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住宅供給과 政府의 住宅政策 : 問題點과 對策

        석종출 慶北大學校 1991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spite of marvelous economic growth on account of successful drive of five years' economic development plan started in 1962, the aggravation of housing based on the rate of supply is the task which is to be solved not only in the aspect of people's welfare but in the level of people's cooperation. Because housing problems do not rise on account of a fragmentary factor but are complicatedly related with the change of economic, social, cultural condition,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concrete solving problems, and based on the presented report and thesis in the many kinds of fora and seminar related with housing until now, the reports made in special study institution, the materials written in learned journals and statistical data of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the Korean Housing Bank, the Korean Housing Corporation and Land Development Corporation, are to raise problems in the aspect of housing policy, the management and supply of new and old housing and try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s. This study subdivides and points out the problems of the lack of supply in new housing the management of old housing and in circulation, the uneffectiveness of redevelopment business of poorly made housing and the problem of policy on the supply of housing, and as the method of solving these problems, government should enlarge the supply of minor housing, house lot and housing for rent, manage the old housing, ameliorate the problems in circulation and, in the policy of housing, enlarge housing investment and financial support, and by way of not only rearing private housing businessman but ameliorating the method of alloting housing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of housing policy, even if it is difficult to solve broadly from policy microscopically to complicative problem of peoples' consciousness, it is believed to be helpful for the base of basic welfare society of people cooperation and the stability of living.

