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결정권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 분석

        이금옥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21 동북아법연구 Vol.15 No.2

        자기결정권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판례들은 자기결정권을 기본권의 하나로써 적극적으로 보 호하고자 하는 취지라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자기결정권의 도출 근거에 있어서는 그 결정들이 일관되지 못하고 있고, 이를 설득력 있게 논증하지도 못하고 있다. 예컨 대, 성적 자기결정권의 근거를 이전의 합헌결정에서는 헌법 제10조에서 찾았지만, 그 후 위헌결 정에서는 헌법 제10조와 제17조에서 도출하고 있다. 판례가 변경되면서 기본권의 도출 근거가 달라졌음에도 그 이유를 명확히 밝히고 있지 않다. 또한 혼인의 자유와 임신과 출산 여부에 관한 자기결정권이 여성의 중요하고 내밀한 사적 영역임에도 헌법 제17조를 언급함이 없이 헌법 제10조에서만 그 근거를 찾고 있다. 이 경우에도 헌법 제10조와 제17조에서 그 근거를 찾아야 한다고 본다. 헌법재판소가 소비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자도소주구입명령제도와 전동킥보드 사건 등에서 는 헌법 제10조의 행복추구권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았으나, 국민건강보험법 사건에서는 헌법 제10조 전체를 근거로 들고 있을 뿐 그 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지 않다. 소비자의 자기결정 권은 소비자의 자유로운 상품선택을 포함한 소비생활 영역 또한 사생활의 중요한 영역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헌법 제10조보다는 헌법 제17조에 따라 보장된다고 해석하는 것이 우리 헌법체 계상 더 적합하다고 본다. 최근 헌법재판소는 ‘국적이탈의 자유’의 개념에는 ‘국적선택에 대한 자기결정권’이 전제되어 있으므로 국적선택에 대한 자기결정권을 분리하여 따로 살펴볼 실익은 없다고 보아 헌법적 근거 를 언급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국적을 이탈하는 자유는 거주⋅이전의 자유와는 그 성질도 다를 뿐만 아니라 그 본질상 헌법 제10조에서 도출되는 것으로 보아야만 국적선택에 대한 자기결정권의 논리적 근거에도 부합한다고 본다. 결국 자기결정권의 대상이 어떠한 사항인가에 따라 헌법 상 도출 근거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헌법재판소는 헌법 제10조와 제17조 등의 규범적 의미와 내용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해 결정을 내려야 할 것이다. The Constitutional Court's precedents o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can be evaluated positively in that it is intended to actively protect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as one of the basic rights. However, the decisions are inconsistent with the basis for deriving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they are not convincingly argued. For example, the basis for the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was found in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in the previous constitutional decision, but subsequent unconstitutional decisions are derived from Articles 10 and 17 of the Constitution. Although the basis for deriving basic rights has changed as precedents have changed, the reason is not clearly stated. In addition, although the freedom of marriage an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n pregnancy and childbirth are important and intimate private areas of women, only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is looking for the basis without mentioning Article 17 of the Constitution. Even in this case, it is considered that the grounds should be found in Articles 10 and 17 of the Constitu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considered that the self-determination order system and electric kickboard cases derived from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under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but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only uses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as a basis and does not explain the relationship in detail. Consumers' right to self-determination can be seen as an important area of privacy, including consumers' free choice of products, so it is more appropriate to interpret that it is guaranteed under Article 17 of the Constitution than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Recently,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not mentioned the constitutional basis, considering that the concept of ‘freedom of nationality’ presupposes ‘self-determination of nationality choice,’ so there is no benefit in separating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nationality selection. However, freedom to deviate from nationality is not only different in nature from freedom of residence and transfer, but in nature, it is considered to be consistent with the logical basis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nationality selection. In the end, the basis for the constitution's derivation may vary depending on what the subject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is, so the Constitutional Court should make a decision through a close review of the normative meaning and contents of Articles 10 and 17 of the Constitution.

