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아가치관 검사 타당화 연구 -자아가치관 일치도 척도를 중심으로-

        유정미,김정규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ation of the self-concept inventory focusing on the self-concept congruence part which was lack previously. This study formed the clinical group consists of 24 schizophrenic patients, 15 bipolar disorder patients, and 20 alcohol dependent patients who are the age between 20 and 60 and the non-clinical group of 170 who are similar in age and education. The study subjects were tested for self-concept inventory, MMPI168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BAI (Beck's Anxiety Inventory), and SEQ (Rosenberg Self-Esteem Questionnaire). In reliability test of the self-concept inventory was showing high level of reliability. To get the criterion related validity,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of covariance letting the gender, age, and education level of both clinical and non-clinical group as the covariance. The result showed that the score of schizophrenic and alcohol dependent patients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in every scal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discriminant analysis to test the criterion related validity, the validity hit ratio was 67.7% when the whole clinical group was tested. However, when the test was conducted to the group excluding the bipolar disorder patients, the criterion hit ratio was higher at 80.4%. When excluding the group of bipolar disorder patients, the self-concept inventory divided the groups significantly. To get the construct validity, this study compared the correlations of the self-concept inventory, MMPI 168, SEQ, and BAI scores. There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concept inventory and SEQ while there wa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concept inventory and the sub-clinical scales of BAI and MMPI 168. This study analyzed the questions in the self-concept congruence and deleted 32 questions out of 76 self-concept congruence questions and added five questions comprising the total of 49 question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test.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e self-concept inventory is very reliable test enough to be usedat actual clinical practices and suggest that it would be a great scale to detect the change of the patients at actual practices through researches on self-concept congruence scale.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som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considere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through the suggestions for the succeeding studies. 본 연구에서는 다면적인 자기 개념(self concept)을 측정하는 자아가치관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검사의 유용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전 연구에서 미흡 했던 자아 가치관 일치도에 대한 연구를 보강하여, 자아 가치관 일치도의 문항 분석을 추가하고, 모호한 문항을 수정하였다. 본 연구의 임상 집단은 사고장애나 망상이 극심하지 않으며, DSM-IV 축 2 장애가 공병하지 않는 정신과 입원 환자들로, 정신분열병 환자 24명, 양극성 장애 환자 15명, 알콜 의존 환자 20명으로 총 59명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비 임상집단은 그들과 연령과 학력이 대응되는 비 임상집단 170명의 자료가 분석이 실시되었다. 자아가치관 타당화 연구에 사용된 검사지는 자아가치관 검사와 수렴 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MMPI 168 적응검사(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BAI(Beck's Anxiety Inventory), SEQ (Rosenberg Self-Esteem Questionnaire)였다. 이 검사지들은 선행 연구와 다른 척도 중 널리 쓰이는 검사지를 통해 검증하기 위해 선정 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가치관 검사 신뢰도 검증을 위한 Cronbach alpha는 현실적 자아가치관에서 .817-.887, 자아가치관 일치도에서 .913-.941였으며, Spearman-Brown coefficient는 현실적 자아가치관은 .67-93, 자아가치관 일치도는 .87-.93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둘째, 자아가치관 검사의 기준타당도를 구하기 위해 임상집단과 비 임상집단의 성별, 연령, 교육수준을 공변인으로 하고 공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신분열병과 알콜 의존 집단은 비 임상집단보다 모든 척도에서 유의미하게 점수가 낮았으나, 양극성 장애 집단은 비 임상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추가적으로, 기준타당도 검증을 위해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대상인 모든 임상 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했을 때는 전체 판별적중률은 67.7%였고. 양극성 집단을 제외 판별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판별적중률은 80.4%로 높아졌다. 양극성장애 집단을 제외 하였을 때 자아가치관 검사는 임상 집단 간 서로 의미 있게 구분하였다. 셋째, 자아가치관의 구성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자아가치관검사와 MMPI 168 적응검사, SEQ, BAI의 점수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자아가치관 검사와 SEQ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BAI와 MMPI 168 적응검사의 하위 임상척도들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볼 때 자아가치관 검사는 높은 신뢰도와 기준타당도, 구성타당도를 확보 하였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자아가치관 일치도의 문항분석을 통해 자아가치관 일치도 76문항 중 32문항을 삭제하고 새로 5문항을 추가하여 총 49문항으로 자아가치관 일치도 척도를 재구성 하여 검사의 효율성을 증가시켰다. 연구 결과, 자아가치관 검사가 임상 현장 및 상담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만큼 신뢰로운 검사이며, 임상 및 상담 현장에서 좋은 척도가 될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 KCI등재