      • 한국의 임대주택정책에 관한 연구

        변철종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0 국내석사

        RANK : 248703

        과거 約30年동안 韓國은 第次에 걸쳐 經濟發展計劃을 추진해 온 결과 거의 모든 經濟指標에 있어서 엄청나게 팽창해온 것이 사실이다. 輸出額이 그러하고, 1인당 GNP가 그러하다. 1인당 GNP는 1962奉에 87 $이던 것이 88年의 1인당 GMP는 약4,000 $로 무려 30배가량 늘어났다. 그러나, 이와같이 經濟가 總量的인 팽창을 거듭하는 가운데도 해가 거듭할수록 相對的으로 惡化一路를 걷고 있는 것이 있다면, 바로 그것은 다름아닌 都市問題 즉, 住宅問題이다. 總家口數에 대한 總住宅數의 比率로 표시한 住宅普及率은 1960率의 84.2 %에서 1986辛 (推定)에는 69 %로 계속 떨어지고 있다. 總量的인 經濟發展 및 國民所得의 增加에도 불구하고 無住宅者의 比率은 점점 늘고 있는데, 이야말로 모순적인 현상이 아닐 수 없다. U.N은 87年을 無住宅者의 해로 정하여 그들의 住宅問題解決에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世界的인 추세와 國民의 社會福祉增大의 期待에 따라 韓國의 政策當局도 住宅部門投資에 과거보다 큰 비중을 두고 國民의 住居環境改善에 안간힘을 ·기울이고 있으나 여러모로 미흡한 점이 많다. 이러한 住宅問題는 福祉國家의 實現이라는 側面에서 무엇보다도 선결되어야 할 문제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그동안의 産業化 · 都市化로 인한 移農現象 및 核家族化現象, 自然的人口增加 그리고 經濟成長計劃에만 급급한 나머지 住宅産業部門에 대한 投資財源의 不足등은 住宅總量의 絶對的不足을 야기시켰다. 이러한 時代的背景을 바탕으로 하여 效率的인 賃貸住宅制度의 確立과 더불어 政府次元에서 積極的인 政策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지금까지는 여타의 財源事情으로 인하여 賃資住宅을 政策的으로 圓滑히 供給하지 못했으나, 심각할 정도로 社會問題化 되고 있는 大都市地域의 住宅難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賃資住宅의 供給擴大가 절실히 요청되는 바,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려고 努力하였다. 이와같은 觀點에서 本 論文은 오늘날 韓國이 직면하고 있는 住宅問題의 實象은 무엇인가? 住宅問題가 發生하고, 그 해결이 잘 안되는 原因은 어디에 있는가를 규명하는데 주안점을 두었으며, 處方보다는 正確한 診斷에 더 주력하였다. 韓國의 住宅問題의 해결을 어렵게 만드는 것은 問題의 實象과 그 原因이 正確히 잘 把握되고 있지 않거나 病因에 관계없는 그릇된 處方이 適用되거나 올바른 處方은 있으되 그것을 處方대로 執行하려는 강한 意志가 결여된데서 많이 비롯된다고 여겨진다. 그러므로, 이러한 諸問題點들을 해결키 위한 方案들을 간략하게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政策當局次元에서 理論的인 틀만 가지고 住宅問題를 운운할 것이 아니라, 現實家을 면밀히 調査?分析하여 現實情에 合理的이고 效率的인 政策을 추진해야한다는 것이다. 둘째, 住宅의 需要에 따른 供給이 均衡的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러나, 여타의 經濟部門에 있어서는 供給이 需要를 초과할 수 있겠지만, 注宅關係部門에 있어서만큼은 우리의 經濟現實上 供給이 需要를 초과할 수 없음을 밝혀 두었다. 셋째 無住宅庶民을 위한 公共賃貸住宅活性化는 必然的이라고 생각되는 바, 財政支援面에 있어서도 國家財政投離資擴大, 國民債權發行規模擴大, 賃賃住宅建設業者에 대한 金融 및 稅制上 혜택등의 必要性을 考察하였다. 넷째, 其間의 住宅問題는 다분히 經濟的 側面에서 다루어져 왔으나 앞으로는 絶對的 貧困의 打破라는 기치아래 國民生淸의 質的向上 즉 社會福祉的次元의 重要性을 지적하였다. 이상과 같이 賃資住宅供給活咸化에 관하여 간략하게 言及하였으나 政府政策的 次元에서 積極的으로 推進하지 않는 한 賃貸住宅建設은 育成되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無住宅庶民의 賃資住宅은 重要한 國民福社手段으로서 어느 한쪽의 努力만으로 정착되기는 힘들다. 그러므로, 우리 國民의 根本的인 住居意識이 所有槪念에서 住居槪念으로 意識이 變化되어야 하고, 政府의 論策意志 및 民間業體의 相互協助가 있어야 만이 向後의 賃貰住宅供給이 活性化 되리라고 생각되어지는 바이다. It is an undeniable fact that an enormous expansion has been brought about in almost all economic indicators as a result of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five-year plan for economic development over 6 times in the past three decades. This could be found in export performance and per capita gross national proeuct which increased from $87 in 1962 to about $5,000 in 1988, showing a miraculous increase by about 30 times. However, there is ono thing that is relatively growing from bad to worse despite of the quantiative economic expansion. It is no other than the housing problem of urban communities . The rate of housing popularization expressed in the Propertion of the total number of housing to the total aumber of household decreased steadily from 84.2% in 1960 to 69% (estimated) in 1986. Notwithstanding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sustained increase in the nation income, the portion of homeless populace is on the increase. This indeed is a contradictory phenomenon. The United Nations designated 1987 as the Year of Homeless People in an effort to solve the housing problem worldwidely. To keep pace with this worldwide trend and meet the expectations of the people for the promotion of social welfare, the policymaking authorities also places greater emphasis on positive investments in the housing sector and thereby making desperate efforts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people .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housing problem is the first considerainon with a view to embodying a welfare state. However, the limited financial resources for investments in the housing industry sector have resulted in the absolute housing shortage in terms of the total unit due to the phenomena of growing rural exodus and nuclear family attributed mainly to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processes, natural increase in population and growth-oriented economic development plans. It is felt absolutely necessary, therefore, that the government should implement a positive policy for establishing and operating an effective yet most realistic rental housing system. Furthermore, it is imperative, in particular, to expand the surply of rental housing to alleviate the chronic housing shortage of urban communities which has becorrle a serious social problem. The present study is intended to inquire Into the reality of the housing problem facing the nation and its fundamental cauge which makes its solution difficult. Emphasis is placed on an accurate diagnosis rather than a presciption of the problem. What makes the solution of the housing problem difficuLt is considered to be attributed mostly to the fact that the real aspects and cause of the problem are not accurately grasped or a wrong prescription which has has nothing to do with its cause is applied. the corrective measures designed to improve those contradictory factors which the current rental housing policy involve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reasonable and effective policy should be implemented by closel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real aspects of the housing problem istead of dealing with only its theoretical framework. Second, the balance of housing demand and supply should be used. ALbough supply wouLd exceed demand, as case may be, to the economic sector, it can hardly be the housing sector from the point of view of our economic reality. Third, the activa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is inevitable for the homeless populace. To this end, it is felt imperative to expand substantally the government is financial investments and financing and issue of national bonds as well as to provide rental housing contractors with financial and tax privileges. Fourth, the housing problem has so far been dealt with mainly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However, it should be solved to the on of direction of eliminating the absolute Poverty and there by promoting the living standard of the people for social welfare. As suggested Previously above, our chronic housing shortage will not be alleviated unless the government implements positively a comprehensive policy program for boosting rental housing construction for the homeless masses. It is also important that the fundamental consciousness of the people should be changed from the idea of possession to that of habitation and that closer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private contractors should also be maintained for the activation of the supply of rental housing henceforth.

