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 위험도 : 국민건강영양조사 및 사망원인통계 연계

        원종은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Objectives: Depression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for suicide. However, due to the accessibility of death data, there are very few domestic studies confirming the association with actual suicide.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and suicide and the risk of suicide due to depression through mortality tracking in adults aged 19 to 80 years old. Methods: This study used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Cause of Death Statistics Linked Data (1.2)’, which tracked the death of responden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the 4th to 6th (2007-2015) until 2019. 50,000 people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Suicide, the dependent variable, was identified with the code X60-X84 (intentional self-harm)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KCD-7). Depression, an independent variable, is defined as a various depression by categorizing the 'doctor's diagnosis of depression (G1)', 'experienced with depression for more than 2 weeks (G2)', and 'diagnosed depression by a doctor and experienced depression for more than 2 weeks (G3)'. For all analyzes, complex sample data was performed using SPSS (SPSS 27.0 for Window) program,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5%. Results: G1 and G3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suicide. Depressed patients who received a doctor's diagnosis for depression were 5.7 times more likely to commit suicide (OR=5.74, CI: 2.92-11.30). The more doctors diagnosed depression and experienced depression for more than two consecutive weeks, the higher the tendency to commit suicide (OR=4.43, CI:1.72-11.44). G2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suicide. Conclusions: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follow-up period was not considered because the diagnosis and experience of depression were not confirmed, but it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e was confirmed by checking the death data.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epidemiologic data related to suicide in depressed patients and will serve as a basis for mediating the role of crisis intervention in depression and suicide. Key words: Depression, Suicid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Cause of Death Statistics Linked Data 목적: 우울증은 자살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하나이다. 하지만 사망 자료의 접근성으로 인해 실제 자살과의 연관성을 확인한 국내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 19세 이상~만80세 미만 성인의 사망 추적을 통해 우울증과 자살의 관련 요인 및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 위험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제 4기~6기(2007~2015년)의 국민건강영양조사 검진조사 응답자를 2019년까지 사망 추적한 ‘국민건강영양조사-사망원인통계 연계자료(1.2)’를 사용하였으며, 50,000명이 최종 분석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종속변수인 자살은 제 7차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7)에 따라 X60-X84(고의적 자해)코드로 확인하였다. 독립변수인 우울증은 ‘우울증 의사진단 여부(G1)’, ‘2주이상 연속 우울감 경험(G2)’, ‘우울증 의사진단 및 2주이상 연속 우울감 경험(G3)’ 그룹을 범주화 하여 다양한 우울증의 정의를 제시 하였다. 모든 분석은 SPSS(SPSS 27.0 for Window)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복합표본분석을 수행하였고, 유의 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결과: G1 및 G3가 자살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으며, 우울증에 대한 의사 진단을 받은 우울증 환자일수록 자살할 경향이 5.7배 높았고(OR=5.74, CI:2.92-11.30) 우울증에 대한 의사 진단 및 2주이상 연속 우울감을 모두 겪을수록 자살할 경향이 4.4배 높았다(OR=4.43, CI:1.72-11.44). G2는 자살과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우울증 진단 및 경험 시기를 확인하지 못하여 추적 기간을 고려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으나, 사망 자료를 확인하여 우울증과 자살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우울증 환자의 자살에 관련된 기초적인 역학 자료로서의 역할을 하며 우울증 및 자살의 위기 중재 역할의 근거가 될 것이다. 주제어: 우울증, 자살, 국민건강영양조사-사망원인통계 연계자료