        자아해석이 브랜드 진정성 차원의 영향력에 미치는 영향

        박현정(Park, Hyun Jung) 한국문화산업학회 2018 문화산업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브랜드 진정성 차원으로서 브랜드 독창성 및 신뢰성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이 브랜드에 대한 태도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러한 영향력이 소비자의 자아해석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소비자의 자아와 진정성 브랜드와의 연결 지각이 브랜드 태도 및 충성도를 향상시키는 과정에서도 자아해석이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총 227명이 429개의 브랜드에 대하여 평가한 설문 조사 결과, 독립적 자아해석 집단에서는 브랜드 독창성이 브랜드 태도나 충성도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신뢰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자아해석 유형에 관계없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신뢰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호의존적 자아해석 집단에서 보다 크게 나타났다. 상호의존적 자아해석 집단에 비해 독립적 자아해석 집단에서 자아-브랜드 연결 인식이 브랜드 태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perceptions and impacts of brand authenticity differ depending on a consumer’s self-construal(SC). After eliminating data that could not be used due to incomplete responses, the final sample consisted of 227 respondents who evaluated 429 brands. Respondents were asked to select brands which they perceive highly authentic as well as brands from an identical or closely related product category which they perceive inauthentic. The results show that original or reliable brands were regarded as more authentic brands for independent SC compared to interdependent SC. Moreover, the self-construa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originality and brand attitude with authentic brands having more pronounced effects for independent SC compared to interdependent SC. Brand reliability increased brand attitude for both of the groups and raised more brand loyalty among interdependent SC. SC also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brand connection and brand attitude. 본 연구는 브랜드 진정성 차원으로서 브랜드 독창성 및 신뢰성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이 브랜드에 대한 태도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러한 영향력이 소비자의 자아해석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소비자의 자아와 진정성 브랜드와의 연결 지각이 브랜드 태도 및 충성도를 향상시키는 과정에서도 자아해석이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총 227명이 429개의 브랜드에 대하여 평가한 설문 조사 결과, 독립적 자아해석 집단에서는 브랜드 독창성이 브랜드 태도나 충성도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신뢰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자아해석 유형에 관계없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신뢰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호의존적 자아해석 집단에서 보다 크게 나타났다. 상호의존적 자아해석 집단에 비해 독립적 자아해석 집단에서 자아-브랜드 연결 인식이 브랜드 태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perceptions and impacts of brand authenticity differ depending on a consumer’s self-construal(SC). After eliminating data that could not be used due to incomplete responses, the final sample consisted of 227 respondents who evaluated 429 brands. Respondents were asked to select brands which they perceive highly authentic as well as brands from an identical or closely related product category which they perceive inauthentic. The results show that original or reliable brands were regarded as more authentic brands for independent SC compared to interdependent SC. Moreover, the self-construa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originality and brand attitude with authentic brands having more pronounced effects for independent SC compared to interdependent SC. Brand reliability increased brand attitude for both of the groups and raised more brand loyalty among interdependent SC. SC also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brand connection and brand attitude.

