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시대 미술에 나타난 비의식적 신체경험과 정동의 공감각

        이재원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Focusing on the researcher's body experience, this paper analyzes the initiation process of the work and the sensory characteristics arising from the experience of the work, centering on the concept of affect.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and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r's work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sensory communication at the pre-individual level according to the non-conscious tendency of the responding body. The researcher's work intends and expresses the multilayered sensory operation inherent in bodily experience so that it can be directly felt and thought about in the experience of the work, outside the framework of conceptual perception. The sensory quality of bodily experience, which this paper aims to address, is the perception of feeling that is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body's unconscious areas prior to perception. In other words, it is a feeling of self-awareness that perceives the variation of the body in affect and being affected. As a potential that constitutes the totality of experience, it is the origin of sensation. Therefore,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affects is analyzed, and the sensory qualities that arise in the experience a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impact on the initiation process of the work in relation to the affec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ce felt by the viewer in terms of the receptive aspect of the work. Affect has been actively stud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philosophy, neuropsychology, cognitive neuroscience, and cultural theory under the umbrella of the 'affective turn'. Brian Massumi (1956-), through Baruch Spinoza (1632~1677) and Gilles Deleuze (1925~1995), places the body at the center of perception and considers affects as the source of experience as the occurrence of emotions, sentiments, and feelings from an empiricist perspective. In order to deal with the affective as a major concept in the analysis of artworks, we will examine the development of affect theories that are actively discussed today and examine Deleuze's conceptualization of the affective. Deleuze defines affects as a system of unconscious transformations that occur during bodily performance, referring to all non-representational modes of thought. Based on this, Masumi's article "The Autonomy of Affect" inferred the actual appearance of affect in neurological cases and examined the bodily movements related to sensation as the source of affect. The sensory qualities that arise from experience, which can be identified through this, are affects as potentials stored in the body and feelings of variation in the body as arising from superposition with experience. The affective autonomy that Masumi emphasizes is the possibility of affective communication at the pre-individual level, before it is conceptualized through the perception of a responsive body. Therefore, the "experienced abstract technology" that Masumi advocates as the ability to see virtuality is presented as a tool of communication and a solidarity alternative. From this perspective, the sensory encounter point of the researcher's work is examined as a possibility to communicate and encounter the virtuality of others outside of the conceptual world perception. The contemporary world is a mixed ecosystem of analog and digital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bodily experiences are expanding the horizons of perception under the influence of technological media. New technological media become an opportunity to expand thinking and experience from the habitual perception of existing perceptual experiences. Therefor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affective, we examine the unconscious aspects of bodily experience through technology. The mechanical gaze of the camera reveals aspects of reality that are excluded by consciousness. In his theory of the medium, Walter Benjamin (1892-1940) refers to the "visual unconscious," and Roland Gérard Barthes (1915-1980) defines the traces of photography and the feeling of the body's unconscious sensory workings as the "punctum" concept. Mechanical sensors that mimic human sensory perception can also detect sensations that humans cannot. From Spinoza's concept of 'coatuns', the work of knowing at the cellular level of an object is linked to works that use sensors to examine the actual movement of sensation. The concept of the 'uncanny' in a place is a sense of self-acceptance where the body knows that it is its own, examining the non-conscious aspect of the body's autonomous sensation. Art is inevitably created and enjoyed in a relationship of mutual influence, and as such, it reveals the way our bodies see the world, both as perceivers with affective implications and as affective entities. Therefore, in Chapter IV, the case studies of the leading artists are analyzed in terms of the affective tendencies of bodily experience from the receptive side of the audience. Three affective indicators are categorized in terms of the receptive and generative aspects of the experience. 