      • 우울증과 가구원수와의 관계 : 지역사회건강조사 2010-2013

        김서연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울증은 이환률, 자살시도의 증가와 삶의 질 저하와 같은 결과를 초래하는 질병이다. 이는 개인, 가족 및 사회에서 질병의 부담을 많이 주는 질병으로 의의가 있다. 1인가구는 가족과 사회와의 교류가 부족하며 정서적인 불안감이 커지는 특성이 있다. 통계청의 장래 가구 추계에 따르면 한국의 1인가구 비중은 2000년 15.5%에서 2030년에는 32.7%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울증과 1인가구와의 관계 및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성별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종이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Paper Assisted Personal Interviewing)된 지역사회건강조사의 4년간인 2010년~2013년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19세 이상의 우울증 진단에 응답한 대상자를 선정하였는데 이는 총 916,157명중 88.23%의 유효한 808,349명이 이에 해당하였다. 전체 및 성별별로 우울증과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건강 행태적 요인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카이제곱 분석을 이용하였다. 또한, 1인가구를 포함한 우울증 진단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인구사회학적인 요소와 생활습관적인 요소를 보정한 후에 전체, 남성 여성에서의 우울증과 1인가구의 관계를 본 결과 전체의 OR값은 1.533([CI 1.446, 1.625], p-value <0.001) 남성의 OR값은 2.119([CI 1.866, 2.405], p-value <0.001) 여성의 OR값은 1.366([CI 1.282, 1.456], p-value <0.001)) 이었다. 이는 남성에서 우울증이 1인가구와 가장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남성과 여성에서 모두 우울증에 영향이 있는 요소는 1인가구, 주관적 스트레스, 수면시간, 음주, 흡연, 연령대이다. 여성에서만 우울증의 영향이 있는 요소로는 신체활동여부, 비만이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남성과 여성의 1인가구에서 우울증과 관계가 있었고, 남자와 여자에서 우울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르게 나타났다. Depression is a disease, which involves an increase in the morbidity, suicide attempts, and poor quality of life; also it leads to increase in burden on individuals, families, and society. In cases of depression, there is a lack of interaction between family and society and emotional anxiety increases in a one-person household.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s future household estimates, the proportion of one-person household in Korea is expected to increase from 15.5% in 2000 to 32.7% in 203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one-person household, th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nd gender differences. In this study, we used data from 2010 to 2013 of community health survey conducted by Paper Assisted Personal Interviewing. We selected 808,349 people accounting for 88.23% of the total 916,157, who responded to the diagnosis of depression aged 19 years or older. Chi-square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demographic factors and health behavioral factors based on gender. In additi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ve disorder diagnosed including one-person household. After adjusting the demographic, sociological factors and lifestyle factors, we obtained OR ratio 1.218 ([CI 1.148, 1.292], p-value <0.001) for total, 1.570 ([CI 1.387, 1.777], p-value <0.001) for men, and 1.142 ([CI 1.069, 1.220], p-value <0.001) for women, which shows in men it is mostly related in depression and one-person household. For both men and women, the factors that affect depression were one-person household, subjective stress, sleep time, drinking, smoking, and ages. In women, depression was affected by physical activity and obesity Based on the present study, it is understandable that depression is related to the one-person household in men and women and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are different for both men and women.

      • 아내구타 피해자를 위한 통합적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쉼터 거주 아내구타 피해여성을 중심으로