      • KCI등재

        중학교 교사의 성인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김현주,함경애,천성문,주동범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중학교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을 조사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18.0과 AMOS 7.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교사의 성인애착과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애착회피차원, 애착불안차원 모두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고,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교사의 성인애착유형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는 완전매개로 나타났다. 중학교 교사는 성인애착에 따라 심리적 안녕감이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성인애착은 쉽게 바꿀 수 없는 특성으로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자아탄력성이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애착에 문제가 있다고 하더라도 자아탄력성에 초점을 맞춘다면 긍정적인 결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학교에서 애착관계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 자아탄력성 증가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쌍이(Ssang-Lee Lee),이수진(SuJin Lee)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논총 Vol.30 No.-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아동의 자아탄력성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6개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6학년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자아탄력성, 학업스트레스, 학교생활적응 정도를 비교해 보면, 자아탄력성과 학업스트레스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학교생활적응에서는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아탄력성의 상하 수준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정도를 비교해 보면,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의 전체 학업스트레스가 낮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t=-3.47, p<.001), 학업스트레스 하위요인들 역시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의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 상하 수준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정도를 비교해보면,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의 전체 학교생활적응 점수가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t=13.31, p<.001) 학교생활적응의 하위 요인들 역시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학업스트레스와 전체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부적 상관(r=-.24, p<.01)을 보여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학업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학교생활적응과 매우 높은 정적 상관(r=.68, p<.01)을 보여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스트레스에 대처하고 학교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예방적 차원에서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계발이 필요하고,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verify the importance of self-resilience by examining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resilience upon academic stress and school life adaptation.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selected 300 elementary school sixth graders attending six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Thereby, this paper g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the comparison of self-resilience, academic stress, and school life adaptation by sex, it was shown that self-resilience and academic stress did not differ by sex and girls indicated higher school life adaptation. Second, in the comparison of academic stres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resilience, it was found that the group showing high self-resilience indicated lower overall academic stress,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3.47, p<.001), and the group with high self-resilience also gained lower scores in the subfactors of academic stress. Third, in the comparison of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resilience, it was shown that the group with high self-resilience received a high score in overall school life adaptation,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13.31, p<.001), and the group with high self-resilience also gained high scores in the subfactors of school life adaptation. Fourth, since children’s self-resilience had a significantly high negative correlation (r=-.24, p<.01) with academic stress in general, as self-resilience is higher, academic stress gets lower. And children’s self-resilience exhibited a very high positive correlation (r=.68, p<.01) with school life adaptation, so as self-resilience is higher, school life adaptation becomes better.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self-resilience in the preventive dimension to relieve academic stress and support school life adaptation and also conduct follow-up researches on various variables affecting self-resilience.

