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구 서남 지역 금융 재테크 상품의 고객 만족도, 추천의도 및 재이용의도 연구

        유루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42

        In the era of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Internet has penetrated into every area of ​​human life. Nowadays, many countries in the world have applied Internet information technology to the financial field. Internet finance has made people experience high efficiency and convenience, and it has also caused a great impact on the traditional financial market. In recent years, online financial planning products have also appeared in the financial planning products market, grow fast. The market of traditional bank financial planning products is being occupied by online financial planning products. China has been one of the fastest growing Internet finance countries in recent years. With the efforts of enterprises and governments, Internet finance has also become popular. China's southwestern region has always been an important strategic region of China, but in the past, because of its inland, resources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were not as flexible as coastal cities, so it has lagged behind other developed cities in economic and financial development. Nowadays, under the guidance of the government, Southwest of China has gradually attracted people's attention. While being influenced by Chinese policies, the Southwestern government is also actively attracting foreign investment. This study will sort out the relevant study on financial planning products, and start from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financial planning products in Southwest of China to explore the market of wealth management products in the region.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pending on the investment platform,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risk, periodicity, generality, innovation, satisfaction and recommend intention of financial planning products, bu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consumer awareness, purchase motivation and reuse intention. Second, in general, Online financial planning products are higher than the level of bank financial planning products in terms of periodicity, generality, innovati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commend intention. Third, afte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vestment platform, the generality of the financial planning product is the highest average value among the various dependent variables. This shows that in the southwestern of China, consumers will be more inclined to choose a platform with higher popularity and convenience when choosing an investment platform. Fourth, through research, it is found that the quality and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planning products have a greater impact on consumers' choices. 정보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간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인터넷은 불가분의 요소가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오늘날 세계의 많은 국가들은 인터넷 정보 기술을 금융 분야에 적용하여 온라인 금융을 탄생시켰고, 이를 통해 이용자들에게 높은 효율성과 편리함을 제공하였다. 따라서 전통적인 금융 시장에 미친 파급효과는 매우 크다. 이에 따라 최근 온라인 재테크 상품이 재테크 시장의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중국은 최근 수 년간 온라인 금융이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국가 중 하나이고 기업과 정부의 협력으로 온라인 재테크 방식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중국의 남서부 지역은 항상 중국의 중요한 전략적 요지였지만, 과거에는 내륙이었기 때문에 자원과 정보 전송이 연해 도시만큼 유연하지 않았다. 따라서 경제 및 금융 발전의 측면에서 기타의 선진 도시보다 낙후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중국의 정책적 지원으로 중국 서남부 지역은 더욱 주목받고 있다. 또한 정책적으로 해외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테크 상품에 관한 선행 연구에 대해 정리한 후, 중국 서남 지역의 재테크 상품에 대한 고객 만족도와 지역의 재테크 시장을 탐구하였다. 또한, 실증 분석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투자 플랫폼에 따른 재테크 상품의 위험성, 주기성, 일반성, 혁신성과 만족도, 추천의도를 지각하는 데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비자의 인식도, 구매동기와 재이용의도는 투자 플랫폼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은행 재테크 상품보다 온라인 재테크 상품의 주기성, 일반성, 혁신성, 만족도, 추천의도가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 더욱 높게 지각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셋째, 투자 플랫폼에 따른 재테크 상품에 대한 차이 분석을 통해 상품 특성에서는 일반성의 평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서남 지역에서 소비자들은 재테크 투자 플랫폼을 선택할 때 대중화가 높은 것이나 편리성 높은 것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재테크 상품 시장에서 상품 자체의 품질과 특성이 미치는 영향이 소비자 요인보다 더 강하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 급여생활자의 財테크에 관한 연구

