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관광지 방문 지점 간 사회연결망 분석 및 관광지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한 연구 : 몽골 시장 중심으로

        MUNKHBAYAR GANTUYA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코로나-19 시대가 지나가면서 사람들의 관광 활동도 회복되었다. 매슬로의 욕구 단계는 1943년에 발표됐으며, 하나의 욕구가 충족되면 다음 단계의 욕구가 나타나며 이를 충족시키려 한다. 이제 현대인들의 기본 욕구가 만족되고 일상생활이 안전하게 되어가고 있다. 또한 한국 직장인들이 주5일을 근무하고 한 해에 15일의 연차가 생기는 바람에 사람들에게는 경제적 및 시간적인 여유가 생기고 있다. 한국 국내 통계 조사에 따르면 앞으로 관광 활동이 더욱 활발해질 기대가 많이 보인다. 몽골 정부는 2020년에 수립된 ‘비전 2050‘ 정기 개발 정책을 통해서 유목인 특유의 문화가 강조된 관광지로 도약하고, 홍보를 강화하며, 관광 상품의 표준 절차와 서비스 기준을 도입하려고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몽골 관광지의 가장 인기 있는 지역을 도출하고 관광객들의 관광지 선택속성에 중요도 및 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몽골 여행을 운영하는 관광사의 관광 코스를 수집하고 여행 경로 간의 관계적 속성을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용 Pajek 프로그램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또한 몽골을 방문 경험이 있는 한국인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관광지 선택속성의 중요도 및 만족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첫째, 본 논문의 대상으로서 몽골 관광을 운영하는 관광사의 추천 관광지 코스의 경로들을 선정하였다. 관광사 웹 사이트를 통해서 추천하는 관광지 경로들을 수집하였는데, 몽골 관광사 경로 정보 데이터는 2022년에 수집하였다. 둘째, 관광사 경로 정보를 다시 검토하고 같은 지명을 단일화시키고 한 지명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파젝(Pajek) 프로그램으로 분석하기 위해 데이터를 .net 형식으로 변화하였다. 셋째, 준비된 정보의 사회연결망을 Pajek 프로그램을 통해서 3가지로 분석을 하였다. 본 논문의 두 번째 목적을 이루기 위해 몽골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한국인 관광객들을 인터넷으로 찾아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얻은 정보를 SPSS.29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연결망 중심성(degree centrality), 사이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 인접 중심성(closeness centrality) 등을 분석하였다. 연결망 중심성 분석에 따르면, 몽골의 관광지 연결 중심성이 높은 지역명은 울란바토르, 테렐지, 하르호린, 첸헬인 할론 온천, 엘센 타사르하이, 바양자그, 열린 암, 호스타이, 첸핼인 차간 노오르 순으로 나타났다. 몽골 관광지의 지명에서 사이 중심성이 높은 지명은 울란바토르, 첸헤린 할론 온천, 태랠즈, 바양올기, 하르호린, 호브스골, 텔힌 차간 노오르, 텔멘 노오르, 올리아스타이, 어르헌 훌흐레 등 순으로 높았다. 인접 중심성이 높은 지역명은 울란바토르가 0.6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후 텐헬인 할론 라샨, 테렐즈, 하르허린, 엘센타사르하이, 호스타이, 어르헌 훌흐레, 오긴 노오르, 바양자그, 볼간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몽골의 국제 공항은 울란바토르에 있어서 관광객들은 관광을 울란바토르에서 시작한다. 또는 몽골 지역을 연결하는 중심성은 울란바토르이며 여러 지역을 연결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관광지 선택속성 중요도 및 만족도에 관한 결과로는 관광지 간 이동 거리는 중요도보다 낮은 수준을 차지함으로써 관광객들은 몽골 관광지 이동 거리가 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으로 안정 및 접근성도 중요도 보다 낮은 만족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관광객들이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해도 높게 만족하는 평가하는 속성은 물가, 쇼핑, 야간 여흥, 지방색 등이었다.

      • 표준연결망을 활용한 표준의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 사회연결망 분석 및 AHP 기법을 중심으로