      • 신도시를 통해서 본 한국의 주택정책에 관한 연구 : 수원 영통지구와 광교지구예정지를 중심으로

        김혜정 수원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광역계획의 하나인 수도권 정비계획은 관리 계획적 성격을 띠고 있어, 도시개발에 구체적인 방향이나 개발 위치 등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광역적인 차원에서 도시개발 또는 택지개발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는 계획이 필요하다.그 간의 수도권 신도시 개발은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함께 보여주었다. 긍정적 측면으로는 당시의 주택난과 전세가 폭등, 그로 인한 부동산 투기 문제를 해결했고, 신도시 거주자의 만족도가 높다는 점을 들 수 있다.그러나 계획수립의 졸속성, 부실공사. 자재파동 및 인력난 등 신도시 건설과정의 문제와 더불어 자족성이 없는 베드타운 양산, 수도권 인구집중 및 광역교통문제 등 부정적 측면 또한 매우 많았다. 과거(60~70년대)에는 신도시개발이 대체로 ‘국토 및 지역개발’과 ‘대도시 주택난 문제해결’이라는 정책적인 결정으로 추진되었다.그러나 현재의 수도권지역의 주택 보급여건은 당시와는 매우 다르다. 수도권의 주택문제는 저소득층의 열악한 주거환경 등 아직도 해결해야 할 난제가 상존하고 있고 새로운 주택수요에 대비해야 하는 정책 과제가 남아 있지만, 처음개발 할 당시처럼 심각한 상태가 아닌 것은 분명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택문제 해결의 심각성 때문에 신도시 건설에 따른 부작용을 접어두고 서둘러서 신도시를 건설해야 한다는 논리는 설득력을 갖지 못한다. 그 간의 수도권 신도시 개발정책으로 인해 유발된 문제점들을 도외시하고 신도시 개발에 필요한 조건을 생략하거나 등한시 한 채로 목적의 시급성에 집착해 신도시를 건설하게 된다면 그 폐해는 심각할 것이다.광역적 교통문제와 환경. 생태적 측면을 고려하고 균형국토의 실천이라는 목표와 합치된 연후에야 정당화 될 수 있다.하물며 주택수급의 논리에도 대규모 신도시 건설 근거가 충족하지 않으며 건설경기 활성화 효과가 적정하지 않다면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제반 여건을 고려할 때 단순히 수십만 세대의 주택공급을 통한 건설경기 활성화는 효과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건설경기가 침체되면서 건설경기 활성화 논의와 함께 수도권의 신도시론에 대한 이견이 분분하지만, 수도권의 주택부족 및 난개발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건설경기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측면의 찬성론과 신도시 개발로 인해 수도권 및 국토공간에 미치는 부정적 파급효과가 더 크다는 반대론이 대립하고 있다. 개발의 문제점은 도시의 성격, 기능 그리고 목표가 설정된 내용들 간의 상호모순으로 인해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이러한 모순점은 계획의 형성 및 집행과정에서 정책의 비일관성, 집행기관의 추진능력부족을 들 수 있다.특히 정치적 상황으로 인한 정책의 비민주성, 비일관성, 상급 기관의 상명 하달에 의한 일방적, 획일적 추진행태가 우선 개선되어야 하는 집행기관의 관행과 추진능력부족으로 인해 신도시개발의 문제점이 악순환 되어 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민주적 정책결정과 정책일관성확보, 집행기관의 추진능력 함양을 위해 신도시개발계획의 이념, 개발주체의 명확성, 합리적인 신도시입지선정, 효율적인 재원조달방법을 우선 고려하는 태도를 견지해야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신도시개발 및 주택정책을 추구할 수 있다. 신도시 개발의 주택정책에 관한 수원 영통지역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주택정책은 80년대 후반 이후 주택문제에 대한 인식·분배 그리고 주택 200만 호 건설 발표 적극적인 신도 개발 등으로 인해 정부조직이 주택정책을 결정·집행함에 있어 과거보다 적극적인 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나 본질적인 주택문제의 해결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원 영통지역의 주택문제를 토대로 해서 정책적 문제를 찾는다면 주택정책에 대한 계획과정의 문제점 및 본질적인 주택문제를 제시할 수 있다. 먼저 주택정책에 대한 합리적 계획과정이라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하다.그 이유는 신도시 개발을 통한 주택정책은 만성적인 주택문제 해결을 토대로 한 합리적 계획과정임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앞으로의 신도시개발은 추진과정에서 중앙집권적, 상명하달식의 계획이 아니라 관련 지방자치단체 전문가의 인식과 주민여론을 충분히 수렴하여 발생 가능한 모든 문제에 대비할 수 있는 계획을 먼저 세워서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뿐만 아니라 신도시 개발의 정책에 있어서는 남북통일까지도 염두에 둔 국토전체를 놓고 국토의 균형발전과 신도문제해결이라는 목표를 위한 큰 그림을 먼저 그린 후 그림의 토대 위해서 신도시 개발을 계획해야 한다.그러므로 주택건설은 물론이고 장래 요구되는 기능도입을 위한 후보지의 확보가 가능하고 상업과 업무를 중심으로 한 기능에 생산 산업시설들의 자족기능의 도입이 가능한 신도시 개발법과 같은 별도의 법을 제정하여 도시의 건전한 발전과 주거환경수준을 제고하여야 한다.아울러 개발방식에 있어서도 공영개발방식과 토지구획정리방식을 혼용하여 두 방식의 장점을 취하거나 민간의 참여를 확대하고 사업주체에게는 국가 차원에서 금리지원이나 자금 지원 등을 해주도록 하여야 한다. 또 하나는 질적인 주택문제 해결방안을 들 수 있다.주민들의 주거만족을 위해서 최대한 지역의 자연을 살리고 환경에 친화적이어야 하고, 고층아파트 일변도의 획일적인 개발을 지양하고 토지이용과 주택유형, 주택규모를 이양화해서 다양한 사람들이 살아 숨 쉬는 도시를 만들어야 하고, 고층아파트 일변도의 획일적인 개발을 지양하고 토지이용과 주택유형, 주택규모를 다양화해서 다양한 사람들이 살아 숨 쉬는 도시를 만들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신도시를 ‘건설’하는 것만큼 ‘관리’ 기능도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예를 들어 관리 주체인 지방자치단체가 시공과정에 참여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관리주체가 계획, 시공등 주요 개발과정에 참여하면 부실 공사를 막을 수 있을뿐더러 사업의 인수인계역시 원활하게 이루이질 수 있다.계획은 장기적이어야 한다.눈앞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만 급급해서는 자족적인 신도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장기적인 계획을 위해서는 개발 주체의 책임과 권한이 명확히하여 단순히 개발 주체에게만 모든 의무를 부과하는 책임 회피적인 구조를 가져서는 안 된다.신도시 개발은 종합적인 개발로 건설되어 각 기관들은 각자의 맡은 부분을 책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너무나 당연한 소리겠지만 주민 위주의 계획이 되어야 한다.좀 더 장기적인 안목을 가진 세심한 배려가 있을 때 비로소 신도시에 대한 평가는 다시 받을 수 있을 것이다.