'Strategies of doubling' focuses on the strategic use of duality in perceptual experience in the works of Roni Horn (1955-) and Alicja Kwade (1979-). "Microperceptual Shocks" examines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resonance of the viewer through microperceptual perceptions invisible to normal perception in the works of Bill viola (1951-) and Rachel Whiteread (1963-) due to the effects of their respective media. "Synesthesia in Virtuality" explores the experience of synesthetic body perception in the realm of "relational architecture" and self-acceptance in the works of Rafael Lozano-Hemmer (1967-) and Antony Gormley (1950-). Each of the preceding works invites the viewer to perceive the body's performative sensations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work. The sensory qualities perceived in the works are examined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sensation of embodied non-conscious bodily experience. The analysis of the researcher's works follows a chronological flow, focusing on the researcher's experience and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the works. Starting from 2015, the works from <Self-Portrait> to 《RETOPOLOGY》 a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affect. The researcher's experience at the beginning was a trigger to break the framework of conceptual perception, and it is deeply related to the shift in thinking in conceiving and expressing subsequent work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non-conscious operation of the affective level of bodily experience by examining the background experience as a basis for thought in the process of initiating the work. In addition, the sensory quality felt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work from the receptive side of the audience is analyzed with affective indicators. In doing so, we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the researcher's work can function and communicate as a 'technology of relationship' through the perception of the affective body as the ability to see the virtuality that the researcher intends. From an affective perspective, the researcher's work is a resonant body that is generated by the materialization of potential thoughts reserved from experience and encountered with the present. The composite fulfillment of these experiences and the body forms art and creates life. The resonance meets the viewer and opens the door to virtuality, which stimulates the imagination and allows the viewer to see the other side of the experience. Therefore, this paper treats the analysis of the researcher's work as a process of finding the grounds of thought on the foundation of experience, and reveals that affect, which is the source of feeling and emotion, is the principle of the occurrence and generation of the researcher's work and the basis of sensory encounter. In addition, the recognition of affects in contemporary ecological environments is the ability to see through 'virtuality',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material and informational communication prior to notions t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본 논문은 연구자의 신체경험에 주목하여 정동(affect)개념을 중심으로 작업의 발단과정과 작품체험에서 발생하는 감각적 특성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연구자 작품의 구조적, 형식적 특성을 이해하고, 감응하는 신체의 비의식적 경향성에 따라 전개인적 차원의 감각적 소통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자의 작업은 신체경험 속에 내재된 다층적 감각의 작동을 작품의 체험에서, 관념적 인식의 틀을 벗어나 직접적으로 느끼고 사유할 수 있도록 의도하고 표현한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하는 신체경험의 감각적 질이란, 지각 이전에 신체의 비의식적 영역의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느낌에 대한 지각이다. 다시 말해 정동하는 신체의 이행을 지각하는 자기-지각의 느낌이다. 경험의 전체를 이루는 잠재적인 것으로서 정동은 감각작용의 기원이 된다. 따라서 정동을 개념적으로 파악하고, 경험에서 발생하는 감각적 질이 정동과의 관계에서 작업의 발단과정에 미치는 영향과 작품의 수용적 측면에서 관객이 느끼는 체험에서의 특성을 분석한다. 정동은 ‘정동적 전회(affective turn)’라는 큰 흐름 속에 철학, 신경심리학, 인지신경과학, 문화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브라이언 마수미(Brian Massumi, 1956~)는 스피노자(Baruch Spinoza, 1632~1677)와 들뢰즈(Gilles Deleuze, 1925~1995)를 경유하여 인식의 중심에 신체를 위치시키고 경험주의적 관점에서 감정·정서·느낌의 발생으로써 경험의 근원을 이루는 것으로 정동을 사유한다. 정동을 작품분석의 주요개념으로 다루기 위해, 오늘날 적극적으로 거론되는 정동이론의 전개과정을 살피고, 들뢰즈의 정동에 대한 개념규정을 고찰한다. 들뢰즈는 관념과 대립하여 정동을 비재현적 사유양식 모두를 지칭하는 것으로 신체가 이행하는 가운데 발생하는 비의식적 변이의 체제로 규정한다. 이를 근거로 마수미의 「정동의 자율(The Autonomy of Affect)」 논문에서 신경학적 사례에서 나타나는 정동의 실재적 모습을 유추하며, 정동을 근원으로 감각작용과 관련한 신체의 운동을 조망한다.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경험에서 발생하는 감각적 질이란 신체에 비축된 잠재적인 것으로서의 정동이, 경험과의 중첩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신체의 이행에 대한 느낌이다. 마수미가 강조하는 정동적 자율은 감응하는 신체의 인식을 통한 관념 이전의 전개인적 차원의 정동적 소통 가능성이다. 따라서 마수미가 주장하는 가상성을 보는 능력으로서 ‘체험된 추상의 기술’은 소통의 도구이자 연대적 대안으로 제시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연구자 작업의 감각적 조우의 지점은 관념적 세계 인식의 바깥에서 타자의 가상과 소통하고 마주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살펴본다. 동시대는 기술의 발달로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혼재한 생태를 이루고 있는바, 신체경험은 기술미디어의 영향 하에 인식의 지평을 넓혀가고 있다. 새로운 기술매체는 기존의 지각 경험에 대한 습관적 인식으로부터 사고와 경험의 확장의 계기가 된다. 따라서 정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술을 통해 신체경험의 비의식적 측면을 조망한다. 카메라의 기계적 시선은 의식에 의해 배제된 현실의 이면을 드러내 보여준다. 