        심상무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942

        경기침체 및 경제양극화에 따른 고용불안으로 급여생활자들은 과거에 비해 재테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참여 비중 또한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대부분의 급여생활자들이 이미 재테크를 하고 있거나 향후 참여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나, 급여생활자의 재테크 실태에 대한 자료들이 다양하지 못하여 급여생활자들의 재테크 현황에 대한 파악을 어렵게 하고 있다. 실상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재테크 관련 서적들은 대다수 주식과 부동산에 대한 투자 관련 서적들로 급여생활자들의 투자실태 분석을 바탕으로 한 재테크 지침서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적 제약에도 불구하고 재테크 시장에서 급여생활자들의 지속적 참여 증가로 영향력은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양적 성장만 있을 뿐 질적 성장은 아직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제한적이나마 급여생활자들의 재테크에 대한 현황을 파악·분석하여 급여생활자들의 리스크 축소를 위한 방안을 알아보고 발전적이고 성공적인 투자전략을 찾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으로 논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재테크에 대한 의의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개념을 논하고자 한다. 허황되고 투기성이 강한 의미로 전달될 수 있는 재테크의 오해를 바로잡고 올바른 재테크의 이해를 도와 재테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급여생활자들의 재테크에 대한 실태 조사를 하고자 한다. 급여생활자들의 재테크에 대한 관심과 참여도 그리고 그들이 생각하는 재테크의 목적과 재테크 시 포트폴리오 구성에 대한 실태 파악으로 재테크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정확한 실태 파악은 급여생활자들의 재테크 추이와 문제점들을 추론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분석과 기준으로 대안에 대한 연구 및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성공적인 재테크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개인투자자인 급여생활자들의 재테크 결과가 대다수 손실을 초래하게 되므로 이를 극복하고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바람직한 투자전략, 성공적인 재테크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급여생활자들의 실태조사를 통한 문제점 파악은 어렵지 않게 도출할 수 있겠지만 급여생활자들의 재테크에 대한 성공적 투자기법을 찾기란 매우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손실을 최소화하고 이익을 실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와 연구를 통해 올바른 재테크 방안의 제시로 리스크관리와 이익창출을 기대하며 원론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저금리 시대와 고령화 추세에 따라 가계의 자산관리가 중요한 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이런 환경의 변화 중 저금리 기조는 앞으로 시장금리가 상승한다 해도 과거의 두 자릿수 금리시대로 되돌아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인 것을 고려할 때 부모세대의 자산축적 방법과는 다른 것이 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향후 투자환경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인 인구변화의 저출산 구조는 부동산가격의 장기적인 상승이 불가능함을 의미하고 저금리 환경의 장기화는 부의 축적속도를 저하시키며, 심한 경우 구매력의 보전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이어질 것이다. 따라서 긴 안목으로 재무목표를 세우고 장기간에 걸쳐 자산의 가치유지를 위한 인플레이션에 대한 헤지(hedge)를 하면서 수익률을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는 투자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재테크 시장에서 급여생활자들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금융기관들은 많은 재테크 상품을 출시하겠지만 이의 선택과 손익은 급여생활자의 몫이고 삶의 질로 연결되는 것이기에 스스로 많은 고민과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한 성공적 재테크로 급여생활자 자신과 가족의 삶에 행복을 안겨주는 길을 찾길 기대한다. 협소하고 얕은 연구에 많은 과제와 한계를 내포하고 있겠으나 이를 계기로 많은 이들의 연구로 급여생활자들에게 실질적이고 커다란 정보와 지식 그리고 지침이 될 수 있는 결과물이 잉태되길 기대한다. Wage workers have an increasing interest in growing their funds due to the job insecurity in the aftermath of economic depression and financial polarization in the society, and the number of wage workers who are actually growing their fund has soared. The survey found that most wage workers are growing their funds or are willing to grow their funds in the future, but it is hard to figure out exactly in relation to wage workers growing their funds because there are not much related data. Most of books on the shelves of bookstores, related to fund-growing techniques, are about stocks and real estate management, and there is rarely a guideline on the fund-growing techniques based on the investment of wage workers. Despite those realistic constraints, wage workers are playing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the fund-growing market with their constant participation. However, they have not achieve a qualitative improvement, compared with their quantitative improvement. In response to t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analyze the fund-growing among wage workers in order to explore the way to reduce the risk to wage workers and identify constructive and successful investment strategy. The specific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fund-growing techniques was discussed in order to clearly define the fund-growing techniques. It is intended to rectify the misconception about the fund-growing techniques which may be wrongly perceived as an unrealistic and speculative means, and promote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fund-growing techniques in oder to highlight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fund-growing techniques.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fund-growing activities of wage workers. It intended to look into their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the fund-growing activities of wage workers and the purpose and portfolio composition of the fund-growing, so as to analyze the situation related to their fund-growing activities. The accurate examination of the situation related to their fund-growing activities will lead to the inference of their trend and related problems, and the proposal of alternative plan based on the analysis and related criteria. Finally, this study researched on successful way to grow funds. In consideration that a majority of wage workers, who are individual investors, end up with loss, this study explored the desirable strategy and techniques for investment and fund-growing. It will be very difficult to identify a successful investment technique useful for wage workers to grow their funds, though problems may be easily found by looking into the actual activities of wage workers to grow their funds. However, this study intended to propose a fundamental solution which may facilitate the risk management and profit earning, by presenting the desirable fund-growing techniques based on the discussion and research on measures which may lead to the minimum loss and the earning of profit. Household asset management has come into the spotlight as we are living in the low interest rate environment and the aging society. Considering that there is no turning back to the double-digit interest rates of the past, a prevailing view at present, though the market interest rate may rise in upcoming years, wage workers need to rely on different way to build their wealth, a way differentiated from their parent generation. The low childbirth rat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hich determines the future investment environment, implies that the long-term hike in the price of real estate is unavoidable, and the long-term low interest rate environment will slow down the speed of wealth accumulation and make it impossible to preserve the purchasing power in worse scenario.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set up a long-term financial plan and hedge against inflation to preserve the value of asset over the long-term, and select the investment commodity which can bring maximum returns. With more influence in the financial market, wage workers need to make deep consideration and explore various ways because they directly benefit or suffer loss from a wide-ranging variety of financial commodities released by financial organizations and that i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ir quality of life. They must find ways to make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happy by pursuing successful strategies to grow their funds. Though this study is limited and requires further research, this researcher hopes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n opportunity for wage workers to be provided with practical and important information, knowledge and guideline necessary to successfully grow their funds.

