠 시설을 보완해주기 위하여 개점 당시에는 스포츠센터를 포함하고 있었지만, 인근 지역에 공공시설로 스포츠센터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이 생겨나고, 강남의 백화점이 영화관과 결합하는 양상을 보이자 스포츠시설은 영화관으로 대체되었다. 백화점에 나타났던 북카페는 이후 대부분의 도서관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백화점에 식음에 관련한 시설들이 증가하는 것은 미술관이나 박물관의 변화와 관계가 있다. VIP라운지는 백화점을 거치면서 카드사와 통신사 등의 마케팅 수단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백화점의 지역시설로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백화점은 아파트단지와의 관계 속에서 이들의 일상생활시설로 기능하기 위해 노력해왔고, 이로써 단순히 쇼핑기능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백화점은 문화적 학습공간이 되기도 하고, 운동을 하는 공간이면서, 모임을 가지는 공간이기도 하며, 장을 보러가거나, 외식을 하며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공간이 되었다. 백화점의 중산층의 일상생활을 위한 노력들은 다른 지역시설들에도 영향을 미쳐왔으며, 앞으로도 새로운 아파트단지 형식과 주변의 변화에 대응해 나갈 것이다. 결국 백화점은 겉으로는 폐쇄적이고 변화가 없어 보이지만, 내부에서는 끊임없이 중산층의 일상생활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변화하고 있으며, 도시에 요구되는 시설들을 먼저 수용하여 일상생활화 하는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계층구조 변화 : 중산층화에 대한 함의를 중심으로

        장문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정치·경제 체제의 개혁, 산업구조의 조정, 경제 성장, 교육과 과학·기술의 발전, 도시화 등 사회적 변화에 따라 중국의 사회 계층구조도 변화해 왔다. 본 연구는 개혁개방 30여 년 동안 일련의 사회 변혁 속에서 중국의 계층구조가 전체적으로 어떻게 변화해 왔고, 또한 중산층이 어떻게 성장해 왔는지, 그리고 중산층의 확대가 중국 사회에 무슨 함의가 있는지를 역사사회학 방법으로 분석한 것이다. 제2장에서는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계층구조와 중산층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개혁개방 이전 중국의 정치·경제 체제와 계급·계층구조를 회고·분석했다. 개혁개방 이전(1949년∼1978년) 중국의 정치체제는 당-국가 체제, 즉 이데올로기·입법·사법·행정 등 모든 차원에서 당의 지도권이 보장되고, 모든 권력은 당에 집중되는 체제였다. 이 시기의 중국 사회에 “계급투쟁을 강령으로 삼는다”는 엄격한 정치적 신분제가 있었고, 이런 신분제는 사람을 정치적으로 상·중·하 3등급으로 나누었다. 개혁개방 이후 「4가지 기본 원칙」하에 간부의 종신제를 임기제로, 개인의 카리스마에 권력의 기초를 두는 것을 집단영도(集團領導) 형태로, 그리고 간부들의 혁명화, 젊음화, 지식화, 전문화를 추진하려는 정치개혁의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런 정치개혁은 자유선거, 삼권분립, 상이한 정당이 교대로 집권하는 것 등과는 관련될 리 없었고 당-국가 정치체제가 유지하게 됐다. 경제건설이 중심이 되고, “계급투쟁을 강령으로 삼는” 방침이 부정된 후에 수십 년 동안 사회 최하층에 속해 있었던 수천만 명의 사람들이 다시 명예를 회복할 수 있게 됐고, 정치적 신분제가 종결되었다. 