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국인 투자자 주식투자수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안치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경제위기 이후에 주식시장이 외국인투자자에게 개방됨에 따라 국내 주식시장에서 외국인투자자의 시가총액 보유비중이 2000년 말을 기준으로 30%가 넘는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미치는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장영향력은 외국인의 주식투자자금이 증가함에 따라 주식시장의 확대, 시장의 교란우려, 주가차별화 현상, 선진투자기법의 정착, 국내기업의 경영관행 변화 등으로 나타나며, 국내시장에 많은 변화를 주고 있는 상황에서 외국인투자자의 매수금액에 초점을 맞추는 증시 뉴스를 자주 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외국인투자자의 주식투자패턴에 대하여 분석하고, 아울러 국내 주식시장에서 주가변동성을 유발시킬 수 있는 시장 영향력이 큰 세력들(기관, 개인투자자)에 대한 투자수요 결정요인에 대해서도 각 모형별로 분석하여 외국인투자자에 대한 분석결과와 비교하여 투자패턴의 차이점에 대하여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경제상황에 따라 투자패턴의 변화를 세밀하게 분석하고자 경제상황을 반영하는 경제변수를 모형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모형별 종속변수는 매수비율을 지수화하였고, 모형에서 구분된 설명변수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모형Ⅰ는 기본모형으로서 국내경제 상황을 반영하는 경제변수를 선정하여 분석하였고, 내생 변수로서 국내 주식시장을 종합적으로 반영하는 주가지수, 국제분산투자시 추가되 는 위험과 국내 수출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환율, 주식을 평가, 기업의 차입비용이고, 대체투자수단인 이자율, 곧 다가올 국내 경제상황을 예측하는 경기종합 선행지수, 국내 수출산업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엔달러환율을 적용하였고, 증권시장의 부양의지가 담긴 증시안정화 대책, 외국인투자 한도확대, 회계정보의 유용성을 살피기 위해 기업의 실적보고를 더미변수로서 추가로 모형에 포함시켰다. 두 번째 모형Ⅱ는 해외모형으로서 우리나라 경제가 미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므로 미국의 경제를 반영하는 다우지수와 연방기금금리를 모형에 적용하였고, 아시아 시장을 주도하며 분산투자자들에게 국내시장의 대체시장으로 작용하는 일본의 동증주가 지수를 포함하였다. 세 번째로 모형Ⅲ는 시차모형으로 환율의 적용에서 J-Curve 효과처럼, 경제지표의 변화가 경제에 반영되는 시점에서 투자수요 패턴을 분석하고자 기본모형에서 내생변수의 시차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네 번째 모형Ⅳ는 경제위기 이후에 경제적 구조변화가 투자자들의 투자패턴에 영향을 미쳤는가를 살펴보는 것으로 구조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Chow test로 검정하였고, 투자패턴의 변화를 세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가변수 검정을 추가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외국인투자자의 경우 국내경제에 관련된 정보가 부족하여 시장상황을 반영하는 주가지수를 투자지표로서 활용하고, 투자한도 확대에 따라 큰 폭으로 투자수요를 증가시키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국내시장에 대하여 낙관적인 평가를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의외의 결과로 분산투자에 추가되는 환율위험은 투자수요 결정에 중요한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비유의적인 검정결과가 나타났고, 이는 경제위기 전후를 제외한 나머지 기간동안에 환율이 비교적 안정되어 환위험이 제거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기본모형의 분석 결과는 경제원리에 부합되는 안정적인 투자패턴을 보이고 있으며, 해외경제가 포함된 모형은 동조현상을 보이는 일본의 주가지수에만 영향을 받아 투자패턴이 변화될 뿐 미국경제는 투자수요 결정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지역별로 주식투자자금을 할당하여 투자함으로 그 지역을 반영하는 경제여건에 영향을 받을 뿐 해외경제 상황에는 뚜렷한 반응을 보이지 않으며 할당된 자금은 해당국가의 투자자금과 동일한 성격을 갖는 것으로 분석된다. 경제변수의 시차모형의 경우, 기본모형에서 당기에 영향을 미치지 못 했던 환율과 엔달러환율의 변화가 경제에 반영되는 시점에서 투자수요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이자율 시차변수는 기본모형의 결과와 다른 투자패턴을 보이는데, 이는 이자율변동에 따라 기대되는 효과와 경제에 반영된 효과가 상반되어 나타난 결과라 생각된다. 경제위기 이후 경제구조 변화에 따라 환율, 경기종합 선행지수, 엔달러환율과 같은 경제지표가 전기에 비해 투자지표로서 활용도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으나, 이러한 투자패턴의 변화는 사회구조 변화가 아닌 분석기간과 경제지표의 단순한 차이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Chow test에서 나타났으며, 가변수 검정에서는 이자율의 회귀계수만 유의적으로 변화될 뿐 경제위기 전기와 후기의 결과가 크게 변화되지 않았다. 기관투자자의 경우 경기흐름을 반영하는 기본적인 거시경제지표에 근거한 안정된 투자패턴 보다는 증시안정화대책, 투자한도확대, 기업의 실적보고 등 단기적 정책변수에 즉각적으로 대응하는 투자패턴이 나타났고, 정부의 증시부양 의지는 기관투자자에게만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난 것으로 투자규모가 큰 국내투자자에게 유리하게 작용하였다. 