      • KCI등재

        자아의 동일성 그리고 가족 유사성

        이재희 범한철학회 2011 汎韓哲學 Vol.61 No.2

        This thesis is the analysis of Self-Identity. I chose the theme because we are all concerned with our happiness and unhappiness, sorrow and joy as ourselves. The Self which we are concerned with is not only the Self of this moment, but of the past and future. To wit, the Self which is important to me is something that maintains identity through time. Hence the problem of Self-Identity is very important and worth to examine. But, as I point out in chapter 1, the problem is not so simple as it seems. Why do we think of ourselves as remaining the same throughout changing experiences that make up our lives? Especially, with rapidly developing genetic engineering and medical technologies, we have to meet the cases of brain-transplant, brain-bisection, human cloning and so on. To solve this philosophical problem, in chapter 2, two frameworks are given. One is the analysis of the concept of identity. It shows that the concept of identity integrates the different type-levels of "sameness"; And the confusion between the sameness of one instant and that of enduring time was led to many philosophical mistakes, specially the idea of Self-Identity as immortal and unchangeable substance. The other is the critical analysis of linguistic essentialism using the concept of Wittgenstein's family resemblance. It is Aristotle's essentialism which claims that the essence makes a thing itself and changeless. But it is, in fact, a disguised linguistic essentialism that could be refuted by Wittgenstein's meaning as use based on the concept of family resemblance. And by showing that all general terms can be applied to this and still be meaningful without essentialism, it is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self is not fixed but varied to time and circumstance. In chapter 3, several representative theories of Self-Identity are presented. The substance of Descartes, the memory of Locke, Self as a bundle of ideas of Hume and bodily identity theory of Ayer are discussed. In chapter 4, applying two frames provided in chapter 2 on the borderline cases, these theories are assessed. And we reassure that Wittgenstein's family resemblance can release us from our blind faith in fixed and changeless Self-Identity. This justifies our argument that Self-Identity is just a matter of degree within psychological connectedness. In last chapter, through answering some anticipated questions, the meaning and value of such an alternative notion of Self are shown. 이 논문은 자아의 동일성에 대한 철학적 분석이다. 자아의 동일성을 논문의 주제로 택한 이유는 우리들의 삶이 다른 누가 아닌 나 자신의 행복과 불행, 나의 슬픔과 기쁨에 연관되어 있으며, 이 세계는 나의 세계일 때만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동일성이 문제가 되는 것은, 우리가 관심을 갖는 자아가 지금 이 순간의 나뿐 아니라 과거 그리고 미래와 연관되는 자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간 속에서 동일성을 유지하는 자아가 무엇인가에 대한 탐구는 우리에게 중요하다. 그러나 1장에서 제시하였듯이 우리의 변화하는 삶 속에서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처럼 보이는 나의 동일성이 어디에 있는가 하는 문제는 생각처럼 단순하지 않다. 특히 유전 공학과 테크놀로지의 발전을 통하여 예상되는 뇌이식, 뇌양분, 복제 등의 상황 속에서 자아의 동일성이 어디에 있는가하는 것은 진짜 철학적 문제가 된다. 이 철학적 문제을 해결하기 위해 2장에서는 자아의 동일성의 기준을 평가하고 검토하기 위한 두 가지 틀을 제시한다. 첫째는 동일성에 대한 개념 분석이다. 동일성에 대한 분석은 동일성의 개념들이 서로 다른 유형-수준(type-level)에서의 같음을 포괄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한 시점 t1에서의 a가 a와 같다는 동일성이 시간 속에서 변화하는 사물들의 동일성과 혼돈됨으로써, 많은 철학적 문제가 발생했으며 특히 자아의 동일성 문제에서도 언제나 불변하는 무엇이 있어야 한다는 잘못된 믿음으로 이끈 계기가 되었음을 시사한다. 둘째는, 비트겐슈타인의 가족유사성의 개념을 토대로 한 언어의 본질주의에 대한 비판이다. 변화 속에 불변하는 것으로서 어떤 것을 그것으로 만드는 것은 형상 즉 본질이라는 것이 아리스토텔레스의 본질주의이다. 그러나 사실상 이 본질주의를 뒷받침하는 것은 언어의 본질주의이다. 즉 어떤 대상을 지칭하는 단어에는 모든 시간적 흐름과 변화 속에서도 유지되는 고정 불변의 의미가 있으며, 이것이 곧 그 대상을 대상이게끔 해준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언어의 본질주의를 논박하고 있는 것이 가족유사성이라는 개념을 토대로 한 비트겐슈타인의 사용으로서의 의미론이다. 이 의미론이 자아를 포함한 모든 일반 명칭에 적용됨을 밝히고 본질주의를 포기하더라도 의미는 유지됨을 보여줌으로써 자아의 개념이 고정 불변한 것이 아니라 시대와 상황에 따라 유의미하게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3장에서는 자아의 동일성에 대한 대표적 대안들이 제시된다. 데카르트의 직접적으로 인식되는 정신적 실체로서의 자아, 로크의 기억, 흄의 관념의 다발로서의 자아. 에이어의 육체로서의 자아가 자아의 동일성 기준에 대한 대표적 대안으로 제시된다. 그리고 4장에서는 2장에서 제시된 분석의 틀을 경계선상의 경우들에 대입하면서 위의 기준들 중 어느 것이 적합한가를 검토한다. 그리고 비트겐슈타인의 가족유사성의 개념을 자아의 동일성의 문제에 적용하면, 자아의 동일성을 부여하는 어떤 고정 불변한 것이 있다는 믿음은, 자아라는 개념에 어떤 불변하는 본질이 있다는 언어적 본질주의에 기원함을 재확인한다. 그러므로 만약 언어적 본질주의가 타파되었다면, 자아의 동일성은 항상 고정적이며 따라서 그 개념에 포섭되는 대상은 확정적이라는 믿음도 타파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된다. 이러한 발견은 자아의 동일성이 정도의 문제일 수 있다는 주장을 정당...