      • KCI등재

        자기결정권에 대한 법철학적 고찰

        김현철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5 法學論集 Vol.19 No.4

        자율성과 그 표현인 자기결정권은 정치철학, 법학, 생명윤리 등에서 이론적으로 중요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 자기결정권의 기본적 구조에 대한 쟁점들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우선, 자기결정과 자기결정권은 구별되어야 한다. 자기결정은 자기결정권의 대상이고 그 자체는 경험적, 심리적 차원의 것이다. 이에 대해 자기결정권은 규범적 차원의 정당화 기능을 갖게 된다. 그리고 자기결정권에 있어 자기결정이라는 내용에 못지않게, 권리라는 형식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특히 권리에 있어, 주체, 상대방, 내용의 3가지 구조를 통해 자기결정권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도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R(S(I-D))↔O. 나아가 이렇게 이해된 자기결정권은 3가지 차원을 가진다. 그것은 1) 자기결정권의 주체, 2) 자기결정권의 행사, 3) 자기결정권에 대한 승인이라는 표현으로 이해하는 것이 좋겠다고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다르게 표현하면, 첫째, 누가 자기결정권을 보유하는가(possession), 둘째, 어떻게 자기결정권을 행사하는가(realization), 셋째, 타인의 자기결정권을 승인한다는 것은 무엇인가(recognition)의 세 가지 물음이 된다. 이렇게 자기결정권을 3가지 차원으로 구분하는 것은 실천적으로도 의의를 가진다. 무엇보다 자기결정권을 둘러싼 이론적 혼란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나아가 자기결정권 보호에 관한 사회적 책무와 개인적 책무에 대한 주의로 논의를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Autonomy and self-determination rights are used as the important theoretical concept in fields of political philosophy, jurisprudence, bioethics etc. Especially, We have to consider the issues about the basic structure of self-determination rights. After of all, self-determination rights has to be distinguished from self-determination itself. Self-determination itself is the object of self-determination rights and has empirical and psychological dimensions. On the contrary, self-determination rights have the justifying function on normative dimensions. And self-determination rights have the structure of general rights-concept, in which there are three dimensions like possession, realization and recognition of rights. These classifications have the significance for definite understanding of self-determination rights and their social accountability.

      • 어린이와 憲法上 自己決定權

        강수경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6 사회과학연구 Vol.12 No.-

        This study examines how the child's right of self determination is prescribed under the laws, especially in the case of when the child's right of self determination is limitied compared to the adults, to look closely to the contents and foundation of the principle of restriction an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violation of child human rights and to see if the legal point of view for you this reasonable. In spite of the parternalistic views of parent's interference and control,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 of the child focussed self participation right, namely the to equal influence underlying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is central concern of the advocacy in the current child right movement.

      • KCI등재

        자기결정권 법리의 체계화를 위한 형법학의 과제

        이얼(Lee, Eol)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법학연구 Vol.54 No.4