      • 賃貸住宅 制度의 問題點과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이재진 서울産業大學校 住宅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는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의 진행으로 도시인구의 과밀화로 인해 한정된 토지위에 주거수준이 열악하고, 주택부족 현상이 심화되었다. 주택문제는 사회 복지적 차원에서 그 문제가 대두되어 학문적인 연구의 대상이 되었지만, 경제성장 및 사회안정 등 국가주요시책에 따라 좌우되면서 주택문제는 그 자체적으로 시장 원리에 의해 해결되지 못하였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주택정책은 부족한 주택수의 충족을 위해 공급 위주의 정책에 역점을 두어 추진해 왔으며, 또 주택시장에 광범위하게 개입하였고, 1990년대에 주택이 대량공급 되면서 지금까지의 주택문제는 괄목할만한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국민의 주거 수준이 열악하고, 대량으로 공급한 재고 주택의 관리문제와 공동체를 배려하지 않고 개별주택만 공급한데 따른 사회학적 차원의 주택문제 역시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외환위기 이후에는 계층간, 지역간, 점유형태 간 주거소비격차가 심화되면서 주택서비스 분배의 형성이 새로운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주택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의 사기를 진작시키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현재 주택 보급률이 100%를 상회하며, 주택의 주거 개념이 강화된 상황에서 앞으로의 주택정책은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과밀주거문제를 해결하는데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가 당면한 임대주택제도 및 정책상의 문제점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급상 문제점이다. 공급주체와 관련된 문제점은 공공부문의 역할이 불분명하고, 대부분 분양조건부 임대주택이다. 이는 양적 지표에만 치중하고, 실효성 없는 정책과, 임대주택정책 프로그램의 지속성부재, 정책대상 계층이 불명확하고, 세분화되어 있지 않고, 분양전환 기간이 차등있게 적용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 공공임대주택 건설이 지역적으로 편중화 되고 있다. 둘째, 금융, 택지, 세제의 지원상의 문제점을 들수 있고, 특히 지원기준이 계층간, 지역간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규제관련 사항중에 보증금, 임대료 인상규제, 매각허용, 임대주택 전문사업자의 육성 미흡등이다. 넷째, 관리적 측면에서 입주자선정과 사후관리 문제점이다. 이러한 과제들은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임대주택 제도와 정책의 발전과정을 분석하고 재해석한 결과 임대주택의 개선방안 및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첫째, 임대주택 공급에 있어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역할분담, 그리고 중앙과 지방자치 단체간의 역할분담을 명확히 하여 실질적으로 이원화된 체계적인 임대주택 공급을 도모하여야 하겠다. 둘째, 택지공급 금융 및 각종지원제도는 공공부문 임대주택에서는 필요한 대도시권에 집중적인 지원확대, 효율적인 정책자금 운용을 활성화하고, 공공기관의 임대주택 공급능력 확대를 위한 각종 지원을 강화하고, 민간부문 건설사업자의 수익성 결여로 인한 임대주택 공급 장애요인을 해소시키고 임대주택 조합제도 실시, 소형임대주택 금융지원을 확대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임대사업자의 육성방안으로는 임대주택사업 참여자인 소액투자가들로 하여금 도시주변의 짜투리 땅에도 원룸형태의 소규모 임대주택 건축을 유도케하고 민간 사업자에게도 전문적 기업형 임대사업자를 육성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일정기간 임대후 분양하는 분양전환 임대주택은 임대주택 재고 부족을 초래하여 주택시장의 불안정을 가져 올 수 있으므로 공급자 위주의 분양기간 단축을 재조정하여야 하며, 공공과 민간부문의 전환기간을 차등있게 적용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임대료 규제에 있어 공공부문 임대주택에서는 지불능력에 따른 임대료 산정 기준정립 및 통합적 공공임대주택 운영체제 프로그램 구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섯째, 주택에 대한 가치관 변화와 민간 부문 임대주택 사업활성화를 위해 최저주거기준을 설정하고, 그 이상에 대하여는 시장경제에 자율적으로 건설하도록 하며, 수익성을 위하여 수요요구에 맞는 다양한 시장개발을 육성하여야 하겠다. 일곱째, 임대주택 건설후에 나타날 수 있는 주민간의 갈등문제와 임대료에 따른 미입주 문제 등에 대하여 임대주택의 관리적인 측면의 문제점을 검토하여 총체적인 계획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여덟째, 준공후 부도임대아파트에 대한 입주자 보호대책으로 주택공사가 경매 절차를 거처 사업장을 인수토록하여 입주자 피해를 최소화함이 필요하다. 또 입주자의 기금대출 금리를 분양전환시까지 대폭 인하하고, 향후 부도예방을 위해 주택보증제 실시, 임대아파트 제한물권 설정제한 등 검토하여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임대주택에 대한 제도개선 방안도 다면성의 요인에 의거 임대주택정책이 추진되고 시대적 상황에 따라 변화 발전되고 있으나 국민의 주거생활 안정화와 주거 서비스 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주택문제에 대한 기본적인 정책방향으로 정부와 공공단체는 규제를 최소화하고 지원을 다양화하여 시장 자율기능에 맡겨야 점진적으로 바람직한 임대주택정책제도가 정착될 것으로 믿어진다.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brought over-density in urban population, and poor residential condition on limited land, resulting in housing shortage.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well-being, housing problems has been focus in the field of research, but not fully understood in itself, due to nation policy preferring economic growth and stability. The government, however, has been emphasized on the supply oriented housing policy and intervened in the housing market, and finally improved traditional problems after 1990s' large-scale construction of housing. The mass supply and management of existing housing stocks, and deteriorated living condition, not considering community sense, still cast a problem from the sociological aspects. After IMF crisis, the gap between