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안무가의 변혁적 리더십이 무용수의 리더 신뢰와 무용단 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하나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단의 리더인 안무가의 변혁적 리더십이 리더신뢰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변혁적 리더십과 리더신뢰,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리더에 대한 신뢰가 무용수의 직무만족에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밝힘으로써 안무가의 무용단 운영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2013년 서울에서 주로 활동하는 무용예술단체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총 28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 목적에 따라 통계처리를 하였다. 조사 도구로는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배경변인으로 성별, 연령, 학력, 전공, 무용경력, 무용단 유형, 소속기간, 고용형태, 안무가성별, 안무가연령, 안무가와 관계, 작업기간으로 구성하여 12문항, 안무가의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인 카리스마, 지적자극, 개별적 배려, 영감적 동기 16문항, 리더신뢰 하위요인 정서적 신뢰, 인지적 신뢰 관련 11문항, 직무만족 관련 5문항으로 총 44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분석은 Windows용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기술통계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를 검증에는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과 확인적 요인분석(CFA),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가설 검증과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SEM)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논의한 후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안무가의 변혁적 리더십과 리더신뢰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안무가의 변혁적 리더십이 리더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안무가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만족을 분석한 결과 안무가의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안무가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만족 간에 리더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리더신뢰는 안무가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만족에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안무가의 변혁적 리더십은 리더신뢰를 매개로 하여 무용단원들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안무가의 변혁적 리더십은 리더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리더신뢰를 통해 무용단원들의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안무가의 변혁적 리더십이 높을수록 무용단원들이 안무가에 대해 느끼는 신뢰가 높아지고, 이는 무용단 직무만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xamine the affect of Choreograp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dancers leader trust and its job satisfaction and to show how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ts job satisfaction help its trust on dancers and assist to provide basic data information for its research. To attain it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280 active dancers mostly active in Seoul from 2013 Dance Art Group and treated statistically. Questionaire was used as its research tools and for its background variables, 12 categories of sex, age, education, speciality, dance career, type of dance, involved time, employment form, choreographers sex, choreographers age, relationship with choreographers, work time were used, 16 categories of Choreograp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sub-factors Charisma, Inspirational motivation,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Intellectual stimulation, 11 categoreis of leaders trust sub factor, cognition based trust and affect based trust and additional 5 categories of its job satisfaction in total of 44 categories Questionaire. The result and its analysis of the questionaire was done through Windows SPSS 18.0 and AMOS 18.0. To analyze its demography,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and to verify its measuring tool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Lastl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SEM) was used to verify its hypothesis and its mediating effec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lationship between choreograp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ts leaders trust show that there is a positive effect. Furthermore, it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job satisfaction anaylsis data show that choreographer’s leadership do have a positive effect. Lastly, after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choreograp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it is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Hence, choreograp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nhances the dancers job satisfaction as well as its performance. Consequently, choreographer’s transformational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its leadership and this affects the dancers job satisfaction. In fact, as it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higher, dancers trust and rely more on its choreographer and this clearly improves the overall satisfaction in positive direction.