벤야민(Walter Benjamin, 1892~1940)은 그의 매체이론에서 ‘시각적 무의식’으로 통찰하며, 사진의 흔적과 신체의 비의식적 감각작용에 대한 느낌을 바르트(Roland Gérard Barthes, 1915~1980)는 ‘푼크툼(punctum)’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인간의 감각적 지각능력을 모방하여 만든 기계적 센서들은 인간이 감지하지 못하는 종류의 감각을 감지하기도 한다. 스피노자의 ‘코나투스(Coatuns)’ 개념으로부터 개체의 세포적 수준의 앎의 작용을 센서를 사용하는 작품들과 연계하여 감각작용의 실재적 움직임을 살펴본다. 장소에서 느끼는 ‘두려운 낯섦(uncanny)’의 개념은 신체가 자기 자신임을 아는 자기수용감각에 의한 것으로 신체의 자율적 감각작용의 비의식적 측면을 고찰한다. 예술은 필연적으로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성 안에서 창작되고, 또한 향유된다. 따라서 예술은 정동을 함축하는 지각체이자 정동하는 독립적 개체로서 우리의 신체가 세상을 보는 방식을 드러내 보여준다. 그러므로 Ⅳ장에서 선행작가 사례연구는 관객의 수용적 측면에서 신체경험의 정동적 경향성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경험의 수용과 발생의 측면에서 세 가지 정동적 지표로 구분하였다. ‘이중화의 전략’은 로니 혼(Roni Horn, 1955~)과 알리샤 크바데(Alicja Kwade, 1979~)의 작품에서 전략적으로 취하는 지각경험에서의 이중성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미시지각적 충격’은 빌 비올라(Bill viola, 1951~)와 레이첼 화이트리드(Rachel Whiteread, 1963~) 작품에서 각 매체의 효과에 의해 일반적 지각에서 볼 수 없는 미시지각적 인지를 통해 관객의 심리적, 감정적 공명을 살핀다. ‘가상성의 공감각’은 라파엘 로자노-헤머(Rafael Lozano-Hemmer, 1967~)와 안토니 곰리(Antony Gormley, 1950~)의 작품에서 ‘관계적 건축’적 요소와 자기수용감각의 영역에서의 공감각적 신체인지의 체험을 다룬다. 각 선행연구 작품들은 관객이 작품체험을 통해 신체의 이행하는 감각을 지각하도록 이끈다. 작품들에서 느껴지는 감각적 특성들은 복합적으로 작동하며 비의식적 신체경험의 이행의 느낌을 이해하는 근거로서 고찰한다. 연구자의 작품분석은 연대기적 흐름을 따라 연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작품의 발생경로를 톺아본다. 2015년을 기점으로 <자기증명의 초상> 작업부터 《리토폴로지》까지의 작업들을 정동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기점이 되는 연구자의 경험은 관념적 인식의 틀을 깨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 작업을 구상하고 표현하는데 사고의 전환과 깊게 관계한다. 그러므로 작업의 발단과정에서 사유의 근거로 배경이 되는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신체경험의 정동적 수준의 비의식적 작동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관객의 수용적 측면에서 작품체험을 통해 느껴지는 감각적 질을 정동적 지표들로 분석한다. 이로써 연구자가 의도하는 가상성을 보는 능력으로써 정동하는 신체의 인식을 통해 연구자의 작품이 ‘관계의 기술’로 작동하고 소통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늠해본다. 정동의 관점에서 연구자의 작품은 경험에서 비축된 잠재적인 사유가 물질로 생성되며, 현재와 만나 발생하는 공명체이다. 이러한 경험과 신체의 복합적 이행은 예술을 형성하고 삶을 이룬다. 공명체는 관객과 만나 상상을 자극하고 경험의 이면을 보게 하는 가상성의 문을 열어준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연구자 작품의 분석을 경험의 토대위에서 사유의 근거들을 찾는 과정으로 다루며, 느낌과 정서의 근원이 되는 정동이 연구자 작업의 발생과 생성의 원리이자, 감각적 마주침의 기초로 작동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와 더불어 동시대 생태환경에서 정동에 대한 인식은 ‘가상성’을 투시하는 능력으로써, 우리가 주목해야할 관념 이전의 물질적이고 정보적인 소통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 김수영 시의 정동과 주체화 과정 연구

        이미경 충남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김수영의 시 세계에 내재된 정동적 차이를 구분하고 그 양태를 고구하여, 그의 시가 더 큰 잠재를 끄집어내고 존재력을 강화하는 주체의 되기 과정임을 규명하는 일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통해 정동이 김수영의 시를 구축하는 핵심 원리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본고는 스피노자에서 들뢰즈, 마수미로 이어지는 정동 이론을 원용하여, 김수영 시의 상호텍스트성을 바탕으로 핵심 이미지를 찾아 분석하고, 상황의 변화에 따라 활성화된 정동의 양태를 고구하였다. 정동의 관점에서 김수영의 시를 보았을 때, 그의 전체 시 세계는 그 정동적 색조에 따라 설움, 기쁨, 고독, 사랑의 시기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본고는 김수영 시에 나타나는 이러한 정서를 각각의 상황 속에서 시적 주체가 발견한 풍경의 경험으로부터 발생된 강렬도에 생긴 감정적 상태로서의 특질로 간주하고, 시의 이미지 분석을 통해 그 실제적 측면과 함께 그것에 잠재해 있는 측면을 고찰함으로써 김수영 시의 정동을 연구하였다. 설움은 해방 공간과 전후 공간의 시기에 창작된 시들에게서 나타나는 주요한 정서이다. 기쁨은 김수영이 서강으로 이사한 1955년 무렵부터 4·19혁명 이전 무렵까지의 시기의 시들에게서 나타는 주요한 정서이다. 고독은 4·19혁명을 전후하여 「거대한 뿌리」(1964) 이전까지의 시들에게서 나타나는 주요한 정서이다. 마지막으로 사랑은 「거대한 뿌리」(1964)부터 김수영의 마지막 시「풀」(1968)에 이르는 시들에게서 나타나는 주요한 정서이다. 각 시기의 시들에서 시적 주체는 이러한 정동적 색조 속에서 자신이 발견한 풍경 속으로 들어가, 현실을 잠재의 차원에서 사유하며 되기의 과정을 이루어간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얻게 된 중요한 결과는, 정동의 활동 양태에 따라 김수영 시의 체계가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다. 각각의 상황에서 우선, 김수영의 시는 상황에 연루된 시적 주체가 자신이 발견한 풍경을 감각하는 데서 발생된 수동 정동(정념)을 표현한다. 그러나 그의 시는 거기에 그치지 않고, 그러한 수동 정동을 생각하기-느끼기를 통해 자신이 맺고 있는 관계가 어떻게 일치하거나 불일치하는지 이해하는 과정을 표현함으로써 시적 주체의 행동 능력이 증대되어 감을 보여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의 시는 이러한 시적 사유의 과정에서 스스로 창조한 새로운 삶의 형태로서의 실존 가치가 무엇인지 표현한다. 이렇게 김수영 시가 가지고 있는 내적 체계는 김수영 시가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니도록 한다. 첫째, 김수영의 시는 자기형성으로서의 시로서, 시적 주체는 기존의 질서와 고정 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움을 창조해가는 되기의 주체이다. 둘째, 김수영의 시에 내재된 모순과 대립, 균열들의 요소는 시적 주체의 잠재를 강렬화하고 새로움의 질을 특징짓는다. 셋째, 김수영의 시에 내재된 운동성은 현실을 잠재의 차원에서 바라봄으로써 혼돈을 불러일으키고, 그 혼돈으로부터 새로움을 창조하고자 하는 방향성을 갖는다. 때문에 김수영의 시 세계는 부정성과 긍정성 모두를 상호 포함하고 있다. 요컨대, 김수영의 시 세계는 더 큰 잠재를 끄집어내고 존재력을 강화하는 주체의 되기 과정에 대한 표현이다. 그러므로 정동은 김수영의 시의 체계를 구축하는 본질이자 핵심 원리로 작용한다. 이때 김수영 시의 주체는 상황 속에 잠복해 있는 특이성을 불러일으키는 내적 사건들을 촉매하는 몸-주체로서, 그의 시는 의미화 주체가 형성하는 지각과 정서를 재현하는 장이 아니라, 의미화 주체를 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린 관계 속에서 사유하는 표현의 장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ffective differences inherent in Kim Soo-young's poetry world and to identify that his poetry is a process of becoming a subject that brings out greater potential and strengthens its existence. And through these studies, I tried to clarify that affect is the core principle of constructing Kim Soo-young's poetry. In order to carry out these studies, this paper used the theory of affect from Spinoza to Deleuze to Massumi to find and analyze key images based on the intertextuality of Kim Soo-young's poetry, and to go back to the mode of affect that was activa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circumstances. When looking at Kim Soo-young's poetry from the perspective of affect, his entire world of poetry can be broadly divided into periods