      • 현대 젊은 사람들의 불로소득 의식에 대한 요인 분석 : 중국 장춘 지역 대학생 재테크 수입 사례로

        이양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941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투자 재테크시장이 빠르게 발전하여 각종 금융 기구가 잇달아 유입되어 시장 점유율을 선점하였다. 2021년 말까지 전국 은행업 금융 기관에서 발행한 재테크 제품이 모두 9만 개를 초과 발행하고 재테크 상품의 존속 한도가 29조 위안을 초과하여 투자 재테크 시장 경쟁이 매우 치열해졌다. 그러나 각종 금융 기관은 시장 점유율을 선점하면서도 대학생 재테크시장이라는 부분이 소홀하였다. 대학생은 IQ와 EQ가 높은 집단의 대표로서 방대한 사회 집단을 가지고 있고 비교적 강한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미래에는 금융 기구의 새로운 이윤 증가가 될 가능성이 매우 클 것이다. 대학생 투자 재테크시장에서 누가 대학생 집단을 잘 서비스할 수 있고, 누가 투자 재테크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을까. 그리고 대학생들이 재학 중에 좋은 투자 재테크 의식과 소비관을 배양하게 된다면, 미래에 자신의 재부를 관리하는데 좋은 기초를 마련할 뿐만 아니라 가정의 화목함, 조화로운 사회 건설에 적극적인 공헌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설문 형식으로 장춘시 대학생들의 투자 재테크에 관한 데이터를 조사하여 재학생들의 투자 재테크 현황을 분석했다. 설문 형식은 주로 6가지 부분으로 나누었다. 대학생 개인정보, 대학생 투자 재테크 기본 상황, 대학생 투자 재테크 분위기, 재테크 리스크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재테크에 대한 대학생의 미래 수요 및 재테크에 대한 견해이다. 설문지 집계 결과 대학생 투자 재테크 지식 획득 경로는 다양하지만, 인터넷 편중이다. 투자 재테크 의지는 비교적 강하지만 가정과 캠퍼스 및 주변 사람들의 영향을 비교적 뚜렷하게 받는다. 자금원이 다양하여 위험 방제의식이 취약하고 위험 감당 능력이 약하며 자금의 안전성에 대한 요구가 비교적 강하여 저위험의 단기 재테크 상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투자 재테크 능력과 투입 자금은 제한적이고 수익 수준은 보통이다. 투자 재테크는 단기 안배를 위주로 하여 자금에 대한 장기적인 계획이 부족하다. 동시에 본문에서는 Logistic 모형을 활용하여 영향요인 분석을 하였으며 분석결과를 대학생들의 투자 재테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아래와 같다. 학교 유형, 전공, 호적소재지 사정, 가정 재테크 활동, 학교 교육 상황, 주변인 투자 상황, 월 자금잉여금 상황 및 위험에 대한 수용 정도였다. 대학생의 투자 재테크 현황 및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이 논문에서는 학교와 가정에서 대학생들을 위해 좋은 투자 재테크 분위기를 조성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정부에서는 적극적인 금융 지식을 보급하고 금융 감독을 강화해야 하며 금융 기구는 재테크 상품의 설계와 관리를 더욱 완벽하게 해야 한다. 대학생은 자신의 투자 재테크 지식을 풍부하게 하고 과학투자 재테크 의식을 확립하는 네 가지 각도에서 대책과 건의를 해야 한다. In recent years the Chinese investment finance market has developed rapidly and various financial institutions have flowed in one after another preoccupying the market share. By the end of 2021, a total of more than 90,000 investment technology products issued by banking financial institutions nationwide were issued and the survival limit of investment technology products exceeded 29 trillion yuan making competition in the investment investment technology market very fierce. However while various financial institutions dominated the market share they neglected the part of the college student financial market. College students have a large social group as representatives of groups with high IQ and EQ and have relatively strong growth potential so they are very likely to be new profits for financial institutions in the future. Who can serve the college student group well in the college student investment financial technology market and who can take the lead in the investment financial technology market And if college students cultivate a good sense of investment finance and consumption while in school they can not only lay a good foundation for managing their wealth in the future but also actively contribute to building a harmonious and harmonious society. In the form of a survey this paper investigated data on investment investment investment technology of college students in Changchun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investment investment technology of students. The survey format was mainly divided into six parts. These are college student's personal information basic situation of college student investment finance atmosphere of college student investment finance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toward financial technology risk and future demand and views on financial technology.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re are various channels for acquiring knowledge of investment and investment technology for college students but it is Internet-oriented. Although the willingness to invest is relatively strong it is relatively clearly influenced by the home campus and people around it. Due to the diversity of funding sources there is a tendency to prefer low-risk short-term financial products due to weak risk control awareness weak risk-taking ability and relatively strong demand for the safety of funds. Investment finance capabilities and input funds are limited and the level of return is moderate. Investment investment technology focuses on short-term arrangements and lacks long-term plans for funds. At the same time in the text the influencing factors were analyzed using the Logistic model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investment investment investment technology of college students are as follows. It was the degree of acceptance of the type of school major family register location home finance activities school education situation investment situation of neighbors monthly surplus situation and risk.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factors of investment finance of college students in this paper efforts should be made to create a good investment finance atmosphere for college students at school and at home. The government should disseminate active financial knowledge and strengthen financial supervision and financial institutions should make the design and management of financial products more perfect. College students should make countermeasures and suggestions from four angles to enrich their investment finance knowledge and establish a sense of scientific investment finance.