        오늘날 자기결정권의 사상은 형사입법단계에서는 입법의 한계선으로서 기능하며, 형법 규정이 존속하는 동안에는 구성요건의 해석 기준으로서 기능하며, 자기결정권을 부당하게 제한하는 규정들을 비범죄화하는 근거로서 기능하는 등, 형법의 입법단계에서부터 그 폐지단계까지 전 과정에서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자기결정권에 관한 이론적 토대는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에 자기결정권의 법리를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형법학자들의 노력이 요구된다. 형법은 국가가 개인의 자유를 가장 철저하게 보호할 수 있는 수단임과 동시에 개인의 자유를 직접적으로 제한하는 수단이 되므로, 형법학은 자기결정권 보장의 근거를 제공해줌과 동시에 자기결정권 제한의 근거를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이에 형법이 자기결정권을 보호법익으로 삼고 있는 경우, 형법이 사회적 법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개인의 자기결정권을 제한하는 경우, 형법이 행위의 위법성 판단에 있어 피해자의 자기결정권을 반영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형법학의 과제를 도출하였다. 자기결정권을 존중하기 위해서는 법익보호 임무, 비범죄화, 사회상규 및 후견주의와 자기결정권의 관계, 피해자의 승낙 등 형법의 주요 이론들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함을 피력하였다. 이러한 재검토를 통하여 형법 제규정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자기결정권 사상이 목적하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 보장 요청에 부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는 자기결정권 법리의 체계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The Criminal Law is the strictest means used by the state to protect the freedom of its citizens, while at the same time, it is a means to directly restrict individual freedom. Due to this nature of the Criminal Law, the Study of Criminal Law can provide the basis for the guarantee of individual Self-determination as well as its restriction, but the fact of the matter is that this discipline has mostly focused on its restrictive role to date. However, with the idea of Self-determination propagating and the legal principles of Self-determination becoming more systematic, it is becoming increasingly more important for the study of criminal law to fulfill its role of protecting individual freedom and right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for the study of criminal law to progress into a direction in which the individual Self-determination is respected further. In order to respect the individual Self-determination as much as possible, the following must be fulfilled. First, for criminal laws which protect the legal interests of the individual Self-determination such as the one on rape and individual Sexual Self-determination, for instance, there must be efforts to seek measures to reinforce these laws. For example, the factors of sexual assault crimes should be specific and subcategorized according to the method and degree of infringing upon this right, based on which reasonable statutory punishment should be imposed. Second, for Criminal Laws that restrict the individual Self-determination such as the laws regarding Abortion, Adultery and Prostitution, the legitimacy of the provisions in question should be review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y are not justifiable, bold actions must be taken to abolish such provisions. For instance, in case protection of the legal interests of ‘Sexual morality’ with respect to ‘Adultery’ is not deemed to satisfy the concept of legal interests in terms of Criminal Law or it is deemed that the protection of individual Sexual Self-determination take precedence over the protection of Sexual morality, then it is desirable to decriminalize adultery. These efforts in the Study of criminal law will contribute to the systematization of the legal principles of the Self-determination, through which the ultimate goal of the idea of Self-determination, which is the guarantee of individual freedom and rights, can be reached.

      • KCI등재

        자기결정권의 의미와 판단기준 탐색 : 성년후견제도를 중심으로

        이승민(Lee, Seung-Min),이준영(Lee, Jun-Young)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20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0 No.34

        본 연구는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 의미와 판단기준을 알아보기 위한 탐색연구이다. 자기결정권 판단기준 분석틀로는 ‘자기결정’ 이론에서 도출한 의미와 ‘권리’구조를 복합하여 자기결정권의 주체, 행사, 승인, 환경을 판단기준으로 제시하였다. 네 가지 판단기준에 따라 사회복지정책 중 대표적으로 자기결정권을 강조하고 있는 성년후견제도가 실질적으로 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성년후견제도는 자기결정권 보장에 있어 주체의 다양화, 불명확으로 인해 자기결정권 침해의 소지가 다분하고, 주체의 제약이 자기결정권 행사를 제한하며, 공동체 속에서 자기결정권을 행사하고 제한하는 자기결정권 승인이 적절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자기결정권 환경에서는 형식적으로 미시적․ 거시적 체제를 갖추고는 있으나 내용적 보완이 필요하고, 추가적인 제도적 뒷받침이 병행되어야 한다. 이에 성년후견제도가 실효성 있는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 보장을 위해서는 판단기준에 근거한 논의를 중심으로 제도 보완이 있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criteria of a client s right to self-determination. The self-determination assessment criteria analysis framework presented the principal, event, approval, and environment of self-determination rights as the basis for judgment by combining the  rights  structure derived from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According to the four criteria, we examined whether the adult-guardianship, which emphasize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in social welfare policies, actually guarantee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As a result,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has a lot of infringement of self-determination right due to subjects diversification and uncertainty in the guarantee of self-determination right. Also subject constraints restrict the exercise of self-determination, self-determination approval, which exercised and limited self-determination in the community, had a structure that did not function properly. Moreover, in the self-determination environment, although it has formal micro and macro system, it needs to supplement the contents and institutional support should be combined. This suggests that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should be supplemented by discussions based on judgment criteria in order to guarantee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effective clients.