        최재진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표준 관리의 관점에서 표준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정량적 요소의 빅데이터 분석, 정성적 요소의 객관화 과정으로 나누어 두 가지 방향에서의 연구를 실행하였다. 첫 번째 연구는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기법을 한국산업표준(KS) 정보에 적용한 표준연결망을 이용하여, 인용표준 간 관계를 사회연결망의 중앙성 분석으로 도출한 후 표준 유료판매량과의 상관관계분석과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개별표준의 중앙성 수치가 높을수록 활용도가 높은 표준으로 평가되어 표준의 유지ㆍ보수 시 우선 순위에 두어야 하는 중요한 표준임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 연구는 계층화분석과정(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활용하여, 표준 평가와 관련하여 4개의 상위항목, 13개의 하위항목의 선택속성을 도출하였고, 표준 분야의 전문가 설문을 통하여 전체 중요도 측면에서 유료판매량(표준 활용성), 위세중앙성(표준 연결성), 제품표준(표준 종류)이 각 항목별 상위 순위에 위치함을 분석하였다. 표준 분야 관계자들의 제품표준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을 확인하였으며, 상대적으로 방법표준, 전달표준의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균형적 표준 관리를 위해서 표준연결망의 개념과 표준 평가 선택속성의 특징을 함께 고려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를 요약하면, 표준과 다양한 주변요소들이 함께 영향을 주고 받는 하나의 커다란 표준 생태계로 인식하는 표준연결망의 개념을 확장시키고, 표준연결망의 핵심 요소인 표준 간 인용관계를 기본으로 하여 표준 자체의 서지정보 분석을 통한 표준 평가의 기준을 제시하였고, 표준 평가 선택속성들을 추출하는 기준과 함께 그 우선순위를 도출한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산업표준(KS)을 기반으로 하였기에 정부로부터 국가표준 개발·관리 업무를 이양 받은 표준개발협력기관(COSD, Co-operating Organization for Standards Development)의 관계자들에게는 직접 활용이 가능한 레퍼런스가 될 수 있지만, 다양한 형태와 개별 산업 분야의 표준에 대한 평가의 보편적인 기준으로 제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범용적으로 표준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지표와 방법 개발이 후속 과제가 되어야 한다. 인증, 적합성평가 등의 표준 활용 연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소홀하였던, 표준 제ㆍ개정ㆍ확인 등의 표준 개발ㆍ관리 분야에도 관심을 가지고 체계적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criteria that can be used for standard evalu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standard management. To this end, research was conducted in two directions, divided into big data analysis of quantitative factors and objectification of qualitative elements. The first study, us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echnique applied to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KS) information, derived the relationship between normative references through the centrality analysis of the social network and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standard paid sales volume and a multi-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higher the centrality level of each standard, the higher the utilization level, the more important the standards should be in order to maintain or repair them.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technique, the second study derived the selection attributes of four higher and 13 lower categories in relation to the standard assessment. Through the survey of experts in the standard field, paid sales volume(standard usability), prestige(standard connectivity), and product standard(standard type) were analyzed to be placed at the top of each item in terms of overall importanc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product standards of the concerned parties in the standard field are highly favored. The importance of method standards and horizontal standards is often overlooked, so it was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standard network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andard assessment selection attribute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for balanced standards management. Summarizing the performance of this study, I have expanded the concept of a standard connection network that recognizes standards and various peripheral elements as one large standard ecosystem that is influenced and received together. Based on the references between standards, which are key elements of the standard network, the criteria for evaluating standards through analysis of the standard's own bibliographic information were presented. It derived its priorities with criteria for extracting standard assessment selection attributes. Based on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s (KS), this study can be a reference that can be used directly to the staff of COSD(Co-operating Organization for Standards Development), which has received the task of developing and managing national standards from the government. However, there is a limit to present as a universal standard for evaluation of standards in various forms and in specific industrial sectors. Therefore, the subsequent task should be to develop indicators and methods that can be used in general-purpose standards evaluations. Systematic research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with interest in standards development and management, such as standard enactment, revision and verification, which were relatively neglected compared to research on standards utilization such as certification and conformity assessment.

      • 연결납세제도의 도입효과

        김연화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It is sympathized widely to recognize that the consolidated tax Return system has to be introduced into Korea, but because of some phenomena to be occurred such as the decreasing taxation revenue by the introduction of this system and taxation evasion by abusing this system etc., So this consolidated tax payment system has been delayed to be introduced. In this circumstances, it is suggested to analyze the factors to hinder the introduction of this system and to find out proper solution.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explored through bibliographical research why the consolidated tax return system needs to be introduced, and what is the proper consolidated tax return system to our tax system.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introduction effect of the income aggregated consolidated tax return system presented herein and groped for a plan to resolve the decrease problem of tax revenue. First, main contents of the consolidated tax return system proposed to be introduced to our country through bibliographical research are as follows. Of two types of the consolidated tax return system, logically more valid income aggregated consolidated tax return system was proposed to be introduced, and entering the consolidated group was made on the time of stockholders' share ratio reaching 100%, which was voluntarily optional. The holding company was made to withdraw by selling the share of the affiliated company, but in case of re-entering, not allowed to re-enter within 5 years after withdrawal, which is to prevent the tax evasion using a defective corporation. Any over incurring at each corporate was made to be deducted from the income scope of an individual enterprise, and any over incurring after entering the consolidated group was made to be deducted from the holding company. Also in withdrawing from the consolidated group, the individual enterprise was made to take over deficits carried, and deduct it. If the above presented income aggregated type consolidated tax return system is introduced, how will it have an economic effect on national tax revenue and corporate tax burden. Thus this study made a case analysis, whose result is as follows. Frist, in introducing the income aggregated type consolidated tax return system, the decrease of tax income was proposed as a demerit, but as a result of this study's case analysis, a corporate tax burden was indicated to increase more in each corporate tax payment than in consolidated tax return, whose rise in thought to be derived from that 2% surtax is imposed with internal unrealized gain remove from consolidation not so large. Second, in introducing the surtax, addition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plore how the size of unrealized gain removed from consolidation influences tax burden paid by each corporate tax payment or consolidated tax payment. As a result of additional analysis. In imposing 2% surtax with tax ratio at 25%, the tax burden of a corporation increased at 7.5% or less of gap between the individual income and consolidated income of a corporation, and decreased at 7.6% or more. Third, as a solution of the problem of tax revenue decrease at the early introduction state of the consolidated tax return system, proposed plans were to introduce the surtax for 2 or 3 year in a limited time till the system takes its foothold, and to additionally pay the fixed ratio tax amount reduced in case of the consolidated system introduced. This study has the limit in conducting a more reliable research as it is difficult to gather the tax information of a corporation. Therefore the study had trouble collection tax affairs data to a sample enterprise. Most data of this study took into account actual accounting information and tax affairs adjustment matter, part of which considered the assumptive materials, through out the research, so might cause error in measurement. However, most data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made use of practical data. 우리나라에서도 연결납세제도가 도입되어야 한다는 인식에는 공감을 하고 있으나 제도의 도입으로 인한 세수의 감소문제, 이를 악용한 조세회피 등의 문제로 아직까지 도입을 미루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입에 장애가 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연결납세제도의 도입 필요성과 우리 세제에 적합한 연결납세제도가 어떤 것인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와 아울러 본 연구에서 적절한 것으로 제시한 소득통산형 연결납세제도의 도입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세수의 감소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에 도입할 것을 제안한 연결납세제도의 주요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연결납세제도의 두 가지 유형 중 논리적 타당성이 높은 소득통산형 연결납세제도의 도입을 제안하였으며, 연결그룹의 가입은 주주지분율이 100%에 도달하는 시점으로 하되 주주의 임의적 선택사항으로 하였다. 지배회사는 종속회사의 지분을 매각함으로써 언제든 탈퇴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재가입의 경우 탈퇴 후 5년 이내의 재가입을 불허하도록 제안하였다. 이는 결손법인을 이용한 조세회피의 문제를 방지하고자 함이다. 개별납세법인세에서 발생한 이월결손금은 개별기업의 소득범위 내에서 공제가 가능하도록 하고, 연결그룹에 가입 후 발생한 이월결손금은 지배회사에서 공제하도록 하였다. 또한 연결그룹에서 탈퇴시 개별기업이 이월결손금을 이어받아 공제하도록 제안하였다. 이상에서 제시한 소득통산형 연결납세제도를 도입할 경우 이로 인해 국가의 조세수입과 기업의 조세부담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사례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으로 소득통산형 연결납세제도를 도입할 경우 조세수입의 감소를 단점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본 연구의 사례분석결과 개별납세보다 연결납세에서 기업의 조세부담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증가는 연결로 인해 제거되는 내부미실현이익이 그리 크지 않은 상태에서 2%에 해당하는 연결부가세가 부과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둘째, 연결부가세를 도입할 경우 연결로 인해 제거되는 미실현이익의 크기가 개별납세 또는 연결납세에서 부담하는 조세부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추가분석을 실시하였다. 추가분석의 결과 세율이 25%인 상태에서 2%의 연결부가세를 부과할 경우 법인의 개별소득과 연결소득의 차이가 7.5% 이하 수준에서는 연결납세를 적용하는 경우에 기업의 조세부담이 증가하며, 7.6% 이상일 때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결납세제도의 도입초기에 우려되는 세수감소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제도의 정착 시까지 한시적으로 2∼3년 동안 연결부가세를 도입하는 방안과 연결제도를 도입할 경우에 감소되는 세액의 일정비율을 추가로 납부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기업의 세무정보를 수집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보다 신뢰성 있는 연구를 하기가 상당히 곤란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표본기업에 대한 세무자료를 수집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대부분의 자료가 실제의 회계정보 및 세무조정사항을 감안하였으나 일부는 가상의 거래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므로 측정에 오류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자료가 실제의 자료를 사용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 한국어 연결어미 ‘-는데’의 중국어 문법 기술 분석