해외경제가 포함된 모형의 결과는 외국인투자자와 동일하게 일본 주가지수의 변화를 투자수요 결정에 반영시키며, 미국경제에 대한 높은 의존 도를 보이는 우리나라에서 미국경제 변수는 투자수요 결정에 비유의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경제지표 시차모형의 결과에서 전기의 매수비율에만 영향을 받고, 나머지 시차변수에는 투자패턴이 영향을 받지 않아 기본모형의 분석결과처럼 단기적정책변화에 투자수요가 크게 반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제위기 이후에 투자패턴도 분석기간과 경제지표의 변화에 의한 회귀계수의 단순한 차이만 보일 뿐 경제위기로 변화된 사회구조가 투자수요 함수의 변화를 유발시키지 못 한 결과로 나타났다. 개인투자자의 경우 기본모형에서 이자율과 엔달러환율의 회귀계수가 투자수요 결정에 유의적으로 나타났지만, 외국인과 기관투자자와 상반된 투자패턴을 보이고 있고 경제원리에 의한 안정된 투자패턴이 아니라 고수익을 위한 위험한 투자패턴을 실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회귀계수값이 크지 않아 그 영향력이 미미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러한 결과는 개인투자자가 소규모자금의 무수히 많은 투자자로 구성되어 시장에서 어떤 특징을 지니고 나타날 정도로 조직적인 투자패턴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다. 해외모형 결과에서는 기관투자자와 동일하게 일본의 주가지수에만 영향을 받고 미국의 경제상황에 동조하는 투자패턴을 보이고 있지 않았다. 경제지표 변동이 반영된 경제상황을 고려하여 투자하지 않았으며, 경제위기 이후에 주가지수, 환율, 경기종합 선행지수 등 경제흐름에 맞게 투자기법이 발전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그 영향력이 여전히 미미하고 경제위기로 인해 변화된 사회구조는 투자패턴을 변화시키지 못 하였다. 본 연구는 투자주체별 주식투자 수요함수의 결정요인에 대하여 경제모형별로 나누어 세밀하게 분석하였고, 모형별 회귀분석 결과도 외국인과 기관투자자의 R² 값이 실증분석에서 신뢰할 만한 수준이 나타났으므로 의미가 있는 투자패턴 분석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개인투자자의 경우는 대체로 신뢰하지 못 하는 수준의 R² 값이 나타나서 소규모 자금의 무수히 많은 투자자로 이루어진 개인투자자의 통합된 투자패턴을 살펴보는 데, 그 의미를 둘 수 있었다. 다만, 분석모형 설정에 있어 종속변수인 매수비율을 지수화하는 과정에서 경제상황의 변화에 대한 매수와 매도가 동시에 변화되어 지수가 형성되므로 거래규모의 변동성에 따라 투자패턴에 미치는 영향력이 분석결과에 반영되지 못한 점과 월별자료를 이용한 분석모형에서 동기간의 영향력이 반영된 결과인지에 대하여 의문점을 제시해보며 앞으로 논의될 연구에서 보완점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경제상황을 분류한 모형별로 투자패턴을 분석한 것이 이 논문의 특징이며 앞으로 좀 더 다양한 방법으로 외국인의 투자패턴에 대하여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s the stock market opened completely after the economic crisis in 1997, the influence of foreign investors on the stock market has grown extremely important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mand factors of foreign investors and to compare these with those of domestic investors in Korean stock market. Econometrics studies of the foreign investors' demand for stocks were made for the analysis of the domestic economy model, the foreign economy model, the time-lag model, and the structural change model of a demand for investments after the economic cri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is found that rational foreign investors showing stable demand patterns, are not likely to react to the short-run stock index market supporting policies and do not take into consideration of foreign economies. Besides, it is found that the investment demand is projected upon the stock market to the extent that economic indices reflect in the economy. It was shown that the economic structure changed after the economic crisis had little impact on the foreign investors' demand. For domestic investors, institutional investors inclined towards stable investment patterns, but the effects on the stock market were small. They were under the influence of the short-run stock index market supporting policies. In individual investors' case, they show a risk-loving tendency in investments, expecting high rates of returns. It is not possible to generalize the investment patterns due to the tiny effect of individual investors on the stock market and the facts that individual investors are composed of many investors with small fund. The economic structure changed after the economic crisis did not affect the investors' demand. Regardless of some limitations, this study has important implications that investors' demand factors of stocks were analyzed under economic conditions. This study could be the starting point of further studies on the foreign investors' demand function of stocks.

