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산업별 작업장 안전문화에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 건설업, 제조업, 서비스업 중심으로

        김동철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제목 : 산업별 작업장 안전문화에 미치는 요인들 간 의 관계 - 건설업, 제조업, 서비스업 중심으로 - 우리나라에서 발생되는 산업계 업종별 사고 사망자수는 대부분 건 설업, 제조업, 서비스업이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 사망자수를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국가에서 2021년에 중대처벌법을 시행하고 있으나 제도시기 이전과 사고 사망자 수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다. 안전 분야의 선행연구를 보면 다수의 연구가 중대재해처벌법을 기 반으로 하는 법률적 연구, 안전 이슈에 대한 기술적인 연구 들이며, 안전에 대한 사회, 문화적 접근방법을 주축으로 하는 연구가 매우 미 흡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기업의 경영성과와 연관 지어 안전의 긍 정적인 영향을 제시하는 연구 또한 미흡한 것을 볼 수 있다. 더욱 심 각한 것은 중대재해처벌법과 같은 법적 기준을 제안하는 연구에서도 산업계 업종별(건설업, 제조업, 서비스업 등)에 특성을 고려한 제안은 미비한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산업을 건설업, 제조업, 서비스업으로 구분하여, 최고경영자의 안전인식, 조직의 안전문화, 안전의사소통, 작업장 안전 수준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연구모형을 제시하 여 각 산업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 연구모형은 업종별에 따른 조직의 안전문화와 작업장 안 전수준 간의 직접효과를 분석하였다. 두 번째 연구모형은 업종별에 따른 조직의 안전문화와 작업장 안전수준 간의 관계에 안전의사소통 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마지막 연구모형은 업종별에 따른 최 고경영자의 안전인식과 작업장 안전수준 간의 관계에 조직 안전문화 의 매개 효과분석, 최고경영자의 안전인식과 개인 안전행동수준의 관 계에 조직수준 안전행동 매개 효과분석, 조직수준 안전행동과 작업장 안전수준 간의 관계에 개인안전행동 수준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라 업종별(건설업, 제조업, 서비스업)에 따른 차이를 알 수 있었다. 연구모형Ⅰ 업종별 모두 조직의 안전문화(개인수준 안 전행동, 조직수준 안전행동)가 작업장에 직접효과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연구모형Ⅱ 조직 안전행동은 안전 의사 소통이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제조업의 경우 건설업 의 반대 성향을 나타냈으며, 서비스업 경우 개인수준 안전행동 및 조 직수준 안전행동 모두 안전 의사소통의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모형Ⅲ 건설업의 경우, 최고경영자의 안전인식과 개인수준 안 전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 조직수준 안전행동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 으며, 조직수준 안전행동과 작업장 안전수준 간의 관계에 있어 개인 수준 안전행동 역시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개인수준 안전행동 및 작업장 안전수준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안전문화(개인수준 안 전행동, 조직수준 안전행동)에 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조업의 경우, 최고경영자의 안전인식과 작업장 안전수준 간의 관계에 있어 조직의 안전문화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조 직수준 안전행동과 작업장 안전수준 간의 관계에 있어 개인수준 안 전행동은 직접효과만 나타냈다. 최고경영자의 안전인식과 개인수준 안전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 조직수준 안전행동은 역할을 하지 못하 였다. 서비스업의 경우, 건설업과 동일한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개 인수준 안전행동 및 작업장 안전수준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안전문화(개인수준 안전행동, 조직수준 안전행동)에 대한 관리가 매 우 중요한 산업계 업종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건설업, 제조업, 서비스업의 작업장 안전수준에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및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요양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활동 영향요인

        배윤숙 창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요양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K도 C지역 소재 의료기관인증을 획득한 100병상 이상의 10곳의 요양병원 간호사 18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7월 1일∼7월 30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WIN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응답이 불완전한 자료를 제외한 총 161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은 평균 42.69세이었으며 41~50세가 34.8%로 가장 많았다. 결혼상태는 기혼이 73.9%였고, 최종학력은 전문대졸이 62.7%로 가장 많았다. 요양병원 경력은 평균 4.69년으로 5년 미만인 경우가 55.3%로 가장 많았고, 총 임상경력은 평균 11.59년으로, 5년 이상인 경우가 78.3%로 가장 많았다. 근무형태는 3교대가 47.8%이었으며, 직위는 일반간호사인 경우가 80.1%, 주당 근무시간은 40시간을 초과하는 경우가 52.8%로 가장 많았다. 인증경험 횟수는 평균 1.2회로, 2회 이상 인증을 경험한 경우가 39.6%, 마지막 인증시기는 1년 미만인 경우가 61.3%로 가장 많았다. 환자안전 교육은 ‘교육을 받은 경우’가 87.6%로, 대부분 환자안전 교육을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대상 기관의 구조적 특성 중 허가병상 수는 평균 333.59병상으로, 200~499병상이 42.2%로 가장 많았고, 의사 및 간호사의 인력등급은 ‘1등급’인 경우가 87.0%로, 대부분 1등급을 유지하고 있었다. 2. 연구대상자의 환자안전활동은 평균 4.29점(5점 만점)이었으며, 하부요인 중 환자확인이 4.45점으로 가장 높았고, 시술간호가 4.07점으로 가장 낮았다. 환자안전문화는 평균 3.68점(5점 만점)이었으며, 하부영역은 조직차원이 3.75점, 부서차원 3.63점, 개인차원 3.61점 순이었다. 영역별 하부요인은 환자안전지식 및 태도가 평균 4.00점으로 가장 높았고, 환자안전우선순위가 3.21점으로 가장 낮았다. 대상자의 안전통제감은 평균 3.70점(5점 만점)이었으며, Speak up은 평균 3.44점(5점 만점)이었다. 문제해결능력은 평균 3.51점(5점 만점)으로, 하부요인 중 문제의 명료화가 3.68점으로 가장 높았고, 평가 및 반영이 3.42점으로 가장 낮았다. 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은 평균 3.59점(5점 만점)이었으며, 하부요인은 수간호사 리더십이 3.91점으로 가장 높았고, 기관지원은 2.99점으로 가장 낮았다. 3. 연구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활동은 결혼상태(t=-2.03, p=.044)와 인증경험 횟수(F=3.45, p=.034), 마지막 인증시기(t=-2.62, p=.010)에 따라, 환자안전문화는 연령(F=4.35, p=.006)과 결혼상태(t=2.77, p=.006)에 따라, 안전통제감은 요양병원 경력(t=-2.62, p=.010)과 직위(F=4.17, p=.017)에 따라, Speak up은 요양병원 경력(t=-2.89, p=.004)과 인증경험 횟수(F=6.07, p=.00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문제해결능력과 간호근무환경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 연구대상자의 환자안전활동과 환자안전문화, 안전통제감, Speak up, 문제해결능력, 간호근무환경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환자안전활동은 환자안전문화(r=.60, p<.001)와 안전통제감(r=.47, p<.001), Speak up(r=.39, p<.001), 문제해결능력(r=.43, p<.001), 간호근무환경(r=.34,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5. 