        오명홍 동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고는 한·중 교재 및 중국인 학습자 요구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하여 한국어 교재에서 문법 기술의 기술 원리를 밝히고 연결어미 ‘-는데’의 문법 기술 모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를 통하여 문법 기술과 연결어미 ‘-는데’에 관한 내용을 살펴본 다음에 한국과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서 연결어미 ‘-는데’의 제시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중국인 학습자들이 교재 문법 기술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설문 조사의 결과도 첨부할 것이다. 먼저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하고 선행 연구의 경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선행 연구는 문법 기술에 관한 연구와 연결어미 ‘-는데’에 관한 연구로 분류할 수 있다. 2장에서는 문법 사전에서 문법을 어떻게 기술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연구 논문을 통하여 교재 문법 기술 원리도 살펴볼 것이다. 나아가 한국어 사전과 문법 사전을 분석하는 기반으로 본고에서 다룰 연결어미 ‘-는데’의 의미도 선정하여 각 의미 항목의 통사적 특징, 화용 정보, 중국어 대응 표현 등의 내용도 제시할 것이다. 3장에서는 한국에서 출판된 교재 7종, 중국에서 출판된 교재 9종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재에서 연결어미 ‘-는데’의 기술 양상을 검토하여 교재 문법 기술의 유의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4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문법 기술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조사 결과를 정리할 것이다. 그리고 앞에 살펴본 문법 기술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여 문법 기술 원리를 마련하고 나서 이를 바탕으로 연결어미 ‘-는데’의 문법 기술 모형을 도출하고자 한다. 5장에서는 본고의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

      •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 ‘-아서/어서’에 대한 오류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임지숙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goal of this study analyzes the connective ending ‘-아서/어서’ which are found in writing notes using Chinese as a mother tongue. To analyze the error, it is for applying and presenting the efficient teaching models by understanding and inspecting difficulties of learners. Chapter 1, after supplying way to analyze errors for the connective ending ‘-아서/어서’, it analyzes preceded theory. It examines preceded theory by separating grammatical study, error analysis and contrast analysis. In chapter 2, It divided concep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connectin ending words stated in the Korean materials of the each university and examined again the meaning of ‘-아서/어서’ in the previous study. Also, It defined way to present, explanation of contents, and examples of the Korean materials which are used in the Korean educational institute of the each university and did unitive analysis on the each materials. As a result, First, each teaching materials presents time order of ‘-아서/어서’. Second, they are lack of unity for grammatical dictions and signals. By this it can cause confusion to learn, the unity of grammatical dictions is needed. Third, there are no explanation about connecting form and condition of grammatical notice in each materials, it is needed to develop teacher`s guide. In chapter 3, It analyzed the errors about ‘-아서/어서’ based on the writing notebooks of the students who are in the second class in the Korean educational center of Chong Ju University in 2007. As a result, the cause of error about connective ending is influenced mother tongue and evasive tactics. For improving this, first of all when we teach connecting words, we educate forms, meanings and uses of language. Second, connecting words of approximation words is taught the morphologic and semantic features by confrontation practice. Third, the model for practice is presented by finding purpose connecting words. Followings are error analysis contents of connecting ending words. Chinese learners use the connective ending ‘-아서/어서’ most frequently in contents, the various meaning of connecting words are used more than only meaning of ones. The error of ‘-아서/어서’ are separated by tense error, allomorph error and replacement error. The replacement error is more than others, because each connective ending have essential meaning and function, it is for complexation of Korean connective ending to have same meaning and function in various words. To reduce the error, it is needed to understand exact meaning of each connecting words and be practiced by contrasting and comparing with high replaceable connecting words. Chapter 4, it presented practical lesson model of efficient connecting words ‘-아서/어서’ based on previous contents. The connecting words ‘-아서/어서’ have the meaning of reason and applicant and present ‘-고’ and ‘-(으)니까’ with contrast exercise. This study present efficient teaching model by analyzing error of connective ending ‘-아서/어서’. But this study has uppermost limit that is choose only learners from special organization and not much. Because the target of this id restricted as Chinese, if we analyze other countries learners with contrast, we can get result more evidently. And this is for writing errors. If we study listening and speaking, we can obtain other conclusion for other linguistic ability. Therefore, from now on, I hope to keep error study of linguistic ability about organization, level and language region.