of ‘Sadness’, ‘Joy’, ‘Solitude’, and ‘Love’ according to its affective color. This paper regards these emotions in Kim Soo-young's poetry as characteristics of the emotional state arising from the experience of the landscape discovered by the poetic subject in each situation, and studies the affect of Kim Soo-young's poetry by examining the practical aspects and the aspects latent in them through image analysis of the poem. Sadness is the main emotion that appears in poems created in the period of liberation space and postwar space. Joy is the main emotion that appears in poems from around 1955, when Kim Soo-young moved to Seogang, to before the April 19 Revolution. Solitude is the main emotion that appears in poems before and after the April 19 Revolution, before and after the 「Giant root」(1964). Lastly, love is the main emotion that appears in poems from 「Giant Root」 (1964) to 「Grass」 (1968), Kim Soo-young's last poem. In the poems of each period, the poetic subject enters the landscape he finds in this affective color tone and proceeds to think about reality from the potential level. An important result obtained through these studies is that the system of Kim Soo-young's poetry is being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behavioral patterns of affect. In each situation, first of all, Kim Soo-young's poetry expresses the passive affect generated by the poetic subject involved in the situation who senses the landscape he discovered. However, his poetry does not stop there, and shows that the poetic subject's ability to act is increased by expressing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how the relationship he has is consistent or inconsistent through thinking and feeling such passive affect. And finally, his poetry expresses what existential value is as a new form of life he created himself in the process of poetic thinking. In this way, the internal system of Kim Soo-young's poetry allows Kim Soo-young's poetry to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Kim Soo-young's poetry is a poem as self-formation, and the poetic subject is the subject of creating newness away from the existing order and stereotypes. Second, the elements of contradictions, confrontations, and cracks inherent in Kim Soo-young's poetry intensify the potential of the poetic subject and characterize the quality of newness. Third, the mobility inherent in Kim Soo-young's poetry evokes confusion by looking at reality from a potential level and has a direction to create newness from the chaos. Therefore, Kim Soo-young's world of poetry contains both negativity and positivity. In short, Kim Soo-young's poetry world is an expression of the process of becoming a subject that brings out greater potential and strengthens its existence. Therefore, affect acts as the essence and core principle of constructing Kim Soo-young's poetry system. At this time, the subject of Kim Soo-young's poetry is a body-subject that catalyzes internal events that evoke the specificity lurking in the situation, and his poetry is not a place to reproduce the perception and emotion formed by the semantic subject, but a place of expression that thinks about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the semantic subject in an open relationship. Keywords: affect, difference, subjectiveization, virtual, presence, subject, becoming

      • 미술 교육에서 정동(情動)에 대한 연구

        배한얼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미술 교육에서의 정동의 중요성과 그것을 함양하는 방법에 관한 글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초등학교 학생들의 미술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어떻게 정동을 이끌어내는지에 대한 교수․학습 방법과, 그것이 학생들에게 어떠한 구체적인 교육적 효과를 갖는가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성과 감정에 대한 전통적인 이분법적 구분을 극복하고자 이성의 인지를 포함하는 정동의 특성을 확인하면서 정동적 접근에 대해 구체적 교수·학습 방법과 그 사례를 알아보았다. 정동이라는 개념은 바뤼흐 스피노자(Baruch de Spinoza), 질 들뢰즈(Gilles Deleuze), 브라이언 마수미(Brian Massumi) 등의 철학자들에 의해 논의되고 연구되었다. 그러나 초등학교를 포함하는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학생들에게 정동을 불러일으키게 할 것인지, 정동이라는 요인을 어떻게 수업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자는 본 실행 연구에서 연구자가 가르치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 23명을 대상으로 미술 수업을 하면서 그들에게 정동이 미치는 효과를 심층 묘사하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동은 칸트의 숭고, 경이와 맥락을 같이 하고 기호로서 학습자에게 새로운 배움과 사유를 촉발한다. 둘째, 정동은 준-인과적으로 작용함으로써 결과의 예측불가능성과 개연성을 포함한다. 셋째, 정동은 학습자를 동질화하는 교육이 아닌, 학습자가 지속적으로 차이를 생성하는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정동의 효과는 생활지도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학생이 교사에게 배우고자 하는 의지와 교사에 대한 존경심이 필요하다. 다섯째, 학습을 장려하는 학급 분위기가 정동의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교사가 학급을 경영할 때 학급의 분위기를 어떻게 이끌어갈 것인지에 관하여 심도 깊은 전략을 세우고 실행하여야 함을 암시한다. 여섯째, 정동은 학습자들이 미술의 개념을 열린 개념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돕는다. 