      • 株式投資의 投資者 行態에 관한 硏究 : 全北地域 投資者를 中心으로

        송재구 全北大學校 經營大學院 1988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e business upturn and expecting about the opening the capital market is rise to its flood mark, the rate of the stocks price were recorded as the hightest activity in history due to the promoted the commercial capitals flew into the securities market. It's exceed the rising rate of world average stocks. Therefore, investors will go on increase. This study was analyzed the investment bahavior of investors positively, and grasp the problems of investment in order to help to make right stock market and decision of intention about the investment. This study was applied on Jeonbug Area's investors. The investment situations were analyzed with Chi-square method. As a research results, we can say that the most of investors invested as a saving means. But some investors(31.4%) recognized as a kind of speculation. And it showed that the most of investors invested to obtain the marginal profits by the short term not for the share. At here we are afraid that it is made to the speculating field at the stocks matrket by this. And there is necessity to make supplimentary system to turn favorable to the long-term investors for the caltivating the health stocks market.

      • 中國 外國人投資企業法에 관한 硏究 : 外商投資股분有限公司를 中心으로

        강영인 延世大學校 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중국은 1978년 中國共産黨 제11회 中央委員會 제3차 全體會議에서 開放政策을 채택한 이래 외국인들에게 적극적으로 문호를 개방하여 산업자본을 유치하고 경제를 발전시켜 왔다. 중국은 이러한 외자유치에 있어서 외국인투자관련법을 제정하여 법률로 회사의 설립이나 운영절차, 방식에 대해서 규정하였다. 그 대표적인 법이 “三資企業法”으로 불리는『中外合資經營企業法』(1979.7.1), 『外資企業法』(1986.4.12) ,『中外合作經營企業法』(1988.4.13) 등이다.당시 중국은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하여 삼자기업에 관한 규정을 입법화한 것으로 기업법체계의 기본법이라고 할 수 있는 회사법『中華人民共和國公司法』은 1993년 12월 29일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제정·공포되고 1994년 7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뒤이어 1995년 1월 중국정부에서는 '외국인투자주식회사의 설립에 관한 잠정규정'『?于外商投?股?有限公司?立之若干??的?定?定』을 발표하여 외국인투자주식회사를 외국인투자기업의 한 유형으로 확정하였다.외국인투자주식회사는 전체 자본이 동일한 금액의 주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주주는 그 인수한 주식으로써 회사에 책임을 부담하고, 회사는 그 전체 재산으로써 회사채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는, 중국과 외국의 주주가 공동으로 회사 주식을 보유하고, 외국 주주가 구매하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 회사 등록자본의 25%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기업을 말한다.기존의 삼자기업은 대부분 유한회사 형식으로 설립되어 중소기업규모의 회사에 적당한 기업형태인데 반해 외국인투자주식회사는 대규모 자본의 조달이 필요하고 대량 생산이 이루어지는 대기업의 설립에 유리한 회사이다. 현대사회는 세계화의 진행과 함께 자본의 이동이 자유로운 시대이며 외국인투자주식회사는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부합하는 회사형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이 개방정책을 채택한 이래 외국인투자관련법제가 어떠한 방향으로 전개되어 왔는지 큰 흐름에 대해서 살펴보고 외국인투자주식회사의 적용법규, 설립제도, 자본제도, 조직기구와 관련하여 관련 규정과 절차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외국인투자주식회사는 중국회사법의 규정이 기본적으로 적용되므로 중국회사법과 한국 상법의 비교를 통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 가치투자의 수행성과 대중투자문화의 형성