social class, regional location, ownership type, and income level have raised another problems of redistribution of housing services to solve. The fact that housing influences physical, mental and social spirits and more intensified residential concept in the era of 100% housing supply rate urges housing policy toward the solution of over-density for the low-income class. The investigation of literature review explored some elements of problems regarding rental housing system and housing policies as followings; Firstly, it was a problem of supply. The issue with suppliers was that the role of public sector was unclear and most housing stock was rental housing for sale base. There had been problems that the government focused on the quantity index, superficial policy, inconsistent program for rental housing, unclear target class, and unspecified conversion period from rental to sale position. Moreover, the supply of rental housing were leaned upon certain area. Secondly, there had been problems regarding finance, land, tax rebate, and supporting standards had not considered the difference between income class and regional location. Thirdly, regarding regulation, there were no specific details on security deposit, controls of rental costs, allowance of selling, rearing developer of rental housing. Fourthly, the selection criteria of tenants and maintenance were the problems 개 solve. As a resul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rental housing system and existing housing policy, and to propose the improvement details. Firstly, provision of clear role between public and private developer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in the supply of rental housing is necessary for the systematic approach, resulting from substantially two dimensional bases. Secondly, the finance and supporting systems for land supply need to focus on metropolitan areas by the efficient application of policy funds for the expansion of public housing supply. In the private sector, there are needs to back up financial aids for the small-size rental housing, application of rental housing union, along with eliminating obstacles to rental housing supplier, caused by the lack of profitability. Thirdly, for the rearing up of corporate-type rental housing developer, the policy needs to encourage the private investors to build one-room type rental housing on small piece of land. Fourthly, since rental housing for sale might cause market unstability by the deficiencies of rental housing stock, it is necessary to coordinate the sale and conversion period from the public to private markets. Fifthly, in the control of rental costs, the government need to establish estimating standard, depending the solvency of tenants, and to construct an integrative public rental housing program. Sixthly, the government needs to set the minimum living standard for the revitalization of rental housing, depending on the changing values of the housing. Regarding other level of standard, it is necessary to commission the private sectors to build the apartment buildings voluntarily in the open market for the profitability. Seventhly, comprehensive managing scheme is necessary for the tenants who can't move in the apartment because of the rental costs and troubles between residents. Finally, in order to protect tenants and minimize the sufferings, KNHC(Korea National Housing Corp.) needs to be responsible through the auction for the apartment on bankrupt after the completion of building construction. Moreover, it also requires to lower the interest rate of funds until selling of rental housing, to enforce the housing guarantee system , and to restrict reality right of rental housing. In conclusion, even though the improvement of rental housing i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housing policy and other various factors, the fundamentally desirable concept on the issues of housing is that the public sectors and local government need to minimize the restrictions, to provide various supports for private developers, and to commission the housing development to free market function.