연구대상자의 환자안전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로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환자안전활동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F=14.00, p<.001)하였고, 환자안전문화(β=.43)와 문제해결능력(β=.15)이 환자안전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변수에 의한 설명력은 39.4%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요양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활동은 환자안전문화와 문제해결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요양병원 내 환자안전문화를 정착시키는 것과 간호사의 문제해결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환자안전을 위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성인학습자 안전교육이 공동체 의식과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최종환 광주대학교 보건상담정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안전교육이 공동체 의식과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평생교육 차원에서의 안전교육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대한적십자사 광주·전남지사에서 응급처치요인과 관련된 안전교육을 받는 만 18세 이상인 자로 하여 진행하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척도는 개인적 특성 10문항, 교육내용, 교육방법, 안전의식, 실천행동의 4개 항목으로 이루어진 안전교육 관련 18문항, 필요의 통합과 충족, 구성원 의식, 상호영향의식, 공유된 감정적 연계로 구성된 공동체 의식의 19문항, 신뢰, 네트워크, 호혜성, 참여로 이루어진 사회적 자본 1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시행에 앞서 2018년 7월 2일부터 7월 14일까지 총 76건의 사전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여 2018년 8월 6일부터 2018년 10월 14일까지 240부의 선문지를 배부하여 233부를 회수하여 이중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31부를 제외하여 총 202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에서 활용하였다. 한편 본 조사결과 사회적 자본의 네트워크에서 신뢰도를 심각히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난 V-5문항을 제거하여 박성용(2017)이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형태로 네트워크와 호혜성을 합산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도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4.0을 이용하여 첫째,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둘째, 신뢰도분석(Cronbach's α)을 실시하였으며 셋째, 학습자참여특성에 따른 안전교육, 공동체 의식, 사회적 자본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및 Duncan방법을 이용한 다중비교분석(Multiple Comparison analysis)을 시행하였고 넷째, 주요 변수들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고, 안전교육과 공동체 의식 그리고 사회적 자본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 다섯째, 안전교육이 공동체 의식과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내용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관련된 차이는 공동체 의식의 상호영향의식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요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지 않았다. 둘째, 연령에 따른 안전교육의 실천행동(30대, 20대 < 60대 이상)과 공동체 의식의 공유된 감정적 연계(30대, 20대, 10대, 40대 < 60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평균 수입에 따른 안전교육과 관련된 차이를 살펴보면 실천행동에서 100만원 미만, 200만원~300만원, 100만원~200만원의 집단보다 400만원 이상의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공동체 의식의 감정적 연계에서도 100만원 미만의 집단에 비해 100~200만원, 400만원 이상의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참여형태는 안전교육의 하위 요소인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에서 취업 등에 필요한 집단에 비해 업무관련 필수, 자발적 참여, 주위의 권유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와 함께 공동체 의식에서 구성원 의식, 상호영향의식과 사회적 자본의 호혜성에서도 취업 등에 필요하다는 집단에 비해 공동체 의식은 주위의 권유, 업무 관련 필수, 자발적 참여 순으로 사회적 자본은 자발적 참여, 업무 관련 필수, 주위의 권유 순으로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안전교육의 모든 하위요인 교육내용, 교육방법, 안전의식, 실천행동은 공동체 의식의 모든 하위요인 필요의 통합과 충족, 구성원 의식, 상호영향의식, 공유된 감정적 연계와 사회적 자본의 모든 하위요인인 신뢰, 네트워크, 호혜성, 참여의 모든 요인에 대해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모든 요인은 통계적으로 p<.01 수준에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안전교육의 하위요소인 교육내용과 실천행동은 공동체 의식의 하위 항목인 필요의 통합과 충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교육내용과 실천행동은 공동체 의식의 구성원의식에 교육내용, 실천행동, 안전의식은 공동체 의식의 하위요소인 상호영향의식에, 실천행동은 공동체 의식의 공유된 감정적 연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덟째, 사회적 자본의 신뢰에 대해 안전교육의 교육내용, 안전의식, 교육방법이, 네트워크에 대해 교육내용, 안전의식, 교육방법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호혜성에는 교육내용과 실천행동이, 참여에 대해서는 실천행동의 안전의식이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안전교육 전략을 모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교육에 있어서 체계적인 전생애적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연령이 증가할수록 실천행동과 공동체 의식의 공유된 감정적 연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연령대별로 이를 차별화한 교육전략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둘째, 개인적 성장과 학습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학습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평생학습차원에서 학습동아리의 활용하거나, 지역 내 안전교육을 전담하는 전문 강사육성, 자율방법대의 조성, 안전 모니터링단 운영 등을 통해 이를 달성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교육을 지속적으로 받겠다(94.6%), 안전과 관련된 시민활동 참여의향이 있다(73.3%)에 응답한 학습자의 활용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내용의 다양성 확보가 필요하다. 응급처치, 교통, 화재, 재난, 성 등과 관련한 안전뿐만 아니라, 지역의 특성에 맞춘 안전문제를 발굴하여 이를 기초로 지역안전과 관련한 교육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는 성인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안전교육의 실생활과의 연계성을 높이고, 제공되는 안전교육의 요소에서 공동체 의식과 사회적 자본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넷째, 학습방법에서 다양성 확보가 필요하다. 현재 일반적인 안전교육은 전달식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고, 체험관련 안전교육도 단순 실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지역이 갖는 안전문제에 대해 학습자가 스스로 토의하고 이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이 포함된 교육 커리큘럼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afety education of adult learners on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capital and aimed at seeking safety education strategies in a dimension of future lifelong education. The subjects of research were those who were over 18 years old and had first aid related safety education in Gwangju․Jeonnam branch of Korean Red Cross and the measures used for the research included 10 personal characteristic questions, 18 questions related to safety education which consist of 4 items including educational contents, educational methods, safety consciousness, and practical behaviors, 19 questions of sense of community which consist of integration of needs and satisfaction, consciousness of members, consciousness of interaction, and shared emotional connection, and 12 questions of social capital composed of reliability, reciprocity and participation. Pre-survey of total 76 cases was conducted from July 2 to 4, 2018, 24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subjects from Aug. 6 to Oct. 14, 2018 and 23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final 202 questionnaire except for 31 unfaithful responses were used for this research. V-5 question shown as hindering reliability severely in social capital network was eliminated and conclusion was drawn by adding up network and reciprocity suggested in the preceding study by Park Seong Yong (2017).