제3장에서는 개혁개방 이후 중국 계층구조의 변화양상을 분석했다. 신민주주의시기(1949년∼1956년)에 중국의 계급구조는 공산당이 지도하며 4개 계급이 공존하는 것이었다. 4개 계급은 민족자산계급, 도시의 소자산계급, 노동자계급, 농민계급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시기의 계층구조는 거꾸로 된 T형이었고 현대산업사회와 거리가 먼 농업사회의 계층구조였다고 볼 수 있다. 사회주의 계획경제 시기(1956년∼1978년)에 중국의 민족자산계급과 도시 소자산계급이 소멸됐고, 생산수단 소유 여부에 따른 계급 구분이 더 이상 의미가 없어진 빈 공간에 각급 당조직과 국가의 행정·생산 단위의 간부들이 ‘새로운 계급’으로 등장했다. 이 시기의 계급구조는 간부, 노동자, 그리고 농민으로 구분되는 ‘3단계 계급구조’이었다. 이 시기의 계층구조는 사영기업주 계층이 완전히 사라졌고, 자영업자 계층이 거의 없는 상태였으며 건국 초기에 비해 산업노동자 계층이 현저히 증가됐지만 전체적인 계층구조가 여전히 거꾸로 된 T형이었다. 개혁개방 이후 새로 출현된 사영기업주 계층과 자영업자 계층뿐만 아니라 경제발전과 산업구조의 선진화에 따라 전문기술자 계층과 사무직 계층의 규모도 현저히 켜졌다. 중국의 중산층은 전체 사회계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978년의 4.8%에서, 1991년의 9.5%, 2001년의 19.9%, 그리고 2010년의 26%로 증가했다. 2010년까지 중국의 계층구조가 중산계층 규모가 작고 하위계층 규모가 큰 피라미드형 구조였으나, 개혁개방 이전의 거꾸로 된 T형 계층구조에 비하면 진보적인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중국 사회 계층구조의 중상층화가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본다. 계층구조의 이러한 진보적인 변화 외에 주의해야 할 문제점도 있다. 그것은 바로 당-국가 정치체제 개혁의 지지부진에 따른 중국 상위계층이 조직자원에 대한 계속된 독점화이다. 시장경제 체제하에 이런 조직자원에 대한 독점은 지대추구 행위와 부패의 단단한 기초가 되었고, 중국의 발전 방향을 권귀자본주의(crony capitalism)의 길로 내몰고 있다. 제4장에서는 개혁개방 이후 성장한 중국 중산계층의 삶의 질에 대해 분석했다. 삶은 물질적이고 육체적인 측면도 있고, 정신적이고 심리적인 측면도 있다. 개혁개방 이후 중국은 커다란 경제성장을 이루었고, 중산계층의 규모가 지속적으로 켜졌으며, 이들이 또한 상당한 정도의 물질적 풍요를 성취했다. 그러나 그들의 정신적인 삶의 질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사회복지, 정치 참여, 언론 자유, 법 앞의 평등, 정부 청렴도 등의 수준이 아직 현저히 개선되지 못했다. 중국의 중산계층이 정신적인 삶의 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려면 그들의 강한 시민의식과 적극적인 정치 참여, 그리고 더욱 민주화된 정치 체제가 필요하다고 본다. 앞으로 중국의 중산계층의 계속 성장은 당-국가 정치 제제하의 경제성장이 한계에 도달하기 전에 중국이 더욱 민주적이고 포용적인 정치제도로 방향을 선회할 수 있느냐 없느냐에 달려 있다고 본다. 사회 변혁에 대하여 오늘날의 중국 중산계층이 ‘사회적 정의(正義) 실현의 추진 세력’보다는 기회주의적 성향이 더 짙다는 게 사실이다. 그러나 교육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고, 경제적인 여유가 상대적으로 있으며 기득권 계층이 아닌 이들이 시민의식을 가질 가능성이 가장 많다고 본다. 중국의 점진적이고 합리적인 민주 정치개혁의 희망이 그들에게 있다는 것을 그들도 스스로 각성할 거라고 전망한다.