      •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고등학생들의 교우관계 개념모형 개발

        손성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고등학생들의 교우관계에 대한 개념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에서 교우관계를 형성하는 핵심 활동을 선행연구 및 문헌검토를 통해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핵심 활동에 대한 사회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고등학생들의 교우관계 연결망 분석을 위해 대구광역시 D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남, 여 고등학생 135명이 대상자로 참여하였다. 대상자들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핵심 활동에 대한 연결망의 특성에 대한 지표로 방향성을 포함하여 내향 연결정도, 외향 연결정도, 크기, 밀도를 분석하였고, 중심성 지표로 내향 연결정도 중심성, 외향 연결정도 중심성, 내향 근접 중심성, 외향 근접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다 연결망에서 내향, 외향 연결정도와 크기에서 수다 연결망에서 상대적으로 다른 연결망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NS 연결망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밀도의 경우 밥먹기 연결망에서 상대적으로 다른 연결망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상담 연결망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내향, 외향 연결정도 중심성의 경우에는 수다 연결망에서 상대적으로 다른 연결망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고, SNS 연결망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내향, 외향 근접 중심성의 경우에는 동아리 연결망에서 상대적으로 다른 연결망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고, SNS 연결망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분석된 핵심 활동에 대한 연결망 지표들 간의 상관성과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변인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성을 확인하였으며, 다중공선성의 문제로 내향 연결정도 중심성과 외향 연결정도 중심성이 제거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에 대한 적합성 분석결과 표준적합도(Kaiser-Meyer-Olkin, KMO)는 0.728로 나타났고 Barttlet의 유의확률을 확인한 결과 0.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8개의 핵심 활동요인과 16개의 연결망 지표로 추출되었다. 요인 부하량이 .40을 초과하며, 두 요인에 걸쳐 요인 부하량이 .40을 초과한 상담과 수다 활동은 삭제되었다. 이를 토대로, 추출된 요인이 고등학생들의 교우관계를 설명하는 모형으로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수용기준을 만족하여 본 연구의 개념모형 적합도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고등학생들의 교우관계 개념모형은 고등학생들의 교우관계를 분석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관계적 특성을 기반하여 관계 속 개인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개인들이 구성하고 있는 전체 구조의 특성과 관계의 패턴을 파악할 수 있는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고등학생들의 교우관계를 형성하는 개념모형을 개발한 것에 학술적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nceptual model about the friendship of the high school student us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hrough the previous study and literature review, the key activities formed the friendship of the high school students in school were extracted and then these were analyzed by the social network analysis. 130 high school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analysis to analyze the friendship network of them. To analyze the friendship network of the subjects, the in-degree, out-degree, size and density were used to the indicator of the friendship network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the centrality of the friendship network, the in-degree centrality, out-degree centrality, in-closeness centrality, and out-closeness centrality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ocial network analysis about the key activities of the friendship, the results of the in and out degree and size showed the highest compared to other networks and the results of the SNS networks showed the lowest. The result of the density showed the highest in the eating network and the lowest in the counceling network. In the case of the in and out degree centrality, the results of the chatter network showed the highest in the chatter network compared to other network, and the SNS network showed the lowest. In the in and out closeness centrality, the results showed the highest in the school club network, and the SNS network showed the lowest. The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network variables about the key activities and then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In this process, the in-degree centrality and out-degree centrality were removed. Before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rocess, the results of the Kaiser-Meyer-Olkin was 0.728. a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ed by the bartlett test, so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has resulted in the 8 key activity factors and 16 network indicators, but the counceling and chatter network were removal. The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model fit describing the friendship of the high school students. Thus, the conceptual model of this study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the describing the friendship. The conceptual model in this study should be used to analysis the friendship of the high school studyents.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an academic significance to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ual model that forms friendship of the high school students by us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hat can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individuals in the relationship based on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pattern of relatonships that individual make up.