        오승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한국에서 1990년대 후반 이후 등장한 ‘대중투자’ 문화를 주식투자라는 금융적 실천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중적인 주식투자 전략의 하나인 ‘가치투자’가 개인투자자들에 의해 해석되고 활용되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 사회에서 ‘투자’라는 금융적 실천이 갖는 사회적·문화적 함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치투자는 재무제표와 사업보고서와 같은 자료를 토대로 기업의 가치를 분석하고 계산하여, 이러한 가치를 기준으로 주식을 거래하는 투자 전략이다. 하지만 가치투자는 단순히 주식투자를 매개하는 금융지식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가치투자자’라는 투자자 주체를 생산하는 핵심적인 계기이기도 하다. 가치투자는 투자와 투자자에 대한 합리적이고 도덕적인 표상을 생산하며 투자자들의 실천과 인식을 변화시키고, 더 나아가 이들의 생애기획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수행적 효과를 발휘한다. 연구자는 ‘가치투자의 수행성’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 ‘잃지 않는 투자’와 ‘배우는 투자’를 지향하는 가치투자 전문 교육기관인 ‘A 투자교육연구소’에서 개설한 가치투자 강좌를 참여관찰하였고, 수강생들을 중심으로 심층면접을 수행하였다. 가치투자는 1997년 경제위기 이후 구조조정을 통한 기업의 재무구조 개선과 2000년대 초반 주식시장에서의 가치주 등장을 배경으로 개인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가치투자는 1990년대 후반 이후 벤저민 그레이엄과 워렌 버핏과 같은 가치투자의 상징적 인물들의 투자 방식을 충실하게 해석하고 한국적 맥락으로 번역하는 소수의 ‘매개자’에 의해 대중적으로 확산되었다. ‘A 투자교육연구소’ 역시 이러한 매개자 그룹 중 하나로, 개인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가치투자 교육을 통해 가치투자를 전파하는 데 일조한다. 투자자들은 반복되는 주식투자에서 실패를 경험하거나 기대만큼의 수익을 기록하지 못하면서, 가치투자를 통해 주식투자를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을 학습하기를 원하고, 이를 통해 더 이상 주식투자에서 실패하지 않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버핏 교실’은 가치투자에 대한 특정한 지식을 생산하고, 이를 구체적인 테크닉의 형태로 재가공하여 수강생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합리적이고 건전한 투자를 실천하는 현명한 투자자라는 윤리적인 주체를 적극적으로 생산하고자 한다. 또한 가치투자는 투자자들이 주식투자를 정당한 사회적 실천으로 의미화하는데 있어서 핵심적인 개념과 논리를 제공한다. 가치투자자들은 돈의 논리가 지배하는 자본주의 하에서 경제적 자유를 열망한다. 경제적 자유를 획득하기 위한 유력한 방식이었던 직장생활은 한국 사회의 신자유주의적 전환 이후 노동 환경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더 이상 매력적인 선택이 아니게 되었고, 이들이 자연스럽게 눈을 돌리게 되는 것이 재테크이다. 그리고 주식투자를 통해 자산을 관리하고 증식하려는 투자자들은 가치투자를 통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수익을 기록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사라진 자리에 ‘평생직장으로서의 주식투자’라는 상상이 등장하는데, 가치투자는 이러한 상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생산한다. 이 연구는 한국 사회의 신자유주의적 전환 이후 일상화된 경제적 불안정에 ‘재테크’라는 사적인 자산관리의 전략으로 대응하는 투자자들의 인식, 윤리 그리고 실천을 이해하려고 시도하였다. 대중투자문화는 다양한 금융적 수단, 재테크 지식과 정보를 통해 돈이 스스로 일하게끔 하라고 요청하면서, 일상을 돈을 만들어내기 위한 열망으로 가득 채운다. 그리고 돈을 현명하게 투자하고, 사려 깊게 예측하며, 전략적으로 자산을 배치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환상을 만들어낸다. 가치투자는 주식투자를 통한 부의 획득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가치투자자들을 지속적으로 생산함으로써, 대중투자문화를 재생산하는 핵심적인 계기이다. This research analyzes the so-called “popular investing culture”, which has emerged since the late 1990s, focusing on the financial practices of the stock investment.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analyzing the concrete processes of the interpretations and exploitations of “value investing” - one of the strategies of the popular investing culture ? by individual investors, has an object of elucidating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the financial practices of the “stock investment” in Korean Society. Value investing is an investing strategy which trades stocks in accordance with some values produced by calculating and analyzing a value of a company on the basis of financial statements and business reports. However, value investing is not a simple finance knowledge which mediates the practices of the stock investment, but it is also the essential points which produce investing subjects called “value investor”. Value investing displays performative effects in that it produces rational and moral representations about the investment and the investor, and transforms the recognition and practice of the investors, and furthermore, has an influence on the life-plans of the investors. In the view of the concrete examination of the “performativity of the investor”, this research - 115 - participates and observes some courses of value investing organized by “A research center for education of investment” - this research center aims at “no-losing investment” and “enlightening investment” - , and carries out some in-depth interviews with some students of this course. Value investing was starting to get a lot of attention of individual investors after the economic crisis of 1997. It was because after the economic crisis of 1997, financial structures of some companies were improved by the restructurings, and in this situation, value stock recorded stable profits. In that time, value investing was popularly introduced and propagated by a few of “mediators” who accurately interpreted - and translated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 the investment strategies of the emblematic figures of value investing, for example Benjamin Graham and Warren Buffett. “A resarch center for education of investment” was also one of the mediating groups, and until now it performs a role of introducing and propagating value investing by the education of value investing for individual investors. Individual investors, who repetitively fail in investment or cannot obtain profits expected, learn the ways of performing the stock investment systematically by value investment, and after these learnings, they expect that no more they would not fail in the stock investment. “Buffett Class” produces the particular knowledge of value investing. “Buffett Class” reformulates this knowledge as some forms of specific techniques and provides these techniques in education programs, thereby “Buffett Class” enthusiastically aims to produce the ethical subject as a smart investor who practices rational and sound investments. Value investing purveys the essential concepts and logics for signifying the stock investment as a justifiable social practice. Value investors aspire to obtain economic freedom in the capitalism which is predominated by the logics of money. After the neoliberal turn - 116 - of Korean society, the employment, which was the only and prime way to obtain economic freedom, is now out of the charming choice alternatives because of the destabilization of the labor. Consequently, individuals pay much attention at financial technique. And individual investors who want to administer and increase their assets by stock investment, expect to obtain continuous and stable profits by value investing. In the vanished place of the notion of the life-time workplace, the imagination of the “stock investment as a life-time job” emerges, and value investing plays an essential role as a concrete strategy and life-plain for embodying this imagination. This research tries to understand the knowledge, the ethics and the practices of the investors who counter-act and defend for themselves with a private strategy of asset-running financial technique in the face of the prevailing economic destabilization after the neoliberal turn of Korean society. The popular investing culture, through a variety of financial techniques, financial knowledge and information, ordering money to work or operate of itself, fills everyday life of the people with aspirations for making more money. And this culture creates some fantasies in which the investors who invest smartly, predict reflexively, and arrange their assets strategically can succeed in the investment. Value investing is an essential moment which reproduces the popular investing culture by producing value investors who expect that they can make more money through the stock investments.