      •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재테크 양상 연구

        정은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94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sonal finance of millenni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school life that influence or affect them.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ersonal finance style of millenni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 what are the factors related to the personal finance of millenni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rd, how does the personal finance of millenni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affect school life? In order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I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using in-depth interviews with 10 millenni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al finance of millenni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turned out to be generally stable. There was a high preference for deposit, installment savings, long-term savings benefit of the korean teacher’s credit union, which were unlikely to lose principal. When choosing a product with high risk, they followed their strong principles within their asset range. Saving was also seen as a personal financial technique for them, and they expressed reluctance to use loans for investment. In addition, personal finance was close to their lives, like being exposed to financial information through various channels or finding it. Overall financial self-esteem was found to be low due to low returns from stable investment and low perceived earned income levels. The possibility of reforming the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was a factor that lowered their financial self-esteem in personal finance, but some of the negative effects were offset by high faith in the possibility of receiving it. Second, various factors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acted as motivation for the personal finance of millenni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factors inside the school were social atmosphere that do not prefer old teachers, promotion with greater responsibility than rewards, anxiety about pension reforming, and easy working conditions for financial management. Factors outside the school included a sense of crisis without one's own home, a social atmosphere in which financial discourse is prevalent, and anxiety about the future. In the introductory stage of teaching, some chose the teaching profession based on stability-oriented tendencies, but the rest chose it regardless of their tendencies. However, apart from this, they experienced a change to stability-oriented tendencies or a strengthening their tendencies after entering the teaching profession. Third, the stability-oriented personal finance of millenni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generally did not seem to affect school life. However, the possibility of increasing income through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projects with allowances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ccesses in personal finance and teaching, most of them thought there were no relations between them. Because the two successes were in different areas, and the additional benefits from promotion were insufficient. There was also a view that successes in personal finance and teaching had a positive relationship. Because confidence and ease of mind from personal finance's success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life, or being successful in teaching allowed them to focus on personal finance after work. In life as a teacher, personal finance had the meaning of an alternative to various problems in a teaching profession. This is divided into the power to sustain school life and the means to open up new possibilities in relation to the degree of confidence or aptitude for teaching. In the discussion, the newly discovered point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First, the personal finance of millenni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stability-oriented, which overlapped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s and teaching profession. Second, their personal finance did not negatively affect school life due to its stability-oriented nature. Third, the negative aspect of school life served as a motivation for personal finance rather than behavior for improvemen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ing culture. 본 연구의 목적은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재테크 양상과 이에 영향을 주거나 받는 다양한 요인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재테크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재테크와 관련된 요인은 어떠한가? 셋째,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재테크는 학교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밀레니얼 세대에 해당하는 초등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는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재테크는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으로 드러났다. 원금을 잃을 가능성이 없는 예금·적금과 교직원공제회의 장기저축급여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위험성이 높은 상품을 택할 때에는 자신의 자산범위 내에서 강한 원칙을 따르며 실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절약도 이들에게는 재테크 기법으로 여겨졌으며, 대출을 재테크에 활용하는 것에는 거부감을 드러냈다. 그리고 다양한 경로로 재테크 정보에 노출되거나 이를 찾는 등 이들의 삶에는 재테크가 가까이 있었다. 전반적인 재테크자존감은 낮게 드러났는데 이는 안정적인 재테크로 인한 낮은 수익률, 낮게 인식한 근로소득 수준 때문이다. 공무원연금 개혁 가능성은 이들의 재테크자존감을 낮추는 요인이었지만 수령가능성에 대해서는 높은 믿음으로 부정적 효과를 일부 상쇄하였다. 둘째,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재테크에는 학교 내·외부의 다양한 요인이 동기로 작용하였다. 학교 내부의 요인은 젊지 않은 평교사를 선호하지 않는 사회적 분위기와 보상보다 책임이 더 큰 승진, 공무원연금 개혁에 대한 불안감, 재테크에 용이한 근무여건이다. 학교 외부 요인으로는 내 집이 없는 위기감, 재테크 담론이 팽배한 사회적 분위기, 미래에 대한 불안이 있다. 교직 입문 단계에서는 일부는 안정 지향적 성향을 바탕으로 교직을 선택했지만 나머지는 성향과 관계없이 교직에 입문하였다. 그러나 이와는 별개로 이들은 교직 입문 후 안정 지향적 성향으로 변화하거나 이 성향이 강화됨을 경험하였다. 셋째,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안정 지향적 재테크는 일반적으로 학교생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당이 있는 교육사업 참여를 통한 수입 증대 가능성은 근로의지를 높여 학교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재테크의 성공과 교직에서의 성공 간의 관계에서는 대부분이 서로 관련이 없다고 보았다. 두 성공은 서로 다른 영역의 것이기 때문이기도 했지만, 교직에서의 성공을 승진으로 정의할 때 승진을 통해 얻는 추가 수당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재테크의 성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보기도 하였다. 재테크의 성공과 교직에서의 성공이 서로 정적 관계에 있다고 보는 시각도 있었는데, 이는 재테크의 성공으로 인한 자신감과 마음의 여유가 학교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교직에서의 성공으로 인해 퇴근 후 직업적 고민에서 벗어나 재테크에 몰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사로서의 삶에서 재테크는 교직 내 다양한 문제에 대한 대안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었다. 세부적으로는 교직에 대한 확신이나 적성적합성 정도에 따라 학교생활을 지탱해 주는 힘 또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는 수단으로 나누어진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새롭게 발견한 점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첫째,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재테크는 안정 지향적이며 이는 세대 특성과 교직 특성이 중첩적으로 작용한 것이다. 둘째, 이들의 재테크는 안정 지향적인 속성으로 인해 학교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생활의 부정적인 측면은 교직문화의 특성으로 인해 개선을 위한 행동보다는 재테크를 위한 동기로 작용하였다.