      • 선수의 자아개념과 선호하는 리더십 유형의 관계

        염돈일(Yeam Don-Il)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5 스포츠과학논문집 Vol.17 No.-

        본 연구는 코치 및 감독의 지도행동유형 결정에 관계되는 선수들의 훈련 태도 및 행동을 예측하고 이를 통제하는데 도움이 되며, 선수들의 지도, 교육에 요구되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운동선수의 자아개념 항목별 점수에 따라서 선호하는 리더십 유형과의 관계를 알아본 것으로 자아개념의 항목별 점수와 선호하는 리더십 유형별 점수간의 상관관계의 유의성을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고등학교 이상, 운동경력 5년이상인 290명을 무작위 추출하였으며 측정도구로써 리더십 유형 검사는 LSS(Leadership Scale for Sport)질문지로 훈련과 지시형, 민주형, 권위형, 사회적 지지형, 긍정적 송환형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또한 자아개념 검사의 측정도구로는 정원식이 제작한 검사지로 자아 평가점수, 자아 긍정점수(총자아 긍정, 자아 동일성, 자아 수용, 자아 행동, 신체적 자아, 도덕적 자아, 성격적 자아, 가정적 자아, 사회적 자아), 변산점수(총자아 변산, 내적 변산, 외적 변산), 분포점수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자료처리방법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의 Condescriptive와 Regression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아수용항목. 분포점수항목의 자아개념점수 수준이 높거나 신체적 자아, 도덕적 자아, 성격적 자아 항목의 자아개념 점수수준이 낮은 선수들에게는 훈련과 지시형의 지도행동을 강하게 적용하는 것이 선수의 자아개념을 고려한 코치 및 감독의 지도 처방이라 할 수 있다. 2. 선수의 자아개념과 코치의 지도행동유형간의 적용에서 선수의 자아개념을 민주적 지도행동유형과는 교려할 필요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3. 가정적 자아, 신체적 자아, 성격적 자아, 도덕적 자아, 사회적 자아 점수가 높게 나오거나 자아수용점수, 자아행동점수가 낮게 나오는 선수에게는 권위형의 지도행동을 강하게 적용하는것이 선수의 자아개념을 고려한 코치 및 감독의 지도처방이라 할 수 있다. 4. 분포점수 항목이 높게 나오는 선수에게는 사회적 지지형의 지도행동을 강하게 적용하는 것이 선수의 자아개념을 고려한 코치 및 감독의 지도처방이라 할 수 있다. 5. 선수의 자아개념과 코치의 지도행동유형간의 적용에서 선수의 자아개념을 긍정적 송환형 유형과는 고려할 필요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presuppose and control the athlete's attitude and behavior in relationship withthe coach and director's leadership style, to furnish data in need of training and instructing of athlete. By the examination of the preferable leadership style, examine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each item score which shows self-concept and each preferable leadership style. The experimantal group consists of 290 athlete who have five years athletic background and above 17 years old. All the sample athletes are randomly selected. The researching tool is ISS questionnaire which is composed of Training and Instruction Behavior, Democrative Behavior, Autocrative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and Positive Feedback. The researching tool of self-concept questionnaire made by Chung, Won-sik, which is composed of Self-Criticism, Self Positive score (Total positive self score, self identity score, self satisfaction score, self behavior score, physical self, moral ethical self, personal self, family self, social self), Variability score (Total variability score, row variability score, colomn variability score), Distribution score. Using Condescriptive and Regression of SPSS statistic program, the result is as follow: 1. To the athlete who marks higher level on self satisfaction item and distribution item or marks lower level on moral ethical self and personal self, training and instruction behavior is the best directive description. 2. In application between athlete's self concept and coach's leadership style, there is no need to consider democratic behavior. 3. To the athlete who marks higher level on family self, physical self, personal self, social self or marks lower level on self satisfaction and self behavior score, autocrative behavior is the best directive description. 4. To the athlete who marks higher level on distribution score, social support behavior is the best directive description. 5. In application between athlete's self concept and coach's leadership style, there is no need to consider poisitive feedback.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자아통합감 연구동향 분석