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4.0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econd,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 α) was performed. Third,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comparison analysis using Duncan method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safety education,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capita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participation. Fourth,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was conducted to calculat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major variable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safety education,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capital. Fif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s of safety education on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capital.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female was higher in the sense of interaction of sense of community than male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factor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actical behaviors of safety education according to age (in their 30s and 20s < over 60s) and shared emotional connection (in their 30s, 20s, 10s, 40s < sixties). Third, in the differences related to safety education according to average income, it was found that practical behaviors were higher in the group having 4 million won or over than in the groups below 1 million won, 2~3 million won and 1~2 million won groups. Emotional connect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1~2 million won group and 4 million won or over group compared to the group below 1 million won group. Fift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pulsory, voluntary and recommended participation in order compared to the participation for employment in the sub-factors of safety education like educational contents ad methods.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recommended, compulsory a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consciousness of members and interaction and reciprocity of social capital. Sixth,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 in all sub-factors of safety education including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safety consciousness, those of practical behaviors including integration of needs and satisfaction, consciousness of members, and sense of interaction, and those of shared emotional connections and social capital including reliability, reciprocity and participation. It was found that all facto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in the level of p<.01. Seventh, sub-factors of safety education such as educational contents and practical behavio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integration of needs and satisfaction, educational contents and practical behaviors on the consciousness of members, educational contents, practical behaviors and safety consciousness on the sense of interaction, and practical behaviors on shared emotional connections. Eighth, educational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safety consciousness and educational method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liability of social capital,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of safety education and safety consciousness on network, educational contents and practical behaviors on reciprocity, and safety consciousness of practical behaviors on participation. Safety education strategies from the viewpoint of lifelong education based on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a systematical lifelong approach in safety education was needed. In particular, as the age increas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ared emotional connections of practical behaviors and sense of community and differentiated educational strategies by age should be sought. Second, a systematical learning plan which can utilize personal growth and results of learning should be established. It can be achieved through use of learning club, development of special teachers in charge of community safety education, and operation of safety monitoring group. Especially, ways of using learners who answered "I will have continuous education (94.6%)" and "I am willingly to take part in civil activities related to safety (73.3%)" should be sought. Third, ensuring a variety of educational contents was required. Community safety related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as well as safety education of first aid, traffic, fire, disaster, etc. Ways of enhancing connections between safety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and their real life and ensuring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capital in the factors of safety education should be prepared. Fourth, ensuring a variety of learning methods was needed. General safety education has been mainly delivery type education and experience related safety education was simple practice. Educational curriculum including the process of learners' discussion and problem solving of community safety problem was required. Key Words: Safety Education, Adult Learners, Sence of Community, Social Capital.