      • 株式投資行態와 IR의 活用에 관한 比較硏究 : 短期投資者와 長期投資者

        임동철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개인주식투자자가 주식투자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하여 실제로 어떻게 인식하고 행동하는지를 실증적 방법으로 분석하고 장기투자자와 단기투자자들을 구분하여 이들의 주식투자행태의 특징에 대해 비교하여 보았다. 투자자들을 구분해 보면 본인들이 장기투자자라고 다수가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단기투자성향을 지닌 투자자가 거의 같거나 다소 많았다. 투자자들은 일반적으로 주식투자경력이 오래될수록 장기투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뚜렷한 투자목적을 가지고 주식투자위험을 장기간에 걸쳐 분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익성 측면에서도 투자자들은 수익을 얻은 경우가 손실을 본 경우보다 많았으며, 전반적으로 장기투자성향을 가진 투자자가 높은 성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행태에 있어서 단기투자자는 고위험·고수익의 집중투자를 선호하고 직감적으로 투자를 하는 행태를 보였으며, 심지어는 다른 투자대안과 비교하지 않고 높은 수익성만을 위하여 높은 위험을 감수하는 중독형태의 투자행태를 보이고 있는 반면, 장기투자자는 수익의 안정성을 위해 충분한 정보를 수집하고 신중한 분석을 통하여 자기목적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투자하는 행태를 나타냈다. 포트폴리오에서는 단기투자자 및 장기투자자 모두 기업의 내재가치가 적게 반영된 안정주식인 저평가주의 선택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장세의 흐름을 주도하는 주도주를 선택하였다. 한편 장기투자자와 단기투자자 모두 폭락주를 가장 낮게 선택한 것으로 보아 단기투자에 대한 불확실성 보다는 장기투자에 대한 안정적 투자주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단기투자자가 상대적으로 급등주나 폭락주, 테마주 등의 선택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의 활용측면에서는 장기투자자가 단기투자자보다 정보의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기투자자는 기술력, 연구개발 등 자산가치 관련 정보를 중시하는 반면 단기투자자는 실시간 주가, 과거주가 등 주가관련 정보를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장기투자자와 단기투자자 모두 기업성과에 대한 IR은 잘 이루어지고 있지만 기업의 위험성에 대한 IR은 미흡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기업의 IR을 통한 정보 활용시 부정적인 정보까지 알기를 원하고 있으며, 이미 법정 공시된 정보만 제공하는 것 같아 공시되지 않은 정보까지도 제공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기투자자와 단기투자자 모두 기업의 IR을 통한 정보의 활용을 통해 투자수익을 얻는 경우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투자 정보의 신뢰도와 이용도 측면에서 애널리스트보고서가 장기투자자와 단기투자자 모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이하게도 투자를 잘하는 지인의 추천이 증권회사 직원의 추천, 기업웹사이트 등 보다 신뢰도나 이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분석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우리 나라 증권시장은 단기투자에 의한 높은 주가변동성이 안정적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증권시장의 한 구성원인 개인투자자들의 단기투자성향에 그 원인이 있다 하겠다. 투자자 본인들 다수가 장기투자자라고 생각함에도 불구하고 반수 이상이 단기투자성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나 단기투자자와 장기투자자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올바른 투자지침 등 그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공통의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단기투자자는 기업의 공시자료 및 IR을 통해서 정보를 활용하는 투자보다는 단기의 수익성만을 고려한채 상당한 위험을 감수하고 직감 또는 루머 등에 의존하는 투자행태를 보이고 있는 반면, 장기투자자는 수익의 안정성을 위해 기업의 공시자료 및 IR에 의한 정보를 충분히 수집하고 신중한 분석을 통하여 자기 목적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투자하는 행태를 나타냈다. 그런데, 단기투자자는 투자 손실의 위험에 좀 더 많이 노출되어 있어 단기투자의 역동성 등 그 장점이 퇴색되고 있다고 할 것이다. 이에 합리적 투자의사 결정을 위해서 정확한 기업정보를 투자자에게 신속하게 전달 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정보 제공수단이 활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경우가 기업의 IR활동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기업정보의 신뢰도나 이용도 측면에서 나타났듯이 IR활동이 개인투자자에게는 별 관심을 주지 못하고 있어 개인투자가에게 있어서는 정보제공수단으로써의 충분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며, 애널리스트·펀드매니저·기관투자자들에게 있어서는 상당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IR에 대한 투자자 및 기업들의 인식부족, 학문적 연구 미비 등으로 저변이 널리 확대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국내 상황하에서 개인투자자들의 IR에 대한 인식변화가 우선적으로 중요하다. 아울러 투자자의 정보선택을 통한 합리적 투자를 유도할 수 있도록 기업과 투자자간의 상시 네트웍이 유지되어야 한다. IR활동시 기업이 공개하기를 꺼리는 부정적 정보라도 투자자들이 공개하기를 원하고 앞으로 외부에 알려질 정보라면 이를 감추거나 일시 만회하기 위한 임시방편으로 대응하기 보다는 미리 자발적으로 공개하는 것이 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충격을 완화하면서 기업에 대한 신뢰감 형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기업은 IR에 대한 학문적 지식의 축척과 실무적 관리방안에 보다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며, 이는 기업측, 투자자측, 그리고 증권시장측면에서 국내의 투자수준을 한단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 보다 많은 투자와 IR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고찰을 통한 연구가 보다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to empirically investigate various factors that affect individual investors' decision making. In particular, we compare the attitude and behaviors of long-term investors with those of short-term investors. Slightly more than half of investors who grouped themselves as long-term investors were, in reality, found to be short-term oriented. The study found that a typical investor had a tendency of preferring long-term investment as he gets more investment experiences, and had a clear investment goal, and diversified investment risk in the longrun aspect. Number of long-term investors who realized profits outnumbered investors who realized loss in the same group. The implication from the finding was that investors with longrun aspect harvested superior performances. From the study on investment behaviors, short-term investors behaved instinctively, and preferred less diversified investments which have high risk and high return profile. Some of the investors in the short-term group, what is worse, showed 'addicted behaviors'-take high risk just for high return-without comparison with other investment alternatives. On