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시간 노동의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 직무소진의 매개효과와 일-생활균형만족의 조절효과

        성윤지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Korea is solidified to have a long working hour, which exceeds 300 hours more than the average working hour of OECD countries. This long-hour working system is based on the factors such as comprehensive wage system, shift-work, regular employee centered employment system, securing living cost of low wage workers, and sole breadwinning family model. Recently, as work-life balanc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s being emphasized, the government is in the process of correcting the labor standard of permitting 68 hours of working hours per week to 52 working hours per week. While statutory working hours have been consistently decreasing over the past 30 years, the long-hour working phenomenon still exists and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the long working-hour on the employees, as well as possible solutions. To derive empirical model, this study considered logical basis regarding the variables of the effect on long hour working based on the theoretical logic. This study selected working hours, burnout, turnover intention, innovative behavior, and work-life balance as the variable and verified the causality among them. The samples collected were aimed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financial business, and public corporations from Daegu and Kyeongbuk province, one of the regions in Korea representing a long hour working. It took 3 months to distribute and collect the data via e-mail, mail and in person. As 340 out of 400 distributed surveys were collected, the collection rate shows 85%. Excluding 13 insufficient answers, 327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analysis by using SPSS 23.0.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direct effect between working hour and burnout, this study found that the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That is, long hour working caused an emotional dissonance, a subfactor of the burnout. Second, considering the moderation effects between the working hour and burnout, it was expected that the employees who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work and the way they manage their personal lives would be able to lessen the effect of a long working hour. However, this hypothesis was rejected since there seemed to be no impact on the burnout of interactive variable between work-life balance satisfaction and working hour. Next, regarding the mediation effects of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hour and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observed that the burnout partially mediates between them. In other words, a long working hour is a cause of higher burnout, and the employees who experienced the burnout tend to have higher turnover intention. Finally, in terms of the mediation effects of burnout in correlation between working hour and innovative behavior, burnout turned out to be a full medium between working hour and innovative behavior. That is, labor of many hours causes burnout, and increased burnout decreases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on long working hours has great significance for the fact that, instead of using case study or qualitative research, it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rom the aspect of an employee. Moreover, as a demographic variable that affects turnover intention, wage level and academic ability were essential factors. The lower the wage level and the higher academic ability, the stronger turnover intention. As a result, to stop the local brain drain from Daegu and Kyeongbuk province, it is suggested that there must be a proper foundation for decent jobs on a regional level, as well as strategic managemen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s, such as education and training, promotion, and compensation systems on a business level. 한국은 OECD 국가의 평균 근로시간보다 300시간 이상 일하고 있는 장시간 노동이 고착화되어있는 과로사회이다. 이는 포괄임금제, 교대제, 정규직을 활용하는 고용시스템, 저임금 노동자의 생계비 수준 확보, 남성 외벌이 가족모델 등을 배경으로 장시간 노동 체제가 성립되었다. 최근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일-생활 균형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근로기준법상 주당 최대 68시간까지 일 할 수 있도록 허용되어 있던 행정해석을 바로잡아 주당 52시간 근무제 도입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지난 30년 동안 법정근로시간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여전히 자리 잡고 있는 장시간 노동체제로 인하여 종업원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모델을 도출하기 위하여 이론적 논리를 바탕으로 장시간 노동에 대한 영향에 대한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논리적 근거를 고찰하였다. 이에 근로시간, 직무소진, 이직의도, 혁신행동, 일-생활균형만족을 변수로 설정하고 이들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장시간 노동의 대표도시인 대구·경북지역의 제조업, 금융업, 공공부문 기업을 대상으로 표본을 수집하였다. 설문지 배포 및 회수 기간은 약 3개월이 소요되었으며, 해당 기업을 직접 방문하거나 이메일, 우편조사를 통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배포된 설문지는 총 400부로 340부가 회수되어 회수율은 85%이다. 그 중 응답하지 않은 문항이 많거나 불성실한 설문지 13부를 제외한 327부를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고 SPSS 23.0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시간과 직무소진 간의 직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근로시간과 직무소진은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시간 노동은 직무소진의 하위요인인 정신적 고갈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일-생활균형만족이 근로시간과 직무소진의 관계 간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개인이 일과 일 외의 개인생활을 관리하는 방식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은 종업원일수록 장시간 노동으로 인한 직무소진의 영향을 완화시킬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일-생활균형만족과 근로시간의 상호작용항은 직무소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셋째, 근로시간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직무소진은 근로시간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의 장시간 노동은 종업원의 직무소진을 높이는 요인으로 업무에 대하여 직무소진을 경험한 직원이 이직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근로시간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직무소진은 근로시간과 혁신행동을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장시간 노동은 직무소진을 유발하고 종업원의 직무소진의 상승은 혁신행동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연구, 질적 논의 등으로 다루어진 기존의 장시간 노동의 연구를 종업원의 개인차원에서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인구통계학적 변수로 임금수준과 학력이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임금수준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구·경북의 지역인재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역적 차원에서 보다 양질의 일자리의 기반을 만들고, 조직적 차원에서는 교육훈련이나 승진 및 보상관리와 같은 인사제도를 전략적으로 관리해야 함을 시사한다.