      • 안전풍토 및 협업이 신뢰를 매개로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서울교통공사를 중심으로

        전광자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Individuals and groups within railway Safety High Reliability Organization actively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in a horizontal, emotional, creative & business level, in which are willing to track and refusing to simplify small mistake & failure in preparation for the numerous unexpected contingencies in railway facilities and operations that carry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This dissertation aims at the study on a High Reliability Qrganization in which all members collaborate with mindfulness on prevention of unexpected situation and respond to it with tension & careful attention, and operate with realization & expertise in manuals and procedures, and protect themselves with Safety Climate in realizing Safety itself, faithful to the basics. Especially, managers should provide clear objectives and directions for safety, and serve as an example to demonstrate servant leadership and instill a sense of safety will to all members. The study highlighted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enhancing levels of trust in order to create a safety climate and collaboration for this purpose, and emphasized that trust can be enhanced by three divided principles of honesty, fairness and collaboration, through solutions, leading by example, sharing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legitimate & fair reward, clarification of responsibility and role, and maintaining amicable human relations. In this dissertation,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staffs of Seoul Metro, which conducted PMI(Post-Merger Integration) for safety management with the railway infrastructure, to be retrieved 292, and among them 28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selected for this study.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for a certain level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variable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the variables. The hypothesis was validated by using sample t-test statistics, one-way batch variance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rameter Regression analysis ,using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2.0. This process summarizes the results which obtained from empirical analysis- demographic differences verification & correlation analysis. Strong Correlation is shown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collaboration & safety Climate,mediator variable trust & dependent variable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Correlation analysis. First, th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ognition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As a result, in the view of gender, male cognition of safety climate & Collaboration is above female one. from the reason male worker has more field oriented tendency than female one. The higher the job level, the higher the attitude of work such as safety climate, organizational commitment, collaboration, organizational trust is from the difference of position between manager & field worker in the aspect of their responsibility etc. There is no significant effect of cognition on variables as academic achievement. but, differences are shown between the field of Crew and technology, or between the field of Office and technology in the cognition of collaboration.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mediating regressio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safety climate and collabora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enhancing levels of trust have shown that the safety climate has a nominal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e promotion of trust, Also, it was found that collaboration positively influence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e promotion of trust. In order for 'safety climate' and 'collaboration' to lead to 'Safety organization commitment', 'Organizational trust' should be elevated .The autonomous safety activities, which have a high level of trust, can secure execution power. For realizing "Safety First" and "Change Innovation" with the "Safety 1st" paradigm, Seoul Metro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of a safety-oriented five-point firewall system, SM- SMS( Seoul Metro-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high reliability organization'and Smart Connected Metro based 'next- generation future-oriented new subway'. Hyper Connection- oriented has been made by 'Collaboration' of Subwayfacilities, power, signal contro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rea by using ICT & data bas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nclusionally, it should be reborn as a 'High Reliability Organization' that enhances internal and external trust and collaborates with 'safety climate'that is faithful to fact and data basics. It is a common essential task for all of modern organizations as well as Railway system-based one to prepare for the 'danger of future society’. 철도안전관리기반 고신뢰 조직은 수많은 대중을 운송하는 철도조직에서 좋은 안전문화가 지속하여 높은 수준에서 구현된 조직으로 신뢰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된 조직이다. 신뢰는 일반적으로 솔선수범, 의사소통을 통한 정보공유, 책임과 역할의 명확성, 정당하고 공정한 보상, 원만한 인간관계 유지를 통해 높여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철도안전관리기반 고신뢰 고몰입 조직 방안으로서 안전풍토와 협업이 신뢰를 매개로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두 가지 가설검증을 하였다. 첫 번째 가설은 ‘안전풍토에 대한 개인의 인식이 신뢰를 매개로 하여 조직몰입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두 번째 가설은 ‘협업에 대한 개인의 인식이 신뢰를 매개로 하여 조직몰입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이다. 연구에 사용된 독립변수인 안전풍토와 협업, 매개변수인 신뢰, 종속변수인 조직몰입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두 가설 검증을 위하여 설문 조사를 철도시설기반의 안전을 위해 1~4호선과 5~8호선 양 공사 통합을 실행한 조직인 서울교통공사 직원을 대상으로 2019년 2월 10일부터 3월 10일까지 약 한 달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92부를 회수하고최종적으로 288부의 설문지를 수집, IBM SPSS Statistics 2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두 가설은 채택되어 안전풍토 및 협업은 신뢰를 매개로 하여 조직몰입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풍토와 협업이 안전조직몰입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조직 신뢰가 드높여져야 하고, 안전 고신뢰조직은 조직 내 사람과 사람 간에 형성되는 지속적, 심리적 연결감에서 오는 신뢰가 드높여진 자율안전활동의 실행력을 확보할 수 있다. 서울교통공사는「안전 1st」 패러다임으로 ‘안전우선’,‘변화혁신’의 실현을 위해 안전 5중 방호벽 구축의 전사적 참여를 통해 안전문화가 체질화된 공사만의 고유한 철도안전관리체계(SM-SMS)기반의 고신뢰 조직을 구축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의 단계별 조직변화관리에서 중요한 변인으론 의사소통과 협업이고, 4차 산업혁명을 적용한 데이터 기반의 협업이 지하철 설비, 전력, 신호제어, 정보통신 영역에 ICT를 활용하여, Smart Connected Metro 기반의 초연결성을 지향하는 신개념 미래 지하철을 만들어 가고 있다. 결론적으로, 대내외적 신뢰를 높이고 사실과 데이터 기반의 기본에 충실한 ‘안전풍토’속에‘협업’으로 상생해가는‘고신뢰 조직’으로 거듭나야 함은 비단 철도안전관리기반 조직사회뿐만 아니라‘미래사회의 위험’에 대비한 현대조직의 공통된 필수과제인 것이다.