the other hand, long-term investors behaved reasonably in order to achieve stable profits. They composed their own portfolios which achieve their investment objectives through the collection and discrete analysis of sufficient information. The study on portfolios revealed that both long-term and short-term investors primarily selected lower-valued securities which is priced lower than their intrinsic value. The second choice was leading securities which maintain stock market trend. Both types of investors tended to be avoiding 'plunged securities', and this implied they prefer longrun stability of investment rather than uncertainty from short time investment. However, relatively higher portion of short-term investors selected volatile securities-recently skyrocketed or plunged ones-and stocks related to a current fad, so called 'theme securities'. The study also discovered that long-term investors utilize more information than short-term investors do as expected. Investors with longer investment time horizon put more concerns on value-related information such as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R&D) while their counterparts focused on stock price-related information such as current price and past price movement. Understanding of IR was similar in both groups. The investors agreed that IR on firms' achievements were satisfactory but risk-related information presented on IR were not sufficient. Both groups contended that firms should provide information which could negatively affect the stock price in their IR events because currently provided information were not different from legally obligated disclosure. But, in reality, it seemed almost impossible to earn additional profits possibility through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which were presented on IR events. Study on credibility and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revealed that investors in both groups prefer analyst report most. It seemed, however, eccentric since investors, in reality, used recommendations of acquaintances more often than recommendations of brokers or information on firms' web-sites.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we can derive the following suggestions. Stock price volatility arising from short-term investment behavior is indicated as an obstacle to stable growth of Korean stock market. Among many possible candidates, short-term-oriented behavior of individual market participants is the most appropriate explanation of the phenomenon. Since many investors invest with short investment period while they have illusion of long-term investment, it is important to provide appropriate counter-measures such as investment guidance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hort and long-term investors. For the purpose of realizing profits in short time period, short-term investors took abundant investment risk by heavily depending upon instinct and rumors without utilizing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disclosures and IR events. However, long-term investors maintain reasonable portfolio through thorough analysis of disclosures and IR information for the stability of earnings. Due to exposure to more investment risk, the dynamic attribute strengths of short-term investment can be lost. In this vein, several information delivery methods are employed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for reasonable investment decision making, and most popular tool among these methods is IR activity. However, as shown in the study on credibility and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IR activities in Korea are not stimulating individual investors' interest.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IR events are not fully fulfilling the role of information delivery. On the other hand, IR activities are shown to be accomplishing the role in the society of analysts, fund managers and institutional investors. Under these situation, transition of individual investors' perception should be emphasized. Also, in order to induce reasonable investment behavior through information search and selection process, all-time network between firms and investors should be maintained. It is evident that investors want all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m of interest including negative ones that firms are reluctant to disclose. And if the negative information are supposed to be disclosed in the near future, the concealment of them as a temporary expedient is not advisable. Rather, it is recommended to voluntarily disclose these information in advance in order to alleviate the negative shocks and to build credibility among investors and prospects. Firms should put more emphasis on theoretical knowledge building and practical management scheme of IR activity. The emphasis would fertilize domestic investment community including stock market and market participants by serving as a stepping-stone. In order to harvest the leap, both analytical and empirical studies based on IR and investors' utilization framework are necessary in the future.