      • 젊은 안무가 지원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백지연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젊은 안무가 지원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본 논문은 젊은 안무가 지원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젊은 안무가 개념 및 젊은 안무가 지원의 필요성, 안무가의 역할을 살펴보고,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또한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해 본 연구에서 언급한 젊은 안무가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젊은 안무가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인터뷰 조사를 선택했다. 이를 통해 젊은 안무가를 위해 마련된 지원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가 연구를 통해 파악한 젊은 안무가 지원 프로그램의 문제점과 그에 대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원조건 및 프로그램에 대한 방향성의 모호함으로 인해 지원자들에게 혼란을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젊은 안무가 프로그램’의 지원자들의 혼란을 막고, 프로그램의 올바른 목적달성을 위해서라도 ‘젊은 안무가’에 대한 정확한 개념 정립과 프로그램의 지원 기준 및 방향성 제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둘째, 일회성 지원을 중심으로 지원체계가 정립되어 있다. 이로 인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 기관에서는 중·장기적인 지원 시스템 체계를 구축하고 젊은 안무가들에게 끊임없는 관심을 펼쳐야 할 것이다. 셋째, 창작·매개 요소 지원의 부족으로 단면적 지원 체계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에 젊은 안무가들을 위해 공간 및 무용수 등과 같은 창작·매개 요소에 대한 맞춤 컨설팅의 활성화가 시도 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지원 프로그램의 영향력이 독립안무가 및 단체까지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간 학교 중심적으로 이루어지던 심사방식에서 탈피해 공정한 심사제도와 독립안무가 및 단체를 찾아 발굴해 내는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다섯째, 안무가 재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하다. 중·장기적인 안무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및 보급을 통해 역량 있는 젊은 안무가 육성 및 발굴에 힘써야 한다. 또한 역량 강화 프로그램으로 장학금 제도 및 해외연수 지원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통해 실력 있는 젊은 안무가 발굴에 힘써야 한다. 여섯째, 프로그램 진행상의 미흡함이 발견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프로그램 구성 및 진행에 있어서 탄력성과 공정성을 중심으로 이뤄져야 한다. 또한 평가 시스템을 강화함으로 지원금이 목적에서 어긋나게 쓰이지 않는가에 대한 관심이 필요시 되고 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연구자는 연구를 통해 젊은 안무가 지원 프로그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젊은 안무가와 관련된 지원 프로그램의 문제점의 보완 및 개선으로 젊은 안무가들에게 활발한 예술 활동의 기회를 만들어 주는 시스템이 구축되기를 기대하며, 더불어 나아가 창조적 산업의 일환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of Support Program for Young Choreographers Paek, Ji-Yeon Major in Culture & Art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Culture and Art Sangmyung University The thesis studies on how improvements can be made for young choreographers’ support program. It is my desire as a researcher to acknowledge a need for support program for young artists, to go over terms, concepts, and roles of a choreographer, and to analyze related programs. Also,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from currently involved artists in these programs have been utilized to further the study. Through these studies for young choreographers, we desire to pinpoint problems and make suggestions. The improvement plans and solutions for these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Ambiguities of directions about program qualifications have caused chaos for applicant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chaos from applicants of these 'young artists programs,' there has to be a solid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these programs and clarifications of qualification standards. Second, infrastructures of the sponsor programs center on only one-time opportunity. To solve problems, each sponsor needs to found a system that supports and provides more opportunities for young artist applicants. Third, they have run programs that lack creativity and precise details. As a result, we need to provide enough rooms for dancers and young artists to cooperate and encourage creativity and productivity. Fourth, influences of the sponsor programs do not reach independent choreographers and groups. There is a strong need for finding fair judge and auditions. Fifth, reeducation programs for artists are rare. We need to practice long-run systems and supplies in order to discover talented artists and have them reared and cultivated. Also, active scholarships and abroad study programs for these talented artists are recommended. Sixth, insufficiencies have been discovered in running procedur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formations of these sponsor programs should center on flexibility and fairness. Also, strong feedback system is recommended to prevent misuse and faulty. As you see, the researcher has come up with solutions to the problems caused by sponsor programs for young artists. Through this thesis, the researcher expects to have a chance of abundant activities and to consider potential links to the creative and self-improving industries.

      • 뮤지컬 연출가와 안무가의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 : 뮤지컬작업시 연출가와 안무가와의 관계성과 연출가겸 안무가들의 성공예를 중심으로

        이숙연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6

        뮤지컬 안무가로 작업하면서 연출가와의 작업적인 상호관계 범위에 대해 느끼게 되면서 뮤지컬 연출가와 안무가와의 역할이 한국 뮤지컬계에 얼마나 많은 발전을 하게 될 것인지 고민해보고 좀더 전문화되고 체계화되어 갔으면 하는 바람으로 연구 작업에 몰두하게 되었다. 뮤지컬 안무가로 활동하다가 지난여름 창작뮤지컬 ‘어글리 매칭’이란 작품으로 연출가겸 안무가로 첫 도전을 하게 되면서 이번 연구 작업에 도움을 받았고 이에 따른 이론적 배경을 조사하고 연구하면서 뮤지컬 연출가와 안무가들의 연관성과 그들의 활동 범위 안에서 연출가겸 안무가의 작업범위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게 되었다. 뮤지컬은 종합예술이고 뮤지컬만의 장점인 신나고 즐거운 장르이기도하지만 때로는 예술성을 살리면서 흥행 보장도 되어야 하는 어려운 작업이기도 하기 때문에 여러 스탭들과의 의견통합 역시 중요하며 그중 장면 구성을 만들게 되는 연출가와 안무가와의 작업은 공동 작업이기에 서로의 연출가와 안무가와의 상호관계가 협력적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 안무가출신에서 연출가로 성공한 외국의 연출가겸 안무가중 대표적으로 Bob Fosse, Gower Champion, Jerome Rogins, Tommy Tune, Michael Bennet, Gillian Lynne을 조사하면서 유명한 뮤지컬 작품이 어떻게 만들어지게 되었고 이들이 작업하면서 겪었을 고뇌를 알게 되었다. 뮤지컬 연출가, 안무가의 역할에 따른 이론적 배경과 그들의 갈등, 연출가겸 안무가로 활동했던 예술가들의 업적과 그들의 작업을 살펴본 결과 뮤지 컬에서의 연출가와 안무가와의 관계성은 더욱 크게 작용하며 성공적인 뮤지컬작품이 나오기까지 연출가와 안무가와의 이상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 젊은 안무가 지원 사업의 유형별 현황 및 요구도