      • 가치투자의 수행성과 대중투자문화의 형성

        오승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858

        본 연구는 한국에서 1990년대 후반 이후 등장한 ‘대중투자’ 문화를 주식투자라는 금융적 실천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중적인 주식투자 전략의 하나인 ‘가치투자’가 개인투자자들에 의해 해석되고 활용되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 사회에서 ‘투자’라는 금융적 실천이 갖는 사회적·문화적 함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치투자는 재무제표와 사업보고서와 같은 자료를 토대로 기업의 가치를 분석하고 계산하여, 이러한 가치를 기준으로 주식을 거래하는 투자 전략이다. 하지만 가치투자는 단순히 주식투자를 매개하는 금융지식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가치투자자’라는 투자자 주체를 생산하는 핵심적인 계기이기도 하다. 가치투자는 투자와 투자자에 대한 합리적이고 도덕적인 표상을 생산하며 투자자들의 실천과 인식을 변화시키고, 더 나아가 이들의 생애기획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수행적 효과를 발휘한다. 연구자는 ‘가치투자의 수행성’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 ‘잃지 않는 투자’와 ‘배우는 투자’를 지향하는 가치투자 전문 교육기관인 ‘A 투자교육연구소’에서 개설한 가치투자 강좌를 참여관찰하였고, 수강생들을 중심으로 심층면접을 수행하였다. 가치투자는 1997년 경제위기 이후 구조조정을 통한 기업의 재무구조 개선과 2000년대 초반 주식시장에서의 가치주 등장을 배경으로 개인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가치투자는 1990년대 후반 이후 벤저민 그레이엄과 워렌 버핏과 같은 가치투자의 상징적 인물들의 투자 방식을 충실하게 해석하고 한국적 맥락으로 번역하는 소수의 ‘매개자’에 의해 대중적으로 확산되었다. ‘A 투자교육연구소’ 역시 이러한 매개자 그룹 중 하나로, 개인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가치투자 교육을 통해 가치투자를 전파하는 데 일조한다. 투자자들은 반복되는 주식투자에서 실패를 경험하거나 기대만큼의 수익을 기록하지 못하면서, 가치투자를 통해 주식투자를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을 학습하기를 원하고, 이를 통해 더 이상 주식투자에서 실패하지 않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버핏 교실’은 가치투자에 대한 특정한 지식을 생산하고, 이를 구체적인 테크닉의 형태로 재가공하여 수강생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합리적이고 건전한 투자를 실천하는 현명한 투자자라는 윤리적인 주체를 적극적으로 생산하고자 한다. 또한 가치투자는 투자자들이 주식투자를 정당한 사회적 실천으로 의미화하는데 있어서 핵심적인 개념과 논리를 제공한다. 가치투자자들은 돈의 논리가 지배하는 자본주의 하에서 경제적 자유를 열망한다. 경제적 자유를 획득하기 위한 유력한 방식이었던 직장생활은 한국 사회의 신자유주의적 전환 이후 노동 환경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더 이상 매력적인 선택이 아니게 되었고, 이들이 자연스럽게 눈을 돌리게 되는 것이 재테크이다. 그리고 주식투자를 통해 자산을 관리하고 증식하려는 투자자들은 가치투자를 통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수익을 기록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사라진 자리에 ‘평생직장으로서의 주식투자’라는 상상이 등장하는데, 가치투자는 이러한 상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생산한다. 이 연구는 한국 사회의 신자유주의적 전환 이후 일상화된 경제적 불안정에 ‘재테크’라는 사적인 자산관리의 전략으로 대응하는 투자자들의 인식, 윤리 그리고 실천을 이해하려고 시도하였다. 대중투자문화는 다양한 금융적 수단, 재테크 지식과 정보를 통해 돈이 스스로 일하게끔 하라고 요청하면서, 일상을 돈을 만들어내기 위한 열망으로 가득 채운다. 그리고 돈을 현명하게 투자하고, 사려 깊게 예측하며, 전략적으로 자산을 배치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환상을 만들어낸다. 가치투자는 주식투자를 통한 부의 획득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가치투자자들을 지속적으로 생산함으로써, 대중투자문화를 재생산하는 핵심적인 계기이다. This research analyzes the so-called “popular investing culture”, which has emerged since the late 1990s, focusing on the financial practices of the stock investment.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analyzing the concrete processes of the interpretations and exploitations of “value investing” - one of the strategies of the popular investing culture ? by individual investors, has an object of elucidating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the financial practices of the “stock investment” in Korean Society. Value investing is an investing strategy which trades stocks in accordance with some values produced by calculating and analyzing a value of a company on the basis of financial statements and business reports. However, value investing is not a simple finance knowledge which mediates the practices of the stock investment, but it is also the essential points which produce investing subjects called “value investor”. Value investing displays performative effects in that it produces rational and moral representations about the investment and the investor, and transforms the recognition and practice of the investors, and furthermore, has an influence on the life-plans of the investors. In the view of the concrete examination of the “performativity of the investor”, this research - 115 - participates and observes some courses of value investing organized by “A research center for education of investment” - this research center aims at “no-losing investment” and “enlightening investment” - , and carries out some in-depth interviews with some students of this course. Value investing was starting to get a lot of attention of individual investors after the economic crisis of 1997. It was because after the economic crisis of 1997, financial structures of some companies were improved by the restructurings, and in this situation, value stock recorded stable profits. In that time, value investing was popularly introduced and propagated by a few of “mediators” who accurately interpreted - and translated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 the investment strategies of the emblematic figures of value investing, for example Benjamin Graham and Warren Buffett. “A resarch center for education of investment” was also one of the mediating groups, and until now it performs a role of introducing and propagating value investing by the education of value investing for individual investors. Individual investors, who repetitively fail in investment or cannot obtain profits expected, learn the ways of performing the stock investment systematically by value investment, and after these learnings, they expect that no more they would not fail in the stock investment. “Buffett Class” produces the particular knowledge of value investing. “Buffett Class” reformulates this knowledge as some forms of specific techniques and provides these techniques in education programs, thereby “Buffett Class” enthusiastically aims to produce the ethical subject as a smart investor who practices rational and sound investments. Value investing purveys the essential concepts and logics for signifying the stock investment as a justifiable social practice. Value investors aspire to obtain economic freedom in the capitalism which is predominated by the logics of money. After the neoliberal turn - 116 - of Korean society, the employment, which was the only and prime way to obtain economic freedom, is now out of the charming choice alternatives because of the destabilization of the labor. Consequently, individuals pay much attention at financial technique. And individual investors who want to administer and increase their assets by stock investment, expect to obtain continuous and stable profits by value investing. In the vanished place of the notion of the life-time workplace, the imagination of the “stock investment as a life-time job” emerges, and value investing plays an essential role as a concrete strategy and life-plain for embodying this imagination. This research tries to understand the knowledge, the ethics and the practices of the investors who counter-act and defend for themselves with a private strategy of asset-running financial technique in the face of the prevailing economic destabilization after the neoliberal turn of Korean society. The popular investing culture, through a variety of financial techniques, financial knowledge and information, ordering money to work or operate of itself, fills everyday life of the people with aspirations for making more money. And this culture creates some fantasies in which the investors who invest smartly, predict reflexively, and arrange their assets strategically can succeed in the investment. Value investing is an essential moment which reproduces the popular investing culture by producing value investors who expect that they can make more money through the stock investments.