      • 우리나라 식품안전관리의 선진화(先進化)를 위한 연구

        김수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 식품산업은 1990년대 후반이래 식품 유통시장의 광역화, 세계무역기구(WTO)출범으로 인한 식품 생산 및 소비의 국제화 등으로 과거의 식단에 비해 필수영양소의 공급 등 양적인 면은 많이 개선되고, 발전되어 왔으나, 식품에서의 내분비계장애물질(환경호르몬), 중금속, 발암물질 등의 검출, 식중독 사건, 유전자 재조합식품에 대한 안전성 논란 등 안전성에 있어서는 그 어느 때보다 위험에 노출되어 있어 현재의 식품안전관리체계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전문화를 기하기 위험서 개선되어야 할 점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식품산업과 식품안전관리 체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파악하였다. 또한, 주요 선진국들이 택하고 있는 식품안전관리체계 현황과 주요정책 등을 분석하여 국내 식품안전관리 정책의 선진화 역량 제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문제에 따라 국내 식품안전관리체계의 문제점으로 식품안전사고 발생시 행정의 중복 등 식품안전관리체계의 다원화, 식품위생행정업무의 비전문화, 식품위생 정보수집 및 분석 네트워크 부재, 식품위생안전교육 시스템 강화 필요성 등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근거로 국내 식품안전관리의 역량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단기적으로는 관련 기관간 파트너쉽 강화, 국내외 식품안전관련 정보 수집 및 분석 강화, 식품위생 안전교육 강화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을 제시하고, 중기적으로는 위험성 평가 시스템의 도입 및 식품생산이력제의 단계별 도입과 등을 제시하고, 장기적으로는 현재의 다원화되고 비효율적인 식품안전관리 체계를 주요 선진국과 같이 생산에서 소비까지 전 과정에서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종합적인 식품안전관리 체계」로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우리가 매일 먹는 식품은 생산단계인 농장에서부터 소비자의 식탁에 오르기까지 안전성이 철저하게 보장되어야 한다는 것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앞으로, 공장에서 대량 생산된 식품과 수입식품에 대한 의존도는 더욱 심화될 것이며 국민의 건강과 안전성에 대한 관심은 더욱 고조되어 갈 것이다. 이와 같은 시대적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식품의 안전성, 건전성, 유효성 등을 확보하기 위험서는 보다 과학적이고 기술적이며 선진화·국제화된 정책 및 실천방안을 개발하여 대처해 나갈 때 우리나라가 목적하는 식품의 안전성 확보도 가능할 것이다. Due to the growth of food distribution markets and internationalization of food production and consumption after launch of the WTO in the latter half of the 1990s, the food industry in Korea has been improved and developed in a quantity wise such as provision of essential nutritive elements. On the other hand, there have been emerging issues threatening food safety; detection of environmental hormone, carcinogenic agents and heavy metals; food poisoning accidents; and dispute over safety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In this study, the efforts have been made in analyzing and grasping the status as well as issues of the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the food industry of Korea.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through such efforts, is to present the strategies for the true capability enhancement of Korea's food safety management policies. The clarified issues were first, complicatedness and unnecessary overlapping of the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second, lack of specialty in conducting food safety administration work, third, non-existence of food hygiene information collection as well as analysis network and forth, necessity of strengthening the food hygiene safety education system. As strategies to improve national management of food safety in Korea based on above-mentioned issues, the followings were presented. In the short run, we need to increase international and doestic food hygiene inform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capability, strengthen partnership among related agencies and intensify food hygiene safety education. In the medium run, it is desirable to successively introduce a traceability system and to strengthen the risk analysis system. In the long run, we have to unify our complicated and multiple food safety administration system.

      • 安全이 都市鐵道分野의 顧客滿足度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하보윤 서울産業大學校 鐵道專門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2003년 2월 18일 대구지하철 화재사건으로 인하여 30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여 도시철도 이용승객이 크게 불안을 느끼고 있으므로 안전이 도시철도분야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정확한 고객만족 측정을 위한 설문 항목을 개선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우선, 최근 5년간 조사기관별 종합만족도를 비교분석하고, 조사기관별 운영기관에 대한 비교 분석, 그리고 조사기관별 조사항목에 대한 비교분석하여 안전에 관한 항목이 설문 항목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다음으로는 도시철도분야 고객 안전에 관한 고찰로서 대구지하철 화재사고의 개요 및 피해 현황과 사고의 문제점을 짚어 보고, 서울시 지하철의 안전관리 체계 및 역사시설과 전동차 설비 안전에 대한 현황을 검토하여, 도시철도를 이용하는 승객들에 대한 안전대책을 세워 그 대책에 맞는 내용인 1.역사 설비의 안전성, 2.전동차 설비의 안전성, 3.비상시 시민행동요령 교육 및 홍보 등 이 3가지를 고객만족도 설문 추가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이 3가지 안전에 관한 항목을 2002년도 한국갤럽조사연구소의 시민만족도 설문 조사 항목에 추가하여(7개차원 28개항목) 설문 조사하여 본 결과 7개의 차원 중에서 가장 높은 차원중요도를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 지하철을 이용하는 승객들의 고객만족도 측정에 안전에 관한 항목이 포함되지 않으면 올바른 측정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향후에는 올바른 고객만족도 측정을 위하여 각 조사기관의 특성에 맞는 안전에 관한 항목을 추가해야 한다. 또한, 설문조사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하철을 운영하는 각 운영기관에서는 이용승객들이 역사 설비나 전동차 설비의 안전에 대하여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비상시 행동 요령에 대하여 중요성을 느끼고 있으므로 시민들이 만족 할 수 있는 지하철이 되도록 향후 심도 있는 지하철 안전에 대한 대책 연구와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As subway passengers feel uneasy about using subway because three hundred passengers were either killed or injured in the fire accident in Tea-Gu subway on Feb 18th, 2003,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appraise the influence of feeling of safety upon the customer-satisfaction for Metropolitan subway, and improve the clauses of questionnaire for more exact customer-satisfaction measurement. In the first place, w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recent five years' collective feeling of satisfaction done by many research centers, on administrative institutions of each research centers. And we also checked out whether the clause of safety i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by the comparative analysis on clauses of questionnaire of each research centers. Next, we dealt with the outline, the extent of damage, the cause and problem of the fire accident in Tae-Gu subway, and checked out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the condition of station building and the equipment safety of subway in seoul. Then we formed the countermeasure for the safety of passengers, and chose next three items as additional clauses for customers' feeling of satisfaction. 1. Safety of station building 2. Safety of the equipment of train 3. Behavioral guide for citizens in emergency and public relations When the three clauses mentioned above were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the twenty five items in the six fields) for citizen satisfaction, which was conducted by Korea Gallup Research Institute in 2002, it earned the highest level of importance among the seven fields of a questionnaire. This shows that the' questionnaire need to include the clause of safety for more exact measurement of customer satisfaction. So, each institute should add clauses of safety for more exact customer satisfaction measurement according to their state of things. As the research shows, subway passenger are deeply concerned about the safety of station building, the equipment of train and the behavioral guide in emergency. So, the administrative institutions of subway authorities need to find the improvement and research of the safety countermeasure for the satisfaction of passengers.