        박소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requirements of the support project for young choreographers and to analyze its characteristic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14 support projects for young choreographers and six young choreographer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confirmed. The support project for young choreographers can be divided into performance-type, educational-type, competitive-type and other types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support. In particular, four performances, four educational programs, five contestants, and one other type of performance were selected. Other types of cases have the characteristic of providing fellowship support in the form of monthly installment bonuses. In addition, the details of the support project for young choreographers include organizers, qualifications, business contents, deliberations, application methods and submissions, among which are related to the type of support project for young choreographers. The survey on the needs of young choreographer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young choreographers to investigate the obstacles to the creative activities of young choreographers and the needs of young choreographers. As a result, the number of responses to the expansion of performance-type support projects, expansion of budget, economic support, continuous support, expansion of interview deliberation, human resource connection support, practice room support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were high. Although various requirements have been put forward, most of the answers a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economy, so it can be concluded that young choreographers should focus on economic and environmental policies. Keywords : Young choreographers, rising choreographers, next-generation choreographers, support for young artists, dance support, creative support

      • 현대 춤에 있어서 안무가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국 · 내외 안무교육 교과과정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손각중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805

        본 논문은 현대 춤에 있어서 “진정한 의미의 창조자”인 안무가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현재 한국의 무용교육의 현황과 외국 무용교육의 현황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바람직한 무용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범위는 국내의 고등 무용교육 기관인 대학과 Conservatory 교육 기관을 선정하여 교과과정을 분석하였으며, 해외 고등 무용교육기관의 교과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미국의 뉴욕대학, 프랑스의 파리국립고등무용학원, 영국의 라반센터, 독일의 폴크방 대학, 호주 멜버른 대학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국내 ·외 고등 무용교육기관의 교과과정을 비교분석한 결과 국내 무용교육의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었다. ① 국내 무용교육은 실기와 이론 교과목이 불균형적으로 운영되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국내 교육기관인 대학과 Conservatory 교육기관은 자체적인 교과과정 운영의 차별화를 갖지 못하고 있다. ③ 국내 교육기관의 교과과정 운영에서는 학점운영의 자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④ 각 교육기관별 특성화를 확립하지 못하고 있음이 문제점으로 도출되었다. ⑤ 국내 교육기관의 경우 워크샵이나 현장실습 등과 같은 안무가에게 필요한 교과과정을 정규교과에 편입시키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국내 안무자 교육 프로그램이 갖추어야할 개선책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진정한 의미의 창조자”인 안무가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에서 필요한 것은 무용실기 테크닉에 대한 교육과 더불어 안무자들의 인문학적 소양을 배양시킬 필요성이 있다. ② 안무가 양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교육기관별 교과과정의 차별화가 절실한 상황이다. ③ 교과과정 운영에 있어서 자율성과 개방성을 유지할 수 있는 편성이 시급하다. ④ 각 교육기관의 특성화 방안을 고려하여 국내 고등 무용교육기관의 교과과정에 대한 재편성을 시도한다면 보다 개성 있고, 다양성을 갖춘 안무가 배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⑤ 예술현장과 교과과정 운영의 연계성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정규교과과정에서 페스티벌 참여나 워크샵, 현장실습과 같은 교과목을 개설한다면, 교육과 현장을 바로 매개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진정한 의미의 창조자”인 안무가 양성을 위한 국내 고등 무용교육기관의 교과과정 운영의 개선책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진정한 안무가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모형으로 인문학적 소양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과정, 움직임 테크닉 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표현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과정, 문화&사회의 비판적 시각배양을 위한 교과과정을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모델을 토대로 보다 세분화되고 구체화되어진 안무가 교육과정에 대한 모델에 대한 연구의 진행이 절실하다.