        박현숙(Park, Hyun sook),전효정(Jeon Hyo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들의 주제어를 추출하여 분석하고 자아통합감의 여러 가지 변인들을 도출하여 자아통합감의 연구동향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국내에서 출판된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중 ‘자아통합감’을 주제어로 하는 논문 170편을 수집하고 309개의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이후 텍스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단어 정제작업을 수행하고 빈도분석과 Textom 프로그램의 TF, TF-IDF, N-gram을 통해 주요 키워드를 파악하고 이를 분석 및 시각화 하였다. 또한 CONCOR 군집 분석을 활용하여 주요 키워드의 연결 중심성을 확인 및 분석하고 이를 시각화 하였다. 결과 첫째, 2010년 이후부터는 매년 평균 10편 이상씩 많은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졌다. 둘째, 자아통합감 관련 연구는 66개의 학술지에 총 170편의 논문이 게재 되었으며,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학회 및 사회과학, 의약학, 인문학, 교육, 자연과학등 다방면으로 연구되어지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셋째, 자아통합감과 관련된 연구의 주요 키워드의 출현 빈도를 살펴본 결과, ‘자아통합감’, ‘노인’, ‘우울’, ‘집단’, ‘죽음불안’, ‘미술치료’, ‘사회적지지’, ‘회상치료’, ‘삶의 만족도’, ‘자아존중감’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TF-IDF 가중치 분석 결과 출현 빈도의 순위와 거의 유사하게 도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교적 가중치가 높은 키워드는 ‘노인’, ‘우울’, ‘죽음불안’,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집단미술치료’, 등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N-gram 분석에서는 주요 키워드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자아통합감 키워드와 연관성이 높은 키워드 순으로 나열하면 ‘우울’, ‘죽음불안’, ‘노인’, ‘생활만족도’, ‘집단’, ‘초월’, ‘삶의 만족도’, ‘문화역량’이 각각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네트워크로 표현한 연결정도 중심성은 ‘자아통합감’, ‘노인’, ‘우울’, ‘집단’, ‘사회적지지’ 들을 중심으로 형성 되어 있다. 일곱째, CONCOR 군집분석에서는 자아통합감의 군집들은 크게 ‘삶의 만족’, ‘자아실현’, ‘자원과행동’, ‘가족과사회’를 설명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결론 국내 노인의 자아통합감을 변인으로 한 연구들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아통합감에 대한 다양한 변인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main words of the studies on ego-integrity are extracted and analyzed in domestic journals, and various variables of ego-integrity are derived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of ego-integrity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s Among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published in Korea, 170 papers with the theme of ‘ego-integrity’ were collected and 309 theme words were derived. After that, word refinement was performed using TEXTOM program, and major keywords were identifi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TF, TF-IDF, and N-gram of Textom program, and analyzed and visualiz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centrality of the main keywords was confirmed and analyzed by using CONCOR cluster analysis and visualized. Results First, since 2010, more than 10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average every year. Second, a total of 170 papers were published in 66 journals on ego-integrit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stud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cademic society, social sciences, medicine, humanities, education, and natural sciences for the elderl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requency of the major keywords of the study related to ego-integrity, it was found that ‘ego-integrity’, ‘elderly’, ‘depression’, ‘group’, ‘death anxiety’, ‘art therapy’, ‘social support’, ‘reminiscence therapy’,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were in order. Fourth, the TF-IDF weight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t was almost similar to the ranking of the frequency of appearance., The keywords with relatively high weight were identified as ‘old man’, ‘depression’, ‘death anxiety’, ‘social support’, ‘self-esteem’, ‘group art therapy’. Fifth, N-gram analysis confirmed the correlation between key keywords. The keywords with high correlation with the keywords of ego-integrity were listed in the order of ‘depression’, ‘death anxiety’, ‘elderly’, ‘life satisfaction’, ‘group’, ‘transcendence’, ‘life satisfaction’ and ‘cultural competence’. Sixth, the degree of connection centrality expressed in the network is formed mainly by ‘ego-integrity’, ‘elderly’, ‘depression’, ‘group’, and ‘social support’. Seventh, in CONCOR cluster analysis, the clusters of ego-integrity are largely explained as ‘life satisfaction’, ‘self-realization’, ‘resource and behavior’, and ‘family and society’.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keyword network analysis of the studies that used the ego-integrity of the elderly in Korea as a variable, various variables about ego-integrity were derived and the direction of the follow-up study was suggested based on this.