결과적으로 정동을 통해 학습자는 낯설고 기괴한 미술 작품을 거부감 없이 받아들일 수 있게 되어 학생이 새로운 독특성과 다양성을 창조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This study is on the importance of affect in art education and how to cultivate it. More specifically, it is a study regarding how to initiate a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rt classes and specific educational effects for students. In this study, in order to overcome the traditional dichotomy of reason and emotion, I examine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affective approach. This includes cognition of reason and the role it plays in affect. The concept of affect was discussed and studied by philosophers such as Spinoza, Deleuze, and Massumi, howev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is a lack of detailed research on how to make students invoke affect in the school field including elementary school and how to utilize the factor of affect effectively in class.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conducted an art class for 23 elementary school fifth grade students who were taught by the researcher. The researcher deeply portrayed and interpreted the effects of affect on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fect is inextricably linked with Kant's sublime, wonder, and generates new learning and thinking for learners. Second, affect involves unpredictability and probabilistic outcome by acting quasi-causally. Third, affect allows education to make learners’ differences consistent, not to make learners be homogenized. Fourth, the effects of affect can be amplified by student guidance. To use affect to promote student learning, students need a willingness to learn from the teacher and respect for the teacher. Fifth, the class atmosphere that encourages learning can strengthen the effects of affect. And it implies that the teacher should set and implement an in-depth strategy on how to direct the atmosphere of the classroom when managing the class. Sixth, affect helps learners to accept the concept of art as an open concept. As a result, this can make students accept unfamiliar and bizarre works of art without any objection, and help learners create new singularities and diversity.

      • 애니메이션의 정동-이미지 : 〈유미의 세포들〉(2021),〈인사이드 아웃〉(2015), 〈메이의 새빨간 비밀〉(2022)

        양우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영화철학에 따라 영화가 보여주는 정동-이미지와 다르게 표현되는 애니메이션의 정동-이미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들뢰즈의 정동-이미지에 관한 철학 이론은 고전 영화에 대하여 제시한 것이다. 21세기에 들어와 사회와 기술이 모두 빠르게 발전하고 매체 환경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배경에서 이 이론의 대상이 영화영상에서 애니메이션으로 바꿀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이러한 변화가 실현되는 전제로 애니메이션이 보여주는 정동-이미지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를 본 논문에서 주목하고 주로 논술할 것이다. 정동-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는 애니메이션이 흔하지 않지만 보여주는 방식의 관점에서 다른 예와 다른 점이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정동과 정동-이미지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 그리고 애니메이션과 관련된 이론에 대해 개괄적으로 관찰한다. 그중에서 들뢰즈의 영화철학, 즉 정동이론과 정동-이미지를 이론적인 바탕으로 한다. 그다음은 구체적으로 <유미의 세포들> <인사이드 아웃> 그리고 <메이의 새빨간 비밀>이 세 편의 애니메이션 작품을 위주로 앞서 언급한 문제를 맞춰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매체의 특수성 때문에 그들이 보여주는 정동-이미지의 특유성을 탐구해 보았다. 셋째, 애니메이션에서 보여주는 정동-이미지와 영화가 다르다는 것을 논술하는 바탕으로, 마수미의 정동 이론을 기초로 애니메이션 속 감정과 정동의 구분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본 논문은 정동 이론을 애니메이션 이러한 매체와 연결하기를 통해 수많은 애니메이션 작품 중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세 작품을 선택해 그들은 표현하는 정동-이미지를 구체적인 분석한다. 또한 세 편 애니메이션에서 보여주는 정동-이미지가 영화와의 다른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정동-이미지의 특성, 즉 시각화를 개괄하였고 애니메이션의 정동-이미지가 이론화하는 것을 실현한다. This thesis aims to discuss the affection-image in animation, which is different than that presented in film, in light of Gilles Deleuze’s cinematic philosophy. While Deleuze’s theory on affection-image was proposed targeting classical cinema, in the context of the 21st century, where the media environment is constantly changing thanks to the rapid development of society and technology, there seems to be a possibility that the target of his theory may shift from movie to animation. In order to realize such a shift, what exactly the affection-image displayed through animation is? This is the problem that the thesis will primarily grapple with. Although affection-images presented via animations are by no means rare, there exist special cases distinct from the majority in terms of the ways they are presented. The thesis will first synthesize the fundamental theories on affect and affection-image along with the relevant animation theories. Amongst all these theories, Deleuze’s cinematic philosophy of affection and affection-image will serve as the main theoretical basis. Second, the thesis will delve into three animations, i.e., Yumi’s Cells, Inside Out, and Turning Red, analyzing them with regard to the aforementioned problem and attempting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ffection-image in animation that result from the uniqueness of the media. Third,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affection-image in animation and that in movie, the thesis will carry out an in-depth exploration of the distinction between emotion and affection as presented in animation through the prism of Brian Massumi’s affect theory. By means of linking the theories on affect to the media of animation, picking three specific works that share common features out of numerous animations, and meticulously analyzing the affection-images in them, this thesis will show how they are different from the affection-images in movies and sum up the major characteristic of affection-image in animation as visualization in the hope of theorizing the subject.