      • ≪한국 현대춤작가 12인전≫의 작품 경향 연구 : -남성 한국무용 안무가를 중심으로-

        유승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803

        본 연구는 ≪한국 현대춤작가 12인전≫에서 남성 한국무용 전공 안무가들의 작품창작 경향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공연팸플릿, 인터넷 뉴스라이브러리(newslibrary. naver.com)에서 관련기사를 1990년대까지 수집하였다. 이후 각 회당 제전을 직접 관람하고 평론을 기술한 평론가의 평론문을 무용전문지인 <객석>, <공연과 리뷰>, <댄스포럼>, <몸>, <무용한국>, <춤>, <춤과 사람들>에서 수집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이 제전에 다수 참가한 남성 한국무용 안무가 및 인터뷰 가능한 안무가와 직접 대면 인터뷰 및 이메일 서신을 실시하여 안무자의 작품 창작 배경 및 주안점 등 작가의 시각을 본 연구에 수용 정리하였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제2장에서 29년 동안의 ≪한국 현대춤작가 12인전≫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발전과정을 한국 무용사적 관점으로 발전 양상을 기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남성 한국무용 안무가들의 시대별 작품 경향을 파악하였다. 이후 다수 참여한 순서로 안무가들의 작품을 심층 분석하고, 1회 참여자는 연도별로 작품 경향을 분석 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통해 제4장에서 남성 안무가들의 특성을 논의하였다. 1987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 현대춤작가 12인전≫에 참가한 남성 한국무용 안무가는 총 15명이며, 작품은 총 26편이다. 이 중 국수호는 재공연 2회를 포함하여 총 8회 제전에 참여하였다. 이외에 초연작품 발표를 중시한 이 제전에서 정재만 3작품, 채상묵 2작품, 김용철 2작품을 발표 공연하였다. 나머지 11명의 안무가들은 각 한 작품씩을 발표하였다. ≪한국 현대춤작가 12인전≫의 남성 한국무용 안무가들의 춤 주제는 다양한 경향이 나타났다. 민족 동포애와 가족애가 내용인 작품에는 국수호의 <북한강가에서>와 김승일의 <몫>이 있다. 인생무상(人生無常) 및 윤회(輪廻)가 내용인 작품은 국수호의 <빈배>, <국수호의 볼레로>, <신의정원 Ⅰ- 무(無)>, 채상묵의 <회심곡>이다. 이상추구(理想追求)는 정재만의 <비천무>가 있으며, 현실극복 작품에는 채상묵의 <마른 풀꽃의 소리>와 김윤수의 <가벼운 바람>이 있다. 진혼(鎭魂)및 굿(제의) 형식은 국수호의 <면암의 명상>, 임관규의 <열(熱)> 이홍재의 <나비로워>, 김용철의 <흑살풀이>가 있다. 자아(自我)를 발견하거나 도야하는 주제적 특성이 나타난 작품에는 김용철 <단야>, 김정학의 <Shadow>, 한상근의 <비가(悲歌)>, 이경수의 <Ego>, 김남용의 <먼>이 있다. 무대 미술 및 다양한 소품을 사용한 작품은 국수호의 안무 작품에서 볼 수 있다. 정재만은 모방을 한 소품이 사용되었다. 이외에 이홍재는 상여, 김남용은 시계형태의 무대 장치가 사용 되었다. 조명을 효율적으로 사용한 작품은 정재만의 <비천무>와 김정학의 <Shadow>이다. 무대 미술을 효과적으로 사용한 작품은 국수호의 <북한강가에서>, <국수호의 볼레로>, 김용철의 <단야>, 김윤수의 <가벼운 바람>이 있다. 2002년 김장우의 <악(樂)>은 가야금 거문고, 장고, 신디 등의 음악이 무대 위 현장에서 직접 연주하여 주제에 맞는 그림적 이미지로 사용되었다. 2010년 국수호의 <신의 정원 1- 무(無)>에서는 종교와 전쟁 그리고 신의 이미지를 영상으로 보여주며 작품 주제의 의미를 잘 살렸다. 이렇듯 1987년도부터 진행되어온《한국 현대춤작가 12인전》의 남성 한국무용 안무가들은 개성이 강한 작품들을 발표하며, 종교적, 철학적 사유를 표현하는 춤을 발표해 왔다. 전체적으로 인간과 그 환경에 대한 주제가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한편, 여성 안무가들에 비해 남성안무가들의 비중이 많지는 않다. 그러나 이들은 각자의 삶의 방식과 경험을 토대로 작가 정신을 표출하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무용 안무가로서 현대춤 기법을 수용함에는 한국춤의 춤사위적 고유성을 표현하려 하기 보다는 한국의 분단현실이나, 작가 주변의 한국적 환경이 주제로 수용되는 특징이 나타났다.