      • KCI등재

        자아구축 과정에서의 여행과 패션 소비의 상호관련성에 관한 질적 연구: 통과의례와 리미노이드 경험의 역할을 중심으로

        김인혜,박희정,김봉현 한국광고PR실학회 2019 광고PR실학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ravel and fashion consumption, focused on the role of liminoid in the rites of passage. Specifically, this study concentrates on how liminoid experiences influence a self-transition in the process of a self-construction through the consumption behaviors in travel and fashion. To do this, a qualitative approach was taken and a phenomenological interview technique was executed. The findings show that the liminoid experiences in a travel situation stimulate one’s self-transition through consuming fashion products in the travel places. This study also shows that SNS encourages to negotiate and reconciliate the conflicts between the existing self and new contradictory selves in the state of liminoid by acquiring positive supports from social members on SNS. This study concludes with providing the hypothetical theoretic framework to further develop the theory related to the role of liminoid and SNS in the self-construction process in consumption situation. 본 연구는 개인의 자아구축 과정에서 여행과 패션 소비가 상호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에 대해 심층적인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여행과 패션의 소비행위가 여행지에서 어떻게상호 맞물려 있으며, 통과의례의 과정 속에서 경험 가능한 리미노이드 상태를 통해 자아생성 및 자아전이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한다. 이와함께, 개인의 SNS의 이용이 자아생성 및 자아전이의 과정에서 어떤 방식으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지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개별심층면접의 현상학적 관찰과 해석학적 탐구를 통한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은 의례적 체험으로서의 여행을 통해 통과의례의 자아 구축의 과정을 경험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즉, 여행을 통해 개인은 불안, 불확실성, 쾌감, 즐거움이 혼재된 리미노이드 상태에 진입해 자아의모순적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버릴 것은 버리고 취할 것은 취하는 행위들을 통해 자아 전이의 상태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여행지에서의 패션 소비 경험은 기존의 자아와 모순된 자아의 충돌을 통해 자아전이 과정에서 개인이 경험하는 리미노이드 상태 혹은경험을 증폭시켜 새로운 타협화된 자아 생성이라는 합의 상태로 나아가는 데 시너지 역할을 하였다. 이 과정에서 개인은 여행을 통해 개인의 일관된 자아가 억압받지 않는 새로운경험을 하게 되면서, 모순되는 자아와의 합의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잠재적 가능성 또한 경험하게 되는데, 이때 개인은 SNS를 통해 여행 소비와 패션 소비에 대한 사후 소비경험, 즉확장된 소비를 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SNS 내의 구성원들로부터의 사회적 지지는 개인에게 기존의 모순된 자아들 간의 합의점에 대한 확신을 제공함으로써 개인이 화해혹은 조화를 도모하고 새로운 타협화된 자아가 구축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일상으로 돌아온 개인에게 타협화된 자아의 안정적 유지를 돕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의 생성 및 구축을 위한 가설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향후 양적 검증의 기반이 되는 새로운 이론 개발 노력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자아분화수준에 따른 아동의 자아분화와 아동이 지각한 세대간 가족관계

        정경연,심혜숙 한국가족치료학회 2007 가족과 가족치료 Vol.15 No.2

        본 연구는 부모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아동 자아분화 수준과 아동이 지각한 세대간 가족관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부산시내 6개의 초등학교 5,6학년 620명의 아동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아동에게는 아동용 자아분화 검사, 세대간 가족관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모에게는 부모용 자아분화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t-test와 아동의 성별을 공변인으로 두고 MANCOVA를 실시하였으며, scheffe 사후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아동 자아분화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남학생의 자아분화가 여학생의 자아분화보다 높았다. 둘째, 부 자아분화와 모 자아분화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부의 자아분화가 모의 자아분화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 자아분화 수준의 부모조합에 따른 아동의 자아분화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부의 자아분화가 낮고 모의 자아분화가 높은 집단의 아동이 다른 3집단의 아동보다 자아분화가 높았다. 넷째, 부모 자아분화 수준의 부모조합에 따른 아동이 지각한 세대간 가족관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부모의 자아분화 수준이 모두 높은 집단의 아동이 부모의 자아분화 수준이 모두 낮은 집단의 아동보다 부모,자녀사이의 세대간 친밀이 높았다. 하지만, 부모 자아분화 수준이 모두 높은 집단의 세대간 간섭이 오히려 높고 세대간 융합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아동의 자아분화와 부모-자녀간의 세대간 가족관계의 패턴을 파악한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여래장사상에서 자아와 무아