      • 도심 속의 섬 정동의 열림을 통한 소통의 제안

        전현주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정동은 도심 한가운데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존재가 뚜렷하게 인식되고 있지 않은 지역 중 한곳이다. 조선왕조 개국 이래 뚜렷한 족적을 남긴 바 없는 정동이 우리의 삶 속에 들어온 것은 개항이후 외세의 개입이 그 시작이었으나, 한일합방과 함께 서양인의 거주처로 인식되면서, 일본의 간섭을 그다지 받지 않았을 뿐 아니라, 해방이후에도 외국공간의 전용지역처럼 인식되면서, 다시 우리의 인식 범위 밖의 섬으로 존재해왔던 지역이다. 이렇게 우리 밖에 존재하던 정동이 서울 시민에게 새로운 존재로 부각되기 시작한 것은 공교롭게도 100여년전 서울에 외국공관이 입지하던 상황과 매우 유사하다. 유서 깊은 하남호텔 터에 캐나다대사관 신축계획이 발표되면서, 문화재 보호법에 저촉되는 신축건물에 대한 특혜요구가 범시민적 반발을 초래하였고, 연이어 경기여고 이적 지에 미국대사관과 직원숙소의 신축 계획이 현행 관련 법규를 무시하는 상황 속에 진행되면서 서울시민의 정동보호 움직임이 가속화되었다. 사실 대법원이 강남구 서초동으로 이전하면서, 정동은 서울 시민의 품으로 돌아올 준비를 하고 있었다. 고도 경제성장기를 거치면서 우리 삶에서 배제되었던, '삶의 질'과 '문화'에 대한 인식이 우리문화보호를 위한 범시민적 움직임으로 확산되어가던 시점에서 불거진 캐나다 대사관과 미국대사관문제는 정동에 온 국민의 시선을 집중시키면서, 정동보호움직임이 탄력을 받는 전화위복의 계기가 된 셈이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정동은 이러한 우리문화를 보존하고자하는 시민운동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엄연히 서울의 중심지에 있으면서도, 한번도 우리가 주인이 되어보지 못한 땅에 대한 관심의 시작이자, 건축을 전공하는 사람으로서 우리의 도시와 건축에 대한 최소한의 역할에 대한 자임이기도 한 셈이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정동의 물리적인 범위는 태평로와 새문안길 그리고 서소문로와 서대문성벽안쪽에 위치하는데, 이는 정동의 행정적인 범위와는 다소 차이가 나지만 중요한 것은 우리가 인식하는 정동이기 때문에 행정경계보다는 인식경계를 기준으로 삼았다. 본 논문의 진행은 정동이 우리의 인식밖에 존재하는 원인을 규명하는 작업을 시발점으로 정동의 시설분포와 시민의 접근성을 분석하였으며, 역사적으로 정동의 도시구조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현황분석과 역사적인 도시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 그리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정동주변의 변화양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정동이 우리의 인식범위 안으로 들어올 수 있는 전체 틀을 구성하였으며, 이에 따라 가장 시급하다고 판단되는 구세군본영 주변에 대한 계획시안을 마련하였다. 본 논문을 진행하면서 새롭게 밝혀진 것은 정동이 우리의 인식밖에 존재하는 이유가 단순히 외국공간이 다수 존재하는 사실에 있는 것만은 아니라는 점을 밝힐 수 있었다. 물리적으로 정동을 점유하고 있는 시설의 많은 부분은 교육시설(이화여고, 예원학교, 덕수초등학교 등)과 종교시설(정동제일교회, 한성교회, 성공회성당 등)이었으며, 이들 시설의 공통점은 외국공관과 함께 특정계층(학생과 종교신자 및 외국인들)만이 제한된 시간대에 활용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며, 간선도로 주변은 재개발로 인해서, 개발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고층사무소건축이 입지함에 따라, 정동을 가시적인 인지범위에서 사라지게 만들었던 것이다. 우리나라 근대교육사에 큰 족적을 남긴 배재학당이 강남으로 이전하면서, 정동의 공공성이 회복될 수 있는 기회가 있었으나, 작은 공원정도만 조성하고 나머지는 사무소용도와 또 다른 외국공관이 입지하게 하는 우를 범하였다. 다행히, 최근에 대법원 이적지에 시립미술관이 입지하면서, 정동이 시민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정동의 도시구조와 현황에 대한 분석결과에 따라, 정동을 시민에게 열린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한 계획의 틀이 다음과 같이 마련되었다. 첫째, 소로의 회복문제다. 지난 100여년동안 정동의 도시구조는 도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모세혈관과 같은 소로가 점차 사라졌는데, 지활성화를 위해서는 인근 지역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소로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둘째, 특정시간대의 특정계층이 이용하는 정동에서 모든 이에게 상시로 접근이 가능한 기능의 배분이다. 이는 물리적으로 다수 존재하는 시설군의 개방을 유도하고, 정동의 전지역을 문화시설의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써 시민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전체 틀에 따라, 정동의 도시구조에 대한 재활프로그램을 마련하였으며, 본 논문에서 시안을 제시하는 구세군 본영지역은 청소년을 위한 국제문화교류센터는 전체 틀의 일환으로 계획되었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구세군 본영 지역의 청소년을 위한 국제문화교류센터는 근대시기 외래 도시문화 발원의 중요한 역사적 근거지라는 정통의 지역특성을 살리고, 점차 축소 되어가는 도심지 주거기능과 함께 왜소화 되어가는 인접 초등학교의 시설군과의 연계를 통해 정동이 서울과 소통할 수 있는 지역으로 재활되어 정동을 시민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는 계획안으로 제시되었다. Despite its location in the center of the city, Jeong-dong is one of the areas that is not recognized as a significant existence. It was only after foreign influence since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that it became known. Since then, it had been recognized as an island district, beyond our peoples’recognition, through its cognizance as a residential area exclusively for foreign nationals, untouched by the Japanese during the annexation era, and even after Korea’s independence from Japan. Coincidentally, as was over 100 years ago, Jeong-dong has only come to our attention after the establishment of foreign legations in this area. When the Canadian Embassy made public the plan to build their Embassy where a historical hotel had once stood, movement against the request for preferential treatment by the Canadian Embassy - for this area is protected by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 rose intensely. The Americans successively announced their plan to build the U.S. Embassy and diplomatic residences where Kyounggi Girls' High School plot, and progressing construction disregarding the Korean laws and regulations, and this caused even more strenuous civic movements by the Koreans to protect Jeong-dong. With the transfer of the Supreme Court to the Gangnam area, Jeong-dong was about to return to the arms of Seoulites, as it was well meant to be. The awareness of quality of life and culture that had been ignored upon the effort to rapidly