      • 연결납세제도 도입시 법인세수효과에 대한 실증적분석

        이해현 경원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807

        최근 들어 기업그룹(group)에 대한 회계·세무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국제회계기준(IFRS)의 전면 도입을 위한 로드맵에 대한 공청회의 개최(2006.11.21), 이중대표소송제의 도입을 위한 상법개정의 추진 등 일련의 움직임이 있다. 대내적으로는, 2007년 4월 2일 한·미간 자유무역협정(FTA)의 협상타결과 향후 계속 되어 질 한·EU간 또는 한·중간 FTA 협상 등으로 기업에 대한 국제경쟁력 제고의 필요성이 가일층 고조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와 가장 경쟁관계에 있는 미국이나 일본 및 호주 등이 이미 연결납세제도를 도입하여 시행 중에 있다. 특히, 주한유럽상공회의소(EUCCK)가 2007년 5월 18일 발간한 「무역장벽백서」에 의하면, 연결납세제도는 18개분야 무역장벽과 애로사항 중 하나가 되어 한·EU간 FTA 협상의 주요 이슈로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대내·외적으로 급변하는 여건속에서 정부에서는 100% 출자법인으로부터 받는 수입배당금 전액을 법인세 익금불산입하고, 2004년 7월 23일 한국조세연구원이 공청회를 개최하여 연결납세제도의 도입을 가시화하는 듯 하였다. 그러나, 연결납세제도가 세수의 감소, 조세회피수단으로의 악용, 세법의 복잡화 등의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는 점을 이유로 하여 당해 제도의 도입을 중장기 과제로 전환하고, 지금까지 논의조차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부가 연결납세제도를 도입할 수 없다고 하는 이유 중 하나인 세수의 감소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함으로써, 향후 동 제도를 도입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당해 세수부족분에 대한 정책적인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결납세제도의 도입시 세수효과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① 기업집단이 연결납세제도를 도입하는 데 대하여 강제성을 부여하는지 여부 ② 모회사의 자회사에 대한 지분율 ③ 주된 업종, 상장여부, 중소기업 해당여부 등 기업특성 ④ 결손금 등 연결조정항목 ⑤ 중소기업 배제관련 등에 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101개 그룹소속 270개 법인에 대한 법인세신고내역 등을 근거로 하여 연결시 그룹별 세부담차이를 분석하고 연결조정항목별 세부담증감규모를 파악하였다. 이어서 연결그룹별 세부담차이와 연결조정항목별 세부담증감규모를 측정변수로 하여 T-검정, F-검정, ANOVA분석, 다중회귀분석 등 각종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연결납세제도를 도입할 경우에 법인세수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결납세제도의 도입을 기업이 임의로 선택하게 하는 경우에는 연결후 세수감소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강제적으로 도입하게 하는 경우에는 연결전과 연결후의 세수효과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회사의 자회사에 대한 지분율의 크기, 그룹소속 기업의 주된 업종, 자산규모, 상장여부, 중소기업여부 및 5대그룹 등 기업특성과 관련하여 이들 집단간에 연결전과 연결후의 세수효과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업손실(결손금, 이월결손금), 수입배당금 익금불산입과 재고자산 미실현이익 익금불산입 등 연결조정항목의 경우도 개별항목별로는 세수증감효과가 있으나, 연결그룹 전체에 대한 세수효과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연결납세제도를 도입한다 하더라도 이들 기업특성이나 연결조정항목 등은 연결후 법인세수에 그리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연결시 이월결손금의 연결조정과 중소기업이 일반기업으로 전환됨에 따라 기존 중소기업으로서 세제지원을 받던 세액공제 및 감면은 연결후 법인세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납세자는 국제거래관계 등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세부담면에서 유리하면 연결납세제도를 선택하게 될 것이고 이 경우 정부의 재정수입면에서는 법인세수가 감소하게 마련이다. 정부는 재정여건상 줄어드는 세수를 보전할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본 연구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세수에 미치는 주요 항목은 연결납세제도의 도입시 강제성 부여 여부, 연결조정항목 중 이월결손금의 포함여부 및 중소기업 판정을 연결그룹차원에서 할 것인지 여부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정부에서 연결납세제도를 도입할 경우 세수부족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결주체와 연결조정항목의 범위를 연결가입기준일 이후로 한정하여야 한다. 즉, 연결가입이후 새로이 지분율을 충족하는 자회사는 연결대상으로 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연결그룹이 조세회피목적으로 부실자회사를 인수하여 연결그룹에 가입하는 행위를 방지하고, 모회사 또는 자회사에서 연결이전에 발생한 이월결손금을 연결조정항목에서 배제함으로써 세수감소효과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결가입일 이후 새로이 지분율을 충족하여 연결대상에 추가할 경우에는 그 가입요건을 엄격히 하여야 한다. 둘째, 연결가입을 강제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납세의 가입을 기업으로 하여금 임의적으로 선택하게 할 경우에는 세수부족현상이 있으나,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기업에 대하여 강제적으로 연결납세제도를 도입하게 할 경우에는 연결전과 연결후의 세부담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다만, 제도도입을 강제하는 것은 정부정책을 일관성있게 추진할 수 있고 세수부족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제도의 선택은 어디까지나 기업의 자율적인 판단에 의해 선택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는 점과 외국의 사례 또는 선행연구의 대부분이 기업의 임의적 판단에 맡기도록 해야 한다는 입장임을 감안할 때 이와 배치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연결납세제도의 도입초기에는 모회사의 자회사에 대한 지분율을 100% 수준으로 제한하고, 점차 지분율을 낮추어 대상기업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지분율이 50%를 초과하는 기업 전부를 강제적으로 연결대상으로 한다고 할 경우 세수부족현상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세수측면만을 감안하면 오히려 50%초과 기업 모두를 연결대상으로 한다해도 그리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연결납세제도는 세법이 복잡하고 새로이 신설되는 제도이므로 기업으로 하여금 일정기간동안 적응할 수 있도록 유예기간을 둘 필요가 있다. 또한, 연결납세제도는 그동안에 추진되어 왔던 부실기업매각·퇴출 등 구조조정을 저해하고, 기업의 인수·합병을 촉진시킴으로써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시장지배율을 떨어 뜨리는 부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따라서, 시행초기에는 지분율이 100%인 기업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점진적으로 그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이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넷째, 그룹내부거래인 연결조정항목의 수를 가급적 축소하여야 한다. 연결납세제도의 경우도 현행 법인세제와 마찬가지로 기업회계를 존중해야 하므로, 연결재무제표준칙(연결기준서)에 의해 나타난 연결조정항목을 세법에 의해 세무조정한다는 사고에서 출발해야 하는 것이다. 그룹내 모회사와 자회사간 또는 자회사 상호간의 내부거래형태를 보면, 재고자산, 유형고정자산, 무형고정자산, 이연자산, 용역, 금전채권 등으로 다양한 데 비하여, 내부거래에 따른 미실현이익 등이 세수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그리 크지 않다고 본다. 