      • 한국 노동자의 장시간 노동과 건강 영향

        성효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831

        장시간 노동은 노동자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사망과도 연관이 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장기 결근 혹은 퇴직으로 인한 노동력의 손실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킨다. 한국의 연평균 노동시간은 꾸준히 줄어드는 추세지만, OECD 가입국가 평균인 1,734 시간과 비교하여 한국 노동자는 연평균 259 시간 더 일하고 있으며, 주당 49시간 이상 일하는 노동자는 2019년기준 23.1%로 다른 나라들과 비교하여 장시간 노동을 하는 국가이다. 기존 한국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다양한 인구집단에서 다양한 건강결과와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그러나 여태까지 질병을 조기 발견하고 조기 치료하기 위한 알로스테시스 과부하와 같은 병전(pre-morbid)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포괄적인 건강지표와의 연관성을 확인한 연구는 없었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주로 성인 임금 근로자를 대상으로 장시간 노동과 건강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으나 장시간 노동이 빈번한 전문직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크게 두 개의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첫번째 연구는 국가대표성이 있는 자료인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6-2017)를 사용하여 전일제 임금근로자의 노동시간에 따라 알로스테시스 과부하 위험에 차이가 있는지 검토한다. 국민건강영양조사(2016-2017)의 전일에 임금근로자 3,468명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주당 노동시간은 40-52시간을 대조군으로 하여 15-39, 40-52, 53-68, 69 시간 이상의 네 개의 범주형으로 나누었다. 알로스테시스 과부하 점수를 만들기 위해 사용된 변수는 염증관련 지표로는 C반응단백(CRP)과 백혈구(WBC), 심혈관계 관련 지표로는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총 콜레스테롤, 트라이글리세리드, 고밀도 지질단백질의 다섯 개 항목을, 대사관련 지표로는 당화혈색소, 비만도, 혈중 크레아틴, 공복혈당, 허리둘레의 다섯 개 항목을 활용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수, 일 관련 변수를 보정한 결과 40-52시간 노동하는 전일제 임금근로자에 비하여 69시간 이상 일하는 노동자 집단이 1.21 (95% CI: 1.02, 1.44)로 유병률 비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그리고 15-39시간 집단에서 0.85배(95% CI: 0.76, 0.99)만큼 마지널한 통계적 유의성을 지닌 결과를 나타냈다. 만성질환자 및 암환자를 제외한 전일제 임금노동자를 한정한 결과에서도 40-52시간 노동하는 전일제 임금근로자에 비하여 69시간 이상 근무하는 집단에서 1.40 (95% CI: 1.10, 1.80)의 유병률 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남성과 여성의 층화 분석을 하였을 때 남성과 여성에서 그 결과가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두번째 연구에서는 2014년 한국 전공의 근무환경조사에 응답한 전공의 집단에서 노동시간의 차이에 따라 근골격계 통증의 유병률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한국 전공의는 1,077명이었다. 주당 노동시간은 60시간 미만, 60-79, 80-99, 100시간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지난 3개월 간의 근골격계 통증(상지통, 하지통, 요통)은 통증 없음, 업무에 지장을 주지 않는 통증, 업무에 지장을 주는 통증의 세 가지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장시간의 근무시간과 근골격계 통증 간의 관계는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한국 전공의들의 평균 근로 시간은 주당 85.6시간으로 나타났다. 주 60시간 미만 근무하는 전공의들과 비교하여, 주 100시간 이상 근무하는 전공의들은 일에 지장을 주는 상지통 (PR:1.77, 95% CI: 1.37, 2.30)과 일에 지장을 주는 요통(PR:2.15, 95% CI: 1.51, 3.06)의 유병률 가능성이 높았다. 반면, 하지통의 분석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자를 대상으로 장시간 노동과 알로스테시스 과부하와의 연관성을 처음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전공의의 극단적인 장시간 노동과 근골격계 통증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는 건강에 미치는 장시간 노동의 노동시간 분류에 대한 논의와 장시간 노동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필요하다.