      • 뮤지컬에서의 안무가 역할에 관한 연구

        정미례 韓南大學校 社會文化大學原 2005 국내석사

        RANK : 247790

        현대사회에서 대중을 위한 예술인 뮤지컬은 표현을 목적으로 둔 여러 장르의 예술들이 어우러져 하나의 극적주제를 가지고 각각 그 특성에 따라 미적 세계를 창조하면서 전개되어지는 종합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종합예술에는 무용과 음악, 연기 그리고 무대 메카니즘이 포함된다. 그중에서도 무용은 독특한 표현성을 지닌 표현적 신체 언어로서 극 전달에 있어 뮤지컬의 어떤 요소보다도 강력한 전달 매체가 될 수 있으므로 뮤지컬에서 무용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뮤지컬에서 뮤지컬 무용 예술영역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뮤지컬의 발달과정을 통해 안무가들을 연구 분석하여 현재와 미래에 있어서 훌륭한 안무가의 역할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뮤지컬의 대표적인 안무가 한야 홀롬(Hanya Holm), 제롬 로빈스(Jerome Robbins), 질리안 리(Gillian Lynne), 밥 포세(Bob Fosse)을 대상으로 그들의 안무 성향과 작품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뮤지컬에 있어서 안무가의 역할은 무용의 극적 기능을 살려 언어의 한계를 극복하고 언어의 영역을 확장하는 일이며, 폭넓은 시야와 독창적인 창의력, 그리고 표현력의 다양성을 통하여 관객과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안무가는 무용창작에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움직임 하나하나에 의미를 부여하여 내용전달에 중점을 두고 작품을 구성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 분석한 안무가들의 대표적인 작품 「My Fair Lady」「West side story」「Cats」「Gambler」에서 안무 전개 방법을 분석한 결과 뮤지컬 안무가는 작품의 성격에 따른 다양한 춤을 만들어 내야하는 풍부한 무용의 이론적 지식과 폭넓은 실전 경험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안무가는 연출의 작품해석력, 음악에 대한 실질적이며 세련된 지식, 다채로운 심미감은 조명과 무대장치의 분위기를 한층 높여주면서 이들의 유기적 결합을 시도하고 의도적인 시각적 효과를 창출해 내야한다. 이렇듯 뮤지컬 안무가의 다양한 역할 수행으로, 뮤지컬에서 무용이 차지하는 작품에 대한 기여도는 매우 중요하며, 이는 현대인들의 다양한 예술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독특한 형태로 뮤지컬이 존재해야 하는 결정적 이유가 된다. 이에 여러 예술장르들의 합성체인 뮤지컬이 새로운 양상으로 발전되어지는 과정에서 안무가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참신한 창의력은 종합예술로서의 뮤지컬의 위상을 확고히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기대해 본다. A musical, which is for the common public people in modern society can be regarded as combined-art. It is combined with various genres of art, those are dancing, acting, music, stage mechanism, etc. Among those, dancing could be very essential part in a musical , for it conveys strong messages not with the language but with the body. This research will emphasize on the importance of dancing in a musical, choreographers are also focused in this research, how they helped to develop the musical and what they are supposed to do for present and future to contribute the advancement of the musical . Hanya Holm, Jerome Robbins, Gillian Lynne, Bob Fosse, model choreographers were closely studied for this purpose, their works and styles.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musical choreographers should understand the function of dance and try to express what is to be said with body. They need to help the audiences understand what messages the dance tries to express. Therefore, choreographers need to create musical dancing focusing on every movement of the body. The result of close studies on the works of those model choreographers, My Fair Lady, West side story, Cats, Gambler shows that choreographers need to create various dances and to be equipped with theoretical knowledge about dance and actual experiences on stage. They need to translate the works with their own languages, should have enough knowledge about music. Stage setting and illumination could be enhanced when the choreographers have good senses of beauty. It is clear that dances are very important in a musical owing to sincere efforts of the choreographers. The Musical should exist to satisfy various demands for arts of the modern public people. Now I expect choreographers with creativeness, enthusiasm and effort would open a new era to develop the musical.