      • 住宅政策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정연복 檀國大學校 198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fundamental objective of the housing policies must be placed on residence of the all nation. This study has reviewed, under the bistoric point of view, the influences of housing policy which have affected to demand and supply of the houses by each age considering the changing process of housing policies of our country. The systematic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housing policies at home may be said that it was commenced since 1960s in real terms, however, the issue of demand and supply of the residen-tial houses has been rooted through the ages of natural development as well as the days of upheaval and/or chaos before then and has been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ed on execution of the housing policies of after 1960s. This article is top Provide an alternative solution for effec-tive enforcement of the housing policy by analysis and review of all the problem areas. It is summarized as follows: 1. The Government must protect the end users by firm establish-ment of system of demand and supply of residential houses so that the vicious speculative demand may be eliminated. 2. The housing construction must be systematically expanded under a long-term planning and policy for stabilization of housing sites and land prices in order to settle the housing prices must be established. 3. The rental housing industry must positively be promoted for construction of rental houses in civilian sectors besides the public rental houses. Particularly, in case of apartment construction, should be caused to do for lease, small and high-raise structure and the ratio of mandatory construction of small civilian operated apartments must also be expanded to a greater extent. 4. The corporate apartment under construction must be reduced its building area down to 8 pyong maximum from the current 10 to 18 pyong, and its stories up to 10 or more from the current 5 to 14 stories. 5. In order to solve housing difficulties in urban area, redeve-lopmental works of the unfavorable housing must be revitali-zed and the mandatory ratio of small houses must be upgraded to 80% or more from the current 40%. 6. An institutional encouragement of the housing finance is required, amount of loan for the houseless people must be increased, taxation favors in various types and alleviation of various laws and regulations relevant to the residental houses must be made as well.