      • 韓國 建設現場 産業災害와 對策方案에 관한 硏究 : 현장 노동자 관점에서

        박종국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35

        본 연구는 건설현장 재해의 근본적인 원인과 예방을 위한 안전?보건 확보 방안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연구자료 및 문헌은 민주노총 전국건설산업노동조합 연맹 및 가맹 노조의 자료를 많이 활용하였다. 또한 대한건설협회 심규범 박사의 연구논문 인용이 많이 되었다. 그리고 일부 노동부 및 한국산업안전공단 연구 용역보고서 자료가 일부 인용되었다. 외국 문헌으로는 국제건설목공노련(BWI)의 자료가 활용되었다. 본 연구는 건설현장의 재해 및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장노동자의 예방사업 참여보장과 역할, 그리고 산재은폐를 위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아울러 불법다단계하도급법의 문제점과 고령화, 장시간노동의 문제들이 노동자 시각에서 제시되었다. 또한 건설현장 산재 은폐 문제는 건설노동자들의 ‘고용불안문제와 실질 휴업보장급여 보장’ 대책과 연동선 상에 있으므로 다각도의 접근 방향이 있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법제도 개선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건설근로자고용개선에 관한 법률”에 고용의제를 명시할 것, 입?낙찰제도의 개선과 기능인력 상시고용, 명예산업안전감독관의 권한 강화,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내실화, 소규모 공사현장과 건설기계 특수고용 종사자들에 대한 산재적용 및 안전대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사례조사 및 실태분석을 통한 문제점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설현장 중대재해의 근본적인 원인은 작업 형태 및 건설업 구조와 깊은 관련이 있다, 최저가낙찰제 시행으로 다단계하도급으로 내려오면서 최하층 노동자들에게 전가되는 저임금, 장시간중노동, 열악한 작업환경, 비현실적인 안전교육, 안전보호장구 착용 강요의 비현실성, 고령화, 외국 이주노동자의 관리 등등의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계속해서 비정규직화 되어가는 원청건설사 종합건설업체 안전관리자들의 고용불안에 따른 역할 부재, 산재 발생시 하청 전가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주요어 : 건설노동자, 산업안전보건법, 원청(종합건설회사), 물량품떼기, 건설산업기본법, 건설근로자고용개선에 관한 법률, 중대재해(5대 재래형), 산재보상보험법, 다단계하도급, 응급비상벨. This research is aimed at finding the fundamental causes of industrial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sector as well as addressing the safety and health measures designed to prevent these work-related accidents. Reference materials and sources are from documents and resource materials from theKorean Federation of Construction Industry Trade Unions (KFCITU) and its affiliates. In particular, research papers by Doctor Shim Kyu Bum from the Construction Research and Economic Institute of Korea will be the main documents quoted in this research paper. Other reference documents noted will be project-based research papers from the Ministry of Labour, the Kore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ssociation, and the Building and Wood Workers International. This research paper proposes measures and safety guards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and occupational diseases in the construction sector. A critical player in the proposals is the rank and file workers whose active participation is essential to resolving the issue of "concealing industrial accidents." Proposals will also focus on the "illegal multi- sub contracting system," an aging work force, and long work hours. The research paper will also emphasize the need to develop various angles of approach to solve the matter of "concealing industrial accidents"as this is linked to job insecurity and full compensation for industrial accidents. In the latter, construction workers agreeto settle with employers and not report that their injuries are a result of a work-related accidents as they will only receive 50% of their daily salary. To encourage workers to fully report work related accidents, they should receive 100% workers compensation in the case they are injured at the work site. This research is proposing the following reforms related to legislations pertaining to construction workers: 1. Inclusion of a clear provision of "employment relations" within the Act on the Employment, ., etc. of Construction Workers." 2. Reform of the bidding and tender system and within this ensuring permanent of a skilled work force. 3. Reinforcement of authority given to safety inspectors. 4. Application of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Program and implementation of safety measures for "Self-Employed" construction workers and workers handling construction equipment such as tower cranes. The problems and results identified by case studies and analysis of actual conditions are the following: 1. The fundamental causes for fatal industrial accidents are deeply related with the type of work and the system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2. "Tender or bidding for the lowest price" causes a multi-layer sub contracting system; and subsequently results in low wages, long work hours, poor and indecent working conditions, failure to implement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nd lack of enforcement in wearing safety protection equipment. 3. Aging work force. 4. Influx and management of migrant works. 5. Lack of safety officers' activities implemented by the principal contractors due to the precarious and unstable nature of employment for the majority of the construction workers. Thus, the principal contractor fails to take full responsibility for not only safety and health measures but importantly for industrial accidents. Key Words : Construction workers,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Act, Principal Contractor (General Construction Companies), Work based on Project Deadlines instead of Work Hours, Construction Industry Standard Act, Act on the Employment Improvement, etc. of Construction Workers, Fatal Industrial Accidents,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Program, Multi-layer sub contracting, and Emergency bell