      •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한국사회 금융화의 문화정치경제학 : 개인과 가계의 금융적 포섭을 중심으로

        최철웅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586

        The Asian financial crisis in 1997 brought about a momentum that essentially altered the patterns and rhythms of the Korean people’s daily financial activities. Specifically, many individuals and households began to invest their surplus income in financial products such as stocks, funds, retirement annuities, and life insurance rather than depositing money in banks. In addition, many consumers switched to credit cards for their daily transactions instead of cash. Lifestyles have also changed considerably in the sense that social reproduction activities such as house purchases and college tuition payments are now dependent on loans rather than savings in most cases. As a result, the extent of households’ financial assets and household debts has increased dramatically since the 2000s. Moreover, from an economic status perspective, the profile of individuals has undergone a transformation from saver to investor and from laborer to debtor. In effect, the economic fate of individuals and households is now, to a large extent, dependent on the dynamics of global financial markets. This paper examines the social context of Korean society, particularly the interlocking of global capital markets and individuals’ daily life practices, and investigates the cultur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this phenomenon. In general, there is universal agreement with the notion that the “financialization” phenomenon, which was instigated and led by the advanced Western countries after the 1970s, provided the backdrop for the majority of subsequent socioeconomic changes. However, most political-economic debates classify financialization as an abstract flow and dynamic of capital that acts at a macroeconomic level. Such debates pay little attention to the qualitative changes or daily transformations in social relationships that result from financialization. In contrast, the cultural studies/cultural economy approach understands financialization as a cultural transformation and focuses on the subjectivation effects brought about by the mediation of disparate discourses and tools. However, even these approaches tend to return to the dominance of financial rationality and neo-liberal rulings rather than attempting to facilitate a dialectic understanding of financialization within the dynamics of capital accumulation. This paper argues that financialization is not only a dominant framework according to which capitalism is currently organized and operated, but also a power scheme that provides a reproduction and a re-interpretation of the capitalistic reality based on which it rules the individuals. The regulative factor that best characterizes financialization is the goal of future profit, which has led to an expansion in the range and intensity of financial securities, otherwise known as “interest-bearing fictitious capital.” These financial securities control the production and flow of surplus value, and possess it exclusively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rofitability. Today, financial capital guarantees profit by mobilizing the savings of individuals and households and investing them in financial markets. Moreover, it allows interest and commission to be charged directly through the facilitation of loans to workers. Thus, financial capital is free from the production process. In a neo-liberal system of “growth without employment,” workers who face unemployment and income decline perform essential reproduction activity through credit loans. Their debts are then transformed to financial securities that bear profit through the securitization process and are sold to investors worldwide. While it is true that investors have a form of financial security in their salaries, the risk of securities is passed to them when debtors cannot repay their loans. In this sense, financialization is an important mechanism that shifts the risk of financial markets to individuals and households while simultaneously reinforcing the exploitation of workers. Unlike ordinary products, the price of financial security is determined based on risk evaluation before the production process begins. To be specific, any potential events that could affect future surplus are predicted as a risk and evaluated. What is described as a risk and how it is evaluated are defined by the social power relationship; in other words, financial security is based on particular representations and interpretations of capitalistic reality. It is also a technology of power, which reinforce capital accumulation and organize capitalist power relations. Thus, financial security is not merely an ownership certificate with fictitious value. Rather, it is the modern world’s most fetishistic form of capital, which, in effect, is materialized by capital exploitation and social relationships today. Financialization, which is a social process rather than simply the accumulation of ownership or liquidity, materializes as a concrete reality through the medium of a