        이근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7

        아내구타 피해자들이 구타로 인해 겪게 되는 피해영향은 신체적·정신적·사회적으로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이 중에서 우울증은 가장 대표적인 증상이다. 구체적으로 아내구타 피해자들이 겪게되는 우울증은 상실에 대한 슬픔이나 죄책감 등의 정서적인 차원, 남편의 구타에 대해 자기를 비난하게 되는 인지적인 차원, 학습된 무기력으로 인해 수동적이며 비활동적이고 대인관계 기술이 저하되는 행동적 차원, 수면장애나 식욕감퇴 등으로 발현되는 신체적인 차원 등이 상호작용하며 복합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우울증이 원만하게 해결되지 않을 경우, 개인의 정신건강을 위협하고 정상적인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데 커다란 장애가 될 수 있다. 특히 임상적 우울증은 남편의 구타를 피해 긴급하게 쉼터를 찾는 여성들에게 더 많이 나타나고 있으므로 쉼터 거주 아내구타 피해자들의 우울증에 대한 개입이 더욱 필요하다. 따라서 아내구타 피해자의 우울증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이 요청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쉼터에 거주하는 아내구타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통합적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우울증을 중심으로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아내구타 피해자들을 위한 유용한 방법론으로서 집단개입을 지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아내구타 피해자들의 우울증 감소를 위한 통합적 집단 프로그램은, 가정폭력에 대한 이해와 정신건강관리, 대인관계기술훈련이 제공되는데, 이는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인 접근을 병행하여 구성되었고, 여기에 사회적 접근으로서 사회적 지지망 구축, 자녀양육의 요소들을 통합한 포괄적인 서비스이다. 본 프로그램은 한국 가정폭력 실태조사 결과(김재엽, 1998)를 바탕으로 Star 등이 개발한 심리사회적 다단계 접근과 Crites등이 개발한 교육적 접근 등 다양한 관점을 참고하여 개발된 것으로 총 10회로 구성되어 있다[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한국 가정폭력의 실태 및 원인분석과 통합적 치료모형 개발에 관한 학제간 연구(책임연구원: 김재엽 교수)"의 부분임]. 본 연구는 비교집단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설계를 하였는데, 우울증 점수의 변화가 통합적 집단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있어 실험집단 (N=10)과 비교집단(N=16)을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우울증을 측정하는 양적 도구로는 Beck의 "Beck Depression Inventory(BDI)"를 사용하였다. 또한 집단프로그램 내에서 우울증과 관련된 관찰항목의 변화양상을 질적 방법을 사용하여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적 집단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집단 여성들의 우울증 점수는 프로그램 실시 전과 비교하여 감소하였다. 집단 참가자 10명 중 8명의 점수가 감소하였고, 우울증 점수는 평균 9.3점의 감소를 나타냈다(p<.05). 이러한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우울증 점수의 감소는 짝표본평균 차이검증(paried t-test)의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의 하위증상별로는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우울증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p<.05), 신체적 증상은 오히려 증가하였으나 유의미하지 않은 수준이었다(p>.05). 둘째, 비교집단 여성이 평가한 우울증 점수를 짝표본평균 차이검증(paried t-test)하였는데, 사전과 사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의 하위 증상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사이에 우울증 점수는 집단 프로그램 이전 조사와 이후 조사 결과, 그 변화량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검증되었다(p<.05). 이는 아내구타 피해자를 위한 통합적 집단프로그램이 쉼터 거주 아내구타 피해여성의 우울증 감소에 영향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우울증의 하위증상별 평균변화량에 있어서는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우울증상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신체적 우울증상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실험집단 참여 여성들의 우울증 변화과정을 프로그램 내에서 관찰하는 항목으로 참여정도의 증감, 긍정적 언어표현과 부정적 언어표현의 증감, 울거나 침울한 표정의 표출로 분류하여 회기별로 제시하고 그 양상을 기술하였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본 프로그램이 쉼터에 거주하는 아내구타 피해여성의 우울증 감소에 효과적이었음을 일관되게 지지하는 것이다. 즉, 본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된 가정폭력에 대한 이해, 정신건강 회복 및 관리, 대인관계증진을 위한 의사소통기술, 독립성 증진을 위한 구직활동, 사회적 지지망의 확충, 자녀양육방법에 대한 교육 등은 참여여성의 전체적인 우울수준을 감소시켰으며, 특히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하위 우울증의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검증되었다. 슬픔이나 죄책감 등의 정서적 우울증상, 자기비난의 인지적 우울증상, 대인관계회피나 사회적 기술 결핍 등의 행동적 우울증상이 통합적 관점의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이다. 그러나 신체적인 우울증상은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는데, 이는 개입 기간이 비교적 단기간이고 개입 내용 중 신체적 관리에 대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는 점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회복지 임상실천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아내구타 피해여성의 우울증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아내구타 피해여성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신체적, 사회적 차원의 다양한 영역에 대한 총체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합적인 집단 프로그램을 실행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프로그램 제공자로서 우울증의 다양한 증상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다학문적 인력들이 협조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진행 및 평가할 것을 제안한다. 우울증 자체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되고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므로 각 하위증상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인력간의 협조체제가 구축된다면 보다 효과적인 접근이 가능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사회복지사는 사회적인 자원과 관계망 등에 대해 전문적인 개입을 실시하면서, 전체적인 프로그램 진행사항을 조절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violence battered women experience are far reaching that these are not only physical and mental problems but social problem as well. Among them, the depression is the most common problem that includes affective, cognitive, behavioral, and somatic dimensions. Specifically, the depression of battered women is a comprehensive term which includes complicated interactions of various effects; affective dimension (guilt and sadness of loss), cognitive dimension (self-reproach for husband's violence), behavioral dimension (passive and behaviors and the inactiveness of personal relationship in a consequence of the learned helplessness), and somatic dimension (sleep disorder and loss of appetite). Therefore, unless the depression is appropriately treated, it would not only threaten the individual mental health but also obscure the normal social function. The intervention for battered women, especially women in shelters is much needed because the clinical depression is more frequently shown among women who urgently take refuge in shelters avoiding the violence of their husbands.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dequate program that alleviate the battered women's depression with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symptom. In this study, the integrated group program for battered women in the shelters carries out first and the program's effectiveness concentrating on the depression is evaluated and finally the program's short-over in the actual implementation is examined. While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have supported the group intervention as a useful methodology, the integrated group program is a comprehensive method which offers a variety of services. These are including the comprehension of domestic violence, the management of mental health, affective, cognitive, and behavioral approaches for the training of 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network building and the elements for bringing up children as a social approach. This program is made up of total of ten sessions that refer various approaches as the Star's approach of psychosocial multi-stages and Crites' approach of educational method etc, on the basis of results of 'Family Violence Surveys in Korea'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earch is carrying out to find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est group (N=10) and the compared group (N=16) through the observations of the changing depression scores before and after executing the program.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by Beck is used as a quantitative tool for estimating the depression. The changing aspects of observational indicators which represent the depression in the program are analyzed by the qualitative approach. The major outcomes of the study are following. First, the depression score of battered women who participate in the integrated group program drops in comparison with that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By a paired t-test, the decreasing depression score after operating the program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Among the sub-symptoms of the depression, the symptoms of affective, cognitive and behavioral depression significantly decrease (p<.05), while those of somatic depression increase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Second, the depression scores of the compared group evaluated by the paired t-test do not hav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sub-symptoms of the depression do not show any significance either. Third,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stud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opera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pression scores of the test group and that of compared group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pc.05). This indicates that the integrated group program for battered women has contributed to reduce symptoms of the depression of battered women in shelter. In accordance with the average change in sub-symptom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affective, cognitive and behavioral depression, 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matic depression. Finally, the changing aspects of the depression of women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re observed by several indicators including the participating rate, verbal expression, and emotional expression. These indicators are reported and explained in detail in every session. A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the following could be suggested. As a program of reducing the depression of battered women and of providing comprehensive services, the integrated group program needs to be applied in practice.