      • 실제-적정 근로시간 간의 불일치가 노동자의 선호하는 근로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일-가정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우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367

        For the past two decades, working hours of South Korean workers have been steadily reduced nonetheless, South Korean workers still work long hours compared with their counterparts in other countries. Mismatches between actual hours of work and the hours they prefer to work are common in South Korea. There are not many studies examined the reasons of mismatch and understanding of working hours mismatches is still limited. This article helps to integrate research on work-family issues by examining how working long hours and work-family conflict influences the desire for more or fewer hours of work. The present study also attempted to find out whether work-to-family has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y employing a sample of 205 questionnaires from employees working in companies in South Korea, this thesis used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variate Analyses. Analyses found that overtime work caused more work-to-family conflict and consequently employees want to reduce the working hours in order to deal with work-to-family conflict. In addition, work-to-family conflict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of discrepancies between actual and preferred hours caused by overtime work and the desire for fewer hours of work. Male and female employees in their 30’s as well as senior staffs desire fewer hours of working suggests that work-to-family conflict is more likely to produce a desire to work fewer hours when employees are work long hours.

      •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노동의 시·공간적 확장

        신도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351

        This thesis examines how white-collar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engage in labor on mobile messaging applications which dismantle the previous time-space boundary of work. It researches about the discipline and control that make them embody the resulting long hour performance of work, and analyzes how the workers respond to the work-discipline enforced upon them by the instantaneity of mobile messaging. The long hour labor discussed in this thesis which is the work performed on a mobile messenger that blurs the time and space boundaries of communication ha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a critical analysis on this issue and to suggest countermeasures. The researcher used in-depth interview, literature review and discourse analysis for the methodology of this thesis. Thirteen Korean office workers in their 20s or 30s, who have high rates of smartphone usage, participated as informants for the in-depth interviews between February and March of 2017.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 mobile messenger functions as a virtual workplace that is an extension of physical work space. It creates the effect of enforcing workers to work through self-censorship regardless of the time and space of work which they initially agreed upon. Workers perform work outside their contractually negotiated hours because communication on the mobile messenger demands immediate action and intimacy. This demand of intimate responses on the mobile messenger is combined with the hierarchical order existing in the workplace to compel workers to perform emotional labor. Second, workers who are subordinated to the extended working hours are reacting to the current labor system by securing their own time and space, which attempts are made through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Workers whose working hours have been extended through smartphones use the smartphones to engage in activities which are perceived as 'taking rest', such as