      • 중산층 임차가구의 주택보유의도 영향요인 구조 분석 연구 : 목표지향적 행동모델을 기반으로

        이상호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중산층 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임차가구의 주택보유의향에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경로분석을 통해 구조적으로 영향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사회심리학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행동이론을 기반으로 주택보유에 대한 열망을 매개변수로 하여, 정부정책 및 주거공간에 대한 지각된 가치를 모형에 추가 적용한 목표지향적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정부의 임대주택 정책은 저소득층과 특수가구(고령자, 신혼부부 등)의 주거안정을 위한 맞춤형 정책 등이 주로 이루어진 반면, 중산층을 위한 주거정책에 대한 논의는 미흡하였다. 이에 최근 공급된 중산층 임대주택의 거주자를 중심으로 정부정책의 실효성과 수혜대상의 적합성 등을 검토하여 중산층 임대주택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중산층 임대주택 거주자를 통해 주택에 대해 개인이 가지는 믿음에 대한 긍정적 혹은 부정적 결과인 태도(Attitude), “내가 중요하게 여기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지는 인식에 대한 사회적 압력인 주관적 규범(Subjective Norm), 실제로 행동을 수행함에 있어 제한받는 물리적인 요소와 자기 효용성을 통해 실제로 행동을 수행하는 것이 쉬운지, 어려운지에 대한 주관적 평가인 지각된 행동통제(Perceived Behavioral Control), 시장에 적지 않은 영향력으로 부동산시장을 움직이는 정부정책, 주택매입 결정을 내리는 순간에 작용하는 판단의 기준인 지각된 가치(Perceived Value), 그리고 주택보유에 대한 목표를 가지고 행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인 보유 열망(Desire)과 행동의도(Behavioral Intention)와의 영향관계를 연구하였다. 다양한 임대주택공급 및 금융기법을 활용하여 시범사업이 추진된 인천 도화지구 도시개발사업 지구를 실증분석 대상지로 선정하여 공공임대주택 및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의 거주자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가설검정은 측정변수의 신뢰도, 타당성 검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1.0과 경로분석을 위해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 검정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차가구의 주택보유에 대한 태도는 보유열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차가구의 주택보유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보유열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나의 가족들, 친구나 동료들, 같은 단지에 거주하는 이웃 주민들의 준거집단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임차가구의 주택보유에 대한 지각된 행동통제감은 보유열망에 비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택 보유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정부정책은 안정적 주거와 임대료 제한조치 등으로 이미 거주자가 충족감을 느끼는 상황이 반영되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임차가구의 지각된 가치는 거주 주택의 입지여건, 주거서비스, 주택품질 및 브랜드의 기능적 가치와 거주주택 매입에 따른 이점, 재정계획 등 경제적 가치가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어 보유열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임차가구의 주택보유에 대한 보유열망이 의도를 형성하기 위한 충분한 자극을 제공하고 선행자의 영향을 전달하는 매개변수임이 확인되었다. 실증적 분석결과를 통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산층 임대주택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해서는 정부의 주택정책에 대한 신뢰를 우선적으로 회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그간 부동산정책이 수요와 공급의 경제이론을 근간으로 다루어졌던 것을 심리학적 차원에서 목표지향적 행동모델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둘 수 있다. 셋째, 거주자를 대상으로 경로분석을 수행함으로 실제적인 주택보유 의향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중산층의 정체성 형상화 연구