      • 무용안무가의 무대연출에 관한 연구 : 무대연출 면에서 무용안무가의 역할을 중심으로

        김현미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711

        In the present age, they use the stage effect such as music, stage, costume and lighting, which can bring dancing into a relief and is not just a simple dancing performance stage. Thus, this study lighted up again the functional and creative role of a dancing director at tile present time that dancing performance is developing day by day, and studied that role according to the needs of today that requires the dancing director who has not just the role of making dance but the general directing ability. The roles of a dancing director in the aspect of stage productio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dancing director should make dance up with his opinions without any lack in its expressions in order for him to be able to deliver work intention, theme and contents most correctly. Therefore, he may consider even the necessity of unified work will from the specialists of other adjacent art fields. Second, not just the one that relies on others for the external fields of dancing such as lighting, sound, art and costume that are embossed in the present age, but the dancing director's own creativity and work quality should be included. Third, in addition a dancing director should have the ideological thinking that he would express even the invisible things, objects, space and mentality in the stage performance of a work. Fourth, a dancing director may have to lay stress on workshop and discussion with artists or specialists of other fields, not insisting on only dancing field. Since tile stage production is the general art that is made by the excellent dancing direction and the functions of dancers, which are put together by arrangement of dancing script, establishment of dancing direction, music selection and handling, stage art handling, whether to use stage property, lighting plan, effect and so on, it requires the objective action system. In addition, when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of dancing art even if the role of a dancing director decisively influences on a work, we can seethe cases that most of them greatly rely on the specialized directors or a dancing director directly holds an additional post of dancing direction, and this can be regarded as the one that it reduces the dramatic effect that stage performance should have. Therefore, even if a dancing director thinks that he may be able to produce a more substantial dancing as a dancing specialist rather than a specialized director, it is thought to be a reckless attitude if we expect the best effect of stage production from other directors, and it may require the right temperance and acceptance. Or, a dancing director may have to hold the additional post of stage director. To realize this, not only the profound knowledge on everything such as stage space, facility, lighting, costume and so on should be equipped, but also the basic direction technique should be accessed, and this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effective way for a dancing director to make stage production. In addition, a dancing director's more professional knowledge and eye for the whole of performance art should be levelled up, and this may become the essential condition that is required at the present time in the development of future dancing performance.

      • 불안정한 삶과 예술 노동 : 무용수의 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조형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88