      • 효과적인 범죄안전마을 사업을 위한 연구 : 서울시 동작구 범죄안전마을 사업을 중심으로

        정다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도시쇠퇴는 도시 내 거주민에게 부정적인 외부효과를 가져왔으며, 도시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삶의 질 저하라는 문제를 극대화시키는 핵심요인이 되었다. 특히 범죄는 도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현상 중 가장 큰 피해를 일으키는 외부효과라고 할 수 있다. 범죄는 직접적 피해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야기하여 시민들의 삶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이처럼 범죄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주민들의 불안감도 높아지고 있으며, 정부에서는 이를 극복하여 범죄로부터 취약한 물리적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고,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키고자 했다. 따라서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서 범죄예방디자인 사업이 여러 지자체에서 추진 중에 있다. 하지만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시행되는 범죄안전 사업은 사업 시행 후 사후 검증에 대한 연구 및 분석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안전마을이란 말이 무색하게 안전디자인이 훼손된 부분도 있을 뿐만 아니라 여전히 허술하고 취약한 부분이 발견되고 있다. 또한 전국적으로 범죄예방디자인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일회성 보여 주기식 사업이라는 평가도 허다한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범죄예방기법들이 적용되고 있지만 어떤 요소에 의해 범죄가 감소되었는지 증명하지 못한다는 주장도 제기되어 왔다. 이처럼 범죄안전마을 사업은 사업 실효성에 의문을 갖게 하는 몇 가지 한계를 지니고 있어, 이를 보안하기 위한 실제적 사후 검증 대책이 필요하다. 따라서 범죄안전마을 사업과 적용된 개별 요소들이 거주자들에게 범죄예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파악해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범죄안전 마을 사업을 위한 계획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범죄 안전마을 사업에 대한 거주민들의 의식을 조사하고, 사업의 실효성에 대해 분석하고, 사업에 적용된 범죄예방디자인 요인들의 현황분석을 통해 개선점을 논의 하여 효과적인 계획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문헌분석을 통해 도출한 내용을 비롯하여 실제로 해당지역에 적용된 범죄예방디자인 요소에 대한 내용을 조사도구로 삼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범죄안전마을 사업 인식을 높이고, 사업 참여 유도를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방범조명 설치 시 주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보행로와 깊은 골목길 모두 동시에 적절하게 배치하고 설치하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또한 조명요소들이 중첩되도록 하여 조명이 끊기지 않도록 간격을 유지하여 계획해야 한다. 셋째, 커뮤니티 공간은 여러 주민들이 이용하는 곳인 만큼 유지와 관리가 철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주민들의 시설이용이 끊이지 않도록 대책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원만한 시설이용과 자연감시를 위해 시야를 가리는 홍보물, 포스터, 수목 등을 제거하는 등 주변 환경을 정리해 계획하고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커뮤니티 공간을 소수의 주민들만 이용하게 하는 독점의 공간이 아닌 개방된 공간이 되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커뮤니티 공간은 야간에 조명 요소를 강화하여 야간에도 주민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넷째, 미관 및 환경개선은 낙서, 쓰레기 투기 등 생활 질서를 저해하는 요인들을 제때 관리하고 빠른 시일 내 개선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유지와 관리를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담장을 도색하거나 벽화를 계획할 때는 지역특성과 주민들의 참여를 고려하여 계획하여 유지 관리가 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특히 벽화나 조형물을 계획할 때는 흑백이 아닌 다양한 색채를 적용하여 밝은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벽화는 조명과 함께 계획해 야간에도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야간환경을 고려한 계획이 실행되어야 한다. 다섯째, ‘생활안전 및 안내’의 안내문들은 동적인 공간에 계획할 때는 글이 아닌 그림이나 픽토그램을 활용하여 빠른 시간 내에 누구나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계획해야 한다. 또한 야간에도 안내문을 인식할 수 있도록 조명계획을 함께 계획해야 한다. 또한 각종 전신주에 부착된 요소들은 중첩되지 않도록 계획해서 요소가 서로 가리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더불어 유지 및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강력한 규제의 안내시설뿐만 아니라 생활 쓰레기를 버리거나 홍보지 등을 붙일 수 있는 특정한 장소를 마련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여 환경이 정리가 되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여섯째, 범죄안전 및 안내는 위급한 상황에 즉시 이용할 수 있도록 요소를 가릴 위험이 있는 물리적 환경을 미리 염두에 두어 언제나 식별할 수 있는 곳에 설치하고, 조명과 함께 계획해 야간에도 눈에 잘 띄도록 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안내시설은 조명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정확한 위치에 조명이 닿을 수 있도록 계획해야 한다. 그러나 고보조명과 같은 특수한 안내 시설물을 조명이 부족하고 범죄두려움이 급증하는 곳에 설치하여 메시지가 잘 보일 수 있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또한 방범 펜스는 공간을 막아 접근을 통제시키는 것보다 우선적으로 공간을 깨끗하게 치우고 비울 수 있도록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범죄안전 및 안내 요소는 다른 요소들에 가려지지 않도록 특별히 구별하여 계획 하여서 범죄예방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주민참여는 주민들에게 사업이 마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밝히는 등 더 활발한 홍보 활동이 필요하다. 계획된 요소들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마을 주민들의 참여 도모를 위한 각종 대안 대책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범죄예방디자인사업을 통해 안전성을 향상시키고자하는 지자체 및 해당 지역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주거지에서 거주자가 안전감을 느끼고 범죄로부터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여 거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國家安全管理 行政體制의 分析 및 信賴性確保 方案 : <높은 信賴性 安全管理 行政體制>의 槪念形成과 適用을 中心으로

        정완택 大田大學校 2003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term 「Safety Management」 is selected to prepare and cope with the natural and man-made disasters, dangers, accidents and other emergency situations systemically and the 「High Reliability of Safety Management Administration System(HRSMAS)」 is also the object of this study. In detail, conceptualizing the HRSMAS which can response completely without fallibility in the proactive and post-mortem phases of disaster, establishment measures of the HRSMAS will be introduced with the opportunity of this study by analyzing the Korea's current safety management administration system if 「Safety Management Administration System」 is defined as the comprehensive administration system related to national law, organization, manpower, equipment, finance, information and operation for national safety management against the natural and man-made disasters, national large and small scale dangers, and accidents. The recent huge disasters 'Sampoong disruption(death: 502, casualty: 938 in 1995) and Daegu subway arson accident(death: more than 124, casualty: 150 in 2003)' illustrates that current society of Korea is exposed to danger. Therefore, a series of calamities like Daegu subway has been serious enough to threaten the whole nation as well as the victims and their families. These indicate that national responsibilities are required for further overall review regarding the safety management administration system and safety consciousness of the nation in the meantime. For every massive disaster, the government speedily announces various countermeasures for safety management^ However disasters would never stop as a chain. The victims of huge disasters and ceaseless social perturbation exist in our society because of problems that still exist in our safety