      • 혈액성상, 생활습관병, 영양소섭취와 우울증상의 수준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제7기 1차년도(2016)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박혜량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울증은 장·단기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쉽게 경험할 수 있는 정신질환으로, 인구사회학적, 건강행태 요인과 관련이 있으며, 생활습관병, 불규칙한 식습관이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영양소는 우울증의 발병과 지속기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우울증의 예방과 그에 따른 관리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우울증을 초기에 판별하기가 어려워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쉽지 않다. 우울증의 임상적인 진단은 이미 그 증상이 심화되고 있거나 심각할 것으로 판단하여 본 연구에서는 제7기 1차년도(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내에 우울증상선별도구인 PHQ-9를 이용하여 점수를 두 집단으로 나누어 대상자로 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건강행태, 건강상태, 영양소섭취의 차이를 비교하고, 건강행태, 건강상태, 식생활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그 결과를 통해 우울증을 조기에 발견하여 그에 따른 올바른 식생활 및 영양소섭취를 관리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자료는 SPSS 24.0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χ2-test,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 복합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은 성별, 연령, 개인 및 가구소득수준, 교육수준, 기초생활수급 경험 유무, 주택 소유 유무, 결혼여부, 결혼상태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건강행태는 주관적인 체형인식, 1년간 체중변화 여부, 1년간 체중 증가량, 체중조절 노력 여부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우울증상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1년간 음주빈도, 한 번에 마시는 음주량, 폭음 빈도, 1년간 음주문제 상담 여부, 1년간 타인의 음주로 인한 피해 여부에서 높은 우울증상, 평소 스트레스 인지 정도, 1년간 자살 계획 여부, 1년간 자살 시도 여부, 1년간 정신문제 상담, 스트레스 인지율, 평생 흡연 여부, 니코틴 의존, 가정실내 간접흡연 노출 여부, 현재흡연율, 1주일간 걷기 일수, 1주일간 근력운동 일수, 유산소운동 실천율에서 높은 수준의 우울증상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는 이완기 혈압, 혈당, 혈중 중성지방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우울증상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증 의사진단 여부, 우울증 현재 유병 여부, 우울증 치료 여부, 최근 1달간 및 1년간 와병 여부, 고혈압 유병 여부, 당뇨병 유병 여부, 중성지방혈증 유병 여부에서 높은 수준의 우울증상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조사는 식생활형편에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우울증상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최근 1년 1주동안 아침·점심·저녁식사 빈도, 외식 횟수, 최근 1년 동안 아침·점심·저녁식사 시 가족 및 가족 외 사람과의 동반 여부에서 높은 수준의 우울증상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에너지 및 영양소섭취는 19-29세의 여성을 제외한 연령층에서 대부분의 영양소가 고우울증상군이 저우울증상군보다 섭취량이 낮았다. 우울증과 관련된 여러 요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서, 본 연구는 혈액성상, 생활습관병 유병 여부, 영양소섭취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것에 의미가 있다고 보며, 우울수준에 따른 전반적인 특성을 알 수 있었고, 우울증의 조기예방 및 관리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영양학적 평가 및 중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Depression is a mental illness that can be easily experienced in daily life in the short and long term. It is related to the sociodemographic and health behavior factors, lifestyle diseases and irregular eating habits affect depression.Nutrients are also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onset and duration of depression. However, despite the urgent need to prevent depression and to develop appropriate management measures, the reality is that it is difficult to detect depression early and to detect it early. Clinical diagnosis of depression was considered to be intensified or severe. In this study, the scores of the depressive meninges (PHQ-9) in the first year (2016)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 health behavior, health status, and diet were examined and depression was detected early, and nutrient uptak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mposite sample χ2-test, composite sample logistic regression, and composite sample t-test using SPSS 24.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gender, age, individual and household income level, education level, experience of basic living and receiving, home ownership, marital status and marital status. Health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subjective body image, 1-year weight change, 1-year weight gain, and weight control effort. Regarding to health behavior, factors related to drinking, stress, suicide, smoking, and exercise appeared to be highly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depression. Regarding to health status, factors related to drinking, stress, suicide, smoking, and exercise appeared to be highly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depression. Regarding to health status, diastolic blood pressure, blood sugar, and blood triglycerid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subjective health status, depression related factors, bull and lifestyle-related illnesses appeared to be highly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depression. Regarding to nutrition surve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eating habits, frequency of breakfast, lunch, and dinner during the last year and a week, number of eating out and in the past year, breakfast, lunch and dinner with family members and non-family members appeared to be highly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depression. Energy and nutrient intake were lower in most of the nutrients in the age group than in the 19-29 year old group and lower in the depressive group than in the low depressive group. In the current trend of increasing interest in depressive symptoms,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lood characteristics, presence of lifestyle diseases, and nutrient intake., Nutritional evaluation and intervention are need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arly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depression.