        오자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글은 박완서 소설의 핵심이 한국 중산층의 자기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벌어지는 균열과 모순을 탐색하는 데 있음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자기정체성 형성과정을 사회의 다른 구성 존재들을 타자화하고 타자를 각자의 자리에 위치시키는 정치적인 행위로서 검토하고, 그것이 계속 균열되고 결렬되는 지점을 보여주는 것이 박완서 소설의 가장 큰 동인임을 살피고자 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여성적 형상의 사적 영역으로만 이미지화되었던 중산층 가정이 타자화의 다양한 전략이 발생하는 정치적 공간이며, 끊임없이 형성 중인 상태로서 그 역동성이 박완서 소설의 원동력이라는 것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는 국가 주도 담론으로서 중산층 이데올로기의 ‘비어있음’이 놓여있다. 즉, 6.25 전쟁과 압축성장이라는 특유의 역사적 맥락 때문에, 서구의 중산층처럼 이상적 역할 모델을 학습하거나 기존의 혈통 귀족에 대항하는 등의 확고한 자기 정체성 구축의 기회가 없었던 한국의 특수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한국의 경우 6.25 전쟁을 통해 물질적 정신적 유산이 붕괴된 이후, 강력한 국가주도형 경제개발 아래 산업 부르주아 미발달의 파행적인 양상을 보이며 근대화가 진행되어 왔다는 점을 상기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다소 외부적으로 급조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중산층이라는 이미 존재하는 키워드의 내부- 중산층이고자 하는 욕망을 가진 사람들이 자기 정체성을 어떻게 채워가는가의 문제가 가장 핵심적일 수 밖에 없다. 이러한 경우 소설의 존재방식을 결정하는 요소로서 중산층이라는 대상의 특이성을 포착하는 것은 매우 유의미하다. 박완서의 경우 소재적 차원이 아니라 중산층의 자기정체성이 형성되어가는 과정 자체가 서사의 중심이며, 그 형성 과정에서 벌어지는 모순과 불화가 박완서 소설의 중심 사건을 이룬다는 것이 이 글의 입장이다. 이를 위해서 칼 슈미트에서 샹탈 무페로 이어지는 정치철학이론의 중심 개념인 “적대”와, 데리다의 논의를 차용하여 헨리 스테이튼, 무페 등에 의해 발전된 개념인 “구성적 외부”를 분석의 방법론으로서 적용하였다. 이 두 개념은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우선 “구성적 외부”란 ‘우리’라는 공동체를 실질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요청되는 공동체의 외부, 타자의 존재를 가리킨다. 이때 “구성적 외부”는 공동체의 구성을 가능케 하는 하나의 ‘우리’를 건설하기 위해 ‘우리’와 ‘그들’을 구별한다. 이는 경계를 설정하는 것, 즉 ‘적’을 정의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모든 정체성의 실존 조건은 “구성적 외부”에 속할 타자를 결정하는 것이며, 타자를 결정하는 순간 적과 동지를 구별하고 나와 타자를 구별하는 “적대”가 형성된다. 요약하자면 “적대”라는 태도가 경계를 가진 외부로 외화된 형태가 바로 “구성적 외부”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의 논의를 위해 아래와 같은 논리를 구성하였다. “적대”가 단순히 누가 나의 타자인가를 발견하고 타자들을 경계 밖으로 밀어내는 것만이 아니라, 누구를 경계 내부에 들여보내고 내보낼 것인지를 결정하는 포함과 배제의 작업에 근거한 것이라면, “구성적 외부”의 경계가 고정적인 것이 아니며 조건과 상황 등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유동적인 것이라고 상정할 수 있다. 또한 포함과 배제의 전략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면서 이 경계는 매끈하게 마감되는 것이 아니라 불확정적인 형태로 머물 수 밖에 없으며, 이때 포함도 배제도 되지 못한 존재들, 소속 영역을 명확히 할 수 없는 이질적인 타자들의 출현이 예고된다. 이로 인해 외부와 내부의 위계는 깨지거나 전복되면서 경계의 질서는 언제나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 그리고 이는 포함과 배제의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권력에 대한 성찰까지 아우른다는 측면에서 상당히 정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 더욱 주목해야 할 것은, 박완서 소설이 이러한 사회과학적 이론의 체계로 포괄할 수 없는 틈새를 포착하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라는 정체성을 창출하는 것은 해당 집단에 있어서 가장 유리하고 이득이 되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마련인데, 박완서 소설은 그러한 합리성이 지배할 수 없는 예외와 균열의 지점들을 보여준다. 끊임없이 합리적 판단과 예측을 무너뜨리는 예외의 상황들을 통해, 이러한 문제들에 맞닥뜨렸을 때 발생하는 죄의식과 우정, 사랑과 같은 정념의 요소가 갖는 힘에 대한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2장은 본격적인 작품 분석을 위한 예비적 논의로서,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중산층의 자기정체성 형성과정의 출발조건이자 사회적 기원을 살펴보았다. 70년대 국가 주도 담론의 중산층 이데올로기와 현실과의 낙차에서 볼 수 있듯이 이는 중산층의 불확정성, 즉, ‘비어있음’으로 요약된다. ‘중산층’이라는 단어가 196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신문 지상에 등장하기 시작한 이후 정부는 사회안정세력으로 중산층을 정치적으로 의미화하며 전략적인 담론을 구사하기 시작한다. 이때 정부는 중산층을 공적 영역을 지탱해주는 안정적인 사적 영역으로서의 구조화하는 모습을 보이며, 여성성을 매개로 중산층이 형상화됨으로써 중산층 가정의 이미지는 탈정치적이고 비정치적으로 배포된다. 이는 이른바 중산층 이상이 먼저 존재하고 중산층이 되고자 하는 현실이 이를 뒤따라가는 형태였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7-80년대 국가 발전담론- 선진국 담론들이 권위 있는 타자 찾기의 작업이었으며 역설적으로 이것이 ‘비어있음’의 또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것임을 검토하였다. 