      • 無住宅 低所得層을 위한 住宅政策에 관한 基礎硏究 : 光州直轄市를 中心으로

        박호재 全南大學校 1990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의 住宅政策은 여러가지 면에서 변화를 꾀하고 있다. 이것은 작금의 주택문제가 안고 있는 일반적 성향이 공급의 양적확대에만 의존한 재래적 방법으로는 그 해결을 장담할 수 없는 심각한 상태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그러한 현상들 중 가장 심각한 측면은 정책의 실질적인 受惠群이 되어야 할 低所得 無住宅者들이 더욱 극심하게 주택문제로 인한 곤란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자유시장경제체제의 테두리 안에서 주택공급이 정당하게 조절되지 못했다는 반성을 낳게 하였다. 이같은 연유로 공급 정책에 있어서 공공성을 중시하는 태도가 자연스럽게 파생되었다. 자유시장경제체제를 어느만큼 규제하는 강제성을 띄고 있는 정책에 있어서 공공성 중시의 태도는 또한 몇가지 중요한 사항들을 고려함으로써 그 효율성을 높힐 수 있다 할 수 있다.그것은 주택문제가 일련의 사회적 收容형태로 파악되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책의 대상이 되는 군집의 성향을 명확히 살펴봄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취지에 따라 광주시 무주택 저소득층을 집중적인 조사대상으로, 구체적인 연구과제는 무주택 저소득군의 사회적 배경과 가계현황, 주거실태, 주거문제에 대한 태도, 주택비 부담, 정책에 대한 견해 분석을 주요 목적으로 삼았다. 이는 광주시의 무주택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정책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연구로서 의미가 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연구결과는 광주시 무주택 저소득층은 여타의 지역에 비해 매우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특히 정책을 설정하는데 현재 일반적으로 제시된 방안들은 미흡한 편이며, 저소득층을 위해 보다 집중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recent shifts in housing policies mark a significant advance. This shifts mean that traditional approach cannot reduce the recent housing problem. The most distinctive nature of this problem is that the poor is more suffered from housing. This feature reflects the phenomenon that housing supply is not effectively controlled by free market system only. But restrictive housing policies for social fairness may consider some criterion housing as a social adaption process. Therefore the policy should pay attention to fragmented nature of real group. So, the report focuses on the poor in Kwangju city. Social distinct, residential situation, attitudes on housing problem and housing policies, housing stress are a main theme of research. Finally, compared with other cities the low income homeless people in Kwangju is in poor condition.