improve our national economic status, is now receiving attention through earnest civic movements that are continuing to rise. The matter of Canadian and American Embassies attracted public gaze which turned into a blessing, for it became an opportunity to invigorate the civic movement in which to protect Jeong-dong. This thesis intends to uncover the movement initiated by non-governmental groups that intend to preserve Jeong-dong as a cultural artifact. Also, it will be discussed here, in the perspective of a student of architecture, the beginning of interest in an area located in the heart of Seoul still not under our control, and of the minimum role we must play. The physical area under discussion include Taepyeongno, Saemunangil, Seosomunno, and inner walls of the old city.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administrative and physical district of Jeong-dong covered in this thesis, but the perceptive boundary was used since it has more significance than the administrative delineation. This thesis progresses by closely examining the causes which resulted in the falling out of Jeong-dong from our attention. Composite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s is performed on its facilities distribution and accessibility, on top of the analysis of specific changes of the city that resulted in the current situation. With such situation in mind, a tentative plan for the Salvation Army Hall and its vicinity is presented. While advancing this thesis the reason for Jeong-dong's unperception was not only in foreign legations. Many schools and religious facilities had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the legations that they also had specific set use these facilities at limited times. The following frame was planned to make Jeong-dong open space for the citizen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ity structure and present conditions. Firstly, restoration of allies. During the last 100 years, the small allies and narrow paths that vitalize the city like a capillary vessel disappeared from the city structure of Jeong-dong. To vitalize this area such allies are needed to easily approach nearby areas. Secondly, in Jeong-dong where only specific set uses specific areas at specific times there is a need for distribution of functions so anybody can access it at any times. This is made possible by inducing institutional complexes to open physically and networking cultural facilities in Jeong-dong therefore making this area accessible to the public According to the frame of above statements, reestablishment program for the city structure of Jeong-dong was planned and the tentative plan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Center for Youth of the Salvation Army Hall and its vicinities was designed as a part of this structure. The blueprint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Center for Youth of the Salvation Army Hall and its vicinities is presented to give life to the areal character as the origin of foreign urbanization in the modern era and through associating with nearby elementary school complex Jeong-dong is reestablished by circulating with the city Seoul therefore making it accessible to the citizens.

      • 개화기 사진을 통한 정동일대 경관 연구

        남수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개화기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는 정동을 당시 서구인들이 남긴 사진을 통해 현재 정동일대 경관의 변화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개화기 사진 4장의 시점장으로 추정되는 곳에서 당시의 모습과 동일하게 촬영한 후, 수직과 수평 1 : 1 비교하여 시점장을 확인하고 촬영된 현재 경관과 개화기 사진 속 경관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개화기 사진 4장의 시점장은 아래와 같다. 사진 1. 정동일대와 덕수궁이 조망되는 Panorama 사진의 시점장은 서울시청별관(후생동건물)과 서울시립미술관 사이이며, 시점장의 높이는 지금보다 높았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진 2. 정동교회를 중심으로 정동일대가 조망되는 Panorama 사진의 시점장은 배재학당역사관(배재학당 동관)이 있는 언덕으로 당시 배재학당 마당으로 확인되었다. 사진 3. 정동교회와 그 일대 민가가 조망되는 사진의 시점장은 배재학당의 언덕과 연결되어 있던 언덕으로 추정되었으며, 현재 그 일대는 절토되어 교회 교육관이 들어서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진 4. 러시아공사관 일대가 조망되는 사진의 시점장은 창덕여자중학교 운동장과 이화여자고등학교 경계부분에 위치한 언덕으로 당시의 언덕 높이는 지금보다 높았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사진 4장의 시점장은 모두 정동 일대 언덕으로 확인되었다. 개화기 사진을 통해 현재경관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동일대와 덕수궁이 조망되는 Panorama 사진 1은 나머지 사진의 경관을 포함하고 있어, 이것을 통해 경관을 고찰한 결과 보존되고 있는 경관은 덕수궁의 중화 문, 덕홍전, 함녕전과 정동일대의 정동교회, 배재학당역사관, 미국공사관, 러시아공사관, 영국공사관이며, 변화한 경관으로는 덕수궁의 중화전, 덕수궁 남쪽 담, 덕수궁 내 서쪽에 있던 건물 자리와 현재 정동교회 일대와 시립미술관 입구 일대, 러시아공사관 입구 일대이다. 사라진 경관으로는 덕수궁의 구성헌, 조원문, 운교와 정동일대의 러시아공사관 입구에 위치했던 아치문으로 확인되었다. 변화되고 사라진 경관의 정확한 규모나 위치는 파악이 용이하지 않았다. 수집된 사진자료의 부족과 건물, 수목의 차폐로 사진촬영에 제한이 있었으며, 추후보다 다양한 사진자료가 화보되면, 이를 통한 경관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야 할 것이다.