      • 한국인의 주식투자행위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 주식투자자의 확산과 전이효과(herding effect)를 중심으로

        류명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8703

        주식투자는 불확실한 미래의 수익을 기대하고 현재의 확실한 소비를 희생하는 경제행위이며, 주식시장은 투자자들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다양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의 확실성과 미래의 불확실성을 거래하는 공간이다. 1998년 하반기부터 2000년 하반기까지 약 2년 동안 한국의 주식시장은 급속히 팽창하였으며, 주식투자는 일종의 유행처럼 사회적으로 확산되었다. 이 과정에서 일부 투자자들은 흔히 이야기하는 "묻지마 투자"의 형태를 보이기도 하였다. 주식투자의 열풍이 지나가 버린 현재 수많은 투자자들은 금전적 손실과 후회만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근본적 문제 제기는 어떻게 짧은 시간 내에 평범한 사람들 사이에서 주식투자가 보편화될 수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투자자들이 어떤 경로로 투자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실제 주식을 매매하였는가에 관한 것이다.

      • 국내 정치적 상황이 우리나라 가계의 주식투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요인

        강성곤 경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그 동안 우리나라 가계의 자산구성과 주식투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관련 데이터의 부족으로 일부 기간에 국한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우리나라는 인구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어서 주택 중심의 부동산투자로 집중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가계의 자산을 분석하는 연구는 향후 우리나라 경제상황을 예측해 보는 것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IMF 이후 지난 20년간 우리나라 가계의 자산을 구성하는 성분 중 주식투자에 참여 비율을 분석하고 기간별 주식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이고,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연구에서 제시한 영향요인을 모두 반영하여 모형을 구축하고, 주식투자 경험을 변수로 도입하여 주식투자에 대한 상태의존성을 확인한다. 실증분석은 한국노동연구원이 조사해서 제공한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자료를 이용한다. 본 논문은 주식시장 참여율이 낮은데도 불구하고, 주식투자가구의 특성을 구분하기 위해 교육수준, 가구주의 연령, 가구인원, 자가주택여부, 성별, 임금소득 등을 독립변수로 도입하고 주식투자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여 프로빗 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선행연구와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는데, 우리나라 가구의 주식투자는 가구주의 개인적 특성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가구주의 교육수준이 가장 중요한 특성으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주식투자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자가 주택을 소유한 사람이 주식투자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구주의 연령이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전년도 주식투자를 통해 소득을 올린 경우에는 또 다시 주식투자를 할 확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과 임금소득도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년 동안의 KLIPS 자료를 대통령 재임기간으로 구분하여, 우리나라의 경제정책 변화에 따른 가계의 주식투자 성향을 확인하였는데, 전반적인 경향에 있어서는 대체로 유사한 결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핵심주제어: 가계주식투자, 로지스틱회귀분석, 한국노동패널조사

      • 株式市場 開放 이후 經濟變數가 外國人柱式投資 및 株價에 미치는 影響 分析

        전상윤 성균관대학교 국제통상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After IMF crunch, stock investment limit of foreign investors didn't exist any more due to liberalization of capital market and as a result, the effect of foreigners on domestic stock market has been enlarged. Also, the stock investment of foreigners has close relation with other economic variables such as stock price, exchange rate, interest etc. and this come to be one of major economic variable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stock investment of foreigner and each economic variables using monthly data ('98.5-'03.4), thereby comparing correlation and the result of concerned period. As an analysis, we come to see that the during uprising period of stock, correlation of stock, investment of foreigners and economic variables is shown more sensitively. In addition, it is analyzed that economic variables, stock of the states, and foreign exchange rate have the big correlation in the correlation analysis of stock and purchase of foreigners. Reflecting this, it is concluded that after capital liberalization, the position and effect of foreign investors is enlarged and the effect of foreign exchange rate and stock of the states has been increased together. On the other hand, through analysis of purhcase of foreigners, correlation for prices, economic variables, and export shows the increase. This point shows that foreign investors do the purchase of stocks considering economic situation, inside value of enterpirse and etc. Lastly, the liberalization of stock market is furthering the relation between international and domestic financial market. And this result provide us the point that the domestic economic variables affect the move of foreigner investment and vice versa. Persuit of this study, we conclude that the government must lay much of attention on the capital move of foreigner investment and its effect more closely while doing the economic policy.