series of discourses, institutions, and technologies in a social formation with its own temporality. Thus, it does not develop in a one-sided manner according to the inherent dynamics of capital. The rise of financialization in Korean society was sluggish due to the state’s “financial suppression” policy, which allowed it to mobilize and control capital. However, following the momentum of the Asian financial crisis, a series of policies, institutions, and technologies were introduced, which facilitated the growth of financialization as a hegemonic social reality. In the wake of neo-liberal financialization, the principles of financial profitability and responsibility have become a paradigm and a way of life dominating not just the behaviors of financial institutions and firms, but also the governing principles of individuals’ economic activities in Korean society. Policy-making authorities began to use financial tools in their governance instead of job security and welfare measures, while simultaneously pursuing policies for capital market activation and consumer credit promotion. Financial institutions, including banks, securities companies, fund companies, insurance companies, credit card companies, and loan firms, won individuals over as investors or debtors by mobilizing unique discourses and apparatuses for each party. In effect, financial discourses have led to the emergence of two types of financial agent: aesthetic agents who actively put up with risk and ethical agents who manage risk under the principles of self-responsibility. By this means, financial agreements have “individualized” the investment risks and debt redemption responsibilities that resulted from financial subsumption. In other words, the capital-labor relationship appears as the contractual relationship of the seller-consumer or creditor-debtor in the financial market through financialization. In this process, individuals are governed by financial norms through their individualization as either investors or debtors.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is reification of the capitalistic power relationship and the dialectics of individuals and classes are among the most crucial political implications of financialization. 한국사회에서는 IMF 위기를 계기로 개인들의 일상적인 금융행위의 패턴 및 리듬이 크게 변형되었다. 많은 개인과 가계가 소득의 여유분을 은행에 예금하는 대신 주식이나 펀드투자, 퇴직연금과 생명보험 가입 등 금융상품에 투자하기 시작했다. 일상적인 소비생활에서 현금 대신 신용카드 이용이 보편화되었고, 주택구입과 대학등록금 마련 등 다양한 사회적 재생산 활동을 저축이 아니라 대출에 의존하는 생활양식이 일상화되었다. 그 결과 2000년대 이후 가계의 금융자산 보유 및 가계부채 규모가 급증했다. 나아가 대다수 개인들의 경제적 지위와 형상은 저축자에서 투자자로, 노동자에서 채무자로 변형되었으며, 개인과 가계의 경제적 운명은 글로벌 금융시장의 동학에 크게 좌우되기에 이르렀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사회에서 글로벌 자본시장의 동학과 개인들의 일상적인 삶의 실천들이 연동된 동학과 사회적 맥락들을 분석하고, 그것이 어떠한 문화정치적 함의를 지니는지 모색하는 데 있다. 기존의 논의들은 이러한 사회경제적 변동의 배경에 1970년대 이후 서구 선진국을 중심으로 전개된 ‘금융화’ 현상이 놓여있다는 데 대해 일치된 견해를 보인다. 그러나 정치경제학적 논의들은 대체로 금융화를 거시 경제적 차원에서 작동하는 추상적인 자본의 흐름과 동학으로 간주하면서 금융화로 인한 사회적 관계의 질적 변화나 일상의 변형에 소홀한 편이다. 반면 금융화를 문화적 변형으로 이해하는 문화연구/문화경제학적 접근은 이질적인 담론과 장치들의 매개를 통해 작동하는 주체화 효과에 주목하나, 금융화를 자본축적의 동학 속에서 변증법적으로 파악하기보다 금융합리성이나 신자유주의 통치술의 지배로 환원하는 경향을 보인다. 본 논문은 금융화가 당대 자본주의가 조직되고 작동하는 지배적 방식일 뿐만이 아니라 자본주의적 현실에 대한 새로운 재현과 해석을 제공하고, 그에 따라 주체들을 통치하는 권력의 기술이기도 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금융화를 특징짓는 규정적 요인은 미래수익에 대한 청구권으로서 ‘이자 낳는 가공자본’인 금융증권들의 강도와 범위의 확장인데, 이들 금융증권은 수익성의 원리에 따라 잉여가치 생산의 흐름을 통제하고 전유한다. 오늘날 금융적 자본은 개인과 가계의 저축을 동원해 금융시장에 투자하여 수익을 얻는 한편, 노동자계급에 화폐를 대부하여 생산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이자와 수수료를 수취하고 있다. 신자유주의적 ‘고용 없는 성장’의 체제에서 실직과 소득저하에 처한 노동자계급은 신용대출을 통해 필수적인 재생산 활동을 수행하며, 이들의 부채는 증권화를 통해 수익을 낳는 금융증권으로 변모하여 전 세계 투자자들에게 판매된다. 투자자들은 자신의 임금을 금융증권의 형태로 보유하는 한편, 채무자가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했을 때의 위험을 떠맡게 된다. 이런 점에서 금융화는 노동자계급에 대한 착취와 수탈을 강화하는 한편, 금융시장의 위험성을 개인과 가계에 전가시키는 주요한 기제로 작동하고 있다. 금융증권은 일반적인 상품과 달리 생산과정 이전에 리스크 평가에 기초하여 가격결정이 이루어진다. 미래의 잉여가치 수취에 영향을 줄 잠재적 사건들은 리스크로 객관화되어 평가되며, 무엇을 리스크로 규정하고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는 사회적 권력관계에 의해 규정된다. 이는 금융증권이 자본주의적 현실에 대한 특정한 재현과 해석에 기초하며, 자본축적과 자본주의적 권력관계를 강화하는 데 사용되는 권력의 기술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즉, 금융증권은 단지 허구적 가치를 지닌 소유권증서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자본의 가장 물신화된 형태로서 오늘날 자본의 착취와 사회적 관계가 현상하는 필연적 외양이다. 단순히 소유권이나 유동성의 축적이아니라 사회적 과정인 금융화는 자본의 내재적인 동학에 따라 일면적으로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개별 사회구성체 내에서 고유한 시간성을 가지고 일련의 담론과 제도, 테크놀로지의 매개를 통해 구체적인 현실로서 물질화된다. 한국사회에서는 국가 주도로 자본을 동원하고 통제한 ‘금융억압’ 정책에 따라 금융화의 발전이 지체되다가, IMF 위기를 계기로 금융화를 위한 일련의 정책과 제도, 테크놀로지들이 도입되면서 비로소 헤게모니적인 사회적 현실로 조직될 수 있었다. 신자유주의적 금융화 이후 한국사회에서 금융적 수익성과 책무성의 원리는 금융기관과 기업의 행태만이 아니라, 개인들의 경제행위를 통치하는 지배적인 패러다임이자 삶의 방식이 되었다. 정책당국은 자본시장 활성화와 소비자신용 육성 정책을 추진하는 한편, 일자리확보나 복지수단 대신 금융적 수단들을 통치에 활용하기 시작했다. 은행, 증권회사, 펀드회사, 보험사, 신용카드사, 대부업체 등 금융기관들은 각각 고유한 담론과 장치들을 동원해 개인들을 투자자 또는 채무자로 포섭했다. 금융담론들은 금융적 주체를 리스크를 적극 감수하며 자신의 삶을 조형하는 미학적 주체, 자기책임의 원칙하에 리스크를 관리하는 윤리적 주체 따위로 재현하며 금융적 포섭으로 인한 투자위험과 채무상환의 책임을 ‘개인화’했다. 즉, 금융화를 통해 자본-임노동 관계는 금융시장의 판매자-소비자 또는 채권자-채무자의 계약관계로 현상하고, 개인들은 투자자 또는 채무자로 개별화되어 금융적 규율에 의해 통치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자본주의적 권력관계의 물화, 개인과 계급의 변증법이야말로 금융화가 지닌 주요한 정치적 함의라는 점을 강조한다.