      • 서울 정동길의 가로 디자인가이드라인에 대한 연구

        박종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도시의 가로는 시민들의 활동을 외부로 이어주는 매개공간으로서 도시의 활력을 체감하는 공공공간이다. 그 중 가로는 단순한 기능공간으로서의 의미뿐만 아니라, 물리적 측면에서도 도시민의 의식과 해동의 동맥으로서 도시 자체가 지니는 그 사회구조의 표정이다. 60-70년대 들어서면서 경제성장과 함께 우리나라는 고유의 도시조직과 건축물은 사라지고 고층빌딩 등 기계적인 도시로 변모하여 이에 따라 가로환경도 보행중심에서 자동차 중심으로 변하여 보행자는 항상 사고의 위험 속에 노출되었다. 이후 80년대 미국 등 각국에선 무분별한 도시개발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뉴 어바니즘(New Urbanism) 운동이 일어났고 보행환경의 질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서울시는 1997년 보행권 확보와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조례를 제정하였고 이에 따른 사업도 빠르게 추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지인 정동길이 속해있는 중구는 2010년부터 지자체 차원에서 도시디자인 조례를 가이드라인으로 제정하여 도시경관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개선 및 관리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도시의 효율적인 보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그러나 주변에 많은 역사문화자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이러한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하여 가이드라인 요소로써 반영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디자인가이드라인의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각 지침에 의해 실질적으로 구현이 되어 조례의 본래 취지에 맞게 효율적인 관리가 이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동길이 속해있는 중구 디자인가이드라인에 대한 관련규정 및 규례에 근거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지침을 살펴보고 각 지침에 따라 정동길을 대상으로 각각의 요소가 실질적으로 반영되었는지에 대한 실태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정동길(정동로터리 ~ 정동사거리, 약 450m)에 대하여 항목별로 성격에 맞게 분류하여 지침에 따라 반영된 요소와 반영되지 못한 요소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나온 문제점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개선방향과 향후 도심 내 가로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북한 체육소설에서 재현되는 정동 연구 : 의지와 슬픔의 정동을 중심으로

        김정근 북한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북한 체육소설을 통하여 ‘주체형 인간상’을 정동으로 분석함으로써 소설에서 재현되는 다양한 감정체계를 분석하여 일상의 차원에서 정동적 전환의 가능성을 설명한다. 정동이란 감정과 신체를 분리하지 않고 하나로 묶어서 이해하는 접근방식이다. 정동연구를 통하여 탈근대적인 시각으로 일상의 감정체계를 다각적으로 포착하고 북한 문학의 정치적 행위를 이해할 수 있다. 체육소설을 보는 이유는 직관적이며 원초적인 신체 움직임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운동선수인 주인공이 한계를 극복해가는 서사는 독자와 부대끼며 끌어당기는 힘이 있기에 강한 정동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요소이기도 하다. 분석 대상은 체육 실화 소설로 여자축구선수 리금숙을 다루는 <멋쟁이>와 사격선수 리호준을 다루는 <세계신기록자의 과녁> 두 소설을 선정했다. 분석 결과 서사적으로 수령에 대한 찬양과 ‘주체적 인간’으로 완성은 정동의 차원에서 보자면 슬픔의 정동을 안고 있는 수동적 인간을 양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슬픔의 정동으로 귀결되는 과정에서 작가가 설정한 갈등선과 재현된 신체움직임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감정에서 다층적인 정동의 변용 가능성을 볼 수 있다. This study have examined a possibility of affective transformation in the life level with an analysis on ‘a subjective human’ as an affect formed in North Koran Physical Novel, and on a various emotional system relived in the novel. Affect is a way of thinking that rejects the separation of emotion and body and seeks unification beyond the emotion. This consciousness can capture the various emotional systems from the post-modern perspective, and be able to understand the political behavior of North Korean literature using the power of affect. The reason for exploring physical novels is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see the most intuitive and basic physical movements. The narrative that the hero, the athlete, overcomes the limitations, is a factor that can create a strong affect because it has the power to attract the reader. The case of the analysis were the actual stories of physical education, which included two novels, <The Fashionable Boy>, which deals with Lee, Geum Suk who is the female football player, and <The Target of World Recorders>, which deals with shooting player Lee, Ho Ju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dmiration of the leader and the completion of ‘the subjective human’ can be seen as the mass production of passive humans with affect of sadness. However, in the process that leads to the affect of sadness, it is possible to see the likelihood of the transformation of multi-layered affect in the conflicts set by the author and the various emotions revealed in the reproduced body mov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