      • KCI등재

        형사법상 성적 자기결정권 본질 및 성적 자기결정권 보호증진을 위한 입법과제 검토

        윤덕경(Deuk-Kyoung Yoon)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2 이화젠더법학 Vol.4 No.1

        자기결정권 인정은 인간의 인격적 가치를 존중하는 데서 비롯되며, 인간존엄성에서 나오기 때문에 인간을 수단으로만 삼아서는 안 된다. 자기결정권은 헌법상 인간의 존엄과 가치, 행복추구권에서 비롯되며 포괄적 기본권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권을 형법상 구체화한 것이 형법각칙상 자유를 보호하는 구성요건이며 그 중 성적 측면에서의 자유를 보호하는 것이 성적 자기결정권의 보호이다. 성적 자기결정권은 적극적 · 소극적인 측면이 모두 인간의 행위와 관계가 되지만 특히 형법상 성폭력범죄는 소극적 측면에서의 성적 자기결정권의 문제이며, 방어하고 배제할 권리, 어느 누구와도, 어느 때에도, 어느 이유에서라도, 아무 이유 없이도 성행위를 거부할 수 있는 자유에 관한 것이다. 소극적인 의미에서의 성적 자기결정권은 피해자 개인에게 직접적인 신체적 · 정신적 피해를 주기 때문에 보호의 필요성이 더욱 크다는 점에서 중요한 논의의 대상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성적 자기결정권의 의의와 한계는 무엇이고, 성적 자기결정권을 보호하는 방법을 2가지로 분류함에 있어서 2가지는 어떤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를 검토한다. 또한 성적 자기결정권의 보장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형법에서 신설 또는 수정해야 할 입법과제에 대해 살펴본다. 형법 제32장의 제목을 성적 자기결정권 침해에 관한 죄로 변경하는 것은 상징적 의미가 있을 뿐이지만 여기서 더욱 문제되는 것은 성적 자기결정권 보호와 관련하여 성폭력범죄의 개념과 범위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관한 것이다. 그 이외에 강간죄 객체의 사람으로의 변경, 부부강간 명시, 유사성교행위의 입법화를 위한 방법, 형법상 성폭력범죄의 비친고죄화를 제안하였으며, 비동의간음죄는 신설보다는 폭행·협박에 관한 협의설을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A person’s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sexual freedom is a comprehensive, basic human right emanating from human dignity and values and a right to happiness under the Constitution. Such basic human rights are embodied as elements of freedom under the regulations of the Criminal Act. Among them, the protection of sexual freedom is represented as the protection of a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sexual freedom.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sexual freedom is two-fold: active and passive. On one hand, in the active protection side of self-determination of sexual freedom, it is imperative to ensure autonomy so that a person can freely exercise his/her right to self-determine sexual freedom in human relations. On the other hand, the passive protection side of selfdetermination of sexual freedom means cases involving the inhibition of a person’s sexual freedom for the reasons of coercion, immaturity for young age, debilitating state of mind and body, inability to resist,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and superiors, etc. Accordingly, it is necessary for government authorities to proactively step in to protect a person’s selfdetermination of sexual freedom. Elements of sexually violent crimes under the Criminal Act directly refer to such cases noted above. This article will mainly discuss the protection of a person’s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sexual freedom on the passive side. With regard to the protection of a person’s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sexual freedom from the observation of de lege ferenda, the section on the establishment and change of (new) elements of such protection takes the extension of object of a rape crime as related to whether atypical sexual act for sexual gratification similar to but other than usual sexual intercourse can be recognized as a rape crime and (or) an indecent act by compulsion and together therewith, this section provides a necessity to specify a rape crime in marital relationships in order to include a wife as an object of sex crimes in relevant laws. Moreover, with regard to an act of rape, it is necessary to divide atypical sexual act for sexual gratification similar to but other than usual sexual intercourse into three levels; fornication, atypical sexual act, and an indecent act.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adopt the concept of atypical sexual act applicable to adults. As for fornication without consent, some are for the establishment of this crime and others are against. It is reasonable for the Criminal Act to stay out of the controversy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 노동법과 자기결정권