      • 당뇨병 발생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한 경시적 자료분석

        정혜승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Background and Purpose Among OECD countries, Korea has rated the highest suicide rate of elderly over 65 age-group and the average of suicide rate in Korea is twice more than the average of OECD countries. One of the main causes of suicide is depression and suicide related to depression occurred more in the elderly. One of the main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is chronic disease and several studies have been conducting on the effect of chronic disease on depression in Korea. However, studies on the effect of each chronic diseases on depression are limited. This study focuses on diabetes which has the highest disease burden rate for 10 years in Korea and the aim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incidence of the diabetes on depression. Subject and Methods Among 10,254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1st KLoSA, 74 subjects who were not collected the data of diabetes and depression scores were excluded and 2,187 subjects with diabetes or depression at the time of 1st KLoSA were also excluded. Therefore, 7,993 subjects were selected as final subjects. This study used the Group Based Trajectory Modeling (GBTM)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time-based data surveyed over a total of eight times and analyzed using the Mixed Effect Model to understand the effect of incidence of diabetes on depression. Results Adjusted by demographic factors (gender, age, education level, religion, living alone, social activity level, work), health behavior factors (smoking, drinking, regular exercise, ADL), and chronic disease factors (hypertension, cardiovascular disease, cerebrovascular disease, and cancer), the depression score was 0.1242 points higher than non-incidence diabetes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ubgroup analysis, subjects who developed diabet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depression scores compared to subjects who did not develop diabetes in women, aged 75 or older, who graduated from middle school or lower, who did not exercise regularly or who lived alone. Conclusion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incidence of diabetes was a factor that increased the risk of depres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cidence of diabetes and depress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ongitudinal data which accumulated over a period of more than 10 years. 연구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65세 이상 노인 자살률이 1위이며, 평균 자살률이 OECD 평균의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우울증으로, 특히 우울증과 관련된 자살은 노인에게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인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중 하나가 만성질환으로, 우리나라에서 만성질환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나, 개개의 만성질환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한정적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10년 동안 질병부담률이 가장 높았던 당뇨병에 초점을 맞췄으며, 해당 질환 발생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1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에 참여한 대상자 10,254명 중 해당 시점에 본 연구의 주 관심변수인 당뇨병 진단 여부와 종속변수인 우울 점수가 수집되지 않은 74명의 연구대상자를 우선적으로 제외하였으며, 앞의 조건을 만족한 10,180명 중 1차 조사시점에 당뇨병을 진단받았거나, 우울증이 있는 대상자 2,187명을 제외한 7,993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총 8차에 걸쳐 조사된 경시적 자료의 일반적 특성 및 분포를 파악하고자, 집단중심추세모형(GBTM, Group Based Trajectory Modeling)을 이용하였으며, 당뇨병 발생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혼합효과모형(Mixed Effect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성별, 연령, 교육 수준, 종교 유무, 독거 여부, 사회활동 빈도, 노동 여부), 건강행동 요인(흡연력, 음주력, 규칙적 운동 여부, ADL) 및 만성질환 요인(고혈압,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암)을 모두 통제하였을 때, 당뇨병이 발생한 군이 당뇨병이 발생하지 않은 군에 비해 우울 점수가 0.1242점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하위군 분석에서 여성, 75세 이상, 중학교 졸업 이하, 규칙적 운동을 하지 않는 군 또는 혼자 사는 군에서, 당뇨병이 발생한 군이 발생하지 않은 군 대비 우울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당뇨병 발생이 우울증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축적된 경시적 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당뇨병 발생과 우울증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산후우울증환자의 공격성 및 자살생각 도에 관한 고찰