3장에서는 박완서 소설에서 중산층 인물들이 무엇이 중산층의 집단적 자아이상이 될 수 있을지 탐색하는 과정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기정체성 형성이 계속 지연되는 지점들을 살펴보았다.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사이에 두고 포함과 배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주인공들이 자기정체성으로 포함시키고자 하는 가치들은 “보통사람”이라는 외장, 상류사회의 생활양식, 도덕적 품위, 명예, 자수성가의 자부심, 새로운 중산층 가정의 부권 등 단일하지 않은 형태로 나타난다. 이때 모방의 대상이 되는 대타자는 자아 이상의 내용의 원천, 혹은 그것을 승인하는 권위로 나타나며 박완서 소설에서 이 대타자의 존재형식은 불확정적으로 묘사된다. 주인공들은 이들을 선취하고자 하지만 이는 끊임없이 미완 상태로 보류되는데 이를 중산층 구성의 지연 양상으로 검토하였다. 2장에서의 작업이 ‘비어있음’을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확인하는 작업이었다면 3장은 이러한 ‘비어있음’으로 인한 자아이상의 탐색과 지연이 박완서 소설 속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살피는 작업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4장에서는 자기정체성 구축의 과정이 “적대”를 통한 “구성적 외부”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3장에서 중산층 자기정체성의 ‘내부’에 포함시킬 가치를 논의했다면 4장에서는 “구성적 외부”에 속할 타자들을 각자의 자리에 위치시키는 작업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이때 “구성적 외부”는 집단적인 경험 뿐 아니라 실정적인 공간으로 형상화되기도 한다. 해당 장에서는 이를 6.25 전쟁의 기억과 가난, 대복덕방 중개인들과 결혼 시장의 마담뚜, 친일파와 벼락부자, 게토화된 영동-8학군의 외부로 구체화시켰다. 이를 통해 중산층의 타자들, 그리고 중산층이 타자들을 어떻게 설정하고 위치시키는지의 모습이 드러났다. 그러나 이 외부화 과정에서 오히려 내부가 외부에 의존하는 역설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한 내외부의 결정 불가능성과 아이러니가 어떻게 형상화되는지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중산층과 외부의 경계 짓기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권력에 대한 성찰까지 검토하였다. 5장에서는 “구성적 외부”와 “적대”의 형성에 균열과 공포가 발생하는 지점을 살펴보았다. 80년대 중후반 소설로 넘어가면서 새로운 정치적 존재들이 중산층 가정에 등장하기 시작한다. 이들은 주로 운동권 대학생- 중산층 부모들의 자식들, 또는 중산층 가장의 과거 운동권 대학생 전력 등으로 형상화된다. 이는 중산층을 혼란의 상태로 몰아넣는 대립적 타자로 기능하며 타자 경험의 본질적인 변화를 촉구한다. 중산층 부모의 입장에서 이들은 규정할 수 없는 타자로서 이러한 ‘이름 붙일 수 없는 타자’와의 대면은 자기정체성을 둘러싼 내부와 외부의 경계에 회의와 의문을 남기게 된다. 우선 운동권 대학생들은 중산층이 공유하는 계층 추락의 두려움과 맞물려 불가해한 공포의 대상으로 간주되고, 정치적 문제를 선악의 일반도덕으로 환원해보려는 부모들의 일차적 시도는 결렬된다. 그리고 이러한 어긋남 속에서 어떻게 정치적 죄의식과 사회적 감정으로서 타자와의 우정을 모색할 수 있는 가능성이 발생하는지 분석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과거 운동권 대학생 전력이 있는 중산층 가장들이 자신 내부의 타자성- 자신의 과거를 어떻게 소화하고 현재를 모색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는 연대의 낭만화나 정치적 대상화가 아니라 현실 가능한 중산층만의 문화를 어떻게 만들어갈 것인지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진다. 여기에서는 이 과정을 자기 갱신의 정체화(正體化)로서 의미화 하였다. 이와 같이 박완서의 소설은 스스로를 중산층이라 믿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믿음과 욕망을 형성해가는 과정- 중산층의 자기정체성을 형성해가는 과정과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모순과 균열을 보여주는 것에 그 핵심이 있다. 특히 박완서 소설의 경우 주인공들이 실제로 중산층인가 아닌가가 문제가 아니라, 그들이 스스로를 중산층이라 믿고 중산층이 되기를 욕망하는 방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더욱 문제적이며, 한국의 중산층이 물적 토대보다는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공통된 욕망의 구성에 기반 했다는 점을 극적으로 드러낸다. 동시에 자기정체성의 형성 과정에서 중산층의 “구성적 외부”를 설정하고 타자의 포함과 배제가 이루어지는 과정, 즉 타자의 위치를 정하는 작업이 박완서 소설의 중심 서사가 된다. 그리고 더 나아가 박완서 소설은 타자화가 균열되는 과정과 외부화에 내포된 권력행위에 대한 성찰을 통해, 중산층 가정이 고정된 내면을 재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자기 갱신을 정체화하는 역동성의 장소라는 것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고유한 의미가 있다.

      • 고령화사회 중산층노인 복지서비스 향상을 위한 한국형 실버타운 모델 연구

        박정우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6