        박홍규 嶺南大學校 附設 社會科學硏究所 1998 社會科學硏究 Vol.18 No.1

        <요약문> 근로자의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한다는 이념 하에서 사용자의 의사만이 아니라 근로자의 의사에 반해서도 근로조건의 최저기준을 실현하고자 하는 근로조건법은 노동법 중에서도 자기결정의 이념과 가장 동떨어진 영역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자기결정권을 중시하는 경우 근로조건법 상의 규제를 완화하거나 그 탄력화를 주장하는 견해가 생겨난다. 그러나 자기결정권을 중시하는 것이 필연적으로 규제완화의 요구와 직결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우리는 근로조건법의 여러 조항을 자기결정권과 관련하여 재검토할 필요가 있음은 부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것은 근로조건법에 의한 자기결정에 대한 과도한 제한을 검증하는 것만이어서는 안 된다. 도리어 그것은 현행법에 의한 규제의 의의를 명확하게 밝히고, 그것에 더욱 강고한 기초를 부여하는 것이어야 한다. 곧 자기결정이념과 근로자보호이념이라고 하는 두 개의 축을 염두에 두면서 현행법을 추상적으로 평가할 것이 아니라, 현실 노사관계 하에서 당해 규정의 기능을 신중하게 검토하여야 한다. 그러한 검토에 의하면 자기결정을 위한 규제완화 보다도 도리어 자기결정을 후퇴시킨 규제 강화가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한국에서는 근로자의 자기결정을 보장하기 위하여 해고제한의 강화, 개별적 동의없는 전직 및 시간외근로의 금지, 권리행사를 이유로 하는 불이익취급의 금지 등과 같은 규제가 필요하다.학문분류기호: C1108(노동법)

      • 독거노인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독거노인생활관리사의 인식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김효정(Kim, Hyojung) 한국후견·신탁연구센터 2019 후견과 신탁 Vol.2 No.1

        본 연구는 독거노인생활관리사가 인식하는 독거노인의 자기결정권 정도를 살펴보고 그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서울시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에 근무하는 독거노인생활관리사 중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독거노인생활관리사가 인식하는 독거노인의 자기결정권은 ‘독거노인의 자기결정권 실행지원’과 ‘독거노인의 자기결정권 이해’의 두 하위요인으로 추출되었다. 각 하위 요인을 기술통계 분석한 결과 ‘독거노인의 자기결정권 실행지원’은 2.41, ‘독거노인의 자기결정권 이해’는 2.66으로 독거노인생활관리사들은 독거노인의 자기결정권에 대해서는 이해가 높은 편이나 그에 비해 실천현장에서 독거노인의 자기결정권이 실행될 수 있도록 지원되는 정도는 낮게 나타났다. 각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위계적 회귀분석한 결과 ‘독거노인의 자기결정권 이해’에 대해서는 경력기간과 거소결정에 대한 노인의 의사반영 중요성 인식이 유의미한 영향요인인 것으로 나타났고 ‘독거노인 자기결정권 실행지원’은 지역과 거소결정에 대한 노인의 의사반영 중요성 인식이 유의미했다. 이에 따라 독거노인생활관리사들의 노인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이해는 높으나 실천현장에서 실행되기에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독거노인생활관리사들의 교육내용에서 자기결정권에 대해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개념만 가르치기보다 실천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사례를 통한 교육이 필요하며 경력기간에 따라 차별화된 자기결정권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the perception of Self Determin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of Life Manager and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that perception. For this study, this study took sampling of 150 life managers for Older Persons Living Alone (solitary elderly care managers) working at comprehensive support Center for the Elderly Ling alone in Seoul-si,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wo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1. Understanding of self-determination, 2. Support for self-determination execution. (2) Life managers for Older Persons Living Alone understand self-determin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ell but it has not been shown to work well in social welfare field. (3) Affecting factors on ‘Understanding of self-determination’are the length of career and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decision of older people on where to be and Affecting factors on ‘Support for self-determination execution’are the region of the respondents and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decision of older people on where to b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raining program for Life managers for Older Persons Living Alone should be provided practical examples of self-determination that are applicable in the field and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careers.