        박방실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산후우울증환자의 공격성과 자살생각빈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전라남도 G시의 20~40대 여성을 대상으로 시행되었고, 2014년 4월 21일부터 5월 6일까지 2주 동안 인터넷 까페(G시기준) 및 산부인과병원에서 출산 후 외래를 내원한 여성을 대상으로 온,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Beck의 우울 척도(BDI) 및 Edinburgh의 산후우울증 척도(EPDS)를 번역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산후우울증을 진단하였고 산후우울증 환자의 자아존중감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Rogengerg′s 자아존중감 척도를 시행하였다. 대상자 중 주로 30대 여성이 23 명 (51.1%)으로 가장 많았고 초산의 경우가 27 명 (60%) 으로 가장 높았다. 설문조사의 통계적 결과 인문학적 특성에 따른 공격성과 자살생각 빈도와의 상관관계에서는 최종학력, 종교, 직업, 보조양육자, 처음출산과 비교한 우울감, 출산 전 아기 접할 기회여부, 우울증 가족력 여부, 출산 전 육아관련 교육 이수와는 공격성과 자살생각빈도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BDI와 EPDS 척도를 기준으로 산후우울증으로 진단받은 여성은 총 18 명 (40%) 으로 이들은 공격성과는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자아존중감과 자살생각빈도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후우울증이 심할수록 자아존중감은 낮았으며, 자살생각빈도는 높았다. 따라서 산후우울증의 조기 발견과 산후우울증에 대한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산후우울증 환자는 해마다 늘어가는 추세이며,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므로 산모를 대상으로 산후조리원 또는 산부인과에서 산후우울증을 진단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의료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출산 후 육아교육 뿐만 아니라 산후우울증에 관한 교육을 시행하여 산모들이 우울증을 인지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마련된다면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산후우울증 환자의 경우 자살생각빈도가 높은 상태이므로 환자의 가족들과 의료시설에서는 이를 유념하여 환자를 케어하여야 할 것이다.