        고령화사회를 앞두고있는 우리나라에 있어 노인복지문제는 복지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대두된 지 오래다. 노인복지분야 중에서도 이제까지는 복지문제로 여기지 않았던 중산층노인에 대한 복지문제가 서서히 대두되고 있다. IMF 구제금융까지 가는 경제사정의 악화로 한국의 1인당 GNP는 1만불에서 6천불로 떨어졌다. 그 바람에 중산층 인구가 오히려 줄어들고, 중산층 노인들의 복지서비스 욕구도 상대적으로 줄어들었지만, 조만간 1만불 선을 회복하고 경제사회환경이 안정되는 상황이 다시 오면 중산층 노인들의 복지서비스 요구는 증폭되리라 예견된다. 중산층 노인들의 복지서비스 요구 중에서도 주거복지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등장할 것이며, 특히 실버타운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노인복지문화가 국내에 정착되리라 본다. 이미 IMF전에는 많은 개인과 기관들이 실버타운을 조성하기 위해 준비했었고, 이미 완성해 운영하는 곳도 10여 곳이다. 그러나 경제사정의 악화로 인해 부도가 난 곳도 있고 현재 운영되고 있는 시설 중에서도 1-2곳을 제외하고는 입소자 부족과 운영난으로 곤란을 겪고있다. 실버타운이라는 새로운 노인주거복지문화가 이제 시작도 하기 전에 흔들리고 있거나, 일부 상류층만의 전유물로 인식돼가고 있다. 이대로 방치해서는 안 된다 극빈층과 서민층은 국가주도로 복지문제를 해결하고 있고, 상류층과 부유층은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경제력을 갖고있다. 그러나 인구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중산층에 대해서는 무방비 상태이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실버타운에 대한 관심은 중산층 노인들이 가장 많다. 그러나 현재 조성되고 있는 실버타운은 경제력 있는 노인이나 갈 수 있는 가격이다. 이는 그 동안 무료양로원이 오갈 데 없는 노인이나 가는 곳으로 인식돼 천대를 받아온 것과 같은 양상을 나타낼 수도 있다. 결국은 중산층 노인들이 적정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제대로 된 실버타운을 전국 곳곳에 설치.운영해야 하는데 이 문제를 현재는 민간시장기능에만 맡기고 있기 때문에 복지사업차원으로 가고 있지 못하고, 영리사업차원으로 가고 있다. 영리사업 성격상 자연스럽게 상류층만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으로 몰리고 있는 것이다. 중산층노인을 위한 실버타운 건설과 운영의 획기적인 방안이 모색돼야 하는데 국가복지예산은 한정돼 있다. 복지예산의 증액이 있어야 하겠지만 담당부처에서는 유료노인시설사업은 시장기능에 맡길 수밖에 없다는 인식이 강하다. 제반 노인복지관련 제도들이 제대로 갖춰져 있을 때는 그럴 수도 있겠지만, 아직 우리나라는 연금 등의 사회보험제도와 공적부조 등이 이제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 실버타운에 들어가야 하는 70대 노인들은 혜택을 받을 수 없는 입장이다 보니, 고스란히 본인의 경제적인 부담으로 돌아오게 된다. 지금까지의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발상의 전환과 현행제도의 개선 그리고 복지부분의 구조조정을 통해 해결될 수는 없는 것일까. 공공부분과 민간부분의 노인복지관련 사업을 통합하고,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간의 사업을 조정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고, 지역사회내의 공공시설과 민간시설을 통합함으로써 더 적은 예산으로 더 많은 혜택을 줄 수 있는 중산층노인 복지형 실버타운의 건설이 가능하리라 본다. 또한 복지와 의료, 주거와 레저 등 개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사업들을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노인만을 위한 시설이 아니라 3세대가 공용할 수 있는 가정복지레저타운을 건설하는 방안이 검토돼야 한다. 중산층노인을 위한 실버타운의 입지로는 이용자가 현재 거주하고있는 도시주거지역에 위치하는 것이 원칙적으로는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시지역에 실버타운을 건설한다면 부지확보에 애로사항이 많고, 현재로서는 여유부지가 없다고 본다. 부지가 확보됐다 하더라도 영리사업의 성격상 상류층을 대상으로 하는 최고급수준의 시설일 수밖에 없고, 가격 또한 비쌀 수밖에 없다. 결국 중산층 노인들의 경제적인 사정을 감안하고, 지역주민의 복지증진 차원에서 도시지역 지자체가 개입해 부지를 확보하고 지역내 문화·편의·의료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제도화해야만 도시형 모델이 가능하다. 전원형은 소규모보다는 중. 대규모로 각종 문화, 의료, 편의, 레저시설이 함께 있어서 도시에 있는 것과 똑같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 전제돼야 한다. 그리고 전원형 역시 중산층 노인들의 경제사정에 맞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 즉, 부지확보와 기반시설을 지방자치단체가 맡아 조성한 후 노인복지지구 지정을 하면, 민간사업자들이 연합해 시설을 건축. 운영하는 형태로 하면, 이용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도시형과 전원형 모두 나름대로 장단점이 있다. 현 시점에서는 한국형 실버타운 모델은 2가지 모델 모두를 병행할 수밖에 없다 단, 도시는 도시대로, 전원은 전원대로 지역특성에 맞게 시설 및 운영계획을 수립하되, 가장 중요하게 고려돼야할 사항은 중산층 노인의 경제능력 범위 한도 내에서 이용할 수 있어야 주민복지가 증진되고, 삶의 질이 높아 질 수 있다는 사실이다. 