      • 우리나라 住宅政策의 問題點과 發展方向에 관한 硏究

        김광진 東國大學校 經營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Housing sector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comprises a large portion in the national economy and one's wealth and a necessity in every day life. In the case of Korea, even though the housing policy has the final object on the housing welfare, housing policy has worked on only physical extension of housing than housing welfare. Therefore, it was very natural not to be interested in how houses were distributed and how those were used. The fact above was caused, because Korea had to solve the problem with the shortage of houses. It is now the time that Korean nations should consider houses as dwellings rather than properties, also Korean government should work with the low-income brackets on dwellings, because the rate of housing spread is 92% in the present time, 1997. The Korean government has had public rental housings, public lot housings, labor welfare housings, and staff rental housings as a means for the better housing welfare of the low-income brackets. Also, Korean government has supported finances and taxes, has loaned money for housing rentals and has redeveloped the environments for housings. Those contributed in a way to make the better housing welfare. Nevertheless, those were lack of the consistency and equity between the policies and even more those caused instability of the housing price and inefficiency of the better housings to low-income bracket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suggest how to work on the development of the housing policy for on the constant development of the housing problem in Korea, and further more, to give the authority to overcome the structure of IMF. The thesis is based on references of relevant stories. Specific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are according to various and present conditions, statistical data, policy analysis data, and research reports. To make the thesis better, interview with a person in charge was held. The thesis is composed of 5 parts. Chapter 1 : The introduction discussed the purpose and the need of the thesis, and pointed out the method and the limit of the thesis. Chapter 2 : General investigation about model of housing policy and national economy should be done through the outline of housing policy and economic efficiency should be promoted to maximize housing welfare of all the nations. In addition, the social equality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distribution of housing welfare. With the suggestion above, model of housing policy in advanced nations and that in developing nations are introduced to investigate the model of housing policy in Korea. Also, it is discussed how the department of housing has a ripple effect on national economy. Chapter 3 : Housings for one's own and those for rental were defined to analgize the actual conditions of Korea housing policy. Especially housing policy that has rapidly changed under the structure of IMF was compared to Japan. Chapter 4 : Pointed out the problem of Korean housing policy and suggested the solution through the analysis of actual conditions of Korean housing policy. Chapter 5 : Conclusion put together all the discussion in the body, and suggested current events and research project like below. The problems of housing policy are caused by the high interest rate, restructuring, and a large scale of unemployment. Moreover, while the real estate demand declines, supply increases. Therefore, in the case of it keeps going on like above, deflation is to be caused and possibly be ended as a failure of Housing. To overcome the problems of housing policy in Korea, it has to be researched seriously how the problems of housing policy should be lead. First of all, the housing policy in Korea should be baced on the model of a welfare states, which shows that the minimum level of residing is assured, and then leads to the most suitable level of residing. Second, considering social equilibrium, public rental house should be activated. Third, regulation of housing sector should be loosened. If it is necessary, instant plan should be ordered for building, transection of houses, and rental houses. Also, the policy of stabilizing housing finance should be prepared for building company and customer of housing. Right of residing should be assured, because equilibrium in distribution is very important.

      • 住宅供給 側面에 있어서 우리나라의 住宅政策의 硏究

        박봉규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198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at systematic analysis on Korean Housing policy in housing-supply side. The housing problem grew difficult to work out as the population increased. It should be solved in the side of national well-being as possible. In order to solve housing problem in supply side, followings are regarded as an essential policy objective. 1. Housing-supply should be made in large quantity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quality. 2. Housing-site should be developed and its stability in price is to be accomplished. 3. Rent-housing policy should be developed for lower income people. 4. Tax-cut at the purchasing of a house or at the building of a new house should be realized for the possessing of one's own house. 5. The enlargement of the loan for housing will bring the people in lower income less barden. 6. The on-going house-marketing system should be made better and the house-trading be in action to be trusted by the people by admitting the act of housing agent and by making the law of real-estate-mediation. In conclusion, housing-policy should be made in national view in order to give a generation for a house respectively and the housing-supply needs govern ment's direct-participating instead of the total dependence on the general public and only the previlege on tax and loaning will help the public dealers act as they pl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