      • 商街建物賃貸借保護法에 관한 考察

        김재훈 慶尙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574

        This study is to research some problems with Business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Due to the IMF situation, many lessees in business buildings experienced serious economical damages. In particular, because most merchants were leasing buildings or some of building spaces for their business operations, conflicts on those leases became serious damages on their living methods. For this reason, 'Business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were established by the strong arguments of civil organizations. In short, the Act purports to strengthen commercial building lease rights and thereby, protect them against lessors' abuse of their rights. Main items for tenant protection to be considered include the object, resistance power, lease period, rent, deposit, premium, etc. Thus, this study will review such items by comparing with various legislative cases in foreign countries and research the propriety and limit of the Business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However, the Act applies to those commercial buildings classified into those obliged to be registered with the tax registry, and a certain level of deposit money or below is protected by its enforcement ordinance. If a commercial building is not registered for a lease, its tenants can oppose a third party or have a priority to be paid first only the next day after it is occupied by the tenants and at the same time its tenants report to the tax authority about the lease. In addition, the tenants can request the lessor to extend the lease contract for another 5 years or shorter, and those tenants who have not their deposit money refunded can request the court to have the building registered for a lease. The reason why tenants' right, a kind of credit is strictly protected is that their deposit money which tends to be large should be refunded to them after expiration of the lease contracts. Moreover, even if a building is not registered, its tenants' rights can be protected only if the building is occupied by them and they report to the tax authority about the lease. As a result, a bona fide third party may suffer a loss unexpectedly. Until the Act was enacted, the Civil Code had applied to the leases of commercial buildings. Thus, lease contracts were made in favor of lessors, and in case a building was sold out through an auction, its tenants were ousted without their deposits being refunded. In this regard, it was urgent and significant to enact such a special code to protect tenants' rights. In this sense, Business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is similar to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Both codes purport to protect the economic and social weak or the tenants' rights. However, the two codes differ in terms of scope of applications, period of lease, causes of withdrawals from contract, causes of refusal of contract renewal, and the price of buildings for preferential refundments. Such differences seem to be attributable to the compromise between protection of tenants' rights and market functions. Anyway, Business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has many problems which need to be reviewed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suggest their sol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