      • 우울증 환자의 의료이용 추세분석

        박현주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목적 : 본 연구는 우울증 환자의 의료이용 특성과 추이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증가하는 우울증 환자의 관리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09년까지 총 9회의 환자조사 자료를 이용하는 이차자료 분석이었다. 우울증 외래 및 퇴원환자의 의료이용 빈도에 대한 범주형 변수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로그선형모형을, 우울증 퇴원환자의 재원일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포아송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우울증 외래 및 퇴원환자의 의료이용과 범주형 변수와의 관련성 분석결과, 성별, 연령, 환자거주지, 진료비 지불방법, 의료기관 종류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연도가 증가함에 따라 의료이용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우울증 외래 및 퇴원환자 모두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의료이용이 더 많았고, 50대와 60대에서 의료이용이 가장 많았으며, 광역시 거주자가 서울 및 인구도시 거주자보다 의료이용률이 더 높았고 의료급여 대상자가 건강보험 대상자보다 의료이용률이 더 높았다. 외래환자에서는 의원급이, 퇴원환자에서는 종합병원급의 의료이용이 많았다. 성별, 연령, 동일 시도환자, 진료비 지불방법, 의료기관 종류가 퇴원환자의 재원일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우울증 환자의 의료이용이 증가하는 추세임을 파악할 수 있었고 관련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울증 환자에 대해 1990년부터 2009년까지 장기간에 걸쳐 일관된 방법으로 수행된 자료를 이용하여 의료이용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분석하는 것은 대표성을 갖는 우울증 환자의 의료이용 통계를 마련하고, 증가하는 우울증 환자의 관리를 위한 정책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우울증, 의료이용, 추세분석

      • 몽골 유학생들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텔맹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외국인 유학생이 많아질수록 경쟁력이 높아지고 한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한편으로는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어, 문화, 사회생활을 경험하고 많은 기회를 얻게 된다.본 연구에 따르면 한국에서 생활하고 공부하는 것은 많은 장점이 있으나 언어 장벽, 문화적 차이, 경제적 어려움, 적응력 부족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외국인 학생들은 학업에 집중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불법 체류자나 범죄자가 될 수 있는 문제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심리적 건강과 직결되며 심리적 불안정을 유발하는 요인, 우울증의 정도, 치료 가능성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우리는 외국인 유학생들, 특히 몽골 유학생들이 한국에 체류하는 동안 우울증을 경험했는지, 그리고 있었다면 그 원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기로 했다. 연구 목적: 한국에 거주하는 몽골 유학생들의 우울증 정도와 인구통계학적 요인, 신체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사회적 지지요인이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Beck BDI의 21개 문항으로 구성된 자기보고형 척도로 각 문항마다 증상의 정도에 따라 0점에서 3점으로 채점하여 총점의 범위는 0점에서 63점까지이다(한수정,2006). 표본 크기: 설문조사는 Google Form을 사용하여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표본은 확률 표본 추출의 단순 무작위법을 이용하여 최소 표본 크기를 결정하여 형성하였고 표본 크기 다음과 같다. Beck BDI 방법으로 우울증에 관련된 질문의 신뢰도 분석을 했는데 크론바알바 0.954로 나왔다. 또한 우울증을 정의할 모든 질문들의 크론바알바 계수는 0.95 이상 나왔다. 이것은 우울증 척도가 신뢰할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본연구에서 인구학적특성,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요인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각각 실시하였다. 우울증 정의할 Beck's 빈도 분석을 판단하면 우울 증상이 없고 정상이라는 사람들은 96명(36.3%)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그러나 41점 이상 예를 들어 극심한 우울증이 있는 26명(9.8%)이었다. 21개 항목의 우울증 척도는 연구에서 나온 총 점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선형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변수의 Pearson 상관계수는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어 선형 관계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는 유의수준은 .000(p<0.05)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다. 또는 성별에 따른 상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남성 분들이 여성에 비해 선형관계가 더 높다고 볼 수 있다. 요인1에 관련된 변수들은 슬픔, 비관, 실패,불만, 징벌, 자기 혐오, 자기 비난, 울음, 결단성 부족, 자기 변신, 업무 그리고 프로도에 대한 내적측면의 우울증이다.이것은 성별의 유의확률은 0.028, 담배 0.02, 월수입 0.16, 월세,친구와 친척의 연락, 참여 모임의 유의확률은 0.000 이라서 (p<0.05) 통계적으로 유의미한다 독립변수의 담배, 수면, 월수입, 친구 수, 친구 연락, 친척, 동거 상태의 유의확률이0.05 비해 낮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요인2에 관련된 우울증에 이러한 변수들이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마지막으로 우울증이 없는 학생들은 우울증을 주변 사람들의 도움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우울증이 심한 학생들이 심리적 전문자의 도움을 받아야 해결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The more foreign students there are, the more competitive they become and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Korean economy. On the other hand, foreign students experience Korean language, culture, and social life and gain many opportunities. According to this study, living and studying in Korea has many Although there are advantages,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language barriers, cultural differences, economic difficulties, and lack of adaptability, foreign students may not only be unable to concentrate on their studies, but may also face problems that may lead them to become illegal aliens or criminals. It is directly related to psychological health and psychological Research is needed on the factors that cause instability,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the possibility of treatment. Therefore, we decided to find out whether foreign students, especially Mongolian students, experienced depression during their stay in Korea and, if so, what the cause wa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the degree to which demographic, physical, socioeconomic, and social support factors affect depression in Mongolian students residing in Korea. Method: A self-report scale consisting of 21 items of the Beck BDI. Each item is scored from 0 to 3 point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symptoms, and the total score ranges from 0 to 63 points. Sample size: The survey This was done online using a Google Form. In addition, the sample was formed by determining the minimum sample size using a simple random method of probability sampling, and the sample size is as follows. Reliability analysis of questions related to depression was performed using the Beck BDI method, and Cronbach's Alba was 0.954. In addition, the Cronbach-Alba coefficient of all questions defining depression was 0.95 or higher. It can be seen that the depression scale is reliable. In this stud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pectively (Shim munsup, 2023) Judging by Beck's frequency analysis to define depression, 96 people (36.3%) were found to be normal without depressive symptoms. However, 26 people (9.8%) had severe depression with a score of 41 or mor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21-item depression scal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total score from the study.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total variables has a positive meaning, indicating that there is a linear relationship. Alternatively, the significance level is .000 (p<0.05),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lternatively, looking at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according to gender, it can be seen that males have a higher linear relationship than females. Variables related to factor 1 are sadness, pessimism, failure, dissatisfaction, punishment, self-loathing, self-criticism, crying, lack of determination, self-transformation, work, and internal depression about Frodo.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of 0.02, monthly income 0.16, monthly rent, contact with friends and relatives, and participating meetings is 0.000 (p<0.05), so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cigarettes, sleep, monthly income, number of friends, contact with friends, relatives, and cohabiting statu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was lower than 0.05, and it was found that these variables affect depression related to factor 2. Lastly, students without depression think that they can solve their depression with the help of people around them, but it was judged that students with severe depression can solve it with the help of a psychological specialist.