중산층 노인복지 서비스 향상을 위해 그리고 지역사회 공동체정신을 함양하기 위해, 21C에는 새로운 개념의 복지문화공동체가 요구된다. In Korea entering into a society with more aged people, the welfare of elderly people has long been raised as important social welfare issue. Recently, however, the welfare of the middle-income elderly people which had been neglected in elderly people's welfare programs is emerging steadily. Due to the serious economic difficulties caused by the economic crisis inviting the IMF bailout program, per capita GNP of our nation has fallen from 10 thousand to 6 thousand dollars. As a result, the number of the middle-class population has decreased with reduced welfare service needs on the part of the middle-income elderly people. But if per capita GNP recover its former 10 thousand level with the socio-economic conditions stabilized sooner or later, middle-income elderly people's needs for welfare services would increase also. If so, middle-income elderly people's housing welfare will emerge as most important issue above all, and in particular, a new concept of 'silver town' will be established as elderly people's new welfare culture on this soil. Already before the IMF bailout program, many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had designed some or other silver town programs, and some 10 silver towns have already been completed to be operated. However, due to the worsening economic conditions, many of them went bankrupt, while the majority of them but one or two towns suffer from a fewer number of occupants or financial problems. In other words, the new concept of elderly people's housing welfare culture is at stake or recognized as special town only for high-income elderly people even before it has been established. Any way, such a trend needs to be stopped. lowest-income and ordinary people are subsidized by the government, while higher-income or rich people can afford to solve their retirement life problems for themselves. However, the middle-class people accounting for 70% of the whole population are not treated adequately. Accidentally or not, these middle-income people are most interested in silver towns for their retirement life. The silver towns being created now will accommodate only the elderly people who are financially able. Just as the free asylums have been perceived as shelters for homeless senile people, so such luxurious silver towns would be perceived as privileged elderly people's community. After all, well-equipped silver towns where middle-income elderly people can afford to live need to be constructed throughout the nation. However, such silver towns are programmed in light of the market economy, the aspect of their welfare implications is being dismissed. Namely, those commercial silver town developers tend to focus their silver town programs on high-income people. Although some drastic reform measures are required for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middle-class silver towns, nation's welfare budget does not allow for them. So, the welfare budget should be increased naturally, but the pertinent administrations insist that paid asylums should be operated according to market mechanism. Of course, various welfare systems for elderly people at large are established, commercial silver towns for middle-income people