연결조정항목이 다양한 경우는 오히려 세법의 복잡 등으로 납세자비용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거래 중 미실현이익규모가 적은 항목과 일정금액이하의 거래에 대하여는 연결조정대상에서 제외하고 매도자측 이연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세수감소효과와 납세지원비용을 줄이고 간편세제를 달성하는 이중적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중소기업을 일반법인으로 전환하는 문제는 신중히 검토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판단을 그룹차원에서 하도록 함에 따라 기존 중소기업으로서 지원받던 세금감면혜택이 배제되어 세수증가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실적으로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경쟁력이 미흡하고 경제적 약자로 인식되고 있어, 자금이나 인력, 판로, 입지, 기술, 지역개발세제 등 기능별로 다양하게 지원되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은 대기업의 결점을 보완하는 등 국민경제적 특성과 제품이나 환경변화의 융통성 등 기업경영적 측면에서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연결그룹을 경제적 일체라는 실질적인 측면과 세수측면만을 강조하여 중소기업을 그룹차원에서 판단할 것이 아니라, 중소기업의 특성이나 지원목적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여섯째, 연결부가세는 연결납세제도의 가입을 기업으로 하여금 임의적으로 선택하게 한 경우에 도입되어야 하며, 연결부가세의 시행기간은 일정기간으로 제한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이 연결납세제도 도입여부를 임의적으로 선택하는 경우에만 연결후 세수가 연결전에 비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연결로 인하여 세수가 부족할 경우를 대비하여 자회사에 대한 지분율이 100%인 기업을 적용대상으로 하여 연결대상을 축소하거나 일부 연결조정항목을 제한할 수도 있겠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세수감소규모가 적을 경우를 가정한 임시방편에 불과하고, 연결세수의 감소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연결부가세는 부족한 세수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으나, 지나친 경우에는 기업이 세부담을 고려하여 동 제도의 도입자체를 부인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연결부가세제도를 도입한다고 하더라도 연결부가세율의 크기는 부족한 세수를 보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수준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정해야 할 것이다. 또한, 연결납세에 따른 세수의 부족현상은 이월결손금의 상계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대부분 도입초기에 발생되므로 연결부가세제를 도입하더라도 시행기간을 일정기간동안으로 한정하여야 한다. 한편, 한미간 FTA협상에 따른 국내총생산(GDP)의 증가로 인한 자연증수가 연결세수 감소효과를 어느 정도 상쇄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보다 정확한 세수추계를 한다면 연결부가세제의 도입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곱째, 연결납세제도는 세무조정에 관한 사항으로 세무대리인의 조력을 받게 함으로써 세법상 어려움은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다. 본 연구 중에 확인된 바에 의하면, 연구대상법인 270개 중 268개의 법인(99.25%)이 세무법인이나 회계법인 등 세무대리인을 통하여 법인세를 신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결납세제도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연결재무제표준칙(연결기준서)에 기초하여 작성된 사항에 대하여 세무조정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세무전문가인 세무대리인으로부터 조력을 받고, 연결재무제표의 작성 등에 의해 상당한 지식과 노하우가 축적되어 있는 기업의 세무회계업무 종사자의 실무경험을 감안한다면 그리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이밖에도 연결납세제도를 도입함에 있어, 기업이 임의로 가입할 경우에는 그 탈퇴와 재가입에 대한 요건을 정하여 엄격히 하고, 강제로 도입하는 경우에는 가입기업에 대한 세액공제, 신고불성실가산세의 차등적용 등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연결자회사에 대한 연결세액의 배부기준, 연결그룹소속 개별기업에 대한 연대납세의무 부여 등 연결세수확보와 세수일실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이 법인세신고시 제출된 가장 신빙성있는 자료를 근거로 하여 실질적인 분석을 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일부 그룹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표본기업의 모든 자회사에 대한 세무자료 전부를 확보하지 못하여 당해 연구를 일반화(generalization)하는 데 다소 미흡한 점이 있다. 연결대상기업이 50%초과 지분율을 기준으로 할 때 총 420개 그룹 1,553개 법인인 데 반해, 본 연구에서는 101개 그룹 270개 법인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므로 보다 광범위한 표본을 연구대상으로 하지 못함에 아쉬움이 있다. 둘째, 분석대상 지분율이나 연결조정항목은 2005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하였기 때문에 추이분석 또는 비교분석을 할 수 없었고, 연결조정항목의 경우 일부에 국한하여 항목의 수를 다양화하지 못한 점이 있다. 분석항목을 추가함에 따라 세수증감효과가 다소 달라 질 수 있다. 셋째, 향후 연결납세제도 도입의 유형을 소득통산형으로 한다고 전제할 때, 중요한 법인세 부담 차이 중의 하나가 내부거래미실현손익인 데, 본 논문에서는 재고자산에 대하여만 적용하였을 뿐이고, 용역, 고정자산, 금전채무 등도 중요한 부분임에도 자료의 한계로 생략되었다. 또한, 기부금이나 접대비의 한도계산 및 연결회사간의 기부금이나 접대비를 손금불산입할 것인지도 중요한 바, 이에 대한 고려가 생략된 한계점이 있다. 넷째, 본 연구과정에서 우리나라와 각종 제도면에서 가장 유사한 일본, 미국 등의 국가에서 연결납세제도 도입시 세수감소효과 등에 관한 예측자료를 입수하지 못해 효과적인 분석을 하지 못하였던 점은 크게 아쉽게 생각한다. 이와 같은 한계점을 보완하여 향후 연구되어야 할 정책과제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첫째, 연결납세제도의 도입은 세수감소를 초래하게 되므로 정부입장에서는 이에 대한 보전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세수감소에 대한 정확한 예측없이 연결부가세와 같은 보전대책을 실시한다면 기업은 이에 동참하지 않으려 할 것이다. 정부는 각종 신고서에 관한 자료수입이 용이하므로 이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 세수감소규모를 예측하고 부족분의 최소범위내에서 보전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둘째, 기업그룹의 경우 경제적 실질적인 면에서는 단일체라고 하나 법적으로는 독립된 개별실체이므로 기업의사를 존중하여 연결납세제도를 선택할 수 있게 하고 나아가 정부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기업회계기준을 존중하여 연결조정항목과 내용을 가급적 연결회계기준서에 일치되도록 하고, 세제를 간편하게 하여 납세협력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셋째, 정부는 한·미간 FTA 협상타결과 앞으로 계속되어 질 한·중간 FTA, 한·EU간 FTA 등 국내·외 경제환경 변화에 따라 기업이 능동적이고 시의성있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국제회계기준을 도입하기 위한 움직임 등 급변하는 세무회계환경의 변화에 부응하여 연결납세제도를 조속히 도입하여야 한다. 위에서 검토한 사항들이 세수감소를 우려하여 연결납세제도를 도입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해야 하는 정부의 정책적 대안마련에 일조할 수 있게 되어,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조세제도의 정착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대를 가져 본다. 또한, 연결납세제도가 시행될 경우 그 도입여부를 결정해야 할 기업의 선택에 미력하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정부의 도입의지만 있다면 연결납세제도의 도입에 그리 큰 어려움은 없다고 본다.