hobbies or access to information of their interests online. This contradiction results in blurring not only the temporal boundaries but also the spatial boundaries of work and life. Third, the researcher argues that government intervention is needed in the negotiation on work hours and work disciplines between workers and corporations. The workers do not hold equal status as the corporations in negotiating work hours but the labor with ambiguous time-space boundaries continues to be imposed upon them. This situation demands counter-measures prepared at government level. France, which presented institutional measures against expanding working hours through the use of smartphones, decided to prohibit corporations from demanding workers to work outside the working hours based on the "right to disconnect". Germany introduced measures to block company e-mail servers in order to prevent workers from sending or receiving e-mails outside of working hours. The Japanese government is taking measures to the social issue of long working hours as these have caused overwork suicides and deaths. In Korea, a bill introducing the “right to disconnect” was proposed. Korean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today are experiencing the expansion of working hours which is sustained by the hierarchical order of workplace, and are forced to perform emotional labor. The interface characteristics of mobile messengers contribute to implementing work discipline and control. Workers are responding to this situation by securing private time and newly defining this time. This thesis argues that the issue should be resolved by providing detailed classification in identifying what is working hours and by initiating related measures. 본 논문은 시∙공간적 경계를 해체하는 모바일 메신저 상에서 이루어지는 업무, 이로 인해 장시간 노동의 수행을 내재하게 하는 규율과 통제에 대해 분석한다. 나아가 즉각적 반응을 이용해 강요된 노동 규율에 대한 20-30대 직장인들의 대응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가 다루는 장시간 노동은 소통의 시∙공간적 경계를 해체하는 모바일 메신저 상에서 이루어지는 업무이며 사회적 문제로 부상했다. 이에 대한 비판적인 분석을 진행하고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 심층면접과 문헌조사, 담론 분석을 이용했다. 심층면접은 2017년 2월에서 3월 사이에 진행되었으며, 스마트폰 이용률이 높은 한국의 20-30대 사무직 직장인 13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고, 이를 통해 도출한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메신저는 물리적 직장 공간의 연장선상에 있는 직장 공간의 역할을 수행하게 한다. 이는 직장인들로 하여금 자기 검열을 통해 지정된 업무의 시∙공간과 무관하게 노동자로서 일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모바일 메신저가 유발하는 즉각성과 친밀성이 커뮤니케이션에 요구되면서 직장인들은 자신이 계약상 협의한 노동 시간 외에도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또, 친밀성의 표현이 요구되는 모바일 메신저 공간과 직장 내 존재하는 위계질서가 결합되면서, 직장인들은 업무뿐만 아니라 감정 노동의 수행을 강요 받는다. 둘째, 확장되는 노동시간에 예속된 노동자들은 자신 고유의 시간과 공간을 확보하려는 방식으로 현 노동 체제에 대응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도는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노동시간이 스마트폰을 통해 확장된 상황에서 직장인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해 취미나 관심사에 접속하여 휴식을 취한다고 믿게 되고, 이러한 모순성은 일과 생활의 시간적 경계뿐만 아니라 공간적 경계까지 흐려지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셋째, 연구자는 노동자와 기업 사이의 노동 시간 및 규율의 협상에 있어 정부가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현재 노동시간의 협상에 있어 기업과 노동자의 관계가 동등하지 못하며, 시∙공간적 경계가 불분명한 노동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의 마련이 정부의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스마트폰의 이용을 통해 노동시간이 확장되는 상황에 대한 제도적 대책을 마련한 프랑스는 ‘연결되지 않을 권리’를 바탕으로 근무 시간이 아닌 시간에 노동하는 것을 노사간 합의 하에 금지하도록 했다. 독일의 경우 근무시간 이외에 메일을 주고 받지 않기 위해 기업의 이메일 서버를 차단하는 대책을 내놓기도 했다. 과로로 인한 자살, 사망사건이 대두되면서 장시간 노동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일본의 경우 정부 차원의 대책을 마련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서는‘연결되지 않을 권리’를 중심으로 하는 법안이 발의되었다. 현재 한국의 20-30대 직장인들은 직장의 위계질서 노동시간의 확장을 경험하며 감정 노동의 수행도 강요 받고 있고, 여기에서 모바일 메신저의 인터페이스적 특성이 노동통제와 규율의 이행을 돕는다. 직장인들은 이러한 상황에 자신의 시간을 확보하고, 새롭게 의마화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나아가 이 문제는 근로시간의 의미를 세분화하고, 이에 대한 꾸준한 법안의 발의를 통해 개선 되어야 한다.