        김성철 ( Seong Cheol Kim ) 인도철학회 2013 印度哲學 Vol.0 No.37

        형이상학적 자아의 존재를 부정하는 주류불교에 비해 여래장사상 계통의 경론은 자아라는 개념과 용어를 자유로이 게다가 긍정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여래장사상 계통의 태도는 인도 정통철학의 자아 개념을 승인하고 있다는 비판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하지만 후대의 여래장사상가 뿐 아니라 『열반경』과 『보성론』 자체에서도 주류불교의 무아설과 통합시키는 방향으로 자아 개념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통합의 유형은 먼저, 자아 개념을 잠정적 의미(neyArtha)의 가르침이란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이다. 이 경우 자아 개념은 외도나 중생의 교화를 위한 수단의 의미에 중점이 주어진다. 둘째, 외도나 중생이 집착하는 자아는 부정하되, 여래장사상 계열에서 인정하는 자아는 궁극적 실재를 가리키는 것으로 긍정하는 유형이다. 전자가 부정되는 이유는 여래장사상에서 인정하는 자아 개념에 부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후자는 여래, 불성, 여래장과 동일시되며, 자아라는 긍정적 언어로 서술된다. 셋째, 자아와 무아를 양자긍정의 방식으로 동일시하거나 양자부정의 방식으로 모두 부정하는 유형이다. 전자는 주로 궁극적 실재의 인식불가능성이나 난해성과 관련되어 있다. 후자의 경우는 아견과 무아견을 모두 개념적 다양성의 산물로 격하시키는 대신 궁극적 실재를 보다 고차원적인 것으로 드러내는 방식이다. 마지막으로 한역 『보성론』과 『불성론』에 인용된 『대승장엄경론』의 게송은 자아와 무아를 동일시하는 『보성론』의 입장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하지만 그에 대한 산문주석과 무성 및 안혜의 복주에서는 자아 개념을 본질 개념으로 재해석하고 있다. 이는 여래장사상 계열에서는 거부했던 합리적 해석의 한 유형으로 보인다. While the mainstream Buddhism denies the existence of Atman as a metaphysical substance, the texts which belong to the Tathagatagarbha thought use the term Atman freely and positively. This usage of the term ``Atman`` triggered criticism from anti-Tathagatagarbha thinkers, being considered to admit the concept of Atman of the Indian orthodox system. Various interpretations on Atman, however, are found not only in the late commentaries on Tathagatagarbha literature but also in the Mahaparinirvana-sutra and the Ratnagotravibhaga themselves in a way that harmonizes the concept ``Atman`` with the concept ``anatman`` of the mainstream Buddhism.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several types of the harmonization mainly depending on Ruegg`s previous study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interpretations between Tathagatagarbha thought and Yogacara school. The first type of harmonization is to interpret the concept of Atman as provisional (neyartha) doctrine. In this case, Atman is primarily regarded as a tool to convert non-Buddhists or laymen to Tathagatagarbha thought. The second type of harmonization is to deny the negative meaning of Atman, which non-Buddhist or laymen adhere to, but to confirm the concept of Atman of Tathagatagarbha thought as ultimate and positive substance. The reason why the negative meaning of Atman is denied is because it does not correspond to the one that is admitted in Tathagatagarbha thought. It means that the object of the two Atman is different: one is negative therefore it is denied, another is positive therefore it is confirmed. The former is satkayadrsti, and the latter is tathagata or Buddha-dhatu, or Tathagatagarbha. The third type of harmonization is identification of the two terms Atman and anatman (A as well as B) and negation of the two terms (neither A nor B). The former is related with the inaccessibility to the ultimate reality. The latter is to manifest the ultimate reality in an elevated level by devaluating both Atmadrsti and anatmadrsti as prapanca. Finally, I investigated the karika and its commentary and subcommentaries, which is quoted in the 寶性論 and 佛性論 from MSA IX.23, but replaced by another passage in extant RGV. The karika quoted form MSA coincides with the context of RGV, but its commentary and subcommentaries by Asvabhava and Sthiramati re-interpreted the concept of Atman as svabhava. The concept of Atman as svabhava is not found in the RGV. This could be why the extant RGV replace the present passage with another passage from As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