        이 연구는 제도권 교육 체제 안에서 교육받은 무용수의 예술 노동에 대한 탐구이다. 한국에서 무용은 강한 제도권 교육과 재생산 시스템을 갖춘 순수예술의 형태로 예술의 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무용수들과 안무가들이 어떤 방식을 통해 직업적 정체성을 가지고 자신의 예술 작업들을 정체화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문화연구적 접근이 이루어진 바가 없다. 여기에서 출발한 이 연구는 무용 제도권 교육이 형성하고 있는 예술 장을 바탕으로 무용수가 어떻게 자신의 직업 정체성을 형성하고 자신의 무용 작업들을 하나의 예술 노동으로서 인식하는지 연구하였다. 이 연구 과정에서, 젊은 무용 예술가들이 처해있는 예술계 내부에서의 노동 현실을 드러내고, 그들이 그 구조적 문제를 어떻게 극복하고 협상해 나가는지 고찰하였다. 주로 20대에서 30대에 걸쳐있는 아홉 명의 무용수와 안무가들을 대상으로 한 이 연구는 반구조화된 심층 면접 인터뷰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연구자가 분석한 사실은 크게 세 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먼저 무용수들은 제도권 교육을 통해 예술가의 직업적 정체성을 만들어가며, 예술계 내부의 아비투스를 습득하게 된다. 특화된 중등교육기관과 대학 무용과라는 제도권 교육을 거치며 무용수는 완벽하게 예술계의 내부인으로 만들어지며, 여기에서 형성된 도제적 권력관계는 무용수의 예술 노동을 왜곡하는 근거가 된다. 다음으로, 무용수와 안무가의 비예술 노동은 예술 노동을 지속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며, 때로는 예술가의 예술 노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삶을 영위하기 위해 비예술 노동을 병행할 수밖에 없는 예술가들은 이 과정에서 비예술 노동으로 인해 예술 노동이 소진되거나, 훼손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무용수들에게 있어 가장 접근성 높은 ‘비예술’ 노동은 레슨이지만, 제도권 교육이라는 문화자본을 형성하지 못하였거나 혹은 제도로부터 탈주하기를 원하는 무용수들은 예술과 완벽하게 상관없는 노동을 통해 생존 전략을 모색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왜곡된 노동 상황에서 무용수와 안무가는 자기 자신이 처해있는 상황과 경합하고 ‘창조적 욕망’을 통해 그것을 극복해 나간다. 무용수와 안무가들이 작업을 지속하게 만드는 정동은 비물질노동을 가능하게 하는 ‘창조적 욕망’이다. 여기에서 예술가들의 정동적 노동이 하나의 새로운 ‘노동’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예술 노동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무용수와 안무가의 예술 노동을 문화연구적으로 접근하면서, 이전까지 노동의 영역에 포함되지 않았던 예술이 하나의 노동으로 형성되는 과정을 조명하였다. 특히 문화산업의 조직적 체계가 갖추어지지 않은 순수예술에 대한 문화연구를 통해, 기존의 문화산업 노동자 연구에서 노동자성에 가려 완전히 드러내지 못했던 창작에 대한 욕구와 그 정동을 자세히 살펴보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예술가라는 정체성을 하나의 직업적 정체성으로 구체화하고 무용수와 안무가들이 스스로에게 가지는 노동자성과 그 왜곡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예술가들이 처해있는 상황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논의를 시도했다. 더 나아가 예술가들의 복지와 노동 상황에 대한 인식이 이제 막 시작된 한국 사회에서, 본 연구는 예술 노동과 그 사회적 가치에 대한 논의의 방향성을 제안한다. This is an cultural study on artistic labor of dancers who have been trained in institutionalized educational systems. In South Korea, dance, as a form of fine art, is sustained by standardized institutional systems of education that perpetuate this education practice. However, there has been no cultural study on how dancers and choreographers obtain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nd define their artistic work as in terms of a labor. In this context, this study sheds light on how dancers establish professional identities and how they acknowledge their dancing as artistic labor in this field of art that is based on such institutionalized education systems. In particular, I analyzed the labor climate and the systematic problems of the art world to which young dance artists encounter, and how they deal with these conditions. Applying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methodology, 9 dancers or choreographers who have experienced institutionalized educatio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ee main findings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dancers obtain habitus of the art world to which they belong while they have established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s artists based on institutionalized education. Trained in art-specialized secondary schools and colleges, dancers have well-developed as insiders of the art world. In apprenticeship of this institutionalized education, the power relationship between the master and the dancer provides grounds to deteriorate value of artistic labor; price for artistic labor. Next, dancers’ and choreographers’ non-artistic labor is an crucial factor that upon occasion determines whether they are able to continue their artistic labor. Many artists engaging in non-artistic labor for their living experience their art labor seems to disbenefit because they are exhausted or depleted in engaging in their non-artistic labor. The most feasible non-artistic labor for dancers is giving lessons. However, dancers who do not have the cultural capital of institutionalized education or who want to avoid these institutions have to seek labor that is completely irrelevant to their art practice in order to earn a living. Last, dancers and choreographers struggle to overcome their inner conflicts regarding disadvantageous labor situation by pursuing their own creative desire. An affect that allows dancers and choreographers to continue their art work is this ‘creative desire', which has art work to be included the boundary of non-material labor. In order to have artists' affective labor be acknowledged as a new form of labor, social agreement concerning artistic labor is necessary. Approaching dancers’ and choreographers’ artistic labor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study,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process of how art work has been established as a kind of labor. By performing cultural research on fine art, which is less-industrialized, I aimed to analyze artists’ yearning and affect for creation, which were mostly ignored in the previous studies on labor of the cultural industry. We attempted to generate discussions that may change labor situations artists faces in reality, by investigating how artists establish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s an artist.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a direction for the discussion of artistic labor and its social values in South Korea, which has recently started to pay attention to artists’ welfare and lab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