      • 여성관리자의 승진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김선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1995

        본 논문은 여성관리자의 승진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여성의 육아부담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 여성관리자의 승진욕구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의 승진욕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직적 수준과 개인적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조직적 수준의 요인은 가족친화제도 활용 용이성, 장시간 노동 문화 변수를 사용하였으며, 개인적 수준의 요인은 직무만족도, 자기효능감, 조직몰입도, 영유아 자녀유무 변수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관리자패널조사 2008년(2차)부터 2018년(7차)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여성관리자의 승진욕구를 네 수준으로 구분하여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조직적 수준에서는 장시간 노동 문화가 여성관리자의 승진욕구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수준에서는 자기효능감, 조직몰입도, 영유아 자녀유무가 여성의 승진욕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연령, 직급, 멘토유무, 네트워크, 인사제도 공정성 인식, 성차별 경험, 직속상사 만족도도 여성의 승진욕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분석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관리자의 승진욕구를 높이기 위해 정책적으로 ‘경력유지’와 ‘승진욕구’ 구분하고 여성의 경력단절 방지에 방점을 둔 일·가정양립 제도의 보완, 육아휴직 여성의 복직시 자기효능감 회복과 조직몰입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factors that affect female managers' desire for promotion by focusing on women's burden of childcare, and tries to draw policy implications to increase female managers' desire for promotion. For this purpose, factors affecting women's promotion desire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organizational level and individual level. For organizational level factors, variables such as ease of use of family-friendly system and long working hours were used. For personal level factors,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resence of infants and toddlers were used. Data from the Korea Women's Policy Institute Female Managers Panel Survey 2008 (2nd) to 2018 (7th) were used as data, and ord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dividing female managers' promotion needs into four leve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 culture of long working hours increased female managers' desire for promotion, and at the individual level,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aving childre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omen's promotion desire. Age, position, presence of mentor, network, perception of fairness in HR system, experience of gender discrimination, and satisfaction with direct supervisor were also factors that affected women's desire for promo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of all, in order to increase female managers' desire for promotion, the necessity of distinguishing between 'career maintenance' and 'promotion desire' was emphasized as a policy. In addition, it was proposed to dualize the work-family balance system, which focused on preventing women's career interruption, into a system that focused on expanding women's decision-making authority. Lastly, the necessity of preparing an institutional device for women to recover self-efficacy and immerse themselves in the organization when they return to work on parental leave wa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