      • 외국인의 주식투자에 관한 기술적분석

        조병수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2

        한국 주식시장은 외국인 자본자유화 개방 이후 고도의 질적, 양적 성장을 하였다. 자본개방의 초기에는 단기적인 증시부양책으로 외국인 투자한도 확대를 통하여 주가의 상승을 기대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자본자유화가 완전히 시행된 1992년 이후에는 주식시장의 전체적인 상승보다는 외국인 투자 선호주만 상승하는 주가 차별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한국 주식시장에서 외국인의 주식투자현황과 그에 따른 종합주가지수의 상승하락관계, 개별 주식들의 주가 동향을 살펴보았고, 외국인투자와 투자 종목의 수익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92년부터 한국 주식시장에서 2001년까지 10년간 순매수 기조를 유지해왔던 외국인투자자들은 한국 주식시장의 투자지표로서 인식될 정도로 영향력이 지대하다. 이에 외국인투자자들의 매수종목만 추격해서 매수하는 풍토도 생겨날 정도로 한국 주식시장은 외국인 투자자의 영향력하에 놓여있다고 하여도 지나친 말은 아닐 것이다. 1992년부터 외국인투자자들의 국내 상장주식시장에 대한 직접투자가 허용되면서 2002년 9월말까지 10년에 이르는 동안 외국인투자자의 한국 주식시장에서의 순매수는 업종전반에 걸쳐 이루어지기 보다는 소위 실적이 좋은 몇몇 우량한 기업에 국한되어 왔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삼성전자를 비롯하여 신세계, 현대차, 포스코 등 수출시장 및 내수시장에서 제품 경쟁력 및 시장 지배력을 가지고 있는 국내 업종내 1위 업체를 중심으로 매수하는 투자행태를 나타내었다. 무엇보다도 외국인 투자자의 매수종목의 특징은 부채비율이 낮은 재무우량기업이라는 데 가장 크나큰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실적이 뒷받침되면서 재무구조가 우량하고, 투명한 경영을 행하는 우량기업들에 투자를 집중시키는 반면, 개인투자자들은 저가 가격메리트가 형성되고 있는 종목이나 절대적인 규모의 매출 증가가 이루어지는 종목에 투자를 하는 상반된 투자 패턴을 보여오고 있다. 정보와 자금력면에서 국내 기관투자자나 개인투자자보다 훨씬 우월한 위치를 바탕으로 투자를 행하는 외국인 투자자의 투자패턴이 절대적으로 옳다고는 할 수 없으나 숫적인 측면이나 한국 주식시장에서 미치는 영향력을 생각할 때 주식투자는 외국인투자자의 매수세가 집중되는 실적이 우수하고 재무구조가 우량한 기업에 한정되어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stock returns and foreign investment flows by stock returns data and technical indicate. This paper also analyzes the trading activities of the foreign investors. In March 1992, Korean stock market opened the door toforeign direct investment. Since then, Korean government subsequently enlarged investment opportunity for the foreign investors. Foreign investors' holding position in Korean stock market increased from 4.13% in 1992 to 11.50% in 2002.9. and it tend to increase continuously. In terms of the amount of transaction money, foreign investors' position increased from 1.8% in 1992 to 10.90% in 2002.9. It is the second highest position among different investors only behind domestic private investors, and the influence of foreign investors on Korean stock market kept on increasing since th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is found that rational foreign investors showing stable demand patterns, are not likely to react to the short-run stock index market supporting policies and do not take into consideration of foreign economics. Besides, it is found that the investment demand is projected upon the stock market to the extent that economic indices reflect in the economy.

      • 외국인 주식투자가 국내 주가변동에 미치는 영향

        이세환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2

        국내 외국인 주식 투자비중은 전체시장의 1/3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외국인 등록자수 또한 매년 증가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즉, 국내 주식 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의 중요성과 영향력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외국인 주식투자 증가의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있으나 지금껏 일관된 주장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주식 투자가 국내 주가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주식보유와 주식거래의 경로로 구분하여 경제상황 및 제도적 변화를 구분하여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금융감독원 및 한국거래소, 한국은행에서 제공하는 1992년 ~ 2010년 사이의 월별 외국인 주식 보유 비중 및 외국인 주식 거래 비중자료와 종합주가지수를 이용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GARCH(1,1)모형과, EGARCH(1,1) 모형을 설정하여 추정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외국인 주식 보유와 국내 주가 변동성 사이에는 음(-)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국인의 주식보유가 국내 주가 변동을 감소시켰다. 외국인이 국내 주식을 보유함에 따라 국내 증시의 변동을 감소시켰고 이는 투자자 층이 한층 더 두터워지는 짐에 따라 국내 증시의 환경을 개선시키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위기 발생 기간 동안 외국인 투자자는 국내 주가변동성을 줄이는데 상당히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외국인 주식거래의 증가는 경제상황별로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분석 전 기간에 대하여 외국인의 주식거래는 국내 주가변동을 확대시켰으나 외국인 주식투자에 대한 규제가 폐지된 이후부터 현재까지는 주가변동성을 축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위기 기간 동안 외국인의 주식거래는 국내 주가변동을 확대 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외국인 주식투자는 주식보유적인 면에서는 구분된 전 분석기간에 대해서 국내 주가변동을 감소시켜 국내 증시를 안정시켰지만 거래적인 면에서는 경제적인 상황별로 주가변동을 확대시키기도 하고 주가변동을 감소시키기도 하는 등 상황별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외국인 주식투자에 대한 규제가 폐지된 이 후 국내로 진입한 외국인 투자는 주식보유 및 주식거래적인 면에서 모두 국내 증시를 안정화시키는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증시의 발전을 위해 해외자본의 유치를 장려하고 해외 투자자들의 장기적인 투자를 위해 국내 증시 개선의 자구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외국인 주식투자와 거래에 대한 제도의 정비와 원활한 거래 환경 조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