management. Because of different measures needed to manage the natural and man-made disasters, according to the each disaster, the coping authorities are also scattered to related government agencies. Consequently it is very difficult to establish mutual cooperation and on- site command among related agencies under the huge disast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by coping with the disaster perfectly, is to establish a solid safety management in the n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which the nation can rely on completely. The proposals of policy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creation of institutional frameworks on safety management system First, various authorities such as, support of policy and budget, assistance to the head of executive, enlightenment of the nation, collection and of public opinion, and cooperation of media shall be conceded to the new agency after the activation of agency to be charged with the task of central disaster administration for the national safety management under the Office of the Prime Minister. Second, The safety management policies shall be made by the specialized agency which has enough experiences and abilities of crisis management on the spot of the disaster. It is also necessary that central government should budget for the nation qualified as direct beneficiaries of safety management administration through the accurate analysis on the scale of the new agency-related activities. 2. The creation of unified frameworks on informational utilization First, unless the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is established in the phases of policy decision and on- site command management, immediate response can not be expected structurally. Therefore the practical belonging of public officers working at the central safety management agency shall be unified to do that more than anything else. Second, Integrated operation between preventive information and on-si tie response information is needed indispensably to interconnect the information of the disaster-preventive phase into the phases of preparedness, response, and recovery. First of all, a few of prerequisites such as, investments for establishment and linkage operation of Integrated safety information system instead of scattered information relevant to safety, and common information will also be needed. 3. The creation of effective on-site response system Related laws and Institutional frameworks shall be created for the command of controller on the spot of the disaster. Expecially fire agency in charge of manipulative posture should make every effort to set up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the quickness, expertise, responsibility and public service of its own activities as well as securing the manpower, budget and equipment. 4. The adjustment of safety management work in the each phase and creation of control frameworks Objectives of safety management, establishment of plan and detailed performances such as, management of mobilization-available resources in the phase of on-site response of each field, functional apportionment and adjustment in the post-mortem process should be well-secured by creating the Institutional frameworks unified and faithfully systemical in the safety management basic law. 5. The restraint of privatization of public area in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nation. If the social regulations or resources are applied for private benefit in the institutional creation or process of safety management, huge disasters or accidents will be greater. The base of safety management will also have the possibility to collapse. Accordingly, our society needs to abandon vested rights and new national consensus as well as the effort of public officers.

      • 철도사고에서의 인적오류 방지에 관한 연구

        박민규 東國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철도사고에서 인적오류(Human Error)가 원인이 되는 사고의 예방을 위해 철도에서의 인적오류의 개념을 설명하고, 일본에서의 인적오류 연구에 대해 언급하였다. 그리고 철도 종사원의 인적오류 유발요소를 측정하기 위해 안전성격, 피로, 스트레스 진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총 1759명의 종사원 중 기관사 1507명, 수송담당역무원 162명, 운전사령요원 90명에 대해 실시하였다. 안전성격에 있어서는 총 8개 항목 중 「신경질적임(0.69)」 의 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근무기간별 안전성격을 분석한 결과는 5년 미만의 종사원들이 7개의 항목에서 평균치 이상을 기록하였다. 축적피로징후인덱스(CFSI) 진단에서는 「불안감(0.20)」 「만성 피로징후(0.20)」 의 항목이 높게 나타났으나, 타 업체와의 비교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낮게 나타났다. 스트레스 진단에서는 「남녀관계」 의 불만이 0.85으로 압도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기타 3업종과 비교를 했을 때, 「적당한 영양섭취」 「주류 및 의약품」 「운동」 「체위」 등의 항목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타 업종 종사원들과 비교 했을 때 사고발생 유발 인자의 수치가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높은 측정값을 나타낸 항목의 직무에 대한 원인 분석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고, 그 항목에 대한 개선 대책 강구를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이 연구조사가 일회성에 그칠 것이 아니라 정기적으로 종사원들이 이용하도록 하여 그 결과를 DB화 하여 개인별 성향을 분석한다면 철도 사고의 인적오류 방지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plains the concept of Human Error in railroad for accident prevention that Human Error of railroad accidents is caused, and referred to study of Human Error in Japan. We took the diagnosis of stress, fatigue, and safety character to measure the inducing elements of Railroad worker. The experiment of this study was made to 90 of locomotive engineers, 162 of transport station staff, and 1,507 of engine drivers in total 1,759 employees. In safety character, the item of 「nervousness(0.69)」 out of the entire 8 items appeared high, and the result analyzing safety character by working term was recorded more than average in 7 items from less than 5-year employees. In diagnosis of C.F.S.I, the items of 「instability(0.20)」, 「chromic fatigue symptom(0.20)」 appeared high, but in comparison with other occupations was low at entire items. In stress diagnosis, the dissatisfaction of 「sex trouble」 item showed a extremely high value 0.85, in compared with other occupations, was measured highly on the items of 「proper nutrition taking」, 「alcoholic liquors & medical supplies」, 「exercise」, 「physique」 etc. Whe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compared with other types of industry, we knew that the records of the factor caused accident occurance is lower than them. And the additional studies must be held about the higher factors. I think that this questioned study is effectuate to operate periodically.