      • 지역환경을 고려한 연결공간으로서의 문화공간 계획 : 서울시 용산구 이태원동 128번지 일대

        강호석 경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city, which is laminated with the passage of time, is the results of the period. In this point of view,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demands have brought growth and development of cities and on the other side, the time trace of the past and the present has been connected to it. The city is the treasure house of accumulated histories, and also is the culture which connects yesterday with today and tomorrow. Community development and architecturalization had been processed with this various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so there was a mixture of spontaneously generated city, newly developed road for architectural use compounded on the existing one and city street mixed of roadway and pedestrian path. In this kind of city street, there are the street system and buildings by existence and movement of the pedestrian. The building located roadside has the closed exterior space and the inside-oriented arrangement, since it was constructed for the private ownership among various reasons of the building construction in city, leading that the spaces located in the inner street which is the back side of the buildings on roadside street cannot be revitalized and set another limits as boundary with the extremely narrow scope. These spaces located in inner and roadside streets are not interacted and perform individual function and prevent revitalization of whole district. This area in Itaewon has the context, in which cultures of different kinds and the cultures of estrangers and minority are mixed together. In Itaewon, the chaotic mixed situation is caused by irrational phenomenon of developmental period, various types of low-crowded cultures which cannot communicate with the public, and signs. This area, which was once in the limelight with various cultures. is now appeared to be in a state of decline, passing the developmental phase. The plan for the new physical change is now in process, in connection with the residential development called Hanam New Town Development in the southern part of the commercial area in Itaewon. So, there are strong demands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mercial area of Itaewon, such as existing shopping center and etc. and residential area on the other side, as well as the cultural facilities which has been not enough. So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the commercial facilities on roadside and residential facilities district connected to the inner street would interact and interaction requires communication through connecting space between the facilities and also through the cultural space which is insufficient in this area. For that, there is need for buffer zone which is the cultural area where the commercial facility and residential district are connected. With regarding these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have a plan for the space which is cultural space where multinational people and various culture can be accepted and they could communicate, also is the multi-functional and multi-central connecting space where its function cannot be summarized with definition of architecture. This study will grope for the way for cultural space to develop as connecting space between the commercial and residential facilities and focus on interchange, centering on the cultural space where considers regional characteristics of Itaewon, for interaction. So that, this connecting space will be the buffer-zone between underdeveloped commercial district and residential district and play the role as the public cultural space in community. 도시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적층되는 시대의 결과물이다. 이런 관점에서 사회, 경제, 문화적 욕구는 도시의 성장과 발전을 가져오고 그 이면에는 과거와 현재라는 시간의 궤적이 연속되어있다. 도시는 축적된 역사의 보고이며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연결하는 문화이다. 이렇게 다양하고 각기 다른 성격으로 지역개발과 건축화가 진행되어 왔다. 자연발생적 도시와 길 위에 새로운 개발에 의한 건축용도의 복합과 차도, 보행로가 혼합된 도시가로가 혼재되어 있는 것이다. 도시가로에서는 보행자의 존재와 움직임을 통한 가로체계와 건축물들이 있다. 도시는 사유화된 건축물로 지배되었고 그외 다양한 원인으로 건축물의 폐쇄적인 외부공간의 형태를 갖게 되었으며 내부 지향적인 시설배치로 인해 가로 건축물 뒤편인 내부가로에 위치한 공간들은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는 도시에서 활성화를 저해하는 또 하나의 경계의 울타리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이는 내·외부가로에 위치한 공간들이 서로 소통되지 않으며 폐쇄적 건축형태로 각 건축물의 개별적 기능만 수행할 뿐 내·외부가로 사이에서 활성화 되지 못한 ‘섬’과 같은 공간으로 현대의 도시가로의 문제점을 가지고 오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의 도시가로 속에 기존의 사유화된 폐쇄적 건축형태를 벗어나고 내·외부가로에 위치한 공간들을 서로 소통되게 하며, 연결공간으로서의 기능과 지역특성과 환경을 고려한 문화공간 프로젝트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태원에 위치한 이 지역은 이질적인 문화와 소수, 소외된 자들의 문화들이 섞여드는 컨텍스트를 간직하고 있다. 또한 개발시대의 비합리적인 현상들과 대중들의 소통되지 않는 여러 형태들의 저층 밀집문화와 Sign들이 이태원의 어지러운 혼합적 형태를 만들고 있다. 다양한 문화로 각광을 받던 이 지역이 성장의 시기를 지나 쇠퇴의 현재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현재 이태원의 기존 상업지역과 이면의 주거단지와의 연계의 필요성과 부족했던 문화시설 등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에 외부가로 건축물인 상업시설과 내부가로와 주거시설 단지와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며 이 두 시설간의 연결공간으로서의 지역 문화공간으로서 소통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끼고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다국적 사람들과 다양한 문화의 수용 및 소통이 가능하고 건축에서 정의하는 한 가지의 기능으로 요약되는 것이 아닌 가변성을 통한 다기능적이고 다중심적인 연결공간으로서의 문화공간의 계획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이 연구는 앞으로 상업, 주거시설간 연결공간으로서의 문화공간의 방향을 모색하고, 이태원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문화공간을 중심으로 상호소통(interaction)을 위한 교류에 초점을 맞추어 도심의 공공장소로서 또한 기존의 낙후된 상업지역과 주거지역간의 버퍼 존이 될 연결공간으로서의 문화적 커뮤니티의 공공장소로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 연결망 밀도와 협력적 교환 관계에 관한 연구 : 사회적 딜레마 상황을 중심으로