      • 한국 성인의 우울증 진단 경험에 따른 비만과 식이섭취의 관련성 :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 중 성인의 영양소 및 식품군 섭취량을 중심으로

        김연진 강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울증은 경쟁적인 사회에서 흔히 발병하는 질환 중 하나로, 불규칙한 식사나 폭식의 성향을 야기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해 우울증의 대상자는 비만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여겨져 식품 선택 및 섭취량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우울증 진단 경험에 따른 비만과 식이섭취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의 4-6기(2008-2014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4~6기(2008~2014년)의 총 대상자 61,379명 중 소아, 청소년 14,620명을 제외하였고, 검진, 설문, 영양조사를 모두 참여하지 않았거나, 비만 및 우울증 문항에 응답하지 않은 경우, 식이조사에서 에너지 섭취량 기준(남성 800kcal ~ 4,000kcal, 여성 500kcal ~ 3,500kcal)을 초과하는 경우를 제외하여 최종 35,839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비만은 성별, 연령, 결혼 상태, 교육 수준, 직업, 가구 총 소득, 거주지 크기, 우울증의 유무, 스트레스 인지 정도, 음주상태, 수면시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대상자의 비만군은 정상체중군 대비 탄수화물을 적게 섭취하였고, 단백질, 조섬유, 인, 나트륨, 칼륨, 티아민, 리보플라빈, 나이아신의 섭취가 많았으며, 우울증 진단 경험이 있는 비만군은 티아민의 섭취가 높았다. 또한, 전체 대상자의 비만군은 황색 채소, 적색 과일 등을 적게 섭취하였고, 면류, 채소류, 김치류, 어패류, 유지류 등을 많이 섭취하였으며, 우울증 진단 경험이 있는 비만군은 유제품류를 적게 섭취하였고, 돼지고기 및 부산물, 유지류 등을 많이 섭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같은 비만군이더라도 전체 대상자와 우울증 진단 경험이 있는 대상자 간의 섭취한 식품과 섭취량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점점 더 발전하는 현대사회에서 필연적으로 공존하는 두 질병의 유병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밀접한 연관이 있는 식이 요인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시급하지만 국내외에서 우울증 진단 경험에 따른 우울증과 식이와의 관련성을 연구한 자료는 매우 미비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추가적인 연구가 시행되어 정신적인 측면에서 한국인의 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식이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