      • 초등학생의 행동 관찰을 통한 학교안전 방안에 관한 연구

        류청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행동 관찰을 통하여 안전행동과 위험행동을 살펴보고 학교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학교안전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위험행동의 유형을 탐색하고 초등학생의 행동이 어떤 유형으로 나타나는지 초등학교 현장에서 직접 관찰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의 안전행동 및 위험행동뿐만 아니라 선행연구에서 제시하지 않은 위험행동의 유형을 추가로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위험행동을 줄이기 위한 학교안전 방안을 마련하였다. 초등학교 4개교를 대상으로 2016. 10월부터 2017. 8월까지 학교별로 4일∼12일간 총 25일 동안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학교 관계자(교장, 교감, 부장교사, 안전담당교사 등)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 관찰, 문서수집 등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초등학생의 행동 관찰을 통하여 학교안전 방안을 마련한 후 학교안전 전문가, 안전교육 전문가, 학교시설 전문가 등 3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학교안전 환경과 안전교육 측면을 중심으로 최종 학교안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에서 탐색한 초등학생의 위험행동 유형은 등교시간부터 하교시간까지 학교에서 생활하는 모든 시간에 대해 활동 장소를 기준으로 통학로, 실내, 실외에서 총 66개 유형을 도출하여 행동 관찰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행동 관찰 결과, 안전행동은 3개 유형에 6개 항목으로, 약속된 행동은 학급단체 이동, 지정된 횡단보도 건너기 등 2개, 습관화된 행동은 안전대피 훈련, 자전거통학 체험 연습, 횡단보도 건너기 연습 등 3개, 안전한 통학 환경은 교사동과 연결된 육교형 통학로에서의 안전행동 1개를 관찰하였다. 셋째, 위험행동은 5개 유형에 26개 항목으로, 환경 요인에 의한 위험행동은 공사로 없어진 통학로, 불분명한 통학로 경계선, 신호등 없는 횡단보도, 교내 통학로의 꺾인 동선, 계단으로 된 후문, 운동장 스탠드에 부딪힘, 교내 주차장으로 통학, 재미없는 놀이시설, 복도-계단 코너에서 부딪힘, 급식실(식당)의 동선 등 11개, 무의식적인 위험행동은 잘못된 횡단보도 습관, 잘못된 자전거통학 습관, 친구 행동 따라 하기, 난간 걸터앉기/올라가기, 위험한 장난도구, 계단 보행 습관 등 6개, 보편적인 위험행동은 뛰는 행동, 우측보행 안 지키기, 교실/복도/계단에서 장난하기 등 3개, 교사는 안전 파수꾼은 체험공간에서 행동 변화, 수업중 이탈하기, 교실에서 행동 변화 등 3개, 돌발적인 위험행동은 건물 지붕 올라가기, 학교 담장 뛰어넘기, 운동장 비구방지망 펜스 올라가기 등 3개 항목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넷째, 선행연구에서 제시하지 않았지만 연구자가 추가로 관찰한 위험행동은 총 46개 유형이며,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위험행동 66개를 포함하면 초등학생의 위험행동 유형은 최종 112개로 정리할 수 있었다. 다섯째, 초등학생의 행동 관찰을 통하여 학교안전 환경과 안전교육 측면의 방안 65개를 제시한 후 델파이조사를 통하여 최종 51개를 선정하였다. 그 중에서 환경 측면의 방안이 36개, 안전교육 측면의 방안이 15개이다. 초등학생의 위험행동에 대한 근본적인 요인 제거를 위해서는 학교안전 환경 개선을 우선으로 하고 더불어 다양한 안전교육 방법의 방안을 함께 병행하여야 할 것이다. 앞에서 살펴본 연구 결과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안전과 관련된 심층적인 연구 방법의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선행연구에서 거의 시도하지 않았던 질적 연구를 통하여 초등학생의 행동을 관찰하고, 학교 현장을 좀 더 이해하며, 위험행동의 내면을 살펴봄으로써 가장 효율적인 학교안전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둘째, 학교관리자의 안전에 대한 적극적인 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 초등학생의 행동 관찰 결과 6개의 안전행동과 81개의 위험행동이 나타났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의 관리자가 학생들의 행동을 살펴보고 적극적인 개선 의지를 가짐으로써 학교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학교안전과 관련된 학교시설 배치와 환경 조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초등학생의 위험행동을 안전행동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생활하는 학교 공간에서 자연적인 안전행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공간 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넷째, 학교 현장에서 체험중심의 안전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학교안전 환경뿐만 아니라 학교에서의 안전교육과 안전훈련이 지속적으로 이어져 어린이들이 성인기에 이르러서도 안전한 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습관화할 필요성이 있다.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는 체험중심의 안전교육을 통하여 습관화된 행동을 유도함으로써 학교안전 사고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다섯째, 학교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복합적인 학교안전 방안을 적용하여야 한다. 초등학생의 위험행동 유형이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을 띠기 때문에 근본적인 요인 제거를 위한 안전 환경 조성과 함께 다양한 안전교육을 병행하여야 효과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사고는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므로 인간, 시스템, 그리고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모든 환경을 종합적으로 접근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