        김은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시장의 변화가 가속화되어 불확실성이 만연해 있는 기업 환경에서, 사회적 자본은 인적 자원과 재무적 자원 이외에 새롭게 각광받고 있는 자원이다. 내부의 자원만으로 경쟁우위를 창출하기에는 역부족이기 때문이다. 외부 조직과의 사회적 관계를 바탕으로 구축한 사회적 자본은 새로운 자원을 창출하게 도와주고, 이는 결국 조직의 생사를 결정짓게 된다. 이에 따라 사회적 자본과 이의 선행요인인 연결망의 구조가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아 왔다. 특히, 조직 간 협력이 중요시되면서 Coleman(1988)의 이론은 협력의 해결책으로 제시된다. 폐쇄형 연결망이라는 선행요인이 신뢰와 통제 메커니즘을 통해서 협력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활발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들에서는 Coleman의 이론을 실증하였을 뿐, 그 메커니즘을 정확히 밝힌 연구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조직 수준의 연결망 분석만 다수 존재하고 개인적 수준에서 연결망 분석을 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oleman의 메커니즘이 협력적 교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개인적 수준에서 구조적 설명을 통해 실증적으로 밝히는 것이 주된 연구목적이다. 특히 통제 메커니즘이 행위자들의 협력적 교환관계를 이끄는지에 집중하였으며, 보유한 부가 많은 행위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통제 메커니즘이 작동하는 높은 밀도의 연결망 구조 내에 위치한 행위자들은 밀도가 낮은 연결망 구조에 위치한 행위자들 보다 더 협력적 성향을 보일 것이다. 또한 보유한 부가 많은 행위자들이 연결망 밀도가 낮은 곳에서보다 높은 곳에서 협력적 성향을 보일 것이라고 예상되었다. 본 연구는 가설 검증을 위해서 실험을 통해 연결망 상의 교환관계를 구현하고 이를 실증하였다. 연결망 밀도가 낮은 구조와 높은 구조 내에 행위자들을 위치시키고 그들의 협력적 교환 관계를 비교했다. 피실험자는 총 70명이 참가하였는데, 2가지 가설을 따로 검증하기 위해 40명과 30명으로 나뉘어 배치하였다. 피실험자는 학부생과 대학원생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성별은 남자 35명과 여자 35명이다. 학교 사이트를 통해 모집한 이들이기 때문에 다양한 학문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가설 검증 결과, 연결망 밀도와 협력적 교환 간의 관계는 유의미하였다. 그러나 초기 부의 효과의 조절 효과는 지지되지 않았다. 표본 수가 적어 통계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값이 도출되었지만, 그래프 상으로는 의미있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험연구를 통해 Coleman의 통제 메커니즘을 밝혀, 사회적 연결망 연구에 기여하였다. 또한 개인적 수준에서 구조적 설명을 통해 실증하여, 기존의 기업 심리학에 또 다른 설명을 제시하는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밀집된 연결망이 협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기업이 제도적 차원에서 기업 안팎으로 사회적 자산을 구축하여야 한다는 실무적 시사점 또한 제공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발견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표본을 수집해 검증해야 한다. 특히, 초기 부의 효과는 표본의 수로 인해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다. 또한 정교한 방법을 개발하여 신뢰의 메커니즘도 측정해야 한다 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현재, 사회적 연결망 연구를 통해 사회적 자본이 구축된다면 이는 사회적•조직적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As the society experiences more rapid changes and uncertainties of the environment abound, social capital has newly garnered more spotlight, in addition to human capital and financial capital. Internal resources alone may no longer suffice in creating competitive advantages in the market. Social capital built within social relations with external organization helps the organization create new resource, and plays a crucial role in its survival.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researchers have previously explored social network structures as the antecedent of social capital. I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among organizations, scholars have traditionally looked to Coleman’s theory (1988) as their reference. According to the theory, closed networks encourage cooperation through trust and control mechanism. While previous researches examined Coleman’s theory, researchers have not clarified the exact mechanism of the theory. Additionally, while researchers have extensively analyzed the network on the organizational level, they have rarely focused on analyzing the network on the individual level. This study seeks to cure these deficiencies in the research field by fulfilling two purposes: Firs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density and cooperative exchange, focusing on control mechanism at individual level empirically. Second, this study aims to test moderating effects of initial wealth effect. In specific, actors showed enhanced cooperative exchange behaviors inside a dense network than in a sparse network. Actors who have more initial wealth at the beginning are expected to act more cooperatively in a dense network than in a sparse network. In this study, experiments based on prisoner’s dilemmas game are designated to compare the behaviors of actors, who are located on either a sparse or a dense network. Hypotheses were tested by the analysis of the sample consisting of 70 participants, chosen from a wide range of academic majors. Subjects consisted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35 male and 35 female. In order to avoid the learning effect of subjects, two independent experiment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each hypothesis. As a result, a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between the network density and cooperative exchange behaviors. However, the result did not provide support for the moderating effect of initial wealth effect: t-test coefficient was not significant, although it showed meaningful results on the graphs.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research of social network by examining Coleman’s control mechanism. Also, I examined the exchange relationship on the individual level with structural explanations. It will suggest another angle of approach in organizational psychology. These findings have real-life implications reaching outside of academia: organizations should focus on developing social capital on the institutional level, from within and outside of the organization. In extend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future studies need more samples, especially because the graphs suggested promising results, even though the moderating effect did not result in significant coefficients. A larger sample size may lead to more accurate results. The effects that trust mechanism has in cooperative exchanges need to be further examined.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조건 연결어미 교육 방안 연구

        왕묘페이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조건 기능을 가진 연결어미를 말뭉치 분석을 통해 의미 기능과 통사적 제약을 살펴보고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한국어에서 연결어미는 선행절과 후행절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면서 두 문장 사이의 의미관계를 제시하기 때문에 화자의 의도를 청자에게 전달할 때 연결어미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한국어의 연결어미는 그 수가 대단히 많은 뿐만 아니라 의미기능이 다양하고 문법적인 양상이 복잡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은 학습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결어미 중에서 한국어 학습자들이 사용빈도가 높은 조건 연결어미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모국어 화자들의 실제 한국어 사용에서 조건 연결어미의 빈도를 추출하고 각 항목의 의미적 특성 및 통사적 제약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법 항목과 비교하고 이들 항목이 교재 내에서 어떻게 설명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교재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조건 연결어미에 대해 교육할 내용을 보완하고 실제적인 교육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가 이제까지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문법 항목의 효과적인 학습에 관심을 기울이게 하고, 한국어 교재 개발과 교육을 개선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