      • KCI등재

        성적 자기결정권의 범주 - ‘2015년 간통죄 헌재 결정’과 ‘2009년 혼인빙자간음죄 헌재 결정’을 중심으로 -

        고봉진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4 江原法學 Vol.74 No.-

        ‘2015년 간통죄 헌재 결정’과 ‘2009년 혼인빙자간음죄 헌재 결정’에서 형법 제241조 ‘간통죄’ 조항과 형법 제304조 ‘혼인빙자간음죄’ 조항에 의해 제한되는 기본권을 ‘개인의 성적 자기결정권’으로 파악하는 것이 타당한지를 다루려 한다. ‘성적 자기결정권’은 성행위 여부, 성행위 상대방, 성행위 방법 등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간통죄, 혼인빙자간음죄 모두를 성적 자기결정권으로 설명해서는 안 된다. 배우자 일방에 대한 해악, 혼인과 가족생활 보호, 혼인에서 비롯되는 성적 성실의무가 우선하기에 간통자의 성적 자기결정권이 인정되지 않는다. 반면에 혼인빙자간음죄의 경우에는 위계에 의한 해악 때문에 혼인빙자간음자의 성적 자기결정권이 부인된다. 더구나 간통과 혼인빙자행위에 성적 자기결정권을 인정하는 것은 간통과 혼인빙자행위가 끼치는 해악을 축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에 큰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혼인 외의 성적 관계를 간통죄 조항으로 처벌할지 여부는 간통자의 성적 자기결정권에서 출발하면 안 된다. 혼인제도와 혼인으로 인한 혼인관계, 가족생활의 보호, 혼인 외의 성적 관계가 타방 당사자에게 주는 피해를 고려해 형벌로 처벌하는 것이 타당한지, 형벌 외 수단으로 접근하는 것이 타당한지를 결정했어야 했다. 혼인빙자간음죄 결정도 마찬가지다. 그 심판 구조는 간통죄의 심판 구조와 매우 유사하다. 혼인빙자간음행위를 혼인빙자간음자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행사하는 것으로 봐서는 안 된다. 혼인빙자간음행위가 피해자에게 끼치는 피해를 형벌로 다루어야 하는 것인지, 아니면 형벌 외의 수단으로 다루어야 하는 것인지를 판단했어야 했다. 남성의 성적 자기결정권과 여성의 성적 자기결정권은 동등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간통과 혼인빙자간음에서 ‘남성의 성적 자기결정권’이 인정되고 혼인빙자간음에서 ‘여성의 성적 자기결정권’이 보호되지 않는다면, 가해지는 피해와 고통에 대한 평가는 달라진다. ‘성적 자기결정권’이 어디에 위치하며 ‘성적 자기결정권’의 범주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간통죄와 혼인빙자간음죄의 위헌 여부를 떠나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사료된다. 간통자와 혼인빙자간음자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인정하는 데서 출발하면, 간통과 혼인빙자간음이 끼치는 피해(해악)를 축소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간통과 혼인빙자간음에서 ‘남성의 성적 자기결정권’에 대한 논의와 ‘여성의 성적 자기결정권에 대한 논의’는 여성에게 가해지는 피해와 고통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만큼 아주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에 대한 부모의 인식유형과 유형별 특성비교

        장영희,염동문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지역과 세계 Vol.43 No.3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자기주도적 삶을 위한 부모의 인식유형과 영향요인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자기결정권에 대한 부모의 인식요인을 살펴보고, 인식요인을 바탕으로 인식유형을 도출하고, 그 인식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변인과 개인변인을 비교 검증 하였다. 분석결과 ‘절대적 보장’, ‘주체적지지’, ‘실천적 지원’의 3가지 인식요인을 확인하였고, ‘자기결정권 인정형’, ‘자기결정권 인지유예형’, ‘자기결정권 인식부족형’의 3가지 집단유형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자기결정권 인지유예형’에 비해 부모의 평균 돌봄 시간이 높을수록 ‘자기결정권 인식부족형’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고, ‘자기결정권 인정형’에 비해 부모가 자녀의 자기결정권 인식이 없고, 양육태도가 부정적일수록 ‘자기결정권 인식부족형’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자기결정권 안정형’에 비해 부모가 자기결정권 인식이 없고, 양육태도가 부정적일수록, 형제자매가 있는 경우에 ‘자기결정권 인지유예형’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 지원을 위한 부모의 인식유형에 따른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self-determina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y parents by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examine the perception factors of parents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type of parental recognition on self-determina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actors such as 'absolute guarantee', 'subjective support' and 'practical support' were derived. Second,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ree types of parental perception through the analysis of latent profiles,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self-determination awareness groups', 'self-determination awareness respite groups'. Third, in order to predict the characteristics of self-determination in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 performed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a 'lack of self-determination' reference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support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various directions of suppor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depending on the type of par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