may be a good idea. But as it is not long since such public subsidies as pension and other social insurance systems began to be operated, those elderly people in their seventies' cannot afford to live in the commercial silver towns unless they are determined to pay what little they have to the silver town. Then, can't we depart from the conventional elderly people's welfare programs to reform them through readjustment of welfare programs? It is deemed possible for us to do so by integrating public arid private welfare programs and readjusting the welfare programs between central and local administrations. If public and private welfare programs can be integrated, welfare-wise silver towns can be constructed for middle-income elderly people with less budget. Moreover, such housing welfare programs may well be combined with other welfare programs including medical and leisure ones for a synergic effect. Furthermore, it may be conceivable for us to construct three-generation home welfare leisure towns just beyond the silver towns. It will be desirable in principle that the silver towns for middle-income elderly people are constructed in urban residential zones where the potential occupants live currently. However, such an idea may end up with just an idea because of limited sites in the urban residential zones. Even if a site has been procured, a silver town constructed on it cannot but target the high-income elderly people who can afford to bear the expensive site cost. After all, only when the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s have appropriated the sites in consideration of local people's welfare and thereby, secure cultural, amenity and medical facilities for the sites, any urban type silver town model will be available for middle-class people. On the other hand, the rural type silver towns should be equipped with the same cultural, medical, amenity and leisure facilities as in urban areas. Also for such a rural type silver town model conceived for middle-income people, the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s are requested to be engaged in its planning. Namely, the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s are required to secure the sites and create the infrastructures before designating a silver town zone, and thereby, private developers may combine their efforts to construct and operate the silver towns. Then, users' financial burden will be reduced. Urban and rural type silver town models have their ow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t the moment, it may be more desirable to rely on both models in parallel, provided that each should be programmed for its facilities and operation depending on its conditions. Any way, what is most important for these Korean type silver town models must be the charge level which middle-class elderly people can afford to pay, if they should contribute to people's welfare and life quality. Lastly, it is hoped that a new concept of welfare cultural community w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the welfare services for middle-income elderly people and foster a community spir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